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424B1 - 직물의 재단 방법 - Google Patents

직물의 재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424B1
KR102027424B1 KR1020130168670A KR20130168670A KR102027424B1 KR 102027424 B1 KR102027424 B1 KR 102027424B1 KR 1020130168670 A KR1020130168670 A KR 1020130168670A KR 20130168670 A KR20130168670 A KR 20130168670A KR 102027424 B1 KR102027424 B1 KR 102027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fabric
reference point
woven
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8872A (ko
Inventor
진혜승
윤정훈
김희준
곽동진
이상목
김기정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8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424B1/ko
Publication of KR20150078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14Cutting fabrics by cutting the weft or warp threads while making special provision to avoid cutting warp or weft threads, respectively, adjacent to the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의 재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일체형 직조 방식(OPW, One Piece Woven)으로 팽창부와 비팽창부가 동시에 직조되는 에어백 원단 또는 직물을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자동 재단함에 있어서, 비팽창부 데드 존에 소정의 제직 패턴으로 이루어진 마커를 재단 기준점으로 적용함으로써 별도의 색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보다 효율적으로 부분적으로 다중직인 직물의 원단을 재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물의 재단 방법 {PROCESS FOR CUTTING A FABRIC}
본 발명은 직물의 재단 방법, 특히 에어백용 직물의 재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에어백을 제조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개의 직물을 봉제, 융착 또는 접착하여 사용하는 방법과, 일체형 직조 방식(OPW, One Piece Woven)으로 분리된 2개 이상의 다중직 직물층과 이를 구분하는 접결부를 동시에 직조한 후에,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과 같이 두 개의 직물을 봉제하거나, 열 또는 초음파 처리로 융착하거나, 또는 접착제로 접착하여 공기부품성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두 개의 층을 구성하는 개별 원단을 각각 제조한 후 별도의 봉제공정, 융착공정 또는 접착공정이 필요하여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원가도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상기한 두 번째의 일체형 직조 방식(OPW, One Piece Woven)으로 에어백을 제조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일체형 직조 방식(OPW, One Piece Woven)으로 동시에 직조하는 경우에는, 분리된 2개 이상의 다중직 직물층과 이를 구분하는 접결부가 명확히 인식되어 재단 공정이 수행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에어백의 효율적인 제조를 위하여, 에어백 원단 또는 직물을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자동 재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자동 재단을 위한 일부의 장치에서, 이 장치가 직물을 재단할 곳을 결정할 수 있도록 자동 리딩 시스템(본 명세서에서 자동 마커 인식 장치라고도 지칭됨)이 직물상의 마킹을 읽는 데 사용된다. 이 장치는 예를 들면 커팅 레이저를 사용하여 직물을 재단할 수 있다.
이러한 마킹은 예를 들면, 다르게 착색된 실을 이용하는 다양한 조직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미국특허 제6,932,120호는 경사의 군과 위사의 군이 착색되어, 웹 재단을 제어하는 광학기반 가이드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패치를 형성하는 마킹 방법을 개시하며, 이 패치에서 경사와 위사는 교차하며, 그러한 패치는 데이타 마킹 또는 기준 위치를 형성하며 이에 기초하여 자동 재단 장치는 직물이 재단되어야 할 곳을 정한다.
착색된(예를 들면, 검정색) 경사 및 위사의 군 사이의 교차를 이용하여 재단 장치를 위한 광학 리딩 및 가이딩 수단에 의하여 인식되도록 하는 데이타 마킹을 제공하는 그러한 공지의 방법에서, 착색된 경사는 제직기의 경사 빔에 다른 경사와 함께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착색된 경사는 별도의 작은 크릴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착색된 경사를 이용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각 에어백 디자인은 그 에어백 기하학에 특유하게, 다른 위치에 착색된 경사를 필요로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착색된 경사가 착색된 위사를 교차하는 데이타 마킹이 다른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디자인 변경이 있을 때마다, 착색된 경사의 위치는 변경되어야 할 수 있어서 생산 저하 시간이 초래된다.
