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785B1 - 불소계 오일상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 - Google Patents

불소계 오일상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785B1
KR102032785B1 KR1020130031746A KR20130031746A KR102032785B1 KR 102032785 B1 KR102032785 B1 KR 102032785B1 KR 1020130031746 A KR1020130031746 A KR 1020130031746A KR 20130031746 A KR20130031746 A KR 20130031746A KR 102032785 B1 KR102032785 B1 KR 102032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uorine
liquid
layered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064A (ko
Inventor
박노을
송영숙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30109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상층, 수상층 및 불소계 오일상층을 포함하며, 상기 유상층, 수상층 및 불소계 오일상층은 층을 이루어 서로 분리가 되어 있으며, 상기 불소계 오일상층에 포함되는 불소계 오일은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hydrophilic perfluoropolymer liquid)를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품 사용 시 불소계 오일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화장료의 피부 도포 시 각 층이 잘 혼합되도록 하였으며, 또한 사용하지 아니할 때는 안정한 층상을 이룰 수 있으며, 피부에 저자극성인 즉, 피부에 안전한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불소계 오일상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layered cosmetic product comprising fluorine oil}
본 발명은 불소계 오일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소계 오일을 포함한 층상 화장품에서 불소계 오일의 분산성을 높일 수 있는 층상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불소계 오일은 기체를 가용하는 능력이 커서 산소를 다량 용해할 수 있으며, 다이버나 우주조종사들의 액체 호흡원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인공혈액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불소계 오일은 발수성 및 발유성이 커서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준다는 점 및 부드러운 사용감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화장료 성분으로 좋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화장료 성분으로 사용하기에 불소계 오일은 리포포빅(lipophobic)하면서도 동시에 하이드로포빅(hydrophobic)한 특성 때문에 주로 유상과 수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화장품에서 분리되어 이러한 불소계 오일을 5중량% 이상으로 포함하기에 다소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소계 오일과 같은 물질을 화장품 내에 다량으로 포함하기 위한 방법으로, 층상 화장품을 도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화장품은 에멀젼 형태로 단일 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 이러한 단일상 화장품과는 다른 형태인 층상 화장품 역시 가능하며, 층상 화장품은 단일상 화장품과 달리 시각적 차별화, 사용방법에서의 차별화(사용하기 직전에 흔들어서 사용) 및 섞이지 않는 원료들을 다량 함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지닌다.
다만, 이러한 불소계 오일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층상 화장품 역시 사용 직전에는 불소계 오일이 화장품에 분산되어야 하므로, 화장품 내에서 불소계 오일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사용하지 아니한 때에는 안정하게 층상으로 분리되어 있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가역적인 분산-분리 과정은 화장품 유통기간(통상 3년)까지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불소계 오일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의 사용 시 분산성의 향상 및 층상 화장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부에 저자극성인 층상 화장품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상층, 수상층 및 불소계 오일상층을 포함하며, 상기 유상층, 수상층 및 불소계 오일상층은 층을 이루어 서로 분리가 되어 있으며, 상기 불소계 오일상층에 포함되는 불소계 오일은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hydrophilic perfluoropolymer liquid)를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상기 불소계 오일상층은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 단독으로 포함하여도 가능하고, 또는 친수성 퍼플루오르폴리머 리퀴드 이외에 a) 플루오로카본 유도체 또는 b) 플루오로카본 유도체 및 플루오로 카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는 하이드록시기(hydorxy group), 에터기(ether group), 아미드기(amide group), 에스터기(ester group), 폴리에틸렌글리콜기(polyehthylene glycol(PEG) group), 설폰기(sulfonate group)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 및 포스페이트기(phosphate grou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친수성 관능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는 퍼플루오로하이드록시폴리머 리퀴드(perfluorohydroxypolymer liquid), 퍼플로오로에터폴리머 리퀴드(perfluoroetherpolymer liquid), 퍼플루오로아미드폴리머 리퀴드(perfluoroamidepolymer liquid), 퍼플루오로에스터폴리머 리퀴드(perfluoroesterpolymer liquid), 퍼플루오로폴리옥시에틸렌 리퀴드(perfluoropolyoxyethylene liquid), 퍼플루오로폴리설포네이트 리퀴드(perfluoropolysulfonate liquid), 퍼플루오로폴리카르복실레이트 리퀴드(perfluoropolycarboxylate liquid) 및 퍼플루오로폴리포스페이트 리퀴드(perfluoropoly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는 바람직하게 상기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는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하이드록시에틸 에터(Polyperfluoroethoxymethoxy Difluorohydroxyethyl Ether),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에틸 피이지 에터(Polyperfluoroethoxymethoxy Difluoroethyl PEG ether),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메틸 다이스테아라마이드(Polyperfluoroethoxymethoxy Difluoromethyl Distearamide) 및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메틸 에터 (Polyperfluoroethoxymethoxy Difluoro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는 전체 층상 화장품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0중량%일 수 있으며 또한, 전체 불소계 오일상층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 5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가 전체 층상 화장품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범위인 0.5 내지 90중량%를 만족한다면, 전체 불소계 오일상층에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만을 첨가하는 경우, 즉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가 불소계 오일상층 총 중량의 100%인 경우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상층은 염화나트륨(NaCl)을 포함하거나 혹은 에탄올(ethanol)을 포함하거나, 염화나트륨 및 에탄올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상층, 수상층 및 불소계 오일상층은 각각 전체 층상 화장품의 2 내지 90 중량%이다.
