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142B1 -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충전 부재 및 그 충전 부재를 적용한 절단날 - Google Patents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충전 부재 및 그 충전 부재를 적용한 절단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142B1
KR102032142B1 KR1020147024687A KR20147024687A KR102032142B1 KR 102032142 B1 KR102032142 B1 KR 102032142B1 KR 1020147024687 A KR1020147024687 A KR 1020147024687A KR 20147024687 A KR20147024687 A KR 20147024687A KR 102032142 B1 KR102032142 B1 KR 102032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member
hole
bolt
bolt hea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3839A (ko
Inventor
나오야 와다
아키라 스기모토
카즈후미 사카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킨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킨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킨키
Publication of KR20140133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021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injecting a settable material after the screwing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Abstract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이나 볼트 헤드부의 구멍에 강고한 상태로 충전된 충전 부재를 볼트를 분리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에 용이하게 이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수나 부재의 교환을 행하기 쉽게 한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충전 부재를 제공하기 위해 충전 부재(3)에 드릴(D)로 파일럿 구멍을 형성하고, 탭 가공에 의해 충전 부재(3)에 암나사(31)를 형성하면서 회전하는 탭(T)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31)를 통하여 충전 부재(3)에 인발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충전 부재(3)를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으로부터 뽑아낸다.

Description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충전 부재 및 그 충전 부재를 적용한 절단날{METHOD FOR WITHDRAWING FILLER MEMBER, FILLER MEMBER EMPLOYED THEREIN, AND CUTTING BLADE USING FILLER MEMBER}
본 발명은 볼트 헤드부가 카운터 보어 구멍의 내부에 잠기도록 볼트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에 충전된 충전 부재나 구멍이 형성된 볼트의 볼트 헤드부의 구멍(공구로 회동 조작하기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십자 구멍 등의 홈이나 구멍을 포함한다)에 충전된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충전 부재 및 그 충전 부재를 적용한 절단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볼트 헤드부가 카운터 보어 구멍의 내부에 잠기도록 볼트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이나 구멍이 형성된 볼트의 볼트 헤드부의 구멍의 개소를 평평하게 하여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이나 볼트 헤드부의 구멍에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이나 볼트 헤드부의 구멍에 충전 부재(마개 부재를 포함한다)를 충전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그런데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이나 볼트 헤드부의 구멍에 충전 부재를 강고한 상태로 충전하면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면, 예를 들면 칼끝 부재를 회전체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볼트에 의해 부착하도록 한 파쇄기 등의 경우에는 보수나 부재의 교환을 행하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잔손질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반대로 충전 부재를 느슨한 상태로 충전하면 사용 중에 충전 부재가 이탈하여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평 8-33412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11-37127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이나 볼트 헤드부의 구멍에 충전되는 충전 부재가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이나 볼트 헤드부의 구멍에 강고한 상태로 충전된 충전 부재를 볼트를 분리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에 용이하게 이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수나 부재의 교환을 행하기 쉽게 한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충전 부재 및 그 충전 부재를 적용한 절단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 1 발명의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은 볼트 헤드부가 카운터 보어 구멍의 내부에 잠기도록 볼트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에 충전된 충전 부재 및/또는 구멍이 형성된 볼트의 볼트 헤드부의 구멍에 충전된 충전 부재를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 및/또는 볼트 헤드부의 구멍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충전 부재에 인발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충전 부재를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 및/또는 볼트 헤드부의 구멍으로부터 인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충전 부재에 탭 가공에 의해 암나사를 형성하면서 회전하는 탭에 나사 결합하는 상기 암나사를 통하여 충전 부재에 인발력을 작용시키도록 하거나, 충전 부재에 스크루를 비틀어 넣어 상기 스크루를 통하여 충전 부재에 인발력을 작용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제 2 발명의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은 볼트 헤드부가 카운터 보어 구멍의 내부에 잠기도록 볼트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에 충전된 충전 부재 및/또는 구멍이 형성된 볼트의 볼트 헤드부의 구멍에 충전된 충전 부재를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 및/또는 볼트 헤드부의 구멍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충전 부재에 카운터 보어 구멍의 저부측 및/또는 볼트 헤드부의 구멍의 저부측으로부터 압출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충전 부재를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 및/또는 볼트 헤드부의 구멍으로부터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충전 부재를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 및/또는 볼트 헤드부의 구멍에 충전할 때에 미리 볼트 헤드부 및/또는 볼트 헤드부의 구멍의 저면과 충전 부재 사이에 개재시킨 블라인드 플러그에 의해 충전 부재에 압출력을 작용시키도록 하거나, 볼트 헤드부 및/또는 볼트 헤드부의 구멍의 저면과 충전 부재 사이에 유체를 도입하고,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충전 부재에 압출력을 작용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충전 부재는 상기 충전 부재가 사전 성형된 합성 수지제의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충전 부재의 치수를 상기 충전 부재가 충전되는 볼트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 또는 구멍이 형성된 볼트의 볼트 헤드부의 구멍의 개구부의 치수보다 0.5∼1.5%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부재를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제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부재의 