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311B1 -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자동차 헤드라이트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자동차 헤드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311B1
KR102031311B1 KR1020147029203A KR20147029203A KR102031311B1 KR 102031311 B1 KR102031311 B1 KR 102031311B1 KR 1020147029203 A KR1020147029203 A KR 1020147029203A KR 20147029203 A KR20147029203 A KR 20147029203A KR 102031311 B1 KR102031311 B1 KR 102031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chips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neighboring
diod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508A (ko
Inventor
보리스 아이헨베르크
유르겐 홀츠
Original Assignee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35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21S41/153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arranged in a matri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01L33/486Containers adapted for 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7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in intimate contact with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body or integrated with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4Encapsulatio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6Materials, e.g. epoxy or silicone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1L33/60Refle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91Scattering means in or on the semiconductor body or semiconductor body pack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5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e.g. plate or f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서, 발광 다이오드 모듈(1)은 캐리어(2) 그리고 다수의 광전자 반도체 칩(3)을 구비하며, 이들 반도체 칩은 캐리어 상부 면(20)에 설치되어 있고, 1차 방사선을 발생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들 반도체 칩(3)은 한 편으로는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D1)을 두고서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서로에 대하여 상기 제 1 간격보다 큰 제 2 간격(D2)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D1)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 사이에는 광학 커플링을 위해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제 1 충전부(41)가 있다. 서로에 대하여 제 2 간격(D2)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 사이에는 광학 절연부를 위해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없는 제 2 충전부(42)가 있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자동차 헤드라이트 {LIGHT-EMITTING DIODE MODULE AND MOTOR VEHICLE HEADLIGHT}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구비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서 광학 커플링 또는 광학 절연부가 의도한 바대로 조절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다른 무엇보다도 특허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에 의해서 해결된다. 바람직한 개선 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대상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캐리어 상부 면을 갖는 캐리어를 포함한다. 캐리어는 바람직하게 전기 도체 트랙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콘택 포인트를 구비한다. 캐리어는 바람직하게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기계식으로 지지하는 그리고 기계식으로 안정화시키는 컴포넌트이다. 캐리어로서는 예를 들어 회로 기판, 금속 코어 기판 또는 세라믹 기판이 사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다수의 광전자 반도체 칩을 구비한다. 이들 반도체 칩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작동 중에 1차 방사선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었다. 1차 방사선으로서는 바람직하게 청색 광 또는 자외선, 예를 들어 첨두 파장(peak wavelength)에 대하여 400nm(400nm 포함) 내지 480nm의 스펙트럼 범위 안에 있는 방사선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이들 반도체 칩으로서는 발광 다이오드 칩이 사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들 반도체 칩은 캐리어의 캐리어 상부 면에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반도체 칩은 캐리어 상부 면에 접착되어 있거나 캐리어 상부 면에 납땜 되어 있다. 이들 반도체 칩은 매트릭스 형태로 규칙적인 패턴으로 캐리어 상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제 1 충전부를 포함한다.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이라는 표현은, 제 1 충전부가 가시 광 및/또는 1차 방사선에 의해서 중대한 흡수 손실 없이 그리고/또는 중대한 분산 없이 통과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없는 제 2 충전부를 구비한다.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없는"이라는 표현은, 제 2 충전부가 특히 캐리어 상부 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가시 광에 대하여 그리고/또는 1차 방사선에 대하여 최대 10% 또는 최대 5% 또는 최대 1%의 투과율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충전부는 특히 1차 방사선과 관련하여 반사 작용 또는 흡수 작용을 할 수 있다. 제 2 충전부는 다수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다양한 캐스팅 재료로부터 조성될 수 있거나 한 가지 캐스팅 재료 및 한 가지 예비 제조된 컴포넌트로부터 조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반도체 칩들은 한 편으로는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도체 칩들은 다른 한 편으로는 서로에 대하여 제 2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이때 제 2 간격은 제 1 간격보다 크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반도체 칩이 캐리어 상부 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는 서로 상이한 적어도 2개의 간격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배열 상태에서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서는 정확하게 2개의 서로 상이한 간격이 나타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제 1 충전부는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충전부는 상기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의 광학 커플링을 위해 설계되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그 사이에 제 1 충전부가 있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서는 광학 커플링이 바람직하게 제 1 충전부가 없는 상태에 대하여 증가되었다. 이 경우에 상기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중에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부터 다른 반도체 칩으로는, 제 1 충전부가 없는 경우보다 많은 방사선이 도달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에 대하여 제 2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는 제 2 충전부가 있다. 제 2 충전부는 상기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의 상호 광학 절연부를 위해 설계되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상기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중에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부터 다른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로는 - 특히 직접적인 경로를 통해서 - 작동 중에 발생 된 방사선이 전혀 도달할 수 없거나 단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비율만이 도달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는 제 2 충전부가 있고, 서로에 대하여 제 2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는 제 1 충전부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캐리어 상부 면을 갖는 캐리어 그리고 다수의 광전자 반도체 칩을 구비하며, 이 경우 이들 반도체 칩은 캐리어 상부 면에 설치되어 있고, 1차 방사선을 발생하도록 설계되었다. 반도체 칩들은 한 편으로는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을 두고서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서로에 대하여 상기 제 1 간격보다 큰 제 2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는 상기 반도체 칩들의 광학 커플링을 위해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제 1 충전부가 있다. 서로에 대하여 제 2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는 상기 반도체 칩들의 광학 절연부를 위해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없는 제 2 충전부가 있다.
상기와 같은 충전부들에 의해서는, 특정 반도체 칩들 사이에서 의도한 바대로의 광학 커플링 또는 의도한 바대로의 광학 절연부가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특히 공간 절약적이고 조밀한 반도체 칩 배열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서로 나란히 좁게 배치된 다수의 반도체 칩을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경우에는, 측면에서 반도체 칩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다른 반도체 칩의 지점에서 모듈을 벗어나거나 이웃하는 변환 중개 층의 발광을 여기 시킨다는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특히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또는 이웃하는 반도체 칩 그룹들이 상호 무관하게 전기적으로 트리거링 될 수 있는 경우에는, 적응성 자동차-헤드 라이트를 위해서 바람직하지 않은, 상기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의 광학 커플링 또는 상기 이웃하는 반도체 칩 그룹들의 광학 커플링을 유도할 수 있다. 다른 한 편으로는, 더 작은 하부 그룹의 반도체 칩들이 공동으로 트리거링 되고 이들 반도체 칩을 가로 질러서 가급적 균일한 방사가 얻어질 수 있다는 사실도 종종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광학 커플링 및 광학 절연부를 얻을 수 있는 한 가지 가능성은, 방사 방향으로 볼 때, 반도체 칩들 뒤에 기계식 블라인드(blind)를 삽입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조치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큰 기계적 구조 및 상기 블라인드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에서 손실을 야기한다. 또한, 광학 절연부 또는 광학 커플링은 복잡한 광학 수단들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황은 일반적으로 현저한 초과 비용을 야기한다.
