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423B1 - 도장 건조 장치 및 도장 건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장 건조 장치 및 도장 건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423B1
KR102036423B1 KR1020177019788A KR20177019788A KR102036423B1 KR 102036423 B1 KR102036423 B1 KR 102036423B1 KR 1020177019788 A KR1020177019788 A KR 1020177019788A KR 20177019788 A KR20177019788 A KR 20177019788A KR 102036423 B1 KR102036423 B1 KR 102036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hot air
coating
furna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404A (ko
Inventor
도모유키 나츠메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9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20Arrangements for spray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operations, e.g. drying; Arrangements enabling a combination of spraying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trays or racks or receptacles, which may be connected to endless chain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90Spray booths compris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objects or other work to be sprayed in and out of the booth, e.g. through the b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4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 B05D3/04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the gas being air
    • B05D3/0413Heating with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2Vehicle bodies, e.g. after being pai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건조로 본체(10)와, 상기 건조로 본체 내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생성 공급 수단(20)을 구비하고, 외판부와 협애부(N1, N2)를 포함하는 자동차 보디(B)를 반송하면서 상기 자동차 보디에 도포된 웨트 도막을 건조하는 도장 건조 장치(1)이다. 건조로 본체(10)는, 주로 상기 협애부를 향해 열풍을 분사하여, 상기 협애부에 도포된 도막을 국소적으로 건조하는 국소 건조 영역(12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도장 건조 장치 및 도장 건조 방법{PAINT DRYING DEVICE AND PAINT DRYING METHOD}
본 발명은, 도장 건조 장치 및 도장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보디의 도장 라인에서는, 생산성 향상이나 색조 맞춤을 목적으로 하여, 보디 셸 본체에 도어나 후드 등의 덮개 부품을 설치한 상태에서, 전착 도장, 중도 도장 및 상도 도장, 방청 처리 등의 각종 처리가 행해진다. 중도 도장이나 상도 도장에서는, 피도물이 되는 자동차 보디를 도장 대차에 탑재하여, 도장 부스 내에서 반송하면서 도료를 도포하고, 도장 건조로에 반입하여 웨트 도막의 베이킹 건조를 행한다. 도장 라인에서 사용되는 도장 건조 장치는, 터널 형상의 건조로체에 열풍의 급기 덕트가 설치되고, 건조로체 내에서 반송되는 자동차 보디 전체에 열풍을 분사하여, 웨트 도막을 베이킹 건조시킨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50021호 공보
자동차 보디에는 베이킹 경화형 도료가 사용되지만, 예를 들어 중도 도료나 상도 도료에서는 140℃×20분 유지가 경화 도막의 품질 보증의 기준이 된다. 그러나, 종래의 도장 건조 장치에서는, 열풍을 분사하기 쉬운 외판부에 비해, 자동차 보디의 구조상, 도어의 힌지 주위 등의 협애부에는 열풍이 돌아들어가기 어렵다. 이 때문에, 협애부에 대해서는 상술한 140℃×20분 유지와 같은 품질 보증 기준을 만족시키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동차 보디의 전체에 걸쳐 웨트 도막의 건조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도장 건조 장치 및 도장 건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조로 본체에, 주로 자동차의 보디의 힌지의 근방의 보디 셸 본체와 덮개 부품의 도포면을 향해 열풍을 분사하여, 도포면에 도포된 도막을 국소적으로 건조시키는 국소 건조 영역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보디의, 힌지의 근방의 보디 셸 본체와 덮개 부품의 도포면을 향해 국소적으로 열풍을 분사함으로써, 당해 도포면에 도포된 웨트 도막에 대해서도 소정의 건조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관한 상도 도장 건조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 형태를 적용한 도장 라인의 일례를 나타낸 전체 공정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관한 상도 도장 건조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 형태를 적용한 도장 라인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전체 공정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 보디를 도장 대차에 탑재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 보디의 프론트 도어를 실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 보디의 리어 도어를 실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2d는 도 2a의 2D-2D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프론트 필러, 프론트 도어 및 힌지를 포함하는 협애부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e는 도 2a의 2E-2E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센터 필러, 리어 도어 및 힌지를 포함하는 협애부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f는 도 2b, 도 2c의 힌지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 보디의 프론트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보디 셸 본체의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상도 도장 건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3a, 도 3b의 4A-4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a, 도 3b의 4B-4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제2 열풍 분출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a, 도 3b의 4A-4A선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4d는 도 3a, 도 3b의 제2 로체에 있어서의 제2 열풍 분출구로부터의 열풍의 분출 방향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e는 도 3a, 도 3b의 제2 로체에 있어서의 제2 열풍 분출구로부터의 열풍의 분출 방향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f는 도 4a의 제2 열풍 분출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블록도이다.
도 4g는 도 4f의 4G-4G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h는 도 4f의 4H-4H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상도 도장 건조 장치에서 사용되는 도어 개폐 유지 부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배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평면도이다.
도 5d는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도어 개폐 유지 부재의 관절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상도 도장 건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상도 도장 건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상도 도장 건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도장 건조 장치 및 도장 건조 방법을 적용한 상도 도장 건조 장치(1)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도장 건조 장치 및 도장 건조 방법은, 상도 도장 건조 장치 이외에도, 중도 도장 건조 장치, 하도 도장 건조 장치(전착 도장 건조 장치), 혹은 후술하는 중도·상도 건조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상도 도장 건조 장치(1)는, 도장 라인(PL)을 구성하는 장치 중 하나이며, 도장 대차(50)에 탑재된 보디 셸(B)(자동차 보디(B)라고도 함)을 반송하면서, 당해 자동차 보디(B)에 도포된 상도 도막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먼저, 자동차의 제조 라인과 도장 라인(PL)의 개략을 설명한 후, 자동차 보디(B)와 상도 도장 건조 장치(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자동차의 제조 라인은, 주로, 프레스 성형 라인(PRL)과, 차체 조립 라인(용접 라인이라고도 칭해짐)(WL)과, 도장 라인(PL)과, 차량 조립 라인(의장 라인이라고도 칭해짐)(ASL)의 4개의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스 성형 라인(PRL)에서는, 자동차 보디(B)를 구성하는 다양한 패널을 각각 프레스 성형하여, 프레스 단품의 상태로 차체 조립 라인(WL)으로 반송한다. 차체 조립 라인(WL)에서는, 프론트 보디, 센터 플로어 보디, 리어 플로어 보디 및 사이드 보디와 같은 자동차 보디의 각각의 부위마다 서브 어셈블리를 조립하고, 조립된 프론트 보디, 센터 플로어 보디 및 리어 플로어 보디의 소정 부위에 용접을 실시하여 언더 보디를 조립하고, 언더 보디에 대해 사이드 보디와 루프 패널을 용접하여 보디 셸 본체(B1)(덮개를 제외한 보디 셸을 말함)를 조립한다. 마지막으로 보디 셸 본체(B1)에 대해, 미리 조립된 후드(F), 사이드 도어(D1, D2), 트렁크 리드(T)(또는 백 도어) 등의 덮개 부품을, 힌지(H)(도 2f를 참조하여 후술함)를 통해 장착한다. 그리고, 도장 라인(PL)을 거친 후, 차량 조립 라인(ASL)으로 반송되어, 도장 완료된 보디 셸에 대해 엔진, 트랜스미션, 현가 장치, 내장 부품 등의 각종 자동차 부품이 조립 장착된다.
다음으로, 도장 라인(PL)의 주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모두, 본 발명에 관한 도장 건조 장치 및 방법을 적용한 상도 도장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도장 라인(PL)을 나타낸 전체 공정도이다. 도 1a에 나타낸 실시 형태의 도장 라인(PL)은, 하도 도장, 중도 도장 및 상도 도장의 3 코팅 3 베이크 도장법에 의한 도장 라인이다. 이에 비해, 도 1b에 나타낸 실시 형태의 도장 라인(PL)은, 중도 도료와 상도 도료를 동일 도장 부스에서 웨트 온 웨트(미경화 도막 상에 도료를 도포하는 것, 이하 동일함.)로 도장하고, 이들 중도 도막과 상도 도막을 동일 도장 건조로에서 동시에 베이킹하는 3 코팅 2 베이크 도장법에 의한 도장 라인이다. 이와 같이 도장법이 상이한 도장 라인 모두, 본 발명의 도장 건조 장치 및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3 코팅 3 베이크 도장법이나 3 코팅 2 베이크 도장법을 변형한, 중도 도장을 2회 도포하는 4 코팅 도장법이나, 상도 도장 색이 2톤인 특별 색인 경우도, 이러한 종류의 전형적인 도장 라인(PL)의 일부를 개변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도장 건조 장치 및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a 및 도 1b의 도장 라인을 병행하여 설명하지만,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도 1a의 도장 라인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고, 도 1a 및 도 1b의 양 도장 라인의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b를 참조하여 그 상위점을 설명한다.
도 1a에 나타낸 실시 형태의 도장 라인(PL)은, 하도 공정(P1)과, 실링 공정(P2)과, 중도 공정(P3)과, 습 연마 공정(P4)과, 상도 공정(P5)과, 도장 완료 검사 공정(P6)을 구비한다. 이에 비해, 도 1b에 나타낸 실시 형태의 도장 라인(PL)은, 하도 공정(P1)과, 실링 공정(P2)과, 중도·상도 공정(P7)과, 도장 완료 검사 공정(P6)을 구비한다. 즉, 도 1b의 도장 라인(PL)에 있어서는, 도 1a에 나타낸 중도 도장 공정(P31)과 상도 도장 공정(P51)이라고 하는 2개의 공정이, 도 1b의 중도·상도 도장 공정(P71)이라고 하는 하나의 공정으로 행해지고, 마찬가지로, 도 1a에 나타낸 중도 건조 공정(P32)과 상도 건조 공정(P52)이라고 하는 2개의 공정이, 도 1b의 중도·상도 건조 공정(P72)이라고 하는 하나의 공정으로 행해진다. 도 1b의 중도·상도 공정(P7)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도 공정(P1)은, 전착 전처리 공정(P11)과, 전착 도장 공정(P12)과, 전착 건조 공정(P13)을 구비한다. 전착 전처리 공정(P11)에서는, 드롭 리프터(D/L)에 의해 차체 조립 라인(WL)의 대차로부터 도장 행거(도시를 생략함)로 이동 탑재된 자동차 보디(B)(화이트 보디)가,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의해 소정의 피치, 소정의 반송 속도로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또한, 자동차 보디(B)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착 전처리 공정(P11)은, 도시를 생략하지만, 탈지 공정, 수세 공정, 표면 조정 공정, 화성 피막 형성 공정, 수세 공정 및 수분 제거 공정을 구비한다. 도장 라인(PL)에 반입되는 자동차 보디(B)에는, 프레스 성형 라인(PRL)이나 차체 조립 라인(WL)에 있어서 프레스 오일이나 용접에 의한 철분과 같은 진애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탈지 공정 및 수세 공정에서는, 이것을 세정하여 제거한다. 표면 조정 공정에서는, 자동차 보디(B)의 표면에 표면 조정제 성분을 흡착시켜, 다음 공정인 화성 피막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반응 기점 수를 증가시킨다. 흡착된 상면 조정제 성분이 피막 결정의 핵이 되어, 피막 형성 반응을 가속시킨다. 화성 피막 형성 공정에서는, 자동차 보디(B)를 인산 아연 등의 화성 처리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자동차 보디(B)의 표면에 화성 피막을 형성한다. 수세 공정 및 수분 제거 공정에서는, 자동차 보디(B)를 수세하고, 건조가 행해진다.
