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182B1 -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182B1
KR102029182B1 KR1020190085869A KR20190085869A KR102029182B1 KR 102029182 B1 KR102029182 B1 KR 102029182B1 KR 1020190085869 A KR1020190085869 A KR 1020190085869A KR 20190085869 A KR20190085869 A KR 20190085869A KR 102029182 B1 KR102029182 B1 KR 102029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rame
traverse
drum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주
한창석
김제훈
임익순
최광균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5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182B1/ko
Priority to US16/682,736 priority patent/US11305963B2/en
Priority to SG10201910893SA priority patent/SG10201910893SA/en
Priority to AU2019275536A priority patent/AU201927553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02Guiding arrangements to control paying-out and re-storing of the material
    • B65H75/4405Traversing devices; means for orderly arranging the material on the drum
    • B65H75/4407Traversing devices; means for orderly arranging the material on the drum positively driven, e.g. by a transmission between the drum and the travers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8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mounted to facilitate unwinding of material from packa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2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32Stands or frameworks
    • B65H49/321Stands or framework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their folding or dismant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65H75/4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attached to, or forming part of, mobile tools, machines or vehicles
    • B65H75/425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attached to, or forming part of, mobile tools, machines or vehicles attached to, or forming part of a vehicle, e.g. truck, trailer,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02Guiding arrangements to control paying-out and re-storing of the material
    • B65H75/4405Traversing devices; means for orderly arranging the material on the drum
    • B65H75/4413Traversing devices; means for orderly arranging the material on the drum with a traversely moving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A) 프레임부를 설치하는 단계; (B) 별도의 하차 작업없이 케이블 드럼이 실린 트레일러 대차를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로 정렬시키는 단계; (C) 트레일러 대차 상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 드럼을 언더 롤러부가 회전시키는 단계; (D) 상기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풀려지는 케이블이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된 트레버스부에 의해 인출방향이 전환되는 단계; (E) 상기 트레버스부에 의해 인출방향이 전환된 케이블이 상기 트레버스부의 후부에 배치된 케이블 선출부로 공급되는 단계; 및 (F) 상기 케이블 선출부를 경유한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선출부의 후부에 배치된 곡률 가이드부를 통해 요구되는 장소로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버스부는 상기 케이블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인출되는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의 인출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인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CABLE LAYING METHOD USING CABLE LAYING APPARTUS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OF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하던 종래의 케이블 포설 장치와 달리 별도의 하차 작업 없이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 포설 과정에서 도로 점유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발전으로 인한 전력 사용량의 증가로 초고압 케이블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됨에 따라 초고압 케이블의 대형화, 장경간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초고압 케이블이 대형화, 장경간화로 인해 생산 공장에서 생산된 초고압 케이블을 설치될 현장까지 운송하기 위한 케이블 드럼 또한 대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초고압 케이블을 운송하는 케이블 드럼을 대형화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드럼의 높이를 높게 하거나 케이블 드럼의 폭을 넓게 해야 하는데, 케이블 드럼 운반을 위해서는 일반 도로를 이용해야 하므로, 종래에는 케이블 드럼의 폭이 도로의 폭을 넘지 않도록 하면서 케이블 드럼의 높이를 높게 하는 방식으로 케이블 드럼을 대형화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다만, 육상 운송 시 교량이나 육교 하부를 통과해야 하므로 케이블 드럼의 높이는 최대 4~5 미터 정도로 제한되어, 종래와 같이 케이블 드럼의 폭은 유지한 채 케이블 드럼의 높이를 높게 하는 방식으로는 케이블 드럼을 대형화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케이블 드럼의 높이를 높게 하는 방식과는 달리 케이블 드럼의 폭을 넓게 하는 경우에는 더욱 효과적으로 케이블의 대형화 및 장경간화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블 드럼(D)의 반경 방향으로 케이블(C) 포설이 이루어질 경우, 케이블(C) 포설 과정에서 많은 도로 차선을 점유하게 되어 도로 교통에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즉, 케이블(C) 포설 작업에 제약이 많다.
