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540Y1 -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 - Google Patents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540Y1
KR200294540Y1 KR2020020025268U KR20020025268U KR200294540Y1 KR 200294540 Y1 KR200294540 Y1 KR 200294540Y1 KR 2020020025268 U KR2020020025268 U KR 2020020025268U KR 20020025268 U KR20020025268 U KR 20020025268U KR 200294540 Y1 KR200294540 Y1 KR 200294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ushing member
door panel
closing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200252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5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540Y1/ko

Links

Landscapes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에 관한 것으로, 도어 폐쇄시 내측 도어가 용이하게 레일을 따라 펼쳐질 수 있도록 외측도어에 장착된 유압 작동구 종단에 지렛대 작용을 행하는 별도의 폐쇄용 푸싱부재가 결합된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바닥면 하부에 레일이 설치되며, 그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다수개의 접이식 도어 패널의 하면에 로울러가 포함된 슬라이딩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작동구의 일단이 출입구의 양측면에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 타단은 상기 도어 패널의 소정부에 작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폴딩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중 외측부 양 도어 패널의 소정부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삽입공의 내부 소정부에 "┛" 자 형태의 푸싱부재 절곡부가 힌지 결합되어 그 일단은 상기 유압작동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은 내측부 도어 패널의 측면에 밀착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도어 폐쇄시 푸싱부재의 타단이 내측부 도어 패널을 밀어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소형의 유압작동구만으로도 대형의 도어 패널을 개폐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출입구 완전 개방이 가능하게 되어 출입구의 출입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FOLDING DOOR HAVING A PUSHING MEANS FOR CLOSING A DOOR PANEL}
본 고안은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도어 폐쇄시 내측 도어가 용이하게 레일을 따라 펼쳐질 수 있도록 외측도어에 장착된 유압 작동구 종단에 지렛대 작용을 행하는 별도의 폐쇄용 푸싱부재가 결합된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딩 도어는 각종 출입구 게이트 및 대문류, 공장 출입문, 전동차류의 도어 등에 사용되어 출입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도 1a, 1b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 도어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폴딩 도어(2)는 바닥면 하부나 천장에 레일(4)을 설치하고, 그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도어 패널(6a, 6b, 8a, 8b)의 하면이나 상면에 로울러(도시 생략)가 포함된 슬라이딩 부재(도시 생략)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작동구(14)의 일단이 출입구(12)의 양측면에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 타단은 상기 도어 패널(6b, 8b)의 소정부에 작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폴딩 도어(2)는 다단의 접이식 도어 패널(6a, 6b, 8a, 8b)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도어 패널(6a, 6b, 8a, 8b)은 힌지(10, 16)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 패널(6a, 6b, 8a, 8b)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유압작동구(14)가 콤프레샤(도시 생략) 등에 의해 구동되면 유압작동구(14)의 수축 압축력은 외부 도어 패널(6b, 8b)에 작용되어 그 외부 도어 패널(6b, 8b)를 잡아 당기게 되며, 그 외부 도어 패널(6b, 8b)와 힌지 결합된 내부 도어 패널(6b, 8b)은 외부 도어 패널(6b, 8b)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전체 도어 패널(6a, 6b, 8a, 8b)이 접혀져서 도어가 개방되게 된다.