또한, 각각 하나의 고유한 프레임으로 하나의 광학 절연부를 형성하는 소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발광 다이오드 칩들의 경우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들의 광을 방출하는 이웃하는 영역들 간에 비교적 큰 최소 간격이 필요하고, 특히 콤팩트한 적응성 자동차-헤드라이트의 구조는 거의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발광 다이오드 칩들을 사용할 때에는, 일반적인 경우에 균일한 방사도 단지 복잡한 광학 수단에 의해서만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1차 방사선을 발생하도록 설계된 모든 반도체 칩은 제조 허용 오차의 틀 안에서는 동일하다. 예를 들면 명목상 동일한 스펙트럼 범위 안에 있고 동일한 첨두 파장에서 방출하는 단지 한 종류의 반도체 칩만이 사용된다. 이 경우에 추가의 반도체 칩, 예를 들어 정전기 방전에 대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다이오드 또는 센서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반드시 배제된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하나 또는 다수의 변환 중개 몸체를 구비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 중개 몸체는 1차 방사선을 특히 더 긴 파장의 2차 방사선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변환시키도록 설계되었다. 반도체 칩들 각각에 정확하게 하나의 변환 중개 몸체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2차 방사선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반도체 칩에 변환 중개 몸체를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럼으로써, 반도체 칩들 또는 반도체 칩 그룹들은 서로 상이한 방사선 스펙트럼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변환 중개 몸체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 중개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에 의해서 반도체 칩에 또는 반도체 칩들에 연결되어 있다. 접착제로서는 바람직하게 실리콘을 기본으로 하는 접착제가 사용된다. 이 접착제는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실리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제는 투명하고 1차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제 또는 접착제 재료는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제 1 충전부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형성한다. 특히 접착제와 제 1 충전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었다. 접착제는 제 1 충전부와 함께 추후에 이웃하는 다수의 반도체 칩에 걸쳐서 연속으로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반도체 칩들은 하나의 공통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공통 평면은 바람직하게 캐리어 상부 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방향 설정되어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모든 반도체 칩을 가로지르는 캐리어 상부 면에 대하여 특히 평행한 하나의 평면이 존재한다. 이 경우에 반도체 칩의 방사선 주 측들은 바람직하게 상기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방향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특히 에픽택셜 성장 방식으로 발생 된 반도체 칩의 반도체 층 시퀀스의 성장 방향이 각각 상기 공통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반도체 칩들은 하나의 열(line)로 또는 다수의 열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열은 예를 들어 정확히 2개, 정확히 3개, 정확히 4개, 정확히 5개 또는 5개 이상의 반도체 칩을 포함한다. 하나의 열 내부에서 반도체 칩들은 하나의 직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칩들은 하나의 열 내부에서 바람직하게 서로에 대하여 동일하게 유지되는 간격을 갖는다. 상기 열들 중에 하나의 열 내부에서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은 특히 각각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다수의 열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정확히 2개 또는 정확히 3개 또는 3개 이상의 열을 포함한다. 이웃하는 열들은 서로에 대하여 제 2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열 내부에서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는 각각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제 1 충전부가 있다. 이로써, 하나의 열 내부에서 각각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이 광학적으로 서로 결합 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하나의 열에 걸쳐서 특히 균일한 광 방출에 도달할 수 있다. "균일한 광 방출"이라는 표현은 간격, 특히 반치 전거리(Full Distance at Half Maximum: FDHM)가 캐리어 상부 면에 대하여 수직인 일 단면에서 관찰했을 때 이웃하는 광 농도 최대치 간격의 최대 50% 또는 최대 25%에 달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이웃하는 열 사이에 또는 모든 이웃하는 열 사이에는 각각 제 2 충전부가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이웃하는 열들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호 광학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예를 들어 2개의 이웃하는 열이 상호 광학적으로 절연되어 있지만, 2개의 다른 이웃하는 열은 제 1 충전부에 의해서 서로 광학적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서로 광학적으로 결합 된 열들은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을 두고서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열 또는 모든 열에는 각각 정확히 1개의 일체형 변환 중개 몸체가 할당되어 있다. 하나의 열에 할당된 변환 중개 몸체는 바람직하게 상기 열의 모든 반도체 칩들에 걸쳐서 연장된다. 또한, 상기 변환 중개 몸체는 바람직하게 상기 열에 속하지 않는 반도체 칩에 걸쳐서는 연장되지 않는다. 평면도 상으로 볼 때, 상기 변환 중개 몸체는 추후에 바람직하게 상기 열 내부에서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의 영역을 덮는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캐리어 내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트렌치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는 적어도 2개의 이웃하는 반도체 칩 사이에서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트렌치는 적어도 또는 단지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제 2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만) 형성되어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트렌치는 또한 또는 단지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만) 있을 수도 있다. 트렌치는 캐리어 상부 면에 대한 평면도 상으로 볼 때,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 있지 않은 영역으로도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캐리어 상부 면에 대한 평면도 상으로 볼 때,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는 내부 영역 위로 돌출한다. 이 내부 영역은 평면도 상으로 볼 때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 있는 바로 그 영역이다. 내부 영역 위로 돌출하는 상기 트렌치의 영역은 외부 영역으로서 명명된다. 외부 영역에서 트렌치는 예를 들어 부채 형태로 또는 네트 형태로 분기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외부 영역에 있는 트렌치는 내부 영역에 있는 트렌치보다 작은 평균 폭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영역에 있는 트렌치의 용적 크기는 상기 트렌치에 인접하는 반도체 칩의 방사선 주 측 위에 있는 접착제의 용적 크기의 5% 또는 20% 또는 50% 또는 100%에 달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트렌치 외부 영역에서의 용적은 바람직하게 반도체 칩들 중에 일 반도체 칩 상에서의 접착체 용적과 동일한 크기에 놓여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외부 영역에 있는 트렌치의 용적은 인접하는 반도체 칩 위에 있는 접착제 용적의 최대 500% 또는 최대 150% 또는 최대 100% 또는 최대 70%에 달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캐리어 상부 면에 대한 평면도 상으로 볼 때 외부 영역에 있는 트렌치는 반도체 칩의 적어도 일 에지 길이에 상응하거나 적어도 2배, 5배, 10배 또는 30배의 에지 길이에 상응하는 에지 길이를 갖는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트렌치의 에지 길이는 반도체 칩의 에지 길이에 비해 크다. 