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026B1 - 마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모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모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026B1
KR102028026B1 KR1020170180507A KR20170180507A KR102028026B1 KR 102028026 B1 KR102028026 B1 KR 102028026B1 KR 1020170180507 A KR1020170180507 A KR 1020170180507A KR 20170180507 A KR20170180507 A KR 20170180507A KR 102028026 B1 KR102028026 B1 KR 102028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 growth
extract
composition
hair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816A (ko
Inventor
장진동
Original Assignee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0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0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Abstract

본 발명은 마름추출물 및 이의 효과를 상승시켜주는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육모용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부작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최적의 배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통해 모유두세포의 생존능력을 현저히 증가시켜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마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모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hair growth containing TRAPA JAPONICA extract}
본 발명은 마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육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마름추출물 또는 마름추출물과 황련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란 모낭의 성장주기 중 성장기의 모낭에서 자라는 모발보다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낭에서 자라는 모발의 비율이 높아져 비정상적으로 빠지는 모발이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탈모증은 크게 두 종류가 있는데 그중 첫째는 남성형 탈모증(male pattern baldness), 장년형 탈모증(alopecia seniles) 또는 남성 호르몬성 탈모증 (androgenic alopecia)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중년 남성에게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전두부와 두정부에서 시작된다. 둘째로는 원형 탈모증(alopecia areata)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원형 내지는 타원형의 비교적 경계가 명확한 탈모를 보이며 청소년기에 발생할 수 있는 탈모증이 있다.
탈모증은 남성에만 있는 질병이 아니고 여성에서도 발생하며, 탈모증의 대부분은 남성형 탈모증이나 남녀에 상관없이 발생한다. 원형 탈모증 역시 남녀 모두에게 발생하나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발생 빈도가 낮다.
이러한 탈모의 원인으로는 모발 주기 조절과 관련된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와 모모세포(geminal matrixcell)의 기능저하 또는 증식억제, 남성호르몬의 과잉작용, 모포에의 혈류량의 저하, 피지분비 과잉, 과산화물과 세균 등에 의한 두피기능 저하, 유전적 요인, 노화, 스트레스에 따른 신경증 등이 있으며, 다양한 원인이 단독 혹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현대인들에게 대기오염과 같은 환경적 요인과 정신적인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탈모증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발생 연령도 점차 낮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탈모증은 당사자들에게 심각한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대인관계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어 그 치료 및 예방에 대한 관심은 증대되고 있다.
탈모증의 치료 및 예방에 있어 현재까지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는데 외관적인 방법으로는 두피피판술, 탈모부위축소술 및 조직확장술에 의한 두피성형술과 최근에 발전된 자가모발 이식술 등이 있다. 이러한 외과적 방법은 비록 그 효과 면에서는 우수하더라도 수술에 대한 환자의 경제적, 정신적 부담이 매우 크므로 널리 사용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다양한 외용제가 사용되고 있는데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업존사의 미녹시딜 함유제제이며 최근에는 머크사에서 Type 2의 5 알파-환원효소 억제효과가 있는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가 주성분인 프로페시아(Propecia)가 발매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미녹시딜의 경우 가려움증, 자극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고, 피나스테라이드의 경우에도 사용을 중단하면 2개월 안에 원상태로 돌아가는 문제점과 성욕감퇴, 발기부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며 여성은 기형아 출산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복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질로 천궁, 상황버섯, 금은화, 케모마일 등의 추출물, 하수오, 창포, 석류, 은행잎 추출물 등 천연추출물에 기초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육모제를 실제 임상에서 사용하는 경우 두피에 작용하는 효과가 그다지 탁월하지 못하다.
마름에 대한 연구로는 "마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10-1310655)"에 관한 것이 있으나, 이는 항산화 및 항염 효능평가를 실시하여 화장료로서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마름추출물의 육모효능에 대해서 연구가 진행된 바는 없다.
