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194B1 -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194B1
KR101080194B1 KR1020090036047A KR20090036047A KR101080194B1 KR 101080194 B1 KR101080194 B1 KR 101080194B1 KR 1020090036047 A KR1020090036047 A KR 1020090036047A KR 20090036047 A KR20090036047 A KR 20090036047A KR 101080194 B1 KR101080194 B1 KR 101080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pair
horizontal
assembly hol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7352A (ko
Inventor
최영창
김학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36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19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7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 B22D41/13Ladle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10Auxiliary devices, e.g.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rch
    • B23K7/102Auxiliary devices, e.g.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rch for controlling the spa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pieces and the gas torch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 C03B5/43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e.g. fire-br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주조설비에서 주편을 절단하는 절단토치의 수평 절단선과 수직 절단선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는 연속주조설비의 주편 절단장치에 한 쌍으로 구성되는 절단토치의 수평 및 수직 절단선을 일치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각 상기 한 쌍의 절단토치에 장착되고, 절단되는 주편의 상면과 수직방향으로 수직 조립공이 형성되며, 주편의 상면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조립공 및 주편의 상면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 조립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한 쌍의 조립체와; 상기 한 쌍의 조립체에 형성되는 수직 조립공, 수평 조립공 및 경사 조립공에 각각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한 쌍의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한다.
토치, 정렬선, 조정, 레이저 포인터

Description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TORCH ARRANGEMENT LINE ADJUSTING DEVICE}
본 발명은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주조설비에서 주편을 절단하는 절단토치의 수평 절단선과 수직 절단선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장치는 제강로에서 생산되어 레이들로 이송된 용강을 턴디쉬에 받았다가 주형에 공급하여 일정한 크기의 주편을 연속 생산하는 설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속주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레이들 터렛트(Ladle Turret)(1)에 설치된 레이들(Ladle)(2)에 불순물 제거 및 화학성분 조정이 완료된 용강을 채우고, 레이들(2)에 채워진 용강을 원통형 내화벽돌로 된 노즐을 통하여 턴디쉬(Tundish)(3)에 붓는다. 턴디쉬(3)에 저장된 용강은 원통형 내화벽돌로 된 침지 노즐(3a)을 통하여 주형(4)으로 주입되어 주형(4)에 의해 대판 상의 주편(Slab)으로 주조된다. 주형(4) 은 내부에 냉각기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용강이 유입되면서 냉각되어 주형(4)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주편(5)이 주조되는 것이다. 주형(4)을 빠져나온 주편(5)은 상하 이송 롤러(6) 사이를 이동하여 연속적으로 주조된다. 이렇게 연속적으로 주조된 주편(5)은 절단기(7)에 의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고 테이블 롤러(6a)에 의하여 집하장으로 이송된다.
한편 절단기(7)는 주편(5)의 상부측에서 주편(5)의 폭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한 쌍의 절단토치(7a,7b)를 갖추고, 상기 절단토치(7a,7b)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불꽃으로 주편(5)을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절단기는 주편 위를 진행하는 절단토치의 수직 절단선과 수평 절단선이 사용중 또는 보수작업 후에 변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절단토치의 수직 절단선 및 수평 절단선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경우에는 주편의 절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만, 절단토치의 수직 절단선 및 수평 절단선이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주편의 절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주편 절단면의 불량은 절단 작업 후 절단면에 제품 사양 등을 마킹하는 작업시 마킹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마킹 노즐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주편의 절단면이 불량은 경우에는 조업자에 의한 수동 절단을 하거나 절단면을 가공하는 후처리를 하여야만 한다.
