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824B1 - 판재용 평탄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판재용 평탄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824B1
KR102027824B1 KR1020180148065A KR20180148065A KR102027824B1 KR 102027824 B1 KR102027824 B1 KR 102027824B1 KR 1020180148065 A KR1020180148065 A KR 1020180148065A KR 20180148065 A KR20180148065 A KR 20180148065A KR 102027824 B1 KR102027824 B1 KR 102027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measuring device
flatness
fix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호
황철현
황성민
정숙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48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방향의 평탄면과 수평 방향의 기준면을 구비하는 측정기 몸체; 상기 측정기 몸체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주 삽입홀; 상기 측정기 몸체의 평탄면에 복수 개가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되며 측정눈금이 구비되는 측정자; 상기 측정자가 상기 몸체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 또는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전환시키는 측정자 고정장치; 및 상기 지주 삽입홀에 삽입되는 수평 지주를 포함하는 지주대;를 포함하는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판재용 평탄도 측정장치{PLANARITY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판재의 평탄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 측정시 발생하는 오차를 저감할 수 있는 판재용 평탄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판, 열연, 냉연 등 금속성 판재류 압연 공장에서는 작업 조건, 설비 상태 등 여러 내, 외부 변수로 인하여 제품 표면에 굴곡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단기에서 압연 날판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할때 절단면에 위로 볼록하거나 아래로 볼록한 벤딩(bend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벤딩 형상을 'C'자형 만곡이라고도 한다.
판재에서 발생하는 만곡을 측정하기 위해서 자동 계측 설비를 이용할 수 있다. 자동 계측 설비는 공정 라인에 고정 설치되는 레이저 빔 측정 장치가 될 수 있다. 그런데, 자동 계측 설비의 이상이나 기타 측정 오류 발생시 등 자동 계측 설비에 의한 측정이 곤란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접 평탄도를 수동으로 계측해야 한다.
도 1은 직선자를 이용한 평탄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10)에는 복수개의 볼록점(또는 산이라고도 함)(P1,P2,P3,P4)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직선자(20)를 이용하여 볼록점 사이(산과 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도 2는 직선자와 테이퍼 게이지를 이용한 평탄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수평하게 배치된 정반의 위에 판재를 올려 놓은 후, 판재(10)의 상면에 직선자(20)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직선자(20)와 판재(10) 상면의 인접한 산과 산 사이의 골의 깊이를 테이퍼 게이지(30)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그런데 골의 깊이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테이퍼 게이지(30)를 골의 깊이 보다 더 깊게 찌르거나, 불안한 자세 등으로 측정할 경우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수동 평탄도 측정은 엄격한 측정 기준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이지만,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측정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작업으로 판재의 평탄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평탄도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 1인이 판재의 평탄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평탄도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판대의 평탄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평탄도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 방향의 평탄면과 수평 방향의 기준면을 구비하는 측정기 몸체; 상기 측정기 몸체의 평탄면에 복수 개가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되며 측정눈금이 구비되는 측정자; 및 상기 측정자가 상기 몸체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 또는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전환시키는 측정자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측정자 고정장치는, 상기 측정기 몸체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작동축; 상기 작동축의 일측에 고정된 마그네틱; 및 상기 작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조작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자는 상기 마그네틱에 자기력으로 부착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자 고정장치는 상기 측정기 몸체에 배치되어 전원의 공급 차단에 의하여 자기력이 인가 또는 해제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의 전원 공급을 조절하는 조작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측정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측정기 몸체에 결합된 연결핀으로 상기 측정기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핀은 상기 장공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장공의 양측 내면과 면접촉되는 목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기 몸체는 상기 측정기 몸체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주 삽입홀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지주 삽입홀에 배치되어 상기 지주 삽입홀에 배치되는 수평지주에 탄성력으로 접촉되는 고정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주 삽입홀은 상기 측정기 몸체가 자중에 의하여 평형 상태일 때, 상기 평탄면이 수직면이 되도록 배치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정기 몸체의 기준면과 평행하게 정렬된 상태로 상기 측정기 몸체에 고정된 수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직 방향의 평탄면과 수평 방향의 기준면을 구비하는 측정기 몸체; 상기 측정기 몸체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주 삽입홀; 상기 측정기 몸체의 평탄면에 복수 개가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되며 측정눈금이 구비되는 측정자; 상기 측정자가 상기 몸체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 또는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전환시키는 측정자 고정장치; 및 상기 지주 삽입홀에 삽입되는 수평 지주를 포함하는 지주대;를 포함하는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지주대는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 한 쌍의 수직 지주와, 상기 수직 지주에 상하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평 지주를 고정하는 연결 브래킷과, 상기 지주 삽입홀을 관통하며 상기 연결 브래킷에 고정되는 수평 지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는 수작업으로 판재의 평탄도를 측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는 판재의 평탄도 측정이 작업자 1인에 의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는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판재의 평탄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직선자를 이용한 평탄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직선자와 테이퍼 게이지를 이용한 평탄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자 고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평탄도 측정 장치의 수평지주에 대한 고정과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평탄도 측정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재용 평탄도 측정장치는 측정기 몸체(120)와, 측정자(140)와, 연결핀(150)과, 측정자 고정장치(160)를 포함한다.