트렌치의 에지를 따라서 메니스커스(meniscus)가 형성되기 때문에, 트렌치에 의해서 수용된 접착제 비율 중에 상당히 큰 비율이 트렌치의 에지 길이로부터 유래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반도체 칩에 인접하는 모든 트렌치를 합쳤을 때 또는 단지 상기 트렌치의 외부 영역만을 볼 때 이들 트렌치는 적어도 반도체 칩 상에 제공된 총 접착제 용적에서 방사선 주 측과 변환 중개 몸체 사이에 남아 있는 접착제 용적을 뺀(minus) 크기와 같은 총 용적을 갖는다. 다시 말해,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는 변환 중개 몸체를 프레싱 할 때에 방사선 주 측으로부터 아래로 흐르는 접착제의 전체 양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반도체 칩에 인접하는 모든 트렌치를 합쳤을 때 이들 트렌치는 적어도 반도체 칩의 에지 길이, 제 1 또는 제 2 간격, 캐리어 상부 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반도체 칩의 두께 및 팩터를 곱한 값의 용적 크기와 같은 총 용적을 갖는다. 상기 팩터는 0.5 또는 0.65 또는 0.75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제 재료를 위한 트렌치의 모세관 작용은 그 사이에 트렌치가 형성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의 모세관 작용보다 크다. 트렌치의 모세관 작용은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 있는 공간의 모세관 작용을 예를 들어 적어도 팩터 1.5만큼 또는 적어도 팩터 2만큼 초과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트렌치는 폭 및 재료 및 표면의 기하학적 구조에 있어서, 인접하는 반도체 칩들의 방사선 주 측으로부터 아래로 흐르는 접착제 재료가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 남아 있지 않고, 오히려 상대적으로 더 큰 모세관 작용으로 인해 트렌치 내부로 흡인되도록 형성되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가 있는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의 간격은 관련 트렌치의 최대 폭보다 작거나 평균 폭보다 작다. 트렌치의 상대적으로 더 큰 모세관 작용은 추후에 특히 상기 트렌치의 표면의 기하학적 구조 및 표면 재료에 의해서 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하나 또는 다수의 삽입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 적어도 하나의 삽입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 1차 방사선에 대해서 그리고/또는 2차 방사선에 대해서 투과성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삽입 플레이트는 제 2 충전부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나타낸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이 경우에 삽입 플레이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 있다. 이때 상기 삽입 플레이트는 캐리어 상부 면에 대한 평면도 상으로 볼 때 예를 들어 이웃하는 열들 사이에서 내부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삽입 플레이트는 적어도 내부 영역에서는 최대 200㎛의 또는 최대 150㎛의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 플레이트는 캐리어 상부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환 중개 몸체 또는 접착제 또는 방사선 주 측 위로 돌출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 플레이트는 세라믹으로부터 또는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되거나 이와 같은 재료들로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간격은 적어도 20㎛에 또는 적어도 40㎛에 또는 적어도 60㎛에 놓인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상기 제 1 간격은 최대 250㎛에 또는 최대 200㎛에 또는 최대 150㎛에 놓인다. 또한, 제 2 간격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적어도 200㎛에 또는 적어도 250㎛에 그리고/또는 최대 400㎛에 또는 최대 300㎛에 놓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충전부는 캐리어 상부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반도체 칩의 방사선 주 측 위로 돌출한다. 또한, 상기 제 1 충전부는 캐리어 상부 면을 등지는 접착제의 상부 면 위로 돌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 충전부는 변환 중개 몸체 위로는 돌출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에 대하여 제 2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 있는 내부 영역은 제 1 충전부의 재료로 부분적으로 채워져 있다. 상기 내부 영역에서는 캐리어 상부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 때 제 2 충전부가 바람직하게 제 1 충전부에 후속한다. 상기 내부 영역에서는 제 1 및 제 2 충전부가 서로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반도체 칩들은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의 금속화 층 상에서 캐리어 상부 면에 설치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납땜 되어 있다. 상기 금속화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적어도 5㎛에 또는 적어도 10㎛에 그리고/또는 최대 75㎛에 또는 최대 50㎛에 놓인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금속화 층은 측방 제한 면을 갖는다. 캐리어 상부 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방향 설정될 수 있는 금속화 층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 제한 면은 바람직하게 날카로운 에지 형태로 형성되었고, 그 표면에는 주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측방 제한 면과 캐리어 상부 면을 등지는 상기 금속화 층의 상부 면 사이에 형성된 각은 바람직하게 예각이다. "날카로운 에지 형태로"라는 표현은, 횡단면 상으로 볼 때, 측방 제한 면이 스파이크 또는 피크로 형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충전부는 캐리어 상부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 때, 반도체 칩들 및/또는 접착제 및/또는 변환 중개 몸체 위로 돌출한다. 캐리어 상부 면을 등지는 제 2 충전부의 상부 면은 평평하게,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거나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평면도 상으로 볼 때, 변환 중개 몸체는 바람직하게 제 1 충전부에 의해서 덮여 있지 않은 만큼 제 2 충전부에 의해서도 덮여 있지 않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충전부는 매트릭스 재료를 구비한다. 이 매트릭스 재료는 바람직하게 투명하면서도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있다. 매트릭스 재료로서는 실리콘 또는 실리콘-에폭시드-하이브리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매트릭스 재료 내부에는 바람직하게 입자들이 매립되어 있다. 이들 입자는 1차 방사선에 대해서 그리고/또는 2차 방사선에 대해서 반사 작용 및/또는 흡수 작용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자로서는 카본 블랙 입자, 이산화티타늄-입자 또는 금속 조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2 충전부에 의해서는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간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반도체 칩들 또는 소수의 반도체 칩 그룹은 상호 무관하게 전기식으로 트리거링될 수 있고 작동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반도체 칩들은 서로 광학적으로 결합 된 하나의 그룹으로 전기식으로 상호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칩들은 하나의 열 내부에서 직렬로 전기 접속되어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하나의 열의 n번째 반도체 칩은 다른 열의 n번째 반도체 칩과 병렬로 전기 접속되거나 직렬로 전기 접속되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한 가지 특정 방향을 따라서 뻗는 개별 열 내에 있는 계수 지수(counting index)이다.