하지만,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방법은 냉각된 주편을 절단기의 하부에 배치하고 절단토치 바디에 더미 노즐(Dummy Nozzle)을 장착한 다음, 절단기를 작동시켜 주편의 상면에 그려지는 선을 보면서 두 절단토치의 수평 절단선 편차 상태를 확인하고, 수준기를 절단토치 바디에 붙여서 수직도를 측정하여 두 절단토치의 수직 절단선과 기울어짐 편차 값을 측정하고 이들을 교정하여 두 절단토치의 수평 및 수직 절단선 상태를 조정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작업은 냉각된 주편을 크레인과 같은 대형 장비로 냉각된 옮겨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주편의 상면에 그려지는 절단선에 의해 정렬선을 판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절단토치의 수평 정렬 정도는 판단하고 조정할 수 있으나, 절단토치의 수직 정렬 정도는 판단하거나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직진성을 갖는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절단기에 구비되는 절단토치의 수직 절단선 및 수평 절단선를 측정 및 판단하여 두 절단토치의 수직 절단선 및 수평 절단선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는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는 연속주조설비의 주편 절단장치에 한 쌍으로 구성되는 절단토치의 수평 및 수직 절단선을 일치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각 상기 한 쌍의 절단토치에 장착되고, 절단되는 주편의 상면과 수직방향으로 수직 조립공이 형성되며, 주편의 상면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조립공 및 주편의 상면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 조립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한 쌍의 조립체와; 상기 한 쌍의 조립체에 형성되는 수직 조립공, 수평 조립공 및 경사 조립공에 각각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한 쌍의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조립체에 각각 형성되는 수평 조립공 및 경사 조립공은 상호 간의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평 조립공은 서로 대향 되도록 일직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 조립공은 상호 간의 중간지점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절단되는 주편과 대응되는 상면을 갖는 금긋기판과, 상기 금긋기판의 상면 중 상기 한 쌍의 절단토치 사이에서 입설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이저 포인터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광이 각각 투영되는 수평 측정체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측정체는 상기 금긋기판에 부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서 입설되고, 눈금이 격자 모양으로 표시되는 측정판을 포함한다.
상기 조립체의 수직 조립공에 각각 탈착되는 금긋기펜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금긋기펜체는 상기 수직 조립공에 탈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는 금긋기펜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절단토치에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조립체가 각각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어댑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절단토치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제1체결공과 연통되는 제2체결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을 동시에 관통하여 절단토치와 어댑터를 고정시키는 체결핀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단토치에 수평, 수직 또는 경사지도록 레이저 포인트를 장착하고, 다양하게 장착되는 레이저 포인트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두 절단토치의 수평도 및 수직도를 정확하게 측정 및 판단할 수 있고, 레이저광을 보면서 두 절단토치의 수직 절단선 및 수평 절단선의 정렬을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두 절단토치의 수직 절단선 및 수평 절단선 정렬시 레이저 포인트 및 조립체와 같이 조업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함에 따라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작업을 간소화하면서 정밀도를 높일 수 있어 양질의 주편 절단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가 구비되는 절단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 및 금긋기펜체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4의 (a)는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금긋기펜체의 분해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정렬선 조정작업이라 함은 절단기(7)에 구비되는 좌우 두 개의 절단토치(7a,7b)에 장착된 노즐의 수평 절단선과 수직 절단 선을 서로 각각 일치되도록 맞추는 작업을 말하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는 한 쌍의 절단토치(7a,7b)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조립체(10)와; 상기 한 쌍의 조립체(10)에 수직, 수평 또는 경사지도록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레이저 포인터(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조립체(10)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금긋기펜체(30)와; 절단되는 주편과 대응되는 상면을 갖는 금긋기판(40)과; 상기 한 쌍의 레이저 포인터(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광이 각각 투영되는 수평 측정체(50)와; 상기 한 쌍의 조립체(10)를 절단토치(7a,7b)에 용이하게 장착시키는 한 쌍의 어댑터(60)를 더 포함한다.
