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812B1 - 전기 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812B1
KR102032812B1 KR1020187010805A KR20187010805A KR102032812B1 KR 102032812 B1 KR102032812 B1 KR 102032812B1 KR 1020187010805 A KR1020187010805 A KR 1020187010805A KR 20187010805 A KR20187010805 A KR 20187010805A KR 102032812 B1 KR102032812 B1 KR 102032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uide
screw
terminal screw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3737A (ko
Inventor
야스히사 햐쿠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3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단자 나사 홀더(5)에 의해서 유지된 단자 나사(6)를, 단자 커버(4)를 이용하여 단자(3)의 나사 구멍(3a)으로부터 떨어진 가고정 위치에서 가고정할 수 있는 전자 접촉기(1)로서, 단자 나사 홀더(5)는, 단자 커버(4)가 관통하는 형상으로서, 내측면에 피내측 가이드를 구비하고, 외측면에 피외측 가이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자 커버(4)는, 단자 나사 홀더(5)를 관통하여 피내측 가이드를 안내하는 내측 가이드와, 피외측 가이드를 안내하는 외측 가이드를 가진다.

Description

전기 기기
본 발명은,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배선 스페이스를 확보한 가(假)고정 위치에서 단자 나사를 가고정할 수 있는 전기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기기의 단자의 나사 구멍에 환형(丸形)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을 배선할 때, 나사 구멍으로부터 빠진 단자 나사를 떼어내지 않고, 환형 압착 단자의 삽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는 위치까지 단자 나사를 안내하여 유지하고, 환형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의 배선 작업을 용이화하는 기술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단자 나사 홀더에 피(被)가이드가 되는 돌기부를 마련하고, 단자 커버에 홈을 마련하며, 단자 나사 홀더의 돌기부를 단자 커버의 홈으로 안내함으로써, 환형 압착 단자의 삽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는 위치까지 단자 나사를 안내하고, 단자 나사를 가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5-152016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발명은, 환형 압착 단자의 삽입 스페이스를 확보한 상태에서 가고정된 단자 나사를 단단히 조이는 경우, 환형 압착 단자를 삽입한 후, 단자 나사를 드라이버에 의해 밀어넣음으로써 가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단자 나사의 조임 작업을 행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발명에서는, 단자 나사 홀더가 단자 커버로 안내되는 거리가 짧기 때문에, 단자 커버의 가이드와 단자 나사 홀더의 피가이드와의 사이에 치수 허용차의 편차에 의한 클리어런스가 존재하면, 단자 나사 중심축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드라이버가 밀어넣어졌을 때에 단자 나사가 기울어져, 나사 구멍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단자 나사가 안내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단자 나사 홀더의 돌기부를 길게 하면, 단자 나사 홀더가 안내되는 길이를 확보할 수 있어, 단자 나사의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환형 압착 단자를 삽입할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어, 외형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외형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단자 나사의 중심축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드라이버가 밀어넣어져도, 단자 나사를 나사 구멍으로 안내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외형 치수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단자 나사의 중심축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드라이버가 밀어넣어져도 단자 나사를 나사 구멍으로 안내할 수 있는 전기 기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단자 나사 홀더에 의해서 유지된 단자 나사를, 단자 커버를 이용하여 단자의 나사 구멍으로부터 떨어진 가고정 위치에서 가고정할 수 있는 전기 기기이다. 본 발명의 단자 나사 홀더는, 단자 커버가 관통하는 형상으로서, 내측면에 피(被)내측 가이드를 구비하고, 외측면에 피외측 가이드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단자 커버는, 단자 나사 홀더를 관통하여 피내측 가이드를 안내하는 내측 가이드와, 피외측 가이드를 안내하는 외측 가이드를 가진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 기기는, 외형 치수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단자 나사의 중심축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드라이버가 밀어넣어져도 단자 나사를 나사 구멍으로 안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기기인 전자 접촉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 가(假)고정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커버의 상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케이스에 단자 커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 홀더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 홀더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 