저면을 평탄한 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단날은 상기 볼트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 또는 구멍이 형성된 볼트의 볼트 헤드부의 구멍에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볼트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이 상기 카운터 보어 구멍의 소정 깊이 위치로부터 절단날의 외면을 향해서 넓어지는 경사면을 갖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충전 부재 및 그 충전 부재를 적용한 절단날에 의하면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이나 볼트 헤드부의 구멍에 강고한 상태로 충전된 충전 부재를 볼트를 분리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에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칼끝 부재를 회전체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볼트에 의해 부착하도록 한 파쇄기 등과 같이 사용 중에 충전 부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강고한 상태로 충전 부재를 충전함으로써 카운터 보어 구멍이나 볼트 헤드부의 구멍의 개소를 평평하게 하여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이나 볼트 헤드부의 구멍에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볼트를 분리해서 보수나 부재의 교환을 행할 경우에 본 제 1 및 제 2 발명의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충전 부재를 용이하게 이탈시켜서 볼트를 분리할 수 있고, 보수나 부재의 교환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부재에 사전 성형된 합성 수지제의 것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충전 부재의 치수를 상기 충전 부재가 충전되는 볼트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 또는 구멍이 형성된 볼트의 볼트 헤드부의 구멍의 개구부의 치수보다 0.5∼1.5% 크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충전 부재의 장착 및 이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사용 중에 충전 부재가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부재를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제의 것으로 함으로써 사용 중의 충전 부재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부재의 저면을 평탄한 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볼트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 또는 구멍이 형성된 볼트의 볼트 헤드부의 구멍의 충전 부재를 장착한 개소보다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고, 충전 부재의 이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볼트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이 상기 카운터 보어 구멍의 소정 깊이 위치로부터 절단날의 외면을 향해서 넓어지는 경사면을 갖고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볼트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에 들어간 피파쇄물 등의 이물이 이탈하기 쉽게 함과 아울러 카운터 보어 구멍에 들어간 이물에 의해 카운터 보어 구멍이 메워진 경우에도 상기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절단날의 교환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을 적용하는 대표적인 카운터 보어 구멍 부분의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을 적용하는 카운터 보어 구멍 부분의 변형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제 1 발명의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동 실시형태에 적용하는 충전 부재 및 카운터 보어 구멍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제 2 발명의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전단식 파쇄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X-X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절단날을 나타내고, 도 8(a)는 세로단면도, 도 8(b)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절단날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절단날의 부착 구멍에 있어서의 이물의 막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10(a)는 측면도, 도 10(b)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절단날을 나타내고, 도 11(a)는 종단면도, 도 11(b)는 평면도이다.
도 12도 11에 나타내는 절단날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절단날을 나타내고, 도 13(a)는 종단면도, 도 13(b)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절단날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절단날을 나타내고, 도 15(a)는 종단면도, 도 15(b)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절단날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절단날을 나타내고, 도 17(a)는 세로단면도, 도 17(b)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절단날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충전 부재 및 그 충전 부재를 적용한 절단날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을 적용하는 대표적인 카운터 보어 구멍 부분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1은 칼끝 부재(Cu)를 회전체 본체(R)에 교환 가능하게 볼트(1)에 의해 부착하도록 한 파쇄기의 요부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a)는 볼트 헤드부(1a)가 카운터 보어 구멍(2)의 내부에 잠기도록 볼트(1)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에 충전 부재(3)를 충전하도록 한 예를, 도 1(b)는 볼트 헤드부(1a)가 카운터 보어 구멍(2)의 내부에 잠기도록 볼트(1)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 및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에 충전 부재(3)를 충전하도록 한 예를, 도 1(c)는 볼트 헤드부(1a)가 카운터 보어 구멍(2)의 내부에 얕게 잠기도록(여기에서 볼트 헤드부(1a)가 노출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볼트(1)를 장착한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에 충전 부재(3)를 충전하도록 한 예(이 경우, 볼트(1)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에 이물이 들어갈 우려가 작기 때문에 상기 공간에는 충전 부재(3)는 충전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를 각각 나타낸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충전 부재(3)를 장착한 개소보다 내부에 공간부(4)를 형성하도록 하고있다.
그리고, 이 공간부(4)는 도 1(a)∼도 1(c)에 기재한 형태에 있어서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도 2에 본 발명의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을 적용하는 카운터 보어 구멍 부분의 변형 형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볼트 헤드부(1a)가 카운터 보어 구멍(2)의 내부에 잠기도록 볼트(1)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에 충전 부재(3)를 충전하도록 한 예이며 이 중 도 2(a)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을 폐쇄하도록 평판상의 격리 부재(5)를 배치해서 충전 부재(3)를 충전한 것이며, 또한 도 2(b)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에 볼록부가 감입된 상태로 구멍(1b)을 폐쇄하도록 볼록부를 구비한 판상의 격리 부재(5)를 배치하여 충전 부재(3)를 충전한 것이다.
이 경우, 격리 부재(5)는 충전 부재(3)보다 경질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충전 부재(3)의 내저부에 공간부(4)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충전 부재(3)에는 사전 성형된 것이나, 충전 고화되는 것 중 어느 것 이어도 사용 가능하다.
