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039B1 - 출입 통제 장치 - Google Patents
출입 통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5039B1 KR102035039B1 KR1020170084585A KR20170084585A KR102035039B1 KR 102035039 B1 KR102035039 B1 KR 102035039B1 KR 1020170084585 A KR1020170084585 A KR 1020170084585A KR 20170084585 A KR20170084585 A KR 20170084585A KR 102035039 B1 KR102035039 B1 KR 1020350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cess control
- control device
- user
- link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10000003462 vei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10000000323 shoulder join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4 troubleshoo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8—Turnstiles; Gates for control of entry or exit of persons, e.g. in supermarkets
- E06B11/085—Turnstiles; Gates for control of entry or exit of persons, e.g. in supermarkets non-rotary or with a limited angle of rotation, e.g. 90°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 통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행을 통제하는 출입 통제 장치에 있어서, 통행로에 설치되는 게이트 본체와, 상기 게이트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통행로를 개폐하는 폴딩 암을 구비한 개폐부 및 상기 게이트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딩 암은, 일단이 상기 게이트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와, 일단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직선 이동되도록 상기 게이트 본체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입 통제 장치의 도어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출입 통제 장치의 설치 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출입 게이트의 설치 폭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출입 통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 구조의 개폐부를 이용하여 설치 폭을 조절할 수 있고, 작동 속도를 증가시킨 출입 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출입구 또는 지하철 등의 시설물 출입구에는 일정한 요건을 갖춘 사람에게만 출입을 허용하는 출입 통제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출입 통제 장치는 출입 게이트 또는 게이트(gate)로 불리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출입 게이트는 사용자가 보안카드를 접촉하면 도어(개폐부)가 오픈되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최근에는 지문 등의 생체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를 오픈하는 방식의 출입 게이트도 사용되고 있다.
출입 게이트의 종류로는 턴 타입 게이트(Turn Type Gate), 슬라이드 타입 게이트(Slide Type Gate), 스윙 타입 게이트(Swing Type Gate) 등이 있다.
턴 타입 게이트는 축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다수의 바(bar)가 장착된 출입 게이트이다. 턴 타입 게이트는 설치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사람이 직접 바를 밀고 지나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도어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는 방식의 슬라이드 타입 게이트, 또는 도어가 회전축으로 중심으로 회동하는 방식의 스윙 타입 게이트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출입 게이트의 성능을 평가하는 주요한 기준의 하나는 처리 용량이다. 출입 게이트의 처리 용량은 도어(개폐부)의 구동 속도와 게이트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다. 즉, 도어의 구동 속도가 빠를수록 정해진 시간 안에 통행할 수 있는 사람의 수가 증가하게 되고, 게이트의 크기가 작을수록 정해진 면적 안에 다수의 게이트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통행 가능한 사람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출입 게이트의 내구성, 특히 도어(개폐부)의 내구성은 출입 게이트의 유지 관리 비용에 큰 영향을 주게 되므로, 출입 게이트의 주요한 성능 평가 기준이 된다. 도어가 고장 수리 중인 경우에는 출입 게이트의 처리 용량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도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출입 게이트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난 슬라이드 타입의 게이트에서는, 게이트 본체(B) 내부에 기설정된 크기의 도어(개폐부)(D)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출입 게이트 본체(B)의 폭은 도어(D)의 폭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고, 결국 출입 게이트 본체(B)의 폭을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도어(D)를 좌우 슬라이딩시키는 구조로 인해 도어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에도 한계가 있었으며, 내구성 면에서도 불리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출입 게이트로는 충분한 정도의 처리 용량이나 내구성 조건을 충족시킬 수 없었고, 이는 도시하지 않은 턴 타입 게이트나 스윙 타입 게이트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 외에도 종래의 출입 게이트에서는 다양한 문제점이 드러났다. 예컨대, 종래의 출입 게이트들은 기 설정된 크기의 도어가 게이트 본체와 결합된 구조를 지니므로, 출입 게이트의 설치 폭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했다. 즉, 다양한 크기의 통행로(레인)를 만들기 위해서는 각 통행로의 폭에 맞게 별도로 제작된 출입 게이트(또는 도어)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출입 게이트 업계에서는 이러한 여러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출입 게이트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주된 기술적 과제는 도어의 구동 속도가 빠르며, 설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처리 용량을 늘린 출입 통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경제성이 뛰어난 출입 통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출입 게이트의 설치 폭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단일한 모델로서 다양한 통행로 폭에 대응할 수 있는 출입 통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행을 통제하는 출입 통제 장치에 있어서, 통행로에 설치되는 게이트 본체와, 상기 게이트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통행로를 개폐하는 폴딩 암을 구비한 개폐부 및 상기 게이트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딩 암은, 일단이 상기 게이트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와, 일단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직선 이동되도록 상기 게이트 본체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본체는, 상기 개폐부 및 구동부가 탈착 또는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폴딩 암의 일 측에 마련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폴딩 암은, 상기 제1링크의 타단 및 상기 제2링크의 타단과 결합하여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상호 연결하는 원형 형상의 회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에 탈착 또는 삽입 가능한 개폐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을 축으로 하여 대칭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 양 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개폐부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폴딩 암은,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일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동부재 부분이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폴드 구조로 변형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폴딩 암은,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돌출된 상기 회동부재 부분이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언폴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마련되어 상기 제1링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관절형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절형 슬라이더는, 상기 제1링크, 제2링크 및 회동부재가 일자 구조로 배열된 상기 폴딩 암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폴딩 암이 상기 일자 구조에서 상기 폴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도록 어깨 관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링크, 제2링크 및 회동부재가 일자 구조로 배열된 상기 폴딩 암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일자 구조에서 상기 폴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폴딩 암을 상기 수용공간 밖으로 밀어내는 푸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리니어 타입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리니어 타입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개폐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음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개폐부 제어시 기 설정된 음향을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일측에 위치하는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는,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 모듈,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자의 정맥 형태를 인식하는 정맥 인식 모듈,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는 홍채 인식 모듈 및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자의 