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360B1 - 2차 전지의 외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2차 전지의 외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360B1
KR102028360B1 KR1020180058895A KR20180058895A KR102028360B1 KR 102028360 B1 KR102028360 B1 KR 102028360B1 KR 1020180058895 A KR1020180058895 A KR 1020180058895A KR 20180058895 A KR20180058895 A KR 20180058895A KR 102028360 B1 KR102028360 B1 KR 102028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transfer
modu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휴비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비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비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8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6Inspect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obj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 검사의 대상이 되는 2차 전지를 이송받아 제1 검사위치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모듈, 하나의 열에 배치된 복수의 2차 전지의 옆면을 검사하는 제1 검사모듈, 옆면 검사를 마친 복수의 2차 전지가 하나의 행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전지를 정렬하는 정렬부, 정렬부로부터 하나의 행으로 정렬된 복수의 2차 전지를 이송받아 제2 검사위치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모듈 및 제2 검사위치에서 2차 전지의 밑면을 검사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검사모듈을 포함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 외관 검사장치는 전지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2차 전지의 외관 검사장치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OF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2차 전지의 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2차 전지의 옆면 및 상하면의 양품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외관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2차 전지는 전자제품 및 전기차 등의 방대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제품의 수요가 급성장하여 대량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2차 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 및 분리막을 함께 말아 전극구조체를 형성하여 형성되며, 최종적인 형상에 대응하여 최초 소재를 마는 형상이 결정된다. 전극구조체는 금속 하우징으로 외부가 감싸지는 공정을 거치게 되며, 내부의 전해질이 충전되어 완성된다.
2차 전지의 검사 중 외관검사에는 2차 전지의 외면을 카메라 영상으로 확인하여 불량품을 선별해내는 외관검사를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2차 전지의 외관검사 장치에 대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28303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2차 전지를 개별적으로 검사하여 2차 전지의 외관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28303호(2017.04.19.)
본 발명은 종래의 2차 전지 검사장치의 낮은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2차 전지 외관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외관 검사의 대상이 되는 2차 전지를 이송받아 제1 검사위치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모듈, 직렬방향의 한 줄로 배치된 복수의 2차 전지의 옆면을 검사하는 제1 검사모듈, 옆면 검사를 마친 복수의 2차 전지를 병렬방향의 한 줄로 정렬시켜 복수의 2차 전지를 이송받아 제2 검사위치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정렬이송부 및 제2 검사위치에서 2차 전지의 양측 밑면을 검사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검사모듈을 포함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정렬이송부는 1차 검사모듈을 통과한 복수의 2차 전지를 직렬방향의 한 줄에서 병렬방향의 한 줄로 정렬시키는 정렬부 및 병렬 방향으로 정렬된 2차 전지가 제2 검사위치를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2차전지를 이송하는 제2 이송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검사모듈로부터 검사를 마친 복수의 2차 전지 각각을 시간차를 두어 정렬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선택이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이송부는 회전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2차 전지를 이송할 수 있도록 옆면에 길이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이격되며 각각 하나씩의 전지가 적재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지 적재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송 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이송부는 2차 전지가 전지 적재 홈에 적재된 상태로 이송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 2차 전지가 전지 적재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송 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이송 드럼의 외면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이송 드럼은 2차 전지의 중심축과 이송 드럼의 회전중심축이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검사모듈이 2차 전지의 