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945B1 - 테이프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945B1
KR102029945B1 KR1020187032747A KR20187032747A KR102029945B1 KR 102029945 B1 KR102029945 B1 KR 102029945B1 KR 1020187032747 A KR1020187032747 A KR 1020187032747A KR 20187032747 A KR20187032747 A KR 20187032747A KR 102029945 B1 KR102029945 B1 KR 102029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rtridge
tape cartridge
print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157A (ko
Inventor
히데키 사카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2/00Ink-ribbon cartridges
    • B41J32/02Ink-ribbon cartridges for endless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4Cassettes or cartridges contai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tape, for setting into pri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2/00Ink-ribbon cart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테이프 인쇄 장치측의 검출부와, 테이프 카트리지측의 피검출부의 위치 관계를 최적인 위치 관계로 할 수 있음과 함께, 당해 최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해결 수단) 종별 판독 패턴(145)으로부터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종별 정보를 판독하는 센서부(310)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착탈되기 위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로서,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기단면에 설치된 상기 종별 판독 패턴(145)과,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이면에 설치된 위치 결정 구멍부(182)를 구비하고, 위치 결정 구멍부(182)는, 센서 홀더(312)에 설치된 위치 결정 핀(326)과 걸어맞춤하고, 센서 홀더(312)를 통하여 센서부(310)와 종별 판독 패턴(145)의 사이의 위치 결정을 한다.

Description

테이프 카트리지{TAPE CARTRIDGE}
본 발명은, 테이프 인쇄 장치에 착탈되는 테이프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테이프 카트리지가 이용되는 테이프 인쇄 장치(테이프 라이터)로서, 각종 기구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테이프 카트리지를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한 카트리지 장착부와, 카트리지 장착부의 내벽에 1열로 배열된 5개의 포토인터럽터(Photointerrupter)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테이프 카트리지는, 측면부에, 인쇄용 테이프나 인쇄용 잉크의 사양을 식별하기 위한 사양 표시 시일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5개의 포토인터럽터는, 사양 표시 시일(seal)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5개의 포토인터럽터는, 사양 표시 시일에 형성된 5개의 사양 표시부에, 흑잉크가 인쇄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양을 식별한다.
일본특허공보 제3247585호
그런데, 이런 종류의 테이프 인쇄 장치에서는, 테이프 카트리지와, 카트리지 장착부의 사이에, 제조 공차상의 유격을 형성하지 않을 수 없다. 그 결과,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의 위치가 그 공차분 만큼 위치 어긋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즉, 각 포토인터럽터에 대하여, 테이프 카트리지의 위치가 그 공차분 만큼 위치 어긋난다.
그 때문에,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각 포토인터럽터와, 테이프 카트리지에 형성된 각 사양 표시부(사양 표시 시일)의 위치 관계가, 장착때마다, 어긋나버려, 각 사양 표시부의 위치가, 각 포토인터럽터가 검출을 행하기 위한 최적 위치로부터 어긋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각 포토인터럽터에 의한 검출 능력이 저하하여, 상기 사양을 올바르게 식별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또한, 장착했을 때에, 각 포토인터럽터와 각 사양 표시부의 위치 관계가 최적인 위치 관계로 되어 있었다고 해도,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테이프 인쇄 장치의 각종 구동축으로부터의 힘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의 위치가 어긋나 버려, 최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테이프 인쇄 장치측의 검출부와, 테이프 카트리지측의 피검출부의 위치 관계를 최적인 위치 관계로 할 수 있음과 함께, 당해 최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테이프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 카트리지는, 테이프 카트리지에 설치된 피검출부에 검출광을 조사하여 피검출부로부터 테이프 카트리지의 종별 정보를 판독하는 검출부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에 대하여, 장착 방향 및 제거 방향으로 착탈되는 테이프 카트리지로서, 장착 방향에 따른 벽면에 설치된 피검출부와, 장착 방향측의 벽면에 설치된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걸어맞춤부는, 검출부가 설치된 홀더에 설치된 피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되고, 홀더를 통하여 검출부와 피검출부의 사이의 위치 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피걸어맞춤부는, 돌출부로 구성되어 있고, 걸어맞춤부는, 돌출부에 걸어맞춤하는 구멍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 카트리지를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장착하면, 테이프 카트리지의 걸어맞춤부가, 검출부를 설치한 홀더의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한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와 홀더를 일체화하고, 피검출부의 위치에 대하여, 검출부의 위치가 위치 결정된다. 이 장착에 수반하는 위치 결정에 의해, 검출부와 피검출부의 위치 관계를, 최적인 위치 관계로 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테이프 인쇄 장치의 각 구동축으로부터의 힘에 의해, 검출부에 대한 테이프 카트리지의 위치나, 검출부에 대한 테이프 카트리지의 기울기(각도)가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검출부와 피검출부의 최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출부와 피검출부의 위치 관계를 최적인 위치 관계로 할 수 있음과 함께, 당해 최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검출부에 의한 검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테이프 카트리지의 종별 정보를 정확하게 판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 케이스를, 추가로 구비하고, 카트리지 케이스는, 제거 방향측의 제1 부재와, 장착 방향측의 제2 부재의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제1 부재는, 당해 제1 부재를 제2 부재에 접합하기 위한 접합 핀을 갖고, 제2 부재는, 접합 핀이 끼워맞춤하는 접합 구멍을 갖고, 걸어맞춤부는, 제2 부재의, 장착 방향측의 벽면에 있어서, 접합 구멍과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합 구멍의 직하(또는 직상)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걸어맞춤부를 설치하는 구성이 되기 때문에, 스페이스 효율 좋게 걸어맞춤부를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접합 구멍을 형성할 때에 발생하는 「버리기 구멍」 부분을 이용하여, 걸어맞춤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와 접합 구멍은, 일체의 관통공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걸어맞춤부 및 접합 구멍을 개개로 형성하는 데에 비하여, 걸어맞춤부 및 접합 구멍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인쇄 장치의 덮개 열림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의 평면도 (a) 및 측면도 (b)이다.
도 3은 카트리지 장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개폐 덮개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상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테이프 카트리지의 평면도 (a) 및 상 케이스의 이면도 (b)이다.
도 6은 테이프 카트리지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패턴 판독부 주위의 평면도 (a) 및 사시도 (b)이다.
도 8은 센서 유닛의 사시도 (a), 정면도 (b) 및 A-A’선 단면도 (c), 그리고 센서 홀더의 이면 사시도 (d)이다.
도 9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하측면도 (a) 및 위치 결정 구멍부 주위를 나타낸 B-B’선 단면도 (b)이다.
도 10은 패턴 판독부 및 위치 결정 구멍부 주위의 평면도 (a) 및 C-C’선 단면도(b)이다.
도 11은 테이프 카트리지의 장착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에 대해서, 이것이 장착되는 테이프 인쇄 장치와 함께 설명한다. 이 테이프 인쇄 장치는,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로부터 인쇄 테이프 및 잉크 리본을 풀어내면서 인쇄를 행하고, 인쇄 테이프의 인쇄가 끝난 부분을 절단하여, 라벨(테이프편)을 작성하는 것이다.