또한, 자동 마커 인식 장치가 한편으로 어두운 경사의 군이 어두운 위사의 군을 교차하는 영역과, 어두운 경사 또는 위사의 군이 각각 흰색의 위사 또는 경사를 교차하는 영역을 구별하는 것을 전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니어서 그 결과 생산품을 잃을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쿠션에 2개 이상의 색사가 50 mm 이하의 거리에 매우 가까이 있을 때, 레이저(Laser) 재단기의 카메라는 재단 기준점(Motive point)를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에어백 원단 또는 직물을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자동 재단함에 있어서, 별도의 색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재단함으로써, 에어백 제조 공정의 전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백 재단 공정 개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직물, 특히 에어백용 직물, 바람직하게는 OPW 방식으로 직조된 에어백 직물을 재단함에 있어서, 별도의 색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에어백 쿠션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다중직인 직물을 재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직물의 일부분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재단 기준점 마커를 자동 마커 인식장치가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재단 기준점 마커를 기준으로, 재단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에 미리 입력된 소정의 형상에 따라 직물을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점 마커는 부분적으로 다중직인 직물의 데드 존(dead zone)에 표시된 것이며, 3X3 조직과 텍스트 엣지(Text edge)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직 패턴인 직물의 재단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부분적으로 다중직인 직물을 재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하나의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구현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포함" 또는 "함유"라 함은 어떤 구성요소(또는 구성 성분)를 별다른 제한 없이 포함함을 지칭하며, 다른 구성요소(또는 구성 성분)의 부가를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자들은, 일체형 직조 방식(OPW, One Piece Woven)으로 에어백 쿠션의 팽창부와 비팽창부가 동시에 직조되는 에어백 원단 또는 직물을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자동 재단함에 있어서, 소정의 제직 패턴으로 이루어진 마커를 재단 기준점으로 적용함으로써 별도의 색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재단하며 에어백 제조 공정의 전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일체형 직조 방식(OPW, One Piece Woven)으로 제직된 것으로, 팽창부와 비팽창부를 포함하는 부분적으로 다중직인 에어백을 효율적으로 재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에어백 재단 방법은 부분적으로 다중직인 직물, 예컨대, 일련의 에어백 쿠션 형상을 포함하는 에어백 원단을 에어백 쿠션으로 재단함에 있어서, 원단 내 존재하는 에어백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재단 기준점 마커를 자동 마커 인식장치가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재단 기준점 마커를 기준으로, 재단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에 미리 입력된 에어백 쿠션 형상에 따라 원단을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점 마커는 에어백 쿠션의 비팽창부 데드 존(dead zone)에 표시된 것이며, 3X3 조직과 텍스트 엣지(Text edge)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직 패턴이다.
특히, 본 발명의 직물 재단 방법은 일체형 직조 방식(OPW, One Piece Woven)으로 제직된 부분적으로 다중직인 직물에서, 다중직으로 이루어지며 기체에 의한 부품성을 갖는 팽창부와 달리 이러한 팽창성을 갖지 않는 비팽창부가 되는 데드 존(dead zone)에 소정의 제직 패턴으로 재단 기준점 마커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부분적으로 다중직인 직물"이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 직조 방식(OPW, One Piece Woven)으로 제직된 직물을 지칭하는 것이다. 여기서, "다중직"이라 함은 동시에 직조되며 서로 분리된 2개 이상의 직물층으로 이루어진 직물 조직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일체형 직조 방식(OPW, One Piece Woven)으로 제직된 직물은 부분적으로 다중직인 형태가 동시에 직조되는 원단 또는 직물로서, 예컨대, 에어백 쿠션의 팽창부와 비팽창부가 동시에 직조되는 에어백용 원단 또는 직물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팽창부는 다중직을 포함한 직물 조직으로 이루어지며 에어백 쿠션 작동시 기체에 의한 부품성을 갖는 것이다. 상기 비팽창부는 이러한 팽창부와 달리 에어백 쿠션 작동시 기체에 의한 부품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에어백 쿠션의 챔버(chaber) 구간이 아닌 데드 존(dead zone)에 해당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상기 부분적으로 다중직인 직물의 일부분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재단 기준점 마커를 자동 마커 인식장치가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일련의 에어백 쿠션 형상을 포함하는 에어백 원단에서 존재하는 에어백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재단 기준점 마커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단의 기준점 마커는 특히, 에어백 쿠션의 비팽창부에 해당하는 데드 존(dead zone)에 소정의 제직 패턴으로 표시함으로써, 기존의 방식으로 별도의 색사를 사용하여 재단 기준점 마커를 적용할 경우에 하나의 쿠션에 사용되는 다수의 색사와 명확한 식별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특정의 제직 패턴을 재단 기준점 마커를 적용할 경우에, 반복(Repeat) 간격만큼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별도의 색사를 사용할 경우에서와 같이 재단 기준점 마커를 잘못 인식할 수 있는 오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OPW 제직시 하나의 제직 파일이 반복적으로 제직되기 때문에, 동일한 위치, 동일한 형상의 재단 기준점 마커를 제직할 수 있다.