이에, 케이블 포설 과정에서 도로 점유를 최소화하면서도 케이블의 대형화 및 장경간화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케이블 포설 방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5117호
본 발명은 케이블 드럼의 반경 방향이 아닌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도록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케이블 포설 과정에서 도로 점유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케이블 드럼의 대형화 및 장경간화를 도모하여 종래의 케이블 포설 장치가 갖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A) 프레임부를 설치하는 단계; (B) 별도의 하차 작업없이 케이블 드럼이 실린 트레일러 대차를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로 정렬시키는 단계; (C) 트레일러 대차 상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 드럼을 언더 롤러부가 회전시키는 단계; (D) 상기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풀려지는 케이블이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된 트레버스부에 의해 인출방향이 전환되는 단계; (E) 상기 트레버스부에 의해 인출방향이 전환된 케이블이 상기 트레버스부의 후부에 배치된 케이블 선출부로 공급되는 단계; 및 (F) 상기 케이블 선출부를 경유한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선출부의 후부에 배치된 곡률 가이드부를 통해 요구되는 장소로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버스부는 상기 케이블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인출되는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의 인출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인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A1) 화물차 적재함에 적재된 상기 프레임부를 케이블 포설이 이루어지는 현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A2)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제1 하차용 기둥부와 제2 하차용 기둥부의 길이 연장을 통해 상기 제1 하차용 기둥부는 노면에 지지 고정시키고, 상기 제2 하차용 기둥부는 노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 이후로, (A3) 상기 제2 하차용 기둥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의 폭을 미리 정해진 폭으로 넓히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 이후로, (A4) 상기 프레임부의 폭이 넓혀진 상태에서 화물차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A5)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제1 기둥부의 내부에 수용된 제1 리프팅 프레임과, 제2 기둥부의 내부에 수용된 제2 리프팅 프레임을 하부로 연장시키며, 상기 프레임부의 높이를 미리 정해진 높이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5) 단계 이후로, (A6) 상기 제1 리프팅 프레임과 제2 리프팅 프레임이 노면에 지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차용 기둥부와 제2 하차용 기둥부를 원위치로 길이 조정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에서, 상기 케이블 드럼이 실린 트레일러 대차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폭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트레버스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케이블의 인출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케이블 처짐 방지부는, 상기 트레버스부가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전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기준으로 펴진 상태를 이루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 처짐 방지부는 상기 트레버스부가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후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버스부와의 간섭 발생이 방지되도록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접힌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버스부의 후단부는 상기 케이블 선출부보다 더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선출부와 곡률 가이드부는 이동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포설 장치는 케이블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하던 종래와 달리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함으로써, 케이블 포설 과정에서 케이블 드럼이 도로를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포설 장치는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 포설이 가능함에 따라 케이블 드럼의 폭을 키울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케이블의 대형화 및 장경간화에 따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포설하는 경우, 케이블 드럼이 대형화되더라도 케이블의 포설 작업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부가 이동 레일부를 따라 전부측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부가 이동 레일부를 따라 후부측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설치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처짐 방지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프레임부, 트레버스부 및 언더 롤러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출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률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부가 이동 레일부를 따라 전부측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부가 이동 레일부를 따라 후부측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설치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처짐 방지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프레임부, 트레버스부 및 언더 롤러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선출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률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블 포설 장치(1000)는 케이블 드럼(D)의 반경 방향으로 케이블(C)을 포설하던 종래와 달리 케이블 드럼(D)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C)을 포설함으로써, 케이블 포설 과정에서 케이블 드럼(D)이 도로를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포설 장치(1000)는 프레임부(100), 트레버스부(200), 케이블 선출부(300), 곡률 가이드부(400) 및 언더 롤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100)는 케이블 드럼(D)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프레임부(100)는 가변 설치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프레임부(100)는 내부에 다양한 크기의 케이블 드럼(D)이 배치될 수 있도록 프레임부(100)의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선택적인 길이 변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프레임부(100)는 케이블 드럼(D)으로부터 풀려지는 케이블(C)이 트레버스부(200)에 의해 방향 전환이 이루어짐에 있어, 트레버스부(200)를 지지함과 동시에 트레버스부(200)의 전, 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프레임부(100)는 제1 지지 프레임(110), 제2 지지 프레임(120), 프레임 폭 조절부(130), 신축 조절부(140), 제1 하차용 기둥부(150) 및 제2 하차용 기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 프레임(110)은 이격된 한 쌍의 제1 기둥부(111)와 이격된 한 쌍의 제1 기둥부(111)를 연결하는 제1 연결 프레임(112)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지지 프레임(120)은 제1 지지 프레임(110)과 마주보도록 이루어지며, 이격된 한 쌍의 제2 기둥부(121)와 이격된 한 쌍의 제2 기둥부(121)를 연결하는 제2 연결 프레임(122)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루어진 2개의 제1 기둥부(111)와 제2 기둥부(121)는 프레임부(100)의 뼈대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 폭 조절부(130)는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프레임 폭 조절부(130)의 일단부는 제1 지지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프레임 폭 조절부(130)의 타단부는 제2 지지 프레임(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폭 조절부(130)는 X자 형태의 링크 구조로 이루어져, 신축 조절부(140)의 작동에 의해 프레임 폭 조절부(130)는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즉, 신축 조절부(140)는 프레임 폭 조절부(130)의 작동을 통해 프레임부(100)의 폭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신축 조절부(140)는 복수개의 프레임 폭 조절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프레임 폭 조절부(130)의 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X자 형태를 이루는 단부 간의 거리를 좁히거나 벌림으로써, 프레임 폭 조절부(130)를 신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 프레임(110)에는 제1 연결 프레임(112)과 결합되는 안착 지지 프레임(114)이 구비되며, 신축 조절부(140)는 안착 지지 프레임(114)에 안착 지지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안착 지지 프레임(114)은 제1 연결 프레임(112)에 결합되되,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의 사이에 구비된다. 즉, 안착 지지 프레임(114)은 제1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 방향에 구비된다.
