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378B1 - 백급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급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378B1
KR101553378B1 KR1020140192082A KR20140192082A KR101553378B1 KR 101553378 B1 KR101553378 B1 KR 101553378B1 KR 1020140192082 A KR1020140192082 A KR 1020140192082A KR 20140192082 A KR20140192082 A KR 20140192082A KR 101553378 B1 KR101553378 B1 KR 101553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mixture
composition
examp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식
서승숙
이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로드
Priority to KR102014019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3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α-리덕타아제의 억제 활성을 지니고 동물실험에 있어서도 발모 촉진 활성을 지니는 백급 추출물, 황련 추출물, 비자(Torreya nucifera) 열매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백급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Hair Growth Stimulation or Hair Loss Prevention Using Blettia Rhizome Extract, Etc.}
본 발명은 백급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모낭(hair follicles)에서 형성되는데 성인의 모낭은 약 5백만 개로 사람의 피부 중 손바닥과 바다박을 제외한 전신에 걸쳐 분포하여 있고, 두부에 1백만 개가 존재하며, 이 중 십만 개가 두피에 존재한다(Bulletin of Food Technology 2009, 22(4):651-663).
두피 모발은 인체 모발의 약 20%를 차지하는데, 땀의 증발과 체온 조절 등의 모발의 생리적 기능과 함께 두부의 완충작용으로 두부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며, 외모를 중시하는 현대인의 경향에 의하여 개인의 개성과 이미지 연출에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아울러 가진다(Clin Dermatol 2001, 19(2):161-166).
모발은 생장기, 퇴행기 및 휴지기의 성장 주기를 반복하는데, 성인의 경우 두피 모발의 생장기는 약 2 ∼ 6년, 퇴행기는 2~3주, 휴지기는 2~3개월이다. 정상적인 두피에서 90~95%는 생장기에 있고 1% 미만은 퇴화기에 있으며 5~10%는 휴지기에 있는데, 매일 100개 이상의 모발이 휴지기에 접어들고 같은 수의 모낭은 다시 생장기로 들어간다(N Engl J Med 1999, 341(13):964-973).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가 길어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탈락하는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Differentiation, 2004, 72(9-10):489; Dev Cell., 2001, 1(1):13; J. Invest. Dermatol., 2005, 125(1):42).
발모 및 탈모의 정확한 기전은 현재까지 완전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탈모유발 원인으로 남성호르몬 관여에 의한 모포 기능의 저하, 모포 및 모구부의 신진대사기능의 저하, 두피 긴장에 의한 국소 혈류 장해, 영양 불량, 스트레스, 약물에 의한 부작용, 유전적 요인, 자가 면역, 국소감염, 화학물질, 백혈병, 결핵 등의 질병과 모발 제품의 남용 등 매우 다양하다.
탈모의 가장 전형적인 형태인 남성형 탈모증(androgen alopecia)의 경우 유전적으로 안드로겐(androgen) 호르몬에 의존적으로 발생하는데 포유류의 대표적인 안드로겐 호르몬에는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이 있는데 탈모 증상을 지니는 사람에게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이 생체내에서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음이 보고 되어 있고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과다 생성이 탈모의 주요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Biol. Pharm. Bull., 2006 29(2):392).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은 제2형 5α-리덕타아제에 의해 테스토스테론이라는 남성 호르몬으로부터 생겨나는 또 다른 남성 호르몬이다.
현재 탈모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물로는 FDA에서 승인을 받은 바 있는 미녹시딜(Minoxidil) 제제(미국특허 제4,139,619호 및 제4,596,812호 참조)과 제2형 5α-리덕타제 억제제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미국 특허 제5547957호, 제5760046호 또는 대한민국 특허 제375083호)를 들 수 있다.
