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595B1 -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 - Google Patents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595B1
KR102028595B1 KR1020170143037A KR20170143037A KR102028595B1 KR 102028595 B1 KR102028595 B1 KR 102028595B1 KR 1020170143037 A KR1020170143037 A KR 1020170143037A KR 20170143037 A KR20170143037 A KR 20170143037A KR 102028595 B1 KR102028595 B1 KR 102028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crew
housing
screw nut
operation block
nu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247A (ko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화
Priority to KR102017014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5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06Electric devices for operating points or scotch-blocks, e.g. using electromotive driving means
    • B61L5/065Construction of driving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4Elements essential to such mechanisms, e.g. screws,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블럭베이스의 전,후면부 사이에 수평을 유지하여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이 상기 감속기어부와 연결되는 동작블럭기어에 연결되는 볼스크류; 하측부에 베어링 결합부를 갖고, 하우징베어링이동홈 상기 볼스크류의 나사산에 치합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볼스크류너트하우징; 하측부에 베어링 결합부에 대응하는 하우징베어링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부가 고정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는 동작간;을 포함하는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MOTION BLOCK OF POINT MACHINE}
본 발명은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이 상기 감속기어부와 연결되는 동작블럭기어에 연결되는 볼스크류; 하측부에 베어링 결합부를 갖고, 하우징베어링이동홈 상기 볼스크류의 나사산에 치합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볼스크류너트하우징; 하측부에 베어링 결합부에 대응하는 하우징베어링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부가 고정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는 동작간;을 포함하는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로전환기는 선로의 분기부에 설치되어 기본레일에 가동레일을 이동시켜 열차의 진행방향을 바꾸어 주고, 선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후에는 그 상태를 유지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는 선로보안장치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등록특허 제0918371호는 열차 등이 안전하게 이동되기 위하여 선로를 확실하게 전환하고, 전환된 선로는 열차가 지나가는 동안 탈선하지 않도록 강력하게 고정되도록 전,후면마감판(311)(312), 좌,우측마감판(313)(314) 및 바닥판(315)으로 이루어진 내부함(310)과; 내부함(310)의 전,후면마감판(311)(312) 사이에 수평을 유지하여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그 일단이 기어장치(250)의 제4기어(257)에 축설된 수평스크류(320)와; 수평스크류(320)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고정되고, 양측의 쇄정수단(B)으로써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가이드 되는 동시에 이동 위치가 쇄정되는 이동수단(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수단(A)은 수평스크류(320)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이동나사(331)가 형성된 수평너트셋(330)과; 수평너트셋(330) 외주연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고, 좌우측면 양측에 안착단(341)이 형성된 이동블럭(340)과; 이동블럭(340)의 외주연에 고정되고, 내부함(310)의 바닥판(315)에 안착되어 이동블럭(34)과 동시에 이동하게 되며, 양측에 개구부(351)가 형성된 직육면체로 조립유지된 외측블럭(3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쇄정수단(B)은 내부함(310)의 좌,우측마감판(313)(314) 사이의 상부에 수평으로 대응되게 형성된 상부수평 가이드홈(360)과; 상부수평가이드홈(36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외측블럭(350)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이동블럭(340)의 전후이동을 가이드 하게 되는 수평가이드롤러(370)와; 이동블럭(340)의 전후측과 상부수평가이드홈(360) 하부 영역의 좌,우측마감판(313)(314) 사이에 구비되어 이동블럭(340)의 전후 이동을 쇄정하기 위한 쇄정부재(38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수평스크류의 이동시 직선운동에서 발생되는 유동을 억제하지 못해 선로전환기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수평스크류에 좌우 이동하는 이동블럭은 구조상 문제로 열차 등이 안전하게 이동되기 위하여 선로를 확실하게 전환하고, 전환된 선로는 열차가 지나가는 동안 탈선하지 않도록 강력하게 고정되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68589호 한국공개특허 제2004-0011511호 한국등록특허 