더 나아가, 전술된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구비하는 자동차-헤드라이트가 개시된다. 그렇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특징들은 자동차-헤드라이트에 대해서도 개시되고, 그 역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자동차-헤드라이트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 뒤에는 바람직하게 블라인드가 없는 광학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도면을 참고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때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들을 지시한다. 하지만, 이 경우에 각각의 요소들은 척도에 맞는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과도하게 크게 도시될 수 있다.
도면 설명:
도 1 내지 도 18 및 도 20은 본원에 기술된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실시 예들에 대한 개략도이며, 그리고
도 19는 본원에 기술된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위한 반도체 칩의 회로 설계 예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1)의 일 실시 예가 개략적인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발광 다이오드 모듈(1)은 캐리어 상부 면(20)을 갖는 캐리어(2)를 구비한다. 캐리어 상부 면(20)에는 다수의 광전자 반도체 칩(3)이 있으며, 이들 광전자 반도체 칩으로서는 2개 직선의 열로 나란히 설치된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된다. 상기 열들 중에 하나의 열 내부에 있는 반도체 칩(3)들은 각각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D1)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열들 사이에서 반도체 칩(3)들은 제 2 간격(D2)을 갖는다. 제 2 간격(D2)은 제 1 간격(D1)보다 크다.
열들을 따라서 2개의 이웃하는 반도체 칩(3) 사이에는 각각 제 1 충전부(41)가 있으며, 상기 제 1 충전부는 도 1에서 해칭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 1 충전부(41)는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있고, 그 사이에 제 1 충전부(41)가 있는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의 광학 커플링을 위해 설계되었다.
열들 사이에 그리고 반도체 칩(3) 어셈블리 둘레에는 제 2 충전부(42)가 있다. 제 2 충전부(42)는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없고, 2개의 열의 상호 광학 절연부를 위해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제 2 충전부는 반사 작용을 하고 관찰자에게 백색으로 보인다.
제 2 충전부(42) 둘레에는 선택적으로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이 있을 수 있다. 캐리어(2)의 전기 도체 트랙은 도면을 간략하게 할 목적으로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캐리어 상부 면(20)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반도체 칩(3) 어셈블리가 설치된 영역에서는 평평하게 형성되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캐리어(2)에는 2개 이상의 열이 설치될 수 있거나, 그 내부에서 상호 광학적으로 절연된 2개의 부분 섹션이 서로에 대하여 제 2 간격(D2)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부분 섹션들 내부에서 제 1 간격(D1) 및 광학 커플링이 존재하는 단 하나의 열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의 도 2 내지 도 14에서는 도면을 간략하게 할 목적으로 충전부(41, 42)가 도시되어 있지 않거나 단지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충전부(41, 42)는 도 2 내지 도 14에 따른 실시 예들에서도 존재한다.
도 2에 도시된 단면도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반도체 칩(3)들이 각각 캐리어 상부 면(20)에서 금속화 층(8) 상에 설치되어 있다. 캐리어(2)를 등지는 반도체 칩(3)의 방사선 주 측(30)에는 변환 중개 몸체(6)가 각각 하나씩 있다. 이 변환 중개 몸체(6)는 접착제(5)에 의해서 상기 방사선 주 측(3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변환 중개 몸체(6)를 통해서는 반도체 칩(3) 내에서 작동 중에 발생 되는 방사선의 일 부분이 다른 파장의 방사선으로 변환된다.
변환 중개 몸체(6)로서는 바람직하게 예비 제조되었고, 반도체 칩(3)과 별도로 제조된 몸체가 사용된다. 특히 변환 중개 몸체(6)는 기계적으로 볼 때 자체 지지 방식이고, 장착기에 의해서 취급될 수 있다. 변환 중개 몸체(6)는 바람직하게 반도체 칩(3) 상에 고체로서 설치된다. 변환 중개 몸체(6)를 제공할 때에 접착제(5)는 액체의 밀도를 갖는다. 변환 중개 몸체(6)를 제공한 후에는 접착제(5)가 경화된다.
도 2에서는,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서 캐리어(2) 내부에 트렌치(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트렌치(7)의 폭(B)은 반도체 칩(3)들의 간격보다 작다. 도 2에 따른 반도체 칩(3)들의 상기 간격으로서는 제 1 간격이 사용될 수 있거나 제 2 간격도 사용될 수 있다. 금속화 층(8)은 트렌치(7)까지 근접하지는 않는다.
트렌치(7)의 폭(B)은 바람직하게 트렌치(7)의 깊이보다 작다. 예를 들어 캐리어 상부 면(20)에서의 폭(B)은 적어도 30㎛에 또는 적어도 50㎛에 또는 적어도 80㎛에 놓인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상기 폭(B)은 최대 200㎛에 또는 최대 150㎛에 또는 최대 120㎛에 놓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트렌치(7)는 횡단면 상으로 볼 때 V자 모양 또는 U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렌치(7)는 에칭을 이용해서, 스크래칭을 이용해서 또는 레이저 제거에 의해서 발생 된다. 트렌치(7)에 대하여 도 2와 연관해서 언급된 특성들은 다른 모든 실시 예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는, 금속화 층(8)이 도 2에 따른 실시 예에서와 달리 가로 방향으로 반도체 칩(3) 위로 돌출하지 않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따른 실시 예에서도 트렌치(7)는 반도체 칩(3)들의 간격보다 좁다.
도 4에 따르면, 트렌치(7)의 폭(B)은 반도체 칩(3)들의 간격보다 크다. 다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금속화 층(8)은 트렌치(7)까지 근접한다.
도 5에 따르면, 금속화 층(8)뿐만 아니라 반도체 칩(3)도 트렌치(7)를 부분적으로 덮는다. 상기 금속화 층(8)은 캐리어 상부 면(20)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볼 때, 반도체 칩(3)과 동일한 높이에서 끝날 수 있다.
