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734B1 - 일방향 작업용 볼트 - Google Patents

일방향 작업용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734B1
KR102036734B1 KR1020170166866A KR20170166866A KR102036734B1 KR 102036734 B1 KR102036734 B1 KR 102036734B1 KR 1020170166866 A KR1020170166866 A KR 1020170166866A KR 20170166866 A KR20170166866 A KR 20170166866A KR 102036734 B1 KR102036734 B1 KR 102036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tate
fitting
bol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946A (ko
Inventor
이종화
이정현
김문겸
함한균
손희준
김현수
신준현
Original Assignee
대도테크 주식회사
청암이앤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도테크 주식회사, 청암이앤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6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7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16B35/048Specially-shaped n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방향 직경에 비해 세로방향 직경이 크게 형성된 장공 구조의 관통공(210)을 구비한 복수의 모재(200)를 일방향에서 체결작업하기 위한 볼트(100)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방향 직경에 비해 세로방향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관통가능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10)을 관통하고, 가로세로가 바뀌도록 회전한 걸림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1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된 머리부(110); 상기 관통가능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10)을 관통하고, 상기 걸림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10)의 가로방향 가장자리 내측에 끼워지도록, 상기 머리부(110)의 외측에 형성된 끼움부(120); 상기 관통공(210)을 관통하여 너트(300)가 결합하도록, 상기 끼움부(120)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작업용 볼트(100)를 제시함으로써, 관통공의 외측만이 접근가능한 경우라 할지라도 완전한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일방향 작업용 볼트{BOLT}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일방향 작업용 볼트에 관한 것이다.
파형강판과 같은 모재(200)는 볼트, 너트에 의해 결합하는 구조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볼트, 너트의 결합작업을 위해서는 양측에 손이나 도구가 접근가능할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내측 파형강판(210)의 외측에 복수의 외측 파형강판(221,222)을 결합해야 하는 경우와 같이, 관통공(210)의 외측만이 노출되고, 그 관통공(210)의 내측으로는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도 1).
종래의 볼트는 이러한 경우 사용이 어려워 시공이 불가능하거나, 시공하더라도 완전한 결합작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관통공의 외측만이 접근가능한 경우라 할지라도 완전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일방향 작업용 볼트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가로방향 직경에 비해 세로방향 직경이 크게 형성된 장공 구조의 관통공(210)을 구비한 복수의 모재(200)를 일방향에서 체결작업하기 위한 볼트(100)로서, 가로방향 직경에 비해 세로방향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관통가능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10)을 관통하고, 가로세로가 바뀌도록 회전한 걸림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1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된 머리부(110); 상기 관통가능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10)을 관통하고, 상기 걸림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10)의 가로방향 가장자리 내측에 끼워지도록, 상기 머리부(110)의 길이방향 외측에 형성된 끼움부(120); 상기 관통공(210)을 관통하여 너트(300)가 결합하도록, 상기 끼움부(120)의 길이방향 외측에 형성된 나사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210)의 가로방향 가장자리에는 직선형 구조의 관통공 직선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10)의 세로방향 가장자리에는 만곡형 구조의 관통공 만곡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가능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10)에 대응하도록, 상기 머리부(110)의 가로방향 가장자리에는 직선형 구조의 머리부 직선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10)의 세로방향 가장자리에는 만곡형 구조의 머리부 만곡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상태에서 상기 관통공 직선부(211)에 끼워지도록, 상기 관통가능상태에서 상기 끼움부(120)의 세로방향 가장자리에는 직선형 구조의 끼움부 세로직선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 세로직선부(122)는 상기 머리부 만곡부(112)의 내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가능상태에서 상기 끼움부(120)의 가로방향 가장자리에는 직선형 구조의 끼움부 가로직선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 세로직선부(122)와 끼움부 가로직선부(121)의 사이에는 모따기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120)의 모따기부(123)는, 상기 관통가능상태에서 상기 관통공 만곡부(212) 및 상기 머리부 만곡부(112)의 내측을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 가로직선부(121)는 상기 머리부 만곡부(112)의 단부와 변곡점(113) 사이의 중앙영역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관통가능상태에서 상기 관통공 만곡부(212)의 단부와 변곡점(213) 사이의 중앙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 세로직선부(122)는 상기 걸림상태에서 상기 관통공 만곡부(212)의 단부와 변곡점(213) 사이의 중앙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작업용 볼트(100)를 제시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 일방향 작업용 볼트(100)를 이용한 일방향 체결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모재(200)의 관통공(210)이 상호 연통하도록, 상기 복수의 모재(200)를 겹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볼트(100)를 상기 관통가능상태로 하여, 상기 머리부(110) 및 끼움부(120)를 상기 관통공(210)을 통해 관통시키는 단계; 상기 볼트(100)를 회전시켜 상기 걸림상태로 하고 관통반대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끼움부(120)가 상기 관통공(210)에 끼워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볼트(100)의 나사부(130)에 너트(300)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체결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관통공의 외측만이 접근가능한 경우라 할지라도 완전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일방향 작업용 볼트를 제시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단면도.