이에 자극이 적은 천연물을 이용한 탈모 및 육모에 대한 연구가 계속하여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마름 추출물 또는 마름과 황련의 혼합 추출물로 효과적이면서 부작용이 적은 탈모 방지 및 육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름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육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황련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육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마름과 황련의 혼합비는 마름추출물 1 : 0.5~2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추출 용매는 물,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부작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최적의 배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통해 모유두 세포의 생존능력을 현저히 증가시켜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MTT 실험기법에 있어,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 효소작용에 의하여 노란색 수용성 MTT가 자주색을 띄는 비수용성의 MTT formazan으로 환원되는 반응에 의해 살아있는 세포와 죽은 세포를 색깔의 변화를 통해 판별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마름추출물 및 마름과 황련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마름(Trapa japonica Flerov)은 물밤이라고도 불리며 마름과(Hydrocary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서 뿌리는 진흙 속에 있고 원줄기는 수면까지 자라며 끝에서 많은 잎이 사방으로 퍼지며, 꽃은 흰색 또는 붉은색이 돌고 7, 8월에 핀다. 전국 각지의 저수지나 연못에 분포한다. 조선 초기에는 말율(末栗)이라고 하였으며, 지(芝), 지실(芝實), 능각(菱角), 수율(水栗), 능(菱)이라고도 하였다. 뿌리는 진흙 속에 있고, 원줄기는 수면까지 자라며 끝에서 많은 잎이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능형 비슷한 삼각형으로 윗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길이는 2.5∼5㎝, 너비는 3∼8㎝로서 표면에 윤채가 있고 뒷면에 털이 많다. 꽃은 흰색 또는 붉은색이 돌며 7, 8월에 핀다. 전국 각지의 저수지나 연못에 분포한다. 식물의 부위에 따라서 줄기는 능경(菱莖), 잎은 능엽, 과병은 능체, 과피는 능각(菱殼), 과육 속에 들어 있는 흰색의 녹말은 능분이라고 한다. 마름의 열매에는 녹말이 함유되어 있고, 포도당ㅇ단백질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복수간암에 작용하는 물질도 확인되었다. 약효는 여름에 더위를 물리치고 갈증을 제거하며 번조 증상을 해소시킨다. 또 건위작용과 체내에 알콜성분이 축적되는 것을 제거하는 작용이 강하고 팔과 다리의 마비 증상을 풀어주고 요통과 골격, 근육의 통증을 치유하기도 한다. 대개 생식하거나 익혀서 복용하는데 특별한 유독작용은 없으나 너무 지나치게 먹으면 복부 창만 증상을 일으킨다. 마름의 잎은 어린아이의 머리가 헌 데 쓰이고, 과피는 이질, 설사, 탈항, 치질 등에 쓰이며, 줄기는 위궤양 치료에 쓰인다. 마름의 녹말은 구황식품으로도 이용되었다.
Figure 112017129568799-pat00001
황련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황련(Coptis Chinensis FRANCH)의 뿌리로 약효성분은 베르베린(Berberine), 콥티신(Coptisine), 워레닌(Worenine), 팔마틴(Palmatine) 등이 알려져 있다. 맛은 쓰고 차다. 효능은 사화(瀉火) 작용이 있어서 일체의 열로 인한 질환에 탁월한 치료반응을 나타낸다. 이를테면 전염성열병, 장티프스 등에 해열효과가 현저하고, 열이 많아서 가슴이 타오르고 갈증이 나면서 번민이 심한 증상을 해소시킨다. 탕화상이나 화상에 효력을 보이는 것은 열을 내리면서 살균작용을 하므로 상처가 쉽게 치유되기 때문이다. 체내에 열이 쌓여서 안구 충열이 되거나 혈압이 상승되는 증상을 치료한다. 뿐만 아니라 결막염 등에 다린 물로 세척하면 살균ㅇ해열 효과를 얻게 된다. 소량을 복용하면 소화촉진 효과가 높고, 위장에 염증이 있어서 가슴이 답답하고 배가 부르면서 머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또한 신경과민으로 인한 가슴 두근거림 증상을 해소시키는 데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역시 열로 인한 구내염, 설염(舌炎), 구각염(口角炎)에도 치유율이 높다. 여름에 유행하는 이질과 설사에도 이질균을 억제시키면서 설사를 그치게 하고, 폐결핵이나 토혈, 코피, 대변 출혈을 그치게 하고 당뇨병에도 열을 띤 증상에 유효하며, 백일해와 인후염에도 효력이 있다. 살균작용이 현저하여 피부감염증에 널리 활용된다. 동물실험에서는 항균, 소염, 해열, 담즙분비촉진, 혈압하강작용 등이 나타났다. 임상실험에서는 세균성이질, 폐결핵, 성홍열, 디프테리아, 폐농양, 궤양성결장염, 고혈압, 홍역, 위축성비염 등에 효력을 나타냈다. 1회 용량은 2∼4g이며, 금기로는 위장기능 허약자로 소화장애, 저혈압, 설사 등에는 피해야 한다.