여기서 프레임 폭 조절부(130)는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에 결합됨에 있어, 제1 지지 프레임(110)의 경우에는 안착 지지 프레임(114)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프레임 폭 조절부(130)의 일단부가 제1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안착 지지 프레임(114)에 결합됨에 따라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의 폭은 더욱 넓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 하차용 기둥부(150)는 제1 기둥부(111)의 외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2 하차용 기둥부(160)는 제2 기둥부(121)의 외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1 하차용 기둥부(150)와 제2 하차용 기둥부(160)는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의 폭 조절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의 폭 간격이 간편하게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프레임부(100)의 폭이 조절되는 과정을 도 7을 통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화물차 적재함(2)에 적재된 프레임부(100)를 케이블(C) 포설이 이루어질 현장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제1 하차용 기둥부(150)와 제2 하차용 기둥부(160)의 길이 연장을 통해 제1 하차용 기둥부(150)와 제2 하차용 기둥부(160)의 하부가 노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하차용 기둥부(150)는 노면에 지지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제2 하차용 기둥부(160)의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되어 노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제1 하차용 기둥부(150)와 제2 하차용 기둥부(160)가 연장을 통해 노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2 하차용 기둥부(160)의 이동을 통해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의 폭을 넓힌다.
다음으로,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의 폭이 넓혀진 상태에서 프레임부(100)를 적재하였던 화물차를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프레임부(100)의 내부로 케이블 드럼(D)이 배치될 수 있도록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의 폭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의 폭은 신축 조절부(140)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미리 정해진 폭으로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에서 제1 기둥부(111)의 내부에 수용된 제1 리프팅 프레임(113)과, 제2 기둥부(121)의 내부에 수용된 제2 리프팅 프레임(123)을 하부로 연장시키며, 프레임부(100)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리프팅 프레임(113)은 제1 기둥부(111)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고, 제2 리프팅 프레임(123)은 제2 기둥부(121)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어 프레임부(1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제1 리프팅 프레임(113)과 제2 리프팅 프레임(123)의 하단부는 앵커 시공을 통해 노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리프팅 프레임(113)과 제2 리프팅 프레임(123)은 제1 레버블럭(L1)을 통해 트레일러 대차(1)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리프팅 프레임(113)과 제2 리프팅 프레임(123)이 설치된 상태에서 길이가 연장된 상태의 제1 하차용 기둥부(150)와 제2 하차용 기둥부(160)는 원위치로 길이 조절을 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부(100)는 화물차 적재함(2)에 적재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현장으로의 이동이 간편하다.
그리고 프레임부(100)는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의 폭 조절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를 갖는 케이블 드럼(D)의 케이블 포설 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 프레임(112)의 하부에는 이동 레일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레일부(115)에는 트레버스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트레버스부(200)는 이동 레일부(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 후로 이동되며, 케이블 드럼(D)에 감긴 케이블(C)의 인출 방향을 전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트레버스부(200)는 케이블 드럼(D)의 반경 방향으로 인출되는 케이블(C)을 케이블 드럼(D)의 축 방향으로 인출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트레버스부(200)는 몸체부(210)와 가이드 롤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210)는 이동 레일부(115)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레일부(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몸체부(210)는 케이블 드럼(D)에 감긴 케이블(C)이 풀림에 있어, 풀려지는 케이블(C)의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이드 롤러부(220)는 몸체부(210) 상에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 롤러부(220)는 케이블 드럼(D)의 반경 방향으로 안내된 케이블(C)을 케이블 드럼(D)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C)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가이드 롤러부(220)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가이드 롤러부(220)는 풀링 중 케이블(C)의 절연체 건전성에 영향이 없도록 미리 계산된 최소 곡률 반경 범위인 미리 정해진 곡률 반경(R1)을 이루도록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이블(C)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가이드 롤러부(220)는 방향 전환 가이드 롤러(221)와 이탈 방지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전환 가이드 롤러(221)는 한 쌍을 이루되,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배치된다. 