안면 형태를 인식하는 안면 인식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자를 인식하되,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개폐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센싱모듈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단에 대칭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다른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2센싱모듈과,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의 진입을 안내하는 진입 안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1센싱모듈 및 제2센싱모듈 중 어느 하나만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 감지된 사용자에게 상기 진입 안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의 진입을 안내하고, 상기 제1센싱모듈 및 제2센싱모듈 모두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 감지된 순서에 따라 먼저 감지된 사용자에게 상기 진입 안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의 진입을 안내하거나, 감지 거리를 기준으로 가까운 사용자에게 상기 진입 안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의 진입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입 안내 모듈은,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다른 사용자 방향으로 LED를 점등하여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의 우선 진입을 표시하거나, 상기 사용자 및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입 통제 장치를 다수개 구비하고, 상기 다수개의 출입 통제 장치는 각각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출입 통제 장치가 각각 구비한 폴딩 암이 돌출되는 길이를 제어하여 상기 소정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입 통제 장치가 구비한 도어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출입 통제 장치의 설치 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출입 통제 장치의 처리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출입 통제 장치의 내구성, 신뢰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출입 게이트의 설치 폭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다양한 통행로 폭에 대응할 수 있는 출입 통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 형태 인식, 정맥 형태 인식, 홍채 형태 인식 및 안면 형태 인식이 가능한 인식부를 구비하여, 출입 통제 장치의 보안 등급을 높일 수 있고, 출입 통제 장치 사용시 전용 보안 카드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부를 구비하여, 복수의 출입 통제 장치 사용자 중 일부 사용자에게 우선 진입을 표시하거나, 복수의 출입 통제 장치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게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본체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폐쇄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개방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슬라이더를 이용한 개폐부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싱 모듈을 이용한 개폐부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장치를 다수개 구비한 출입 통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본체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폐쇄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개방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슬라이더를 이용한 개폐부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싱 모듈을 이용한 개폐부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장치를 다수개 구비한 출입 통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구비 또는 마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구비 또는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장치(1)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통행로를 통제하는 출입 통제 장치(1)는 게이트 본체(100), 개폐부(200), 구동부(300)를 포함하며, 인식부(400), 안내부(500), 사용자 수 측정부(600), 통신부(700), 음향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본체(100)는 통행로에 설치되어 출입 통제 장치(1)의 외형을 형성하고, 각 구성요소를 지지, 보호 및 수용할 수 있으며 설치 프레임(110), 지지 프레임(120) 및 수용공간(130)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200)는 게이트 본체(100)와 결합되고, 외형의 변형이 가능한 폴딩 암(Folding Arm; 210)을 구비한다. 또한 개폐부(200)는 개방 모드와 폐쇄 모드로의 외형 변형을 통해 통행로를 개폐하며, 관절형 슬라이더(220) 및 압력센서(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00)는 게이트 본체(100)와 결합되고, 개폐부(200)를 구동시키며, 개폐부(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구동부(300)는 모터(310)와 푸싱 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본체(100)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게이트 본체(100)를 설명한다.
게이트 본체(100)는 설치 프레임(110), 지지 프레임(120) 및 수용공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 프레임(110)은 통행로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지지 프레임(120)은 독립적으로 통행로에 설치되거나 통행로에 설치된 설치 프레임(110)과 결합하여 출입 통제 장치(1) 전체를 지지한다. 또한 수용공간(130)은 게이트 본체(100) 일면에 마련되어 개폐부(200)와 구동부(300)가 게이트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는 안착 공간을 제공한다.
도 4의 (a)와 같이, 지지 프레임(120)이 독립적으로 통행로에 설치되는 경우, 설치 프레임(110)은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는 아니다. 그러나, 도 4의 (b), (c) 및 (d)와 같은 경우, 통행로에 설치 프레임(110)이 설치되고, 지지 프레임(120)은 설치 프레임(110)과 연결될 수 있다.
설치 프레임(110) 및 지지 프레임(120)은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설치 프레임(110) 및 지지 프레임(120)은 금속 등의 경도가 높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지지 프레임(120)의 경우 도 4 의 (a)와 같은 수직 구조, 도 4의 (b)와 같은 대각선 구조, 도 4의 (c)와 같은 다각형 구조, 도 4의 (d)와 같은 X 구조 또는 원형 구조(도시하지 않음)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130)은 게이트 본체(100)에 하나 이상(한 개 또는 다수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수용공간(130)은 지지 프레임(120)을 축으로 하여 대칭되도록 지지 프레임(120) 양 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지지 프레임(120)에 수용공간(130) 2개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수용공간(130)에는 개폐부(200)와 구동부(300)가 탈착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130)은 지지 프레임(120) 내부에 마련되어 개폐부(200)와 구동부(300)가 탈착 또는 삽입 가능한 안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개폐부(200)와 구동부(300)는 동일한 축 상 또는 레일 상에 위치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개폐부(200)와 구동부(300)의 구조를 사용하면 출입 통제 장치(1)의 메커니즘을 단순화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20)의 내부 또는 일면에 수용공간(130)이 마련되는 경우, 출입 통제 장치(1)의 전체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한정된 공간 내에 설치되는 출입 통제 장치(1)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결국 동일한 시간 내에 다수의 출입 통제 장치(1)들로 이루어진 출입 통제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용자 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개폐부(200)의 폐쇄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개폐부(200)의 개방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200) 및 개폐부(2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개폐부(200)는 폴딩 암(21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장치(1)는 개폐부(200)를 하나 이상(한 개 또는 다수개)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개폐부(200)는 지지 프레임(120)을 축으로 하여 대칭되도록 지지 프레임(120) 양 면에 각각 한 개씩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개폐부(200)는 압력센서(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230)는 폴딩 암(210)의 일 측에 마련되거나 폴딩 암(21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압력센서(230)는 개폐부(200)가 폐쇄 모드로 변경될 때 사용자를 포함한 특정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200)가 폐쇄 모드로 변경될 때 압력센서(230)가 특정 물체를 감지한 경우, 출입 통제 장치(1)는 개폐부(200)의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출입 통제 장치(1)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한 쌍의 개폐부(200) 사이에 물체가 끼이는 경우, 각 개폐부(200)의 외측에 위치한 압력센서(230)는 해당 물체를 감지할 수 있고, 각 출입 통제 장치(1)는 신속하게 개폐부(200)의 동작을 중지하거나 개폐부(200)를 개방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 통제 장치(1)는 압력센서(230)를 통해 사용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개폐부(200)가 구비하는 폴딩 암(210)은 제1링크(211), 제2링크(213) 및 회동부재(21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딩 암(210)은 일단(211a)이 게이트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211)와 일단(213a)이 구동부(300)에 의해 직선 이동되도록 게이트 본체(100)에 결합되며, 타단(213b)이 제1링크(211)의 타단(211b)과 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213)를 포함한다.