옆면을 검사하는 제1 검사위치는 2차 전지가 이송 드럼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는 이송 드럼의 외면과 접촉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드럼은 복수의 2차 전지가 전지 적재 홈에 적재되기 전 이송 드럼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이송 드럼의 옆면이 2차 전지의 옆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이송 드럼은 복수의 전지 적재 홈이 이송 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내에 형성되며, 이송 드럼의 외면 중 전지 적재 홈이 형성되지 않은 외면의 호의 길이는 2차 전지의 외면의 1배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검사모듈은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조명부를 포함하며, 광이 조사된 상태에서 2차 전지 옆면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영상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조명부는 서로다른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두 개의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송 드럼은 상기 두 개의 조명부를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조사되는 3가지 조합의 빛을 조사하여 각각 옆면 전체를 검사할 수 있도록 2차 전지를 제1 검사위치에서 3회 이상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 드럼은 전지 적재 홈이 형성되지 않은 외면의 호의 길이는 2차 전지의 둘레의 길이에 3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이송모듈로부터 직렬방향의 한 줄을 이송 드럼으로 선택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정렬부는 2차 전지가 적재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컨베이어 밸트 및 제2 컨베이어 밸트 상에 적재된 2차 전지를 병렬방향의 한 줄로 정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정렬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정렬구동부는 제2 컨베이어 밸트 상에 적재된 2차 전지를 2차 전지의 길이방향으로 밀어내어 병렬방향 한 줄로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베이어 밸트는 정렬구동부의 구동시 적재되어 있는 2차 전지가 제2 컨베이어 밸트와의 상대적이 이동이 폭 방향으로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컨베이어 적재 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정렬모듈은 2차 전지의 양 밑면을 검사할 수 있도록 제2 이송모듈에 적재된 2차 전지의 진행방향의 양측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검사모듈은 밑면에 조사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조사광이 조사된 밑면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영상획득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검사모듈의 조명부는 제2 검사위치에서 서로 다른 각도로 조사광을 밑면에 조사할 수 있는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2차 전지의 외관이 불량인 경우 제2 이송모듈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되는 불량 배출 유닛 및 제1 검사모듈 및 제2 검사모듈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불량으로 판단되는 2차 전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불량 배출 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 외관 검사장치는 전지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단위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이송 드럼 부분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이송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검사모듈의 검사 개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검사모듈의 검사 개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차 전지 외관 검사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2차전지가 정렬되는 방향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정렬되는 방향이 ‘직렬방향’, 폭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정렬되는 방향이 ‘병렬방향’임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단위모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1)의 외관 검사 장치(10)는 제1 이송모듈(100), 제1 검사모듈(200), 선택이송부(미도시), 정렬부(400), 제2 이송모듈(500), 제2 검사모듈(600) 및 불량 배출유닛(7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모듈은 복수의 2차 전지의 옆면검사 및 밑면의 검사를 수행하며, 검사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옆면과 밑면의 검사시 복수의 전지를 동시에 검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각각 옆면과 밑면의 검사를 수행할 때에 동시에 검사하기 위한 정렬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므로 이를 정렬하기 위하여 선택이송부 및 정렬부가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의 이송 드럼 부분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5는 제1 실시예의 이송 드럼의 사시도이다.