Figure 112017129568799-pat00002
이하 상기 성분을 함유하는 본 발명을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추출물 제조]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마름 및 황련을 파쇄하여 가루로 만든 후 물, 에탄올, 부틸렌글리콜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또 추가로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하였다. 혼합용매로는 에탄올과 물의 3:7 혼합과 부틸렌글리콜과 물의 3:7 혼합용매를 사용하였다. 이때 용매의 양은 원물의 10배를 사용하였고, 추출 조건은 50℃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추출하여 filter paper를 이용하여 추출액을 거른 후 감압농축법을 사용하여 고형 농축물을 얻어 사용하였다.
[모유두세포(DP-Cell)의 생존능력확인 실험]
1. 모유두세포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효과
모발의 성장은 여러 유전자와 성장인자 및 그 수용체, 전신적 호르몬의 작용 등으로 인한 복잡한 기전에 의해 일어나는데, 특히 상피세포로 이루어진 모낭의 모기질세포(dermal matrix cell)와 간엽세포로 구성된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가 모발의 형성 및 성장에 중추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유두세포는 모낭의 기저부에 존재하는 세포로, 모낭을 구성하는 세포들에게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의 성장과 모낭 주기 조절을 담당한다. 따라서 모유두세포의 증식이 촉진되면 모발이 건강해지고 모발 성장이 촉진되며 탈모를 막을 수 있다. 모발의 성장은 모유두(dermal papilla)를 둘러싸고 있는 상피세포(epithelial cell)가 분열하여 모간(hair shaft)을 만들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모유두세포는 상피세포의 분열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남성형 탈모증에서 남성호르몬이 모낭에 작용하는 부위 역시 모유두로서 모유두세포는 발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 yellow tetrazole) 실험기법
본 실험은 세포의 증식과 살아있는 세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실험기법이다.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 효소작용에 의하여 노란색 수용성 MTT가 자주색을 띄는 비수용성의 MTT formazan으로 환원되므로 도 1에 보이는 것처럼 살아있는 세포와 죽은 세포를 색의 변화로 판별할 수 있다.
Figure 112017129568799-pat00003
3. 실험 결과
<추출용매에 따른 마름추출물의 모유두세포의 활성도 시험>
1) 시험 샘플
용매에 따른 효능평가에 사용된 용매의 조성은 에탄올 100% / 에탄올 30% + 물 70% / 부틸렌글리콜 100% / 부틸렌글리콜 30% + 물 70% / 물 100% 의 총 5가지로 만들어서 사용하였으며, 추출 조건은 상기의 조건으로 모두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2) 시험 결과
용매에 따른 모유두 세포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에탄올 및 에탄올/물 혼합 용매로 추출한 시료가 가장 효과가 우수했고, 부틸렌글리콜과 부틸렌글리콜/물 혼합액으로 추출한 시료가 가장 낮은 세포 활성도를 나타내었고, 물은 중간 정도의 생리활성을 나타내었다.
이후의 실험에서는 제형 내에서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Figure 112017129568799-pat00004
<마름과 같이 사용하여 Synergy Effect를 줄 수 있는 성분 시험>
마름추출물과 같이 사용하여 육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성분을 찾기 위해 두 차례에 걸쳐 총 12종의 천연물과의 시너지효과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혼합비율은 마름과 각 천연물을 1:1 동일 비율로 혼합하여 진행하였으며, 추출 방법은 상기의 마름추출물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1, 2차에 사용한 추출물과 결과값은 아래 표와 같다[표 1은 후술하는 두 개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Fig. 4, Fig. 5).]