충전 부재(3)에는 일반적으로 내마모, 내압성, 내열성, 내부식성 등의 기능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전 성형된 것으로서는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의 것, 매트릭스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페놀 수지 등의 수지를 사용한 유리 섬유 등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제의 것, 납, 아연, 구리 등의 금속제의 것, 목재, 고무, 종이, 유리 등의 세라믹 등의 각종 재료제의 것을 목적, 용도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충전 부재(3)에는 사전 성형된 합성 수지제의 것으로 이루어지고, 충전 부재(3)의 치수를 상기 충전 부재(3)가 충전되는 볼트(1)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2) 또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의 개구부의 치수보다 0.5∼1.5%, 바람직하게는 0.7∼1.3% 크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트 헤드부(1a)에 사각형상의 구멍(1b)을 갖는 볼트(1)의 경우, 사각형상의 구멍(1b)의 개구부의 대향하는 두 면 사이의 치수가 19.16㎜에 대하여 충전 부재(3)의 치수를 19.35±0.05㎜정도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충전 부재(3)의 장착 및 이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사용 중에 충전 부재(3)가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부재(3)를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30% 유리 섬유 함유 나일론 66(내열 온도 240℃ 이상)(QUADRANT POLYPENCO JAPAN LTD. 제의 모노머 캐스팅 나이론)제의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 중의 충전 부재(3)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부재(3)의 저면을 평탄한 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볼트(1)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2) 또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의 충전 부재(3)를 장착한 개소보다 내부에 공간부(4)를 형성할 수 있고, 충전 부재의 이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충전 고화되는 것으로서는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경화성 수지, 시멘트(논슈링크) 등의 충전 고화되는 것을 목적, 용도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은 도 1∼도 2에 기재되는 볼트 헤드부(1a)가 카운터 보어 구멍(2)의 내부에 잠기도록 볼트(1)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에 충전된 충전 부재(3) 및/또는 볼트(1)의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에 충전된 충전 부재(3)를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 및/또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충전 부재(3)에 인발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충전 부재(3)를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 및/또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으로부터 인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의 일실시형태를 도 3에 나타낸다.
이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은 충전 부재(3)에 드릴(D)로 파일럿 구멍을 형성하고, 탭 가공에 의해 충전 부재(3)에 암나사(31)를 형성하면서 회전하는 탭(T)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31)를 통해 충전 부재(3)에 인발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충전 부재(3)를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으로부터 인발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충전 부재(3)에 드릴(D)로 파일럿 구멍을 형성할 때에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공간부(4))이 존재하기 때문에 충전 부재(3)에 파일럿 구멍이 관통한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드릴(D)의 손모나 작업 시간의 낭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부재(3)에 형성하는 파일럿 구멍은 충전 부재(3)를 사전 성형할 때에 미리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탭(T) 대신에 드릴 탭을 사용함으로써 드릴(D)에 의한 파일럿 구멍의 형성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런데, 탭 가공에 의해 충전 부재(3)에 암나사(31)를 형성하면서 회전하는 탭(T)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31)를 통해 충전 부재(3)에 인발력을 작용시키기 위해서는 충전 부재(3)가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 및/또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 내에서 회전(탭(T)과 동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충전 부재(3)를 사전 성형할 때에 충전 부재(3)의 외주면에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 및/또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의 내주면과의 마찰력을 늘리기 위한 스플라인, 기어, 너얼링 공구, 수평 홈 등의 요철부를 미리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 및/또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의 형상을 진원(眞圓) 이외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충전한 충전 부재(3)(사전 성형된 것이나 충전 고화되는 것)가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 및/또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외에, 충전 부재(3)에 인발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충전 부재(3)를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 및/또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으로부터 인발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는 충전 부재(3)에, 예를 들면 나선형 핸들과 같은 나선상이나 나사상의 스크루(도시 생략)를 비틀어 넣고, 이 스크루를 개재해서 충전 부재(3)에 인발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충전 부재(3)를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 및/또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으로부터 인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충전 부재(3)에 인발력을 작용시키는 방법 이외의 방법으로서 충전 부재(3)에 카운터 보어 구멍(2)의 저부측 및/또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의 저부측으로부터 압출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충전 부재(3)를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 및/또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으로부터 압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의 일실시형태를 도 5에 나타낸다.
이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은 충전 부재(3)를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에 충전할 때에 미리 볼트 헤드부(1a)(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의 저면)와 충전 부재(3) 사이에 수축 상태로 개재시킨 블라인드 플러그(6)(예를 들면, 상품명 「노블 앵커」)에 나사(7)를 비틀어 넣어 신장시키고(통상의 블라인드 플러그(6)의 사용 방법과는 반대의 사용 방법), 충전 부재(3)에 압출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충전 부재(3)를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으로부터 압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 외에 충전 부재(3)에 압출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충전 부재(3)를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 및/또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으로부터 압출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는 볼트 헤드부(1a) 및/또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의 저면과 충전 부재(3) 사이에 유체(기름, 물, 공기 등)를 도입하고, 이 유체의 압력(유압, 수압, 공기압 등)에 의해 충전 부재(3)에 압출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충전 부재(3)를 카운터 보어 구멍(2)의 공간 및/또는 볼트 헤드부(1a)의 구멍(1b)으로부터 압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카운터 보어 구멍(2)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형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하의 실시형태(전단식 파쇄기에 적용하는 칼끝 부재(이하, 「절단날(Cu)」이라고 한다)를 예로 설명한다)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운터 보어 구멍을 카운터 보어 구멍의 소정 깊이 위치로부터 절단날(Cu)의 외면을 향해서 넓어지는 경사면을 갖고 이루어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절단날(Cu)의 경사면을 갖고 이루어지는 카운터 보어 구멍의 부분은 상기 충전 부재(3)를 충전하도록 해도 충전하지 않고 공간인 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절단날(Cu)을 적용하는 전단식 파쇄기로서는, 예를 들면 도 6∼도 7에 나타내는 2축 전단식 파쇄기(100)가 있다.