측정기 몸체(120)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평탄면(122)을 구비한다. 평탄면(122)에 측정자(140)가 연결핀(150)에 의하여 고정된다. 도시된 도면에서 측정기 몸체(120)의 정면이 평탄면이다. 여기서 평탄면(122)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은, 측정기 몸체(120)가 정확하게 설치되었을 때 평탄면(122)이 수직면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측정기 몸체(120)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기준면(124)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측정기 몸체(120)의 바닥면이 기준면(124)이다. 기준면(124)은 측정자(140)의 높이 측정시의 기준이 되는 면으로 수평방향의 가상의 기준선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면(124)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측정기 몸체(120)가 정확하게 설치되었을 때 기준면(124)이 수평방향이 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결과적으로 측정기 몸체(120)가 정확하게 설치되었을 때, 정면이 수직면이 되고 바닥면이 수평면이 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측정기 몸체(120)는 직교하는 정면과 바닥면을 구비해야 하는 것이다.
측정기 몸체(120)는 이동용 손잡이(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용 손잡이(126)는 작업자가 측정기 몸체(120)를 이동시킬 때 편리하게 측정기 몸체(12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이동용 손잡이(126)가 측정기 몸체(12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형태로 측정기 몸체(120)의 정면과 배면의 윗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동용 손잡이(126)는 측정자(140)의 움직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측정자(140)는 복수 개가 기준면에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된다. 측정자(140)는 측정 눈금(144)을 구비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측정자(140)가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수단으로는 측정자(140)의 측면을 지지하는 돌기나 리브가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선형 가이드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측정자(140)는 길이 방향으로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공(142)을 구비하고, 상기 장공(142)을 관통하는 연결핀(150)에 의하여 측정자(140)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한다. 연결핀(150)은 측정자(140)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과, 측정자(140)가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측정자(140)는 측정 눈금(144)을 구비하는데, 측정 눈금(144)은 측정자(140)가 측정기 몸체(120)로부터 인출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측정 눈금(144)을 읽는 기준점은 측정기 몸체(120)에 형성되거나, 연결핀(150)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측정자(140)는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판재의 곡면을 측정함에있어서 판재의 표면에 보다 정확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측정기 몸체(120)는 평탄면(122)이 중력방향과 나란한 수직면이 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측정자(140)는 중력(자중)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측정자(140)는 길이 방향으로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공(142)을 구비한다. 상기 장공(142)에 연결핀(150)이 관통된다. 연결핀(150)은 상기 장공의 폭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머리부(152)와 상기 장공(142)을 관통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목부(154)를 포함한다. 머리부(152)는 측정자(140)가 연결핀(15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목부(154)는 측정자(140)가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연결핀(150)의 목부(154)는 장공의 양면과 면접촉 또는 2점 이상의 다점 접촉 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측정자(140)가 수직 방향으로 상하로만 이동하고 사선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측정자(140)가 수직방향으로 하강하지 못하고, 사선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면 측정 결과에서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측정자(140)가 자중에 의하여 항상 낙하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평탄도 측정 장치를 설치하는 준비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진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는 측정자 고정장치(160)를 구비하여, 측정자(14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측정자 고정장치(160)를 조절하여 측정자(140)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전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측정자 고정장치(160)를 이용하여 측정자(140)가 측정기 몸체(120)에 인입된 상태로 고정시킨 후, 측정 대상 판재에 평탄도 측정 장치를 설치한다. 그리고 측정자 고정장치(160)를 조절하여 측정자(140)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면 측정자(140)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며 각각의 측정자(140)의 하단이 판재의 표면에 접촉할 때까지 하강하게 된다.