트렌치(7)는 변환 중개 몸체(6)를 설치할 때에 상대적으로 높은 모세관 작용으로 인해, 방사선 주 측(30)으로부터 아래로 흐르는 초과량의 접착제(5) 재료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럼으로써, 특히 제 2 간격(D2)에 의해 규정된 반도체 칩(3)들 사이의 중간 영역에서 초과량의 접착제 재료 중에 지나치게 많은 양이 반도체 칩(3)들 사이에 축적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초과량의 접착제 재료가 모세관 작용에 의해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트렌치(7) 내부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1)에 대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평면도 상으로 볼 때, 트렌치(7)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 있는 내부 영역(71) 위로 돌출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평면도 상으로 볼 때, 트렌치(7)는 내부 영역(71) 외에 각각 2개의 외부 영역(72)을 구비한다. 일 트렌치(7)의 각각의 외부 영역(72)에서 또는 2개의 외부 영역(72)에서 합쳐진 트렌치(7)의 용적은 바람직하게 인접하는 반도체 칩(3)의 방사선 주 측 위에 있는 접착제(5)의 용적과 동일한 크기 안에 놓인다.
도 7에 따르면, 외부 영역(72)들은 부채 형태로 내부 영역(7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다수의 부분 트렌치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외부 영역(72) 내에 있는 이들 부분 트렌치는 상대적으로 더 작은 평균 폭을 가지며, 이로써 특히 접착제 재료에 대하여 상승 된 모세관 작용을 갖는다.
도 8에 따른 실시 예에서, 트렌치는 그리드 형태로, 네트 형태로 또는 프레임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트렌치(7)는 반도체 칩(3)의 열의 세로 방향을 따라서도 상기 반도체 칩(3) 위로 돌출할 수 있다. 상기 열의 세로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는, 트렌치(7)가 도 6과 관련하여 지시된 바와 유사하게 형성되었다.
도 9에 따른 실시 예에서 도 9a에 도시된 개략적인 단면도, 도 9b에 도시된 부분 사시도 그리고 도 9c에 도시된 평면도를 참조하여 볼 때, 금속화 층(8)은 측방 제한 면(8)을 구비한다. 이 측방 제한 면(8)은 캐리어 상부 면(20)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방향 설정되어 있다.
측방 제한 면(80)은 날카로운 에지 형태의 스파이크를 갖는 주름을 구비한다. 그럼으로써, 접착제(5)의 재료와 관련하여 상기 제한 면(80)에서 모세관 작용 및 습윤 가능성이 증가 될 수 있다. 캐리어 상부 면(20)을 등지는 금속화 층(8)의 일 상부 면과 제한 면(80) 사이에 형성된 각은 예각이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9b가 참조 된다.
금속화 층(8)은 열의 세로 방향을 따라서 반도체 칩(3) 위로 돌출하는 것보다 상기 열의 세로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반도체 칩(3) 위로 더 많이 돌출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9c가 참조 된다. 도 9c에서 반도체 칩(3)의 열의 세로 방향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진행한다. 금속화 층(8)의 두께는 예를 들어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범위 안에 놓인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제한 면(80) 외에 트렌치(7)도 설치되어 있다. 트렌치(7)의 측벽에도 주름이 제공될 수 있다. 트렌치(7)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한 면(80)의 표면적은 바람직하게 초과량의 접착제(5) 재료를 충분한 양으로 결합시킬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다.
도 10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 모듈(1)은 삽입 플레이트(9)를 포함한다. 삽입 플레이트(9)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서 내부 영역(71)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삽입 플레이트(9)의 두께는 도 10에 따르면, 캐리어 상부 면(20)에 대하여 수직인 반도체 칩(3)의 두께보다 작다.
삽입 플레이트(9)는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없는 제 2 충전부(42)의 일 부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 플레이트(9)는 반사 작용을 하는 백색의 세라믹으로부터 형성되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삽입 플레이트(9)는 금속화 층(8)에 접촉되어 상기 금속화 층(8) 상에 놓일 수 있다. 삽입 플레이트(9)가 바람직하게 그 내부에 매립된 제 2 충전부(42)의 추가의 일 컴포넌트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캐리어 상부 면(20)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 플레이트(9)와 반도체 칩(3)들의 간격은 바람직하게 수 마이크로미터의 범위 안에, 예를 들어 적어도 1㎛에 또는 적어도 2㎛에 또는 적어도 5㎛에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50㎛에 또는 최대 30㎛에 또는 최대 15㎛에 놓인다.
도 11에는, 삽입 플레이트(9)가 반도체 칩(3) 어셈블리 외부에 그리고 내부 영역(71) 외부에 주변을 둘러싸는 상승 된 에지를 구비하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주변을 둘러싸는 에지는 캐리어 상부 면(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환 중개 몸체(6) 위로 돌출할 수 있다. 특히 내부 영역(71)에서 상기 삽입 플레이트(9)는 캐리어 상부 면(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착제(5)의 높이까지 근접한다.
도 12에 따른 개략적인 평면도에서는 삽입 플레이트(9)가 모든 반도체 칩(3) 둘레를 각각 둘러싼다. 도 13에 따른 실시 예에서, 삽입 플레이트(9)는 반도체 칩(3)들의 둘레에 전체적으로 하나의 프레임을 형성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반도체 칩(3)의 각각 하나의 열 둘레에 하나의 프레임을 형성한다.
광학적으로 결합 되어 있고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작은 제 1 간격(D1)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들 사이에 있는 내부 영역(71)에는 바람직하게 삽입 플레이트가 없다.
도 14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1)의 실시 예의 평면도에서는 반도체 칩(3)들이 2개의 열로 배치되어 있다. 일 열의 반도체 칩(3)들은 각각 일체형의 변환 중개 몸체(6)에 의해서 공동으로 덮여 있다.
도 15 내지 도 18에는 충전부(41, 42)가 각각 단면도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들과 연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들은 다른 모든 실시 예에서 상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5에는 간격(D1)을 두고서 배치된 반도체 칩(3)들 사이에 있는 제 1 충전부(41)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충전부(41)는 접착제(5)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었고, 동일한 재료로부터 제조되었다. 제 1 충전부(41)는 캐리어 상부 면(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환 중개 몸체(6)의 높이까지 도달한다. 상기 제 1 충전부(41)는 내부 영역(71)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었다.
도 16에서는 내부 영역(71)이 상대적으로 더 큰 간격(D2)을 두고서 배치된 반도체 칩(3)들 사이에서 제 1 충전부(41)로 부분적으로 채워져 있다. 상기 제 1 충전부(41)의 최소 높이는 캐리어 상부 면(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최대 반도체 칩(3)의 절반 높이까지 도달하다. 제 1 충전부(41)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제 2 충전부(42)가 곧바로 후속한다.