조립체(10)는 상기 레이저 포인터(20) 및 금긋기펜체(30)가 장착되는 수단으로서, 대략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조립체(10)에는 절단되는 주편의 상면과 수직방향으로 수직 조립공(11)이 형성되며, 주편의 상면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조립공(12) 및 주편의 상면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 조립공(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조립체(10)에 각각 형성되는 수평 조립공(12) 및 경사 조립공(13)은 상호 간의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평 조립공(12)은 서로 대향 되도록 일직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 조립공(13)은 상호 간의 중간지점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 조립공(12), 경사 조립공(13) 및 수직 조립공(11)은 모두 동일한 직경으로 형 성되어 하나의 레이저 포인터(20)를 수평 조립공(12), 경사 조립공(13) 및 수직 조립공(11)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립체(10)의 외주면 상부에는 절단토치(7a,7b) 및 어댑터(60)에 손쉽게 나사결합시켜 탈부착하기 용이하도록 나사산(15)이 형성된다. 그리고, 나사산(15)이 형성된 부위의 하부에는 조립체(10)를 절단토치(7a,7b) 및 어댑터(60)에 나사결합시킬 때 공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작업하기 위하여 육각 너트부(1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포인터(20)는 조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수단으로서, 조사된 레이저광을 조업자가 식별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의 레이저 포인터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절단토치(7a,7b)의 수직 절단선 및 수평 절단선 정렬의 정확도를 위하여 편차의 허용치보다 작은 직경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포인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레이저 포인터(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직경이 작으면 작을수록 더욱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금긋기펜체(30)는 상기 조립체(10)의 수직 조립공(11)에 조립되어 금긋기판(40)에 실제 금을 긋는 수단으로서, 상기 수직 조립공(11)에 탈착되는 샤프트(31)와, 상기 샤프트(31)에 장착되는 금긋기펜(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샤프트(31)는 상기 수직 조립공(11)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조립공(11)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 또는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 시예에서는 단면이 삼각형인 샤프트(31)를 제시하였고, 단면 중 최대폭이 상기 수직 조립공(11)의 직경에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금긋기펜(33)은 상기 금긋기판(40)에 흠집을 낼 수 있는 뾰족한 수단이거나 상기 금긋기판(40)에 실제 금을 그을 수 있는 유성펜 또는 수성펜이다. 그래서 절단기(7)를 작동시키면 조업자의 선택에 따라 금긋기판(40)에 흠집 또는 선을 그릴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흠집 또는 선이 한 쌍의 절단토치(7a,7b)에 의해 주편이 절단되는 절단선이 된다.
그리고, 상기 금긋기펜(33)을 상기 샤프트(31)에 장착시킬 때 금긋기펜(33)의 상단부에 스프링(미도시)을 삽입하여 금긋기펜(33)이 금긋기판(40)에 접촉될 때 상부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켜 금긋기펜(33)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금긋기판(40)은 연속주조작업 중 절단되는 주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상면이 주편과 마찬가지로 평평하게 마련된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조업자가 금긋기판(40)을 이송 롤러(6)의 상부에 손쉽게 장착하기 위하여 금긋기판(40)의 저면은 이송 롤러(6)의 외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굴곡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금긋기판(40)의 상면에는 절단토치(7a,7b)의 수직 절단선 및 수평 절단선의 정밀한 측정 및 판단을 위하여 기준선 또는 격자 모양의 눈금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긋기판(40)의 상면에 모눈종이를 부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수평 측정체(50)는 레이저 포인터(20)가 수평 조립공(12) 또는 수직 조립공(11)에 장착되었을 때 레이저 포인터(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광이 각각 투영되 어 조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금긋기판(40)에 부착되는 지지대(51)와, 상기 지지대(51)에서 입설되고, 눈금이 격자 모양으로 표시되는 측정판(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51)는 측정판(53)을 상기 금긋기판(40)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측정판(53)을 금긋기판(40)에 수직으로 입설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금긋기판(40)에 부착하기 용이하도록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어 자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판(53)은 