홀더의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 가고정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가 가고정된 상태에서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가 가고정된 상태에서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가 가고정된 상태에서의 단자 나사 가고정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에 환형(丸形)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을 배치한 상태에서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의 가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의 나사 선단이 나사 구멍에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기기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기기인 전자 접촉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 가고정 구조의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기기인 전자 접촉기(1)는, 단자 나사(6)를 나사 구멍(3a)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배치 가능한 공간을 구비한 케이스(2)와,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이 단자 나사(6)에 의해서 고정되는 단자(3)와, 케이스(2)에 장착되어 단자(3)를 덮는 단자 커버(4)와, 단자 나사(6)를 유지하는 단자 나사 홀더(5)를 가진다. 단자 커버(4), 단자 나사 홀더(5) 및 단자 나사(6)는, 단자 나사(6)를 나사 구멍(3a)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가(假)고정하는 단자 나사 가고정 구조(9)를 구성하고 있다. 전자 접촉기(1)는, 단자 나사 홀더(5)에 의해서 유지된 단자 나사(6)를, 단자 커버(4)를 이용하여 단자(3)의 나사 구멍(3a)으로부터 떨어진 가고정 위치에서 가고정할 수 있다. 전자 접촉기(1)는, 단자(3)를 복수 가지고 있다. 복수의 단자(3)는, 정렬하여 배치되어 있다. 단자 나사(6)에는, 소선을 단자(3)에 접속하기 위한 선 누름부(6a)가 장착되어 있다. 또, 단자(3)에 소선을 접속하지 않는 것이면, 선 누름부(6a)를 생략하여 구성해도 괜찮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의 측면도이다. 단자 나사(6)는, 나사 헤드(61)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고리 모양 돌기(62)를 구비하고 있다. 나사 선단(63)은, 면취(面取, 모따기)가 실시되어 나사 구멍(3a)보다도 소경(小徑)으로 되어 있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케이스(2)는, 단자(3)끼리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절연(絶緣) 배리어(barrier)(21)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3)끼리의 사이는 절연 배리어(21)에 의해서 가로막혀진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배리어(21)에는, 오목부(22)가 마련되어 있다. 또, 케이스(2)는, 절연 배리어(21)와 서로 마주보는 벽부(壁部)(23)를 구비하고 있다. 벽부(23)에는, 절연 배리어(21)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 돌기(24)가 마련되어 있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커버의 상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면도이며, 도 5 중의 VII-VII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면도이며, 도 5 중의 VIII-VIII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단자 커버(4)는, 케이스(2)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단자(3)를 단자 나사(6)의 나사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부터 덮는 정면부(41)와, 케이스(2)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단자 나사(6)의 나사 삽입 방향을 따르도록 정면부(41)로부터 연장되는 텅부(tongue部)(42)와, 텅부(42)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텅부(42)를 사이에 두고 정면부(41)로부터 연장되는 제1 암부(43) 및 제2 암부(44)를 가진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부(41)는, 단자 나사(6)에 대해 나사 헤드(61)측에 배치되고, 텅부(42)는, 단자 나사(6)의 축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암부(43) 및 제2 암부(44)와 텅부(42)는, 텅부(42)의 두께 방향의 위치가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다. 제1 암부(43) 및 제2 암부(44)와 텅부(42)가, 텅부(42)의 두께 방향의 위치가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는 부분은, 도 7 및 도 8에 화살표 O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제1 암부(43)와 제2 암부(44)는, 연결부(49)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 제2 암부(44)에 인접하지 않은 제1 암부(43)에는, 텅부(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431)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암부(43)에 인접하지 않은 제2 암부(44)에는, 텅부(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441)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암부(43)의 텅부(42)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제1 외측 가이드(432)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암부(44)의 텅부(42)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제2 외측 가이드(442)가 마련되어 있다.  