제1 이송모듈(100)은 외부 하우징으로 실링된 2차 전지(1)를 로더부로부터 제1 검사모듈(200)까지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이송모듈(100)은 제1 컨베이어 밸트(110), 롤러(120), 모터 및 스토퍼(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 밸트(110)는 상측으로 다수의 전지를 지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이송모듈(100)은 제1 컨베이어 밸트(110)를 구동할 수 있도록 롤러(120) 및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이송모듈(100)은 2차 전지(1)가 공급되는 복수의 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라인은 2차 전지(1)가 연속적으로 나란하게 이동하는 하나의 열을 뜻한다. 하나의 공급라인에는 복수의 2차 전지(1)가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밀착되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공급라인에는 병렬배열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이송모듈(100)에는 복수의 공급라인이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4개의 공급라인 각각에서 동시에 2차 전지(1)를 제1 검사모듈(2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스토퍼(130)는 제1 이송모듈(100)의 끝단에 구비되어 전지를 선택적으로 공급을 중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1 검사모듈(200)의 검사위치인 제1 검사위치(I1)에 있는 2차 전지(1)가 모두 다음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추가적인 전지의 공급을 차단한다. 스토퍼(13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전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스토퍼(130)를 구동하는 별도의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검사모듈(200)은 제1 조명부(210), 제2 조명부(220), 제1 영상획득부(230) 및 지지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검사모듈(200)은 복수의 조명부가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조사광을 조사하여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영상획득부(230)는 제1 검사위치(I1)에서 회전하는 전지의 외면을 검사할 수 있도록 비전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240)는 제1 검사위치(I1)에 4개의 전지가 위치된 경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지를 지지하며, 검사시 전지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지와 접촉되는 아이들(idle) 롤러(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제1 검사모듈(200)에 대하여는 차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선택이송부는 직렬방향의 한줄로 배치된 2차 전지를 각각 선택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선택이송부는 시간차를 두어 정렬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시간차를 두어 정렬부로 이송하는 경우 컨베이어 적재 홈 각각에 하나씩의 2차 전지가 적재될 수 있다. 즉 복수의 2차 전지를 한 줄의 직렬 배치에서 한 줄의 병렬 배치로 변환하기 위해 시간차를 두어 전지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선택이송부는 예를 들어 이송 드럼(300)과 가이드(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다시 살펴보면 이송 드럼(300)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이송 드럼(300)은 제1 검사모듈(200)로부터 배출되는 전지를 제2 이송모듈(500)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검사위치(I1)에서 검사가 끝난 전지는 제2 검사모듈(600)에서 밑면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열을 병렬로 변환시켜야 한다. 이송 드럼(300)은 이를 위한 기초적인 위치조정을 수행하도록 하나의 열에 복수의 전지가 배치된 배열에서 제2 컨베이어 밸트 홈(411)에는 하나의 전지가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송 드럼은 검사위치(I1)에 있는 복수의 전지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4개의 전지의 길이를 합친 길이보다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송 드럼의 외면에는 전지가 각각 수용될 수 있도록 전지 적재 홈(320)이 구비될 수 있다. 전지 적재 홈(320)은 드럼이 회전암에 따라 하나씩 일정한 간격으로 제1 검사위치(I1)로부터 제2 이송모듈(500)까지 전지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드럼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지 적재 홈(320)은 이송 드럼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있으며, 이송 드럼의 회전방향으로도 각각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드럼이 회전하면, 한 줄의 직렬배열로 배치되어 있던 복수의 2차 전지는 이송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지 적재 홈(320)에 적재되어서 이동된다. 복수의 2차 전지가 드럼으로부터 이탈할 때에도 이송 드럼에 적재된 순서대로 이탈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전지 적재 홈(320)은 드럼의 서로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드럼에 형성된 전지 적재 홈(320)의 개수는 공급라인의 수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라인이 8개로 구성된 경우 드럼에 형성된 전지 적재 홈(320)은 8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송 드럼에 형성된 전지 적재 홈(320)에는 진공구멍이 형성되어 음압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송 드럼의 회전이세 전지가 전지 적재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송 드럼(300)은 제1 검사모듈(200)에서 전지의 옆면을 검사하는 제1 검사위치(I1)가 이송 드럼(300)의 외면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나타난 드럼의 12시 방향이 제1 검사위치(I1)가 될 수 있다. 제1 검사위치(I1)가 드럼의 외면으로 설정되므로,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서 제1 검사위치(I1)에 배치되어 있는 전지들도 함께 회전이 이루어진다. 