미녹시딜 제제는 탈모증이 있는 남성에게서 10%까지 탈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가마 부위 이외 부위의 탈모에 대해서는 그다지 좋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피나스테라이드 역시 일부 환자들에 대해서는 성욕 감퇴, 발기 부전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에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 활성을 갖는 물질을 찾는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도 α-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실제 동물실험에 있어서도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를 보이는 백급 등의 천연물 추출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백급 등의 천연물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급 등의 천연물 추출물을 이용한 두피 케어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백급, 황련, 비자 열매 또는 감초 추출물을 제조하고 그 추출물에 대하여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함으로써 탈모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5α-리덕타아제의 억제 활성을 살펴본 결과, 모든 추출물이 5α-리덕타아제의 억제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고, 동물실험에서도 발모 촉진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염모제나 소듐라우릴황산나트륨(SLS)에 의한 자극 완화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SLS는 샴푸, 모발 로션 등에 포함되어 있는 계면활성제로서 세포막을 파괴하여 피부 자극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는 물질이다(대한피부과학회지 35(3):491-498, 1997)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두피 케어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과 두피 케어 조성물은 모두 백급 추출물, 황련 추출물, 비자(Torreya nucifera) 열매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백급, 황련 및 감초는 당업계에 받아들여지고 있는 의미를 그대로 따른다. 즉 백급(白及)은 난초과의 자란(Bletilla striata (Thunberg) Reichenbach fil.)의 덩이줄기를 말린 약재를 의미하고, 황련(黃連)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의 여러해살이풀(Coptis chinensis)의 뿌리 줄기를 말린 약재를 의미하며, 감초(甘草)는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의 뿌리 및/또는 줄기를 껍질이 붙은 상태 또는 껍질이 벗겨진 상태로 말린 약재를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을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조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고, 상기 조추출물을 상기 용매들을 극성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순으로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하며, 나아가 크기, 전하, 소수성, 친화성 등의 성질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아래의 실시예를 참조할 때,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특히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탈모"란 그 발생의 직·간접적인 원인을 불문하고 당업계에서 탈모로서 분류되는 모든 증상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혈액 순환 불량,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과다 생성 등에 따른 피지 과잉 분비, 과산화물 또는 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 노화, 유전적 요인, 스트레스, 이들의 복합적인 작용 등에 의한 탈모 증상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두피 케어"의 두피 피지량 생성 억제 및/또는 두피 가려움 등 두피 자극의 완화를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보조제(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정의되지 아니한 기타의 용어는 국어사전적 의미나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의미를 따른다.
한편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백급 추출물을 황련 추출물 또는 비자 열매 추출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그것의 5α-리덕타제 억제 활성과 동물실험에서의 발모 촉진 활성이 이들 각각의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에 비하여 뚜렷하게 높음을 보여주며, 특히 백급 추출물을 황련 추출물, 비자열매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 모두를 혼합 사용할 경우 그 활성이 가장 높음을 보여준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비자 열매 추출물과 황련 추출물을 혼합 사용할 경우와 백급 추출물을 황련 추출물, 비자열매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 모두를 혼합 사용할 경우 염모제에 의한 두피 자극의 완화 활성 및 SLS에 의한 섬유아세포 독성 억제 활성에 있어서 각각의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에 비하여 뚜렷하게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은 (i) 백급 추출물과 황련 추출물의 혼합물, 또는 (ii) 백급 추출물과 비자 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iii) 백급 추출물, 황련 추출물, 비자 열매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 모두의 혼합물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두피 케어 조성물에 있어서는 그 유효성분이 (i) 황련 추출물과 비자 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또는 (ii) 백급 추출물, 황련 추출물, 비자 열매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 모두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과 두피 케어 조성물을 통칭함, 이하 같음)은 그 유효성분을 성상,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발모 촉진 활성, 탈모 방지 활성 및/또는 두피 케어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15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구체적인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용액,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충분히 낮은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아토피성 피부염 조성물처럼 경우에 따라서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기능성 음료 등의 식품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향미나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기능성(예컨대 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예방)을 추가하기 위하여 한약재가 추가될 수 있는데, 추가될 수 있는 한약재로서는 두충 추출물, 속단 추출물, 녹용 추출물, 홍화인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숙지황 추출물, 별갑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당귀 추출물, 갈근 추출물, 강진향 추출물, 합환피 추출물, 산두근 추출물, 괴화 추출물, 고삼 추출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비타민, 색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과 전술한 바의 담체 성분을 포함시켜 당업계에 공지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백급 추출물, 황련 추출물, 비자(Torreya nucifera) 열매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과 두피 케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품, 식품 또는 화장품(특히 모발용 화장품 또는 모발용 비누)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백급 , 비자, 황련 및 감초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백급 추출물의 제조
백급 분말(건조 후 분쇄시켜 얻었음)에 10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가해 실온에서 24시간 추출하고 2㎛ 여과지로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고형상의 백급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비자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추출하되, 백급 분말 대신에 비자 열매 분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황련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추출하되, 백급 분말 대신에 황련 분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 감초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추출하되, 백급 분말 대신에 감초 분말을 사용하였다.