전착 도장 공정(P12)에서는, 전착 전처리 공정(P11)에 의한 전처리가 실시된 자동차 보디(B)가,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의해 소정의 피치, 소정의 반송 속도로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자동차 보디(B)를, 전착 도료가 채워진 보트형의 전착조에 침지하고, 전착조 내에 설치된 복수의 전극판과 자동차 보디(B)(구체적으로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도장 행거)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이에 의해, 전착 도료의 전기 영동 작용에 의해 자동차 보디(B)의 표면에 전착 도막이 형성된다. 전착 도료로서는, 폴리아민 수지 등의 에폭시계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열경화형 도료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착 도료로서는 전착 도료측에 정극 고전압을 인가하는 양이온형 전착 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방청상 바람직하지만, 자동차 보디(B)측에 정극 고전압을 인가하는 음이온형 전착 도료를 사용해도 된다.
전착 도장 공정(P12)의 전착조를 나온 자동차 보디(B)는 수세 공정으로 반송되어, 공업용수나 순수를 사용하여 자동차 보디(B)에 부착된 전착 도료가 세정된다. 이때, 출조 시에 전착조로부터 반출된 전착 도료도 이 수세 공정에서 회수된다. 수세 처리가 종료된 단계에 있어서, 자동차 보디(B)의 표면 및 폐단면 구조부 내에는, 막 두께 10㎛ 내지 35㎛ 정도의 미건조 전착 도막이 형성되게 된다. 전착 도장 공정(P12)을 종료하면, 도장 행거에 탑재된 자동차 보디(B)는, 드롭 리프터(D/L)에 의해 도장 대차(50)(도 2a를 참조하여 후술함)에 이동 탑재된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전착 도장 공정(P12)과 전착 건조 공정(P13) 사이에 설치된 드롭 리프터(D/L)를, 전착 건조 공정(P13)과 실링 공정(P2) 사이에 설치하고, 전착 건조 공정(P13) 내는, 자동차 보디를 도장 행거에 탑재한 상태에서 반송해도 된다.
전착 건조 공정(P13)에서는, 도장 대차에 탑재된 자동차 보디(B)가, 플로어 컨베이어에 의해 소정의 피치, 소정의 반송 속도로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160℃ 내지 180℃의 온도를 15분 내지 30분간 유지함으로써 베이킹 건조되고, 이에 의해 자동차 보디(B)의 내외판 및 폐단면 구조부 내에, 막 두께 10㎛ 내지 35㎛의 건조된 전착 도막이 형성된다. 또한, 전착 건조 공정(P13)으로부터 도장 완료 검사 공정(P6)까지는, 플로어 컨베이어에 의해 자동차 보디(B)를 탑재한 도장 대차(50)를 연속적으로 반송하지만, 각 공정에 있어서의 도장 대차(50)의 반송 피치와 반송 속도는, 그 공정에 따른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로어 컨베이어는 복수의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고, 각 공정에 있어서의 반송 피치와 반송 속도가 소정의 값으로 설정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전착 도료, 중도 도료 및 상도 도료 등의 「도료」라고 하는 경우는, 피도물에 도장하기 전의 액체 상태를 말하고, 전착 도막, 중도 도막 및 상도 도막 등의 「도막」이라고 하는 경우는, 피도물에 도장되어 막 형상으로 된 미건조(웨트) 또는 건조 상태를 말하며, 양자를 구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상류측 및 하류측이라 함은, 피도물인 자동차 보디(B)의 반송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류 및 하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자동차 보디(B)를 전방으로 반송한다고 하는 것은, 자동차 보디(B)의 차체 전방부를 반송 방향의 전방측으로, 차체 후방부를 후방측으로 한 상태에서 차체의 전후 방향 축을 따라 반송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고, 자동차 보디(B)를 후방으로 반송한다고 하는 것은, 그 반대, 즉 자동차 보디(B)의 차체 후방부를 반송 방향의 전방측으로, 차체 전방부를 후방측으로 한 상태에서 차체의 전후 방향 축을 따라 반송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하도 공정(P1) 내지 도장 완료 검사 공정(P6)에 있어서는, 자동차 보디(B)를 전방으로 반송해도 되고, 후방으로 반송해도 된다.
실링 공정(P2)(언더코팅 공정 및 스톤 가드 코팅 공정을 포함함)에서는, 전착 도막이 형성된 자동차 보디(B)가 반송되고, 강판 이음매나 강판 에지부에, 방청 또는 실링을 목적으로 한 염화비닐계 수지제 실링재가 도포된다. 언더코팅 공정에서는, 자동차 보디(B)의 타이어 하우스나 바닥 이면에, 염화비닐 수지계의 내 칩핑 재가 도포된다. 스톤 가드 코팅 공정에서는, 사이드 실, 펜더 또는 도어 등의 보디 외판 하부에,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제 내 칩핑재가 도포된다. 또한, 이들 실링재나 내 칩핑재는 전용의 건조 공정 또는 다음에 서술하는 중도 건조 공정(P32)에서 경화되게 된다.
도 1a의 도장 라인(PL)의 중도 공정(P3)은, 중도 도장 공정(P31)과, 중도 건조 공정(P32)을 구비한다. 중도 도장 공정(P31)에서는, 전착 도막이 형성된 자동차 보디(B)가 중도 부스로 반송되고, 중도 부스 내에서, 엔진 룸, 후드 이너, 트렁크 리드 이너 등의 자동차 보디의 내판부에, 그 차량의 외판색에 대응한 착색 안료가 첨가된 내판 도장용 도료가 도포된다. 그리고, 내판 도장용 도막에 웨트 온 웨트로, 후드 아우터, 루프, 도어 아우터, 트렁크 리드 아우터(또는 백 도어 아우터) 등의 외판부에, 중도 도료가 도포된다. 또한, 외판부라 함은, 의장 공정을 마친 완성차의 외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부분이고, 내판부라 함은, 완성차의 외측으로부터 시인할 수 없는 부분이다.
도 1a의 도장 라인(PL)의 중도 건조 공정(P32)에서는, 자동차 보디(B)가 중도 건조 장치로 반송된다. 그리고, 미건조 중도 도막이, 예를 들어 130℃ 내지 150℃의 온도를 15분 내지 30분간 유지함으로써 베이킹 건조되고, 자동차 보디(B)의 외판부에 막 두께 15㎛ 내지 35㎛의 중도 도막이 형성된다. 또한, 자동차 보디(B)의 내판부에 막 두께 15㎛ 내지 30㎛의 내판 도장용 도막이 형성된다. 또한, 내판 도장용 도료 및 중도 도료는, 아크릴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베이스 수지로 하는 열경화형 도료이며, 수계 도료 또는 유기 용제계 도료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도 1a의 도장 라인(PL)의 습 연마 공정(P4)에서는, 중도 공정(P3)까지 마친 자동차 보디(B)가 반송되고, 청정한 물과 연마재를 사용하여 자동차 보디(B)에 형성된 중도 도막의 표면을 연마한다. 이에 의해, 중도 도막과 상도 도막의 도막 밀착성이 향상됨과 함께, 외판부의 상도 도막의 평활성(도포면 광택 및 선명성)이 향상된다. 이 습 연마 공정(P4)은, 습 연마 건조 공정(P41)을 구비하고, 이 습 연마 건조 공정(P41)에서는, 자동차 보디(B)가 수분 제거 건조로를 통과함으로써, 자동차 보디(B)에 부착된 수분을 건조시킨다.
도 1a의 도장 라인(PL)의 상도 공정(P5)은, 상도 도장 공정(P51)과, 상도 건조 공정(P52)을 구비한다. 상도 도장 공정(P51)에서는, 습 연마 공정(P4) 및 습 연마 건조 공정(P41)을 마친 자동차 보디(B)가 반송된다. 그리고, 상도 부스 내에서, 자동차 보디(B)의 외판부에 상도 베이스 도료가 도포되고, 이 상도 베이스 도막에 웨트 온 웨트로, 자동차 보디(B)의 외판부에 상도 클리어 도료가 도장된다.