제09183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평스크류에 좌우 이동하는 이동블럭은 구조상 문제로 열차 등이 안전하게 이동되기 위하여 선로를 확실하게 전환하고, 전환된 선로는 열차가 지나가는 동안 탈선하지 않도록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는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스크류의 이동시 직선운동에서 발생되는 유동을 억제하여 선로전환기의 신뢰도를 향상시킨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러치모터(230)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감속기어부(250)로부터 전달받아 구동암부(360)를 동작시키는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에 있어서,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이 상기 감속기어부(250)와 연결되는 동작블럭기어(305)에 연결되는 볼스크류(320); 하측부에 베어링 결합부(322a)를 갖고, 하우징베어링이동홈(343) 상기 볼스크류(320)의 나사산에 치합되어 상기 볼스크류(3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하측부에 베어링 결합부(322a)에 대응하는 하우징베어링이동홈(343)이 형성되고,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부가 고정된 회동축(341)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는 동작간(340);을 포함하되, 동작블럭베이스(310)의 좌,후면판(313, 314) 사이에 수평을 유지하여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볼스크류(320)의 상부로 교차되어 설치되고,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동작간(340)이 상부의 회동축(341)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동작블럭베이스(310)는 전, 후면부(311, 312), 좌, 후면판(313, 314) 및 바닥결합부(3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외함몸체(221)의 내부 우측의 바닥면에 볼트결합 되어 설치된다.
상기 회동축(341)의 일측에 결합되어 분기기용쇄정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암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볼스크류(320)는 직선운동 시 유동이 없도록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의 하부에 나란하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유동방지가이드(325)를 구비한다.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은 전후측에는 각각 하우징베어링(322)이 형성되고, 상기 동작간(340)의 양측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베어링(322)이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하우징베어링이동홈(343)이 형성되며,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동작간(340)이 좌우로 이동하는 구조이다.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은 좌우 회동이 완료되어 동작블럭베이스(310)의 전, 후면부(311, 312)에 닿을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핀(326)이 형성된 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기존과 다른 구조를 통해 선로를 확실하게 전환시킬 수 있고, 전환된 선로는 열차가 지나가는 동안 탈선하지 않도록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선운동에서 발생되는 유동을 억제하여 선로전환기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방지가이드가 볼스크류너트하우징을 안정되게 지지해 주고, 볼스크류너트하우징에 결합된 동작간이 안정되고 유연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볼스크류너트하우징이 좌우 회동이 완료되어 동작블럭베이스의 전, 후면부에 닿을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핀이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선로전환기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전환기를 구성하는 동작간과 볼스크류를 구성하는 부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로전환기를 구성하는 동작블럭, 동작간, 정지전환구동축, 스위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전환기를 구성하는 동작간과 볼스크류를 구성하는 부품의 평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로전환기를 구성하는 동작간의 세부적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로전환기를 구성하는 볼스크류를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전환기를 구성하는 구동암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로전환기를 구성하는 동작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선로전환기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전환기를 구성하는 동작간과 볼스크류를 구성하는 부품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로전환기를 구성하는 동작블럭, 동작간, 정지전환구동축, 스위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일반적으로 선로 전환기는 전환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과 전환력을 전달하는 전달원으로 크게 나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블록(300)은 동력을 구동암부(360)에 전달하는 전달원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300)은, 두랄루민, 슈퍼두랄루민, 철 등의 금속재료나, 강화플라스틱,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외함몸체(221)에 구성된다.
