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015B1 -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015B1
KR100786015B1 KR1020060103290A KR20060103290A KR100786015B1 KR 100786015 B1 KR100786015 B1 KR 100786015B1 KR 1020060103290 A KR1020060103290 A KR 1020060103290A KR 20060103290 A KR20060103290 A KR 20060103290A KR 100786015 B1 KR100786015 B1 KR 100786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rface
panel
trim
side opening
impac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민
이종걸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3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6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에 관한 것으로, 측면충돌시 붕괴되는 도어(10)의 내측패널(12)과 접촉하는 패널접촉면(71)과, 도어트림(13)과 접촉하는 패널접촉면(71) 및, 상기 패널접촉면(71)과 상기 트림접촉면(73)의 둘레를 감싸 연결하는 바깥면(75)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널접촉면(71)에서 상기 트림접촉면(73)을 향해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패널측개구홈(710) 및, 상기 트림접촉면(73)에서 상기 패널접촉면(71)을 향해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패널측개구홈(710)과 각각 대칭구조를 갖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패널측개구홈(710)과는 근접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트림측개구홈(730)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패널측개구홈(710)과 상기 트림측개구홈(730)사이의 내부공간은 속이 빈 챔버(79)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패널측개구홈(710)과 상기 트림측개구홈(730)은, 상기 패널접촉면(71) 및 상기 트림접촉면(73)에서 상대되는 접촉면을 향해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면(711,731) 및, 상기 수직면(711,73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면(713,733)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계단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져, 자체적으로 보유하는 강성증대를 통해 측면충돌 사고시 급격한 붕괴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되고, 동시에 향상된 충격흡수성능을 통해 탑승자의 안전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Impact pad for vehicle door}
도 1은 자동차 도어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임팩트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임팩트패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임팩트패드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어 12 - 내측패널
13 - 도어트림 70 - 임팩트패드
71 - 패널접촉면 73 - 트림접촉면
75 - 바깥면 77 - 마운팅브라켓
79 - 챔버 710 - 패널측개구홈
711,731 - 수직면 713,733 - 수평면
730 - 트림측개구홈
본 발명은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면 충돌사고시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해 급격하게 붕괴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하면서 충격흡수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바디(body)에는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해 힌지를 매개로 회전 개폐되는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바, 상기 도어의 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차량의 도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패널(11)과 내측패널(12) 및 도어트림(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패널(11)과 내측패널(12)사이의 공간에는 도어(10)를 개폐를 위한 윈도우글래스(G)가 윈도우 레귤레이터(도시않됨)에 의해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패널(11) 및 상기 내측패널(12)은 서로 중첩을 이룬 다수 군데가 상호 용접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도어 조립체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트림(13)은 클립(C)과 같은 다수의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내측패널(12)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도어(10)의 내부에는 임팩트바(20)와 임팩트쿠션(30)이 설치되는데, 상기 임팩트바(20)는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측면 충돌시 발생한 충격력에 의해 도어(10)가 급격하게 붕괴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도록 부재가 지닌 자체의 강성으로 충격력을 저감시켜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임팩트쿠션(30)은 상기 인너패널(12)과 상기 도어트림(13)사이의 정해진 공간내에서 마운팅브라켓(31) 및 체결볼트(32)를 통해 상기 도어트림(13)에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테이프나 접착제와 같은 별도의 접착부재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임팩트쿠션(30)은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된 충격흡수부재로서, 상기 임팩트바(20)와 함께 측면 충돌시 발생한 충격력을 저감시켜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임팩트쿠션(30) 중 충격흡수성능의 향상에 중점을 둔 제품들은 자체적으로 보유한 강성이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만큼 확보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와 같은 경우 충격력에 의해 급격하게 붕괴됨으로써 탑승자의 부상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체적인 강성에 중점을 두어 제작된 제품들은 반대로 충격흡수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와 같은 경우에도 탑승자의 부상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체적으로 보유하는 강성 증대를 통해 측면충돌 사고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하여 급격한 붕괴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충격흡수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임팩트패드는, 측면충돌시 붕괴되는 도어의 내측패널과 접촉하는 패널접촉면과, 도어트림과 접촉하는 패널접촉면 및, 상기 패널접촉면과 상기 트림접촉면의 둘레를 감싸 연결하는 바깥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널접촉면에서 상기 트림접촉면을 향해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패널측개구홈 및, 상기 트림접촉면에서 상기 패널접촉면을 향해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패널측개구홈과 각각 대칭구조를 갖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패널측개구홈과는 근접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트림측개구홈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패널측개구홈과 상기 트림측개구홈사이의 내부공간은 속이 빈 챔버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패널측개구홈과 상기 트림측개구홈은, 상기 패널접촉면 및 상기 트림접촉면에서 상대되는 접촉면을 향해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면 및, 상기 수직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면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계단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임팩트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부분단면도로서,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용 도어(10)는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외측패널(11)과 내측패널(12) 및 도어트림(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패널(11)과 내측 패널(12)사이의 공간에는 도어(10)를 개폐를 위한 윈도우글래스(G)가 윈도우 레귤레이터(도시않됨)에 의해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패널(11)과 상기 내측패널(12)은 서로 중첩을 이룬 다수 군데가 상호 용접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도어 조립체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10)의 내부에는 임팩트바(20) 및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패드(70)가 설치된다.