즉 드럼은 제1 검사위치(I1)에 안착된 전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의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라인 검사가 끝난 전지를 개별적으로 시간을 두어 이송시킬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게 된다. 드럼의 크기는 드럼의 외면 중 전지 적재 홈(3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둘레의 길이(L)가 제1 검사위치(I1)에 있는 전지의 3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지의 둘레(ℓ)의 3배 이상이 되도록 적절한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전지 적재 홈(320)에는 전지가 적재되었을 때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진공포트가 형성되어 전지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이송 드럼(300)의 재질은 전지의 이송시에 전지에 파손이나 흠집과 같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도가 낮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310)는 이송 드럼(300)의 전지 적재 홈(320)을 따라 전지가 이동될 때 드럼의 외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전지를 드럼의 회전중심축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정렬부(400)는 제1 검사위치(I1)에서 직렬방향으로 배치되었던 복수의 2차 전지(1)를 병렬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정렬부(400)는 제2 컨베이어 밸트(410)와 정렬구동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 밸트(410)는 전술한 이송 드럼(300)으로부터 이송받은 2차 전지(1)를 제2 검사모듈(600)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정렬부(400)는 적재된 2차 전지(1)를 제2 검사모듈(600)로 이송함과 동시에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 밸트(410)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어 전지가 적재될 수 있도록 제2 컨베이어 적재 홈(411)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 적재 홈(411)은 2차전지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전지가 적재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2를 살펴보면 4개의 전지가 길이방향으로 적재 가능한 폭으로 구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일 뿐, 제1 검사모듈(200)에서 한번에 검사할 수 있는 개수의 전지를 적재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렬부(400)에는 이송 드럼(300)에 의하여 시간의 순서를 두어 배출된 복수의 2차 전지(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나의 열에 하나의 전지가 배치되어 있으나, 도 2와 같이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규칙적으로 산개되어 운송된다. 정렬부(400)에서는 산개된 복수의 전지(1)를 병렬방향의 하나의 열로 정렬될 수 있도록 산개되어 있는 전지의 위치가 조정된다. 정렬부(400)는 제2 컨베이어 밸트(410)가 구동되어 제2 검사모듈(600) 측으로 전지가 이동됨에 따라 산개되어있는 전지를 병렬방향으로 나란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정렬구동부(420)가 구비될 수 있다. 정렬구동부(420)는 복수의 전지를 단계적으로 밀어 정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4개의 열로 산개되어 전지가 배치된 경우 정렬구동부(400)는 3개의 전지를 밀어내어 하나의 열로 정렬한다. 다만 정렬구동부(420)의 구성은 일 예일 뿐, 하나의 열로 정렬하기 위한 다양한 위치 및 다양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상에서 전지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정렬이 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다양한 위치로 정렬시키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이송모듈(500)은 정렬부(400)로부터 병렬방향의 하나의 열로 정렬된 전지를 인계받고 제2 검사모듈(600) 및 불량 배출유닛(700)을 통과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이송모듈(500)은 제3 컨베이어 밸트(510) 및 제2 이송모듈 구동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 컨베이어 밸트(510)는 제1 이송모듈(100)과 달리 제2 검사모듈(600)에서 2차 전지(1)의 밑면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하나의 행으로 정렬된 상태로 전극일 이송시킨다. 복수의 전극이 복수의 제2 검사모듈(600)의 검사위치인 제2 검사위치(I2)로 각각 이송될 수 있도록 제3 컨베이어 밸트(510)에는 제3 컨베이어 적재 홈(5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송모듈 구동부(520)는 제3 컨베이어 밸트(510)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2 검사모듈(600) 및 불량 배출유닛(700)의 구동과 연계되어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이송모듈(5)은 구동부가 스텝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컨베이어 밸트(510)에 적재된 전지가 이동하여 제2 검사위치(I2)에 정렬이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복수의 제3 컨베이어 적재 홈(5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컨베이어 적재 홈은 복수의 제2 검사모듈(600)의 이격거리를 고려하여 전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적절한 거리를 두어 제3 컨베이어 밸트(510) 상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검사모듈(600)은 2차 전지(1)의 밑면을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제2 검사모듈(600)은 제2 영상획득부(620) 및 제3 조명부(6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검사모듈(600)은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 하나의 전극을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검사모듈(600)은 전극의 상측과 하측의 원형 단면인 밑면을 각각 측정할 수 있도록 제2 이송모듈(500)의 양측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밑면을 검사하는 제2 검사모듈(600)이 3개, 하측 및면을 검사하는 제2 검사모듈(600)이 3개로 구비되어 한번에 3개의 전극을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 제2 검사모듈이 상측과 하측을 각각 검사하는 모듈이 1 개 내지 3개로 구성되어 한번에 1개 내지 3개의 전극을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부는 제1 이송모듈(100)의 이송속도, 스토퍼(130)의 구동 및 제1 검사모듈(200)의 동작을 연동하여 제어한다. 