이 2축 전단식 파쇄기(100)에는 회전체 본체(R)로서의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복수의 절단날(Cu)이 스페이서(S)와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스페이서(S)는 절단날(Cu)을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 8(a), 도 8(b)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절단날(Cu)은 회전체 본체(R)에 맞물리는 맞물림 단부(102)를 내주의 회전 방향 후방부에 갖고, 외주에는 둘레 방향 중앙부에 칼날부(103)를 갖고 있다. 이 칼날부(103)는 도시하는 회전 방향(Ro)을 향하여 뾰족해져 있고, 이 칼날부(103)의 둘레 방향 전후 위치에 카운터 보어 구멍(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카운터 보어 구멍(2)은 절단날(Cu)을 칼날대부에 볼트(1)(도 10)로 부착하기 위한 것이며, 소정 깊이에 볼트 시트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카운터 보어 구멍(2)에는 볼트 시트부(106)로부터 소정 치수 상부에 이 절단날(Cu)을 회전체 본체(R)로부터 분리할 때에 사용되는 전용 공구를 록킹하는 오목상 홈(10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 보어 구멍(2)의 외주부인 볼트 삽입부(108, 109)에는 카운터 보어 구멍(2)의 소정 깊이 위치(112)로부터 외면을 향해서 넓어지는 경사면(110, 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소정 깊이 위치(112)로서는 볼트(1)(도 10)의 대략 헤드부 상면 위치가 바람직하다. 경사면(110, 111)은 평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날 외주의 전후 방향(도 8(b)의 좌우 방향) 외면을 향해서 넓어지는 경사면이며, 이 실시형태에서는 절단날(Cu)의 두께 방향(도 8(b)의 상하 방향)으로도 넓어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 경사면(110, 111)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절단날(Cu)의 외면의 회전 방향의 전후 방향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이면 좋다.
이 경사면(110, 111)은 볼트 시트부(106)를 형성하는 기계 가공을 행한 후 도 8(b)에 나타내는 화살표(M)와 같이 가공 공구(116)를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 가공 공구(116)로서는 테이퍼 엔드 밀이 사용된다. 이 가공 공구(116)에 의한 경사면(110, 111)의 가공으로서는 카운터 보어 구멍(2)의 위치에 있어서의 절단날(Cu)의 외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축선으로 가공 공구(116)의 축선을 위치시키고, 이 가공 공구(116)를 절단날(Cu)의 둘레 방향과 두께 방향으로 화살표(M)와 같이 이동시킴으로써 가공된다.
도시하는 예의 경우 둘레 방향 전방(도면의 좌측)의 카운터 보어 구멍(2)은 외면에 직교하는 공구 축선(D1)은 카운터 보어 구멍(2)의 중심선(C)에 대하여 회전 방향 전방으로 경사지므로 그 경사진 가공 공구(116)를 가공 공구(116)의 축선으로서 이 가공 공구(116)를 화살표(M)와 같이 이동시킴으로써 경사면(110)이 형성된다. 또한, 둘레 방향 후방(도면의 우측)의 카운터 보어 구멍(2)은 외면에 직교 하는 공구 축선(E)은 카운터 보어 구멍(2)의 중심선에 대하여 회전 방향 후방으로 경사지므로 그 경사진 공구 축선(E)을 가공 공구(116)의 축선으로서 이 가공 공구(116)을 화살표(M)와 같이 이동시킴으로써 경사면(111)이 형성된다. 또한, 이들 경사면(110, 111)의 형성 시에는 가공 공구(116)에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경사져서 가공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칼날부(103)의 회전 방향 후방의 카운터 보어 구멍(2)에서는 경사면(111)이 회전 방향 전방의 각도에 대하여 회전 방향 후방의 각도가 보다 커지고, 이에 따라 파쇄된 피파쇄물 등의 이물(120)(이하, 간단히, 「이물(120)」이라고 한다)의 걸림을 억제해서 대향하는 스페이서(S)(도 10)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카운터 보어 구멍(2)에 흘러들어온 이물(120)이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과 같은 절단날(Cu)에 의하면 카운터 보어 구멍(2)의 위치에 흘러들어온 이물(120)은 경사면(110, 111)에 의해 카운터 보어 구멍(2)에 걸리는 것이 억제됨과 아울러 이물(120)에는 흐름이 있기 때문에 경사면(110, 111)을 따라 빠져나가 카운터 보어 구멍(2)의 상부에는 막히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운터 보어 구멍(2)에 이물(120)이 막혔다고 해도 경사면(110, 111)에 의해 주위의 접촉 마찰력은 종래보다 약해지므로 드라이버 등의 지그(117)를 이물(120)과 경사면(111(110)) 사이로 밀어 넣어 올리면 용이하게 이물(120)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이물(120)이 카운터 보어 구멍(2)의 위치에 흘러들어갔다고 해도 경사면(110, 111)에 의해 카운터 보어 구멍(2)의 위치에 막히는 것이 억제되고, 만약 막혔다고 해도 이물(120)의 주위는 경사면(110, 111)에 접하고 있으므로 그 후의 이물(120)이 비스듬히 압박됨으로써 먼저 막힌 이물(120)이 제거되는 경우도 있어 이물(120)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물(120)이 막혔다고 해도 그 막힌 이물(120)은 주위의 경사면(110, 111)에 약한 마찰력으로 접하고 있으므로 지그(117) 등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1(a), 도 