상도 베이스 도료 및 상도 클리어 도료는, 아크릴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베이스 수지로 하는 도료이며, 수계 도료 또는 유기 용제계 도료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도 베이스 도료는, 광휘성 안료의 배향 등의 마무리성을 고려하여 중량비로 약 80% 정도로 희석되어 도장되고(고형분이 약 20% 내지 40%), 이에 비해 상도 클리어 도료는 중량비로 약 30% 정도로 희석되어 도장된다(고형분이 약 70% 내지 80%). 단, 상도 베이스 도료는, 도포 후의 플래시 오프 공정(부스 내에서 용제가 자연 증발하는 정치 공정)에 있어서 도착 고형분이 70%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실시 형태의 자동차 보디(B)의 외판색은, 알루미늄, 운모 등의 각종 광휘성 안료를 포함하는 메탈릭계 외판색이며, 상도 베이스 도료와 상도 클리어 도료를 자동차 보디(B)에 도포하지만,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보디(B)의 외판색은, 솔리드계 외판색이어도 된다. 솔리드계 외판색은, 광휘성 안료를 포함하지 않는 도장색이며, 이 경우는, 상도 베이스 도료는 도포하지 않고, 상도 클리어 도료 대신 상도 솔리드 도료를 도포한다. 이러한 상도 솔리드 도료로서는, 상도 베이스 도료나 상도 클리어 도료와 마찬가지의 베이스 수지의 도료를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상도 건조 공정(P52)에서는, 상도 부스에 있어서 상도 도료가 도포된 자동차 보디(B)가, 상도 도장 건조 장치(1)로 반송된다. 이 상도 건조 공정(P52)에서는, 자동차 보디(B)가 소정의 조건에서 상도 도장 건조 장치(1)를 통과하고, 이에 의해 건조된 상도 도막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상도 도장 건조 장치(1) 및 상도 건조 공정(P52)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도 베이스 도막의 막 두께는, 예를 들어 10㎛ 내지 20㎛, 상도 클리어 도막의 막 두께는, 예를 들어 15㎛ 내지 30㎛이다. 자동차 보디(B)의 외판색이 솔리드계 외판색인 경우, 상도 솔리드 도막의 막 두께는, 예를 들어 15㎛ 내지 35㎛이다. 마지막으로, 도장을 완료한 자동차 차체(도장 완료 보디)는, 도장 완료 검사 공정(P6)으로 반송되어, 도막 외관성이나 선명성 등을 평가하는 각종 검사가 행해진다.
한편, 도 1b에 나타낸 도장 라인(PL)에서는, 도 1a에 나타낸 도장 라인(PL)의 중도 공정(P3), 습 연마 공정(P4)(습 연마 건조 공정(P41)을 포함함) 및 상도 공정(P5) 대신, 중도·상도 공정(P7)이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중도·상도 공정(P7)은, 중도·상도 도장 공정(P71)과 중도·상도 건조 공정(P72)을 구비한다.
도 1b에 나타낸 도장 라인(PL)의 중도·상도 도장 공정(P71)에서는, 전착 도막이 형성된 자동차 보디(B)가 중도·상도 부스로 반송되고, 중도·상도 부스의 전반 존에서, 엔진 룸, 후드 이너, 트렁크 리드 이너 등의 자동차 보디의 내판부에, 그 차량의 외판색에 대응한 착색 안료가 첨가된 내판 도장용 도료가 도포된다. 그리고, 내판 도장용 도막에 웨트 온 웨트로, 후드 아우터, 루프, 도어 아우터, 트렁크 리드 아우터(또는 백 도어 아우터) 등의 외판부에, 중도 도료가 도포된다. 이어서, 마찬가지로 중도·상도 부스의 후반 존에서, 자동차 보디(B)의 외판부에 상도 베이스 도료가 도포되고, 이 상도 베이스 도막에 웨트 온 웨트로, 자동차 보디(B)의 외판부에 상도 클리어 도료가 도장된다. 즉, 내판용 도료, 중도 도료, 상도 베이스 도료 및 클리어 도료가 모두 웨트 온 웨트로 도장되고, 하나의 상도 도장 건조로에서 동시에 베이킹 건조된다. 또한, 웨트 도막을 이중 도포함으로써 발생하는 버블 문제나 선명성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중도 도료를 도장한 후나 상도 베이스 도료를 도장한 후에, 자동차 보디(B)에 도포된 웨트 도막의 도착(NV)을 상승시키는 플래시 오프 공정을 마련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내판 도장용 도료, 중도 도료, 상도 베이스 도료 및 클리어 도료는, 도 1a에 나타낸 도장 라인(PL)에서 사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아크릴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베이스 수지로 하는 열경화형 도료이며, 수계 도료 또는 유기 용제계 도료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도장 라인(PL)에 적용되는 자동차 보디(B)의 일례에 대해, 도 2a 내지 도 2g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 보디(B)를 도장 대차(50)에 탑재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 보디(B)의 프론트 도어(D1)를 실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 보디(B)의 리어 도어(D2)를 실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 2d는, 도 2a의 2D-2D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프론트 필러(B4), 프론트 도어(D1) 및 힌지(H1)를 포함하는 협애부(N1)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e는, 도 2a의 2E-2E선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센터 필러(B5), 리어 도어(D2) 및 힌지(H2)를 포함하는 협애부(N2)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f는, 도 2b, 도 2c의 힌지(H1, H2)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 보디(B)의 프론트 도어(D1)를 개방한 상태를, 보디 셸 본체의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자동차 보디(B)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셸 본체(B1)와, 덮개 부품인 후드(F), 프론트 도어(D1), 리어 도어(D2) 및 트렁크 리드(T)를 구비한다. 보디 셸 본체(B1)의 양 측면에는, 프론트 도어 개구부(B2)와, 리어 도어 개구부(B3)가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도어 개구부(B2)는, 보디 셸 본체(B1)의 프론트 필러(B4)와, 센터 필러(B5)와, 루프 사이드 레일(B8)과, 사이드 실(B9)에 의해 획정된 개구이다. 리어 도어 개구부(B3)는, 보디 셸 본체(B1)의 센터 필러(B5)와, 리어 필러(B10)와, 루프 사이드 레일(B8)과, 사이드 실(B9)에 의해 획정된 개구이다. 이하, 프론트 도어 개구부(B2)와 리어 도어 개구부(B3)를 총칭하여 도어 개구부(B2, B3)라고도 한다. 나타낸 덮개 부품으로서의 트렁크 리드(T)는, 자동차 보디(B)의 차형에 따라서는 백 도어인 경우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자동차 보디(B)는, 나타낸 바와 같이 4도어 세단의 차형이기 때문에, 사이드 도어(D)는, 프론트 도어(D1)와, 리어 도어(D2)를 갖는다. 또한, 2도어 세단이나 2도어 쿠페의 경우는, 프론트 도어(D1) 및 프론트 도어 개구부(B2) 뿐이며, 리어 도어(D2) 및 리어 도어 개구부(B3)는 설치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프론트 도어(D1)는, 프론트 도어 개구부(B2)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리어 도어(D2)는, 리어 도어 개구부(B3)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론트 도어(D1) 및 리어 도어(D2)를 포함하는 사이드 도어(D)가, 본 발명에 관한 사이드 도어의 일례에 상당하고, 상술한 2도어 세단이나 2도어 쿠페의 경우는 프론트 도어(D1)가, 본 발명에 관한 사이드 도어의 일례에 상당한다.
프론트 도어(D1)는, 도 2b 및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단부(자동차 보디(B)의 전방측)의 상하 2개소에 힌지(H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어 도어(D2)는, 도 2c 및 도 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단부(자동차 보디(B)의 전방측)의 상하 2개소에 힌지(H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프론트 도어(D1) 및 리어 도어(D2)를 보디 셸(B1)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힌지(H1, H2)는, 다소의 형상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므로, 도 2f에 양쪽 중 한쪽의 힌지(H1)를 나타내고, 다른 쪽의 힌지(H2)에 대해서는 괄호 내에 대응하는 부호를 붙임으로써 도시를 생략한다.
도 2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H1)는, 2개의 힌지 브래킷(H11, H12)과, 힌지 핀(H13)을 갖는다. 힌지 브래킷(H12)은, 프론트 도어(D1)의 이너 패널에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설치되고, 힌지 브래킷(H11)은, 보디 셸 본체(B1)의 프론트 필러(B4)에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힌지 핀(H13)은, 2개의 힌지 브래킷(H11, H12)의 4개의 구멍에 삽입 관통되고, 코킹이나 압입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힌지 브래킷(H11, H12)은, 힌지 핀(H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게 된다.
차체 조립 라인(WL)에 있어서는, 힌지 핀(H13)을 2개의 힌지 브래킷(H11, H12)의 4개의 구멍에 삽입 관통하고, 코킹이나 압입에 의해 고정한 힌지(H1)의 서브 어셈블리 부품을 미리 조립해 두고, 이것을 최종 공정에 반입한다. 그리고, 프론트 도어(D1)를 보디 셸 본체(B1)에 장착하기 전에, 이 힌지(H1)의 서브 어셈블리 부품의 한쪽의 힌지 브래킷(H11)을 프론트 도어(D1)에 볼트 체결한 후, 프론트 도어(D1)를 보디 셸 본체(B1)의 프론트 도어 개구부(B2)에 지그 등을 사용하여 세트하고, 다른 쪽 힌지 브래킷(H12)을 프론트 필러(B4)에 볼트 체결한다. 이에 의해, 프론트 도어(D1)는, 이 힌지 핀(H13)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개폐 가능해진다.
힌지(H2)도 마찬가지로, 도 2f의 괄호 내의 부호로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힌지 브래킷(H21, H22)과, 힌지 핀(H23)을 갖는다. 힌지 브래킷(H21)은, 리어 도어(D2)에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설치되고, 힌지 브래킷(H22)은, 보디 셸 본체(B1)의 센터 필러(B5)에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설치된다. 힌지 핀(H23)은, 2개의 힌지 브래킷(H21, H22)의 구멍에 삽입 관통되고, 코킹이나 압입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힌지 브래킷(H21, H22)은, 힌지 핀(H2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게 된다. 즉, 리어 도어(D2)는, 힌지 핀(H23)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개폐 가능해진다. 이하, 힌지(H1)와 힌지(H2)를 힌지(H)라고 총칭한다.
본 실시 형태의 자동차 보디(B)에서는, 도 2d 및 도 2e 및 도 2g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셸 본체(B1)와 사이드 도어(D) 사이에는, 간격이 좁은 협애부(N1, N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d 및 도 2g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셸 본체(B1)의 프론트 필러(B4)와, 프론트 도어(D1)의 힌지(H1)의 근방에는, 간격이 좁은 협애부(N1)가 형성되고, 도 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셸 본체(B1)의 센터 필러(B5)와, 리어 도어(D2)의 힌지(H2)의 근방에는, 간격이 좁은 협애부(N2)가 형성된다. 특히, 힌지(H1, H2)의 근방은, 프론트 도어(D1)나 리어 도어(D2)의 개폐 상태와 관계없이, 힌지(H1, H2)가 방해가 되어 도장 건조 장치(1)로부터의 열풍이 분사되기 어려워, 구조상, 자동차 보디(B)의 외판부에 비해 가열되기 어렵다. 따라서, 도막의 품질 보증 기준이 되는 소정 온도를 소정 시간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한 부위이다. 또한, 도 2d 및 도 2e에 나타낸 「×」표는, 상도 도장의 범위(협애부의 도포면)이고, 마찬가지로 부호 WS는, 사이드 도어(D1, D2)와 도어 개구부(B2, B3) 사이를 시일하기 위해 사이드 도어(D1, D2)에 장착되는 웨더 스트립이다. 특히, 웨더 스트립(WS)으로부터 실외측의 도장 범위는, 녹 환경에 대해 엄격하여, 미관의 품질 이외에도, 도막의 밀착성 등의 도장 품질이 요구되는 부위이다.