본 발명은 불소계 오일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을 제공함으로써, 불소계 오일의 발수성 및 발유성으로 인하여 외부 자극에서 피부를 보호해 줄 수 있으며, 층상 화장품으로서 단일 화장품보다 시각적 차별화, 사용방법의 차별화 및 섞이지 않는 불소계 오일을 다량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불소계 오일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에서 본 발명은 이러한 화장품의 사용 시 불소계 오일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화장료의 피부 도포 시 각 층이 잘 혼합되도록 하였으며, 또한 사용하지 아니할 때는 안정한 층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피부에 저자극성인 즉, 피부에 안전한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하여 흔든 상태의 모습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품이 층상으로 분리된 상태의 모습이다.
도 3은 실시예 4에 따른 층상 화장품으로서, 이 화장품이 층상으로 분리된 상태의 모습이다.
도 4는 실시예 5에 따른 층상 화장품으로서, 이 화장품이 층상으로 분리된 상태의 모습이다.
도 5는 실시예 6에 따른 층상 화장품으로서, 이 화장품이 층상으로 분리된 상태의 모습이다.
도 6은 실시에 5에 따른 화장품 및 비교예 4의 화장품의 사용감 평가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은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유상층, 수상층 및 불소계 오일상층을 포함하며, 상기 유상층, 수상층 및 불소계 오일상층은 층을 이루어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불소계 오일상층에 포함되는 불소계 오일은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hydrophilic perfluoropolymer liquid)를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층상 화장품은 단일상의 에멀젼이 아닌 두 개 이상의 섞이지 아니하는 성분으로 인하여 성분들이 층을 이루고 있는 화장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유상층, 수상층 및 불소계 오일상층을 포함하여, 상기 세 가지 성분은 서로 친화성이 좋지 아니하여, 상기 유상층, 수상층 및 불소계 오일상층은 정적인 상태에서 서로 혼합되지 아니하고 3가지 층으로 분리가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상층, 수상층 및 불소계 오일상층은 화장품의 조성에 따라서 그 층의 순서가 변동될 수 있다.
이러한 불소계 오일상층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은 정적인 상태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지만, 사용 시에는 흔들어서 도 1과 같이 불소계 오일이 분산되어 피부에 도포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화장품을 흔들고 나서 뚜껑을 열어 얼굴에 도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보다 더 긴 시간 동안 불소계 오일이 화장품에 모두 분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불소계 오일상층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의 사용 시 불소계 오일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소비자가 화장품을 흔들고 나서 뚜껑을 열어 얼굴에 도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최소 10초 이상이고, 따라서 화장품으로서 적정한 품질을 갖기 위하여 층상으로의 분리 속도는 30초 이상을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흔들고 난 이후에 도 2와 같이 다시 층상으로 분리되며, 일반적으로 최대 8시간 경과 이후에는 처음과 같은 층상으로 안정하게 분리되어야 한다. 즉, 다시 층상 제형을 이룰 수 있도록 층상 제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필요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화장품으로 직접 피부에 도포되기에 피부에 저자극인, 피부에 안전한 층상 화장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불소계 오일상층에 포함되는 불소계 오일은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hydrophilic perfluoropolymer liquid)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불소계 오일상층에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를 포함하였을 때, 불소계 오일의 분산성, 층상 화장품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피부에 저자극성인 즉 피부에 안전한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소계 오일상층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소계 오일상층은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 단독 또는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 이외에 a) 플루오로카본 유도체 또는 b) 플루오로카본 유도체 및 플루오로 카본을 포함할 수 있다. 플루오로카본(fluorocarbon)은 탄화수소의 분자 내 수소가 전부 플루오르 원자로 치환된 화합물이며, 플루오로카본 유도체는 플루오로폴리머(fluoropolymer), 플루오로텔로머(fluorotelomer), 과불소화 화합물(perfluorinated compound, PFC), 또는 유기불소 화합물(organofluorine compound)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불소계 오일상에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를 포함하여야 본원 발명에 따른 목적인 불소계 오일상의 분산성 향상, 층상 화장품의 안정성 및 피부에 대한 저자극성의 화장품을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가 불소계 오일상의 분산성 향상 및 층상 화장품의 안정성 향상의 용도로 포함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용도는 종래에는 개시되지 않았던 새로운 용도이다.