반면에,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유압작동구(14)를 구동시켜 팽창 압축력이 외부 도어 패널(6b, 8b)에 작용됨으로써 내부 도어 패널(6a, 8a)을 밀어내어 도어가 폐쇄되는 바, 이때 상기 유압작동구(14)의 팽창 압축력은 외부 도어 패널(6b, 8b)의 일면에만 작용하기 때문에 도어 패널(6a, 6b, 8a, 8b)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는 유압작동구(14)의 팽창 압축력만으로 도어 패널(6a, 6b, 8a, 8b)을 펼치기가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내부 도어 패널(6a, 8b)의 작동 영역(A)에 그 유압작동구(14)의 팽창 압축력을 전달하지 못하게 되므로 용이한 도어의 폐쇄 동작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실제 사용시에는 내부 도어 패널(6a, 8a)과 외부 도어 패널(6b, 8b)이 완전히 접혀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이 경우 출입구의 개방면적이 협소해지므로 대용량 차량의 출입 등에 심각한 제한을 받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어 폐쇄시 내측 도어가 용이하게 레일을 따라 펼쳐질 수 있도록 외측도어에 장착된 유압작동구 종단에 지렛대 작용을 행하는 별도의 폐쇄용 푸싱부재가 결합된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 1b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 도어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의 구성을 도시한 상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의 푸싱부재 동작각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의 구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폴딩도어, 4:레일,
6a,8a:내측부 도어패널, 6b,8b:외측부 도어패널,
10:힌지, 12:출입구,
14:유압작동구. 16:힌지,
22:삽입공, 24:푸싱부재,
26:힌지축, 30:스토퍼,
32:로울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면 하부에 레일이 설치되며, 그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다수개의 접이식 도어 패널의 하면에 로울러가 포함된 슬라이딩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작동구의 일단이 출입구의 양측면에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 타단은 상기 도어 패널의 소정부에 작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폴딩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중 외측부 양 도어 패널의 소정부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삽입공의 내부 소정부에 "┛" 자 형태의 푸싱부재 절곡부가 힌지 결합되어 그 일단은 상기 유압작동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은 내측부 도어 패널의 측면에 밀착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도어 폐쇄시 푸싱부재의 타단이 내측부 도어 패널을 밀어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 패널의 삽입공 부근에는 상기 푸싱부재가 일정 각도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가 제공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부 도어 패널의 측면에 밀착되는 푸싱부재의 종단에는 힌지축을 매개로 자전되는 로울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의 구성을 도시한 상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의 푸싱부재 동작각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의 구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는 종래 폴딩 도어(2)와 마찬가지로 바닥면 하부에 레일(4)이 설치되며, 그 레일(4)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하면에 로울러(도시 생략)가 장착된 다수개의 접이식 도어 패널(6a, 6b, 8a, 8b)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접이식 도어 패널(6a, 6b, 8a, 8b)중 외측부 도어 패널(6b, 8b)과 내측부 도어 패널(6a, 8a)은 힌지(1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외측부 도어 패널(6b, 8b)의 소정부에는 유압작동구(14)가 콤프레샤에 의해 신축 및 팽창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측부 도어 패널(6b, 8b)의 소정부에는 삽입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삽입공의 내부 소정부에 "┛" 자 형태의 푸싱부재(24)가 내재되며, 그 푸싱부재(24)의 절곡부가 힌지(26) 결합되어 그 일단은 상기 유압작동구(1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은 내측부 도어 패널(6a, 8a)의 측면에 밀착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푸싱부재(24)의 일단과 유압작동구(14)는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있으므로 수직방향의 유압작동구(14) 압축력이 상기 푸싱부재(24)의 힌지(26)를 기준으로하여 푸싱부재(24)의 회전 이동력으로 변환되게 된다.
따라서, 도어의 폐쇄를 위해 상기 유압작동구(14)가 구동되게 되면, 그 유압작동구(14)의 수직 팽창력은 상기 푸싱부재(24)의 일단(24a)에 전달되고(①), 그 푸싱부재(24)는 수직 팽창력을 받아 (②) 그 타단(24b)이 상기 내측부 도어 패널(6a, 8a)를 밀어내게 됨으로써(③) 상기 내측부 도어 패널(6a, 8a)이 초기 이동시 용이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압작동구(14)는 지속적으로 상기 외측부 도어 패널(6b, 8b)에 팽창력을 가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 푸싱부재(24)의 타단(24b)과 내측부 도어 패널(6a, 8a)의 측면은 접촉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푸싱부재(24)로 가해지는 압축력은 외측부 도어 패널(6b, 8b)에만 가해지게 해야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외측부 도어 패널(6b, 8b)의 삽입공(22) 부근 소정부에는 스토퍼(30)가 결합되어 그 푸싱부재(24)의 회전이 일정각도(α) 이상 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유압작동구(14)의 