도 2a로 되돌아가, 상술한 자동차 보디(B)는, 도장 대차(50)에 탑재된 상태에서, 도 1a 및 도 1b의 전착 건조 공정(P13)으로부터 도장 완료 검사 공정(P6)까지 반송된다. 본 실시 형태의 도장 대차(50)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프레임이 되고, 자동차 보디(B)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51)와, 당해 베이스(51)의 하면에 설치된 4개의 차륜(54)과, 당해 베이스(51)의 상면에 설치된 2개의 프론트 어태치먼트(52) 및 2개의 리어 어태치먼트(53)를 갖는다. 좌우의 프론트 어태치먼트(52)는, 자동차 보디(B)의 좌우의 프론트 언더 보디(B6)(프론트 사이드 멤버 등)를 각각 지지하고, 좌우의 리어 어태치먼트(53)는 자동차 보디(B)의 좌우의 리어 언더 보디(B7)(리어 사이드 멤버 등)를 각각 지지한다. 이들 4개의 어태치먼트(52, 53)에 의해 자동차 보디(B)를 수평으로 지지한다. 4개의 차륜(54)은, 반송 컨베이어(40)의 좌우에 부설된 레일(41)을 따라 자전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장 라인(PL)의 일부 또는 전부의 공정에 대해, 자동차 보디(B)를 전방으로 반송해도 되고, 후방으로 반송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상도 도장 건조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상도 도장 건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b는 그 평면도, 도 4a는, 도 3a 및 도 3b의 4A-4A선을 따른 단면도, 도 4b는, 도 3a 및 도 3b의 4B-4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상도 도장 건조 장치(1)는, 도 3a 및 도 3b,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조로 본체(10)와, 열풍 급기 장치(20)와, 배기 장치(30)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건조로 본체(10)는, 도 3a의 측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측의 상향 경사부(11)와, 출구측의 하향 경사부(13)와, 이들 상향 경사부(11)와 하향 경사부(13) 사이의 고상부(높은 바닥부)(12)를 포함하는 산 형상으로 된 건조로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장면(14)과 좌우 한 쌍의 측면(15, 15)과 바닥면(16)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된 건조로이다. 단, 본 실시 형태의 건조로 본체(10)를 평형로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도 3a의 측면도 및 도 3b의 평면도에 있어서, 좌측이 상도 부스 종단부의 상도 세팅 존 및 건조로 본체(10)의 입구측이고, 우측이 건조로 본체(10)의 출구측이며, 도장 대차(50)에 탑재된 자동차 보디(B)는, 도 3a 및 도 3b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전방으로 반송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상도 도장 건조 장치(1) 내를 반송하는 자동차 보디(B)는, 도 2a에 나타낸 좌측 방향을 향해 반송된다.
건조로 본체(10)의 고상부(12)의 바닥면(16)의 높이는, 건조로 본체(10)의 입구의 개구 상단부 에지의 높이나, 건조로 본체(10)의 출구의 개구 상단부 에지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상부(12)에 공급된 열풍이, 입구 또는 출구로부터 건조로 본체(10)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건조로 본체(10)의 바닥면(16)에는, 건조로 본체(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자동차 보디(B)가 탑재된 도장 대차(50)를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40)가 부설되어 있다.
열풍 급기 장치(20)는, 건조로 본체(10)의 고상부(12) 내에, 생성된 열풍을 공급하는 설비이며,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팬(21)과, 급기 필터(22)와, 버너(23)와, 급기 덕트(24)와, 제1 열풍 분출구(25)와, 제2 열풍 분출구(26)를 구비한다. 급기 팬(21)은, 외부로부터 흡입하는 공기를 건조로 본체(10)의 고상부(12)의 내부에 공급하는 설비이다. 급기 필터(22)는, 급기 팬(21)의 흡입측에 접속되고, 외부로부터 흡입하는 공기를 여과하여, 진애 등을 분리한다. 이에 의해, 청정한 공기가 급기 팬(21)에 흡입된다. 버너(23)는, 급기 팬(21)의 토출측에 접속되고, 급기 팬(21)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소정 온도로 가열한다. 이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열풍으로서 건조로 본체(10)의 고상부(12) 내에 공급된다.
급기 덕트(24)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 보디(B)의 반송 방향을 따라 건조로 본체(10)의 고상부(12)의 천장면(14) 및 좌우 측면(15, 15)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고상부(12)가 실질적인 가열 영역이 된다. 이 상도 도장 건조 장치(1)의 실질적인 가열 영역이 되는 고상부(12)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류측에 설치된 제1 로체(121)와, 상류측에 설치된 제2 로체(122)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로체(121)는 프론트 도어(D1) 및 리어 도어(D2)를 폐쇄한 상태(엄밀하게는, 도어 이너 및 도어 새시가 도어 개구부(B2, B3)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약간의 개방도를 갖는 상태)의 자동차 보디(B)의 차 폭 W1에 대응하는 측면 폭 W3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로체(122)는 프론트 도어(D1) 및 리어 도어(D2)를 개방한 상태(완전 개방 또는 그것에 가까운 개방도를 갖는 상태)의 자동차 보디(B)의 차 폭 W2에 대응하고, 제1 로체(121)의 측면 폭보다 넓은 측면 폭 W4(>W3)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로체(121) 및 제2 로체(122)의 측면 폭이라 함은, 대향하는 측면(15, 15)의 내부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고, 자동차 보디(B)가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간극을 갖는 폭 치수를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고상부(12)는, 도 3b의 평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로체(121)의 측면(15)의 단부와 제2 로체(122)의 측면(15)의 단부를 접속하는 측면은, 제2 로체로부터 제1 로체를 향해 직경 축소되는 경사면(123)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로체(121)와 제2 로체(122)의 접속 부분의 열풍이 원활하게 흘러, 그 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로체(122)의 측면(15)의 단부와 입구측의 상향 경사부(11)의 측면의 단부를 접속하는 측면도, 제2 로체(122)로부터 상향 경사부(11)를 향해 직경 축소되는 경사면(123)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은 필요에 따라서 생략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고상부(12)는 실질적인 가열 영역을 구성하지만,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로체(122)가 주로 자동차 보디(B)의 협애부(N1, N2)의 도포면의 온도를 승온시키는 실질적인 승온 영역을 구성하고, 이것에 이어지는 제1 로체(121)가 자동차 보디(B)의 외판부의 온도를 승온시킴과 함께 자동차 보디(B)의 전체의 온도를 유지하는 외판 승온 및 온도 유지 영역을 구성한다. 이 때문에, 제2 로체(122)에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열풍 분출구(26)가 설치되고, 제1 로체(121)에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열풍 분출구(2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열풍 분출구(26)가 설치된 제2 로체(122)의 급기 덕트(24)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열풍 분출구(25)가 설치된 제1 로체(121)의 급기 덕트(24)를 절연하고, 각각에 급기 팬(21)과 급기 필터(22)와 버너(23)를 설치하여, 절연된 각 영역에 급기하는 열풍의 온도나 유량을 제어해도 된다.
도 4b에 나타낸 제1 열풍 분출구(25)는, 건조로 본체(10)의 고상부(12) 내에 배치된 급기 덕트(2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직사각 형상 슬릿(개구)과, 필요에 따라서 당해 슬릿에 설치된 풍향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열풍 분출구(25)는, 각각의 슬릿의 개구 또는 풍향판이 건조로 본체(10)의 중앙부, 즉 자동차 보디(B)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자동차 보디(B)가 당해 제1 열풍 분출구(25)의 앞을 통과할 때, 자동차 보디(B)의 프론트 펜더(B11), 사이드 도어(D), 사이드 실(B9) 및 리어 펜더(B12) 등의 외판부를 향해 개구 또는 풍향판이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천장면(14)에 설치된 제1 열풍 분출구(25)는, 자동차 보디(B)가 당해 제1 열풍 분출구(25) 앞을 통과할 때, 자동차 보디(B)의 후드(F), 루프(B13) 및 트렁크 리드(T)의 외판부를 향해 개구 또는 풍향판이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열풍 분출구(25)에 의해 자동차 보디(B)의 전체에 열풍이 분사되어, 외판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보디(B) 전체의 온도를 승온 및 유지한다.