상기 임팩트바(20)는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측면 충돌시 발생한 충격력에 의해 도어(10)가 급격하게 붕괴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도록 부재가 지닌 자체의 강성으로 충격력을 저감시켜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임팩트패드(70)는 상기 내측패널(12)과 상기 도어트림(13)사이의 정해진 공간내에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임팩트바(20)와 함께 측면 충돌시 발생한 충격력을 저감시켜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임팩트패드(7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충돌시 붕괴되는 도어(10)의 내측패널(12)과 접촉하는 패널접촉면(71), 도어트림(13)과 접촉하는 트림접촉면(73), 상기 패널접촉면(71)과 상기 트림접촉면(73)의 둘레를 감싸면서 연결하는 바깥면(75)을 구비한 박스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깥면(75)에는 다수개의 마운팅브라켓(77)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마운팅브라켓(77)은 볼트 및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도어트 림(13)과 결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임팩트패드(70)는 상기 패널접촉면(71)에서 상기 트림접촉면(73)을 향해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패널측개구홈(710) 및, 상기 트림접촉면(73)에서 상기 패널접촉면(71)을 향해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패널측개구홈(710)과 각각 대칭구조를 갖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패널측개구홈(710)과는 근접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트림측개구홈(730)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와 함께, 상기 패널측개구홈(710)과 상기 트림측개구홈(730)사이의 내부공간은 속이 빈 챔버(79)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측개구홈(710)과 상기 트림측개구홈(730)은, 상기 패널접촉면(71) 및 상기 트림접촉면(73)에서 상대되는 접촉면을 향해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면(711,731) 및, 상기 수직면(711,73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면(713,733)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계단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널측개구홈(710)과 상기 트림측개구홈(730)은, 상기 패널접촉면(71)과 상기 트림접촉면(73)사이의 중간지점을 향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계단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널측개구홈(710)과 상기 트림측개구홈(730)은, 상기 패널접촉면(71)과 상기 트림접촉면(73)사이의 중간지점에서 각각의 수평면(713,733)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 대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임팩트패드(70)는 상기 패널접촉면(71)과 상기 트림접촉면(73)의 둘레를 감싸 연결하는 바깥면(75)이 수직한 일자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의 임팩드패드(70)는 폴리플로필렌 소재를 사용하여 블로우성형을 통해 형성되는 부품이며, 이로 인해 자원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1회 사용 후 재활용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패드(70)는 계단모양으로 형성된 패널측개구홈(710) 및 트림측개구홈(730)이 측면충돌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지탱하게 되는 구조이며,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자체적으로 보유할 수 있는 강성이 크게 증대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임팩트패드(70)는 패널측개구홈(710)의 수직면(711)과 트림측개구홈(730)의 수직면(731)이 측면충돌 사고시 내측패널(12)에서 도어트림(13)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지탱하도록 된 구조이므로, 강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를 보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강성이 증대된 본 발명의 임팩트패드(70)는 측면충돌 사고시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해 급격하게 붕괴되는 것이 아니라 계단형상을 따라 서서히 붕괴되므로, 이를 통해 탑승자의 안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패드(70)는 그 내부에 챔버(79)를 구비하고 있는 구조이며,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충격흡수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임팩트패드(70)가 도시되어 있 는 바, 제2실시예의 임팩트패드(70)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와 비교하여 볼 때 바깥면(75)에 대한 형상만 서로 상이할 뿐 나머지 부분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제2실시예에 따른 임팩트패드(70)의 바깥면(7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접촉면(71)과 상기 트림접촉면(73)사이의 중간지점에서 상기 패널접촉면(71)과 상기 트림접촉면(73)을 향해 서로 대칭구조를 갖는 계단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바깥면(75)의 구조는 패널측개구홈(710) 및 트림측개구홈(730)과 함께 임팩트패드(70)의 강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이며, 이로 인해 측면충돌 사고시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해 임팩트패드(70)의 급격한 붕괴를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임팩트패드는, 자체적으로 보유하는 강성증대를 통해 측면충돌 사고시 급격한 붕괴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되고, 동시에 향상된 충격흡수성능을 통해 탑승자의 안전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6)