한 쌍의 레이저 포인터(20)에서 조사되는 각각의 레이저광이 측정판(53)의 양면에 각각 투영될 수 있도록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단토치(7a,7b)의 수평 절단선을 정확하게 측정 및 판단하기 위하여 측정판(53)의 양면에 표시된 눈금이 동일한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댑터(60)는 상기 조립체(10)를 절단토치(7a,7b)에 보다 정밀하면서 손쉽게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절단토치(7a,7b)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고, 내주연의 하부에는 상기 조립체(10)의 나사산(15)에 대응되는 나사산(61)이 형성되어 절단토치(7a,7b)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60)를 절단토치(7a,7b)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핀(65)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핀(65)으로 어댑터(60)와 절단토치(7a,7b)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절단토치(7a,7b)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핀(65)이 관통되는 제1체결공(7c)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60)에는 상기 제1체결공(7c)과 연통되며 상기 체결핀(65)이 관통되는 제2체결 공(6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핀(65)이 "U"자 형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제1체결공(7c) 및 제2체결공(63)이 상기 절단토치(7a,7b) 및 어댑터(60)의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체결핀(65)이 제1체결공(7c) 및 제2체결공(63)을 동시에 관통함에 따라 어댑터(60)를 절단토치(7a,7b)에 고정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체결핀(65)과 제1체결공(7c) 및 제2체결공(63)은 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어댑터(60)를 절단토치(7a,7b)에 정확하면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도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절단기의 절단토치 정렬선을 조정하는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절단토치의 수평 절단선을 정렬하는 일실시예의 작업을 보여주는 작업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절단토치의 수평 절단선을 정렬하는 다른 실시예의 작업을 보여주는 작업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절단토치의 수직 절단선을 정렬하는 작업을 보여주는 작업상태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절단토치의 수평 절단선을 정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단토치(7a,7b)를 홈 포지션, 즉 두 개의 절단토치(7a,7b)가 가장 넓은 거리로 이격되는 지점에 위치시키고, 절단토치(7a,7b)에 장착된 노즐을 제거한다. 그 리고 어댑터(60)를 이용하거나 직접 한 쌍의 조립체(10)를 두 절단토치(7a,7b)의 하단에 각각 장착한다. 그리고 조립체(10)에 형성된 수평 조립공(12)에 레이저 포인터(2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한 쌍의 레이저 포인터(20)는 서로 대향 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두 절단토치(7a,7b)의 중간지점에 수평 측정체(50)를 배치한다. 이때 수평 측정체(50)의 양면, 즉 측정판(53)의 양면이 각각 레이저 포인터(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광과 수직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한다.
이렇게 수평 절단선을 정렬할 준비가 되었다면 절단토치(7a,7b)가 홈 포지션에 위치된 상태에서 레이저 포인터(20)를 작동시켜 측정판의 양면에 각각의 레이저 포인터(20)에서 조사된 레이저광이 투영되도록 한다. 그리고 측정판(53)의 양면에 투영된 레이저광의 위치를 일치시켜 미트 포지션에서의 수평도를 정렬한다. 이때 레이저광이 일치된 투영점(A10)을 표시한다. 그리고 절단기를 작동시켜 절단토치(7a,7b)가 미트 포지션, 즉 두 개의 절단토치(7a,7b)가 가장 좁은 거리로 근접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측정판(53)에 투영된 레이저광의 투영점(A21,A22)을 표시한다. 만약 홈 포지션에서 조사된 투영점(A10)과 미트 포지션에서 조사된 투영점(A21,A22)의 편차가 발생되었다면 그 편차만큼 두 절단토치(7a,7b)의 수평 절단선이 정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절단토치(7a,7b)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함에 따라 두 절단토치(7a,7b)의 수평 절단선을 정렬시킨다. 이렇게 절단토치(7a,7b)의 미세조정을 반복하여 홈 포지션에서 조사된 투영점(A10)과 미트 포지션에서 조사된 투영점(A21,A22)의 편차가 허용범위 이내로 좁혀진다면 두 절단토치(7a,7b)의 수평 절단선의 정렬이 완료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절단토치의 수평 절단선을 정렬하는 다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송 롤러에 금긋기판(40)을 고정시킨다. 만약 금긋기판(40)에 기준선 및 눈금이 표시되지 않았다면, 금긋기판(40)의 상면에 모눈종이를 부착하고, 기준선을 설정한다. 그리고 전술된 수평 절단선의 정렬방법과 마찬가지로 절단토치(7a,7b)를 홈 포지션에 위치시키고, 절단토치(7a,7b)에 장착된 노즐을 제거한 다음 조립체(10)를 절단토치(7a,7b)의 하단에 장착한다. 