이에 비해, 제2 로체(122)에 설치된 제2 열풍 분출구(26)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로체(122)의 좌우의 측면(15, 15)의 급기 덕트(24, 24)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2 열풍 분출구(26)는, 그 선단에 풍향판의 일종인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방측에 설치된 제2 열풍 분출구(26)는 상류측에서, 또한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개구되고, 하방측에 설치된 제2 열풍 분출구(26)는 상류측에서, 또한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이 제2 열풍 분출구(26)는 자동차 보디(B)가 당해 제2 열풍 분출구(26)의 앞을 통과할 때, 보디 셸 본체(B1)에 사이드 도어(D)를 장착하는 힌지(H) 근방의 협애부(N1, N2)의 도포면을 향해 개구가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열풍 분출구(26)가 상류측을 향해 개구됨으로써 제2 로체(122)에 있어서는, 사이드 도어(D)를 개방한 상태에서 반송되는 자동차 보디(B)의 힌지(H) 근방을 향해 열풍을 분사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2 열풍 분출구(26)가 측면(15, 15)의 상방 및 하방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방에 설치된 제2 열풍 분출구(26)로부터의 열풍은 주로 힌지(H) 근방의 상측에 분사되고, 하방에 설치된 제2 열풍 분출구(26)로부터의 열풍은 주로 힌지(H) 근방의 하측에 분사되므로, 힌지(H) 근방의 협애부(N1, N2)의 도포면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고상부(12) 중 제2 로체(122)에 있어서는, 천장면(14) 및 측면(15)의 급기 덕트(24, 24)에는, 자동차 보디(B)의 힌지(H) 근방을 향해 열풍을 분사하는 제2 열풍 분출구(26)만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힌지(H) 근방의 협애부(N1, N2)의 국소적인 승온 외에도, 자동차 보디(B)의 외판부에 협애부(N1, N2)의 근방의 진애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2 열풍 분출구(26)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로체(122)의 좌우 측면(15, 15)의 급기 덕트(24, 24)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설치하는 것 이외에도,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로체(122)의 천장면(14) 및 바닥면(16)에 급기 덕트(24, 24)를 설치하고, 여기에 제2 열풍 분출구(26)를 배치 해도 된다. 제2 열풍 분출구(26)의 열풍의 분출 방향을 가변으로 하는 구조 및 그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1 로체(121) 및 제2 로체(122)에 있어서, 제2 열풍 분출구(26)로부터 분출되는 열풍의 열량은, 제1 열풍 분출구(25)로부터 분출되는 열풍의 열량보다도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열풍 분출구(26)로부터 분출되는 열풍의 풍속을 제1 열풍 분출구(25)로부터 분출되는 열풍의 풍속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제2 열풍 분출구(26)로부터 분출되는 열풍의 열량을 크게 설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b에 나타낸 제1 열풍 분출구(25)로부터 분출되는 열풍의 풍속이, 자동차 보디(B)의 외판부의 도장면 근방에 있어서 3m/s 전후인 것에 반해, 도 4a 및 도 4c에 나타낸 제2 열풍 분출구(26)로부터 분출되는 열풍의 풍속은, 10m/s 전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 장치(30)는, 도 4a 또는 도 4c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조로 본체(10) 내에서 증발한 용제를 계외로 배출하기 위한 설비이며, 배기 팬(31)과, 배기 필터(32)와, 배기 덕트(33)와, 배기 흡입구(34)를 구비한다. 배기 팬(31)은, 건조로 본체(10) 내의 열풍을 흡인하여, 당해 건조로 본체(10)의 계외로 배출 또는 열풍 급기 장치(20)의 1차측으로 순환시키는 장치이며, 건조로 본체(10) 내의 진애 등의 제거와 열풍압을 조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배기 필터(32)는, 배기 팬(31)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있다. 열풍이 배기 팬(31)에 의해 흡인되고, 배기 필터(32)를 통과하여 계외로 배출, 또는 열풍 급기 장치(20)로 복귀된다. 배기 덕트(33)는, 자동차 보디(B)의 반송 방향을 따라 건조로 본체(10)의 좌우의 측면(15, 15)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배기 흡입구(34)는, 건조로 본체(10) 내에 배치된 배기 덕트(33)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슬릿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제2 열풍 분출구(26)의 열풍 분출 방향을 가변으로 하는 구조 및 그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4f는, 도 4a 또는 도 4c의 제2 열풍 분출구(26)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블록도, 도 4g는 도 4f의 4G-4G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4h는 도 4f의 4H-4H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d는, 도 3a, 도 3b의 제2 로체(122)에 있어서의 제2 열풍 분출구(26)로부터의 열풍의 분출 방향을 나타낸 측면도, 도 4e는, 도 3a, 도 3b의 제2 로체(122)에 있어서의 제2 열풍 분출구(26)로부터의 열풍의 분출 방향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2 열풍 분출구(26)는, 도 4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24)로부터의 열풍을 분출하는 분출구(261)와, 당해 분출구(261)를 십자 형상의 축체(262)를 통해 지지하는 지지체(263)와, 이들 분출구(261) 및 지지체(263)를 지지하는 기초부(264)를 구비한다. 분출구(261)는, 도 4g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구 형상 부재의 중앙에 통 형상 부재가 설치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분출구(261)와 지지체(263)에는, 도 4g 및 도 4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십자 형상의 축체(262)가 설치되어 있지만, 십자 형상의 축체(262) 중 한쪽의 축체(262a)는 도 4g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양단부가 분출구(261)의 반구 형상 부분에 고정됨과 함께, 축체(262a)의 중앙은, 도 4h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쪽의 축체(262b)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쪽의 축체(262b)가, 지지체(26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초부(264)는, 급기 덕트(24)에 대해 고정되고, 당해 기초부(264)에 지지체(263)가 회전 가능하게 직립하여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2 열풍 분출구(26)는, 도 4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웜 휠 및 웜 기어 등의 전달 기구와 액추에이터로 구성할 수 있는, 기초부(264)에 대해 지지체(263)를 수평면 내에서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265)를 구비한다. 또한, 지지체(263)에 고정된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 지지체(263)에 대해 분출구(261)를 수직면 내에서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266)를 구비한다. 이들 제1 구동부(265)와 제2 구동부(266)는 도 4f의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67)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조작된다.
그리고, 제어부(267)는, 자동차 보디(B)가 소정 위치에 도착하였다는 신호와, 그 자동차 보디(B)의 차종을 수신하면, 그 자동차 보디(B)의 차종에 따른 분출구(261)의 분출 방향이 되도록 제1 구동부(265) 및 제2 구동부(266)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도장 라인(PL)에는, 차 폭, 차고, 도장 대차(50)에 대한 사이드 도어의 힌지 위치 등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자동차 보디(B)가 반송된다. 한편, 각 자동차 보디(B)에는, 그 보디에 대한 각종 생산 사양이 기입된 생산 관리 발신기가 탑재되어 있으므로, 상도 도장 건조 장치(1)의 입구 등에서 각 자동차 보디(B)의 차종을 검출하고, 협애부(N1, N2)가 되는 힌지 위치에 열풍이 분사되도록 분출구(261)의 위치를 제1 구동부(265)와 제2 구동부(266)를 제어부(267)에 의해 제어한다. 또한, 도 4f의 우측의 블록도에 나타낸 컨베이어 신호는, 자동차 보디(B)를 반송하는 플로어 컨베이어의 인코더 신호이며, 이 컨베이어 신호에 동기시킴으로써 자동차 보디(B)와 제2 열풍 분출구(26)의 상대 위치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4f 내지 도 4h에 나타낸 제2 열풍 분출구(26)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에 관한 국소 분출구의 단순한 일례이며, 차종에 따라서 열풍의 분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다음으로, 입구측의 상향 경사부(11)에 있어서는 사이드 도어(D1, D2)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함과 함께, 제2 로체(122)에 있어서 사이드 도어(D1, D2)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제1 로체(121)에 있어서 사이드 도어(D1, D2)를 다시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도어 개폐 유지 부재(60)와, 이 개폐 유지 부재를 사용하여 사이드 도어(D1, D2)를 개폐하는 도어 개폐 기구(70)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상도 도장 건조 장치(1)에서 사용되는 도어 개폐 유지 부재(60)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배면도, 도 5c는 도 5a의 평면도, 도 5d는,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도어 개폐 유지 부재(60)의 관절부(64)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도장 건조 장치 및 방법의 본질은, 사이드 도어(D)를 개방한 상태와 폐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면 충분한 것이므로, 이것을 실현하는 수단은 이하에 나타내는 도어 개폐 유지 부재(60)의 구성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의 도어 개폐 유지 부재(6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측 고정 프레임(61)과, 차체측 고정 프레임(62)과, 도어측 고정 프레임(61)에 고정된 조작 막대(63)와, 도어측 고정 프레임(61)과 차체측 고정 프레임(62)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관절부(64)를 구비한다.
도어측 고정 프레임(61)은, 금속제 환봉 또는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지고, 기단부가 후술하는 관절부(64)에 용접 또는 코킹 등에 의해 고정되고, 선단이 사이드 도어(D1)의 이너 패널의 작업 구멍(D11)에 걸릴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 도어측 고정 프레임(61)에는, 후술하는 도어 개폐 기구(70)를 사용하여 당해 도어 개폐 유지 부재(6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막대(63)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사이드 도어(D)의 윈도우 개구부까지 연장된다.
차체측 고정 프레임(62)은, 기단부가 후술하는 관절부(64)에 용접 또는 코킹 등에 의해 고정되고, 선단이 회전체(622)에 장착되는, 금속제 환봉 또는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621)과, 프레임(621)을 지지함과 함께 하단부가 사이드 실(B9)의 이너 패널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회전체(622)와, 이 회전체(6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도어 개구부(B2)의 사이드 실(B9)에 적재되는 회전 규제체(6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회전 규제체(623)는,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L자 형상의 앵글재로 이루어지고, 사이드 실(B9)의 상면에 적재됨으로써, 자신의 회전은 규제되어 있다. 이에 비해 회전체(622)는, 회전 규제체(6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하단부가 사이드 실(B9)의 이너 패널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관통되고, 사이드 도어(D)의 개폐에 수반하여 프레임(621)이 이동하고, 이에 의해 회전체(622)는 회전한다.
관절부(64)는,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641), 회전부(642), 캠판(643), 역회전 규제 갈고리(644), 회전축(645), 요동 축(646) 및 비틀림 코일 스프링(647)을 구비한다. 고정부(641)의 일단부는, 도어측 고정 프레임(61)의 기단부(611)에 용접 또는 코킹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회전부(642)는, 차체측 고정 프레임(62)의 프레임(621)의 단부에 용접 또는 코킹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회전부(642)는, 고정부(641)에 회전축(645)을 통해 축지지되고, 즉 회전축(645)을 중심으로 고정부(64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부(641)에 지지되어 있다.
이하, 도 5c에 나타낸 회전부(642)의 고정부(641)에 대한 상대적인 개방 각도 θ가 감소하는 방향 R로의 회전부(642)의 회전 방향, 즉 사이드 도어(D)가 폐쇄되는 방향을, 회전부(642)의 「정회전 방향 R」이라고 한다. 한편, 그 역방향인 회전부(642)의 개방 각도 θ가 증가하는 방향 L로의 회전부(642)의 회전 방향, 즉 사이드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을, 회전부(642)의 「역회전 방향 L」이라고 한다.
고정부(641)에는,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대략 원 형상의 베어링판(641a, 641a)이 설치되는 한편, 회전부(642)에는,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래칫판(642a, 642a)이 설치되어 있다. 래칫판(642a, 642a)의 외주연부에는, 복수(본 예에서는 2대)의 래칫 톱니(642b)가 소정의 피치로 주위 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래칫 톱니(642b)는, 회전부(642)의 고정부(641)에 대한 개방 각도 θ가, 사이드 도어(D)를 폐색한 상태의 각도와, 사이드 도어(D)를 개방한 상태의 각도에 있어서, 복수의 개방 각도 위치에서 역회전 규제 갈고리(644)와 결합될 수 있는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래칫 톱니(642b)의 개수, 즉 회전부(642)의 개방 각도 θ(사이드 도어(D)의 개방 각도)를 조절 가능한 단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그 중간에 하나 또는 복수 개(단) 설치해도 된다.