[테이프 인쇄 장치의 개요]
도 1은, 테이프 인쇄 장치 및 이에 장착되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외각(outer shell)을 구성하는 장치 케이스(3)와,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장착 방향 및 제거 방향으로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5)와, 카트리지 장착부(5)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7)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케이스(3)의 상면에는, 뒷쪽측에 카트리지 장착부(5)가 설치되고, 중앙에 디스플레이(11)가 설치되고, 앞쪽측에 키보드(13)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덮개(7)의 근방에는, 손가락 걸이용의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 덮개(7)는, 이 오목부(15)에 손가락을 걸어 끌어올림으로써 개방된다. 그리고, 장치 케이스(3)의 측면(좌측면)에는, 인쇄 테이프(102)가 배출되는 세로로 긴 테이프 배출구(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카트리지 장착부(5)에 세워 설치된 인쇄 헤드(21)를 갖는 인쇄 기구부(23)와, 카트리지 장착부(5)의 이측 공간에 내장한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와, 테이프 배출구(17)의 근방에 내장한 테이프 절단 기구부(27)를 구비하고 있다. 유저는, 키보드(13)로부터 인쇄 정보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11)에서 인쇄 정보를 확인한 후, 키 조작에 의해 인쇄를 실행한다. 인쇄가 지령되면, 테이프 이송 기구부(25)가 구동함으로써, 인쇄 테이프(102)와 잉크 리본(110)이 병렬주행한다 또한 이것에 인쇄 기구부(23)로부터 잉크 리본(110)에 더해지는 열에 의해, 잉크 리본(110)의 잉크가 인쇄 테이프(102)에 전사함으로써 인쇄가 행해진다. 이 인쇄 전송에 의해, 인쇄 테이프(102)는 테이프 배출구(17)로부터 배출되어 가고, 인쇄가 완료하면, 테이프 절단 기구부(27)가 구동하여, 인쇄 테이프(102)의 인쇄가 끝난 부분이 잘려 떨어진다.
[테이프 카트리지의 개요]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인쇄 테이프(102)를 테이프 코어(104)에 권회한 테이프 롤(106)과, 잉크 리본(110)을 풀어냄 코어(112)에 권회한 리본 롤(11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사용 후의 잉크 리본(110)을 권취하는 권취 코어(116)와, 인쇄 헤드(21)가 맞닿음과 함께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을 이송하는 플래튼 롤러(120)(플래튼)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이들 테이프 롤(106), 리본 롤(114), 권취 코어(116) 및 플래튼 롤러(120)를 수용한 카트리지 케이스(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외각이 카트리지 케이스(130)로 덮인, 이른바 쉘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에는,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장착되었을 때에, 인쇄 헤드(21)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134)가,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형성되고 인쇄 테이프(102)가 송출되는 테이프 송출구(13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테이프 롤(106)은,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내측에 돌출 설치한 원통 형상의 코어축(192)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에 의해, 플래튼 롤러(120) 및 권취 코어(116)가 구동되면, 인쇄 테이프(102)는 테이프 코어(104)로부터 풀어내지고, 잉크 리본(110)은 풀어냄 코어(112)로부터 풀어내진다. 풀어내진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은, 플래튼 롤러(120)의 부분에서 병렬주행하고, 인쇄 헤드(21)에 의해 인쇄에 제공된다. 인쇄가 행해진 인쇄 테이프(102)의 풀어냄 단부(인쇄 완료 부분)는, 테이프 송출구(138)로부터 테이프 배출구(17)를 향하여 송출된다. 한편, 잉크 리본(110)은, 삽입 개구(134)의 둘레벽 부분을 둘레회전하고, 권취 코어(116)에 권취된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에는,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폭에 따라서, 두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것이 준비되어 있다.
[테이프 인쇄 장치의 상세]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5)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평면 형상과 상보적인 평면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장착 가능한 복수 종류의 테이프 카트리지(100) 중, 최대 두께의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고,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 장착부(5)의 저판부를 구성하는 장착 베이스(31)와 측판부(33)는, 수지 등으로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5)와 상기 테이프 배출구(17)의 사이에는, 슬릿 형상의 테이프 배출 경로(35)가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에, 상기 테이프 절단 기구부(27)가 내장되어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5)의 장착 베이스(31)에는, 상기 코어축(192)이 끼워맞춤하여 위치 결정되는 위치 결정 돌기(41)와, 헤드 커버(43)로 덮인 인쇄 헤드(21)와, 플래튼 롤러(120)를 회전 구동하는 플래튼 구동축(45)과, 권취 코어(116)를 회전 구동하는 권취 구동축(47)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권취 구동축(47)의 근방에 위치하는 장착 베이스(31)에는,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폭을 검출하는 테이프 폭 검출부(51)와, 풀어냄 코어(112) 및 권취 코어(116)의 회전 고정을 해제하는 코어 해제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 베이스(31)에는, 그 대각 위치에 한 쌍의 소돌기(55)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중간부를 걸어 고정하는 한 쌍의 걸림 고정편(57)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장착 베이스(31)의 이측 공간에는, 플래튼 구동축(45) 및 권취 구동축(47)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기어열(모두, 도시 생략) 등으로 구성되는, 상기 테이프 이송 기구부(25)가 내장되어 있다. 테이프 이송 기구부(25)는, 기어열로 동력 분기하여, 플래튼 구동축(45) 및 권취 구동축(47)을 동기 회전시킨다.
한편, 카트리지 장착부(5)의 측판부(33)(앞쪽측)에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측면에 형성된 후술의 종별 판독 패턴(145)을 판독하는 패턴 판독부(59)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테이프 폭 검출부(51)가,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수용된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폭을 검출(인식)하고, 당해 패턴 판독부(59)가, 테이프 폭을 제외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종별 정보(수용된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색이나 재질, 수용된 잉크 리본(110)의 리본 색 등)를 인식한다. 패턴 판독부(59)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인쇄 기구부(23)는, 서멀 헤드로 구성된 인쇄 헤드(21)와, 인쇄 헤드(21)를 지지함과 함께 회동시키는 헤드 지지 프레임(61)을 갖고 있다. 또한, 인쇄 기구부(23)는, 헤드 지지 프레임(61)을 통하여 인쇄 헤드(21)를 인쇄 위치와 퇴피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시키는 헤드 릴리스 기구(도시 생략)와, 인쇄 헤드(21)(및 헤드 지지 프레임(61))를 덮는 헤드 커버(43)를 갖고 있다.
헤드 릴리스 기구는, 상기 개폐 덮개(7)의 개폐에 연동하여 작동하고, 개폐 덮개(7)의 폐색 동작에 연동하여 인쇄 헤드(21)를 인쇄 위치에 이동(회동)시킨다. 또한, 헤드 릴리스 기구는,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인쇄 헤드(21)를 퇴피 위치에 이동(회동)시킨다. 인쇄 위치로 이동한 인쇄 헤드(21)는, 플래튼 롤러(120)에 잉크 리본(110) 및 인쇄 테이프(102)를 통하여 맞닿고, 퇴피 위치로 이동한 인쇄 헤드(21)는, 플래튼 롤러(120)로부터 이간한다. 이에 따라,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착탈할 때에, 인쇄 테이프(102)나 잉크 리본(110)의 인쇄 헤드(21)로의 간섭이 방지된다.
