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130B1 - 범퍼 - Google Patents

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130B1
KR102030130B1 KR1020190053647A KR20190053647A KR102030130B1 KR 102030130 B1 KR102030130 B1 KR 102030130B1 KR 1020190053647 A KR1020190053647 A KR 1020190053647A KR 20190053647 A KR20190053647 A KR 20190053647A KR 102030130 B1 KR102030130 B1 KR 102030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fixing
forklift
delete delet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근
김무경
이경재
Original Assignee
이동근
(주)엠케이리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근, (주)엠케이리더스 filed Critical 이동근
Priority to KR1020190053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로자에게 충돌시 가해지는 충격이 완하되도록 하여 협착재해 예방 및 상해정도를 저감할 수 있으며, 지게차, 선박 등에 충돌로 인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범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범퍼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범퍼{BUMPER}
본 발명은 지게차, 선박 등에 설치되어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근로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범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로자에게 충돌시 가해지는 충격이 완하되도록 하여 협착재해 예방 및 상해정도를 저감할 수 있으며, 지게차, 선박 등에 충돌로 인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범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퍼는 지게차, 자동차, 배와 같은 운송장치가 다른 물체에 충돌 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운송장치를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운송장치의 전, 후, 양측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는 완충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범퍼는 운송장치의 전, 후방에서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빔의 후방 양측에 스테이가 장착되어 차체측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는 범퍼빔 유닛과, 상기 범퍼빔의 전방에 배치되어 충격력을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 그리고 상기 범퍼빔과 에너지 업소버를 감싸는 범퍼 커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의 범퍼빔 유닛은, 상기 범퍼빔의 후방 양측에 스테이가 체결된 상태로, 차체측의 사이드 멤버에 조립되는데, 상기 범퍼빔은 최근 차량의 경량화 추세에 맞추어 스틸보다 경량 소재인 알루미늄 압출재를 적용하여 제작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알루미늄 압출재로 압출 성형되는 종래의 범퍼빔은 내부에 형성된 격막이 충돌 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형성되는 바, 차량의 충돌 시에 발생하는 충격 에너지가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충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산 및 흡수하지 못하고, 충격 에너지가 크게 작용하는 방향으로 하중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범퍼빔에 충격 에너지가 크게 작용하는 방향으로 하중이 집중될 경우에는 범퍼빔 자체가 갖는 강성이 전체적으로 사용되지 못함으로써, 범퍼빔에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고, 범퍼빔의 전체적인 충 돌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2804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근로자에게 충돌시 가해지는 충격이 완하되도록 하여 협착재해 예방 및 상해정도를 저감할 수 있으며, 지게차, 선박 등에 충돌로 인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범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충격에 대한 버팀 강성이 우수하고, 충격을 분산 및 상쇄시킬 수 있는 범퍼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범퍼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충격흡수부, 상기 베이스부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삭제
삭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연결부재, 상기 차체에 부착되도록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 중 차체와 접촉되는 후면에 접촉되는 자석부재, 상기 차체와 자석부를 관통하여 연결부재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 중 차체에 접촉되는 후면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자석부재를 은닉시키는 은닉홈이 형성되고, 상기 은닉홈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범퍼는, 근로자에게 충돌시 가해지는 충격이 완하되도록 하여 협착재해 예방 및 상해정도를 저감할 수 있으며, 지게차, 선박 등에 충돌로 인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충격에 대한 버팀 강성이 우수하며, 충격을 분산 및 상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범퍼가 지게차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범퍼의 확대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범퍼에 적용된 베이스부와 고정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범퍼가 지게차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범퍼가 지게차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범퍼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범퍼에 적용된 베이스부와 고정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범퍼가 지게차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범퍼(1)는 베이스부(10), 충격흡수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범퍼(1)는 지게차, 배 등의 운송장치에 설치되어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지게차(60)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는 지게차(60)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충격을 흡수하는 PE, 스폰지, 고무, 우레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10)는 지게차(60)의 후면 폭 전체를 가릴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지게차(60)와 접촉되는 후면에는 후술되는 자석부재(32)를 은닉시키기 위한 은닉홈(11)이 형성된다.
은닉홈(11)은 베이스부(10)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베이스부(10)의 수직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0)에 다수개의 자석부재(32)를 고루게 분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은닉홈(11)에는 후술되는 고정부재(33)가 관통하는 관통홀(12)이 형성된다.
아울러, 베이스부(10) 중 지게차(60)와 가까운 후측에는 후술되는 연결부재(31)가 수용되는 수용홈(13)이 수직 형성된다.
이때, 수용홈(13)은 자석부재(32)가 베이스부(10)를 사이에 두고 연결부재(31)와 마주할 수 있도록 은닉홈(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베이스부(10)는 지게차(60)의 후면 뿐만 아니라, 양면에도 설치될 수 있음을 밝힌다.
한편, 고정부(30)는 베이스부(10)를 지게차(6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1), 자석부재(32), 고정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1)는 베이스부(10)를 지게차(60)에 고정할 때 베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베이스부(10)의 후측에 수직하게 마련된 복수개의 수용홈(13)에 각각 수용된다.
연결부재(31)는 대략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는 납작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31)는 외부충격에 대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자석부재(32)가 베이스부(10)를 사이에 두고 자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31)에는 전술한 베이스부(10)의 관통홀(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311)이 형성된다.
자석부재(32)는 베이스부(10)를 지게차(60)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원 형상이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에 고정부재(33)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된다.
고정부재(33)는 베이스부(10)를 지게차(6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공지의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33)의 헤드(331)는 지게차(6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서 지게차(60)에 밀착되고,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몸체(332)는 지게차(60)와 자석부재(32)의 홀과 은닉홈(11)의 관통홀(12)을 관통하여 연결부재(31)의 체결홀(311)에 체결되어, 베이스부(10)를 지게차(60)에 고정시킨다.
이때, 자석부재(32)의 홀 내주연에는 고정부재(33)가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고정부재(33)로 베이스부(10)를 지게차(60)에 고정시키면, 고정부재(33)가 베이스부(10)와 지게차(60)에서 고루게 분포된 상태로 베이스부(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자석부재(32)의 자력에 의해 베이스부(10)가 지게차(60)에 안정적으로 정착되는 것이다.
충격흡수부(20)는 베이스부(10)의 전방측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베이스부(10)에 전방측에 칼집을 내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충격흡수부(20)는 베이스부(10)의 전방측에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칼집을 내서 형성하거나 또는,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을 따라 격자 형상으로 칼집을 내서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대상면이 곡선으로 형성될 경우, 베이스부(10)는 설치 대상면의 형태에 맞게 휘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충격흡수부(20)들도 벌어지게 된다.
이러한 충격흡수부(20)는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개별적으로 대응하면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PE, 스폰지, 고무, 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주변에 위치한 근로자에게 충돌할 경우, 압축되면서 그 충격을 완충시켜 근로자의 협착재해 예방 및 상해정도가 저감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게차(60)에 충돌로 인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충격흡수부(20)는 차량, 벽과 같은 곳에 충돌하거나 또는, 차량 등이 와서 충돌할 경우, 그 충격을 흡수하여 지게차(60) 및 이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를 보호하는 기능도 같이 수행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범퍼 10 : 베이스부
11 : 은닉홈 12 : 관통홀
13 : 수용홈 20 : 충격흡수부
30 : 고정부 31 : 연결부재
311 : 체결홀 32 : 자석부재
33 : 고정부재 331 : 헤드
332 : 몸체