회전부(642)의 래칫판(642a, 642a) 사이의 상하 양단부에는, 각각 캠판(643)의 제1 볼록부(643a) 및 제2 볼록부(643b)에 맞닿는 제1 맞닿음부(642c) 및 제2 맞닿음부(642d)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부(642)의 래칫판(642a, 642a)이 고정부(641)의 베어링판(641a, 641a)의 사이에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베어링판(641a, 641a)의 중심부 및 래칫판(642a, 642a)의 중심부에 각각 형성된 축 구멍에, 리벳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축(645)이 삽입 관통되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에 의해, 회전부(642)는, 회전축(645)을 통해 고정부(64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게 된다. 또한 이때, 회전부(642)의 래칫판(642a, 642a)의 사이에는, 캠판(643)이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캠판(643)의 중앙부에 형성된 축 구멍 내에 회전축(645)이 삽입 관통된다. 이에 의해, 캠판(643)이 회전부(642)와 마찬가지로 회전축(645)을 통해 고정부(64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게 된다.
고정부(641)의 베어링판(641a, 641a)의 사이에는, 회전부(642)의 역회전(사이드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을 규제하는 역회전 규제 갈고리(644)가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베어링판(641a, 641a)에 형성된 축 구멍과, 역회전 규제 갈고리(644)의 축 구멍에, 리벳으로 이루어지는 요동 축(646)이 삽입 관통되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에 의해, 역회전 규제 갈고리(644)가 요동 축(646)을 통해 고정부(641)에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게 된다. 역회전 규제 갈고리(644)의 선단에는, 래칫판(642a, 642a)의 래칫 톱니(642b)에 결합되는 2개의 갈고리편(644a, 64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역회전 규제 갈고리(644)는, 요동 축(646)에 설치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647)에 의해, 시계 방향, 즉 래칫 톱니(642b, 642b)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압되고 있다.
그리고, 역회전 규제 갈고리(644)가 요동 축(646)을 중심으로, 도 5d의 시계 방향으로 요동한 경우에는, 갈고리편(644a, 644a)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래칫 톱니(642b, 642b)에 동시에 결합되어, 이에 의해 회전부(642)의 역회전 방향 L로의 회전(즉 역회전, 사이드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이 규제된다. 한편, 역회전 규제 갈고리(644)가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 경우에는, 갈고리편(644a, 644a)은, 래칫 톱니(642b, 642b)로부터 동시에 이탈하여, 이에 의해 회전부(642)의 역회전 방향 L로의 회전(역회전, 사이드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이 허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역회전 규제 갈고리(644)의 갈고리편(644a)이 래칫 톱니(642b)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642)의 역회전 방향 L(사이드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로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지만, 이 상태로부터 회전부(642)가 정회전 방향 R(사이드 도어(D)가 폐쇄되는 방향)로 회전하려고 하였을 때에는, 래칫 톱니(642b)에 갈고리편(644a)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64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탈 방향으로 압박되고, 이에 의해 래칫 톱니(642b)와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판(643)에 있어서의 역회전 규제 갈고리(644)에 대향하는 측의 대략 반주 에지부에는, 회전부(642)의 제1 맞닿음부(642c) 및 제2 맞닿음부(642d)에 각각 맞닿는 제1 볼록부(643a) 및 제2 볼록부(643b)와, 갈고리편(644a)의 래칫 톱니(642b)에의 결합을 허용하기 위한 주연 오목부(643c)와, 갈고리편(644a)의 래칫 톱니(642b)에의 결합을 규제하도록 래칫판(642a)보다도 약간 큰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주연 볼록부(643d)와, 주연 오목부(643c)로부터 주연 볼록부(643d)에 걸쳐 경사 형상으로 형성된 안내부(643e)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관절부(64)에 있어서,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부(642)가 고정부(641)에 대해 개방된 상태에서는, 역회전 규제 갈고리(644)의 갈고리편(644a)이 캠판(643)의 주연 오목부(643c) 내에 배치됨으로써, 역회전 규제 갈고리(644)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647)의 가압력에 의해 결합 방향으로 가압되어 갈고리편(644a)이 래칫 톱니(642b)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회전부(642)의 개방 각도 θ가 증대되는 방향, 즉 회전부(642)의 역회전 방향 L(사이드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 상태로부터, 회전부(642)를, 개방 각도 θ가 감소하는 방향, 즉 정회전 방향 R(사이드 도어(D)가 폐쇄되는 방향)로 회전시키면, 래칫 톱니(642b)에 의해 갈고리편(644a)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64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탈 방향으로 압박되어, 갈고리편(644a)이 래칫 톱니(642b)를 타고 넘은 후, 갈고리편(644a)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647)의 가압력에 의해 다음 단의 래칫 톱니(642b)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회전부(642)의 역회전 방향 L(사이드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로의 회전이 다시 규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역회전 규제 갈고리(644)의 갈고리편(644a)이 2쌍의 래칫 톱니(642b)로 순차 이송됨으로써, 회전부(642)의 정회전 방향 R로의 회전(정회전, 사이드 도어(D)가 폐쇄되는 방향)이 허용되고, 한편, 갈고리편(644a)이 래칫 톱니(642b)에 결합됨으로써, 회전부(642)의 역회전 방향 L로의 회전(역회전, 사이드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이 규제된다. 즉, 도어 개폐 유지 부재(60)의 조작 막대(63)를 파지하여, 사이드 도어(D)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사이드 도어(D)가 개방된 상태로부터 폐색된 상태로 된다.
한편, 본 예의 관절부(64)에 있어서, 회전부(642)의 역회전 방향 L(사이드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로의 회전에 대해 규제를 해제하는 조작, 즉 회전부(642)의 역회전 규제 해제 조작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먼저, 회전부(642)의 개방 각도 θ가 소정의 규제 해제 각도 미만으로 될 때까지 회전부(642)를 크게 정회전(사이드 도어(D)가 폐쇄되는 방향)시킨다. 이 정회전 조작의 도중에, 회전부(642)의 제1 맞닿음부(642c)가 캠판(643)의 제1 볼록부(643a)에 맞닿아, 캠판(643)이 회전부(642)와 함께 정회전한다. 이 정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역회전 규제 갈고리(644)의 갈고리편(644a)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64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캠판(643)의 안내부(643e)를 따라 이탈 방향으로 압박되어 가고, 이에 의해 주연 볼록부(643d)에 올라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갈고리편(644a)의 래칫 톱니(642b)와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로 유지되어, 즉 회전부(642)의 역회전 방향 L(사이드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로의 회전의 규제가 해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회전부(642)는 역회전 방향 L로의 회전이 허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부(642)의 역회전 방향 L로의 회전의 규제를 해제한 상태 그대로 회전부(642)를 역회전시키면, 회전부(642)의 제2 맞닿음부(642d)가 캠판(643)의 제2 볼록부(643b)에 맞닿아, 캠판(643)이 회전부(642)와 함께 역회전한다. 회전부(642)를 그 개방 각도 θ가 최대 개방 각도로 될 때까지 회전시키면, 이 상태에서는, 캠판(643)의 제2 볼록부(643b)가 회전부(642)의 제2 맞닿음부(642d)에 압박됨으로써 캠판(643)은 역회전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역회전 규제 갈고리(644)의 갈고리편(644a)이 캠판(643)의 주연 볼록부(643d)로부터 안내부(643e)를 통해 주연 오목부(643c)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갈고리편(644a)이 래칫 톱니(642b)에 결합되어, 회전부(642)의 역회전 방향 L(사이드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로의 회전이 규제되게 된다.
요컨대, 도 3b 및 도 4a(또는 도 4c)에 나타낸 제2 로체(122)에 있어서는, 사이드 도어(D1, D2)를 완전 개방 또는 그것에 가까운 각도로 개방한 상태로 하지만, 이 상태는 도어 개폐 유지 부재(60)의 관절부(64)의 각도 θ가 큰 경우에 상당한다. 이에 비해, 도 3b 및 도 4b에 나타낸 제1 로체(121)에 있어서는, 사이드 도어(D1, D2)를 완전 폐쇄에 가까운 각도로 약간 개방한 상태로 하지만, 이 상태는 도어 개폐 유지 부재(60)의 관절부(64)의 각도 θ가 작은 경우에 상당한다. 도 3b의 좌측의 상향 경사부(11)에서는, 사이드 도어(D1, D2)는 완전 폐쇄에 가까운 각도로 약간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완전 개방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지만, 이 상태로부터 또한 사이드 도어(D1, D2)를 폐쇄하는 방향(θ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전술한 바와 같이 관절부(64)의 역회전 방향의 규제가 해제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사이드 도어(D1, D2)를 완전 개방 방향(θ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개방하면, 도 3b의 제2 로체(1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도어(D1, D2)가 완전 개방 또는 그것에 가까운 각도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비해, 도 3b의 제2 로체(122)에서는, 사이드 도어(D1, D2)는 완전 개방 또는 이것에 가까운 각도로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관절부(64)는 정회전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이 허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로체(122)의 종단부에 있어서 사이드 도어(D1, D2)를 폐쇄하는 경우는, 그대로 사이드 도어(D1, D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면, 완전 폐쇄에 가까운 각도로 약간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사이드 도어(D1, D2)의 개방 조작 및 폐색 조작을 행하기 위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로체(122)의 시단부와 종단부의 좌우 각각에 도어 개폐 기구(7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도어 개폐 기구(70)는, 제2 로체(122)의 시단부(그 전의 상향 경사부(11)의 종단부여도 됨)에 설치된 도어 개방 기구(71)와, 제2 로체의 종단부에 설치된 도어 폐색 기구(72)와, 도시를 생략하지만 자동차 보디(B)가 도어 개방 기구(71) 및 도어 폐색 기구(72)에 도착한 것을 각각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 등을 포함한다.