종래에 에터기를 가지는 불소계 오일인 Ethylperfluorobutyl ether 및 Ethylperfluoroisobutyl ether과 에탄올을 30% 이상 다량 사용하여 분산성을 높이는 시도가 있었다. 이때 다량의 에탄올의 첨가는 불소계 오일의 분산성 향상 및 안정한 층상 제형을 만드는데 필수적이었지만, 에탄올을 다량 사용한 경우에 피부에 자극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화장품은 PII(primary irritation index)가 0.35로, 즉 이는 가벼운 홍반을 의미하는 바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불소계 오일 상에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를 포함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상기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는 하이드록시기(hydorxy group), 에터기(ether group), 아미드기(amide group), 에스터기(ester group), 폴리에틸렌글리콜기(polyehthylene glycol(PEG) group), 설폰기(sulfonate group)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 및 포스페이트기(phosphate grou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친수성 관능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기란 -(CH2CH2O)n- 의 형태를 의미한다.
또는, 상기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는 퍼플루오로하이드록시폴리머 리퀴드(perfluorohydroxypolymer liquid), 퍼플로오로에터폴리머 리퀴드(perfluoroetherpolymer liquid), 퍼플루오로아미드폴리머 리퀴드(perfluoroamidepolymer liquid), 퍼플루오로에스터폴리머 리퀴드(perfluoroesterpolymer liquid), 퍼플루오로폴리옥시에틸렌 리퀴드(perfluoropolyoxyethylene liquid), 퍼플루오로폴리설포네이트 리퀴드(perfluoropolysulfonate liquid), 퍼플루오로폴리카르복실레이트 리퀴드(perfluoropolycarboxylate liquid) 및 퍼플루오로폴리포스페이트 리퀴드(perfluoropoly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는 바람직하게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는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하이드록시에틸 에터(Polyperfluoroethoxymethoxy Difluorohydroxyethyl Ether),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에틸 피이지 에터(Polyperfluoroethoxymethoxy Difluoroethyl PEG ether),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메틸 다이스테아라마이드(Polyperfluoroethoxymethoxy Difluoromethyl Distearamide) 및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메틸 에터 (Polyperfluoroethoxymethoxy Difluoro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하게 선택된 화합물을 선택하였을 때에 층상료 화장품에 있어서 불소계 오일의 분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층상 화장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하이드록시에틸 에터는 하기 화학식 1과 같으며,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메틸 다이스테아라마이드는 하기 화학식 2와 같고,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메틸 에터는 하기 화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1302576180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p/q의 평균 값은 1이며, 상기 화학식 1에서, p/q= 0.5 내지 3일 때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13025761807-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CO는 스테아로일기 부분(stearoyl moiety)을 의미한다.
Figure 112013025761807-pat00003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는 전체 층상 화장품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 2 내지 70중량%일 수 있다.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가 전체 층상 화장품 총 중량의 0.5중량% 미만이면, 층상 화장품을 흔들어 분산시킨 이후 다시 층상으로 분리되는 시간이 30초보다 짧게 되어 본 발명에서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90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불소계 오일상이 너무 많이 첨가되어 3층의 구별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리퀴드는 전체 불소계 오일상층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 5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가 전체 층상 화장품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90중량%를 만족한다면, 친수성 퍼플루오로 폴리머를 100%로 포함할 수도 있다.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가 전체 불소계 오일상층 총 중량의 1중량% 미만이면, 층상 화장품을 흔들어 분산시킨 이후 다시 층상으로 분리되는 시간이 짧아 본 발명에서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전체 불소계 오일상층이 모두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리퀴드로만 이루어진 경우에도 3층의 혼합-분리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유상은 a)오일 또는 b) 오일 및 오일상에 섞이는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오일 및 오일상에 섞이는 성분들은 화장품으로 유용한 것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구조에 따라서 에스터계 오일, 예를 들어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hylethylhexanoate),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neopentyl glycol dicaprate) 등; 고분자 오일, 예를 들어 폴리아이소부텐(polyisobutene), 하이드로게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등; 또는 실리콘 오일, 예를 들어 디메치콘(dimethicone, 페닐트리메치콘(phenyltrimethicon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화장료 성분에 적합하며 유상에 적합한 물질이며 가능하다.