케이블(C)은 이렇게 한 쌍을 이루는 이격 상태의 복수개의 방향 전환 가이드 롤러(221) 사이로 이동되며, 케이블(C)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탈 방지부재(222)는 이격된 한 쌍의 방향 전환 가이드 롤러(221)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탈 방지부재(222)는 한 쌍의 방향 전환 가이드 롤러(221)의 사이로 이동되는 케이블(C)이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이탈 방지부재(222)는 케이블(C)이 트레버스부(200)를 통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케이블(C)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케이블 처짐 방지부(230)는 제1 연결 프레임(112)의 후단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케이블 처짐 방지부(230)는 트레버스부(200)와 케이블 선출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C)의 처짐 발생을 방지하며, 트레버스부(200)로부터 케이블 선출부(300)로 케이블(C)의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케이블 처짐 방지부(230)는 이동중인 케이블(C)의 처짐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케이블(C)의 장력이 급격히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케이블 처짐 방지부(230)는 폴딩 방식의 링크 구조를 이루며, 트레버스부(200)의 이동 위치에 따라 케이블 지지부재(232)가 회전축(231)을 기준으로 펴진 상태를 이루거나 접혀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트레버스부(200)가 이동 레일부(115)를 따라 전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케이블 처짐 방지부(230)는 회전축(231)을 기준으로 펴진 상태를 이루며 트레버스부(200)로부터 안내되는 케이블(C)를 지지하며, 케이블 선출부(300)로 안내되는 케이블(C)의 처짐 발생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트레버스부(200)가 이동 레일부(115)를 따라 후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케이블 처짐 방지부(230)는 회전축(231)을 기준으로 접힌 상태를 이루며 트레버스부(200)와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트레버스부(200)가 이동 레일부(115)의 후부측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트레버스부(200)와 케이블 선출부(300) 간의 거리가 가깝기에 케이블 처짐 방지부(230)가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케이블 처짐 방지부(230)는 트레버스부(200)와 케이블 선출부(300) 간의 거리가 멀어질 경우, 트레버스부(200)에서 케이블 선출부(300)로 이동되는 케이블(C)의 처짐을 발생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케이블 처짐 방지부(230)는 예를 들어 3톤 이상의 케이블(C)을 지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트레버스부(200)의 후단부는 케이블 선출부(300)보다 더 높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트레버스부(200)로부터 케이블 선출부(300)로 이동되는 케이블(C)의 꺾임 발생을 방지하며 케이블(C)의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언더 롤러부(500)는 트레일러 대차(1) 상에 구비되며, 케이블 드럼(D)에 감긴 케이블(C)이 풀려지도록 케이블 드럼(D)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언더 롤러부(500)는 언더 프레임(510), 드럼 거치 블럭(520), 드럼 리프트 잭(530), 동력부(540) 및 고정 클램프(5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언더 프레임(510)은 언더 롤러부(5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게 된다. 즉, 언더 프레임(510)은 언더 롤러부(500)의 뼈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드럼 거치 블럭(520)은 언더 프레임(510)에 구비된다. 이러한 드럼 거치 블럭(520)에는 케이블 드럼(D)이 안착되며 케이블 드럼(D)은 드럼 거치 블럭(520)에 안착된 상태에서 흔들림 발생이 방지된다. 이때, 드럼 거치 블럭(520)에 안착된 케이블 드럼(D)은 제2 레버블럭(L2)을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드럼 리프트 잭(530)은 드럼 거치 블럭(520)에 안착된 케이블 드럼(D)을 들어 올리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드럼 리프트 잭(530)에는 드럼 회전롤러(531)가 구비되어, 드럼 거치 블럭(520)으로부터 들어 올려진 상태의 케이블 드럼(D)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 드럼(D)에 감긴 케이블(C)은 드럼 회전롤러(531)에 의해 케이블(C)의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 드럼(D)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롤러(531)의 회전력은 동력부(54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동력부(540)는 모터일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클램프(550)는 트레일러 대차(1)의 측면에 지지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고정 클램프(550)는 트레일러 대차(1)의 측면에 지지 고정됨으로써, 언더 프레임(510)은 트레일러 대차(1) 상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클램프(550)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다양한 폭을 갖는 트레일러 대차(1)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선출부(300)는 트레버스부(200)의 후부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케이블 선출부(300)는 트레버스부(200)로부터 안내되는 케이블(C)을 당기도록 이루어진다. 즉, 케이블 선출부(300)는 케이블 드럼(D)에 감긴 케이블(C)을 요구되는 장소로 공급함에 있어, 이동중인 케이블(C)의 장력을 조절함은 물론 요구되는 장소로 케이블(C)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케이블 선출부(300)는 측면 가압 롤러(310)와 상부 가압 롤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을 측면 가압 롤러(310)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배치된다. 이렇게 한 쌍을 이루는 측면 가압 롤러(310)의 사이 공간으로 이동되는 케이블(C)은 측면 가압 롤러(310)에 의해 당겨지게 된다. 