11(b)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절단날(Cu)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절단날(Cu)과 동일한 형태이지만 상기 경사면(110, 111)에 카운터 보어 구멍(2)의 상부에 막힌 이물(120)(도 10)을 지그 등으로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오목상 홈(122)을 갖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이 절단날(Cu)의 상기 경사면(110, 111)에 형성된 오목상 홈(122)은 경사면(110, 111)을 따라 절단날 외면으로부터 카운터 보어 구멍(2)을 향해서 소정 깊이의 오목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상 홈(122)으로서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날(Cu)의 외면으로부터 카운터 보어 구멍(2)의 적당한 위치까지 도달하는 동일한 깊이의 홈이어도 좋지만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날(Cu)의 외면측 단부가 깊고, 카운터 보어 구멍(2)의 측단부가 얕은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오목상 홈(122)을 형성하면, 경사면(110, 111)에 이물(120)이 막혀도 이 오목상 홈(122)에 지그(117)를 밀어 넣어 올리면 이물(12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오목상 홈(122)으로서는 단면 형상이 V자상, U자상 등, 오목상이면 좋다. 또한,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절단날(Cu)과 동일하다.
이러한 절단날(Cu)에 의하면 경사면(110, 111)에 이물(120)이 막혔다고 해도 상기 오목상 홈(122)에 지그(117)를 밀어 넣어 올림으로써 이물(120)과 경사면(110, 111)의 마찰 저항은 작으므로 용이하게 이물(120)을 경사면(110, 111)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절단날(Cu)의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오목상 홈(122)의 절단날 외면측 단부를 깊게 하면 지그(117)를 보다 용이하게 밀어 넣을 수 있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에는 막힌 이물(120)의 제거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3(a), 도 13(b)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의 절단날(Cu)은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절단날(Cu)과 동일한 형태이지만 오목상 홈(107)이 없고, 경사면(133, 134)을 형성하는 가공 공구(도시 생략)의 종류가 다른 예이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이 절단날(Cu)은 테이퍼각이 큰 가공 공구에 의해 경사면(133, 134)을 형성한 것이며, 경사면(133, 134)의 경사각이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경사면(110, 111)에 비해 절단날 외주의 전후 방향으로 크게 경사져 있다.
이러한 절단날(Cu)에 의하면 카운터 보어 구멍(2)에 삽입되는 볼트(1)의 헤드부로부터 절단날(Cu)의 외면까지 큰 경사각의 경사면(133, 134)이 형성되므로, 이물(120)의 막힘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도 오목상 홈(132)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경사면(133, 134)에 이물(120)이 막혔다고 해도 오목상 홈(132)에 지그(117)를 밀어 넣음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5(a), 도 15(b)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의 절단날(Cu)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절단날(Cu)에 비해 두께가 작은 절단날이며, 오목상 홈(107)이 없는 예이다. 측면 형태 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이 절단날(Cu)은 두께가 작기 때문에 카운터 보어 구멍(2)의 소정 깊이 위치로부터 넓어지는 경사면(142, 143)이 절단날(Cu)의 전후 방향(도 15의 좌우 방향)에만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142, 143)은 볼트 시트부(106)를 형성하는 기계 가공을 행한 후 도시하는 가공 공구의 진로를 나타내는 화살표(M)와 같이 절단날(Cu)의 둘레 방향 전후로 가공 공구를 이동시키면서 형성된다. 가공 공구로서는 테이퍼 엔드 밀이 사용된다.
이러한 절단날(Cu)에 의해서도 경사면(142, 143)에 이물(120)이 막혔다고 해도 그 이물(120)과 경사면(142, 143) 주위의 접촉 마찰력은 작아 지그(117) 등으로 용이하게 이물(120)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7(a), 도 17(b)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5 실시형태의 절단날(Cu)은 상기 제 4 실시형태의 절단날(Cu)에 비해 칼날부(103)의 돌출량이 작고, 상기 경사면(142, 143)에 지그(117)를 밀어 넣기 위한 오목상 홈(152)을 갖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이 절단날(Cu)의 상기 경사면(142, 143)에 형성된 오목상 홈(152)은 경사면(142, 143)을 따라 절단날 외면으로부터 카운터 보어 구멍(2)을 향하여 소정 깊이의 오목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상 홈(152)에 의하면 경사면(142, 143)에 이물(120)이 막혀도 오목상 홈(152)에 지그(117)를 밀어 넣어 올리면 이물(12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 오목상 홈(152)도 단면 형상이 V자상, U자상 등, 오목상이면 좋다.