또는 그 유래에 따라서 식물성 오일, 예를 들어 마카다미아 오일, 올리브 오일, 라벤더 오일 등; 동물성 오일, 예를 들어 스쿠알란 등; 광물성 오일, 예를 들어 미네랄 오일 등; 또는 합성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화장료 성분에 적합하며 유상에 적합한 물질이며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예들 이외에도 실온에서 오일상에 섞이는 물질, 예를 들어 세드롤(cedrol), 토코페롤(tocopherol), 또는 레티놀(rethino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화장료 성분에 적합하며 유상에 적합한 물질이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수상은 a) 물(바람직하게는 정제수) 또는 b) 물 및 물에 섞이는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물 및 물에 섞이는 성분들로 화장품으로 유용한 것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상은 정제수,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린, 1,2-헥산디올, 솔비톨, 자일리톨 등), 물과 섞이는 용액(예를 들어, 알코올,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 킬레이팅제(EDTA-3Na 등), pH조절제(AHA, TEA 등), 수용성 색소, 다당류(베타-글루칸, 바이오사카라이드검 등), 수용성 폴리머(카보머(carbomer), 잔탄검 등), 전해질(NaCl, MgSO3 등), 방부제(페녹시에탄올 등), 각종 수용성 추출물, 발효물 또는 기능성 물질(L-hydroxyproline, 니코틴아마이드 등) 등의 물과 섞이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화장료 성분에 적합하며 수상에 적합한 물질이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상기 수상층은 염화나트륨(NaCl)을 포함하거나 혹은 에탄올(ethanol)을 포함하거나, 염화나트륨 및 에탄올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전체 상기 염화나트륨을 더 첨가하였을 때에는 층과 층 사이에 생기는 에멀전을 줄여서 깨끗한 층간 계면을 가진 화장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에탄올을 더 첨가하였을 때에는 유상과 수상의 친화도를 높여 수상과 불소오일 층 사이에 있는 유상 방울을 없애며, 계면을 편평하게 만들어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외관 개선을 위한, 상기 에탄올의 함량은 전체 층상 화장품 총 중량의 1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1중량% 미만으로 함유하는 경우에는 실시예 5와 같이 수상과 불소 오일상층 계면이 다소 깨끗하지 않아 미관상 품질이 떨어질 뿐 불소계 오일을 포함한 층상 화장품을 만드는데 큰 문제는 없지만, 15중량%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피부에 자극을 주어 홍반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피부장벽에 손상을 주어 건조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상층, 수상층 및 불소계 오일상층은 전체 층상 화장품의 2 내지 90 중량%이다. 최소 2중량%를 포함하여야 육안으로 3층의 구별이 가능하며, 그 미만으로 포함하면 층과 층 사이에 편평한 층을 존재하지 못하고 방울방울 존재하여 육안으로 3층을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각 층을 단독으로 90중량% 초과로 함유 시 층상이 선명히 보이지 않아 소비자들이 1층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층상 화장품의 분리속도의 측정>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성분에 따라,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 내지 6의 층상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유상, 수상 및 불소계 오일상을 각각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으며, 각 층을 유상, 수상 및 불소계 오일상의 물질을 차례로 용기에 충진하여 보관하였다. 상기 제조된 층상 화장품을 흔들어 불소계 오일상을 분산시킨 이후에 다시 층상으로 분리되는 속도 또는 그 모습을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하였다.