< 실험예 >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 활성 실험 및 두피 케어 활성 실험
< 실험예 1>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 활성 실험
<실험예 1-1> 5α- 리덕타제 억제 활성 실험
5α-reductase는 7~8주령의 Sprague-Dawley계 수컷의 전립선에서 현탁액으로 얻고 Bradford 방법으로 정량하여 사용하였다. 마이크로튜브에 상기 enzyme과 실시예의 시료 및 반응버퍼(50mM Na2HPO4(pH 6.8), 25mM KCl, 500mM NADPH)를 넣어 최종 반응액을 500㎕로 맞추고 37℃ 온도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에 1mL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혼합하고 원심분리(1,000 rpm, 5 min)하여 상층액을 취해서 새로운 마이크로튜브로 옮긴 후, heating plate(60 ℃)를 이용하여 반응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하였다. 그 후에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 50㎕에 녹여 TLC(thin-layer chromatography plate) 상 스포팅하고 30분간 전개용매(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3회 전개시켰다. 전개된 플레이트를 하이퍼필름에 감광시켜 테스토스테론의 양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양을 덴시토미터(Densitometer)로 정량 분석하였다. 시료 첨가시의 전환율(A)과 시료 미첨가시의 전환율(B)을 비교하여 아래의 식으로 5α-리덕타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5α-리덕타제에 대한 활성 저해율 = 100(B-A/B)
5α-리덕타제 활성 저해율(%)
구분 억제율(%)
실시예 1의 추출물 42.8
실시예 2의 추출물 28.7
실시예 3의 추출물 34.6
실시예 4의 추출물 21.5
실시예 1 + 2의 혼합물 62.6
실시예 1 + 3의 혼합물 54.7
실시예 1 + 4의 혼합물 32.6
실시예 2 + 3의 혼합물 36.8
실시예 2 + 4의 혼합물 26.4
실시예 3 + 4의 혼합물 29.5
실시예 1 + 2 + 3 + 4의 혼합물 65.7
* 상기 실시예의 혼합물은 모두 실시예 추출물의 동일 중량비의 혼합물임
상기 [표 1]의 결과는 실시예의 각 추출물이 모두 5α-리덕타제의 활성을 저해함을 보여준다. 실시예의 추출물 중에서는 백급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실시예의 혼합물을 처리할 경우는 (i) 실시예 모든 추출물의 혼합물, (ii) 백급 추출물과 비자 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및 (iii) 백급 추출물과 황련 추출물의 혼합물 순으로 실시예 각각의 추출물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실험예 1-2> 발모 촉진에 대한 동물실험
발모 촉진에 대한 동물실험은 생후 6주령의 암컷 마우스 C57BL/6((주)오리엔트바이오, 한국)를 이용하였으며, 1주간 23±3℃, 12 day/dark 조건의 동물 사육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발모 촉진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 개시 전 실험동물을 디에틸에테르(dietylether)로 마취시키고, 마우스 등 부위를 클리퍼(clipper)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하나의 실험군에 6마리씩 배정하고, 하루에 두 번씩 생리식염수에 용해시킨 3.0%(w/v)의 실시예의 시료를 제모된 부위에 0.2㎖씩 떨어뜨린 다음 두드리면서 도포하고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만을 도포하였다. 2주간의 실험 전·후에 실험 부위를 티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를 화상 분석기(Image analyzer/Image-Pro Plus, U.S.A)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제모 부위에서 털이 자란 면적을 100% 비율로 환산하여 발모 촉진 효율을 구하고 결과를 평균값±표준편차로 하여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발모 촉진 효율