인쇄 헤드(21)에는, 복수의 발열 소자가 형성되고, 복수의 발열 소자는, 플래튼 롤러(120)의 축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나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의 이송과, 복수의 발열 소자의 선택적 구동에 의해 인쇄가 행해진다. 헤드 커버(43)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 베이스(31)(카트리지 장착부(5))와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또한, 헤드 커버(43)는, 장착 베이스(31)로부터 수직으로 크게 돌출하고 있고, 그 내측에 있어서 인쇄 헤드(21)의 회동을 허용하고, 외측에 있어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장착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테이프 폭 검출부(51)는,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51a)로 구성되어 있고,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후술의 검출구멍군(18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걸어맞춤하여,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폭을 검출한다.
코어 해제부(53)는, 풀어냄 코어(112)용 및 권취 코어(116)용의 두 개의 해제 핀(53a)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카트리지 케이스(130)에는, 풀어냄 코어(112) 및 권취 코어(116)에 각각 걸어 고정되는 회전 고정 훅(rotation stopper hook; 206)이 설치되어 있고(도 6 참조),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장착하면, 이들 회전 고정 훅(206)에 해제 핀(53a)이 걸어맞춤하여, 풀어냄 코어(112) 및 권취 코어(116)의 회전 고정이 해제된다.
플래튼 구동축(45)은, 플래튼 롤러(120)를 삽입 통과하도록 길게 연장된 플래튼 지지축(48)과, 플래튼 지지축(48)의 기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스플라인 형상의 회전 구동축(49)을 갖고 있다(도 3 참조).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의 회전 동력은, 이 회전 구동축(49)에 전달되고, 추가로 회전 구동축(49)으로부터 플래튼 롤러(120)에 전달된다(상세는, 후술함).
마찬가지로, 권취 구동축(47)은, 고정축(47a)과, 고정축(47a)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스플라인 형상의 가동축(47b)을 갖고 있다. 이 경우도,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의 회전 동력은, 가동축(47b)에 전달되고, 추가로 가동축(47b)으로부터 권취 코어(116)에 전달된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하면, 위치 결정 돌기(41)에 코어축(192)(테이프 코어(104))이 걸어맞춤하고, 플래튼 구동축(45)에 플래튼 롤러(120)가 걸어맞춤하고, 추가로 권취 구동축(47)에 권취 코어(116)가 걸어맞춤한다. 그리고, 개폐 덮개(7)를 폐색하면, 인쇄 헤드(21)가 회동하고,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을 사이에 끼워 플래튼 롤러(120)에 맞닿고,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인쇄 대기 상태가 된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덮개(7)는, 뒷쪽측에 형성한 힌지부(71)를 통하여, 장치 케이스(3)에 회동이 자유롭게, 즉 개폐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개폐 덮개(7)는, 개폐 덮개 본체(73)와, 개폐 덮개 본체(73)의 중앙에 형성한 관측창(75)을 갖고 있다. 또한, 개폐 덮개(7)는, 개폐 덮개 본체(73)의 이면에 돌출 설치되어 힌지부(71)에 회동 자유롭게 축지지된 한 쌍의 축지지편(77)과, 개폐 덮개 본체(73)의 이면에 돌출 설치되어 인쇄 헤드(21)를 회동시키는 작동 레버(79)를 갖고 있다. 또한 개폐 덮개(7)는, 개폐 덮개 본체(73)의 이면에 돌출 설치되어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압입하는 2개의 압입 돌기(push protrusion; 81)와, 개폐 덮개 본체(73)의 이면에 돌출 설치되어, 내장하는 덮개 폐색 검출 스위치(도시 생략)를 작동(ON)시키는 압하 돌기(pressing protrusion; 83)를 갖고 있다.
관측창(75)은,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개폐 덮개 본체(73)와는 별체가 되는 투명(가시광에 대하여 투명)한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관측창(75) 너머로,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시인(視認)(인쇄 테이프(102)의 종별이나 테이프 잔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축지지편(77), 작동 레버(79), 압입 돌기(81) 및 압하 돌기(83)와, 개폐 덮개 본체(73)는, 수지로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작동 레버(79)는, 개폐 덮개 본체(73)의 이면으로부터 크게 돌출하고 있고, 개폐 덮개(7)의 폐색에 수반하여, 카트리지 장착부(5)의 측방에 형성한 슬릿 개구(87)에 삽입된다. 슬릿 개구(87)에 삽입된 작동 레버(79)는, 상기 헤드 릴리스 기구를 작동시켜, 인쇄 헤드(21)를 회동시킨다. 마찬가지로 압하 돌기(83)는, 개폐 덮개(7)의 폐색에 수반하여, 슬릿 개구(87)에 인접하는 직사각형 개구(91)에 삽입되고, 덮개 폐색 검출 스위치를 작동(ON)시킨다. 압입 돌기(81)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플래튼 롤러(120)의 근방 위치에 대응하고 있고, 개폐 덮개(7)의 폐색에 수반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카트리지 장착부(5)의 장착 베이스(31)에 착좌하도록 이를 압입한다.