Figure 112017129568799-pat00005
1차 시험에서 천연물 시료 7종 모두 단독 사용시와 마름과 동량 혼합시에 마름 단독 사용시보다 세포생존율이 낮아 마름에 시너지 효과를 주는 천연물을 찾지 못하였다. 다만, 쑥의 경우 마름과의 혼합시료에서 마름 단독과 유사한 정도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가능성을 보였다. Fig. 4의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차로 진행한 7종의 추출물 모두 마름 단독 사용시보다 육모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7129568799-pat00006
2차 시험에서 사용된 시료 5종은 단독 사용시 모두 마름 단독 시료보다 세포 생존율이 낮았고, 특히 황련의 경우는 단독 시험에서 12종 중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마름과 비교시 35.6% 수준의 효능을 나타냈다. 그러나 마름과 혼합한 시험 결과에서는 마름 단독 사용시와 비교하여 161.2% 증가하는 값을 나타내어 마름과 혼합하여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시험에서는 Fig.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황련과 마름을 혼합한 시료에서 마름 단독에 비해 그 효능이 드라마틱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7129568799-pat00007
<마름과 황련의 혼합비에 따른 효능평가>
마름과 황련의 최적 혼합비를 얻기 위해 아래와 같이 혼합비를 다양하게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Figure 112017129568799-pat00008
그 결과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혼합시 10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것은 1:4~4:1의 비율까지의 범위이며, 마름추출물 단독 사용시보다 높은 효능을 나타내는 혼합비의 범위는 1:2, 1:1, 2:1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 동일량을 혼합한 비율에서 가장 높은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어 동일량을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위의 표를 아래와 같이 그래프로 나타내었다(Fig. 6).
Figure 112017129568799-pat00009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마름 추출물과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며,
    마름과 황련의 혼합비는 1 : 0.5~2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육모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추출 용매는 물,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육모용 조성물.
KR1020170180507A 2017-12-27 2017-12-27 마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모용 조성물 KR102028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507A KR102028026B1 (ko) 2017-12-27 2017-12-27 마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모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507A KR102028026B1 (ko) 2017-12-27 2017-12-27 마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모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816A KR20190078816A (ko) 2019-07-05
KR102028026B1 true KR102028026B1 (ko) 2019-10-02

Family

ID=6722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507A KR102028026B1 (ko) 2017-12-27 2017-12-27 마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모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0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378B1 (ko) * 2014-12-29 2015-09-15 주식회사 케이로드 백급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0761B2 (ja) * 1992-03-12 2001-10-22 株式会社資生堂 養毛料
JPH09136839A (ja) * 1995-09-11 1997-05-27 Nitto Denko Corp 生理活性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10970B1 (ko) * 2010-10-14 2013-09-23 소셜테크 주식회사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용품 조성물
KR101661245B1 (ko) * 2014-12-17 2016-09-29 타미오 쇼지 호의초, 황련, 어성초, 인삼, 작약, 모란, 효모액기스, 하수오를 함유하는 피부 및 두피보호, 탈모방지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378B1 (ko) * 2014-12-29 2015-09-15 주식회사 케이로드 백급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816A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565B1 (ko) 모발 성장 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CN101646423A (zh) 用于防止脱发和促进头发生长的纳米颗粒组合物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51972B1 (ko)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26660B1 (ko) 한방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발모촉진 및 모발 굵기 증대용 조성물
KR102276213B1 (ko)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732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염증 및 모공축소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JPH0717845A (ja) 皮膚外用剤
KR101516536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12565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CN105078827B (zh) 一种含有苦参提取物的养发生发液
KR101027519B1 (ko)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6948A (ko) 모발의 육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8026B1 (ko) 마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모용 조성물
KR20090059445A (ko)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베시클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모발 성장용 조성물
KR20190133085A (ko)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2819B1 (ko)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한약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85403B1 (ko)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대자호를 이용한 천연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100603122B1 (ko)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56531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KR0154648B1 (ko) 양모제 조성물
KR102301521B1 (ko)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53863B1 (ko) 탈모방지 및 양모 활성 보조기능을 갖는 조성물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62236B1 (ko) 생약재로 구성된 탈모방지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