KR102039980B1 -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980B1
KR102039980B1 KR1020170179791A KR20170179791A KR102039980B1 KR 102039980 B1 KR102039980 B1 KR 102039980B1 KR 1020170179791 A KR1020170179791 A KR 1020170179791A KR 20170179791 A KR20170179791 A KR 20170179791A KR 102039980 B1 KR102039980 B1 KR 102039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reduction
vehicle
trailer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080A (ko
Inventor
손주원
박은찬
Original Assignee
(주)에스모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모터스 filed Critical (주)에스모터스
Priority to KR1020170179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9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wherein the fluid is a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6Mounting of pneumatic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은,
대(大) 진동을 잡아주는 제1진동저감부;
중(中) 진동을 잡아주는 제2진동저감부; 및
소(小) 진동을 잡아주는 제3진동저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VEHICLE SUSPENSION CAPABLE OF REDUCING VIBRATION IN WIDE RANGE}
본 발명은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2000-00192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차량용 서스펜션은 암이 행거에 볼트로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행거는 차체와 연결된다.
에어백은 암과 차체 사이에 설치된다.
암은 에어백을 지지하며, 차체의 하중을 차축에 전달한다.
차축은 암에 설치된다.
차량 운행시 노면과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암과 행거를 거쳐 차체로 그대로 전달된다.
에어백은 차체로 전달되는 큰 진동을 어느 정도 감소시킨다.
그러나, 에어백은 승차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中) 진동과 소(小) 진동은 거의 잡아주지 못한다.
이로 인한, 소비자 불만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2000-0019209)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가진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은,
대 진동을 잡아주는 제1진동저감부;
중 진동을 잡아주는 제2진동저감부; 및
소 진동을 잡아주는 제3진동저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진동저감부에서 대(大) 진동을 잡아주고, 제2진동저감부에서 중(中) 진동을 잡아주고, 제3진동저감부에서 소(小) 진동을 각각 잡아준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면, 진동을 대, 중, 소 영역에서 영역별로 잡아줄 수 있어,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이 설치된 차량의 바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 트레일러, 차축, 디퍼렌셜기어박스를 차량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 트레일러, 차축을 차량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진동저감부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1진동저감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최소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진동저감부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2진동저감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최소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3진동저감부를 발췌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축(15)은 디퍼렌션 기어박스(14)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된다. 드라이브 샤프트(13)는 디퍼렌셜 기어박스(14)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된다. 차축(15)의 끝단에는 바퀴결합부(17)가 설치된다.
차축(15)의 내부에는 샤프트(미도시)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바퀴결합부(17)는 바퀴하우징(18) 내에 위치된다. 바퀴결합부(17)에 바퀴가 결합된다.
엔진(미도시)의 동력은 변속기(미도시)와 드라이브 샤프트(13)를 거쳐 디퍼렌셜 기어박스(14)로 전달된다. 디퍼렌셜 기어박스(14)에서 샤프트(미도시)를 통해 엔진의 동력이 바퀴로 최종 전달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50)은, 바퀴하우징(18) 주위에 설치되어, 차량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을 대, 중, 소 대역별로 잡아준다.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50)은, 제1진동저감부(100), 제2진동저감부(200), 제3진동저감부(300)로 구성된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진동저감부(100)는 대(大) 진동을 잡아준다. 대(大) 진동이란, 차량 운행시 노면에서 차체 프레임(11), 바퀴, 트레일러(16)로 전달되는 진동으로, 탑승자에게 그대로 전달될 경우, 탑승자의 몸이 흔들릴 정도의 큰 진동을 말한다.
제1진동저감부(100)는 제1에어백(110)과 제2에어백(120)으로 구성된다.
제1에어백(110)과 제2에어백(120)은 차체 프레임(11)과 트레일러(16) 사이에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16)의 일단은 차체 프레임(11)과 힌지 결합되고, 트레일러(16)의 타단은 제2에어백(120)에 의해 차체 프레임(11)과 연결된다.
제1에어백(110)은 차체 프레임(11)과 트레일러(16)의 힌지 결합부 근처에 위치된다.
제2에어백(120)은 제1에어백(110)의 후측에 위치된다.