구분 발모율(%)
대조군 32.5±4.8
실시예 1의 추출물 46.8±2.4
실시예 2의 추출물 38.4±5.6
실시예 3의 추출물 43.2±3.6
실시예 4의 추출물 38.2±5.3
실시예 1 + 2의 혼합물 64.6±4.7
실시예 1 + 3의 혼합물 60.2±5.4
실시예 1 + 4의 혼합물 44.2±4.8
실시예 2 + 3의 혼합물 46.5±8.1
실시예 2 + 4의 혼합물 51.5±9.3
실시예 3 + 4의 혼합물 42.4±5.2
실시예 1 + 2 + 3 + 4의 혼합물 68.5±4.6
* 상기 실시예의 혼합물은 모두 실시예 추출물의 동일 중량비의 혼합물임
상기 [표 2]의 결과에 있어서도 대체로 상기 [표 1]의 결과와 유사하게, 단일 추출물로서는 백급 추출물이 가장 활성이 우수하였고, 실시예 추출물의 혼합물에 있어서는 실시예의 모든 추출물의 혼합물이 가장 활성이 우수하였다. 다음으로는 백급 추출물과 비자 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이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백급 추출물과 황련 추출물의 혼합물이 그 다음으로 활성이 우수하였다.
< 실험예 2> 두피 케어 활성 실험
<실험예 2-1> 염모제 자극 완화 동물실험
염모제 자극 완화에 대한 동물실험은 상기 <실험예 1-2>와 동일하게 생후 6주령의 암컷 마우스 C57BL/6를 이용하였고, 실험에는 아래 [표 3]의 염모제를 사용하였으며, MEST법을 응용하여 수행하였다. 한 실험군은 5마리의 마우스로 구성하였다.
염모제 성분 및 함량
구분 성분 함량(중량 %)




1제 성분
폴리옥시에틸렌우릴에텔 4.0
소듐설파이드 0.5
세텔알콜 5.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텔 4.0
레조시놀 0.5
아스보킥애씨드 0.5
모노에탄올아민 0.2
p-페닐렌디아민 0.5
암모니아 0.02
정제수 잔량

2제 성분
과산화수소(30%) 18.0
인산 0.1
정제수 0.1
실험은 구체적으로 먼저, 마우스 복부 부위의 털을 제거하고 2.0% 파라페닐렌디아민(Paraphenylenediamine; PPD)를 3일간 매일 1회 총 3회 적용하였다. 1주일간 휴지기를 두고, 염모제를 마우스의 귀에 도포하고 30분 후에 닦아내고 다시 1주일의 휴지기를 두었다. 그 후 생리식염수에 용해시킨 3.0%(w/v)의 실시예의 시료를 1시간 간격으로 3회 적용한 다음 다시 염모제를 도포하고 12시간 후에 상기 실시예의 시료를 1 시간 간격으로 2회 적용하였다. 그 후, 24 시간이 지난 다음에 귀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H&E 염색법으로 귀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비교예는 실시예의 시료가 포함되지 아니한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귀 무게(mg) 및 두께(㎛)
구분 귀 무게(mg) 귀 두께(㎛)
비교예 16.27±0.36 342.54±17.28
실시예 1의 추출물 12.21±0.42 272.72±22.16
실시예 2의 추출물 11.93±0.25 276.23±24.52
실시예 3의 추출물 11.22±0.38 254.92±22.04
실시예 4의 추출물 14.24±0.41 294.52±24.63
실시예 1 + 2의 혼합물 11.62±0.27 275.42±19.27
실시예 1 + 3의 혼합물 11.32±0.31 263.52±24.36
실시예 1 + 4의 혼합물 13.25±0.51 284.42±23.65
실시예 2 + 3의 혼합물 9.52±0.38 242.52±26.38
실시예 2 + 4의 혼합물 12.82±0.51 285.37±21.73
실시예 3 + 4의 혼합물 12.43±0.44 275.92±26.71
실시예 1 + 2 + 3 + 4의 혼합물 9.43±0.36 246.61±24.63
* 상기 실시예의 혼합물은 모두 실시예 추출물의 동일 중량비의 혼합물임
상기 [표 4]의 결과는 실시예의 모든 추출물이 염모제의 자극을 완화시킴을 보여준다. 실시예 혼합물의 경우 비자 열매 추출물과 황련 추출물의 혼합물과 실시예의 모든 추출물의 혼합물이 염모제 자극 완화에 있어 가장 활성이 높았다.