이러한 절단날(Cu)에 의하면 경사면(142, 143)에 이물(120)이 막혔다고 해도 상기 오목상 홈(152)에 지그(117)를 밀어 넣어 올림으로써 이물(120)과 경사면(142, 143)의 마찰 저항은 작으므로 용이하게 이물(120)을 경사면(142, 143)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절단날(Cu)의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상기 절단날(Cu)에 의하면 카운터 보어 구멍(2)의 볼트 삽입부(108, 109)에 이물(120)이 막혔다고 해도 그 이물(12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절단날(Cu)의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단식 파쇄기의 가동률 저하를 억제해서 계획적인 파쇄기 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측면 형태가 같은 절단날(Cu)를 예로 설명했지만 다른 형태이어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절단날(Cu)의 두께도 상기 실시형태 이외의 두께이어도 좋고, 절단날(Cu)의 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절단날(Cu)은 분리할 때에 전용 공구를 록킹하는 오목상 홈(122, 132, 152)을 갖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 오목상 홈(122, 132, 152)이 없는 절단날(Cu)이어도 경사면(110, 111, 142, 143)에 막힌 이물(12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오목상 홈(122, 132, 152)이 없는 경우라도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오목상 홈(122, 132, 152)을 구비시킬지의 여부는 사용 조건 등에 따라서 설정하면 좋다.
또한, 경사면(110, 111, 133, 134, 142, 143)은 절단날(Cu)의 외면의 회전 방향의 전후 방향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절단날(Cu)의 외면의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도록 하거나, 대향하는 경사면의 한 쪽을 수직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이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의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충전 부재 및 그 충전 부재를 적용한 절단날에 대해서 복수의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실시형태에 기재한 구성을 적당히 조합시키는 등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히 그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충전 부재 및 그 충전 부재를 적용한 절단날은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이나 볼트 헤드부의 구멍에 강고한 상태로 충전된 충전 부재를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는 점에서, 예를 들면 칼끝 부재를 회전체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볼트에 의해 부착하도록 한 파쇄기 등과 같이 사용 중에 충전 부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강고한 상태로 충전 부재를 충전함과 아울러 볼트를 분리하여 보수나 부재의 교환을 행할 필요가 있는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볼트 1a : 볼트 헤드부
1b : 구멍 2 : 카운터 보어 구멍
3 : 충전 부재 31 : 암나사
4 : 공간부 5 : 격리 부재
6 : 블라인드 플러그 7 : 나사
110, 111, 133, 134, 142, 143 : 경사면 Cu : 칼끝 부재(절단날)
D : 드릴 T : 탭
R : 회전체 본체

Claims (18)

  1. 볼트 헤드부가 카운터 보어 구멍의 내부에 잠기도록 볼트를 장착한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에 충전된 충전 부재를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의 형상은 진원(眞圓) 이외의 형상이고,
    상기 충전 부재를 장착한 개소보다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충전 부재에 드릴로 파일럿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충전 부재에 탭 가공에 의해 암나사를 형성하면서 회전하는 탭에 나사 결합하는 상기 암나사를 통하여 상기 충전 부재에 인발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충전 부재를 카운터 보어 구멍의 공간으로부터 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2. 삭제
  3. 삭제
  4. 볼트 헤드부가 카운터 보어 구멍의 내부에 잠기도록 장착된 볼트에서, 구멍이 형성된 볼트의 볼트 헤드부의 구멍에 충전된 충전 부재를 볼트 헤드부의 구멍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볼트 헤드부의 구멍의 공간의 형상은 진원(眞圓) 이외의 형상이고,
    상기 충전 부재를 장착한 개소보다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충전 부재에 드릴로 파일럿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충전 부재에 탭 가공에 의해 암나사를 형성하면서 회전하는 탭에 나사 결합하는 상기 암나사를 통하여 상기 충전 부재에 인발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충전 부재를 볼트 헤드부의 구멍으로부터 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47024687A 2012-03-07 2012-03-07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충전 부재 및 그 충전 부재를 적용한 절단날 KR102032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5835 WO2013132617A1 (ja) 2012-03-07 2012-03-07 充填部材の離脱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充填部材及びその充填部材を適用した切断刃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493A Division KR102025073B1 (ko) 2012-03-07 2012-03-07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충전 부재 및 그 충전 부재를 적용한 절단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839A KR20140133839A (ko) 2014-11-20
KR102032142B1 true KR102032142B1 (ko) 2019-10-15

Family

ID=491161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493A KR102025073B1 (ko) 2012-03-07 2012-03-07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충전 부재 및 그 충전 부재를 적용한 절단날