도어 개방 기구(71)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개폐 유지 부재(60)의 조작 막대(63)를 파지하는 아암(711)(선단에 조작 막대(63)를 파지하는 핸드(713)를 가짐)와, 이 아암(711)을 전후로 구동하는 구동부(7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도어(D1, D2)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하는 경우는, 일단 사이드 도어(D1, D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구동부(712)는 아암(711)에 이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면 된다. 그리고, 리미트 스위치 등에 의해 자동차 보디(B)가 도어 개방 기구(71)의 소정 위치에 도착한 것을 검지하면, 구동부(712)는 아암(711)을 전진→조작 막대(63)를 파지→폐쇄하는 방향으로 전진→완전 개방 또는 이것에 가까운 개방도까지 후퇴→조작 막대(63)의 파지를 해제→원위치까지 후퇴라고 하는 동작을 행하게 한다. 이러한 구동부(712)는, 로봇이나 전용 구동 장치에 의해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도어 폐색 기구(72)는, 도 5b에 부호를 괄호 쓰기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개폐 유지 부재(60)의 조작 막대(63)를 파지하는 아암(721)(선단에 조작 막대(63)를 파지하는 핸드(723)를 가짐)과, 이 아암(721)을 전후로 구동하는 구동부(7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도어(D1, D2)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하는 경우는, 그대로 사이드 도어(D1, D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되므로, 구동부(722)는 아암(721)에 이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면 된다. 그리고, 리미트 스위치 등에 의해 자동차 보디(B)가 도어 폐색 기구(72)의 소정 위치에 도착한 것을 검지하면, 구동부(722)는 아암(721)을 전진→조작 막대(63)를 파지→폐쇄하는 방향으로 완전 폐쇄에 가까운 개방도까지 전진→조작 막대(63)의 파지를 해제→원위치까지 후퇴라고 하는 동작을 행하게 한다. 이러한 구동부(722)는, 로봇이나 전용 구동 장치에 의해 대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상도 도장 건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에 있어서의 4A-4A선을 따르는 단면은, 도 4a에 나타낸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되고, 4B-4B선을 따르는 단면은, 도 4b에 나타낸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술한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실시 형태의 상도 도장 건조 장치(1)에서는, 고상부(12)의 상류의 시단부에 제2 로체(122)를 설치하였지만, 본 발명의 도장 건조 장치는, 적어도 고상부(12)의 어느 한쪽에 제2 로체(122)를 설치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다른 실시 형태의 상도 도장 건조 장치(1)는, 고상부(12)의 상류의 시단부에는 제1 로체(121)를 설치하고, 이것에 이어서 제2 로체(122)를 설치한 예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 형태의 상도 도장 건조 장치(1)에 의해서도,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상도 도장 건조 장치(1)와 마찬가지로, 사이드 도어(D)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건조와, 폐쇄한 상태에서의 건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대신에, 도 7에 나타낸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상도 도장 건조 장치(1)는, 고상부(12)의 상류측에는 제1 로체(121)를 설치하고, 하류측에 제2 로체(122)를 설치한 예이다. 이러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상도 도장 건조 장치(1)에 의해서도,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상도 도장 건조 장치(1)와 마찬가지로, 사이드 도어(D)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건조와, 폐쇄한 상태에서의 건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대신에, 도 8에 나타낸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상도 도장 건조 장치(1)는, 모든 고상부(12)를 폭이 넓은 제2 로체(122)로 하고, 그 상류측의 승온 영역에는 도 4a 또는 도 4c에 나타낸 제2 열풍 분출구(26)를 설치하고, 하류측의 외판 승온 및 온도 유지 영역에는 도 4b에 나타낸 제1 열풍 분출구(25)를 설치한 예이다. 이러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상도 도장 건조 장치(1)에 의해서도,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상도 도장 건조 장치(1)와 마찬가지로, 사이드 도어(D)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건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상도 도장 건조 장치(1) 및 상도 건조 방법에 의하면, 이하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1) 자동차 보디(B)는, 그 구조상, 열풍이 닿기 쉬운 부위와 닿기 어려운 부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사이드 도어(D)의 힌지(H1, H2)의 근방의 협애부(N1, N2)는, 사이드 도어(D)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도 도장 건조 장치(1)로 반송시켜도 열풍이 분사되기 어려워, 승온되기 어렵다. 이에 비해, 사이드 도어(D)의 아우터 패널 등의 외판부는, 열풍이 직접 분사되기 쉬워, 승온되기 쉽다. 이 때문에, 상도 도장 건조 장치(1)의 열풍 온도나 통과 시간 등의 설정 조건을, 승온되기 어려운 협애부(N1, N2)의 도포면에 맞추면, 승온되기 쉬운 외판부가 품질 보증 기준을 대폭 초과하여 불필요한 에너지가 소비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오버 베이크가 발생하여, 오히려 도막 품질을 저하시킬 우려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상도 도장 건조 장치(1)의 열풍 온도나 통과 시간 등의 설정 조건을, 승온되기 쉬운 외판부에 맞추면, 협애부(N1, N2)의 도막 건조 조건이 품질 보증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해, 이른바 푸어 베이크가 발생하여, 도막 성능의 저하나 도막 박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이드 도어(D)가 개방된 상태에서 반송되는 제2 로체(122)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승온되기 어려운 협애부(N1, N2)의 도포면을 향해 열풍을 국소적으로 분사함으로써 자동차 보디(B)의 도막 전역에 걸친 건조 조건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고, 도막 품질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약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것 이외에는, 노 폭이 좁은 제1 로체(121)로 함으로써 건조로 본체(10)의 종합 스페이스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2)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2 열풍 분출구(26)에 있어서, 제어부(267)는, 자동차 보디(B)가 소정 위치에 도착하였다는 신호와, 그 자동차 보디(B)의 차종을 수신하면, 그 자동차 보디(B)의 차종에 따른 분출구(261)의 분출 방향이 되도록, 제1 구동부(265) 및 제2 구동부(266)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도 4d 및 도 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2 열풍 분출구(26)로부터 분출되는 열풍이, 그 차종에 따른 힌지 위치를 향하게 되므로, 보다 확실하게 협애부(N1, N2)의 도포면의 건조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3)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2 로체(122)에 있어서는, 자동차 보디(B)의 힌지(H) 근방을 향해 열풍을 분사하는 제2 열풍 분출구(26)만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힌지(H) 근방의 협애부(N1, N2)의 도포면의 국소적인 승온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자동차 보디(B)의 외판부에 협애부(N1, N2)의 근방의 진애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또한 도 3a 및 도 3b, 그리고 도 6, 도 7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로체(121)의 측면(15)의 단부와 제2 로체(122)의 측면(15)의 단부를 접속하는 측면은, 제2 로체(122)로부터 제1 로체(121)를 향해 직경 축소되는 경사면(123)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1 로체(121)와 제2 로체(122)의 내부에 발생하는 열풍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제1 로체(121)와 제2 로체(122)의 경계 부분에 체류가 발생하는 것에 의한 온도 분포의 편재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열풍 급기 장치(20)가 본 발명의 열풍 생성 공급 수단에 상당하고, 상기 제2 열풍 분출구(26)가 본 발명의 국소 분출구에 상당한다.
PRL : 프레스 성형 라인
WL : 차체 조립(용접) 라인
ASL : 차량 조립(의장) 라인
PL : 도장 라인
P1 : 하도 공정(전착 공정)
P11 : 전착 전처리 공정
P12 : 전착 도장 공정
P13 : 전착 건조 공정
P2 : 실링 공정
P3 : 중도 공정
P31 : 중도 도장 공정
P32 : 중도 건조 공정
P4 : 습 연마 공정
P41 : 습 연마 건조 공정
P5 : 상도 공정
P51 : 상도 도장 공정
P52 : 상도 건조 공정
P6 : 도장 완료 검사 공정
P7 : 중도·상도 공정
P71 : 중도·상도 도장 공정
P72 : 중도·상도 건조 공정
D/L : 드롭 리프터
B : 보디 셸(피도물)
B1 : 보디 셸 본체
B2 : 프론트 도어 개구부
B3 : 리어 도어 개구부
B4 : 프론트 필러
B5 : 센터 필러
B6 : 프론트 언더 보디
B7 : 리어 언더 보디
B8 : 루프 사이드 레일
B9 : 사이드 실
B10 : 리어 필러
B11 : 프론트 펜더
B12 : 리어 펜더
B13 : 루프
F : 후드
T : 트렁크 리드
D : 사이드 도어
D1 : 프론트 도어
H1(H) : 힌지
H11, H12 : 힌지 브래킷
H13 : 힌지 핀
D2 : 리어 도어
H2(H) : 힌지
H21, H22 : 힌지 브래킷
H23 : 힌지 핀
N1, N2 : 협애부
W1 : 사이드 도어를 폐쇄한 상태의 차 폭
W2 : 사이드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차 폭
1 : 상도 도장 건조 장치
10 : 건조로 본체
11 : 입구측의 상향 경사부
12 : 고상부
121 : 제1 로체
122 : 제2 로체
123 : 경사면
13 : 출구측의 하향 경사부
14 : 천장면
15 : 측면
16 : 바닥면
20 : 열풍 급기 장치
21 : 급기 팬
22 : 급기 필터
23 : 버너
24 : 급기 덕트
25 : 제1 열풍 분출구
26 : 제2 열풍 분출구
261 : 분출구
262, 262a, 262b : 축체
263 : 지지체
264 : 기초부
265 : 제1 구동부
266 : 제2 구동부
267 : 제어부
30 : 배기 장치
31 : 배기 팬
32 : 배기 필터
33 : 배기 덕트
34 : 배기 흡입구
40 : 반송 컨베이어
41 : 레일
42 : 하향 경사
43 : 상향 경사
50 : 도장 대차
51 : 베이스
52 : 프론트 어태치먼트
53 : 리어 어태치먼트
54 : 차륜
60 : 도어 개폐 유지 부재
61 : 도어측 고정 프레임
611 : 기단부
612 : 선단부
62 : 차체측 고정 프레임
621 : 프레임
622 : 회전체
623 : 회전 규제체
63 : 조작 막대
64 : 관절부
641 : 고정부
641a : 베어링판
642 : 회전부
642a : 래칫판
642b : 래칫 톱니
642c : 제1 맞닿음부
642d : 제2 맞닿음부
643 : 캠판
643a : 제1 볼록부
643b : 제2 볼록부
643c : 주연 오목부
643d : 주연 볼록부
643e : 안내부
644 : 역회전 규제 갈고리
644a : 갈고리편
645 : 회전축
646 : 요동축
647 : 비틀림 코일 스프링
70 : 도어 개폐 기구
71 : 도어 개방 기구
711 : 아암
712 : 구동부
713 : 핸드
72 : 도어 폐색 기구
721 : 아암
722 : 구동부
723 : 핸드

Claims (10)

  1. 건조로 본체와, 상기 건조로 본체 내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생성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보디 셸 본체에 힌지를 통해 덮개 부품이 장착되고, 외판부와, 상기 힌지의 근방의 상기 보디 셸 본체와 상기 덮개 부품의 도포면을 포함하는 자동차 보디를 반송하면서, 목적하는 도장을 완료하고 상기 외판부 및 상기 도포면에 도포한 웨트 도막을 건조시키는 도장 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 본체는,
    상기 건조로 본체의 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 부품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도포면을 향해서만 열풍을 분사하여, 상기 도포면에 도포된 도막을 국소적으로 건조시키는 국소 건조 영역과,
    상기 국소 건조 영역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자동차 보디의 전체에 열풍을 분사하여, 상기 자동차 보디에 도포된 도막을 건조하는 온도 유지 영역을 포함하는, 도장 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 본체는,
    사이드 도어를 폐쇄한 상태의 자동차 보디의 차폭에 대응하는 측면폭의 제1 로체와,
    상기 사이드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자동차 보디의 차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로체의 측면폭보다 폭이 넓은 제2 로체를 포함하고,
    상기 국소 건조 영역은, 상기 제2 로체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 유지 영역은, 상기 제1 로체에 설치되는,
    도장 건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보디는, 적어도 상기 국소 건조 영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품을 개방한 상태에서 반송되고,
    상기 열풍 생성 공급 수단은, 상기 덮개 부품이 개방된 상태의 상기 힌지의 근방의 상기 도포면에 도포된 웨트 도막을 향해 열풍을 분사하는 국소 분출구를 포함하는, 도장 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차종이 상이한 자동차 보디가 반송되는 도장 건조 장치이며,
    상기 열풍 생성 공급 수단은, 상기 덮개 부품이 개방된 상태의 상기 도포면을 향해서만 열풍을 분사하는 국소 분출구와, 상기 국소 분출구의 상기 도포면을 향하는 열풍의 분출 방향을 가변으로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국소 건조 영역에 도착한 상기 자동차 보디의 차종을 검출하는 차종 검출 수단과,
    상기 차종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종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국소 분출구로부터의 열풍의 분출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도장 건조 장치.