또한, 제1링크(211)는 수용공간(130) 상에 마련되어 일단(211a)이 게이트 본체(100) 중에서도 지지 프레임(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폴딩 암(210)은 제1링크(211)의 타단(211b) 및 제2링크(213)의 타단(213b)과 결합하여 제1링크(211) 및 제2링크(213)를 자연스럽게 폴딩시키는 원형 형상의 회동부재(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회동부재(215)는 제1링크(211)와 제2링크(213)가 접이식 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제1링크(211)와 제2링크(213)를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폴딩 암(210)이 제1링크(211)와 제2링크(213)가 접히는 폴드(Fold) 구조로 변형되면 개폐부(200)는 폐쇄 모드로 바뀌고, 폴딩 암(210)이 제1링크(211)와 제2링크(213)가 언폴드(Unfold) 구조로 변형되면 개폐부(200)는 개방 모드로 바뀐다.
개폐부(200)가 구동부(300)에 의해 폐쇄 모드로 변형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제2링크(213)의 일단(213a)이 제1링크(211)의 일단(211a) 방향으로 이동하고(602), 폴딩 암(210)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회동부재(215) 부분이 일 방향으로 돌출된다. 예컨대, 폴딩 암(210)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회동부재(215) 부분은 벽(X)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출입 통제 장치(1)는 통행로(Y)를 폐쇄하여 이용자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
개폐부(200)가 개방 모드로 변형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제2링크(213)의 일단(213a)이 제1링크(211)의 일단(211a)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개폐부(200)가 폐쇄 모드로 변형되면서 돌출됐던 회동부재(215) 부분이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폴딩 암(210)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회동부재(215) 부분은 벽(X) 반대 방향(게이트 본체(1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부(200)가 폐쇄 모드로 변형되면 폴딩 암(210)은 일부분이 돌출된 폴드 구조로 변형되고, 개폐부(200)가 개방 모드로 변형되면 폴딩 암(210)은 돌출된 폴딩 암(210)이 원상 복구되는 언폴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폴딩 암(210)이 폴드 구조에서 언폴드 구조로 변형되면, 출입 통제 장치(1)는 폐쇄되었던 통행로(Y)를 다시 개방하여 출입 통제 장치(1)로 사용자의 진입을 허용할 수 있다.
전술한 개폐부(200)의 개방 모드 및 폐쇄 모드와, 폴딩 암(210)의 폴드 구조 및 언폴드 구조는 용어 구별을 위해 사용하는 되는 단어이다. 따라서 개폐부(200)의 개방 모드 및 폐쇄 모드와, 폴딩 암(210)의 폴드 구조 및 언폴드 구조는, 시간 간격 등의 일정한 기준을 두고 발생하는 별도의 구조가 아니며, 상호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딩 암(210)이 폴드 구조로 변형될 때 회동부재(215) 부분이 돌출되는 길이(601)를, 폴딩 암(210)이 폴드 구조로 변형될 때 제2링크(213)의 일단(213a)이 이동하는 길이(602, 701)보다 길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링크(211) 및 제2링크(213)의 길이가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폴딩 암(210) 전체의 길이를 a, 제2링크(213)의 일단(213a)이 이동하는 길이를 b, 폴딩 암(210)이 폴드 구조 또는 언폴드 구조로 변형되는 경우의 회동부재(215) 부분이 돌출된 길이를 c, 그리고 제2링크(213)가 제2링크(213)의 일단(213a)이 이동하는 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θ라고 한다면 아래와 같은 식 (1)이 성립한다.
따라서 0°에서 90° 사이의 값을 가지는 각도 θ가 0°와 약53.13° 사이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제2링크(213)의 일단(213a)이 이동하는 길이인 b가 폴딩 암(210)이 폴드 구조 또는 언폴드 구조로 변형되는 경우의 회동부재(215) 부분이 돌출된 길이인 c보다 짧다. 또한, θ가 약53.13°와 90° 사이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제2링크(213)의 일단(213a)이 이동하는 길이인 b가 폴딩 암(210)이 폴드 구조 또는 언폴드 구조로 변형되는 경우의 회동부재(215) 부분이 돌출된 길이인 c보다 길다.