KR1020147024687A KR102032142B1 (ko) 2012-03-07 2012-03-07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충전 부재 및 그 충전 부재를 적용한 절단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493A KR102025073B1 (ko) 2012-03-07 2012-03-07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충전 부재 및 그 충전 부재를 적용한 절단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72696B2 (ko)
EP (1) EP2824337B1 (ko)
KR (2) KR102025073B1 (ko)
CN (1) CN104254696B (ko)
WO (1) WO20131326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2696B2 (en) * 2012-03-07 2018-09-11 Kabushiki Kaisha Kinki Detaching method of filling member and filling member used therein and cutter blade using this filling member
JP6407128B2 (ja) * 2015-11-18 2018-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評価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評価方法
CN109877767A (zh) * 2019-04-09 2019-06-14 安徽马钢设备检修有限公司 一种trt转子动叶片定位变形联接销的拆卸方法及其装置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3253A (en) 1989-03-23 1990-07-24 Dry Dock Industries, Inc. Axial immobile fastener-receiving member
US5524785A (en) 1994-07-29 1996-06-11 Georges; Jean E. Sealing plug for threaded holes
US5749670A (en) 1996-04-04 1998-05-12 Dresser-Rand Company Method for fastening parts together and resulting structure
JP3112726B2 (ja) * 1991-09-12 2000-11-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タンポン
US6155753A (en) 1999-07-15 2000-12-05 Chang; Hsin-Tien Fine adjusting mechanism for a cutting tool
JP2001024763A (ja) * 1999-07-07 2001-01-26 Nec Shizuoka Ltd 携帯端末
JP2001106295A (ja) 1999-10-01 2001-04-17 Hoshino Design:Kk コルク栓抜き
JP2002147438A (ja) 2000-11-07 2002-05-22 Goss Graphic Systems Japan Corp 分割ローラ用安全プラグ
US20020152599A1 (en) 2001-04-19 2002-10-24 Chun-Teng Pai Device for extracting a broken screw from a work pie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3237891A (ja) 2002-02-01 2003-08-27 Chung Lun Yip コルク栓抜き
JP2003300595A (ja) 2002-04-12 2003-10-21 Prince Kogyo Kk コルク栓抜き取り装置
US20050095081A1 (en) 2003-11-04 2005-05-05 Tu Ying L. Expandable screw cover
US20060045651A1 (en) 2004-01-09 2006-03-02 Fih Co., Ltd Expandable screw cover
JP2006512570A (ja) * 2002-12-24 2006-04-13 コジュマ・ロジスティクス 放射性物質の輸送/貯蔵用容器
US7555820B2 (en) 2005-01-24 2009-07-07 The Boeing Company Methods for removing blind fasteners
US20090253818A1 (en) 2005-10-28 2009-10-08 Kaneka Corporation Synthetic Cork Stopper
JP2011075078A (ja) * 2009-10-01 2011-04-14 Kinki:Kk 切断刃固定ボルトとそれを備えた剪断式破砕機
JP2012047331A (ja) 2010-07-27 2012-03-08 Kinki:Kk 充填部材の離脱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充填部材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2671A (en) * 1953-01-19 1956-07-03 Alyea Louis Method of removing threaded shafts
US3071848A (en) * 1961-03-22 1963-01-08 Charles C Gaither Inc Extractor tool
US3192803A (en) * 1964-03-30 1965-07-06 Stero Chemical Mfg Co Cork ejector with pressurized liquid propellant
US3508321A (en) * 1967-12-15 1970-04-28 Aai Corp Method for extracting broken studs
JPS5328207Y2 (ko) * 1975-08-20 1978-07-15
US4800637A (en) * 1987-12-07 1989-01-31 Combustion Engineering, Inc. Method of removing plugs
DE3827036A1 (de) * 1988-08-10 1990-02-15 Man Energi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ausbauen von langen, aus zaehem werkstoff bestehenden innenkoerpern aus gebohrten elementen von schrumpfverbindungen
EP0358351B1 (en) 1988-08-29 1996-10-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dge-bonded sets of carbonless copy paper
JPH02131997U (ko) * 1988-12-02 1990-11-01
US5127145A (en) * 1989-06-15 1992-07-07 Mobil Oil Corporation Process for removing packing
US5012703A (en) * 1990-02-05 1991-05-07 Helmut Reinbacher Cork removal apparatus
JP3209472B2 (ja) * 1993-11-05 2001-09-1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ネジキャップおよび処理装置
US5517740A (en) * 1994-02-28 1996-05-2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Pneumatic tool and method for plug removal
JPH08334121A (ja) 1995-06-08 1996-12-17 Nippon Seiko Kk リニアガイド装置のレール取付構造
JP3099942B2 (ja) * 1996-08-08 2000-10-16 株式会社アルテクス 超音波振動接合用共振器
JPH1137127A (ja) 1997-07-25 1999-02-09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スカレータの櫛取付装置
US6189212B1 (en) * 1999-09-10 2001-02-20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Method for tube plug removal