또한 제1 검사모듈(200)의 동작과 이송 드럼(300)의 동작을 연동하여 제어한다. 그리고 제2 이송모듈(500)과 제2 검사모듈(600) 및 불량 배출유닛(700) 의 동작을 연계하여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는 제1 검사모듈(200) 및 제2 검사모듈(600)로부터 불량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전지가 불량 배출 트레이(711)로 배출될 수 있도록 불량 배출 유닛(7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6은 제1 검사모듈(200)의 검사 개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검사모듈(200)은 원통형 2차 전지(1)의 옆면, 즉 원형으로 말아진 둘레방향의 외면을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검사모듈(200)은 제1 조명부(210), 제2 조명부(220), 제1 영상획득부(230) 및 지지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검사모듈(200)에는 제1 이송모듈(100)으로부터 공급된 복수의 전지가 직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개의 2차 전지(1)가 직렬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1 검사모듈(200)은 하나의 열로 배치된 복수의 2차 전지(1), 예를 들어 4개의 2차 전지(1)를 동일선상으로 설정되는 제1 검사위치(I1)에 배치하여 회전시켜가면서 옆면의 불량을 검사한다. 구체적으로 찌그러짐, 돌출 및 스크래치 등의 외면적인 불량을 검사하며, 조명을 조사한 뒤 소정영역을 촬영하는 비전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제1 검사모듈(200)은 하나의 배터리 둘레 전체를 검사할 수 있도록 제1 검사위치(I1)에 안착된 전지를 회전시켜가면서 검사를 수행한다. 한편, 제어부는 불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전지에 대하여 차후 불량 배출유닛(700)을 이용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해당 전극의 위치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검사모듈(200)은 복수의 전지에 대하여 동시에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지, 예를 들어 직렬로 배치된 4개의 전지에 동일한 조명으로 조사광이 조사되며, 비전 카메라로 조사된 옆면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번의 제1 검사모듈(200)의 사이클(cycle)에서 복수의 전지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전지를 동시에 회전시켜가면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검사모듈(200)은 광 단면이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옆면의 외부 접선에 대하여 표면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전지를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가며 옆면을 지속적으로 검사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2차전지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동시에 회전하면서 옆면이 검사될 수 있도록 각각의 2차 전지는 길이방향의 중심축이 서로 동일한 위치에서 검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7은 제2 검사모듈(600)의 검사 개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조명부(610)는 복수의 발광부가 구비되 다양한 각도에서 검사 표면에 조사광이 조사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2차 전지(1)의 검사표면은 원형으로 구성된 밑면(A2), 즉 상면과 하면이다. 도 7 (b)에는 다양한 각도에서 조사광을 조사하여 획득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복수의 조명 및 전지의 밑면을 향하여 제2 영상획득부(621)가 구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제2 검사모듈(600)은 복수의 발광부(611) 중 하나 이상의 발광부(611)를 선택하여 다양한 각도의 광을 선택적 또는 조합하여 조사면적을 비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사대상 면적에 원주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발광부가 구비되어 선택적 또는 전체 조명을 이용하여 불량여부를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제2 실시예의 부분확대도이며, 이송 드럼(600) 및 제1 검사모듈(200) 부분의 측면도가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검사모듈(200)은 이송 드럼(300)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검사모듈(200)은 제1 이송모듈(100)로부터 하나의 열로 복수의 전지를 이송받으며, 제1 검사위치(I1)에서 검사를 마친 후 슬로프(140)를 이용하여 이송 드럼(300)으로 복수의 전지를 전달하게 된다. 이송 드럼(300)은 회전하면서 전지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제2 이송모듈(500)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우, 제1 검사모듈(200)의 검사시 전지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회전 롤러(250)가 별도로 구비되므로 이송 드럼(300)에서 전지의 회전을 위한 면적이 불필요하여 이송 드럼(3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거나 새로운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이송모듈(100)이 두 개로 구성되어 전지를 이송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이송모듈(100)은 한 열에 각각 4개씩 전지를 정렬하여 이송하게 되며 한 열에는 최종적으로 8개의 전지가 배열되어 공급된다.