  5. 건조로 본체와, 상기 건조로 본체 내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생성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도장 건조 장치를 사용하여,
    보디 셸 본체에 힌지를 통해 덮개 부품이 장착되고, 외판부와, 상기 힌지의 근방의 상기 보디 셸 본체와 상기 덮개 부품의 도포면을 포함하는 자동차 보디를 반송하면서, 목적하는 도장을 완료하고 상기 자동차 보디에 도포한 웨트 도막을 건조시키는 도장 건조 방법이며,
    상기 건조로 본체의 입구측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품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도포면을 향해서만 열풍을 분사하여, 상기 도포면에 도포된 도막을 국소적으로 건조시키는 국소 건조 공정과,
    상기 건조로 본체의 상기 국소 건조 공정의 하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보디의 전체에 열풍을 분사하여, 상기 자동차 보디에 도포된 도막을 건조하는 온도 유지 공정을 포함하는, 도장 건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 건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품이 폐쇄된 상태에서 반입된 상기 자동차 보디의 상기 덮개 부품을 개방하고,
    상기 덮개 부품이 개방된 상태의 상기 힌지의 근방의 상기 도포면에 도포된 웨트 도막을 향해서만 열풍을 분사하고,
    상기 덮개 부품을 폐쇄하고,
    상기 온도 유지 공정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품이 폐쇄된 상태에서 반입된 상기 자동차 보디의 전체에 열풍을 분사하는, 도장 건조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차종이 상이한 자동차 보디가 반송되고,
    상기 국소 건조 공정에 있어서, 당해 국소 건조 공정에 도착한 자동차 보디의 차종에 따라서 상기 열풍 생성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열풍의 분출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도포면을 향해 열풍을 분사하는, 도장 건조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7019788A 2015-01-26 2015-01-26 도장 건조 장치 및 도장 건조 방법 KR102036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1996 WO2016120967A1 (ja) 2015-01-26 2015-01-26 塗装乾燥装置及び塗装乾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404A KR20170099404A (ko) 2017-08-31
KR102036423B1 true KR102036423B1 (ko) 2019-10-24

Family

ID=56542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788A KR102036423B1 (ko) 2015-01-26 2015-01-26 도장 건조 장치 및 도장 건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443937B2 (ko)
EP (1) EP3252411B1 (ko)
JP (1) JP6424903B2 (ko)
KR (1) KR102036423B1 (ko)
CN (1) CN107208969B (ko)
BR (1) BR112017014954B1 (ko)
MX (1) MX2017009263A (ko)
MY (1) MY186755A (ko)
RU (1) RU2667556C1 (ko)
WO (1) WO20161209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284B1 (ko) 2023-05-24 2023-10-19 양경식 자동차 부품 도장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399B1 (ko) * 2015-01-26 2020-02-11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도장 건조 장치 및 도장 건조 방법
CN107127090B (zh) * 2017-05-24 2019-03-15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简化3c2b工艺与免中涂工艺共线喷涂系统
US10889320B2 (en) 2017-08-07 2021-01-12 Mando Corporation Electric power-assisted steer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0152910B (zh) * 2018-02-24 2021-04-06 浙江信利电器有限公司 一种油烟机工件喷漆用轴流式喷漆装置
CN110216036A (zh) * 2019-05-17 2019-09-10 中山市迪米尔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环保喷漆工作房
CN110813621A (zh) * 2019-11-22 2020-02-21 徐州福泰木业有限公司 一种人造木板生产用的木板外表保护层喷涂设备
JP6765621B1 (ja) * 2020-01-29 2020-10-07 株式会社N‘studio 乾燥炉
US11619399B1 (en) * 2021-09-22 2023-04-04 William H. White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 use of solar energy
CN115318588A (zh) * 2022-08-17 2022-11-11 徐州柏通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交通标志牌加工设备
CN116371627B (zh) * 2023-05-31 2023-08-08 山西交通养护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道路桥梁隧道衬砌养护设备
CN118455009B (zh) * 2024-07-09 2024-09-13 常州昊翔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化扬声器喇叭单体自动打胶工作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9222A (ja) * 2013-07-01 2015-01-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塗装設備及び塗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6975A (en) * 1979-09-21 1981-04-28 Toray Eng Co Ltd Dryer for vehicle body
JPH0755667B2 (ja) * 1990-07-20 1995-06-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自動車塗装装置
US5456023A (en) * 1994-06-28 1995-10-10 Ransburg Corporation Advance cure paint spray booth
RU94029755A (ru) * 1994-08-09 1996-06-27 Научно-внедренческое предприятие Инженерно-технический центр "АвтоВАЗтехобслуживание" Установка для ускорения сушки днища кузова автомобиля
JP2004050021A (ja) 2002-07-18 2004-02-19 Trinity Ind Corp 自動車ボディの加熱冷却装置及び方法
MXPA06002302A (es) * 2003-09-03 2006-05-17 Du Pont Procesos de etapas multiples para secado y curado de substratos recubiertos con recubrimiento de base acuosa y un recubrimiento superior.
DE10352447A1 (de) * 2003-11-11 2005-06-16 Dupont Performance Coatings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larlackdeckschicht auf Kraftfahrzeugkarossen
DE102004056404B4 (de) * 2004-11-23 2019-05-09 Dürr Systems Ag Trockner
JP4676227B2 (ja) * 2005-03-29 2011-04-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塗装設備
US7181864B1 (en) * 2006-03-31 2007-02-27 Honda Motor Co., Ltd. Dehydration of body hem flanges
DE102007060105A1 (de) 2007-12-13 2009-06-18 Eisenmann Anlagenbau Gmbh & Co. Kg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Gegenständen, insbesondere lackierten Fahrzeugkarosserien
DE102009046407A1 (de) * 2009-11-04 2011-05-05 Dürr Systems GmbH Vorrichtung zur Strahlungsbehandlung einer Beschichtung
JP5568377B2 (ja) 2010-05-26 2014-08-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乾燥方法
DE102011011261A1 (de) * 2011-02-15 2012-08-16 Eisenmann Ag Vorrichtung zum Temperieren von Fahrzeugkarosserien
DE102011117666B4 (de) * 2011-11-03 2019-01-17 Eisenmann S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emperieren von Gegenständen
RU2491999C1 (ru) * 2012-05-04 2013-09-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Орен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лакокрасочных покрыти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9222A (ja) * 2013-07-01 2015-01-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塗装設備及び塗装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284B1 (ko) 2023-05-24 2023-10-19 양경식 자동차 부품 도장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14954A2 (pt) 2018-03-13
US10443937B2 (en) 2019-10-15
KR20170099404A (ko) 2017-08-31
EP3252411A4 (en) 2017-12-06
EP3252411B1 (en) 2021-06-02
US20170370645A1 (en) 2017-12-28
JPWO2016120967A1 (ja) 2017-11-02
EP3252411A1 (en) 2017-12-06
CN107208969B (zh) 2020-12-01
JP6424903B2 (ja) 2018-11-28
CN107208969A (zh) 2017-09-26
MX2017009263A (es) 2017-10-11
RU2667556C1 (ru) 2018-09-21
BR112017014954B1 (pt) 2022-11-08
WO2016120967A1 (ja) 2016-08-04
MY186755A (en)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423B1 (ko) 도장 건조 장치 및 도장 건조 방법
KR102076399B1 (ko) 도장 건조 장치 및 도장 건조 방법
JP6459554B2 (ja) 自動車ボディの塗装乾燥方法
JP6465123B2 (ja) 塗装乾燥装置及び塗装乾燥方法
JP6292315B2 (ja) 塗装乾燥装置及び塗装乾燥方法
JP6492692B2 (ja) 塗装乾燥装置及び塗装乾燥方法
JP6428304B2 (ja) 塗装乾燥装置及び塗装乾燥方法
KR101923336B1 (ko) 도장 건조 방법 및 자동차 보디의 도장 공정용 도어 오프셋 장치
JP6492666B2 (ja) 熱風整流装置及び塗装乾燥方法
JP6428305B2 (ja) 塗装乾燥装置及び塗装乾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