결국, 폴딩 암(210)이 폴드 구조 또는 언폴드 구조로 변형되는 경우의 회동부재(215) 부분이 돌출된 길이 c(601)를 제2링크(213)의 일단(213a)이 이동하는 길이 b(602; 701)보다 길어지도록 θ를 제어하면, 출입 통제 장치(1)는 상대적으로 짧은 직선 이동 길이(602; 701; b)에 비해 긴 개폐 길이(601; c)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출입 통제 장치(1)는 개폐부(200)의 개폐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슬라이더(220)를 이용한 개폐부(200)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모터(310)는 개폐부(200)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며, 도 2를 참조하면 개폐부(200)는 관절형 슬라이더(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절형 슬라이더(220)는 제1링크(211)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수용공간(13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관절형 슬라이더(220)는 폴딩 암(210)이 자연스럽게 일자 구조에서 폴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도록 어깨 관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링크(211), 제2링크(213) 및 회동부재(215)가 일렬로 배열되어 수용공간(130) 내부에 폴딩 암(210)이 일자 구조로 위치한 경우, 관절형 슬라이더(220)는 폴딩 암(210)이 일자 구조에서 수용공간(130) 외부로 돌출되는 폴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도록 제1링크(211)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개폐부(200)가 관절형 슬라이더(220)를 더 포함하므로, 폴딩 암(210)이 개방 모드와 폐쇄 모드를 반복하던 중 수용공간(130) 내부에서 일자 구조가 된 경우에도, 폴딩 암(210)은 폴드 구조로 자연스럽게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출입 통제 장치(1)는 관절형 슬라이더(220)에 별도의 동력을 제공하지 않아도, 구동부(300)가 제2링크(213)를 구동시켜 폴딩 암(210)의 구조를 폴드 구조로 변형할 수 있다.
즉, 개폐부(2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모터(310)가 제2링크(213)의 일단(213a)을 제1링크(211)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경우, 어깨 관절 구조의 관절형 슬라이더(220)는 제1링크(211)와 제2링크(213) 그리고 회동부재(215)가 폴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도록 실제 신체의 어깨 관절과 같이 접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싱 모듈(320)을 이용한 개폐부(200)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구동부(300)는 모터(310)뿐만 아니라, 푸싱 모듈(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푸싱 모듈(320)은 모터(310)가 제공하는 동력을 이용하여 폴딩 암(210)을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링크(211), 제2링크(213) 및 회동부재(215)가 일렬로 배열되어 수용공간(130) 내부에 폴딩 암(210)이 일자 구조로 위치한 경우, 푸싱 모듈(320)은 폴딩 암(210)이 일자 구조에서 수용공간(130) 외부로 돌출되는 폴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도록 폴딩 암(210)을 수용공간(130) 바깥 방향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푸싱 모듈(320)은 게이트 본체(100) 중에서도 수용공간(13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모터(310)는 볼-스크류 타입 모터(Ball-Screw Type Motor) 또는 리니어 타입 모터(Linear Type Motor)일 수 있으나, 반드시 모터(310)가 리니어 타입 모터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모터(310)가 리니어 타입 모터인 경우, 리니어 타입 모터의 특성상 출입 통제 장치(1)는 개폐부(200) 구동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출입 통제 장치(1)는 스피커 역할을 수행하는 음향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00)에 의해 개폐부(200) 제어 또는 구동시, 음향부(800)는 기 설정된 음향을 출입 통제 장치(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로봇 사운드, 기계음, 특정인의 음성, 노래 등이 상기 설정된 음향에 해당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음향은 음향부(800)에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부(4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술한 설명과 도 10을 참조하여 인식부(400)를 상세히 설명한다.
출입 통제 장치(1)는 인식부(400)를 이용하여 허가된 자에 한하여 통행을 허용할 수 있다. 인식부(400)는 출입 통제 장치(1)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해 출입 통제 장치(1)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 모듈(410), 출입 통제 장치(1) 사용자의 정맥 형태를 인식하는 정맥 인식 모듈(420), 출입 통제 장치(1)의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는 홍채 인식 모듈(430) 및 출입 통제 장치(1)의 사용자의 안면 형태를 인식하는 안면 인식 모듈(4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인식부(400)는 특정 인식 모듈 1개(410, 420, 430 또는 440)만 구비하여 출입 통제 장치(1)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으며, 보안 등급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인식부(400)는 각 모듈(410, 420, 430 및 440) 전체를 이용하여 출입 통제 장치(1)의 사용자를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인식부(400)는 기 저장된 출입 통제 장치(1)의 사용자의 지문 정보, 정맥 정보, 홍채 정보 및 안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형태의 저장소(도시하지 않음) 또는 사용자 등록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식부(400)는 상기 저장소(도시하지 않음) 또는 사용자 등록부(도시하지 않음)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각 모듈(410; 420; 430; 440;)을 통해 인식한 사용자의 지문, 정맥 형태, 홍채, 안면 형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구동부(300)를 통해 개폐부(200)를 개방 모드로 변형시킬 수 있고,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구동부(300)를 통해 개폐부(200)를 폐쇄 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인식부(400)는 상기 비교 결과가 불일치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음향부(800)를 통해 기 설정된 음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출입 통제 장치(1)는 인식부(400)의 비교 결과가 불일치하는 경우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입니다” 또는 “다시 인식하여 주십시오” 등의 음성을 음향부(8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모듈(410, 420, 430 및 440)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학적인 방법으로 획득하고자 하는 지문 형태, 정맥 형태, 홍채 형태 또는 안면 형태를 센싱할 수 있다. 이 때 각 모듈(410, 420, 430 및 440)은 인접하게 배치되어 출입 통제 장치(1)는 사용자 인식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인식부(400)가 구나 기둥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각 모듈(410, 420, 430 및 440)은 중공된 인식부(4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인식부(400)의 외면에는 유리 등의 투과성 있는 소재의 하우징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인식부(400)는 사용자의 신체가 직접 인식부(400) 표면에 닿지 않아도 사용자의 지문 형태 인식 또는 정맥 형태 인식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인식부(400)는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인식부(400)로 접근하는 중에도 안면 형태 또는 홍채 형태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식부(400)가 인식 또는 획득하는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지문 형태, 정맥 형태, 홍채 형태 및 안면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 데이터로 명명될 수도 있다. 각 모듈(410, 420, 430, 440)은 각각 독립적으로 해당 모듈이 센싱 가능한 사용자 생체 데이터를 인식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인식부(400)가 각 모듈(410, 420, 430 및 440) 모두를 구비한 경우에 있어서, 출입 통제 장치(1)는 각 모듈(410, 420, 430 및 440)이 센싱하는 생체 데이터 중 일부만이 인식 되어도 개폐부(200)를 개방할 수 있다. 예컨대, 출입 통제 장치(1)는 지문 인식 모듈(410)의 지문 형태 센싱만이 완료된 경우에도 개폐부(2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식부(400)의 인식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출입 통제 장치(1) 전체의 개폐 구동 속도도 증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5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안내부(500)는 출입 통제 장치(1)의 사용자들을 감지한다. 또한, 사용자들의 편의성 증대를 위해 복수의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안내부(500)는 특정 사용자에게 출입 통제 장치(1)의 진입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내부(500)는 게이트 본체(100)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는 제1센싱모듈(510)과, 게이트 본체(100)의 타단에 마련될 수 있는 제2센싱모듈(520) 및 진입 안내 모듈(530)을 포함한다. 제1센싱모듈(510)과 제2센싱모듈(520)은 출입 통제 장치(1) 상에 위치할 수 있으나, 출입 통제 장치(1)와 분리된 곳에 설치될 수도 있다.