제1 검사모듈(200)은 복수로 구성되어 각각 8개의 전지 중 일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송 드럼(300)은 제1 검사모듈(200)로부터 검사를 마친 8개의 전지를 순차적으로 제2 이송모듈(50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외면에는 8개의 전지 적재 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검사모듈(600)은 제1 실시예보다 넓게 산개되어 있는 전극을 병렬방향의 한 줄로 정렬할 수 있도록 정렬부(400)가 구비된다. 또한, 제2 컨베이어 밸트(4110)의 양측으로부터 중심측으로 전극을 모아올 수 있도록 정렬구동부(420)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8개의 전극의 개수는 일 예일 뿐 제1 검사모듈(200)의 전극 검사 가능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제2 검사모듈(600)의 검사 처리속도를 반영하여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정렬부와 제2 이송모듈(500)이 하나로 구성되어 정렬과 이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정렬이송부로 기능하는 구성으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제2 이송모듈(500)이 구비되며, 제2 검사모듈(600)은 각각의 제2 이송모듈(500)에 구비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우 전지의 밑면의 검사를 2 way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어 복수의 전지에 대한 밑면 검사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같은 경우 제1 검사모듈(200) 및 정렬에 소요되는 시간과 제2 검사모듈(200)에서 소요되는 시간의 차이를 최소화 하여 효율적으로 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10)는 옆면검사와 상하면 검사에 따른 전극의 배율을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전지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원통형 2차 전지
A1: 옆면
A2: 밑면
I1: 제1 검사위치
I2: 제2 검사위치
10: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100: 제1 이송모듈
110: 제1 컨베이어 밸트
120: 롤러
130: 스토퍼
140: 슬로프
200: 제1 검사모듈
210: 제1 조명부
220: 제2 조명부
230: 제1 영상획득부
240: 지지부
250: 회전 롤러
300: 이송 드럼
310: 가이드
320: 전지 적재 홈
400: 정렬부
410: 제2 컨베이어 밸트
411: 제2 컨베이어 정렬 홈
420: 정렬구동부
500: 제2 이송모듈
510: 제3 컨베이어 밸트
511: 제2 컨베이어 정렬 홈
520: 롤러
600: 제2 검사모듈
610: 조명부
611: 발광부
620: 제2 영상획득부
700: 불량 배출 유닛
711: 불량 배터리 트레이

Claims (20)

  1. 외관 검사의 대상이 되는 2차 전지를 이송받아 제1 검사위치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모듈;
    직렬방향의 한 줄로 배치된 복수의 2차 전지의 옆면을 검사하는 제1 검사모듈;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검사모듈에서 검사되는 직렬방향의 한 줄로 배치된 복수의 2차 전지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송 드럼;
    상기 이송 드럼으로부터 이송받은 상기 복수의 2차 전지를 병렬방향의 한 줄로 정렬시켜 복수의 2차 전지를 이송받아 제2 검사위치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렬이송부; 및
    상기 제2 검사위치에서 상기 2차 전지의 양측 밑면을 검사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검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 드럼은 회전함에 따라 옆면 검사를 마친 상기 복수의 2차 전지를 개별적으로 상기 정렬이송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전지 적재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이송부는,
    상기 제1 검사모듈을 통과한 상기 복수의 2차 전지를 직렬방향의 한 줄에서 병렬방향의 한 줄로 정렬시키는 정렬부; 및
    상기 병렬 방향으로 정렬된 2차 전지가 상기 제2 검사위치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2차전지를 이송하는 제2 이송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전지 적재 홈으로부터 상기 2차 전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이송 드럼의 외면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드럼은,
    상기 2차 전지의 중심축과 상기 이송 드럼의 회전중심축이 평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7. 삭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드럼은,
    상기 복수의 2차 전지가 상기 전지 적재 홈에 적재되기 전 상기 이송 드럼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이송 드럼의 옆면이 상기 2차 전지의 옆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드럼은,
    상기 복수의 전지 적재 홈이 상기 이송 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내에 형성되며,
    상기 이송 드럼의 외면 중 상기 전지 적재 홈이 형성되지 않은 외면의 호의 길이는 상기 2차 전지의 외면의 1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사모듈은,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이 조사된 상태에서 상기 2차 전지 옆면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영상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두 개의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송 드럼은 상기 두 개의 조명부를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조사되는 3가지 조합의 빛을 조사하여 각각 옆면 전체를 검사할 수 있도록 상기 2차 전지를 상기 제1 검사위치에서 3회 이상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드럼은,