도 17에 따르면, 제 2 충전부(42)는 다수의 컴포넌트로 형성되었다. 예를 들어 제 1 컴포넌트(42a)는 반사 작용을 하도록 형성되었고, 제 2 컴포넌트(42b)는 흡수 작용을 하도록, 특히 흑색을 흡수하도록 형성되었다. 제 2 충전부는 도 17에 따라 볼록하게 형성되었고, 캐리어 상부 면(20)을 등지는 변환 중개 몸체(6)의 측면 위로 돌출한다.
도 18에 따른 실시 예에서, 제 2 충전부(42)는 내부 영역(71)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 2 충전부(42)는 또한 추후에 실질적으로 캐리어 상부 면(20)에 대하여 평행하게 방향 설정되는 평탄한 상부 면 또는 볼록한 상부 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또한 각각 제 1 충전부에 대한 경우일 수도 있다.
도 19에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1)의 실시 예들을 위한 반도체 칩(3)의 다양한 회로 설계 가능성이 도시되어 있다. 반도체 칩(3) 그리고 콘택 포인트(82) 및 전기 도체 트랙(83)은 각각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도 19a 내지 도 19d 및 도 19f에 따르면, 반도체 칩(3)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전기적으로 트리거링 될 수 있다. 도 19e에 따르면, 반도체 칩(3)들은 하나의 열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어 있다. 도 19f에는 매트릭스 회로가 도시되어 있으며, 열(column)을 따라서 배치된 콘택 포인트(82r) 및 행(row)을 따라서 배치된 콘택 포인트(82l)는 단지 매우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의 2개의 실시 예에서는, 최대 광 농도(L0)에 맞추어 정규화된 광 농도(L)가 반도체 칩(3)들의 하나의 열을 따라서 x 방향으로 그리고 캐리어 상부 면(20)에 대하여 수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열 위를 가로지르는 한 가지 방사 특성은 바람직하게 다른 모든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균일하다. "균일하다"는 표현은, 예컨대 이웃하는 2개 반도체 칩(3)간의 광 농도(L)의 간격(FDHM)이 이웃하는 광 농도 최대치의 간격(V)의 2배 또는 상기 간격(V)의 1/4 또는 상기 간격(V)의 1/8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와 마찬가지로, 상기 간격(FDHM)은 또한 도 20의 좌측 도면 절반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일 수도 있다. 이웃하는 2개 광 농도 최대치 사이의 최소 광 농도(L)는 상기 최대치 내에 있는 광 농도(L)의 적어도 20% 또는 적어도 40% 또는 적어도 50% 또는 적어도 60%에 달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발명은 실시 예들을 참조하는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은 각각의 새로운 특징 그리고 이들 특징의 각각의 조합을 포함하며, 특히 상기 특징 또는 상기 특징 조합 자체가 특허 청구의 범위 또는 실시 예에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각각의 특징 조합은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된 것으로 간주 된다.
본 특허 출원은 독일 특허 출원서 10 2012 105 677.3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서의 공개 내용은 인용 방식에 의해서 본원에 수용된다.

Claims (15)

  1. 캐리어 상부 면(20)을 갖는 캐리어(2),
    상기 캐리어 상부 면(20)에 설치되어 있고 1차 방사선을 발생하도록 설계된 다수의 광전자 반도체 칩(3),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제 1 충전부(41), 및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없는 제 2 충전부(42)
    1차 방사선을 2차 방사선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환 중개 몸체(6), 및
    상기 변환 중개 몸체(6)를 상기 반도체 칩(3)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에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5)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1)로서,
    상기 반도체 칩(3)들이 한 편으로는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D1)을,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제 2 간격(D2)을 가지며,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D1)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는 상기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의 상호 광학 커플링을 위해 제 1 충전부(41)가 있고,
    서로에 대하여 제 2 간격(D2)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는 상기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의 상호 광학 절연부를 위해 제 2 충전부(42)가 있고,
    상기 캐리어(2)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트렌치(7)는 적어도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제 2 간격(D2)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착제(5)는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제 1 충전부(41)를 형성하며,
    상기 반도체 칩(3)들은 각각 이 반도체 칩(3)들 중 적어도 3개의 반도체 칩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또는 정확히 2개의 열(line)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열 내부에서 상기 반도체 칩(3)들 사이에는 각각 제 1 충전부(41)가 있고,
    적어도 2개의 이웃하는 열 사이에는 제 2 충전부(42)가 있으며, 그리고
    접착제(5) 재료에 대한 트렌치(7)의 모세관 작용은 그 사이에 트렌치(7)가 형성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의 모세관 작용보다 큰,
    발광 다이오드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열에는 정확히 하나의 일체형 변환 중개 몸체(6)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변환 중개 몸체(6)는 단지 상기 열의 모든 반도체 칩(3)에 걸쳐서 연장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캐리어 상부 면(20)에 대한 평면도 상으로 볼 때,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7)는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 있는 내부 영역(71) 위로 돌출하고, 상기 트렌치(7)는 상기 내부 영역(71) 위로 돌출하는 외부 영역(72) 내에서 부채 형태로 분기 된,
    발광 다이오드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외부 영역(72)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7)의 용적은 인접하는 반도체 칩(3)들 중 하나의 반도체 칩 상에 있는 접착제(5) 용적의 적어도 20%에 달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7)가 형성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의 간격(D1, D2)은 트렌치의 폭(B)보다 작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삽입 플레이트(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 플레이트(9)는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없고, 제 2 충전부(42)의 적어도 일 부분을 형성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반도체 칩(3)들 사이에 있는 내부 영역(71)에서 삽입 플레이트(9)는 최대 200㎛의 두께를 갖고, 캐리어 상부 면(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환 중개 몸체(6) 위로 돌출하지 않으며,
    상기 삽입 플레이트(9)는 세라믹으로부터 또는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 모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간격(D1)은 20㎛ 이상 200㎛ 이하에 놓이고, 제 2 간격(D2)은 200㎛ 이상 400㎛ 이하에 놓이며,
    제 1 충전부(41)는 캐리어 상부 면(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반도체 칩(3)들의 방사선 주 측(30) 위로 돌출하며,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제 2 간격(D2)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 있는 내부 영역(71)은 제 1 충전부(41)의 재료로 단지 부분적으로만 채워져 있고, 상기 내부 영역(71)에서 제 2 충전부(42)는 캐리어 상부 면(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충전부(41)에 후속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도체 칩(3)들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화 층(8) 상에서 캐리어 상부 면(2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화 층(8)의 두께는 5㎛ 이상 75㎛ 이하에 달하며, 상기 금속화 층(8)의 측방 제한 면(80)에는 주름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측방 제한 면은 날카로운 에지 형태로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 모듈.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충전부(42)는 캐리어 상부 면(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반도체 칩(3)들 위로 돌출하며,
    상기 제 2 충전부(42)는 매트릭스 재료로서 투명하면서도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실리콘 또는 실리콘-에폭시드-하이브리드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릭스 재료 내부에는 반사 작용을 하는 그리고/또는 흡수 작용을 하는 입자들이 매립된,
    발광 다이오드 모듈.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도체 칩(3)들 또는 개별적인 반도체 칩(3) 그룹들이 상호 무관하게 전기적으로 트리거링 될 수 있으며, 이때 일 그룹 내부에서 상기 반도체 칩(3)들은 서로 광학적으로 결합 된,
    발광 다이오드 모듈.