출입 통제 장치(1)는 통행로에 설치되어 통행을 통제하는 장치로서, 양방향으로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따라서 제1센싱모듈(510)과 제2센싱모듈(520)은 지지 프레임(120)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각각 지지 프레임(120)의 양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진입 안내 모듈(530)은 출입 통제 장치(1)에 하나 이상(한 개 또는 다수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출입 통제 장치(1)에 2개의 진입 안내 모듈(530)이 마련된 경우, 진입 안내 모듈(530)은 양 방향의 사용자들에게 안내를 하기 위해 제1센싱모듈(510)과 제2센싱모듈(520)과 인접한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1센싱모듈(510)은 출입 통제 장치(1)의 일 사용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2센싱모듈(520) 역시 출입 통제 장치(1)의 다른 사용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안내부(500)는 제1센싱모듈(510) 및 제2센싱모듈(520) 중 어느 하나만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 감지된 사용자에게 진입 안내 모듈(530)을 이용하여 출입 통제 장치(1)로의 진입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1센싱모듈(510) 및 제2센싱모듈(520) 모두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 안내부(500)는 감지된 순서에 따라 먼저 감지된 사용자에게 진입 안내 모듈(530)을 이용하여 출입 통제 장치(1)로의 진입을 안내하거나, 감지 거리를 기준으로 가까운 사용자에게 진입 안내 모듈(530)을 이용하여 출입 통제 장치(1)로의 진입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안내부(500)는 감지된 순서 또는 거리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감지된 복수의 사용자에게 진입 안내를 수행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방향을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안내부(500)는 제1센싱모듈(510) 및 제2센싱모듈(520)을 통해 측정된 일 사용자와의 거리와 다른 사용자와의 거리를 비교하여, 일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에게 진입 안내 모듈(530)을 이용하여 출입 통제 장치(1)로의 진입을 안내할 수 있다. 이 때 진입 안내 모듈(530)은 일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 방향으로 LED를 점등하여 출입 통제 장치(1)로의 우선 진입을 표현할 수 있다. 진입 안내 모듈(530)이 LED를 점등하는 방법과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양 방향에서 동시에 복수의 출입 통제 장치(1) 사용자들이 출입 통제 장치(1)로 진입하려는 경우, 대칭하는 위치에 장착된 제1센싱모듈(510)과 제2센싱모듈(520)이 각각 위치한 방향의 사용자를 감지하고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후 안내부(500)는 제1센싱모듈(510)이 측정한 거리와 제2센싱모듈(520)이 측정한 거리를 비교할 수 있고, 거리가 가까운 쪽의 사용자에게 진입 안내 모듈(530)을 이용하여 화살표 표시 또는 “이용 가능”이라는 문구의 LED를 표시할 수 있으며, 거리가 먼 쪽의 사용자에게는 X 표시, “이용 불가” 또는 “잠시 기다려 주십시오” 등의 문구를 LED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출입 통제 장치(1)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다수의 사용자가 한꺼번에 출입 통제 장치(1)를 사용하게 되어 생기는 사용자와 출입 통제 장치(1)간 충돌 문제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출입 통제 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출입 통제 장치(1)의 사용자 수를 측정하는 사용자 수 측정부(600)와, 출입 통제 장치(1) 관련 정보를 기 설정된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통신부(700), 및 출입 통제 장치(1) 관련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수 측정부(600) 및 통신부(700) 역시 출입 통제 장치(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통신부(700)는 기 설정된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동 가능하고, 게이트 본체(100) 개폐부(200), 구동부(300), 인식부(400), 안내부(500), 사용자 수 측정부(600) 통신부(700) 및 음향부(8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기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700)는 정보 전송시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예로써, 통신부(70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LTE, 와이파이(Wi-Fi) 방식의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 설정된 단말기는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기기를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기 설정된 단말기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원치, 노트북, 컴퓨터 또는 PD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수 측정부(600)는, 개폐부(200)의 구동 횟수 정보, 폴딩 암(210)의 폴드 구조 변형 횟수 정보와 언폴드 구조 변형 횟수 정보, 인식부(400)의 사용자 인식 횟수 정보 및 안내부(500)의 사용자 진입 안내 횟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출입 통제 장치(1)의 사용자 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수 측정부(600)는 하루 동안의 이용자 수, 특정 시간 동안에 이용자 수와 같이 일정한 기준에 따라 사용자 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00)가 상기 기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는, 게이트 본체(100), 개폐부(200), 구동부(300), 인식부(400), 안내부(500), 사용자 수 측정부(600), 통신부(700) 및 음향부(8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된 오류 정보, 개폐부(200)의 구동 횟수 정보, 폴딩 암(210)의 폴드 구조 변형 횟수 정보와 언폴드 구조 변형 횟수 정보, 인식부(400)의 사용자 인식 횟수 정보, 안내부(500)의 사용자 진입 안내 횟수 정보 및 사용자 수 측정부(600)가 측정한 출입 통제 장치(1)의 사용자 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디스플레이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출입 통제 장치(1)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0)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출입 통제 장치(1) 관련 정보를 모니터링하거나, 출입 통제 장치(1)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0)는 개폐부(200)의 모드 변경, 인식부(400)의 인식 방법 설정 및 변경, 안내부(500)의 안내 방법 설정 및 변경, 통신부(700)를 통한 기 설정된 단말기로의 정보 송신, 음향부(800)가 제공하는 음향 설정 및 변경, 출입 통제 장치(1)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오류 정보 획득 및 표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700)의 정보 송수신을 통해 상기 기 설정된 단말기는 출입 통제 장치(1)와 관련한 정보 분석, 관리 및 오류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기 설정된 단말기에 구비된 출입 통제 장치(1)의 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출입 통제 장치(1)를 수리하거나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900)를 이용하여 출입 통제 장치(1)를 분해하지 않더라도 출입 통제 장치(1)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고, 출입 통제 장치(1)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 통제 장치(1) 관리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장치(1)를 다수개 구비한 출입 통제 시스템(2)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술한 도 2 내지 도 11와, 도 12를 참조하여 출입 통제 시스템(2)을 상세히 설명한다.