[테이프 카트리지의 상세]
다음으로,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설명에서는, 도 2(a)를 예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상 정면인 장착 방향에서 앞쪽의 면을 「표면」으로, 역측인 장착 방향에서 뒷쪽측(장착 방향측)의 면을 「이면」으로, 좌측의 측면을 「좌측면」으로, 우측의 측면을 「우측면」으로, 상측의 원호 형상의 측면을 「선단면」으로, 하측의 측면을 「기단면」으로 칭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에 말하는 「장착 방향에 따른 벽면」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측면이고, 청구항에 말하는 「장착 방향측의 벽면」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이면이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130)와, 이에 수용한 테이프 롤(106), 리본 롤(114), 권취 코어(116) 및 플래튼 롤러(1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형성된 삽입 개구(134)와, 플래튼 롤러(120)의 근방에 있어서 좌측면에 형성한 테이프 송출구(13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테이프 롤(106)이 수용되어 있는 부위의 표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걸쳐 접착된 종별 표시 시일(141)(도 1 참조)과,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기단면에 접착된 종별 판독 시일(143)을 구비하고 있다. 종별 표시 시일(141)에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종별 정보(수용된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폭, 테이프 색, 재질 등)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종별 판독 시일(143)에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종별 정보(수용된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색, 재질, 수용된 잉크 리본(110)의 리본 색 등)를 나타내는 종별 판독 패턴(피검출부)(145)이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종별 판독 패턴(145)은, 2행 4열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8개의 비트 구성부(147)를 갖고 있다. 당해 각 비트 구성부(147)는, 흰 바탕의 인쇄 영역에, 흑잉크가 인쇄(민인쇄(solid printing))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의해, 각 1비트의 비트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계 8개의 비트 구성부(147)에 의해, 8비트의 비트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당해 8비트의 비트 패턴이, 상기 각종 종별 정보에 대응하고 있고, 당해 비트 패턴에 의해, 상기 각종 종별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의 부호(147)의 파선은, 설명의 편의상, 비트 구성부(147)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실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 케이스(130)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외곽을 구성하는 것이고(쉘 구조), 우측면의 기단측이 약간 돌출한, 평면에서 볼 때 「L」자 형상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표리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 케이스(130)는,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했을 때에 이측(장착 방향측)이 되는 하 케이스(150)(제2 부재)와, 표측(제거 방향측)이 되는 상 케이스(152)(제1 부재)의 2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 케이스(130)는, 상 케이스(152)가 투명한 수지의 성형품으로 구성되고, 하 케이스(150)가 불투명한 수지의 성형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 케이스(152)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표면을 구성하는 천정벽부(156)와, 천정벽부(156)의 주연부에 수직 설치된 상 둘레벽부(158)로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또한, 하 케이스(150)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이면을 구성하는 저벽부(160)와, 저벽부(160)의 주연부에 세워 설치된 하 둘레벽부(162)와, 상기 삽입 개구(134)를 획성하기 위해 저벽부(160)에 세워 설치된 개구 둘레벽부(164)로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상 케이스(152)에 있어서의 상 둘레벽부(158)의 하단면에는, 적절한 간격으로 복수의 접합 핀(170)이 설치되는 한편, 하 케이스(150)의 하 둘레벽부(162)에는, 이 복수의 접합 핀(170)에 대응하여, 복수의 접합 핀(170)이 각각 끼워맞춤하는 복수의 접합 구멍(172)이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하 케이스(150)에, 테이프 롤(106)이나 리본 롤(114) 등의 구성부품을 세트한 후, 복수의 접합 구멍(172)에 복수의 접합 핀(170)을 압입하도록 상 케이스(152)를 접합함으로써,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장착된다. 또한, 각 접합 구멍(172)은, 성형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관통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 케이스(15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카트리지 장착부(5)의 한 쌍의 걸림 고정편(57)에 걸어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 고정 수용부(174)가 설치되어 있다(도 2 및 도 6 참조).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한 쌍의 걸림 고정 수용부(174)에, 카트리지 장착부(5)측의 한 쌍의 걸림 고정편(57)이 걸어 고정됨으로써,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들뜸이 방지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 케이스(150)의 기단면에는, 상기 종별 판독 시일을 접착하기 위한 판독 시일 접착부(175)가 형성되어 있다. 판독 시일 접착부(175)는, 장방형 형상의 오목부를, 종별 판독 시일(143)의 두께분(또는 두께 이상)의 깊이가 되도록, 당해 기단면에 대하여 오목 형성한 것이다. 당해 판독 시일 접착부(175)에 의해, 종별 판독 시일(143)이, 당해 기단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 케이스(150)의 이면에는, 상기 한 쌍의 소돌기(55)가 약간 여유를 갖고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 소공(176)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한 쌍의 끼워맞춤 소공(176)에, 카트리지 장착부(5)측의 한 쌍의 소돌기(55)가 끼워맞춤함으로써, 장착 베이스(31) 상에 있어서의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간단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하 케이스(150)의 이면에는, 기단면측의 좌 모퉁이부(표면측에서 보아 우 모퉁이부)에 위치하고, 상기 테이프 폭 검출부(51)에 대응하는 검출구멍군(180)이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검출구멍군(180)은, 테이프 폭 검출부(51)의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51a)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한 수용 구멍(180a)의 유무에 따라, 비트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즉, 이 비트 패턴이,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수용된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폭을 나타내고 있고, 테이프 폭 검출부(51)는,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51a)에 의해, 이 비트 패턴을 검출함으로써,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수용된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폭을 검출한다.
또한, 검출구멍군(180) 근방에는, 상기 패턴 판독부(59)에 설치된 위치 결정 핀(326)(후술함)을 걸어맞춤하는 위치 결정 구멍부(182)(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구멍부(182)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130) 내의 상측 공간(선단면측)에는, 넓게 테이프 롤(106)이 수용되는 테이프 수용 에어리어(190)가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수용 에어리어(190)의 중앙에는, 하 케이스(150)에 일체로 형성(성형)된 코어축(192)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코어축(192)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외주면에는 테이프 롤(106)(테이프 코어(104))이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플래튼 롤러(120)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테이프 수용 에어리어(190)에는, 풀어내진 인쇄 테이프(102)를 플래튼 롤러(120)로 유도하는 테이프 가이드(194)가, 하 케이스(150)에 일체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내부에는, 테이프 롤(106)을 기점으로 하여, 테이프 가이드(194) 및 플래튼 롤러(120)를 거쳐 테이프 송출구(138)에 이르는 테이프 이송 경로(196)가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롤(106)로부터 풀어내진 인쇄 테이프(102)는, 테이프 가이드(194)를 통하여 플래튼 롤러(120)로 유도되고, 여기에서 인쇄에 제공되고, 추가로 플래튼 롤러(120)로부터 테이프 송출구(138)로 유도된다.
테이프 롤(106)은, 인쇄 테이프(102) 및 테이프 코어(104)를 가짐과 함께, 롤 형상의 인쇄 테이프(102)의 양단면에 접착된 2매의 필름(198)을 갖고 있다. 이 2매의 필름(198)은, 테이프 코어(104)에 권회한 인쇄 테이프(102)의 풀어짐(loosening)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코어(104)에는, 도시에서는 생략했지만, 역회전 방지 기구가 조입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운반할 때에는, 이 역회전 방지 기구에 의해, 인쇄 테이프(102)의 역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하면, 상기 위치 결정 돌기(41)에 의해 역회전 방지 기구의 역회전 방지가 해제되어, 인쇄 테이프(102)의 이송이 가능해진다.
카트리지 케이스(130) 내의 기부 우측에는, 삽입 개구(134)에 인접하여 리본 수용 에어리어(200)가 구성되어 있다. 리본 수용 에어리어(200)의 우 근방에는, 리본 롤(114)(풀어냄 코어(112))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풀어냄측 베어링부(202)가, 또한 좌 근방에는, 권취 코어(116)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권취측 베어링부(204)가, 각각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 케이스(152) 및 하 케이스(150)에, 각각 풀어냄측 베어링부(202) 및 권취측 베어링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하 케이스(150)에 형성된 풀어냄측 베어링부(202) 및 권취측 베어링부(204)의 노치 부분에는, 선단부를 이들 풀어냄측 베어링부(202) 및 권취측 베어링부(204)를 향하게 한 회전 고정 훅(206)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회전 고정 훅(206)은 풀어냄 코어(112)에, 다른 한쪽의 회전 고정 훅(206)은 권취 코어(116)에, 각각 회전 고정 상태로 걸어맞춤하고 있다.