즉, 측면 가압 롤러(310)는 케이블(C)의 양측을 가압한 상태에서 구동모터(33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며, 케이블 선출부(300)의 입구측으로 안내된 케이블(C)을 케이블 선출부(300)의 출구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측면 가압 롤러(310)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가압 롤러(320)는 케이블(C)의 이동 방향으로 회전되며, 측면 가압 롤러(310) 사이로 이동되는 케이블(C)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 가압 롤러(320)도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 선출부(300)는 케이블(C)을 가압한 상태에서 케이블(C)을 선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케이블 선출부(300)는 케이블 드럼(D)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동력부(540)의 회전속도와의 연계를 통해 이동중인 케이블(C)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케이블 선출부(300)의 선출속도와 동력부(540)의 회전속도 제어를 통해 이동중인 케이블(C)의 장력을 조절하며 케이블(C)이 파손됨없이 요구되는 장소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곡률 가이드부(400)는 케이블 선출부(300)의 후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곡률 가이드부(400)는 케이블 선출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케이블(C)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곡률 가이드부(400)는 케이블 선출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케이블(C)을 요구되는 장소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곡률 가이드부(400)는 만곡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곡률 가이드부(400)는 요구되는 장소로 케이블(C)을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곡률 가이드부(400)는 케이블 받침 롤러(410), 곡률 프레임(420), 측면 이탈 방지 롤러(430) 및 상부 이탈 방지 롤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받침 롤러(410)는 케이블 선출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케이블(C)을 안착한 상태에서 케이블(C)을 하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케이블 받침 롤러(410)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을 이루는 곡률 프레임(420)은 만곡 형상을 이루며 케이블 받침 롤러(410)의 양단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케이블 받침 롤러(410)의 양단부는 곡률 프레임(420)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되며 케이블(C)을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만곡 형상을 이루는 곡률 프레임(420)의 곡률 반경(R2)은 3.8 ~ 4.2 미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4 미터의 곡률 반경(R2)을 갖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곡률 프레임(420)은 미리 정해진 곡률 반경을 가짐으로써, 케이블 선출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케이블(C)은 요구되는 장소로 자연스럽게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이탈 방지 롤러(430)는 곡률 프레임(420)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측면 이탈 방지 롤러(430)는 케이블 받침 롤러(410)로부터 이동중인 케이블(C)이 곡률 프레임(4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부 이탈 방지 롤러(440)는 이격된 곡률 프레임(420)을 연결하며, 곡률 프레임(420)의 상부로 케이블(C)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측면 이탈 방지 롤러(430)와 상부 이탈 방지 롤러(440)는 케이블(C)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탈되는 케이블(C)을 케이블 받침 롤러(410)로 안내하며 요구되는 장소로 케이블(C)을 원활히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케이블 포설 장치(1000)에는 케이블 포설 속도 측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포설 속도 측정부는 케이블(C) 포설이 이루어지는 케이블(C)의 포설 속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케이블 포설 속도 측정부는 예를 들어 트레버스부(200)에 설치되어 트레버스부(200)를 경유하는 케이블(C)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부(미도시)와, 곡률 가이드부(400)에 설치되어 곡률 가이드부(400)를 경유하는 케이블(C)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케이블(C)의 이동 속도 정보를 통해 포설중인 케이블(C)의 포설 속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에서 언급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0)는 별도의 하차 작업 없이 케이블 드럼(D)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C)을 포설할 수 있기에, 케이블(C) 포설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 드럼(D)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C) 포설이 가능하기에 케이블(C)을 포설하는 과정에서 도로 점유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 포설 장치(1000)는 케이블 드럼(D)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 포설이 가능함에 따라 케이블 드럼(D)의 폭을 키울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케이블(C)의 대형화 및 장경간화에 따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을 통해 케이블(C)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1000)를 이용하여 케이블(C)을 포설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프레임부(100)를 설치한다. (S100)
여기서 프레임부(100)는 케이블(C) 포설이 이루어지는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한다. 이와 같은 프레임부(100)는 폭 및 높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프레임부(100)의 내부로 정렬되는 케이블 드럼(D)의 크기에 맞도록 프레임부(100)의 폭 및 높이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100)의 구체적인 설치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별도의 하차 작업없이 케이블 드럼(D)이 실린 트레일러 대차(1)를 프레임부(100)의 내부로 정렬시킨다. (S200)
다음으로, 트레일러 대차(1) 상에 안착된 케이블 드럼(D)을 언더 롤러부(500)가 회전시킨다. (S300)
다음으로, 케이블 드럼(D)으로부터 풀려지는 케이블(C)이 프레임부(100)에 구비된 트레버스부(200)를 통해 인출방향이 전환된다. (S400)
다음으로, 트레버스부(200)에 의해 인출방향이 전환된 케이블(C)이 트레버스부(200)의 후부에 배치된 케이블 선출부(300)로 공급된다. (S500)
마지막으로, 케이블 선출부(300)를 경유한 케이블(C)이 케이블 선출부(300)의 후부에 배치된 곡률 가이드부(400)를 통해 요구되는 장소로 공급된다. (S600)
여기서 언더 롤러부(500)에 의해 케이블 드럼(D)에 감겨진 케이블(C)이 풀려짐에 있어, 트레버스부(200)와 케이블 선출부(300) 및 곡률 가이드부(400)를 경유하는 케이블(C)의 단부는 맨홀 또는 전력구 내의 요구되는 장소에 구비된 윈치와 연결된 와이어를 통해 당겨질 수도 있다.