측정자 고정장치(160)는 자기력을 이용할 수 있다. 측정자 고정장치(160)는 작동축(162)과, 마그네틱(164)과, 조작레버(166)를 포함한다. 작동축(162)은 측정기 몸체(12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작동축(162)의 양단 또는 일단에는 조작레버(166)가 결합된다. 조작레버(166)와 작동축(162)은 일체로 회전한다. 조작레버(166)는 측정기 몸체(1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작동축(162)에는 자기력을 제공하는 마그네틱(164)이 부착된다. 마그네틱(164)은 작동축(162)의 일면에 배치되어 작동축의 회전 상태에 따라서 측정자(140)와 인접한 위치 또는 측정자(140)에서 멀어지는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마그네틱(164)이 측정자(140)에 인접한 위치가 되면, 측정자(140)가 마그네틱(164)을 향하여 흡입되므로, 마그네틱(164)의 자기력에 의하여 측정자(140)의 위치가 고정된다.
반대로, 마그네틱(164)이 측정자(140)에서 먼 위치가 되면, 측정자(140)에 미치는 마그네틱(164)의 자기력이 없거나 약하게 되므로, 측정자(140)는 자중에 하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측정기 몸체(120)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지주 삽입홀(125)을 구비한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지주 삽입홀(125)의 측정기 몸체(120)의 후방측에 형성된다.
측정기 몸체(120)는 지주 삽입홀(125)에 삽입되는 수평지주에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 때, 지주 삽입홀(125)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수평지주가 삽입되었을 때 자중에 의한 평형 상태에서 평탄면(122)이 수직면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 측정기 몸체(120)를 별도로 정렬하지 않아도 수평지주(도 7의 210)에 매달리면 측정기 몸체(120)의 평탄면(122)이 수직면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때, 측정기 몸체(120)의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평계(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계는 측정기 몸체의 기준면(124)과 평행하게 정렬된 상태로 상기 측정기 몸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측정기 몸체의 바닥면이 기준면이 되고, 측정기 몸체의 상면이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것으로, 측정기 몸체의 상면에 수평계(128)를 배치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측정기 몸체(120)를 수평지주(210)에 매달아 고정한 후, 수평계(128)를 확인하여 측정기 몸체(120)가 수평방향으로 정확하게 설치되었는지 다시 확인한 후 평탄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한편, 마그네틱(164)에 의하여 측정자(140)를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해서는 측정자(140) 전체가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측정자(140)의 일부분이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설명한 실시예는 측정자 고정장치(160)가 마그네틱으로 영구자석을 이용하고, 영구자석의 위치에 따라 측정자(140)의 고정 또는 해제가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측정자 고정장치(160)는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자 고정장치(160)는 측정자(14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전자석의 온(On)/오프(Off)를 조절하여 측정자의 고정 또는 해제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자 고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자 고정장치(160)의 마그네틱(164)이 측정자(140)와 근접한 위치에 있으면, 측정자(140)가 자기력에 의하여 측정기 몸체(120)에 밀착되며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면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자 고정장치(160)의 조작레버(166)를 180도 회전시켜 마그네틱(164)이 측정자(140)와 이격된 위치가 되도록 하면, 마그네틱(164)의 자기력이 측정자(140)를 흡인 하지 못하여, 측정자(140)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평탄도 측정 장치의 수평지주에 대한 고정과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탄도 측정 장치는 수평지주(210)가 삽입되는 지주 삽입홀(125)을 구비한다. 지주 삽입홀(125)에는 측정기 몸체(120)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측정기 몸체(120)와 수평지주(210)의 사이에 고정력을 부여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으로는 고정나사를 이용할 수 있다. 고정나사는 위치 고정이 필요한 경우 조여서 수평지주(210)가 측정기 몸체(120)에 고정되도록 하고, 위치 이동이 필요한 경우 고정나사를 풀고 측정기 몸체(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수단은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스프링(127)을 이용할 수 있다. 고정스프링(127)은 수평지주(210)의 하부와 지주 삽입홀(125) 사이에 배치되어 수평지주(210)와 지주 삽입홀(125)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수단으로 고정스프링(127)을 적용하는 경우, 도 7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기 몸체(120)를 들어올리게 되면 수평지주(210)와 지주 삽입홀(125) 사이의 마찰이 감소하게 된다. 다시말해 고정수단으로 고정스프링(127)이 적용된 경우 측정기 몸체(120)를 약간 들어 올려서 위치를 이동시키고 다시 내려 놓는 것으로 측정기 몸체(120)의 위치 이동과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측정 장치는 측정기 몸체가 고정되는 수평지주와 수평지주를 구비하는 지주대(200)를 포함한다.
지주대(200)는, 수직지주(220)와 연결브래킷(230)과 고정나사(235)와 수평지주(210)를 포함한다.