풀어냄측 베어링부(202)의 근방에 위치하고 리본 수용 에어리어(200)에는, 풀어내진 잉크 리본(110)을 플래튼 롤러(120)로 유도하는 제1 리본 가이드(210)가, 하 케이스(150)에 일체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 둘레벽부(164)의 외주측에는, 잉크 리본(110)의 둘레회전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2 리본 가이드(2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내부에는, 리본 롤(114)을 기점으로 하여, 제1 리본 가이드(210), 플래튼 롤러(120) 및 복수의 제2 리본 가이드(212)를 거쳐 권취 코어(116)에 이르는 리본 이송 경로(214)가 구성되어 있다. 리본 롤(114)로부터 풀어내진 잉크 리본(110)은, 제1 리본 가이드(210)를 통하여 플래튼 롤러(120)로 유도되고, 여기에서 인쇄에 제공되고, 추가로 플래튼 롤러(120)로부터 개구 둘레벽부(164)(복수의 제2 리본 가이드(212))를 둘레회전하여 권취 코어(116)에 권취된다.
리본 롤(114)은, 잉크 리본(110) 및 풀어냄 코어(112)를 가짐과 함께, 풀어냄 코어(112)에 제동 부하를 부여하는 둥근 고리 형상의 판스프링(220)을 갖고 있다(도 5(b) 참조). 판스프링(220)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파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 방향에 있어서 상 케이스(152)의 천정벽부(156)와 풀어냄 코어(112)의 사이에 개재 설치되어 있다. 즉, 풀어냄 코어(112)에는, 이 판스프링(220)의 탄발력에 의해 회전 제동 부하가 부여된다. 이에 따라, 권취 코어(116)에 의해 풀어내져 가는 잉크 리본(110)에는, 백 텐션이 부여되어, 잉크 리본(110)의 느슨함이 방지된다.
풀어냄 코어(11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의 하 케이스(150)측의 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노치(222)가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복수의 노치(222)에는, 상기 회전 고정 훅(206)이 걸림 혹은 이탈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풀어냄 코어(112)를 지지하는 하 케이스(150)측의 풀어냄측 베어링부(202)는 원형의 개구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 케이스(152)측의 풀어냄측 베어링부(202)는, 원통 형상의 돌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 부분에 상기 판스프링(220)이 장착되어 있다(모두, 도 5(b) 참조).
마찬가지로, 권취 코어(116)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의 하 케이스(150)측의 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노치(2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노치(224)에는, 상기 회전 고정 훅(206)이 걸림 혹은 이탈한다. 또한, 권취 코어(116)의 내주면에는 스플라인 홈(226)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 구동축(47)에 스플라인 걸어맞춤한다. 이에 따라, 권취 구동축(47)의 회전력이 권취 코어(116)에 전달되고, 잉크 리본(110)이 권취된다.
카트리지 케이스(130) 내의 기부 좌측에는, 삽입 개구(134)에 인접하여 플래튼 수용 에어리어(230)가 구성되어 있다. 플래튼 수용 에어리어(230)의 중앙에는, 하 케이스(150)에 형성한 타원 형상(장원 형상) 개구의 하 베어링부(234)와(도 6 참조), 상 케이스(152)에 형성한 타원 형상 개구의 상 베어링부(232)(도 5(b)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 베어링부(232) 및 하 베어링부(234)에는, 플래튼 롤러(120)가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근소하게 가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즉, 타원 형상의 상 베어링부(232) 및 하 베어링부(234)에 지지된 플래튼 롤러(120)는, 플래튼 구동축(45)에 걸어맞춤하는 홈 위치와, 인쇄 테이프(102)를 사이에 끼워 넣어 테이프 가이드(194)에 접하는 협지 위치의 사이에서, 가로 이동(미소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인쇄 테이프(102)의 풀어냄 단부를, 테이프 송출구(138)로부터 외부로 근소하게 돌출된 상태로 운반된다(도 1 참조). 그 때, 잘못하여 인쇄 테이프(102)의 풀어냄 단부에 압입력이나 인입력이 작용하면, 이에 끌려간 플래튼 롤러(120)가 상기 협지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인쇄 테이프(102)의 풀어냄 단부가, 테이프 송출구(138)로부터 카트리지 케이스(130) 내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플래튼 롤러(120)는, 원통 형상의 롤러 기체(240)와, 롤러 기체(240)의 외주면에 장착한 고무 롤러(242)를 갖고 있다. 고무 롤러(242)는, 축 방향에 있어서 인쇄 헤드(21)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있고, 인쇄 위치로 이동한 인쇄 헤드(21)는,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을 사이에 끼워 넣어 이 고무 롤러(242)에 접촉한다. 또한, 롤러 기체(240)의 내주면에는 스플라인 홈(244)이 형성되고, 이 스플라인 홈(244)에 상기 플래튼 구동축(45)의 회전 구동축(49)에 스플라인 걸어맞춤한다. 이에 따라, 플래튼 구동축(45)의 회전력이 플래튼 롤러(120)에 전달되고, 인쇄 테이프(102)(및 잉크 리본(110))이 인쇄 전송된다.
[패턴 판독부 및 위치 결정 구멍부의 상세]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패턴 판독부(59) 및 위치 결정 구멍부(182)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테이프 인쇄 장치(1)의 패턴 판독부(59)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 판독부(59)는, 카트리지 장착부(5)의 측판부(33)(앞쪽측)에 설치되고, 카트리지 장착부(5)의 내측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패턴 판독부(59)는,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했을 때에,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기단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패턴 판독부(59)는, 카트리지 장착부(5)의 내측을 향하여 설치된 센서 유닛(300)과, 센서 유닛(300)을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유닛 지지부(302)와, 센서 유닛(300)을 카트리지 장착부(5)의 내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유닛 탄성지지부(304)를 구비하고 있다.
유닛 지지부(302)는, 카트리지 장착부(5)의 측판부(33)에 개구된 개구 부분(33a)에 설치되고, 센서 유닛(300)을 카트리지 장착부(5)의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유닛 탄성지지부(304)는, 좌우 한 쌍의 코일 스프링(306)을 갖고, 당해 한 쌍의 코일 스프링(306)에 의해, 센서 유닛(300)에 설치된 한 쌍의 스프링 수용부(324)(후술함)를 탄성지지한다. 즉, 유닛 탄성지지부(304)는, 한 쌍의 코일 스프링(306)에 의해, 한 쌍의 스프링 수용부(324)를 통하여, 센서 유닛(300)을 카트리지 장착부(5)의 내측으로 탄성지지한다. 당해 탄성지지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센서 유닛(300)이, 카트리지 장착부(5)의 내측으로 돌출한 상태가 된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센서 유닛(300)이, 테이프 카트리지(100)측으로 탄성지지되고, 센서 유닛(300)이,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기단면에 압압된 상태가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유닛(300)은, 센서 기판(308)에 복수의 광학 센서(309)를 실장한 센서부(310)(검출부)와, 센서부(310)를 탑재한 센서 홀더(312)(홀더)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 기판(308)은, 연직 자세로, 센서 홀더(312)의 기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센서 기판(308)이 센서 홀더(312)에 부착됨으로써, 센서 홀더(312)가 센서부(310)를 보유지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복수의 광학 센서(309)는, 센서 기판(308) 상에 있어서, 상기 비트 구성부(147)와 동일하게, 2행 4열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도 8(b) 참조). 또한, 복수의 광학 센서(309)는, 각각 광반사형의 광학식 비접촉 센서로 구성되어 있고, 각 비트 구성부(147)에 대하여 검출광을 조사함과 함께, 각 비트 구성부(147)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비트 구성부(147)는, 흰 바탕의 인쇄 영역에, 흑잉크가 인쇄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의해, 비트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고, 각 광학 센서(309)는, 당해 각 비트 구성부로부터의 반사광의 유무(엄밀히는 광량이 일정량 이상인지 아닌지)에 의해, 상기 인쇄 영역에 흑잉크가 인쇄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각 비트 구성부(147)가 나타내는 비트 정보를 판독한다. 센서부(310)는, 복수의 광학 센서(309)에 의해, 각 비트 구성부(147)의 비트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비트 패턴을 판독하고, 이에 대응하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종별 정보를 판독한다.