그리고 초기 프레임부(100)에 구비된 트레버스부(200)를 경유한 케이블(C) 단부는 연결 로프 등을 통해 안전하게 케이블 선출부(300) 및 곡률 가이드부(4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연결 로프는 트레버스부(200)에서 케이블 선출부(300)로 케이블(C)의 단부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케이블(C)의 단부가 현장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
그리고 케이블(C) 포설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장소로 케이블(C)을 안내하는 곡률 가이드부(400)가 설치된 이동차량(3)은 트레일러 대차(1)와의 미리 정해진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케이블(C)의 처짐을 방지하며 원활하게 요구되는 장소로 케이블(C)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이동차량(3)에는 곡률 가이드부(400)와 함께 케이블 선출부(300)도 함께 설치되어 있기에, 해당 장치의 배치 및 설치는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언더 롤러부(500)는 무선 조정장치를 통해 작동이 제어될 수도 있고, 프레임부(100)에 구비되는 조작부(미도시)를 통해 작동이 제어될 수도 있다. 여기서 조작부는 언더 롤러부(500)뿐만 아니라 케이블 선출부(300) 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언더 롤러부(500)와 케이블 선출부(300) 등의 작동은 상기에서 언급된 방법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를 참고하며, 프레임부(100)의 구체적인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물차 적재함(2)에 적재된 프레임부(100)를 케이블(C) 포설이 이루어지는 현장으로 이동시킨다. (S110)
다음으로, 프레임부(100)에 구비되는 제1 하차용 기둥부(150)와 제2 하차용 기둥부(160)의 길이 연장을 통해 제1 하차용 기둥부(150)는 노면에 지지 고정시키고, 제2 하차용 기둥부(160)는 노면에 접촉시킨다. (S120)
다음으로, 제2 하차용 기둥부(160)의 이동을 통해 프레임부(100)의 폭을 미리 정해진 폭으로 넓힌다. (S130)
이때, 프레임부(100)의 폭은 케이블 드럼(D)이 실린 트레일러 대차(1)가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정렬될 수 있도록 프레임부(100)의 폭 조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프레임부(100)의 폭이 넓혀진 상태에서 화물차를 이동시킨다. (S140)
다음으로, 프레임부(100)에 구비되는 제1 기둥부(111)의 내부에 수용된 제1 리프팅 프레임(113)과, 제2 기둥부(121)의 내부에 수용된 제2 리프팅 프레임(123)을 하부로 연장시키며, 프레임부(100)의 높이를 미리 정해진 높이로 조정한다. (S150)
이때, 프레임부(100)의 높이는 케이블 드럼(D)이 실린 트레일러 대차(1)가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정렬될 수 있도록 프레임부(100)의 높이 조정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제1 리프팅 프레임(113)과 제2 리프팅 프레임(123)이 노면에 지지 고정된 상태에서 제1 하차용 기둥부(150)와 제2 하차용 기둥부(160)를 원위치로 길이 조정을 한다. (S16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 방법은 케이블 드럼(D)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C)을 포설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케이블 포설 장치(1000)를 이용함으로써, 도로 점유 공간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케이블(C) 포설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트레일러 대차
2: 화물차 적재함
3: 이동차량
100: 프레임부
110: 제1 지지 프레임
111: 제1 기둥부
112: 제1 연결 프레임
113: 제1 리프팅 프레임
114: 안착 지지 프레임
115: 이동 레일부
120: 제2 지지 프레임
121: 제2 기둥부
122: 제2 연결 프레임
123: 제2 리프팅 프레임
130: 프레임 폭 조절부
140: 신축 조절부
150: 제1 하차용 기둥부
160: 제2 하차용 기둥부
200: 트레버스부
210: 몸체부
220: 가이드 롤러부
221: 방향 전환 가이드 롤러
222: 이탈 방지부재
230: 케이블 처짐 방지부
231: 회전축
232: 케이블 지지부재
300: 케이블 선출부
310: 측면 가압 롤러
320: 상부 가압 롤러
330: 구동모터
400: 곡률 가이드부
410: 케이블 받침 롤러
420: 곡률 프레임
430: 측면 이탈 방지 롤러
440: 상부 이탈 방지 롤러
500: 언더 롤러부
510: 언더 프레임
520: 드럼 거치 블럭
530: 드럼 리프트 잭
531: 드럼 회전롤러
540: 동력부
550: 고정 클램프
1000: 케이블 포설 장치

Claims (10)

  1. (A) 프레임부를 설치하는 단계;
    (B) 별도의 하차 작업없이 케이블 드럼이 실린 트레일러 대차를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로 정렬시키는 단계;
    (C) 트레일러 대차 상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 드럼을 언더 롤러부가 회전시키는 단계;
    (D) 상기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풀려지는 케이블이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된 트레버스부에 의해 인출방향이 전환되는 단계;
    (E) 상기 트레버스부에 의해 인출방향이 전환된 케이블이 상기 트레버스부의 후부에 배치된 케이블 선출부로 공급되는 단계; 및
    (F) 상기 케이블 선출부를 경유한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선출부의 후부에 배치된 곡률 가이드부를 통해 요구되는 장소로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버스부는 상기 케이블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인출되는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의 인출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인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A1) 화물차 적재함에 적재된 상기 프레임부를 케이블 포설이 이루어지는 현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A2)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제1 하차용 기둥부와 제2 하차용 기둥부의 길이 연장을 통해 상기 제1 하차용 기둥부는 노면에 지지 고정시키고, 상기 제2 하차용 기둥부는 노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 이후로,
    (A3) 상기 제2 하차용 기둥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의 폭을 미리 정해진 폭으로 넓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 이후로,
    (A4) 상기 프레임부의 폭이 넓혀진 상태에서 화물차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A5)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제1 기둥부의 내부에 수용된 제1 리프팅 프레임과, 제2 기둥부의 내부에 수용된 제2 리프팅 프레임을 하부로 연장시키며, 상기 프레임부의 높이를 미리 정해진 높이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5) 단계 이후로,