즉 상기 외함몸체(221)의 내부에는 클러치모터(230), 감속기어부(250), 동작블럭(300), 접점부(450), 수동전환장치부(280), 단자부(700)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전환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으로서 클러치모터(230)는 종류(단상 또는 삼상)에 따라 제어계전기(710)를 내장하여 제어하거나, 제어계전기(710)를 내장하지 않고 신호계전기실로부터 모터의 정, 역신호를 직접 받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모터(230)는 외함의 내부에 모터(231)와 클러치(232)를 동시에 내장하고, 클러치(232)는 자석클러치 타입으로 소형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전환력을 발생시키는 클러치모터(230)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고, 미도시된 제어계전기나 회로제어기를 통하여 회전 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클러치 일체 모터는, 외함몸체(221) 내부에 장착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정, 역회전하여 동력을 발생하되, 모터(231)와 클러치(232)가 일체로 형성된 클러치모터(230); 상기 클러치모터(230)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어부(250);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어부(250)에 연결되어 클러치모터(23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볼스크류(320), 상기 볼스크류(3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가 고정된 회동축(341)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는 동작간(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작블럭(300)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전환기를 구성하는 동작간과 볼스크류를 구성하는 부품의 평면도이고, 도 5와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로전환기를 구성하는 동작간의 세부적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로전환기를 구성하는 볼스크류를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전환기를 구성하는 구동암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블럭(300)에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볼스크류(320; 도 8)는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과 결합된다.
상기 볼스크류(3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볼스크류(320)의 나사산에 치합된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이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이 좌우로 이동하게 되면 동작간(340)이 상부의 회동축(341)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 가능하다.
상기 볼스크류(320)는 직선운동 시 유동이 없도록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의 하부에 나란하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2개의 유동방지가이드(325)를 구비한다.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은 좌우방향으로 상기 볼스크류(320)가 관통하여 나사산에 의해 치합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유동방지가이드(325)가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을 안정되게 지지해 주고,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에 결합된 동작간(340)이 안정되고 유연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은 전후측에는 각각 하우징베어링(322)이 형성되고, 상기 동작간(340)의 양측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베어링(322)이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하우징베어링이동홈(343; 도 7)이 형성되어,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동작간(340)이 좌우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하우징베어링(322)은 도 2에서처럼 베어링(322b), 베어링(322b)을 보호하는 베어링커버(322c)로 나뉘어 상기 베어링(322b)이 베어링 결합부(322a)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베어링(322)이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하우징베어링이동홈(343)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 1과 도 10의 접점부(450)는 동작간(340)의 좌우 양단 부분에 각각 설치되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 도 2)이 좌우로 이동시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의 전면과 후면의 좌우측에 형성된 접점캠구동편(323)에 의해 접점부구동레버(452; 도 10)가 구동하여 작동된다.
여기에서 상기 접점부(450)는 육각봉인 접점부축(451)에 접점캠구동편(323; 도 2)과 일치되는 위치에 접점부구동레버(452)가 체결되고, 상기 접점부구동레버(452)의 양측에 스위치구동캠(453a)이 결합된다.
도 10의 접점부축(451)의 전단에는 상기 클러치모터(230)를 정지시키기 위한 접점부구동기어(455)가 결합되고, 양쪽에 설치된 상기 접점부구동기어(455)는 피니언기어(477) 및 레크기어(470)에 의해 상호 연동되어 작동된다.
한편 도 5에서처럼 본 발명은 전, 후면부(311, 312), 좌, 후면판(313, 314) 및 바닥결합부(3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외함몸체(221)의 내부 우측의 바닥면에 볼트결합 되어 설치되는 동작블럭베이스(3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은 좌우 회동이 완료되어 동작블럭베이스(310)의 전,후면부(311, 312)에 닿을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핀(326; 도 2)이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오크센서(350)의 축과 일치되는 상기 외함몸체(221)의 외측에 구동암축베어링하우징(361)이 결합되고, 상기 구동암축베어링하우징(361)의 내측에는 구동암브라켓 체결부재(363a), 구동암브라켓베어링(363b), 스냅링(363c), 오링(363d), 구동암 브라켓(363) 순으로 결합되고, 상기 구동암 브라켓(363)의 외측에는 구동암(365)이 구동암 커버(369)에 의해 나사 결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점부(450)는 동작간(340)의 좌우 양단 부분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이 좌우로 이동시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의 전면과 후면의 좌우측에 형성된 접점캠구동편(323)에 의해 접점부구동레버(452)가 구동하여 작동된다.