  12. 캐리어 상부 면(20)을 갖는 캐리어(2),
    상기 캐리어 상부 면(20)에 설치되어 있고 1차 방사선을 발생하도록 설계된 다수의 광전자 반도체 칩(3),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제 1 충전부(41), 및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없는 제 2 충전부(42)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1)로서,
    상기 반도체 칩(3)들이 한 편으로는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D1)을,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제 2 간격(D2)을 가지며,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D1)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는 상기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의 상호 광학 커플링을 위해 제 1 충전부(41)가 있고,
    서로에 대하여 제 2 간격(D2)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는 상기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의 상호 광학 절연부를 위해 제 2 충전부(42)가 있고,
    상기 캐리어(2)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트렌치(7)는 적어도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제 2 간격(D2)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간격(D1)은 20㎛ 이상 200㎛ 이하에 놓이고, 제 2 간격(D2)은 200㎛ 이상 400㎛ 이하에 놓이며,
    제 1 충전부(41)는 캐리어 상부 면(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반도체 칩(3)들의 방사선 주 측(30) 위로 돌출하며,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제 2 간격(D2)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 있는 내부 영역(71)은 제 1 충전부(41)의 재료로 단지 부분적으로만 채워져 있고, 상기 내부 영역(71)에서 제 2 충전부(42)는 캐리어 상부 면(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충전부(41)에 후속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13. 캐리어 상부 면(20)을 갖는 캐리어(2),
    상기 캐리어 상부 면(20)에 설치되어 있고 1차 방사선을 발생하도록 설계된 다수의 광전자 반도체 칩(3),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제 1 충전부(41), 및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없는 제 2 충전부(42)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1)로서,
    상기 반도체 칩(3)들이 한 편으로는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D1)을,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제 2 간격(D2)을 가지며,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D1)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는 상기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의 상호 광학 커플링을 위해 제 1 충전부(41)가 있고,
    서로에 대하여 제 2 간격(D2)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는 상기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의 상호 광학 절연부를 위해 제 2 충전부(42)가 있고,
    상기 캐리어(2)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트렌치(7)는 적어도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제 2 간격(D2)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반도체 칩(3)들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화 층(8) 상에서 캐리어 상부 면(2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화 층(8)의 두께는 5㎛ 이상 75㎛ 이하에 달하며, 상기 금속화 층(8)의 측방 제한 면(80)에는 주름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측방 제한 면은 날카로운 에지 형태로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 모듈.
  14. 캐리어 상부 면(20)을 갖는 캐리어(2),
    상기 캐리어 상부 면(20)에 설치되어 있고 1차 방사선을 발생하도록 설계된 다수의 광전자 반도체 칩(3),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제 1 충전부(41), 및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없는 제 2 충전부(42)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1)로서,
    상기 반도체 칩(3)들이 한 편으로는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D1)을,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제 2 간격(D2)을 가지며,
    서로에 대하여 제 1 간격(D1)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는 상기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의 상호 광학 커플링을 위해 제 1 충전부(41)가 있고,
    서로에 대하여 제 2 간격(D2)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는 상기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의 상호 광학 절연부를 위해 제 2 충전부(42)가 있고,
    상기 캐리어(2)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트렌치(7)는 적어도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제 2 간격(D2)을 두고서 배치된 이웃하는 반도체 칩(3)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충전부(42)는 캐리어 상부 면(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반도체 칩(3)들 위로 돌출하며,
    상기 제 2 충전부(42)는 매트릭스 재료로서 투명하면서도 방사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실리콘 또는 실리콘-에폭시드-하이브리드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릭스 재료 내부에는 반사 작용을 하는 그리고/또는 흡수 작용을 하는 입자들이 매립된,
    발광 다이오드 모듈.
  15. 제 1 항 내지 제 7 항 및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1)을 구비하는,
    자동차-헤드라이트.