그리고 조립체(10)에 형성된 경사 조립공(13)에 레이저 포인터(2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렇게 수평 절단선을 정렬할 준비가 되었다면 절단토치(7a,7b)가 홈 포지션에 위치된 상태에서 레이저 포인터(20)를 작동시켜 금긋기판의 상면에 설정되는 기준선에 각각의 레이저 포인터(20)에서 조사된 레이저광이 투영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투영된 레이저광의 투영점(B11,B12)을 표시한다. 그리고 절단기를 작동시켜 절단토치(7a,7b)가 미트 포지션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금긋기판(40)의 상면에 투영된 레이저광의 투영점(B21,B22)을 표시한다. 만약 미트 포지션에서 조사된 투영점(B21,B22)과 기준선 사이의 편차가 발생되었다면 그 편차만큼 두 절단토치(7a,7b)의 수평 절단선이 정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절단토치(7a,7b)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함에 따라 두 절단토치(7a,7b)의 수평 절단선을 정렬시킨다. 이렇게 절단토치(7a,7b)의 미세조정을 반복하여 홈 포지션에서 미트 포지션으로 이동되는 동안 레이저 포인터(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광이 허용범위 이내에서 기준선을 따라 조사된다면 두 절단토치(7a,7b)의 수평 절단선의 정렬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두 가지 방법 중 레이저 포인터(20)를 조립체(10)에 형성되는 수평 조립공(12) 또는 경사 조립공(13) 중 어느 곳에 장착하느냐에 따라 수평 절단선을 정렬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절단토치의 수직 절단선을 정렬하는 다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송 롤러에 금긋기판(40)을 고정시킨다. 만약 금긋기판(40)에 눈금이 표시되지 않았다면, 금긋기판(40)의 상면에 모눈종이를 부착한다. 그리고 전술된 수평 절단선의 정렬방법과 마찬가지로 절단토치(7a,7b)를 홈 포지션에 위치시키고, 절단토치(7a,7b)에 장착된 노즐을 제거한 다음 조립체(10)를 절단토치(7a,7b)의 하단에 장착한다. 그리고 조립체(10)에 형성된 수직 조립공(11)에 레이저 포인터(2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렇게 수직 절단선을 정렬할 준비가 되었다면 두 개의 절단토치(7a,7b)를 최대한 상승시킨 상태에서 레이저 포인터(20)를 작동시켜 금긋기판(40)의 상면에 각각의 레이저 포인터(20)에서 조사된 레이저광이 투영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투영된 레이저광의 투영점(C11,C12)을 표시한다. 그리고 절단기를 작동시켜 절단토치(7a,7b)를 최대한 하강시킨 상태에서 금긋기판(40)의 상면에 투영된 레이저광의 투영점(C21,C22)을 표시한다. 만약 최대 상승 위치에서 조사된 투영점(C11,C12)과 최대 하강 위치에서 조사된 투영점(C21,C22)의 편차가 발생되었다면 그 편차만큼 두 절단토치(7a,7b)의 수직 절단선이 정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절단토치(7a,7b)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함에 따라 두 절단토치(7a,7b)의 수직 절단선을 정렬시킨다. 이렇게 절단토치(7a,7b)의 미세조정을 반복하여 최대 상승 위치에서 조사된 투영점(C11,C12)과 최대 하강 위치에서 조사된 투영점(C21,C22)이 허용범위 이내로 좁혀진다면 두 절단토치(7a,7b)의 수직 절단선의 정렬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두 절단토치(7a,7b)의 수평 절단선 및 수직 절단선의 정렬이 완료되면 두 절단토치(7a,7b)를 홈 포지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립체(10)의 수직 조립공(11)에 금긋기펜체(30)를 장착한다. 그리고 절단기를 작동시켜 절단토치(7a,7b)가 미트 포지션으로 이동되는 동안 금긋기펜체(30)가 금긋기판(40)의 상면에 절단선을 표시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두 절단토치(7a,7b)에 의해 표시되는 절단선이 허용범위 이내에서 일직선으로 표시된다면 두 절단토치(7a,7b)의 수평 절단선 및 수직 절단선의 정렬이 완료된 것이고, 이때 금긋기판(40)의 상면에 표시된 절단선이 실제 연속주조공정 시 주편을 절단하는 절단선이 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속주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가 구비되는 절단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 및 금긋기펜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절단토치의 수평 절단선을 정렬하는 일실시예의 작업을 보여주는 작업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절단토치의 수평 절단선을 정렬하는 다른 실시예의 작업을 보여주는 작업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절단토치의 수직 절단선을 정렬하는 작업을 보여주는 작업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조립체 11: 수직 조립공
12: 수평 조립공 13: 경사 조립공
20: 레이저 포인터 30: 금긋기펜체
40: 금긋기판 50: 수평 측정체
60: 어댑터

Claims (8)

  1. 연속주조설비의 주편 절단장치에 한 쌍으로 구성되는 절단토치의 수평 및 수직 절단선을 일치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각 상기 한 쌍의 절단토치에 장착되고, 절단되는 주편의 상면과 수직방향으로 수직 조립공이 형성되며, 주편의 상면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조립공 및 주편의 상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조립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한 쌍의 조립체와;