텅부(42)의 측면의 제1 암부(43)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제1 내측 가이드(45)가 마련되어 있다. 텅부(42)의 측면의 제2 암부(44)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제2 내측 가이드(46)가 마련되어 있다. 텅부(42)의 상면에는, 단자 나사(6)의 가고정에 이용하는 걸림 볼록부(4a)가 마련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볼록부(4a)는, 텅부(42)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늘어서 2개 마련되어 있다. 걸림 볼록부(4a)가 마련된 부분은, 텅부(42)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421)이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부(41)에는, 드라이버 삽입 구멍(41a)이 마련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내측 가이드(45)와 제1 외측 가이드(432)는,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으며, 제2 내측 가이드(46)와 제2 외측 가이드(442)란,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케이스에 단자 커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자 커버(4)는, 도 9의 화살표 A방향으로부터 케이스(2)에 장착된다. 단자 커버(4)를 케이스(2)에 장착할 때, 걸림 돌기(431)가 마련된 제1 암부(43)는, 도 9의 화살표 B방향으로 휘고, 걸림 돌기(441)가 마련된 제2 암부(44)는, 도 9의 화살표 C방향으로 휘며, 연결부(49)에 의해 연결된 제1 암부(43) 및 제2 암부(44)는, 도 9의 화살표 D방향으로 휜다. 단자 커버(4)가 화살표 A방향으로 장착 위치까지 밀어넣어지면, 걸림 돌기(431, 441)는, 벽부(23)에 마련된 걸림 돌기(24)에 걸리고, 또한 연결부(49)는, 절연 배리어(21)에 마련된 오목부(22)에 걸리며, 제1 암부(43) 및 제2 암부(44)는 휨이 없는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단자 커버(4)는, 걸림 돌기(431, 441)와 걸림 돌기(24)와의 걸림 및 연결부(49)와 오목부(22)와의 걸림에 의해 케이스(2)에 고정된다.
도 10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 홀더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 홀더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 홀더의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면도이며, 도 10 중의 XIV-XIV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면도이며, 도 10 중의 XV-XV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단자 나사 홀더(5)는, 단자 나사(6)를 유지하고, 단자 커버(4)에 안내되어 단자 나사(6)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유지부(51)와, 텅부(42)가 관통하고, 내면에 제1 내측 가이드(45)에 대향하는 제1 피내측 가이드(52a) 및 제2 내측 가이드(46)에 대향하는 제2 피내측 가이드(52b)를 가지는 피가이드부(52)와, 외면에 제1 외측 가이드(432)에 대향하는 제1 피외측 가이드(53a) 및 제2 외측 가이드(442)에 대향하는 제2 피외측 가이드(53b)를 가지는 조작부(53)를 구비한다. 피가이드부(52)는, 텅부(42)의 상면과 대향하는 부분에 돌기(5b)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부(51)와 피가이드부(52)는 연결되어 있고, 양자 사이에는 잘록부(54)가 마련되어 있다. 피가이드부(52)에는, 걸림 볼록부(4a)와 걸리는 돌기(5b)가 마련되어 있다. 제1 피외측 가이드(53a)는, 제1 피내측 가이드(52a)보다도 단자 나사(6)의 나사 삽입 방향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제2 피외측 가이드(53b)는, 제2 피내측 가이드(52b)보다도 단자 나사(6)의 나사 삽입 방향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유지부(51)의 내측에는, 단자 나사(6)를 착탈하는 방향의 위치를 비켜 놓아 제1 볼록부(51a)와 제2 볼록부(51b)가 마련되어 있다.
단자 나사(6)는, 고리 모양 돌기(62)가 단자 나사 홀더(5)의 제1 볼록부(51a)와 제2 볼록부(51b)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 단자 나사 홀더(5)에 고정되고, 단자 나사(6)가 축방향으로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단자 나사 홀더(5)는, 유지부(51)와 피가이드부(52)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부(51)를 탄성 변형시키기 쉽게 되어 있고, 단자 나사(6)를 유지부(51)에 장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잘록부(54)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부(51)에 유지한 단자 나사(6)는, 단자 나사 홀더(5)로부터 탈락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안내하는 측인 도 6에 나타낸 제1 외측 가이드(432)는, 안내되는 측인 제1 피외측 가이드(53a)보다도 단자 나사(6)의 나사 삽입 방향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안내하는 측인 도 6에 나타낸 제2 외측 가이드(442)는, 안내되는 측인 제2 피외측 가이드(53b)보다도 단자 나사(6)의 나사 삽입 방향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또, 안내하는 측인 도 6에 나타낸 제1 내측 가이드(45)는, 안내되는 측인 제1 피내측 가이드(52a)보다도 단자 나사(6)의 나사 삽입 방향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안내하는 측인 도 6에 나타낸 제2 내측 가이드(46)는, 안내되는 측인 제2 피내측 가이드(52b)보다도 단자 나사(6)의 나사 삽입 방향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제1 외측 가이드(432)는, 가고정 위치와 단자 나사(6)의 나사 선단(63)이 나사 구멍(3a)에 들어가는 위치와의 사이의 구간에서 제1 피외측 가이드(53a)를 안내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외측 가이드(442)는, 가고정 위치와 단자 나사(6)의 나사 선단(63)이 나사 구멍(3a)에 들어가는 위치와의 사이의 구간에서 제2 피외측 가이드(53b)를 안내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