제1진동저감부(100)의 진동 흡수정도는, 제1에어백(110)과 제2에어백(120)에 주입된 공기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
제1에어백(110)과 제2에어백(120)에 주입되는 공기는 노면상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대(大) 진동은, 제1진동저감부(100)를 거치면서 감소된다.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제2진동저감부(200)는 중(中) 진동을 잡아준다. 중(中) 진동이란, 차량 자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으로, 엔진(미도시), 변속기(미도시), 차체 프레임(11), 드라이브 샤프트(13), 디퍼렌셜 기어박스(14), 차축(15)등에서 발생하여, 트레일러(16)와 차체 프레임(11)을 거쳐,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으로, 그대로 전달될 경우, 탑승자가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진동을 말한다.
제2진동저감부(200)는 제1에어백(110)과 제2에어백(120) 사이에 위치된다.
제2진동저감부(200)는 제2-1진동저감부(210), 제2-2진동저감부(220)로 구성된다. 제3-1진동저감부(310)와 제2-2진동저감부(220는 볼트(미도시)로 결합된다.
제2-1진동저감부(210)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재로 만들어진다. 제2-2진동저감부(220)는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철강으로 만들어진다.
제2-1진동저감부(210)의 하면에는 차축(15)이 지나가는 반원형의 홈(211)이 파인다. 홈(211)으로 차축(15)이 지나간다. 제2-1진동저감부(210)의 전면 좌우측에는 돌기(212)가 형성된다. 돌기(212) 각각에는 수직관통공(212a)이 형성된다. 제2-1진동저감부(210)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재로 만들어진다.
제2-2진동저감부(220)는 제2-1진동저감부(210)의 상면에 위치된다. 제2-2진동저감부(220)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다. 제2-2진동저감부(220)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 이유는, 차축(15)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좌우측으로 분산하여 트레일러(16)로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제2-2진동저감부(220)는 상부(221), 경사부(222), 힌지부(223)로 구성된다.
상부(221)에는 볼트체결공(221a)이 형성된다.
힌지부(223)는 핀(P)으로 트레일러(16)와 연결된다. 힌지부(223)의 내부에는 폴리부싱(미도시)이 설치된다. 폴리부싱은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진다. 폴리부싱은 진동을 흡수한다.
중(中) 진동은, 제2-1진동저감부(210)에서 1차로 감소되고, 제2-2진동저감부(220)의 힌지부(223)에서 2차로 감소되어, 트레일러(16)을 거쳐 차체 프레임(11)에 최소로 전달된다.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제3진동저감부(300)는 소(小) 진동을 잡아준다. 소(小) 진동이란, 차축(15)의 떨림으로 발생하는 진동으로, 트레일러(16)와 차체 프레임(11)을 거쳐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으로, 그대로 전달될 경우, 탑승자가 불쾌감을 느낄 정도의 진동을 말한다. 종래에는 차축(15)이 트레일러(16)에 직접 접촉되어 있어, 진동이 그대로 차체 프레임(11)을 거쳐 탑승자에게 전달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차축(15)이 트레일러(16)에 직접 접촉되는 대신, 제2진동저감부(200), 제3진동저감부(300)를 거쳐 간접적으로 접촉된다.
제3진동저감부(300)는 제3-1진동저감부(310), 제3-2진동저감부(320)로 구성된다.
제3-1진동저감부(310)는 제2-2진동저감부(220)의 상부(221)에 설치된다. 제3-1진동저감부(310)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재로 만들어진다. 제3-1진동저감부(310)는 평면부(311), 평면부(311)의 좌우측 상면에서 위로 돌출된 돌기부(312)로 구성된다. 돌기부(312)는 부채꼴 형상을 가진다.
평면부(311)의 중앙에는 볼트관통공(311a)이 형성된다.
제2-2진동저감부(220)의 상부(221)위에 제3-1진동저감부(310)의 평면부(311)가 놓인 상태에서, 볼트(B)가 볼트관통공(311a)을 통과하여 볼트체결공(221a)에 체결되면, 제3-1진동저감부(310)와 제2-2진동저감부(220)가 결합된다.
돌기부(312) 각각에는 걸개홈(312a)이 형성된다.
제3-2진동저감부(320)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재로 만들어진다. 제3-2진동저감부(320)는 U자의 와이어 형상을 가진다.