    (A6) 상기 제1 리프팅 프레임과 제2 리프팅 프레임이 노면에 지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차용 기둥부와 제2 하차용 기둥부를 원위치로 길이 조정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에서,
    상기 케이블 드럼이 실린 트레일러 대차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폭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트레버스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케이블의 인출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케이블 처짐 방지부는, 상기 트레버스부가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전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기준으로 펴진 상태를 이루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 처짐 방지부는 상기 트레버스부가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후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버스부와의 간섭 발생이 방지되도록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접힌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버스부의 후단부는 상기 케이블 선출부보다 더 높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선출부와 곡률 가이드부는 이동차량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KR1020190085869A 2019-07-16 2019-07-16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KR102029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869A KR102029182B1 (ko) 2019-07-16 2019-07-16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US16/682,736 US11305963B2 (en) 2019-07-16 2019-11-13 Cable laying method using cable laying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of cable
SG10201910893SA SG10201910893SA (en) 2019-07-16 2019-11-20 Cable laying method using cable laying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of cable
AU2019275536A AU2019275536B2 (en) 2019-07-16 2019-12-02 Cable laying method using cable laying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of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869A KR102029182B1 (ko) 2019-07-16 2019-07-16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182B1 true KR102029182B1 (ko) 2019-10-08

Family

ID=6820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869A KR102029182B1 (ko) 2019-07-16 2019-07-16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05963B2 (ko)
KR (1) KR102029182B1 (ko)
AU (1) AU2019275536B2 (ko)
SG (1) SG10201910893S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428U (ko) * 2020-08-11 2022-02-1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케이블 리프팅 및 권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6844S1 (en) * 2019-07-05 2021-08-03 Tai Han Electric Wire Co, Ltd. Cable laying apparatus
USD926845S1 (en) * 2019-07-23 2021-08-03 Tai Han Electric Wire Co., Ltd. Cable transfer apparatus
CA3092847A1 (en) * 2019-09-26 2021-03-26 Ty-Crop Manufacturing Ltd. Coiled tubing apparatus for oil and gas well operations
CN114314179B (zh) * 2021-12-20 2023-08-25 南京华尊电力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井道电缆线收放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374B1 (ko) * 2005-12-30 2006-08-09 주식회사 이피이 장조장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7221B1 (ko) * 2008-03-10 2008-11-06 주식회사 이피이 트레버스 해소장치를 이용한 장조장 포설 시스템
KR100903964B1 (ko) * 2009-03-16 2009-06-25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초고압케이블 멀티 대용량 포설 시스템
KR20130014108A (ko) * 2011-07-29 2013-02-07 한국전력공사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
KR20180035117A (ko) 2016-09-28 2018-04-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장치용 이동대차,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4999A (en) * 1981-04-20 1984-06-19 Woodruff Harold F Cable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US4789108A (en) * 1984-08-31 1988-12-06 Santa Fe International Corporation Multi-reel operational lines laying vessel
GB8507372D0 (en) * 1985-03-21 1985-05-01 Rinas D E Cable laying apparatus
US4890957A (en) * 1986-02-18 1990-01-02 Rinas David E Cable laying apparatus
US5641246A (en) * 1995-02-06 1997-06-24 Rinas; David Edward Cable laying apparatus
US5887815A (en) * 1997-11-03 1999-03-30 Pierce; Steve Cable winding device for electrically powered mining vehicles
IT1307190B1 (it) * 1999-05-03 2001-10-29 Cappellotto S P A Struttura di attrezzatura per lo svolgimento/avvolgimento di un tubodi aspirazione per espurgo pozzi neri fosse biologiche o simili.