텅부(42)를 피가이드부(52)에 삽입하면, 제1 외측 가이드(432)와 제1 피외측 가이드(53a)가 대향하고, 제2 외측 가이드(442)와 제2 피외측 가이드(53b)가 대향한다. 또, 제1 외측 가이드(432)와 제1 피외측 가이드(53a)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clearance), 제2 외측 가이드(442)와 제2 피외측 가이드(53b)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 제1 내측 가이드(45)와 제1 피내측 가이드(52a)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 및 제2 내측 가이드(46)와 제2 피내측 가이드(52b)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제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텅부(42)를 피가이드부(52)에 삽입했을 때에, 제1 외측 가이드(432)와 제1 피외측 가이드(53a)가 접촉하고, 제2 외측 가이드(442)와 제2 피외측 가이드(53b)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내측 가이드(45)와 제1 피내측 가이드(52a)가 접촉하고, 제2 내측 가이드(46)와 제2 피내측 가이드(52b)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 외측 가이드(432)와 제1 피외측 가이드(53a)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 제2 외측 가이드(442)와 제2 피외측 가이드(53b)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 제1 내측 가이드(45)와 제1 피내측 가이드(52a)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 및 제2 내측 가이드(46)와 제2 피내측 가이드(52b)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반드시 제로가 아니라도 괜찮다.
제1 피내측 가이드(52a) 및 제2 피내측 가이드(52b)를 합쳐서 피내측 가이드라고 칭하고, 제1 피외측 가이드(53a) 및 제2 피외측 가이드(53b)를 합쳐서 피외측 가이드라고 칭하면, 단자 나사 홀더(5)는, 단자 커버(4)가 관통하는 형상(고리 모양부를 가지는 형상)으로서, 내측면에 피내측 가이드를 구비하고, 외측면에 피외측 가이드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1 내측 가이드(45) 및 제2 내측 가이드(46)를 합쳐서 내측 가이드라고 칭하고, 제1 외측 가이드(432) 및 제2 외측 가이드(442)를 합쳐서 외측 가이드라고 칭하면, 단자 커버(4)는, 단자 나사 홀더(5)를 관통하여 피내측 가이드를 안내하는 내측 가이드와 피외측 가이드를 안내하는 외측 가이드를 가진다.
도 16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 가고정 구조의 정면도이다. 단자 커버(4), 단자 나사 홀더(5) 및 단자 나사(6)를 조합시켜 구성한 단자 나사 가고정 구조(9)는, 텅부(42)의 두께 방향에서, 제1 암부(43) 및 제2 암부(44)와 텅부(42)와의 단차(L1)는, 조작부(53)와 텅부(42)와의 단차(L2)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가 가고정된 상태에서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6에 나타낸 정면부(41)로부터 먼 측의 걸림 볼록부(4a)와 도 10에 나타낸 돌기(5b)가 걸려 단자 나사(6)가 가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8은, 도 6에 나타낸 정면부(41)에 가까운 측의 걸림 볼록부(4a)와 도 10에 나타낸 돌기(5b)가 걸려 단자 나사(6)가 가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단자 나사(6)가 가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부(53)에 도 17 및 도 18 중의 화살표 E방향의 힘, 환언하면 단자 나사(6)의 나사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하면, 단자 나사 홀더(5)는, 제1 피내측 가이드(52a)가 제1 내측 가이드(45)로 안내되고, 제2 피내측 가이드(52b)가 제2 내측 가이드(46)로 안내되며, 제1 피외측 가이드(53a)가 제1 외측 가이드(432)로 안내되고, 제2 피외측 가이드(53b)가 제2 외측 가이드(442)로 안내되는 것에 의해, 단자 나사(6)의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하며, 도 17 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나사(6)가 나사 구멍(3a)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걸림 볼록부(4a)와 돌기(5b)가 걸리고, 단자 나사(6)가 나사 구멍(3a)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가고정된다. 텅부(42)에는, 걸림 볼록부(4a)가 두 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3)와 단자 나사(6)와의 간격이 다른 2개의 위치에서 단자 나사(6)를 가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텅부(42)의 두께 방향에서, 제1 암부(43) 및 제2 암부(44)와 텅부(42)와의 단차(L1)는, 조작부(53)와 텅부(42)와의 단차(L2)보다도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암부(43) 또는 제2 암부(44)가 조작부(53)를 조작하는데 있어서의 장해가 되지는 않는다.