상기 재단의 기준점 마커는 특히, 별도의 색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단지 제직 패턴으로 형성됨으로써, 에어백 디자인 변경 등에 좀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재단 기준점 마커는 3X3 조직과 텍스트 엣지(Text edge) 조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3X3 조직은 도 9의 조직도(a) 및 단면도(b)에서와 같이 이뤄진 것이다. 상기 텍스트 엣지(Text edge) 조직은 원단에 텍스트(Text)를 추가할 때 테두리에 추가하는 조직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기준점 마커는 비팽창부 데드 존의 다른 조직과 상이한 제직 패턴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데드 존에서 기준점 마커를 제외한 부분은 OPW 쿠션 원단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만드는 조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데드 존에서 기준점 마커를 제외한 부분은 예컨대, 허니콤브(Honeycomb) 조직 또는 그의 혼합 조직으로 이루어진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재단 기준점 마커의 제직 패턴은 경사 및 위사 방향에서 각각 2 mm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2.5 mm 내지 4.5 mm, 좀더 바람직하게는 3 mm 내지 4 mm의 폭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단 기준점 마커의 제직 패턴은 비팽창부 데드 존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재단 기준점 마커로서 자동 마커 인식장치에 의해 좀더 효율적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측면에서 경사 방향 및 위사 방향 모두 각각 2.5 cm 이상 또는 2.5 내지 8 cm, 바람직하게는 3 cm 이상, 좀더 바람직하게는 3.5 cm 이상의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재단 기준점 마커는 또한, 다양한 형태의 제직 패턴으로 이뤄질 수 있으나, 자동 마커 인식장치에서 좀더 효과적인 식별 가능성 및 제직 효율 측면에서 십자가 모양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재단의 기준점 마커를 에어백 전개시 팽창부인 챔버 부분이 아닌 비팽창부인 데드 존(dead zone) 부분에 십자가 모양 등 특정의 제직 패턴을 추가함으로써 색사 없이 재단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의 일정한 위치에 재단 기준점(Motive point)이 있으므로 색사의 거리가 가까워서 재단 기준점(Motive point)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렇게 에어백 표시된 하나 이상의 재단 기준점 마커는 자동 마커 인식장치로 인식되어 후속 재단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재단 기준점 마커의 제직 패턴은 자동 마커 인식장치로서 특정의 고해상도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식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만, 상기 자동 마커 인식장치로서 고해상도 카메라, 예컨대, 해상도 1,000 ppi(pixel per inch) 이상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단 기준점 마커로서 제직 패턴의 길이 및 폭이 축소되더라도 쉽게 식별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동 마커 인식장치의 해상도(resolution)란 재단 기준점 마커를 포함한 직물에 대하여 상기 자동 마커 인식장치가 확보한 화면에서 화상 디테일 콘트라스트(정세) 표현능력의 척도를 말한다. 즉, 해상도는 화면의 정세성을 나타내는 척도 즉 화상의 섬세한 부분이 어느정도 세밀하게 재현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로 해상도 측정용 패턴을 사용해 한계 해상도의 가닥(주사선)수나 진폭변조도 특성으로 그 척도를 나타내는데 기본적으로는 화소수가 많을수록 해상도가 높아진다. 여기서, ppi(pixel per inch)는 픽셀의 밀도를 뜻하는 용어로서, 1인치 안에 몇 개의 픽셀이 들어가는가를 의미한다. 주의할 점은 화소와 달리 가로세로 1인치의 사각형 안에 몇 개의 픽셀이 들어가는지가 아니라, 가로나 세로 1인치 길이에 몇 개의 픽셀이 들어가는가로 따지는 것이다. 예컨대, 가로세로 1인치에 100x100 해상도라면 100 ppi가 된다.