센서 홀더(312)는, 측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의 홀더 본체(320)와, 홀더 본체(320)로부터 기단측으로 돌출하는 상하 한 쌍의 기판 부착훅(322)과, 홀더 본체(320)의 기단부로부터 좌우로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스프링 수용부(324)와, 홀더 본체(320)의 우전방으로 설치된 위치 결정 핀(326)(피걸어맞춤부)과, 위치 결정 핀(326)과 홀더 본체(320)를 연결하는 연결부(32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홀더 본체(320), 한 쌍의 기판 부착훅(322), 한 쌍의 스프링 수용부(324), 위치 결정 핀(326) 및 연결부(328)는, 수지 등으로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한 쌍의 기판 부착훅(322)은, 센서 기판(308)을 센서 홀더(312)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 한 쌍의 기판 부착훅(322)에 의해, 센서 기판(308)이, 센서 홀더(312)에 부착되어 있다.
한 쌍의 스프링 수용부(324)는, 상기 한 쌍의 코일 스프링(306)의 일단이 맞닿아지고, 한 쌍의 코일 스프링(306)의 탄성지지력을 받는 부분이다. 당해 한 쌍의 스프링 수용부(324)는, 카트리지 장착부(5)의 측판부(33)에 부딪치고, 센서 유닛(300)의 이동에 있어서의 전단 규제(front end regulation portion)를 행하는 전단 규제부로서도 기능한다.
홀더 본체(320)는, 복수의 광학 센서(309) 전체를 덮는 홀더 커버(330)와, 각 광학 센서(309)를 개개로 둘러싸는 칸막이 부재(332)로 이루어진다. 홀더 커버(330)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광학 센서(309)에 대응하는 복수의 센서공(334)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광학 센서(309)는, 이 각 센서공(334)으로부터 검출광을 조사하고, 또한, 이 각 센서공(334)으로부터, 각 비트 구성부(147)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한다.
홀더 커버(330)는, 각 광학 센서(309)로의 외광을 차광하는 외광 차광부로서 기능한다. 한편, 칸막이 부재(332)는, 인접하는 광학 센서(309)로부터의 검출광을 차광하고, 광학 센서(309)끼리의 간섭을 막는 간섭 방지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홀더 커버(330)는, 외광 차광부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기단면에 맞닿아, 센서부(310)(각 광학 센서(309))와 종별 판독 패턴(145)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소정의 클리어런스로 하는 스페이서로서도 기능한다. 즉, 홀더 커버(330)의 선단면(330a)이,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기단면에 대한 맞닿음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유닛 탄성지지부(304)(한 쌍의 코일 스프링(306))의 탄성지지에 의해, 한 쌍의 스프링 수용부(324)를 통하여, 홀더 커버(330)가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압압되면, 당해 선단면(330a)이,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기단면에 맞닿아 밀착함으로써, 센서부(310)와 종별 판독 패턴(145)의 사이에 상기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형성한다. 또한 홀더 커버(330)의 선단면(330a)은,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기단면을 따르도록, 약간 앞으로 기울어져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 커버(330)의 전방 상단부에는, 전방측으로 기울어져 경사져 있는 유도 경사면(330b)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유도 경사면(330b)은,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장착할 때에,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이면측 단부에 맞닿아,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장착하는 힘의 일부(분력)를, 센서 유닛(300)을 카트리지 장착부(5)의 외측으로 되미는 힘으로서 작용시키는 것이다. 당해 유도 경사면(330b)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장착에 수반하여, 센서 유닛(300)이, 유닛 탄성지지부(304)에 저항하여 되밀어진다. 이에 따라,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장착이 완료했을 때, 센서 유닛(300)이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압압된 상태로 된다.
위치 결정 핀(326)은, 상향이고 또한 끝이 가는 직립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위치 결정 핀(326)은, 선단부가 원추대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상저면 부분은, 돔 형상으로 둥그스름한 형상이 되어 있다. 당해 위치 결정 핀(326)은, 상기 위치 결정 구멍부(182)에 걸어맞춤되는 센서 홀더(312)의 피걸어맞춤부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위치 결정 구멍부(18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구멍부(182)는, 하 케이스(150)의 저벽부(160)에 형성되어 있고, 하 케이스(150)의 이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 구멍부(182)는, 우 모퉁이부에 위치하는 접합 구멍(172)과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접합 구멍(172)을 구성하는 관통공(172a)의 하단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위치 결정 구멍부(182)와 접합 구멍(172)은, 일체의 관통공(172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구멍부(182)는, 센서 홀더(312)의 위치 결정 핀(326)과 걸어맞춤한다. 위치 결정 구멍부(182)는, 센서 홀더(312)의 위치 결정 핀(326)과 걸어맞춤함으로써,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설치된 종별 판독 패턴(145)에 대한, 센서 홀더(312)에 탑재된 센서부(310)의 위치를 위치 결정한다. 즉, 위치 결정 구멍부(182)는, 센서 홀더(312)를 통하여, 종별 판독 패턴(145)과 센서부(310)의 사이의 위치 결정을 한다. 이에 따라, 종별 판독 패턴(145)과 센서부(310)의 위치 관계를, 최적인 위치 관계로 교정한다. 또한 하 케이스(150)에는, 연결부(328)에 대응하는 노치(400)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카트리지 장착부(5)로의 장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방향 앞쪽측으로부터, 카트리지 장착부(5)에 대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삽입해 나가면, 우선,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이면측 단부가, 홀더 커버(330)의 유도 경사면(330b)에 맞닿는다. 그리고, 삽입이 더욱 진행되면, 유도 경사면(330b)에 의해, 센서 유닛(300)이, 유닛 탄성지지부(304)에 저항하여 되밀어져, 센서 유닛(300)이,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기단면에 압압된 상태가 된다(가위치 결정)(도 11(c) 참조).