또, 제1 암부(43) 및 제2 암부(44)와 텅부(42)는, 텅부(42)의 두께 방향의 위치가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기 때문에, 조작부(53)에 힘을 가해 단자 나사 홀더(5)를 슬라이드시켜 단자 나사(6)를 가고정할 때에, 도 17 및 도 18에 화살표 R로 나타내는 단자 커버(4)를 케이스(2)로부터 떼어내는 힘은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단자 나사 홀더(5)를 조작하여 단자 나사(6)를 가고정할 때에, 단자 커버(4)가 케이스(2)로부터 탈락되는 것은 일어나기 어렵다.
도 19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가 가고정된 상태에서의 단자 나사 가고정 구조의 단면도이다. 또, 도 19는, 돌기(5b)가 정면부(41)에 가까운 측의 걸림 볼록부(4a)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돌기(5b)가, 정면부(41)에 가까운 측의 걸림 볼록부(4a)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단자(3)와 단자 나사(6)와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단자(3)에 환형(丸形) 압착 단자 부착 전선(7)의 압착 단자를 배치하는 작업을 행하기 쉽다.
한편, 돌기(5b)가, 정면부(41)로부터 먼 측의 걸림 볼록부(4a)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단자 나사 홀더(5)가 정면부(41)로부터 나사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정면부(41)에 다른 물체가 맞닿아도, 단자 나사(6)를 가고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0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에 환형 압착 단자 부착 전선을 배치한 상태에서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단자 나사(6)가 가고정된 상태에서는, 나사 구멍(3a)과 단자 나사(6)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때문에, 환형 압착 단자 부착 전선(7)의 압착 단자를 나사 구멍(3a)에 배치할 수 있다.
도 2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의 가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가고정 상태에 있는 단자 나사(6)에, 단자 커버(4)의 드라이버 삽입 구멍(41a)을 통과한 드라이버(8)에 의해 화살표 F방향의 힘, 환언하면 단자 나사(6)의 나사 삽입 방향의 힘을 가하면, 걸림 볼록부(4a)와 돌기(5b)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단자 나사 홀더(5)가 슬라이드하여 단자 나사(6)는 나사 선단(63)이 나사 구멍(3a)에 들어가는 위치까지 안내된다. 도 2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단자 나사의 나사 선단이 나사 구멍에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나사 선단(63)이 나사 구멍(3a)에 들어간 상태에서는, 드라이버(8)에 의해 단자 나사(6)를 돌리는 것만으로, 단자 나사(6)를 나사 구멍(3a)에 나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접촉기(1)에서는, 단자(3)에 환형 압착 단자를 접속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전자 접촉기(1)는, 단자 나사 홀더(5)의 제1 피외측 가이드(53a) 및 제2 피외측 가이드(53b)가 단자 커버(4)의 제1 외측 가이드(432) 및 제2 외측 가이드(442)에 의해서, 단자 나사(6)가 나사 구멍(3a)에 이르는 위치까지 안내되기 때문에, 단자 나사(6)가 중심축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드라이버(8)에 의해서 나사 삽입 방향으로 밀어넣어져도, 단자 나사(6)가 나사 구멍(3a)으로부터 어긋난 위치로 안내되지 않는다. 또, 제1 피내측 가이드(52a) 및 제2 피내측 가이드(52b)의 단자 나사(6)의 나사 삽입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단자 나사 홀더(5)의 케이스(2) 내에 배치되는 부분의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자 접촉기(1)는, 외형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단자 나사(6)를 나사 구멍(3a)에 확실히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전자 접촉기(1)에서는, 환형 압착 단자 부착 전선(7)의 배선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암부(43) 및 제2 암부(44)는, 단자 나사(6)의 중심축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드라이버(8)에 의해서 단자 나사(6)가 나사 삽입 방향으로 밀어넣어져도, 단자 나사 홀더(5)가 올라앉지 않는 높이를 가진다. 따라서, 단자 나사(6)가 중심축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드라이버(8)에 의해서 나사 삽입 방향으로 밀어넣어져도, 단자 나사(6)가 나사 구멍(3a)으로부터 어긋난 위치로 안내되지 않는다.