제3-2진동저감부(320)가 제자리를 벗어나지 않게, 걸개홈(312a)에 제3-2진동저감부(320)를 걸친 다음, 제2-1진동저감부(210)의 수직관통공(212a)을 통과시켜, 트레일러(16)에 연결한다.
소(小) 진동은, 제3-1진동저감부(310), 제3-2진동저감부(320)를 거치면서 감소되어, 트레일러(16)을 거쳐 차체 프레임(11)으로 최소로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진동저감부(110), 제2진동저감부(120), 제3진동저감부(130) 각각이 흡수하는 진동 영역을 달리함으로써, 대, 중, 소 영역별로 진동을 감소시킨다.
10: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
100: 제1진동저감부 200: 제2진동저감부
300: 제3진동저감부

Claims (5)

  1. 삭제
  2. 대, 중, 소 영역별로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과 트레일러 사이에 설치된 제1에어백과 제2에어백으로 구성되어 대(大) 진동을 잡아주는 제1진동저감부;
    상기 제1에어백과 상기 제2에어백 사이에 위치되며, 차축이 자나가는 반원형의 홈이 하면에 파인 탄성재로 만들어진 제2-1진동저감부와, 상기 제2-1진동저감부의 상면에 위치된 제2-2진동저감부로 구성되어 중(中) 진동을 잡아주는 제2진동저감부; 및
    상기 제2-2진동저감부의 상부에 설치된 제3-1진동저감부와, 상기 제3-1진동저감부의 양측에 걸쳐진 후, 상기 트레일러에 연결되는 제3-2진동저감부로 구성되어 소(小) 진동을 잡아주는 제3진동저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2진동저감부는 상부와 상기 상부의 양측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끝단에 형상된 힌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힌지부는 핀으로 상기 트레일러와 연결되며, 상기 힌지부의 내부에는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진 폴리부싱이 삽입되어,
    중(中) 진동이 상기 탄성재로 만들어진 제2-1진동저감부에서 1차로 감소되고, 상기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진 폴리부싱이 삽입된 힌지부의 내부에서 2차로 감소되어, 상기 트레일러를 거쳐 상기 차체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79791A 2017-12-26 2017-12-26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 KR102039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791A KR102039980B1 (ko) 2017-12-26 2017-12-26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791A KR102039980B1 (ko) 2017-12-26 2017-12-26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080A KR20190078080A (ko) 2019-07-04
KR102039980B1 true KR102039980B1 (ko) 2019-11-04

Family

ID=6725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791A KR102039980B1 (ko) 2017-12-26 2017-12-26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98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437A (ja) * 1997-06-27 1999-01-26 Fukoku Co Ltd 車体支持構造
KR100368553B1 (ko) 1998-09-09 2003-05-16 주식회사 포스코 고온강도가 우수한 저항복비형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080A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21779B2 (ja) 乗用芝刈機
CN201604704U (zh) 一种汽车全浮后悬置装置
US2769656A (en) Vehicle cab and front end mounting
KR102039980B1 (ko) 차량용 광역 진동 저감 서스펜션
CN202754029U (zh) 前副车架
US2274518A (en) Vehicle suspension
KR20120007608U (ko)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CN210706849U (zh) 动力总成悬置和应用其的车辆
CN205498540U (zh) 电动车减震系统
CN204755722U (zh) 一种汽车发动机减震装置总成
KR101637260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KR20160079601A (ko) 트랙터
CN204641393U (zh) 一种变速器悬置结构
CN204488982U (zh) 一种重型越野车驾驶室前悬连接装置
CN211567589U (zh) 一种高强度与抗震一体式汽车悬架结构
CN201694269U (zh) 一种减震降噪驾驶室
CN215921786U (zh) 全地形车
CN213501712U (zh) 一种具有良好减震效果的小车
CN216002202U (zh) 一种汽车传动轴总成中间支撑架
CN211943611U (zh) 摩托沙滩车
CN219055963U (zh) 双向减震发动机前悬置软垫结构
CN105252977A (zh) 半挂车悬置牵引装置
CN211764762U (zh) 一种汽车下摆臂
CN202879627U (zh) 汽车驾驶室后置减震机构
KR20160085186A (ko) 트랙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