Claims (5)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충격흡수부,
    상기 베이스부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연결부재,
    상기 차체에 부착되도록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 중 차체와 접촉되는 후면에 접촉되는 자석부재,
    상기 차체와 자석부를 관통하여 연결부재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범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중 차체에 접촉되는 후면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자석부재를 은닉시키는 은닉홈이 형성되고, 상기 은닉홈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범퍼.
  4. 삭제
  5. 삭제
KR1020190053647A 2019-05-08 2019-05-08 범퍼 KR102030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647A KR102030130B1 (ko) 2019-05-08 2019-05-08 범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647A KR102030130B1 (ko) 2019-05-08 2019-05-08 범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130B1 true KR102030130B1 (ko) 2019-10-08

Family

ID=68208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647A KR102030130B1 (ko) 2019-05-08 2019-05-08 범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1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357B1 (ko) * 2022-03-10 2022-07-14 경동물류(주) 지게차 후방 안전 보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5378A (ja) * 1993-04-20 1994-11-01 Nippon G Ii Plast Kk 車両用バンパー
JP2006516513A (ja) * 2003-02-04 2006-07-06 シエイプ コーポレイション 締まりばめされたエネルギー吸収体を有するバンパーシステム
JP2008513260A (ja) * 2004-09-14 2008-05-01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垂直並進クラッシュローブを備えたエネルギー吸収部材を含むバンパアセンブリ
KR101028040B1 (ko) 2009-07-15 2011-04-13 이범 자동차 범퍼의 충격완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5378A (ja) * 1993-04-20 1994-11-01 Nippon G Ii Plast Kk 車両用バンパー
JP2006516513A (ja) * 2003-02-04 2006-07-06 シエイプ コーポレイション 締まりばめされたエネルギー吸収体を有するバンパーシステム
JP2008513260A (ja) * 2004-09-14 2008-05-01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垂直並進クラッシュローブを備えたエネルギー吸収部材を含むバンパアセンブリ
KR101028040B1 (ko) 2009-07-15 2011-04-13 이범 자동차 범퍼의 충격완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357B1 (ko) * 2022-03-10 2022-07-14 경동물류(주) 지게차 후방 안전 보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130B1 (ko) 범퍼
US6585318B1 (en) Safety seat
US6428064B1 (en) Energy absorbing bumper
KR100786014B1 (ko)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KR102271623B1 (ko) 차량 범퍼 보강용 사이드 익스텐션
US7484780B2 (en) Bumper beam for automobile
KR102049581B1 (ko) 폐단면 리어 백빔 구조
KR200181751Y1 (ko) 충격 흡수용 판 스프링을 갖는 범퍼 어셈블리
KR101523851B1 (ko) 충격흡수 및 회피 구조를 갖는 사이드멤버
KR19990038078U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구조
KR101496466B1 (ko) 자동차범퍼용 백빔 장치
KR102307749B1 (ko) 차량용 루프패널
KR102104742B1 (ko) 고중량 차량의 후방 완충장치
KR100398430B1 (ko) 자동차의 펜더패널 고정구
KR0173388B1 (ko) 자동차 도어용 충격 완충부재
KR200149978Y1 (ko) 자동차 도어 완충장치
KR100786015B1 (ko)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JP4289190B2 (ja) 防護盾
KR20190079405A (ko) 자동차용 범퍼빔
JP2023049354A (ja) 車両後部構造
KR100482965B1 (ko) 차량용 범퍼
KR20190079404A (ko) 자동차용 범퍼빔
KR200148403Y1 (ko) 충돌에너지흡수부재가 장착된 차량용 범퍼
KR0160028B1 (ko) 자동차의 알루미늄 충격흡수빔과 페시아 조립구조
KR100309388B1 (ko) 차량용 사이드실 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