도 9에 나타내는 오목부(22)에 연결부(49)를 거는 것에 의해, 단자 나사 홀더(5)의 조작부(53)를 조작할 때에, 생각 이상으로 큰 힘이 가해져도, 단자 커버(4)가 용이하게 탈락되는 것은 억제된다.
게다가, 단자 나사(6)가 중심축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드라이버(8)에 의해서 나사 삽입 방향으로 밀어넣어져, 제1 외측 가이드(432) 또는 제2 외측 가이드(442)가 단자 나사 홀더(5)로부터 힘을 받는 경우에도, 제1 암부(43) 또는 제2 암부(44)의 휨량이 작게 되어, 단자 나사(6)를 안정되게 나사 구멍(3a)에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져, 배선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 인접하는 제1 암부(43)와 제2 암부(44)를 연결부(49)에 의해 연결한 구조를 나타냈지만, 연결부(49)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접촉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접하는 제1 암부(43)와 제2 암부(44)와의 사이에 연결부를 마련하지 않는 것에 의해, 단자 커버(4)의 형상이 단순하게 되기 때문에, 단자 커버(4)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전자 접촉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환형 압착 단자가 나사 고정되는 단자를 가지는 다른 전기 기기, 즉, 전자 개폐기, 매뉴얼 모터(manual motor) 스타터(starter) 또는 브레이커와 같은 전기 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단자(3)를 복수 가지는 전기 기기에 한정되지 않고, 단자(3)가 1개인 전기 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전자 접촉기 2 : 케이스
3 : 단자 3a : 나사 구멍
4 : 단자 커버 4a : 걸림 볼록부
5 : 단자 나사 홀더 5b : 돌기
6 : 단자 나사 6a : 선 누름부
7 : 환형 압착 단자 부착 전선 8 : 드라이버
9 : 단자 나사 가고정 구조 21 : 절연 배리어
22 : 오목부 23 : 벽부
24, 431, 441 : 걸림 돌기 41 : 정면부
41a : 드라이버 삽입 구멍 42 : 텅부
43 : 제1 암부 44 : 제2 암부
45 : 제1 내측 가이드 46 : 제2 내측 가이드
49 : 연결부 51 : 유지부
51a : 제1 볼록부 51b : 제2 볼록부
52 : 피가이드부 52a : 제1 피내측 가이드
52b : 제2 피내측 가이드 53 : 조작부
53a : 제1 피외측 가이드 53b : 제2 피외측 가이드
54 : 잘록부 61 : 나사 헤드
62 : 고리 모양 돌기 63 : 나사 선단
421 : 홈 432 : 제1 외측 가이드
442 : 제2 외측 가이드

Claims (9)

  1. 단자(端子) 나사 홀더에 의해서 유지된 단자 나사를, 단자 커버를 이용하여 단자의 나사 구멍으로부터 떨어진 가(假)고정 위치에서 가고정할 수 있는 전기 기기로서,
    상기 단자 나사 홀더는, 고리 모양부를 가지는 형상으로서, 상기 고리 모양부의 내측면에 피(被)내측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고리 모양부의 외측면에 피외측 가이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단자 나사 홀더의 상기 고리 모양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내측 가이드를 안내하는 내측 가이드와, 상기 피외측 가이드를 안내하는 외측 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피외측 가이드는, 상기 피내측 가이드보다도 상기 단자 나사의 나사 삽입 방향의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2. 단자(端子) 나사 홀더에 의해서 유지된 단자 나사를, 단자 커버를 이용하여 단자의 나사 구멍으로부터 떨어진 가(假)고정 위치에서 가고정할 수 있는 전기 기기로서,
    상기 단자 나사 홀더는, 고리 모양부를 가지는 형상으로서, 상기 고리 모양부의 내측면에 피(被)내측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고리 모양부의 외측면에 피외측 가이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단자 나사 홀더의 상기 고리 모양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내측 가이드를 안내하는 내측 가이드와, 상기 피외측 가이드를 안내하는 외측 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외측 가이드는, 상기 가고정 위치와 상기 단자 나사의 나사 선단이 상기 나사 구멍에 들어가는 위치와의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피외측 가이드를 안내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3. 단자(端子) 나사 홀더에 의해서 유지된 단자 나사를, 단자 커버를 이용하여 단자의 나사 구멍으로부터 떨어진 가(假)고정 위치에서 가고정할 수 있는 전기 기기로서,
    상기 단자 나사 홀더는, 상기 단자 나사를 유지하고, 상기 단자 커버에 안내되어 상기 단자 나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유지부와, 내면에 피(被)내측 가이드를 가지는 피가이드부와, 외면에 피외측 가이드를 가지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단자 나사의 나사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피가이드부를 관통 가능한 텅부(tongue部)와, 상기 텅부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텅부를 사이에 두고 연장되는 외측 가이드를 가지는 한 쌍의 암부를 구비하며,
    상기 텅부는, 상기 피내측 가이드를 안내하는 내측 가이드를 측면에 가지고,