    상기 전지 적재 홈이 형성되지 않은 외면의 호의 길이가 상기 2차 전지의 둘레의 길이에 3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1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모듈로부터 직렬방향의 한 줄을 상기 이송 드럼으로 선택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2차 전지가 적재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컨베이어 밸트;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밸트 상에 적재된 2차 전지를 병렬방향의 한 줄로 정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정렬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구동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 밸트 상에 적재된 2차 전지를 상기 2차 전지의 길이방향으로 밀어내어 병렬방향 한 줄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베이어 밸트는 상기 정렬구동부의 구동시 적재되어 있는 2차 전지가 상기 제2 컨베이어 밸트와의 상대적이 이동이 폭 방향으로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컨베이어 적재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1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사모듈은 상기 2차 전지의 양 밑면을 검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이송모듈에 적재된 상기 2차 전지의 진행방향의 양측에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사모듈은,
    상기 밑면에 조사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조사광이 조사된 밑면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영상획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2 검사위치에서 서로 다른 각도로 조사광을 상기 밑면에 조사할 수 있는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2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의 외관이 불량인 경우 상기 제2 이송모듈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되는 불량 배출 유닛; 및
    상기 제1 검사모듈 및 상기 제2 검사모듈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불량으로 판단되는 2차 전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불량 배출 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2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KR1020180058895A 2018-05-24 2018-05-24 2차 전지의 외관 검사장치 KR102028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895A KR102028360B1 (ko) 2018-05-24 2018-05-24 2차 전지의 외관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895A KR102028360B1 (ko) 2018-05-24 2018-05-24 2차 전지의 외관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360B1 true KR102028360B1 (ko) 2019-10-07

Family

ID=6842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895A KR102028360B1 (ko) 2018-05-24 2018-05-24 2차 전지의 외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36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2550A (zh) * 2020-10-30 2021-01-19 广东邦普循环科技有限公司 动力电池梯次利用自动化生产线
KR20210056539A (ko)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미라콤아이앤씨 제품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220132148A (ko) * 2021-03-23 2022-09-30 주식회사 엠케이씨 소형 건전지 캔의 자동 검사장치
EP4075567A1 (en) * 2021-04-14 2022-10-19 Nio Technology (Anhui) Co., Ltd Detection method for battery swap in battery swap station
KR20230005499A (ko) * 2021-07-01 2023-01-10 (주) 제이이엔지 배터리셀 외관 검사장치
WO2023008637A1 (ko) * 2021-07-27 2023-02-02 세종기술 주식회사 원형 배터리 검사장치
WO2023121188A1 (ko) * 2021-12-20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외관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N117490576A (zh) * 2023-12-21 2024-02-02 杭州百子尖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机器视觉的电池极片检测方法、装置、系统及介质
EP4418383A1 (en) * 2023-02-15 2024-08-21 G.D S.p.A. Processing line of electrochemical cell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9321A (ja) * 1988-12-29 1990-07-12 Daikin Ind Ltd プレスブレーキのワーク位置決め保持装置
KR0139512B1 (ko) * 1992-06-13 1998-07-15 크로네스 아게 헤르만 크론세더 마쉬넨파브릭크 다선의 용기컨베이어를 단선의 용기컨베이어로 전송변환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97204B1 (ko) * 2006-11-06 2008-01-23 용석주 글라스 검사장치용 글라스 회전 장치
KR20110018080A (ko) * 2009-08-17 2011-02-2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통형 이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JP2013232450A (ja) * 2012-04-27 2013-11-14 Towa Corp 個片化装置用真空吸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固定治具の製造方法