Phase INCI 명 함량(중량부)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 3 비교예3
유상 Hexyl laurate 20 20 20 20 20 3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불소계 오일상 Perfluorohexane 50 49.7 49.7 49 - -
Polyperfluoroethoxymethoxyifluorohydroxyethyl Ether - 0.3 0.7 1 50 94
분리속도(s) 5 10 30 40 300초 (5분) 3층 구별불가
Phase INCI 명 함량(중량부)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유상 Hexyl laurate 20 20 20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에탄올 - - 7
소금 - 0.1 0.1
색소 적량 적량 적량
불소계오일상 Perfluorohexane 40 40 40
Polyperfluoroethoxymethoxyifluorohydroxyethyl Ether 10 10 10
분리속도(s) 2분 10초 2분 2분 20초
분리후 모습 도 3 참조 도 4 참조 도 5 참조
상기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같이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를 포함하지 않거나 적게 포함하였을 때, 층상으로 분리되는 속도가 너무 짧아 피부에 도포 시 불소계 오일이 잘 분산된 상태로 피부에 도포될 수 없으며, 비교예 3과 같이 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를 너무 많이 포함하면 3층 구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 4 및 실시예 5를 비교하면, 화장품에 염화나트륨(소금)을 더 포함하는 경우, 분리 속도는 다소 빨라지지만, 계면간에 생기는 에멀전(도 3의 청색 사각형 참고)을 줄여 혼합 후 깨끗한 계면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및 실시예 6를 비교하면, 화장품에 에탄올을 첨가할 경우, 유상과 수상의 친화도를 높여 수상과 불소계 오일상층 사이에 유상방울(도 3및 도 4의 적색 원 참고)를 없애며, 계면을 평평하게 만들어 화장품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피부 자극 실험>
인체 피부 자극성 유무 확인을 위하여 24시간 첩포시험을 진행하였다.
시료
시료 시료형태 특성
비교예 4 -
라프레리사 Advanced marine biology tonic
3층 액제 Ethanol 30% 이상, Ethylperfluorobutyl Ether 및 Ethylperfluoroisobutyl Ether 함유
실시예6 3층 액제 Ethanol7%, Polyperfluoroethoxymethoxyifluorohydroxyethyl Ether 함유
실험방법
1) 피 시험자 선정: 시험 부위인 팔(forearm), 등(back)에 피부질환이 없는 성인 20명
2) finn chamber에 일정량의 (15ul)의 시료도포
3) 시료가 도포된 finn chamber를 시험 부위에 scanpor tape으로 접착
4) 첩포 24시간 후 patch 제거
5) Patch 제거 2시간 후 피부 자극성 판정(홍반 형성 유.무 및 부종 관찰)
판정기준 (CTFA/ICDRG guideline, Textbook of Contact Dermatitis)
반응 Score 증상 및 판단기준
-
+/-
+
++
+++
0
0.5
1.0
2.0
3.0
아무 반응이 없음
약한 홍반
명확한 홍반
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
심한 홍반, 수포, 부종 동반
피부자극 지수( PII ) 판단
PII =
Figure 112019029001477-pat00004
상기 피부자극 지수 판단 결과, 라프레리사의 Advanced marine biology tonic(비교예 4)는 PII가 0.35가 나왔으며, 본 발명의 실시에 6에 따른 화장품은 PII가 0.10이 나왔다. PII가 0.2 이상 시 패치 테스트 대상자들 중 홍반이 생긴 사람이 40% 이상이며, 실제 라프레리사의 Advanced marine biology tonic의 출시 시 고객 클레임이 높게 나왔었다.
< 사용감 실험 실험 >
18명에게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화장품 및 라프라리사의 Advanced marine biology tonic(비교예 4)와 하기 표의 항목에 대한 비교평가를 하였고, 평가 결과를 하기 표 5 및 도 6에 나타냈다. 각 항목은 5점 만점이다.
바를때
청량감
바를때
수분감
바를때
촉촉함
흡수된

수분감
흡수된
후 촉촉함
흡수된
후 피부
느낌
피부
안전성
촉촉
지속감
매끄
러움
메이크업
먹는정도
점수
실시예 6 4.00 4.22 4.06 4.11 4.11 4.39 4.44 4.22 4.44 4.28 4.22
비교예 4 3.72 3.67 3.67 3.56 3.78 3.61 3.50 3.67 3.78 3.89 3.50
상기 표 5를 근거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이 비교예 4보다 피부 안전성뿐만 아니라 수분감, 촉촉함 등 총 점수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1)

  1. 유상층, 수상층 및 불소계 오일상층을 포함하며,
    상기 유상층, 수상층 및 불소계 오일상층은 층을 이루어 서로 분리가 되어 있으며,
    상기 불소계 오일상층에 포함되는 불소계 오일은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하이드록시에틸 에터(Polyperfluoroethoxymethoxy Difluorohydroxyethyl Ether),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에틸 피이지 에터(Polyperfluoroethoxymethoxy Difluoroethyl PEG ether),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메틸 다이스테아라마이드(Polyperfluoroethoxymethoxy Difluoromethyl Distearamide) 및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메틸 에터(Polyperfluoroethoxymethoxy Difluoro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hydrophilic perfluoropolymer liquid)를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오일상층은 상기 고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오일상층은 고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 이외에 a) 플루오로카본 유도체 또는 b) 플루오로카본 유도체 및 플루오로 카본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는 전체 층상 화장품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90 중량%인 층상 화장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는 전체 불소계 오일상층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 이상인 층상 화장품.