출입 통제 시스템(2)은 다수개의 출입 통제 장치(1)를 구비할 수 있고, 다수개의 출입 통제 장치(1)는 각각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어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출입 통제 장치(1)는 2개씩 쌍을 이루어 대향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출입 통제 시스템(2)은 출입 통제 시스템(2)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출입 통제 장치(1)가 각각 구비한 폴딩 암(210)이 폴드 구조로 변형되는 경우의 돌출되는 길이(회동부재(215) 부분이 돌출되는 길이)를 제어하여 상기 소정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출입 통제 장치(1) 설치시 출입 통제 시스템(2)이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출입 통제 시스템(2)의 다양한 폭을 도시한 도 12의 d1, d2, d3를 비교하면, d1은 다수개의 출입 통제 장치(1)를 설치한 출입 통제 시스템(2)의 폭이 d1, d2 및 d3 중 가장 넓은 경우이고, d2는 d1보다는 좁지만 d3보다는 넓은 경우이며, d3는 d1, d2 및 d3 중 가장 좁은 폭을 갖는다.
다수개의 출입 통제 장치(1)의 설치 폭을 자유롭게 설정하여 출입 통제 시스템(2)을 구현하면 출입 통제 장치(1)의 재설치 비용을 절감하고,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20) 양 면에 개폐부(200) 및 구동부(300)를 구비하고, 출입 통제 장치(1) 양방향으로 인식부(400)를 마련하면, 출입 통제 시스템(2)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전술한 출입 통제 장치(1) 및 출입 통제 시스템(2)의 기능들은 외부 전원 또는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장치(1)의 각 구성요소들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호 연결 또는 연동되어 있을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은 별도로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나, 반드시 독립적일 필요는 없고 서로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종속되어 제어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출입 통제 장치(1)를 이용하는 경우, 폴딩 암(210)이 폴딩 가능하도록 수용공간(130) 내에 구비되어, 폴딩 암(210)이 변형시 돌출되는 길이(601)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출입 게이트와 같이 기 설정된 크기의 도어를 통해 통행로를 개폐하는 방식에 비하여, 출입 통제 장치(1)는 지지 프레임(120)의 폭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수의 출입 통제 장치(1)를 구비한 출입 통제 시스템(2)의 설치 폭 역시 축소시킬 수 있다.
출입 통제 시스템(2)의 설치 폭이 줄어들면 한정된 공간 내에 출입 통제 시스템(2)을 구성하는 출입 통제 장치(1)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정해진 시간 내에 출입 통제 시스템(2)을 이용하는 사용자 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는 출입 통제 시스템(2)의 성능을 평가하는 척도인 처리 용량을 증대시키는 결과로 이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출입 통제 장치(1)의 설치 폭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다양한 통행로 폭에 대응할 수 있는 출입 통제 장치(1)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200)의 폴딩 암(210)이 돌출되는 길이(601)는 구동부(300)에 의해 제2링크(213)의 일단(213a)이 이동하는 직선길이(602, 701)보다 길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으므로, 개폐부(200)의 구동 속도는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게이트 및 스윙 타입 게이트의 구동 속도보다 증가될 수 있다. 출입 통제 장치(1)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면, 출입 통제 장치(1)의 신뢰성 및 경제성 역시 높일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0)에 의해 제2링크(213)의 일단(213a)이 이동하는 직선 길이(602, 701)가 폴딩 암(210)이 돌출되는 길이(601)보다 짧다는 것은 구동부가 개폐부를 움직이는 거리가 개폐부가 실제 이동하여 개폐하는 통로의 너비보다 짧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동부가 개폐부를 움직이는 거리와 개폐부가 실제 이동하여 개폐하는 통로의 너비가 같았던 기존의 슬라이딩 타입 게이트 및 스윙 타입 게이트보다 출입 통제 장치(1)의 구동부(300)의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고, 출입 통제 장치(1)의 에너지 효율성 역시 증가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출입 통제 장치
100 : 게이트 본체
110 : 설치 프레임 120 : 지지 프레임
130 : 수용공간
200 : 개폐부
210 : 폴딩 암 211 : 제1링크
211a : 제1링크의 일단 211b : 제1링크의 타단
213 : 제2링크 213a : 제2링크의 일단
213b : 제2링크의 타단 215 : 회동부재
220 : 관절형 슬라이더 230 : 압력센서
300 : 구동부
310 : 모터 320 : 푸싱 모듈
400 : 인식부
410 : 지문 인식 모듈 420 : 정맥 인식 모듈
430 : 홍채 인식 모듈 440 : 안면 인식 모듈
500 : 안내부
510 : 제1센싱모듈 520 : 제2센싱모듈
530 : 진입 안내 모듈
600 : 사용자 수 측정부
700 : 통신부
800 : 음향부
900 : 제어부
2 : 출입 통제 시스템
100 : 게이트 본체
110 : 설치 프레임 120 : 지지 프레임
130 : 수용공간
200 : 개폐부
210 : 폴딩 암 211 : 제1링크
211a : 제1링크의 일단 211b : 제1링크의 타단
213 : 제2링크 213a : 제2링크의 일단
213b : 제2링크의 타단 215 : 회동부재
220 : 관절형 슬라이더 230 : 압력센서
300 : 구동부
310 : 모터 320 : 푸싱 모듈
400 : 인식부
410 : 지문 인식 모듈 420 : 정맥 인식 모듈
430 : 홍채 인식 모듈 440 : 안면 인식 모듈
500 : 안내부
510 : 제1센싱모듈 520 : 제2센싱모듈
530 : 진입 안내 모듈
600 : 사용자 수 측정부
700 : 통신부
800 : 음향부
900 : 제어부
2 : 출입 통제 시스템
Claims (12)
- 통행을 통제하는 출입 통제 장치에 있어서,
통행로에 설치되는 게이트 본체; 상기 게이트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통행로를 개폐하는 폴딩 암을 구비한 개폐부; 및, 상기 게이트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딩 암은, 일단이 상기 게이트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 및, 일단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직선 이동되도록 상기 게이트 본체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본체는, 상기 개폐부 및 구동부가 탈착 또는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암은, 상기 제1링크의 타단 및 상기 제2링크의 타단과 결합하여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상호 연결하는 원형 형상의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개폐부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폴딩 암은,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일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동부재 부분이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폴드 구조로 변형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폴딩 암은,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돌출된 상기 회동부재 부분이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언폴드 구조로 변형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마련되어 상기 