도 2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볼트의 측면도.
도 3은 볼트의 정면도.
도 4는 볼트의 배면도.
도 5는 관통공의 정면도.
도 6 내지 8은 사용상태도.
도 9는 너트의 정면도.
도 10은 모재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볼트(100)는 가로방향 직경에 비해 세로방향 직경이 크게 형성된 장공 구조의 관통공(210)을 구비한 복수의 모재(200)를 일방향에서 체결작업하기 위한 구조를 취한다(도 5).
본 발명에 의한 볼트(100)는 구체적으로, 가로방향 직경에 비해 세로방향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관통가능상태(도 6)에서 관통공(210)을 관통하고, 가로세로가 바뀌도록 회전한 걸림상태(도 8)에서 관통공(21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된 머리부(110); 관통가능상태에서 관통공(210)을 관통하고, 걸림상태에서 관통공(210)의 가로방향 가장자리 내측에 끼워지도록, 머리부(110)의 외측에 형성된 끼움부(120); 관통공(210)을 관통하여 너트(300)가 결합하도록, 끼움부(120)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모재(200)의 관통공(210)을 장공 구조로 형성한다는 전제하에, 이와 동일한 구조의 머리부(110)를 형성하고, 머리부(110)의 삽입 후 회전한 걸림상태(도 8)에서 관통공(210)에 끼워지도록 끼움부(120)를 형성하고, 그 끼움부(120)의 외측에 나사부(130)를 형성한 것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모재(200)의 관통공(210)이 상호 연통하도록, 복수의 모재(200)를 겹쳐 설치한다.
볼트(100)를 관통가능상태로 하여, 머리부(110) 및 끼움부(120)를 관통공(210)을 통해 관통시킨다(도 6).
볼트(100)를 회전시켜 걸림상태로 하고 관통반대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끼움부(120)가 관통공(210)에 끼워지도록 한다(도 8).
볼트(100)의 나사부(130)에 너트(300)를 체결한다(도 10).
따라서 내측 파형강판(210)의 외측에 복수의 외측 파형강판(221,222)을 결합해야 하는 경우와 같이, 관통공(210)의 외측만이 노출되고, 그 관통공(210)의 내측으로는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라 할지라도, 완전한 결합작업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도 10).
관통공(210)의 가로방향 가장자리에는 직선형 구조의 관통공 직선부(211)가 형성되고, 관통공(210)의 세로방향 가장자리에는 만곡형 구조의 관통공 만곡부(212)가 형성되는 것이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위하여 바람직하다(도 5).
관통가능상태에서 관통공(210)에 대응하도록, 머리부(110)의 가로방향 가장자리에는 직선형 구조의 머리부 직선부(111)가 형성되고, 머리부(110)의 세로방향 가장자리에는 만곡형 구조의 머리부 만곡부(112)가 형성되는 것이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위하여 바람직하다(도 3).