그 후, 삽입이 더욱 진행되면,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센서 유닛(300)에 슬라이딩하면서, 장착 방향 안쪽측으로 진행하여 가고, 위치 결정 핀(326) 선단부의 원추대형 형상(테이퍼면)에 의해, 센서 유닛(300)의 위치 맞춤이 행해지면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이면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부(182)가, 센서 유닛(300)의 위치 결정 핀(326)에 걸어맞춤한다(본 위치 결정)(도 11(d) 참조). 즉, 센서 유닛(300)이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압압된 상태로, 추가로 위치 결정 핀(326)과 위치 결정 구멍부(182)가 걸어맞춤한다. 이에 따라, 센서 유닛(300)과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강고하게 밀착하여, 센서 유닛(300)과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일체화된다. 이에 따라, 종별 판독 패턴(145)에 대하여, 센서 홀더(312)를 통하여 센서부(310)가 위치 결정되고, 센서부(310)와 종별 판독 패턴(145)의 위치 관계가 최적화된다. 즉, 각 광학 센서(309)의 최적인 초점 위치에 각 비트 구성부(147)가 위치되고, 또한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나 기울기(각도)의 어긋남에 대해서도 교정된다. 그 결과, 센서부(310)에 의한 종별 판독 패턴(145)의 판독 동작을 최적인 상태로 행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본 장착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르면,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장착하면,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위치 결정 구멍부(182)가, 센서 홀더(312)의 위치 결정 핀(326)에 걸어맞춤한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100)와 센서 홀더(312)를 일체화하여, 종별 판독 패턴(145)의 위치에 대하여, 센서부(310)의 위치가 위치 결정된다. 이 장착에 수반하는 위치 결정에 의해, 센서부(310)와 종별 판독 패턴(145)의 위치 관계를, 최적인 위치 관계로 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 구멍부(182)와 위치 결정 핀(326)이 걸어맞춤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테이프 인쇄 장치(1)의 각 구동축(45, 47)으로부터의 힘에 의해, 센서부(310)에 대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위치나 기울기(각도)가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센서부(310)와 종별 판독 패턴(145)의 최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부(310)와 종별 판독 패턴(145)의 위치 관계를 최적인 위치 관계로 할 수 있음과 함께, 당해 최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센서부(310)(각 광학 센서(309))에 의한 검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종별 정보를 정확하게 판독시킬 수 있다.
또한, 하 케이스(150)에 있어서, 위치 결정 구멍부(182)를, 접합 구멍(172)의 하나와 동축상에 형성함으로써, 접합 구멍(172)의 직하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위치 결정 구멍부(182)를 설치하는 구성이 된다. 그 때문에, 스페이스 효율 좋게 위치 결정 구멍부(182)를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접합 구멍(172)을 형성할 때에 발생하는 버림 구멍 부분을 이용하여, 위치 결정 구멍부(18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합 구멍(172)과 위치 결정 구멍부(182)를, 일체의 관통공(172a)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접합 구멍(172)과 위치 결정 구멍부(18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 구멍부(182) 및 접합 구멍(172)을, 일체의 관통공(172a)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었지만, 위치 결정 구멍부(182) 및 접합 구멍(172)을 따로따로 형성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 구멍부(182)와 위치 결정 핀(326)의 조를 1조만 설치하는 구성이었지만, 이를 2조 이상 설치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 구멍부(182)의 형상을 원형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위치 결정 구멍부(182)의 형상을 직사각형이나 그 외의 다각형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추가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센서부(310)와 종별 판독 패턴(145)의 위치 결정에 이용하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측의 걸어맞춤부(위치 결정 구멍부(182))을 구멍부로 하고, 센서 유닛(300)측의 피걸어맞춤부(위치 결정 핀(326))를 돌출부로 하는 구성이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자를 돌출부로 하고, 후자를 구멍부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비트 구성부(147) 및 검출 센서(309)를, 2행 4열의 8개씩 구비하는 구성이었지만, 이들 개수 및 배치(행수 및 열수)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1행 6열의 6개와 같이, 수평으로 설치하는 구성이라도 좋고, 6행 1열의 6개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4행 4열의 16개와 같이, 행수와 열수가 동수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비트 구성부(147)가, 흰 바탕의 인쇄 영역에, 흑잉크가 인쇄(민인쇄)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의해, 1비트의 비트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었지만, 인쇄 영역의 색이나, 인쇄하는 잉크의 색은, 검출 센서(309)에 의해 비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면(검출광을 조사했을 때의 반사광의 유무나 강약을 검출할 수 있으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검은 바탕의 인쇄 영역에 백잉크가 인쇄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의해, 1비트의 비트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인쇄 영역의 색 및 잉크의 색의 한쪽을, 청, 감, 녹 계통의 색으로 하고, 다른 한쪽을, 적, 황, 등(orange) 계통의 색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종별 판독 패턴(145)이 형성된 종별 판독 시일(143)을,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측면에 접착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측면에 종별 판독 패턴(145)을 설치하는 구성이었지만,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측면에, 직접, 종별 판독 패턴(145)을 형성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러한 경우, 당해 측면에 종별 판독 패턴(145)을 인쇄하는 구성이라도 좋고, 당해 측면에 종별 판독 패턴(145)을 레이저 등으로 새겨 설치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나아가서는, 각 비트 구성부(147)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종별 판독 패턴(145)을 형성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1 : 테이프 인쇄 장치
100 : 테이프 카트리지
130 : 카트리지 케이스
145 : 종별 판독 패턴
150 : 하 케이스
152 : 상 케이스
170 : 접합 핀
172 : 접합 구멍
182 : 위치 결정 구멍부
310 : 센서부
312 : 센서 홀더
326 : 위치 결정 핀

Claims (6)

  1. 테이프 코어에 권회된 인쇄 테이프를 카트리지 케이스 내에 수용하고,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설치된 피검출부에 검출광을 조사하여 상기 피검출부로부터 테이프 카트리지의 종별 정보를 판독하는 검출부와,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에 대하여, 장착 방향 및 제거 방향으로 착탈되는 테이프 카트리지로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인쇄 테이프를 수용하는 테이프 수용 에어리어와,
    리본 롤을 수용하는 리본 수용 에어리어와,
    상기 리본 수용 에어리어에 대하여 상기 테이프 수용 에어리어와 반대측의 외주 벽면인 기단면과,
    상기 검출부와 상기 피검출부의 사이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해 상기 검출부의 홀더에 설치된 위치 결정 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오목부와,
    상기 기단면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와 상기 위치 결정 핀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대응하는 노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단면은,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상기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에, 탄성지지부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내측에 탄성지지되어 있는 상기 홀더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상기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홀더를 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복수의 접합 핀을 갖는 제1 케이스와, 상기 복수의 접합 핀에 끼워맞춤하는 복수의 접합 구멍을 갖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복수의 접합 구멍 중 하나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출부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접착된 종별 판독 시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면에는, 상기 종별 판독 시일을 접착하는 판독 시일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6. 삭제
KR1020187032747A 2014-09-30 2015-07-31 테이프 카트리지 KR102029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01784 2014-09-30
JP2014201784A JP6508904B2 (ja) 2014-09-30 2014-09-30 テープカートリッジ
PCT/JP2015/071889 WO2016051949A1 (ja) 2014-09-30 2015-07-31 テープカートリッ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233A Division KR101921213B1 (ko) 2014-09-30 2015-07-31 테이프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157A KR20180124157A (ko) 2018-11-20
KR102029945B1 true KR102029945B1 (ko) 2019-10-08