제1링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관절형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절형 슬라이더는, 상기 제1링크, 제2링크 및 회동부재가 일자 구조로 배열된 상기 폴딩 암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폴딩 암이 상기 일자 구조에서 상기 폴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도록 어깨 관절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통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폴딩 암의 일 측에 마련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통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에 탈착 또는 삽입 가능한 개폐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을 축으로 하여 대칭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 양 면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통제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링크, 제2링크 및 회동부재가 일자 구조로 배열된 상기 폴딩 암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일자 구조에서 상기 폴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폴딩 암을 상기 수용공간 밖으로 밀어내는 푸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통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리니어 타입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리니어 타입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개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통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음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개폐부 제어시 기 설정된 음향을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통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일측에 위치하는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는,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 모듈,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자의 정맥 형태를 인식하는 정맥 인식 모듈,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는 홍채 인식 모듈 및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자의 안면 형태를 인식하는 안면 인식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자를 인식하되,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개폐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통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센싱모듈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단에 대칭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출입 통제 장치의 다른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2센싱모듈과,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의 진입을 안내하는 진입 안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1센싱모듈 및 제2센싱모듈 중 어느 하나만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 감지된 사용자에게 상기 진입 안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의 진입을 안내하고,
상기 제1센싱모듈 및 제2센싱모듈 모두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 감지된 순서에 따라 먼저 감지된 사용자에게 상기 진입 안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의 진입을 안내하거나, 감지 거리를 기준으로 가까운 사용자에게 상기 진입 안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의 진입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통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안내 모듈은,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다른 사용자 방향으로 LED를 점등하여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의 우선 진입을 표시하거나,
상기 사용자 및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방향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통제 장치.
- 제1항에 따른 출입 통제 장치를 다수개 구비하고,
상기 다수개의 출입 통제 장치는 각각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출입 통제 장치가 각각 구비한 폴딩 암이 돌출되는 길이를 제어하여 상기 소정 간격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4585A KR102035039B1 (ko) | 2017-07-04 | 2017-07-04 | 출입 통제 장치 |
US16/628,910 US11142948B2 (en) | 2017-07-04 | 2018-06-25 | Access control apparatus |
EP18829006.8A EP3650629A4 (en) | 2017-07-04 | 2018-06-25 | ACCESS CONTROL APPARATUS |
JP2019571492A JP6941325B2 (ja) | 2017-07-04 | 2018-06-25 | 出入り統制装置 |
PCT/KR2018/007148 WO2019009550A1 (ko) | 2017-07-04 | 2018-06-25 | 출입 통제 장치 |
CN201880045318.8A CN110869578A (zh) | 2017-07-04 | 2018-06-25 | 出入控制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4585A KR102035039B1 (ko) | 2017-07-04 | 2017-07-04 | 출입 통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4850A KR20190004850A (ko) | 2019-01-15 |
KR102035039B1 true KR102035039B1 (ko) | 2019-10-23 |
Family
ID=6495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4585A KR102035039B1 (ko) | 2017-07-04 | 2017-07-04 | 출입 통제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142948B2 (ko) |
EP (1) | EP3650629A4 (ko) |
JP (1) | JP6941325B2 (ko) |
KR (1) | KR102035039B1 (ko) |
CN (1) | CN110869578A (ko) |
WO (1) | WO201900955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090434A1 (en) * | 2018-10-15 | 2022-03-24 | Shanghai Huaming Intelligent Terminal Equipment Co., Ltd. | Switch device for turnstile passage |
EP3660793B1 (de) * | 2018-11-28 | 2021-02-17 | Skidata Ag | Zugangskontrollvorrichtung für personen oder fahrzeuge |
DE202018107098U1 (de) * | 2018-12-12 | 2020-03-13 | Agtatec Ag | Einweg-Durchgangssystem mit einer Rücklaufsperre zum Einsatz in Gebäuden und ein entsprechendes Gebäude mit einem solchen Einweg-Durchgangssystem |