걸림상태에서 관통공 직선부(211)에 안정적으로 끼워지도록, 관통가능상태에서 끼움부(120)의 세로방향 가장자리에는 직선형 구조의 끼움부 세로직선부(1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끼움부 세로직선부(122)는 머리부 만곡부(112)의 내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걸림상태를 위한 볼트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가능하게 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관통가능상태에서 끼움부(120)의 가로방향 가장자리에는 직선형 구조의 끼움부 가로직선부(121)가 형성되고, 끼움부 세로직선부(122)와 끼움부 가로직선부(121)의 사이에는 모따기부(1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끼움부(120)의 모따기부(123)는, 관통가능상태에서 관통공 만곡부(212) 및 머리부 만곡부(112)의 내측을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100)의 끼움부(120)는, 모따기부(123)와 아울러 상술한 끼움부 가로직선부(121) 및 끼움부 세로직선부(122)의 구조를 취하므로, 걸림상태(볼트가 관통공에 끼워져 회전한 상태)에서 볼트의 끼움부 세로직선부(122)와 관통공 만곡부(212)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영역이 최소화한다는 특징이 있다(도 8 참조).
파형강판과 같은 강판 결합구조물은 수분 기타 유해물질의 침투에 취약하므로, 구멍이 없거나, 구멍이 있더라도 최소화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는, 상술한 구성으로 인하여, 볼트가 관통공에 끼워져 회전한 상태에서, 볼트와 관통공 사이의 관통영역이 최소화함으로 인하여, 수분 기타 유해물질의 침투를 최소화한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삭제
100 : 볼트 110 : 머리부
111 : 머리부 직선부 112 : 머리부 만곡부
120 : 끼움부 121 : 끼움부 가로직선부
122 : 끼움부 세로직선부 123 : 모따기부
130 : 나사부 200 : 모재
210 : 관통공 211 : 관통공 직선부
212 : 관통공 만곡부 300 : 너트

Claims (7)

  1. 가로방향 직경에 비해 세로방향 직경이 크게 형성된 장공 구조의 관통공(210)을 구비한 복수의 모재(200)를 일방향에서 체결작업하기 위한 볼트(100)로서,
    가로방향 직경에 비해 세로방향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관통가능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10)을 관통하고, 가로세로가 바뀌도록 회전한 걸림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1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된 머리부(110);
    상기 관통가능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10)을 관통하고, 상기 걸림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10)의 가로방향 가장자리 내측에 끼워지도록, 상기 머리부(110)의 길이방향 외측에 형성된 끼움부(120);
    상기 관통공(210)을 관통하여 너트(300)가 결합하도록, 상기 끼움부(120)의 길이방향 외측에 형성된 나사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210)의 가로방향 가장자리에는 직선형 구조의 관통공 직선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10)의 세로방향 가장자리에는 만곡형 구조의 관통공 만곡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가능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10)에 대응하도록, 상기 머리부(110)의 가로방향 가장자리에는 직선형 구조의 머리부 직선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10)의 세로방향 가장자리에는 만곡형 구조의 머리부 만곡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상태에서 상기 관통공 직선부(211)에 끼워지도록, 상기 관통가능상태에서 상기 끼움부(120)의 세로방향 가장자리에는 직선형 구조의 끼움부 세로직선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 세로직선부(122)는 상기 머리부 만곡부(112)의 내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가능상태에서 상기 끼움부(120)의 가로방향 가장자리에는 직선형 구조의 끼움부 가로직선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 세로직선부(122)와 끼움부 가로직선부(121)의 사이에는 모따기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120)의 모따기부(123)는, 상기 관통가능상태에서 상기 관통공 만곡부(212) 및 상기 머리부 만곡부(112)의 내측을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 가로직선부(121)는 상기 머리부 만곡부(112)의 단부와 변곡점(113) 사이의 중앙영역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관통가능상태에서 상기 관통공 만곡부(212)의 단부와 변곡점(213) 사이의 중앙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 세로직선부(122)는 상기 걸림상태에서 상기 관통공 만곡부(212)의 단부와 변곡점(213) 사이의 중앙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작업용 볼트(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의 일방향 작업용 볼트(100)를 이용한 일방향 체결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모재(200)의 관통공(210)이 상호 연통하도록, 상기 복수의 모재(200)를 겹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볼트(100)를 상기 관통가능상태로 하여, 상기 머리부(110) 및 끼움부(120)를 상기 관통공(210)을 통해 관통시키는 단계;
    상기 볼트(100)를 회전시켜 상기 걸림상태로 하고 관통반대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끼움부(120)가 상기 관통공(210)에 끼워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볼트(100)의 나사부(130)에 너트(300)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체결방법.