    상기 한 쌍의 조립체에 형성되는 수직 조립공, 수평 조립공 및 경사 조립공에 각각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한 쌍의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하는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조립체에 각각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수평 조립공 및 경사 조립공은 상호 간의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평 조립공은 서로 대향 되도록 일직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 조립공은 상호 간의 중간지점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절단되는 주편과 대응되는 상면을 갖는 금긋기판과,
    상기 금긋기판의 상면 중 상기 한 쌍의 절단토치 사이에서 입설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이저 포인터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광이 각각 투영되는 수평 측정체를 포함하는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평 측정체는
    상기 금긋기판에 부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서 입설되고, 눈금이 격자 모양으로 표시되는 측정판을 포함하는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의 수직 조립공에 각각 탈착되는 금긋기펜체를 더 포함하는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금긋기펜체는
    상기 수직 조립공에 탈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는 금긋기펜을 포함하는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절단토치에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조립체가 각각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절단토치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제1체결공과 연통되는 제2체결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을 동시에 관통하여 절단토치와 어댑터를 고정시키는 체결핀이 더 구비되는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KR1020090036047A 2009-04-24 2009-04-24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KR101080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047A KR101080194B1 (ko) 2009-04-24 2009-04-24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047A KR101080194B1 (ko) 2009-04-24 2009-04-24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352A KR20100117352A (ko) 2010-11-03
KR101080194B1 true KR101080194B1 (ko) 2011-11-07

Family

ID=4340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047A KR101080194B1 (ko) 2009-04-24 2009-04-24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586B1 (ko) * 2016-10-18 2019-03-07 주식회사 포스코 절단장치
KR101883381B1 (ko) 2017-04-18 2018-07-30 주식회사 포스코 감지 장치 및 절단 장치
KR102201655B1 (ko) * 2018-12-19 2021-01-11 주식회사 포스코 정렬을 위한 위치측정수단을 갖는 슬라브 절단 토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154Y1 (ko) 2001-01-29 2001-06-15 박용진 펜 기구 장착 토치
KR100671019B1 (ko) 2005-06-30 2007-01-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선 추적용 레이저 비전 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154Y1 (ko) 2001-01-29 2001-06-15 박용진 펜 기구 장착 토치
KR100671019B1 (ko) 2005-06-30 2007-01-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선 추적용 레이저 비전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352A (ko)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166435U (zh) 钻孔工装
KR101080194B1 (ko)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KR102027824B1 (ko) 판재용 평탄도 측정장치
CN107336799B (zh) 一种舱储系统基础梁安装方法
CN102865825A (zh) 接触式薄板材厚度手动测量仪
JP6550306B2 (ja) レール端面平面度測定治具
CN107891131B (zh) 一种圆坯连铸机结晶器对中装置及其对中方法
KR101958973B1 (ko) 롤 정렬 검사장치
CN109764839A (zh) 一种行星齿轮尺寸检测设备
KR20060104169A (ko) 스크라이브 기구
CN214640267U (zh) 一种中间包快速对中机构
CN110116337B (zh) 重型风机底座毛坯的余量检验和划线工装及其使用方法
CN210014725U (zh) 用于测量轴外壁斜置孔位置精度的检具
CN210400313U (zh) 一种槽钢/工字钢加工孔位连续测量仪
KR20170022154A (ko) 코일의 텔레스코프 측정기
CN112880566A (zh) 一种大型测长机专用辅助读数装置及其应用
CN211541191U (zh) 一种划线装置
KR19990086663A (ko) 다기능 계측용 공구
CN213090671U (zh) 一种物品表面平整度测量装置
CN217687052U (zh) 大尺寸熔石英块的侧面垂直度快速检测装置
CN112045154A (zh) 一种在线测量板坯结晶器电磁感应强度的辅助装置及方法
CN211651443U (zh) 长轴质量检测装置
CN211996087U (zh) 一种薄板平整度控制装置
CN209013907U (zh) 一种用于模具配件的检查装置
KR20180032095A (ko) 승강장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