압축력은 외측부 도어 패널(6b, 8b)로 완전히 전달되고, 그 압축력은 외측부 도어 패널(6b, 8b)과 힌지 결합된 내측부 도어 패널(6a, 8a)로 전달되면서 모든 도어 패널(6a, 6b, 8a, 8b)은 일직선 형태로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폴딩 도어는 소형의 유압작동구(14) 만으로도 대형의 도어 패널(6a, 6b, 8a, 8b)을 개폐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출입구 완전 개방이 가능하게 되어 출입구의 출입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는 상기 내측부 도어 패널(6a, 8a)의 측면에 밀착되는 푸싱부재(24)의 종단에 힌지축을 매개로 자전되는 로울러(32)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싱부재(24)에 장착된 로울러(32)는 상기 내측부 도어 패널(6a, 8a)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푸싱부재(24)의 회전력을 상기 내측부 도어 패널(6a, 8a)에 대한 척력으로 정확하게 전달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는 소형의 유압작동구만으로도 대형의 도어 패널을 개폐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출입구 완전 개방이 가능하게 되어 출입구의 출입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바닥면 하부에 레일이 설치되며, 그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다수개의 접이식 도어 패널의 하면에 로울러가 포함된 슬라이딩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작동구의 일단이 출입구의 양측면에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 타단은 상기 도어 패널의 소정부에 작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폴딩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중 외측부 양 도어 패널의 소정부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삽입공의 내부 소정부에 "┛" 자 형태의 푸싱부재 절곡부가 힌지 결합되어 그 일단은 상기 유압작동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은 내측부 도어 패널의 측면에 밀착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도어 폐쇄시 푸싱부재의 타단이 내측부 도어 패널을 밀어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의 삽입공 부근에는 상기 푸싱부재가 일정 각도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 도어 패널의 측면에 밀착되는 푸싱부재의 종단에는 힌지축을 매개로 자전되는 로울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
KR2020020025268U 2002-08-24 2002-08-24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 KR200294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268U KR200294540Y1 (ko) 2002-08-24 2002-08-24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268U KR200294540Y1 (ko) 2002-08-24 2002-08-24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540Y1 true KR200294540Y1 (ko) 2002-11-08

Family

ID=73078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268U KR200294540Y1 (ko) 2002-08-24 2002-08-24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5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553A (ko) * 2016-12-28 2018-07-06 이원기 유압구동수단이 구비된 대형철문
WO2019009550A1 (ko) * 2017-07-04 2019-01-10 크루셜텍(주) 출입 통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553A (ko) * 2016-12-28 2018-07-06 이원기 유압구동수단이 구비된 대형철문
WO2019009550A1 (ko) * 2017-07-04 2019-01-10 크루셜텍(주) 출입 통제 장치
US11142948B2 (en) 2017-07-04 2021-10-12 Crucialtec Co. Ltd Access control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0195B1 (en) Door assembly
US8496277B2 (en) Latching system
US8627606B2 (en) Combined sealing system for garage door
US8468746B2 (en) Sealing systems for garage door
KR101874013B1 (ko) 접이식 도어 장치
KR101932938B1 (ko)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WO2019043685A1 (en) LOCKING MECHANISM OBLIQUEDLY ENGAGED
KR20170081886A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CA2331080A1 (en) Over center door closing mechanism
EP2617919B1 (en) Operating handle
EP2140089A1 (en) Structure and outline system for hermetical and acoustic sealing in sliding windows and doors
KR200294540Y1 (ko)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
KR20060113536A (ko) 뒷문을 구비한 차량
CN108005488B (zh) 一种具有联动开门功能的智能锁
AU2017360021B2 (en) Door driving mechanism for a swing door
JP3853348B1 (ja) 折りたたみ式自動門扉
RU2159395C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179836B1 (ko) 이중 레일 구조의 폴딩 도어 개폐장치
JPS5856298Y2 (ja) オリタタミトビラノロツクソウチ
KR100385305B1 (ko)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JP3361935B2 (ja) 防音ドア
KR200401596Y1 (ko) 회전 개폐식 자동창호
KR20240048932A (ko) 댐퍼가 부착된 접이식 스윙 중문
KR20180026931A (ko) 전동 폴딩도어
KR20060044589A (ko) 양 여닫이식 롤링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