DE102005012048A1 (de) * 2005-03-08 2006-09-14 Dr.Ing.H.C. F. Porsche Ag Turbinengehäuse eines Abgasturboladers mit verstellbarer Turbinengeometrie
GB2425084B (en) * 2005-04-12 2008-11-19 Textron Fastening Syst Ltd Sealing plug removal apparatus
JP3112726U (ja) * 2005-05-20 2005-08-25 ウエノテックス株式会社 ボルト防錆構造及び破砕機
US7231850B2 (en) * 2005-11-08 2007-06-19 Ching-Chen Wang Manual wine bottle opener
US8387226B2 (en) * 2008-12-08 2013-03-05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blind fasteners
GB2495924A (en) * 2011-10-25 2013-05-01 Malcolm Burr A sealant removal tool
US10072696B2 (en) * 2012-03-07 2018-09-11 Kabushiki Kaisha Kinki Detaching method of filling member and filling member used therein and cutter blade using this filling member

Patent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3253A (en) 1989-03-23 1990-07-24 Dry Dock Industries, Inc. Axial immobile fastener-receiving member
JP3112726B2 (ja) * 1991-09-12 2000-11-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タンポン
US5524785A (en) 1994-07-29 1996-06-11 Georges; Jean E. Sealing plug for threaded holes
US5749670A (en) 1996-04-04 1998-05-12 Dresser-Rand Company Method for fastening parts together and resulting structure
JP2001024763A (ja) * 1999-07-07 2001-01-26 Nec Shizuoka Ltd 携帯端末
US6155753A (en) 1999-07-15 2000-12-05 Chang; Hsin-Tien Fine adjusting mechanism for a cutting tool
JP2001106295A (ja) 1999-10-01 2001-04-17 Hoshino Design:Kk コルク栓抜き
JP2002147438A (ja) 2000-11-07 2002-05-22 Goss Graphic Systems Japan Corp 分割ローラ用安全プラグ
US20020152599A1 (en) 2001-04-19 2002-10-24 Chun-Teng Pai Device for extracting a broken screw from a work pie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3237891A (ja) 2002-02-01 2003-08-27 Chung Lun Yip コルク栓抜き
JP2003300595A (ja) 2002-04-12 2003-10-21 Prince Kogyo Kk コルク栓抜き取り装置
JP2006512570A (ja) * 2002-12-24 2006-04-13 コジュマ・ロジスティクス 放射性物質の輸送/貯蔵用容器
US20050095081A1 (en) 2003-11-04 2005-05-05 Tu Ying L. Expandable screw cover
US20060045651A1 (en) 2004-01-09 2006-03-02 Fih Co., Ltd Expandable screw cover
US7555820B2 (en) 2005-01-24 2009-07-07 The Boeing Company Methods for removing blind fasteners
US20090253818A1 (en) 2005-10-28 2009-10-08 Kaneka Corporation Synthetic Cork Stopper
JP2011075078A (ja) * 2009-10-01 2011-04-14 Kinki:Kk 切断刃固定ボルトとそれを備えた剪断式破砕機
JP2012047331A (ja) 2010-07-27 2012-03-08 Kinki:Kk 充填部材の離脱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充填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04373A1 (en) 2015-07-23
CN104254696A (zh) 2014-12-31
EP2824337B1 (en) 2020-07-29
KR20140133839A (ko) 2014-11-20
KR102025073B1 (ko) 2019-09-25
EP2824337A4 (en) 2015-10-21
US10072696B2 (en) 2018-09-11
KR20190097301A (ko) 2019-08-20
WO2013132617A1 (ja) 2013-09-12
CN104254696B (zh) 2017-05-10
EP2824337A1 (en)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142B1 (ko) 충전 부재의 이탈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충전 부재 및 그 충전 부재를 적용한 절단날
WO2016071001A1 (de) Werkzeugeinrichtung für eine bodenfräsmaschine und bodenfräsmaschiνε mit einer solchen werkzeugeinrichtung
CN106351929B (zh) 可拆卸高强度拉铆销及连接拆卸方法
US9902086B2 (en) Cutter hub pin drive mechanism and quick disconnect hub for an underfluid pelletizer
DE102010052845A1 (de) Rotierendes Schneidwerkzeug und Führungseinsatz hierfür
DE102014108220A1 (de) Werkzeug zur spanenden Bearbeitung und Träger eines solchen
EP3743234B1 (de) Fräswerkzeug
DE102011109593B4 (de) In einer Gießmaterialbereitstellungsvorrichtung einer Spritzgießmaschine verwendete Gießmaterialzufuhrschnecke
JP5591375B2 (ja) 充填部材の離脱方法
CN103747903B (zh) 钻头、特别是钢筋混凝土钻头
JP3191881U (ja) 充填部材
CN206092643U (zh) 可拆卸高强度拉铆销
JP2013164164A5 (ko)
KR20140090360A (ko) 피복관 및 전열관 면취용 디버링툴
SE538940C2 (sv) Verktyg och verktygshållare för mudderverk
DE102012016101B3 (de) Vorrichtung zur Abfuhr von Spänen bei spananhebenden Fertigungsverfahren
JP2010269261A (ja) 剪断式破砕機の切断刃とそれを備えた剪断式破砕機
CN203427352U (zh) 一种智能家用榨油机的榨油装置
FR2550477A1 (fr) Procede destine aux outils de coupe de tous genres pour empecher l'entrainement des pieces decoupees et des dechets lors de l'extraction du poincon
JP2724299B2 (ja) ダイブロック
JP2010241010A (ja) 射出成型機用スクリュー
DE202010006798U1 (de) Spaltschlegel für eine Zerkleinerungsvor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