상기 접점부(450)는 육각봉인 접점부축(451)에 상기 접점캠구동편(323)과 일치되는 위치에 접점부구동레버(452)가 체결되고, 상기 접점부구동레버(452)의 양측에 스위치구동캠(453a)이 결합된다.
상기 스위치구동캠(453a)의 작동에 의해 표시회로 스위치(453, 453b)와 모터전원 스위치(453c)를 작동된다.
상기 접점부축(451)의 전단에는 상기 클러치모터(230)를 정지시키기 위한 접점부구동기어(455)가 결합되고, 양쪽에 설치된 상기 접점부구동기어(455)는 피니언기어(477) 및 래크기어트랙(480)에 올려진 레크기어(470)에 의해 상호 연동되어 작동된다.
상기 피니언기어(477) 중 좌측의 피니언 기어축에는 브레이크구동캠연결축(477a)이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구동캠연결축(477a)에는 클러치모터(230)의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구동캠이 결합된다.
221 : 외함몸체
230 : 클러치모터
231 : 모터
232 : 클러치
250 : 감속기어부
280 : 수동전환장치부
300 : 동작블럭
305 : 동작블럭기어
310 : 동작블럭베이스
311,312 : 전,후면부
313,314 : 좌,우측부
315 : 바닥결합부
320 : 볼스크류
321 : 볼스크류너트하우징
322 : 하우징베어링
322a : 베어링 결합부
322b : 베어링
322c : 베어링커버
323 : 접점캠구동편
325 : 유동방지가이드
326 : 완충핀
340 : 동작간
341 : 회동축
343 : 하우징베어링이동홈
350 : 토크센서(외측블럭)
360 : 구동암부
361 : 구동암축베어링하우징
363 : 구동암 브라켓
363a : 구동암브라켓 체결부재
363b : 구동암브라켓베어링
363c : 스냅링
363d : 오링
365 : 구동암
369 : 구동암커버
450 : 접점부
452 : 접점부구동레버
451 : 접점부축
453a : 스위치구동캠
455 : 접점부구동기어
477 : 피니언기어
470 : 레크기어
453, 453b : 스위치
453c : 모터전원 스위치
480 : 래크기어트랙
477a : 브레이크구동캠연결축
700 : 단자부
710 : 제어계전기

Claims (6)

  1. 모터(231)와 클러치(232)를 동시에 내장하는 전환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으로서 단상 또는 삼상에 따라 제어계전기(710)를 내장하여 제어하거나, 제어계전기(710)를 내장하지 않고 신호계전기실로부터 모터의 정, 역신호를 직접 받아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클러치모터(230);
    상기 클러치모터(230)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어부(250);
    구동암부(360)를 동작시키는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이 상기 감속기어부(250)와 연결되는 동작블럭기어(305)에 연결되는 볼스크류(320);
    하측부에 베어링 결합부(322a)를 갖고, 하우징베어링이동홈(343) 상기 볼스크류(320)의 나사산에 치합되어 상기 볼스크류(3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
    하측부에 베어링 결합부(322a)에 대응하는 하우징베어링이동홈(343)이 형성되고,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부가 고정된 회동축(341)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는 동작간(340);
    상기 회동축(341)의 일측에 일측이 결합되는 토크센서(350);
    상기 회동축(341)의 일측에 결합되어 분기기용쇄정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암부(360);
    상기 동작간(340)의 좌우 양단 부분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이 좌우로 이동시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의 전면과 후면의 좌우측에 형성된 접점캠구동편(323)에 의해 접점부구동레버(452)가 구동하여 작동되는 접점부(450);을 포함하되,
    상기 클러치모터(230)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어부(250)에 연결되어 클러치모터(23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볼스크류(3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가 고정된 회동축(341)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는 동작간(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작블럭(300)에 연결되어 구성되고,
    동작블럭베이스(310)의 좌,후면판(313, 314) 사이에 수평을 유지하여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볼스크류(320)의 상부로 교차되어 설치되고,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동작간(340)이 상부의 회동축(341)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블럭베이스(310)는 전, 후면부(311, 312), 좌, 후면판(313, 314) 및 바닥결합부(3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외함몸체(221)의 내부 우측의 바닥면에 볼트결합 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크류(320)는 직선운동 시 유동이 