DE19932756A1 (de) * 1999-07-14 2001-01-18 Micafil Ag Zuerich Kabelführungsvorrichtung
US6276503B1 (en) * 1999-12-08 2001-08-21 Donald J. Laughlin, Jr. Portable reel apparatus and method
WO2003104613A2 (en) * 2002-06-06 2003-12-18 Hill Gilman A Deep-well, continuous-coiled-tub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WO2005014457A2 (en) * 2003-07-11 2005-02-17 Engineered Suppor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 for the rapid deployment of piping
EP1668754A4 (en) * 2003-09-30 2009-04-08 Ib Supplies Pty Ltd APPARATUS FOR HANDLING CABLES
GB0918589D0 (en) * 2009-10-23 2009-12-09 Technip France Methods of reel-laying a mechanically lined pipe
US8613426B1 (en) * 2009-12-14 2013-12-24 L.E. Myers Co. Power line puller control package
DE102010012263B3 (de) * 2010-03-22 2011-07-28 Wafios AG, 72764 Vorrichtung zum Steuern des Antriebs einer Haspel
NO20110989A1 (no) * 2010-09-30 2012-04-02 Kongsberg Oil & Gas Technologies As Anordning og fremgangsmate for legging av et langstrakt element fra et fartoy
AU2012216815A1 (en) * 2012-09-13 2014-03-27 Louvix Pty Ltd A cable dispensing apparatus
AU2013231096B2 (en) * 2012-09-21 2016-08-25 Hull, Kerry Cable trailer
US10233063B2 (en) * 2015-03-20 2019-03-19 Tct Innovations Llc Filter tube installation apparatus
DE102016006275B3 (de) * 2016-05-25 2017-11-09 Karl Wiedemann Kanalreinigungsvorrichtung
WO2019089747A1 (en) * 2017-11-01 2019-05-09 Trinity Bay Equipment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reel of pipe
US20190237957A1 (en) * 2018-01-31 2019-08-01 Maritime Technology Inc. Power cord system and method
US20200048030A1 (en) * 2018-08-07 2020-02-13 Santa Fe Springs Winwater Works Inc. Coil whipline dispensing and recovery trailer
US11612095B2 (en) * 2019-07-18 2023-03-28 Roberts Welding & Fabricating Ltd. Removably mounted plow for elongated tubular materials
CA3092847A1 (en) * 2019-09-26 2021-03-26 Ty-Crop Manufacturing Ltd. Coiled tubing apparatus for oil and gas well opera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374B1 (ko) * 2005-12-30 2006-08-09 주식회사 이피이 장조장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7221B1 (ko) * 2008-03-10 2008-11-06 주식회사 이피이 트레버스 해소장치를 이용한 장조장 포설 시스템
KR100903964B1 (ko) * 2009-03-16 2009-06-25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초고압케이블 멀티 대용량 포설 시스템
KR20130014108A (ko) * 2011-07-29 2013-02-07 한국전력공사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
KR20180035117A (ko) 2016-09-28 2018-04-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장치용 이동대차,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428U (ko) * 2020-08-11 2022-02-1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케이블 리프팅 및 권취장치
KR200495646Y1 (ko) * 2020-08-11 2022-07-1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케이블 리프팅 및 권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275536A1 (en) 2021-02-04
SG10201910893SA (en) 2021-02-25
AU2019275536B2 (en) 2021-04-01
US20210016992A1 (en) 2021-01-21
US11305963B2 (en)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360B1 (ko)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KR102029182B1 (ko)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JP4614465B2 (ja) ロングレールを搬送しかつ降ろすための搬送車両および方法
US6640963B2 (en) Device for conveying massive objects, in particular metal reels
CN102834342B (zh) 桥式起重机
KR101804278B1 (ko) 사다리차 운반카의 각도 제어장치
JP3761265B2 (ja) 軌道の架空線架設機械
CN110775076B (zh) 缆索运输系统
JP4248171B2 (ja) 重量物送り出し用台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重量物の送り出し工法
CN101007538B (zh) 磁悬浮车的转辙装置
JP5999934B2 (ja) 固定循環式ゴンドラリフトの停留場構造
JPH1088992A (ja) 巻上装置
CN115333002A (zh) 一种电缆上架装置及方法
CN108820076A (zh) 一种简易高位轮胎快速安装工装
JP6865151B2 (ja) 重量物搬送台車
KR102010910B1 (ko)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JP4072109B2 (ja) トンネル工事設備のコンベア支持装置
EP4282729A1 (en) Shoe assembly for supporting at least a supporting cable of an aerial cable transportation system, aerial cable transportation system comprising such a shoe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aerial cable transportation system
KR20150024565A (ko) 코너링이 용이한 더블 훅 호이스트
KR102223449B1 (ko) 각도 변환 경사형 로프웨이 장치
JP5467806B2 (ja) 索条牽引式輸送設備
JPH081278Y2 (ja) 重量物運搬装置
JP7467732B1 (ja) 搬送装置
JP7467729B1 (ja) 搬送装置
JP7467728B1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