KR1020147029203A 2012-06-28 2013-05-31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자동차 헤드라이트 KR102031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5677.3A DE102012105677B4 (de) 2012-06-28 2012-06-28 Leuchtdiodenmodul und Kfz-Scheinwerfer
DE102012105677.3 2012-06-28
PCT/EP2013/061265 WO2014001019A1 (de) 2012-06-28 2013-05-31 Leuchtdiodenmodul und kfz-scheinwerf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508A KR20150035508A (ko) 2015-04-06
KR102031311B1 true KR102031311B1 (ko) 2019-10-11

Family

ID=4857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203A KR102031311B1 (ko) 2012-06-28 2013-05-31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자동차 헤드라이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53078B2 (ko)
JP (1) JP5882534B2 (ko)
KR (1) KR102031311B1 (ko)
CN (1) CN104428894B (ko)
DE (1) DE102012105677B4 (ko)
WO (1) WO20140010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59115A1 (en) * 2015-08-31 2017-03-02 Osram Sylvania Inc. Led array on partially reflective substrate within dam having reflective and non-reflective regions
US20170059116A1 (en) * 2015-08-31 2017-03-02 Osram Sylvania Inc. Led array within asymmetric cavity having reflective and non-reflective regions
KR102595896B1 (ko) * 2016-08-08 2023-10-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CN107946441A (zh) * 2016-10-12 2018-04-20 亿光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发光装置及发光二极管封装结构
CN110073490B (zh) * 2016-12-21 2023-01-03 亮锐控股有限公司 Led的对准布置
KR20190010988A (ko) * 2017-07-24 2019-02-0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동차 헤드램프용 발광 다이오드
WO2019064980A1 (ja) * 2017-09-27 2019-04-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投光装置
US11027641B2 (en) * 2017-10-09 2021-06-08 AAC Enterprises LLC Front grill with LED module lighting system
KR200488236Y1 (ko) * 2018-08-07 2018-12-31 인터테크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 장치
DE102021125056A1 (de) * 2021-09-28 2023-03-30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Bauelement mit einer mehrzahl von halbleiterchip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9434A (ja) * 2003-09-11 2005-04-21 Nichia Chem Ind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07833A (ja) * 2006-01-31 2007-08-16 Sanyo Electric Co Ltd 発光ダイオード光源
JP2010130007A (ja) * 2008-11-25 2010-06-10 Visera Technologies Co Ltd 発光ダイオー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66099A (ja) * 2010-02-08 2011-08-25 Paragon Semiconductor Lighting Technology Co Ltd 演色性を向上させることができる混光式発光ダイオードのパッケージ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5470B4 (de) * 1999-09-22 2007-06-0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mikrofunktionalen Verbundvorrichtung
JP4679183B2 (ja) * 2005-03-07 2011-04-27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DE102007011123A1 (de) 2007-03-07 2008-09-1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icht emittierendes Modul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Licht emittierendes Modul
JP4964638B2 (ja) 2007-03-23 2012-07-04 昭和電工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の製造方法
DE102007046339A1 (de) * 2007-09-27 2009-04-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ichtquelle mit veränderlicher Abstrahlcharakteristik
DE102008011153B4 (de) * 2007-11-27 2023-02-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nordnung mit mindestens zwei lichtemittierenden Halbleiterbauelementen
JP2009231525A (ja) 2008-03-24 2009-10-08 Mitsubishi Chemicals Corp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照明装置
JP5521325B2 (ja) 2008-12-27 2014-06-1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354365B (en) * 2009-08-26 2011-12-11 Quasioptical led package structure for increasing
JP5396215B2 (ja) * 2009-09-24 2014-01-2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半導体発光装置の製造方法、半導体発光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2004519A (ja) 2010-05-17 2012-01-05 Sharp Corp 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1039994B1 (ko) * 2010-05-24 2011-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JP5572013B2 (ja) * 2010-06-16 2014-08-13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297767B2 (en) * 2010-09-07 2012-10-30 Xicato, Inc. LED-based illumination modules with PTFE color converting surfaces
JP5622494B2 (ja) * 2010-09-09 2014-11-1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89761A (ja) 2010-10-21 2012-05-10 Mitsubishi Chemicals Corp 発光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該発光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を備える照明装置
JP4926303B1 (ja) 2010-12-27 2012-05-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ランプ
US9673363B2 (en) * 2011-01-31 2017-06-06 Cree, Inc. Reflective mounting substrates for flip-chip mounted horizontal LEDs
US20120257386A1 (en) * 2011-06-24 2012-10-11 Xicato, Inc. Led based illumination module with a reflective mask
US8492185B1 (en) * 2011-07-14 2013-07-23 Soraa, Inc. Large area nonpolar or semipolar gallium and nitrogen containing substrate and resulting devices
JP2013042099A (ja) 2011-07-15 2013-02-28 Mitsubishi Chemicals Corp 半導体発光装置を搭載するための回路基板、発光モジュール、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DE102012101160A1 (de) 2012-02-14 2013-08-14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ichtquellenmodu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9434A (ja) * 2003-09-11 2005-04-21 Nichia Chem Ind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07833A (ja) * 2006-01-31 2007-08-16 Sanyo Electric Co Ltd 発光ダイオード光源
JP2010130007A (ja) * 2008-11-25 2010-06-10 Visera Technologies Co Ltd 発光ダイオー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66099A (ja) * 2010-02-08 2011-08-25 Paragon Semiconductor Lighting Technology Co Ltd 演色性を向上させることができる混光式発光ダイオードのパッケージ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53078B2 (en) 2017-01-24
JP2015514326A (ja) 2015-05-18
KR20150035508A (ko) 2015-04-06
DE102012105677B4 (de) 2016-06-09
CN104428894B (zh) 2017-06-30
JP5882534B2 (ja) 2016-03-09
WO2014001019A1 (de) 2014-01-03
DE102012105677A1 (de) 2014-01-02
CN104428894A (zh) 2015-03-18
US20150228630A1 (en)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311B1 (ko)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자동차 헤드라이트
KR101645303B1 (ko) 광전자 반도체 컴포넌트
KR101413503B1 (ko) 와이어 없는 방식으로 접촉되는 광전자 소자
JP4551948B2 (ja) 線状光源装置、面発光装置、面状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940209B2 (ja)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半導体チップおよび当該半導体チップを備えたヘッドライト
KR102149016B1 (ko) 광전자 소자
US8546826B2 (en) Light-emitt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e for a light-emitting module
KR102183516B1 (ko) 투명한 스페이서에 의해 led로부터 분리된 인광체
JP2009526377A (ja) 発光ダイオード部品用ハウジングおよび発光ダイオード部品
JP6096939B2 (ja)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部品
CN112882147B (zh) 面发光光源
CN108140641B (zh) 光电子部件以及用于制造其的方法
TWI515928B (zh) 輻射發射組件
KR102417580B1 (ko) 발광 장치, 발광 모듈, 발광 장치 및 발광 모듈의 제조 방법
KR20140026163A (ko) 반도체 소자 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519814B1 (ko) 높은 근거리 콘트라스트 비를 갖는 led 모듈
JP5811770B2 (ja)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84382A (ko) 광전자 구성요소, 광전자 배열체, 광학적 요소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광전자 구성요소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CN111128897B (zh) 一种光电探测器
KR20120079084A (ko) 방사선 방출면 및 절연 층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반도체 몸체를 포함하는 광전자 모듈 그리고 상기 광전자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N107448852B (zh) 照明装置
KR20200094100A (ko) 발광장치의 제조방법
KR101299563B1 (ko) 반도체 소자 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299562B1 (ko) 반도체 소자 구조물
KR20230106189A (ko) 포토다이오드 모듈 및 포토다이오드 모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