  1. 측면충돌시 붕괴되는 도어(10)의 내측패널(12)과 접촉하는 패널접촉면(71)과, 도어트림(13)과 접촉하는 패널접촉면(71) 및, 상기 패널접촉면(71)과 상기 트림접촉면(73)의 둘레를 감싸 연결하는 바깥면(75)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널접촉면(71)에서 상기 트림접촉면(73)을 향해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패널측개구홈(710) 및, 상기 트림접촉면(73)에서 상기 패널접촉면(71)을 향해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패널측개구홈(710)과 각각 대칭구조를 갖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패널측개구홈(710)과는 근접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트림측개구홈(730)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패널측개구홈(710)과 상기 트림측개구홈(730)사이의 내부공간은 속이 빈 챔버(79)로 형성되고;
    상기 패널측개구홈(710)과 상기 트림측개구홈(730)은, 상기 패널접촉면(71) 및 상기 트림접촉면(73)에서 상대되는 접촉면을 향해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면(711,731) 및, 상기 수직면(711,73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면(713,733)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계단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패널측개구홈(710)과 상기 트림측개구홈(730)은, 상기 패널접촉면(71)과 상기 트림접촉면(73)사이의 중간지점을 향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계단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측개구홈(710)과 상기 트림측개구홈(730)은,
    상기 패널접촉면(71)과 상기 트림접촉면(73)사이의 중간지점에서 각각의 수평면(713,733)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 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패널접촉면(71)과 상기 트림접촉면(73)의 둘레를 감싸 연결하는 바깥면(75)은,
    수직한 일자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패널접촉면(71)과 상기 트림접촉면(73)의 둘레를 감싸 연결하는 바깥면(75)은,
    상기 패널접촉면(71)과 상기 트림접촉면(73)사이의 중간지점에서 상기 패널접촉면(71)과 상기 트림접촉면(73)을 향해 서로 대칭구조를 갖는 계단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폴리플로필렌 소재를 사용하여 블로우성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KR1020060103290A 2006-10-24 2006-10-24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KR100786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290A KR100786015B1 (ko) 2006-10-24 2006-10-24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290A KR100786015B1 (ko) 2006-10-24 2006-10-24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015B1 true KR100786015B1 (ko) 2007-12-14

Family

ID=3914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290A KR100786015B1 (ko) 2006-10-24 2006-10-24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0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2650U (ko) * 1995-09-22 1997-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완충부재
JP2004231142A (ja) * 2003-01-31 2004-08-19 Kyoraku Co Ltd 車両用衝撃吸収体
JP2004299630A (ja) * 2003-03-31 2004-10-28 Kyoraku Co Ltd 車両用ドアトリム
JP2004299632A (ja) * 2003-03-31 2004-10-28 Kyoraku Co Ltd 車両用ドアトリムの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2650U (ko) * 1995-09-22 1997-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완충부재
JP2004231142A (ja) * 2003-01-31 2004-08-19 Kyoraku Co Ltd 車両用衝撃吸収体
JP2004299630A (ja) * 2003-03-31 2004-10-28 Kyoraku Co Ltd 車両用ドアトリム
JP2004299632A (ja) * 2003-03-31 2004-10-28 Kyoraku Co Ltd 車両用ドアトリムの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014B1 (ko)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KR100263127B1 (ko) 자동차의 필러 패널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 구조물
KR100780550B1 (ko)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조립체
KR100786015B1 (ko)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KR100785616B1 (ko)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KR100996589B1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KR101006568B1 (ko)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JP4228737B2 (ja) 車両用サイドドア
KR100195500B1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빔의 취부구조
KR100398430B1 (ko) 자동차의 펜더패널 고정구
KR100482680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보강구조
KR100335210B1 (ko) 차량의 충격흡수용 도어
KR20220163817A (ko) 카울 크로스바
KR20220087236A (ko) 차량용 범퍼 빔
KR19990035701A (ko)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바 조립체
KR100187361B1 (ko)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멤버 설치구조
KR19980036928U (ko)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
KR19980047876U (ko) 자동차의 필러 트림 구조
KR19990024702U (ko) 자동차의 일체형 범퍼
KR19980036974U (ko) 차량용 도어 보강구조
KR20060054795A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보강구조
KR20020031811A (ko) 자동차의 도어
KR19980035655A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9990033762A (ko) 차량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19980051739U (ko) 도어 충격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