수직지주(2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수직방향으로 고정된다. 수직지주(220)의 하단에는 받침판(225)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브래킷(230)은 수직지주(220)에 상하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브래킷은 'T'자 또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지주(220)와 수평지주(21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브래킷(230)은 고정나사(235)를 구비하여 고정나사(235)의 조절에 의하여 고정과 해제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수평지주(210)는 수평을 확인할 수 있는 수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정반(50)의 위에 측정 대상 판재(10)를 안착한 후, 평탄도 측정 장치를 설치한다. 이 때, 측정기 몸체(120)는 수평지주(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설치 되며, 측정기 몸체(120)의 측정자(140)는 측정자 고정장치(16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 설치한다. 수평지주(210)가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을 측정기 몸체(120)에 부착된 수평계(128)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지주대(200)에 2개의 측정기 몸체(12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정 대상 판재(10)의 크기에 따라 또는 측정기 몸체의 크기에 따라서 수평지주에 복수의 측정기 몸체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측정기 몸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수평지주(210)에 눈금자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판재의 최고점과 최저점에 맞추어 측정기 몸체(120)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판재의 평탄도를 다양한 형태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평탄도 측정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수평으로 설치된 정반(50)의 위에 측정 대상물이 판재(10)를 올려 놓고, 판재(10)의 위쪽에 측정기 몸체(120)가 수평이 되도록 설치 한다.
측정기 몸체(120)의 설치는, 측정자(140)가 측정자 고정장치(160)에 의하여 측정기 몸체(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기 몸체(1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측정자 고정장치(160)를 조절하여 측정자(140)의 고정을 해제하면, 측정자(140)는 측정 대상 판재의 표면에 접촉할 때까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측정자(140)들의 눈금을 읽어 측정 대상 판재의 평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판재 20: 직선자
30: 테이퍼 게이지 50: 정반
120: 측정기 몸체 122: 평탄면
124: 기준면 125: 지주 삽입홀
126: 이동용 손잡이 127: 고정스프링
128: 수평계 140: 측정자
142: 장공 144: 측정 눈금
150: 연결핀 152: 머리부
154: 목부 160: 측정자 고정장치
162: 작동축 164: 마그네틱
166: 조작레버 200: 지주대
210: 수평지주 220: 수직지주
225: 받침판 230: 연결브래킷
235: 고정나사

Claims (13)

  1. 수직 방향의 평탄면과 수평 방향의 기준면을 구비하는 측정기 몸체;
    상기 측정기 몸체의 평탄면에 복수 개가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되며 측정눈금이 구비되는 측정자; 및
    상기 측정자가 상기 몸체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 또는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전환시키는 측정자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자 고정장치는 상기 측정기 몸체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작동축; 상기 작동축의 일측에 고정된 마그네틱; 및 상기 작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조작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자는 상기 마그네틱에 자기력으로 부착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측정기 몸체에 결합된 연결핀으로 상기 측정기 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상기 장공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장공의 양측 내면과 면접촉되는 목부를 구비하는 판재용 평탄도 측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 몸체는
    상기 측정기 몸체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주 삽입홀을 구비하는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 몸체는
    상기 지주 삽입홀에 배치되어, 상기 지주 삽입홀에 삽입된 수평지주에 탄성력으로 접촉되는 고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 몸체의 기준면과 평행하게 정렬된 상태로 상기 측정기 몸체에 고정된 수평계를 더 포함하는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
  8. 수직 방향의 평탄면과 수평 방향의 기준면을 구비하는 측정기 몸체;
    상기 측정기 몸체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주 삽입홀;
    상기 측정기 몸체의 평탄면에 복수 개가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되며 측정눈금이 구비되는 측정자;
    상기 측정자가 상기 몸체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 또는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전환시키는 측정자 고정장치; 및
    상기 지주 삽입홀에 삽입되는 수평 지주를 포함하는 지주대;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자 고정장치는 상기 측정기 몸체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작동축; 상기 작동축의 일측에 고정된 마그네틱; 및 상기 작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조작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자는 상기 마그네틱에 자기력으로 흡인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는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 한 쌍의 수직 지주와,
    상기 수직 지주에 상하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평 지주를 고정하는 연결 브래킷과,
    상기 지주 삽입홀을 관통하며 상기 연결 브래킷에 고정되는 수평 지주를 포함하는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 몸체는
    상기 지주 삽입홀에 삽입된 지주에 탄성력으로 접촉되는 고정스프링과,
    상기 측정기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이동용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삽입홀은
    상기 측정기 몸체의 자중에 의한 평형 상태에서 상기 측정기 몸체의 평탄면이 수직면이 되도록 배치된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자 고정장치는
    상기 측정기 몸체에 배치되어 전원의 공급 차단에 의하여 자기력이 인가 또는 해제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의 전원 공급을 조절하는 조작스위치를 포함하는 판재용 평탄도 측정 장치.