KR1020170166866A 2017-12-06 2017-12-06 일방향 작업용 볼트 KR102036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866A KR102036734B1 (ko) 2017-12-06 2017-12-06 일방향 작업용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866A KR102036734B1 (ko) 2017-12-06 2017-12-06 일방향 작업용 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946A KR20190066946A (ko) 2019-06-14
KR102036734B1 true KR102036734B1 (ko) 2019-10-25

Family

ID=6684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866A KR102036734B1 (ko) 2017-12-06 2017-12-06 일방향 작업용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7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7522A (ja) 2000-05-08 2001-11-16 Shinko Kenzai Ltd 長孔用ボルト・ナット
JP2003148435A (ja) 2001-11-12 2003-05-21 Ihara Kogyo:Kk ボルト締結具
KR200389482Y1 (ko) * 2005-04-27 2005-07-14 김영철 표시부를 갖는 볼트
KR100842029B1 (ko) * 2007-07-16 2008-06-27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마찰이음을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의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135U (ja) * 1982-07-22 1984-02-0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伸縮ボルト
JPH0658221U (ja) * 1993-01-22 1994-08-12 哲男 山口 オフセットボルト
KR20130139050A (ko) * 2012-06-12 2013-12-20 김근영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
KR20160131582A (ko) * 2015-05-08 2016-11-1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체결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7522A (ja) 2000-05-08 2001-11-16 Shinko Kenzai Ltd 長孔用ボルト・ナット
JP2003148435A (ja) 2001-11-12 2003-05-21 Ihara Kogyo:Kk ボルト締結具
KR200389482Y1 (ko) * 2005-04-27 2005-07-14 김영철 표시부를 갖는 볼트
KR100842029B1 (ko) * 2007-07-16 2008-06-27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마찰이음을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946A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2702B2 (en) Nut and a method of use of the nut in a fastener system for crane mats
US2026686A (en) Bolt
CN105757099A (zh) 一种改进的紧固螺钉
US20180209138A1 (en) Combined anchor and rebar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4334894A (zh) 用于联接两个部件的连接装置
US2624386A (en) Driven nut
KR102036734B1 (ko) 일방향 작업용 볼트
DE10082233B4 (de) Verbindung aus einem ersten und einem zweiten Bauelement bestehend aus einer Unterlegscheibe mit einem Mittelloch in Kombination mit einem Gewindebolzen
JP2012136912A (ja) 連結構造
JP4949180B2 (ja) 締結具
JP6923984B1 (ja) ラグスクリューボルトの取付け治具及び取付け方法
KR101582258B1 (ko) 세트 앵커 볼트
JP6792338B2 (ja) 木質構造材補強構造
JP2021089053A (ja) 木・鋼ハイブリッド構造用ラグスクリューボルト及び連結方法
KR200480132Y1 (ko) 스페이스 프레임의 연결부재
KR101480089B1 (ko) 목재용 앵커 볼트
JP7397546B1 (ja) ラグスクリューボルト
US11867215B2 (en) Self drilling bolt and nut
KR102231375B1 (ko) 스터드 슈퍼볼트
KR20120082618A (ko)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볼트너트 조립체
JPH09302776A (ja) 木造住宅における水平部材の端部を柱に固定する装置
KR20160107540A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체결기구
CN206802038U (zh) 一种沉头螺栓
KR200490187Y1 (ko) 앵커볼트
JP2001116032A (ja) 弛み止めボルト、ナ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