<실험예 2-2> 인간 섬유아세포 보호 활성 실험
사람 유래의 섬유아세포 Hs68를 이용하여 샴푸나 모발 로션 등에 포함되어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인 소듐라우릴황산나트륨(SLS)에 의한 세포독성의 억제 활성을 실험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람 유래의 섬유아세포 Hs68를 96 well plate 웰당 1× 105 cells/mL 농도로 넣고 0.002%(w/v) SLS와 0.2%(w/v)의 실시예의 시료를 처리하고 3일간 배양하였다. 그 후 MTT(3-(4,5-dimethylthiazo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100㎍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더 배양한 후 1,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조심스럽게 배지를 제거하였다. 그 후 dimethylsulfoxide(DMSO; Sigma, St. Louis, MO, USA) 150㎕를 가하여 MTT의 환원에 의해 생성된 formazan 침전물을 용해시킨 후 microplate reader(Bio-TEK instrumenis. Inc., Winooski Vermont, WI, USA)를 사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무처리군에 대한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세포 생존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결과를 3회 반복 실험의 평균값±표준편차로 하여 아래의 [표 5]에 나타내었다.
세포 사멸에 대한 저해 효과
시료명 섬유아세포 생존율(%)
0.002% SLS 39.28±5.82
0.002% SLS + 0.2% 실시예 1의 추출물 51.62±3.52
0.002% SLS + 0.2% 실시예 2의 추출물 48.36±5.27
0.002% SLS + 0.2% 실시예 3의 추출물 54.62±4.92
0.002% SLS + 0.2% 실시예 4의 추출물 46.28±3.82
0.002% SLS + 0.2% 실시예 1 + 2의 혼합물 51.62±5.28
0.002% SLS + 0.2% 실시예 1 + 3의 혼합물 53.82±4.61
0.002% SLS + 0.2% 실시예 1 + 4의 혼합물 49.74±6.28
0.002% SLS + 0.2% 실시예 2 + 3의 혼합물 61.93±6.45
0.002% SLS + 0.2% 실시예 2 + 4의 혼합물 48.27±5.38
0.002% SLS + 0.2% 실시예 3 + 4의 혼합물 49.64±5.93
0.002% SLS + 0.2% 실시예 1 + 2 + 3 + 4의 혼합 추출물 62.52±4.95
* 상기 실시예의 혼합물은 모두 실시예 추출물의 동일 중량비의 혼합물임
상기 [표 5]의 결과에 있어서도 상기 [표 4]의 결과와 유사하게 상기 실시예의 추출물 모두 SLS에 의한 세포독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보이지만, 비자 열매 추출물과 황련 추출물의 혼합물과 실시예의 모든 추출물의 혼합물이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실험예 2-3> 두피 피지량 생성 억제 활성 실험
상기 <실험예 1-1> 및 <실험예 1-2>에서 가장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실시예의 모든 추출물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아래의 [표 6]과 같이 제조된 제조예의 삼푸와 해당 시료 성분이 포함되지 아니한 비교예 샴푸를 성인 2명에게 각각 사용하게 하여 사용 전, 사용 직후 및 사용 5시간 후 피지량을 피지측정기(Sebumeter. Germany)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7]에 나타내었다.