  9.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층은 염화나트륨(NaCl)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
  10.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층은 에탄올(ethanol)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층, 수상층 및 불소계 오일상층은 각각 전체 층상 화장품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90 중량%인 층상 화장품.
KR1020130031746A 2012-03-26 2013-03-25 불소계 오일상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 KR102032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651 2012-03-26
KR20120030651 2012-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064A KR20130109064A (ko) 2013-10-07
KR102032785B1 true KR102032785B1 (ko) 2019-10-17

Family

ID=4963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746A KR102032785B1 (ko) 2012-03-26 2013-03-25 불소계 오일상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410A (ko) 2020-10-28 2022-05-06 코스맥스 주식회사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067B1 (ko) * 2023-03-29 2023-07-04 국방과학연구소 화학작용제를 방어하기 위한 반응성 피부보호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3588A (en) 1989-10-13 1993-02-02 Yves Saint Laurent Parfums Ternary system based on perfluorinated ethers
KR100203521B1 (ko) 1994-11-01 1999-06-15 성재갑 퍼플루오르폴리에테르가 함유된 유화물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JP2001031522A (ja) 1999-06-30 2001-02-06 L'oreal Sa 揮発性フルオロ油をベースとした多相化粧品用組成物、及びメークアップ除去とボディケアにおける用途
JP2008007491A (ja) 2006-06-30 2008-01-17 Univ Kanagawa 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95659A (ja) 2007-02-14 2008-08-28 Kao Corp 水系二層分離型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5388B2 (ja) * 1991-10-22 2001-08-06 株式会社コーセー 多層状組成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3588A (en) 1989-10-13 1993-02-02 Yves Saint Laurent Parfums Ternary system based on perfluorinated ethers
KR100203521B1 (ko) 1994-11-01 1999-06-15 성재갑 퍼플루오르폴리에테르가 함유된 유화물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JP2001031522A (ja) 1999-06-30 2001-02-06 L'oreal Sa 揮発性フルオロ油をベースとした多相化粧品用組成物、及びメークアップ除去とボディケアにおける用途
JP2008007491A (ja) 2006-06-30 2008-01-17 Univ Kanagawa 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95659A (ja) 2007-02-14 2008-08-28 Kao Corp 水系二層分離型化粧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410A (ko) 2020-10-28 2022-05-06 코스맥스 주식회사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61388A (ko) 2020-10-28 2023-11-27 코스맥스 주식회사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064A (ko)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528B1 (ko)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2952B1 (ko)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8641B1 (ko) 반투명 수중유형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92163B1 (ko) 실리콘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이 다량 함유된 투명 w/s 화장품 유화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US11318074B2 (en) Oil-in-water form cosmetic composition
EP3424488A1 (en) Aqueous cosmetic composition
KR102190042B1 (ko) 화장료 조성물
JP5689639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01301378B1 (ko)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제조방법
KR101557369B1 (ko)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3483A (ko) 화장품용 천연 계면활성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2785B1 (ko) 불소계 오일상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
KR20160056842A (ko)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3136B1 (ko) 윤기 지속형 화장료 조성물
JP5825768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02625672B1 (ko)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9035B1 (ko) 투명층을 포함하여 우수한 피부 밀착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014347A1 (ko) 액정상을 이용한 메이크업 클렌징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21046374A (ja) 二層型化粧料
JP6163340B2 (ja) エアゾール組成物その使用方法
KR101221231B1 (ko) 투명한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1770556B1 (ko) 사용 시 유화기능이 부여되는 마스크 팩 조성물
KR101572985B1 (ko) 아스타잔틴-포함 액상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JP4045237B2 (ja) 多層化粧料
JP5562589B2 (ja) 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