US11960282B2 (en) * | 2021-01-05 | 2024-04-16 | Abb Schweiz Ag |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cing a data center using autonomous vehic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04560A (ja) * | 1996-11-18 | 2001-04-03 | レイパ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通行誘導門 |
KR101439348B1 (ko) * | 2012-12-11 | 2014-11-04 | 주식회사 글로비트 | 얼굴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및 근태관리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053549A5 (ko) * | 1969-07-08 | 1971-04-16 | Faiveley Sa | |
JPS5113118Y1 (ko) * | 1970-06-09 | 1976-04-08 | ||
FR2682852A1 (fr) * | 1992-03-23 | 1993-04-30 | Galvelpor Sa | Systeme de fermeture de cases pour animaux notamment des porcs. |
KR200155075Y1 (ko) * | 1996-11-21 | 1999-08-16 | 전주범 | 양방향 개찰기 자동전환장치 |
JPH10153039A (ja) | 1996-11-22 | 1998-06-09 | Sankyo Alum Ind Co Ltd | 折りたたみ戸 |
JP2003055922A (ja) * | 2001-08-10 | 2003-02-26 | Takano Co Ltd | アーム式ゲート |
KR200294540Y1 (ko) | 2002-08-24 | 2002-11-08 |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 |
DE20311189U1 (de) * | 2003-07-21 | 2003-09-25 | Arturo Salice S.P.A., Novedrate, Como | Hebevorrichtung für eine zweiflüglige Faltklappe oder -tür |
JP2007108817A (ja) * | 2005-10-11 | 2007-04-26 | Jr East Mechatronics Co Ltd | 自動改札機 |
JP2008240281A (ja) * | 2007-03-26 | 2008-10-09 | Kumahira Safe Co Inc | セキュリティゲート |
US20130212948A1 (en) * | 2007-04-20 | 2013-08-22 | Opcon International Holdings, L.P. | Operating assembly for use with automatic sliding and folding doors |
KR100796273B1 (ko) | 2007-08-21 | 2008-01-21 | (주)지멕스 | 벨트로 동시 동작하는 개찰구용 게이트 장치 |
WO2013116632A1 (en) * | 2012-02-02 | 2013-08-08 |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 Tension stiffened and tendon actuated manipulator and a hinge for use therein |
JP6007745B2 (ja) * | 2012-11-20 | 2016-10-12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ドア駆動装置 |
US9085926B2 (en) * | 2013-03-15 | 2015-07-21 | Wallace International Ltd. | Trackless folding panel gate |
JP2015053000A (ja) * | 2013-09-09 | 2015-03-19 | 株式会社東芝 | 両用改札装置 |
JP2018510276A (ja) * | 2015-02-11 | 2018-04-12 | 興華 官 | 双方向ドア機構を有する自動解除式折り戸 |
AT516784B1 (de) * | 2015-02-13 | 2017-02-15 | Blum Gmbh Julius | Möbel |
US10537484B2 (en) * | 2016-06-27 | 2020-01-21 | Marc D. Levine | Wheel chair lifting device |
US20190345765A1 (en) * | 2016-09-30 | 2019-11-14 | Conduent Business Services, Llc | Access barrier, related devices and related methods |
DE102016223010B4 (de) * | 2016-11-22 | 2024-09-26 | Audi Ag | Verschlusseinrichtung zum Verdecken und Freigeben einer Ladeschnittstelle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
-
2017
- 2017-07-04 KR KR1020170084585A patent/KR10203503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6-25 JP JP2019571492A patent/JP6941325B2/ja active Active
- 2018-06-25 US US16/628,910 patent/US11142948B2/en active Active
- 2018-06-25 WO PCT/KR2018/007148 patent/WO2019009550A1/ko unknown
- 2018-06-25 EP EP18829006.8A patent/EP3650629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8-06-25 CN CN201880045318.8A patent/CN110869578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04560A (ja) * | 1996-11-18 | 2001-04-03 | レイパ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通行誘導門 |
KR101439348B1 (ko) * | 2012-12-11 | 2014-11-04 | 주식회사 글로비트 | 얼굴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및 근태관리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941325B2 (ja) | 2021-09-29 |
EP3650629A1 (en) | 2020-05-13 |
WO2019009550A1 (ko) | 2019-01-10 |
KR20190004850A (ko) | 2019-01-15 |
CN110869578A (zh) | 2020-03-06 |
EP3650629A4 (en) | 2020-07-15 |
US11142948B2 (en) | 2021-10-12 |
US20200123854A1 (en) | 2020-04-23 |
JP2020527201A (ja) | 2020-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5039B1 (ko) | 출입 통제 장치 | |
US10984621B2 (en) | Access control apparatus | |
KR101118984B1 (ko) | 도어 개폐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도어 개폐 송신장치 | |
JP4824480B2 (ja) | シャッター装置制御システム | |
KR200468123Y1 (ko) | 게이트도어의 개,폐상태 록킹수단을 가진 출입통제용 게이트장치 | |
KR100796273B1 (ko) | 벨트로 동시 동작하는 개찰구용 게이트 장치 | |
KR101520854B1 (ko) | 슬라이드 스윙 타입 게이트 도어 시스템 | |
JP6956980B2 (ja) | 出入り統制装置 | |
KR101621230B1 (ko) | 개찰구의 슬라이딩 도어기구 | |
JPWO2007013255A1 (ja) | 自動扉 | |
KR200385183Y1 (ko) | 슬라이딩 타입 게이트 장치 | |
ES2694598B1 (es) | Sistema y método de cierre motorizado | |
CN109979064B (zh) | 一种基于物联网的变电站施工现场用闸机系统和工作方法 | |
KR101460708B1 (ko) |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 |
JP5226338B2 (ja) | ゲート装置 | |
KR102194334B1 (ko) |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생체정보 인식 출입 통제 장치 | |
KR200358355Y1 (ko) | 개찰구용 스윙 게이트 장치 | |
JP4614777B2 (ja) | 開閉体案内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開閉体装置 | |
KR20030097367A (ko) | 상하방향 개폐용 도어의 열림각 제한장치 | |
CN113966429B (zh) | 摆动门操作器、摆动门系统和调节摆动门操作器的方法 | |
ITMI20111605A1 (it) | Sbarramento mobile per il controllo di accessi in genere. | |
KR101468684B1 (ko) |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 |
JP4446874B2 (ja) | コードの弛み防止構造 | |
KR20150116080A (ko) | 보안회전문의 구동장치 | |
KR101166073B1 (ko) | 자동도어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