Family

ID=556299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233A KR101921213B1 (ko) 2014-09-30 2015-07-31 테이프 카트리지
KR1020187032747A KR102029945B1 (ko) 2014-09-30 2015-07-31 테이프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233A KR101921213B1 (ko) 2014-09-30 2015-07-31 테이프 카트리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9550387B2 (ko)
EP (2) EP3181368B1 (ko)
JP (1) JP6508904B2 (ko)
KR (2) KR101921213B1 (ko)
CN (4) CN107878051B (ko)
BR (1) BR112017005011A2 (ko)
TW (5) TWI714835B (ko)
WO (1) WO20160519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87587S1 (en) * 2015-04-03 2017-05-23 Seiko Epson Corporation Tape cartridge for a label printer
JP1543547S (ko) * 2015-04-03 2016-02-08
USD787588S1 (en) * 2015-04-03 2017-05-23 Seiko Epson Corporation Tape cartridge for a label printer
USD787590S1 (en) * 2015-04-03 2017-05-23 Seiko Epson Corporation Tape cartridge for a label printer
USD788844S1 (en) * 2015-04-03 2017-06-06 Seiko Epson Corporation Tape cartridge for a label printer
JP6852473B2 (ja) 2017-03-10 2021-03-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
JP6939210B2 (ja) * 2017-07-31 2021-09-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ユニット装着構造および印刷装置
CN107415499B (zh) * 2017-09-12 2023-08-25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带盒及带式打印系统
JP7073846B2 (ja) * 2018-03-29 2022-05-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カートリッジ、テープガイドおよび印刷装置
US20220153029A1 (en) * 2019-06-21 2022-05-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oating printhead shield
JP7306102B2 (ja) * 2019-06-24 2023-07-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7347117B2 (ja) * 2019-10-24 2023-09-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5314B2 (ja) * 1992-10-15 1999-12-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および印字装置
JP3247585B2 (ja) * 1995-07-27 2002-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テープライタ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19113B (it) * 1988-03-16 1990-05-03 Olivetti & Co Spa Cartuccia per un nastro di scrittura
US6196740B1 (en) * 1994-05-25 2001-03-0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shaped label printing device
US6042280A (en) * 1995-05-25 2000-03-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label printing device
US5959652A (en) * 1997-07-11 1999-09-28 Pitney Bowes Inc. Thermal ink ribbon cassette for mailing machines
JP3711430B2 (ja) * 1998-03-27 2005-11-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用印刷画像の作成方法
US7344325B2 (en) * 1999-01-25 2008-03-18 Fargo Electronics, Inc. Identification card printer having ribbon cartridge with cleaner roller
DE60006622T2 (de) * 1999-09-14 2004-09-23 Brother Kogyo K.K., Nagoya Kassette und Gerät zum Festellen ob diese angebracht ist
JP3498690B2 (ja) * 2000-08-04 2004-02-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の分解方法、このテープカートリッジを収容した印刷装置
US6955318B2 (en) * 2000-10-19 2005-10-1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and tape unit
JP4337274B2 (ja) * 2001-05-22 2009-09-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03118193A (ja) * 2001-10-11 2003-04-23 Alps Electric Co Ltd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熱転写プリンタ
GB0315148D0 (en) * 2003-06-27 2003-08-06 Esselte Nv Tape printing apparatus and tape cassette
JP2006116823A (ja) * 2004-10-21 2006-05-11 Seiko Epson Corp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が着脱自在に装着されるテープ処理装置
JP2010023458A (ja) 2008-07-24 2010-02-04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ステム
BRPI0923680B1 (pt) 2008-12-25 2020-01-28 Brother Ind Ltd fita cassete
JP4962523B2 (ja) * 2009-03-31 2012-06-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5077223B2 (ja) * 2008-12-25 2012-11-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印字装置
US9493016B2 (en) 2008-12-25 2016-11-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WO2010113236A1 (en) 2009-03-31 2010-10-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and tape printer
CN104442030B (zh) * 2009-03-31 2017-04-12 兄弟工业株式会社 带盒
US9427988B2 (en) 2009-03-31 2016-08-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NZ596061A (en) * 2009-03-31 2013-11-29 Brother Ind Ltd Tape cassette
JP5517058B2 (ja) * 2010-05-27 2014-06-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及びラベル作成装置
JP5573412B2 (ja) * 2010-06-23 2014-08-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字装置
EP2390099B1 (en) 2010-05-31 2016-04-2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inter
JP5556435B2 (ja) * 2010-06-25 2014-07-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5621527B2 (ja) 2010-11-11 2014-1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
CN202293699U (zh) * 2011-10-19 2012-07-04 江西亿铂电子科技有限公司 带盒
JP5850322B2 (ja) * 2012-01-06 2016-02-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及び印字ラベル作成システム
JP6111555B2 (ja) 2012-07-06 2017-04-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収容体装着機構及び記録装置
JP5998067B2 (ja) * 2013-01-21 2016-09-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
JP6241104B2 (ja) * 2013-07-22 2017-12-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CN203844430U (zh) * 2014-01-29 2014-09-24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带盒
JP6218657B2 (ja) * 2014-03-24 2017-10-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6291950B2 (ja) * 2014-03-25 2018-03-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媒体、印刷装置および印刷装置の印刷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5314B2 (ja) * 1992-10-15 1999-12-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および印字装置
JP3247585B2 (ja) * 1995-07-27 2002-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テープライ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14835B (zh) 2021-01-01
US10124611B2 (en) 2018-11-13
TWI697414B (zh) 2020-07-01
US20190077173A1 (en) 2019-03-14
CN106687295A (zh) 2017-05-17
BR112017005011A2 (pt) 2019-04-02
CN107878050B (zh) 2019-12-06
EP3181368A1 (en) 2017-06-21
CN106687295B (zh) 2019-01-29
US20160271983A1 (en) 2016-09-22
TW201827249A (zh) 2018-08-01
CN107878039B (zh) 2020-10-30
TWI633017B (zh) 2018-08-21
EP3181368B1 (en) 2020-12-16
TWI710477B (zh) 2020-11-21
US20170087901A1 (en) 2017-03-30
TW201827248A (zh) 2018-08-01
JP6508904B2 (ja) 2019-05-08
KR20180124157A (ko) 2018-11-20
CN107878050A (zh) 2018-04-06
TW201827247A (zh) 2018-08-01
US9550387B2 (en) 2017-01-24
TWI710476B (zh) 2020-11-21
WO2016051949A1 (ja) 2016-04-07
KR20170041915A (ko) 2017-04-17
JP2016068468A (ja) 2016-05-09
KR101921213B1 (ko) 2018-11-22
EP3181368A4 (en) 2018-05-02
CN107878051A (zh) 2018-04-06
CN107878039A (zh) 2018-04-06
CN107878051B (zh) 2020-07-24
TW201623018A (zh) 2016-07-01
TW201819207A (zh) 2018-06-01
US10611179B2 (en) 2020-04-07
EP3800057A1 (en)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945B1 (ko) 테이프 카트리지
EP1733895B1 (en) Tape cassette
KR102065499B1 (ko) 테이프 카트리지
EP3272541B1 (en) Tape printing device
JP6754861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