없도록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의 하부에 나란하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유동방지가이드(32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은 전후측에는 각각 하우징베어링(322)이 형성되고, 상기 동작간(340)의 양측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베어링(322)이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하우징베어링이동홈(343)이 형성되며,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동작간(340)이 좌우로 이동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크류너트하우징(321)은 좌우 회동이 완료되어 동작블럭베이스(310)의 전, 후면부(311, 312)에 닿을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핀(3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
KR1020170143037A 2017-10-31 2017-10-31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 KR102028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037A KR102028595B1 (ko) 2017-10-31 2017-10-31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037A KR102028595B1 (ko) 2017-10-31 2017-10-31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247A KR20190048247A (ko) 2019-05-09
KR102028595B1 true KR102028595B1 (ko) 2019-10-04

Family

ID=6654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037A KR102028595B1 (ko) 2017-10-31 2017-10-31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769B1 (ko) 2020-06-04 2020-11-02 주식회사 세화 네오디뮴 자석을 이용한 선로전환기의 클러치 일체 모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371B1 (ko) * 2009-03-19 2009-09-21 주식회사 세화 선로전환 구동시스템
JP4974229B2 (ja) * 2007-03-28 2012-07-11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電気転てつ機の動作桿転換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25617A1 (de) 2001-12-07 2002-12-05 Sobolewski Walter Kombifahrzeug zur Nutzung unterschiedlicher Fahrwege
KR100671706B1 (ko) 2004-12-16 2007-01-19 주식회사 세화 선로 변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4229B2 (ja) * 2007-03-28 2012-07-11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電気転てつ機の動作桿転換機構
KR100918371B1 (ko) * 2009-03-19 2009-09-21 주식회사 세화 선로전환 구동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769B1 (ko) 2020-06-04 2020-11-02 주식회사 세화 네오디뮴 자석을 이용한 선로전환기의 클러치 일체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247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2596B2 (en) Gear mechanism and drawer drive device in refrigerator
KR101852776B1 (ko) 선로전환기
MXPA06012082A (es) Maquina de cambios.
KR102028595B1 (ko) 선로 전환기 동작 블록
JP6109866B2 (ja) 転落防止装置
JP2018518411A (ja) 走行レンジ選択レバーのポジションを検知するための装置、並びに自動車
CN102543512B (zh) 电源转换开关的操作机构
CN109578567A (zh) 一种电子换挡器
CN205753136U (zh) 一种底盘车联锁装置及断路器
KR102063122B1 (ko) 선로 전환기용 브레이크
CN208734856U (zh) 一种换挡装置
CN208202887U (zh) 一种轨道电路设备
KR102027241B1 (ko) 선로전환기의 클러치 일체 모터
JP5432229B2 (ja) 転てつ機
KR101186340B1 (ko) 선박원격제어장치
CN210990383U (zh) 行走系统及医疗设备
CN207889868U (zh) 一种agv定向脚轮模式切换装置
CN112563954B (zh) 一种高压开关手车智能运检装置
KR101819559B1 (ko) 트램 분기기용 선로전환장치
KR100586155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자동 개폐 구동 장치
CN114131097B (zh) 一种双切刀移刀装置
CN105545938A (zh) 一种操作控制系统
CN211366116U (zh) 旋转托盘
CN216867476U (zh) 新型换挡执行器
CN211604959U (zh) 双电源转换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