KR20170017628A (ko) * 2015-08-07 2017-02-15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
KR101728303B1 (ko) 2016-08-05 2017-04-19 세종기술 주식회사 배터리 외관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9321A (ja) * 1988-12-29 1990-07-12 Daikin Ind Ltd プレスブレーキのワーク位置決め保持装置
KR0139512B1 (ko) * 1992-06-13 1998-07-15 크로네스 아게 헤르만 크론세더 마쉬넨파브릭크 다선의 용기컨베이어를 단선의 용기컨베이어로 전송변환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97204B1 (ko) * 2006-11-06 2008-01-23 용석주 글라스 검사장치용 글라스 회전 장치
KR20110018080A (ko) * 2009-08-17 2011-02-2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통형 이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JP2013232450A (ja) * 2012-04-27 2013-11-14 Towa Corp 個片化装置用真空吸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固定治具の製造方法
KR20170017628A (ko) * 2015-08-07 2017-02-15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
KR101728303B1 (ko) 2016-08-05 2017-04-19 세종기술 주식회사 배터리 외관 검사 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539A (ko)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미라콤아이앤씨 제품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261331B1 (ko) * 2019-11-11 2021-06-07 주식회사 미라콤아이앤씨 제품 검사 장치 및 방법
CN112242550B (zh) * 2020-10-30 2024-05-31 广东邦普循环科技有限公司 动力电池梯次利用自动化生产线
CN112242550A (zh) * 2020-10-30 2021-01-19 广东邦普循环科技有限公司 动力电池梯次利用自动化生产线
KR20220132148A (ko) * 2021-03-23 2022-09-30 주식회사 엠케이씨 소형 건전지 캔의 자동 검사장치
KR102600760B1 (ko) 2021-03-23 2023-11-14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소형 건전지 캔의 자동 검사장치
EP4075567A1 (en) * 2021-04-14 2022-10-19 Nio Technology (Anhui) Co., Ltd Detection method for battery swap in battery swap station
KR20230005499A (ko) * 2021-07-01 2023-01-10 (주) 제이이엔지 배터리셀 외관 검사장치
KR102547354B1 (ko) 2021-07-01 2023-06-23 (주) 제이이엔지 배터리셀 외관 검사장치
WO2023008637A1 (ko) * 2021-07-27 2023-02-02 세종기술 주식회사 원형 배터리 검사장치
WO2023121188A1 (ko) * 2021-12-20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외관 검사 시스템 및 방법
EP4418383A1 (en) * 2023-02-15 2024-08-21 G.D S.p.A. Processing line of electrochemical cells
EP4418382A1 (en) * 2023-02-15 2024-08-21 G.D S.p.A. Reforming apparatus of electrochemical cells
WO2024171035A1 (en) * 2023-02-15 2024-08-22 G.D S.P.A. Processing line of electrochemical cells
WO2024171037A1 (en) * 2023-02-15 2024-08-22 G.D S.P.A. Reforming apparatus of electrochemical cells
CN117490576A (zh) * 2023-12-21 2024-02-02 杭州百子尖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机器视觉的电池极片检测方法、装置、系统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360B1 (ko) 2차 전지의 외관 검사장치
KR100745586B1 (ko) 전지 검사장치
KR101272556B1 (ko) 배터리 자동연속검사장치
KR102039261B1 (ko) 배터리셀 선별수납장치
JP2022553651A (ja) バッテリーセルの等級判定及び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の組立工程を統合して行うための工程自動化システム
CN205364826U (zh) 一种全自动丝网印刷机
KR101377988B1 (ko) 렌즈 어셈블리 고속 검사 장치
CN213792921U (zh) 一种产品表面缺陷检测设备
JP2000321545A (ja) 液晶パネル検査装置
US8135206B2 (en) Machine for inspecting glass containers
KR100995495B1 (ko) 바형상 프레임 비전검사기
JP2012171628A (ja) テーピング装置及びテーピング方法
KR101229799B1 (ko) 레이저 리페어 장치
KR102257019B1 (ko) 2차 전지용 오버행 검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2차 전지 제조 시스템
KR20220013698A (ko) 2차 전지용 오버행 검사장치를 구비하는 2차 전지 제조 시스템
KR102628806B1 (ko) 원형 배터리 검사장치
KR102618564B1 (ko) 복렬 투입 구조를 구비한 배터리 검사 장치
KR102528246B1 (ko) 배터리 내부 전체 전극 상태 검사 시스템
KR20220167712A (ko) 2차 전지용 오버행 검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2차 전지 제조 시스템
US20220357287A1 (en) Electrode tab alignment mechanism and x-ray inspection apparatus comprising same for inspecting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JP6127321B2 (ja) 軸体処理装置
KR20200041602A (ko) 이차전지 셀 적층 장치
KR20220042848A (ko) 자동 정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리드 탭 검사 장치
KR100932194B1 (ko) 가공품의 불량 선별장치
KR20190094759A (ko) 바이알 진공검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