KR1020180148065A 2018-11-27 2018-11-27 판재용 평탄도 측정장치 KR102027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065A KR102027824B1 (ko) 2018-11-27 2018-11-27 판재용 평탄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065A KR102027824B1 (ko) 2018-11-27 2018-11-27 판재용 평탄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824B1 true KR102027824B1 (ko) 2019-10-02

Family

ID=6842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065A KR102027824B1 (ko) 2018-11-27 2018-11-27 판재용 평탄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8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7658A (zh) * 2020-02-11 2020-05-29 胡增永 一种建筑施工用平整度检测装置
CN113776489A (zh) * 2021-09-16 2021-12-10 王绪敖 一种瓦楞纸板翘曲度检测装置
CN115029999A (zh) * 2022-07-05 2022-09-09 中国建筑土木建设有限公司 一种找平装置
CN117490547A (zh) * 2023-12-27 2024-02-02 中国建筑西北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装配式建筑安装平整度测量装置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4302U (ko) * 1985-08-16 1987-02-28
KR20000017756U (ko) * 1999-03-04 2000-10-05 정순규 노상 맨홀의 고저측정기
JP2004251834A (ja) * 2003-02-21 2004-09-09 Seiko Epson Corp ワーク適用装置及びワーク解体システム
US20130125409A1 (en) * 2011-11-22 2013-05-23 Charles Conigliaro Mattress Measurement Device
CN108226442A (zh) * 2016-12-21 2018-06-29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水土流失定位监测设备及监测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4302U (ko) * 1985-08-16 1987-02-28
KR20000017756U (ko) * 1999-03-04 2000-10-05 정순규 노상 맨홀의 고저측정기
JP2004251834A (ja) * 2003-02-21 2004-09-09 Seiko Epson Corp ワーク適用装置及びワーク解体システム
US20130125409A1 (en) * 2011-11-22 2013-05-23 Charles Conigliaro Mattress Measurement Device
CN108226442A (zh) * 2016-12-21 2018-06-29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水土流失定位监测设备及监测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7658A (zh) * 2020-02-11 2020-05-29 胡增永 一种建筑施工用平整度检测装置
CN111207658B (zh) * 2020-02-11 2021-11-23 嘉兴博创智能传感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平整度检测装置
CN113776489A (zh) * 2021-09-16 2021-12-10 王绪敖 一种瓦楞纸板翘曲度检测装置
CN113776489B (zh) * 2021-09-16 2024-05-14 江门德澳纸品有限公司 一种瓦楞纸板翘曲度检测装置
CN115029999A (zh) * 2022-07-05 2022-09-09 中国建筑土木建设有限公司 一种找平装置
CN117490547A (zh) * 2023-12-27 2024-02-02 中国建筑西北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装配式建筑安装平整度测量装置及方法
CN117490547B (zh) * 2023-12-27 2024-03-15 中国建筑西北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装配式建筑安装平整度测量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824B1 (ko) 판재용 평탄도 측정장치
KR102094229B1 (ko) 교량 받침의 연단거리와 변형량 및 높이 측정 점검장치
US10254191B2 (en) Inclining test equipment
CN111537335A (zh) 一种单空间万能试验机
CN104655384A (zh) 一体式导风板抗剪切强度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20190074496A (ko) 프레스 가공품 3차원 측정용 범용 검사구
CN210533669U (zh) 一种镜头mtf检测工装
KR101482267B1 (ko) 피 측정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마모량측정방법
KR101080194B1 (ko)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KR20060104169A (ko) 스크라이브 기구
JP5735347B2 (ja) 外側寸法測定機
CN112902908B (zh) 花岗石工作台气浮导轨表面精度检定装置及检定方法
CN109702706B (zh) 一种划线装置
KR101566685B1 (ko) 레이저빔 포인팅 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
CN108253995B (zh) 激光水平仪调校机
JP2013178156A (ja) 測定対象物支持装置及び形状計測器
CN104544744A (zh) 模具激光调校尺
KR20210096139A (ko) 테이블
CN220783620U (zh) 一种夹具跨距调整机构
JP6161079B2 (ja) ベンダ補助具
CN218496546U (zh) 打标距辅助装置
CN215296918U (zh) 双推可调跨距弯曲力学性能试验辅具
CN218120838U (zh) 一种大型吊耳尺寸测量工具
CN212110892U (zh) 一种单空间万能试验机
CN211697248U (zh) 楔压强度试验工装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