    한 쌍의 상기 암부는, 상기 피외측 가이드를 안내하는 외측 가이드를 상기 텅부와 대향하는 부분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외측 가이드는, 상기 피내측 가이드보다도 상기 단자 나사의 나사 삽입 방향의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가이드는, 상기 가고정 위치와 상기 단자 나사의 나사 선단이 상기 나사 구멍에 들어가는 위치와의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피외측 가이드를 안내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텅부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암부와 상기 텅부와의 단차는, 상기 조작부와 상기 텅부와의 단차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단자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걸리는 걸림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암부와 상기 텅부는, 상기 텅부의 두께 방향의 위치가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자를 복수 구비하며,
    상기 단자 커버는, 복수의 상기 단자의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텅부 및 상기 암부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상기 단자에 대응하는 상기 암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는, 복수의 상기 단자를 가로막는 절연 배리어에, 상기 연결부와 걸리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9. 삭제
KR1020187010805A 2015-09-29 2015-09-29 전기 기기 KR102032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7583 WO2017056198A1 (ja) 2015-09-29 2015-09-29 電気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737A KR20180053737A (ko) 2018-05-23
KR102032812B1 true KR102032812B1 (ko) 2019-10-16

Family

ID=58363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805A KR102032812B1 (ko) 2015-09-29 2015-09-29 전기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99826B1 (ko)
KR (1) KR102032812B1 (ko)
CN (1) CN108140513B (ko)
WO (1) WO20170561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3818B (zh) * 2020-12-11 2022-11-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支架组件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6779U (ja) * 1983-12-07 1985-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機器の端子装置
JP2725519B2 (ja) * 1991-10-01 1998-03-11 三菱電機株式会社 端子台
JP3307183B2 (ja) * 1995-09-06 2002-07-24 富士電機株式会社 電気機器の端子装置
JP4110437B2 (ja) * 1999-10-29 2008-07-02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開閉器の端子装置
JP2005235730A (ja) * 2004-01-22 2005-09-02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開閉器の端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40513B (zh) 2019-08-16
WO2017056198A1 (ja) 2017-04-06
JPWO2017056198A1 (ja) 2017-10-05
KR20180053737A (ko) 2018-05-23
JP6099826B1 (ja) 2017-03-22
CN108140513A (zh)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630B1 (ko) 커넥터 장치
KR101674998B1 (ko) 커넥터
US10505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supports
KR101478585B1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KR101586486B1 (ko) 커넥터
US10050400B2 (en) Connection cage for connecting two electrical flat contacts
EP2658041A1 (en) Lever-type connector, and wire cover
US20190237898A1 (en) Cable connector having cable holders
TWM553508U (zh) 連接器
EP2863486A1 (en) Socket-shaped housing, connector, and connector arrangement with cable support
JP6190348B2 (ja) コネクタの支持構造及びアダプタ
JP2017084625A5 (ko)
US9954306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JP2017045572A (ja) コネクタ
WO2013027352A1 (en) Connector with cover
KR20150034102A (ko) 선형상 도체 접속용 단자
US9793652B2 (en) Contact device for contacting an electric condu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to an electrical conductor track
KR102461375B1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US10340097B2 (en) Installation switching device having a contact clamp
KR102032812B1 (ko) 전기 기기
US9716335B2 (en) Connector assembly
US20150155641A1 (en) Electric wire pinch structure
WO2019035331A1 (ja) コネクタ
KR10136080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08084672A (ja) 合体解除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