샴푸 성분 및 그 함량(중량%)
성분 제조예 비교예
소듐라우릴설페이트 5 5
라우릴폴리글루코사이드 2 2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 아민 2 2
소이아미도프로필아민옥사이드 0.2 0.2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액 5 5
피피지-3-카프릴릴에텔 0.3 0.3
시트릭애씨드 0.1 0.1
실시예 1 1.0 -
실시예 2 1.0 -
실시예 3 1.0 -
실시예 4 1.0 -
향료 0.2 0.2
정제수 잔량 잔량
* 상기 성분 함량은 중량%로 나타내었음.
두피 피지량(㎍/cm2)
구분 사용 전 사용 직후 사용 5시간 후
비교예 178.45 22.62 132.64
제조예 186.47 26.53 102.46
상기 [표 7]의 결과는 사용 직후에 있어서는 비교예와 제조예 제품 서로 간에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사용 5시간 후에 있어서는 제조예의 제품을 사용한 경우 두피 피지량의 증가 정도가 뚜렷하게 낮았다.

Claims (6)

  1. 백급 추출물, 황련 추출물, 비자 열매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 모두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추출물은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화장품 조성물.
  2. 백급 추출물, 황련 추출물, 비자 열매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 모두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추출물은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식품 조성물.
  3. 백급 추출물, 황련 추출물, 비자 열매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 모두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추출물은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4. 백급 추출물, 황련 추출물, 비자 열매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 모두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추출물은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자극 완화용 화장품 조성물.
  5. 백급 추출물, 황련 추출물, 비자 열매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 모두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추출물은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피지 생성 억제용 화장품 조성물.
  6. 삭제
KR1020140192082A 2014-12-29 2014-12-29 백급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KR101553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082A KR101553378B1 (ko) 2014-12-29 2014-12-29 백급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082A KR101553378B1 (ko) 2014-12-29 2014-12-29 백급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378B1 true KR101553378B1 (ko) 2015-09-15

Family

ID=5424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082A KR101553378B1 (ko) 2014-12-29 2014-12-29 백급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3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2431A (zh) * 2017-12-28 2018-05-04 赵建越 一种生发乌发的中药配方及其制剂的制备方法
KR20190078816A (ko) * 2017-12-27 2019-07-05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마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모용 조성물
CN111150689A (zh) * 2020-01-21 2020-05-15 广州睿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疗伤绒毛花的组合物及其应用
KR102394707B1 (ko) * 2021-12-06 2022-05-06 (주)젠퓨어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37B1 (ko) 2013-06-10 2014-10-22 신어진 약초성분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37B1 (ko) 2013-06-10 2014-10-22 신어진 약초성분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아쿠아그린텍)에끌로마 샴푸자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816A (ko) * 2017-12-27 2019-07-05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마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모용 조성물
KR102028026B1 (ko) * 2017-12-27 2019-10-02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마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모용 조성물
CN107982431A (zh) * 2017-12-28 2018-05-04 赵建越 一种生发乌发的中药配方及其制剂的制备方法
CN111150689A (zh) * 2020-01-21 2020-05-15 广州睿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疗伤绒毛花的组合物及其应用
KR102394707B1 (ko) * 2021-12-06 2022-05-06 (주)젠퓨어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998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1724510B1 (ko) 로즈마리 잎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848671B1 (ko) 식물세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및 발모 개선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1553378B1 (ko) 백급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JP5006193B2 (ja) キウイフルーツの抽出物を含む脱毛および脂漏性皮膚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用組成物
KR101698922B1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603262B1 (ko) 필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1043212A1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及び保湿剤
KR101407659B1 (ko)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용 조성물
KR101820531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327237B1 (ko) 비트, 적양파, 및 자색고구마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233910B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821925B1 (ko) 지실 및 육계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7013594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utumn soybean leaves
KR101233944B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38612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712480B1 (ko) 로즈마리 추출물 등을 이용한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12481B1 (ko) 자소엽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KR101738206B1 (ko) 지실 및 육계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31598A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712479B1 (ko) 풀가사리 추출물 등을 이용한 두피 자극 완화용 조성물
KR102262362B1 (ko) 참외 줄기 또는 오이 줄기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021435A (ko) 한련초의 마유에 의한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KR102440534B1 (ko)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