또한, 상기 자동 마커 인식장치는 CCD 이미지 센서 또는 CMOS 이미지 센서 등의 다양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자동 마커 인식장치는 재단 기준점 마커로서 제직 패턴을 좀더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고화질 확보 측면에서 전하 결합 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동 마커 인식장치는 OPW 방식으로 제직된 에어백 쿠션의 원단에 있어서 비팽창부 데드 존의 나머지 부분인 바탕 조직과 비교시 명암 차이를 갖는 특정의 제직 패턴을 재단 기준점 마커로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재단 기준점 마커를 자동 마커 인식장치로 인식한 후에, 상기 인식된 재단 기준점 마커를 기준으로, 재단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에 미리 입력된 에어백 쿠션 형상에 따라 에어백을 재단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 재단 방법은 상기 재단 기준점 마커를 자동 마커 인식장치로 인식한 후에, 재단 공정에 앞서 상기 인식된 재단 기준점 마커와, 재단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에 미리 입력된 에어백 쿠션 형상에서 기준점의 편차를 비교하여 해당 편차를 반영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직물의 재단 방법은 부분적으로 다중직인 직물을 재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직물의 일부분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재단 기준점 마커를 자동 마커 인식장치가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재단 기준점 마커와, 재단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에 미리 입력된 소정의 형상에서 기준점의 편차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한 편차를 반영하여 수정된 소정의 형상에 따라 직물을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점 마커는 부분적으로 다중직인 직물의 데드 존(dead zone)에 표시된 것이며, 3X3 조직과 텍스트 엣지(Text edge)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직 패턴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차 비교 공정은 재단공정 이전의 공정에서 발생한 치수 변화를 반영하여 재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분적으로 다중직인 직물은 재단 후 차량용 보조안전장치인 에어백 쿠션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내용 이외의 사항은 필요에 따라 가감이 가능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 원단 또는 직물을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자동 재단함에 있어서 별도의 색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비팽창부 데드 존에 표시된 소정의 제직 패턴을 재단 기준점으로 적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재단함으로써, 에어백 제조 공정의 전체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에어백 전개시 비팽창부인 데드 존(dead zone)에 부가한 제직 패턴을 재단 기준점으로 적용한 OPW 에어백 재단 도면(a) 및 재단 파일(b)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방식에 따라 이중직물의 챔버 부분에 색사를 이용한 재단 기준점을 적용한 OPW 에어백 재단 도면(a) 및 재단 파일(b)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재단 공정에서 기준점으로 적용된 제직 패턴의 일구현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비팽창부 데드 존(dead zone)에 표시된 재단 기준점 마커의 제직 패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비팽창부 데드 존(dead zone)에 표시된 재단 기준점 마커의 제직 패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라 비팽창부 데드 존(dead zone)에 표시된 재단 기준점 마커의 제직 패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에 따라 비팽창부 데드 존(dead zone)에 표시된 재단 기준점 마커의 제직 패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교예 3 에 따라 비팽창부 데드 존(dead zone)에 표시된 재단 기준점 마커의 제직 패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단 기준점 마커의 제직 패턴에 적용되는 3x3 조직의 조직도(a)와 이의 단면(b)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420 데니어의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자카드직기에서 일체형 직조 방식(OPW, One Piece Woven)으로 다중직 에어백 원단을 제직하였다.
상기 에어백 원단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팽창부 데드 존(dead zone)에 재단 기준점 마커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x3 조직과 텍스트 엣지(Text Edge) 조직으로 이루어지며 경사 및 위사 방향으로 각각 폭 3 mm 및 길이 3 cm의 십자가 형태를 갖는 제직 패턴을 표시하고, 광학인식시스템을 통해 재단 기준점의 마커로 인식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재단 기준점 마커를 포함한 비팽창부 데드 존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Skelton 5.1 조직을 바탕 조직으로 제직 패턴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텍스트 엣지(Text Edge) 조직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탕 조직과 어두운 조직부분의 경계에 미세하게 보이는 조직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렇게 인식된 재단 기준점 마커는, 재단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에 미리 입력된 에어백 쿠션 형상에서 기준점의 편차를 비교하여 해당 편차를 반영하여 수정된 에어백 쿠션 형상에 따라 레이져 재단기를 이용하여 에어백을 재단하였다.
제조된 에어백에 대하여 1:1 검사 도면을 적용해 외관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제조된 에어백 쿠션의 외부 심(seam) 부위에서 재단선까지 최소 3 mm 이상이 되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며 정확하게 재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재단 기준점 마커를 포함한 비팽창부 데드 존에서 허니콤브(Honeycomb) 조직을 바탕으로 하여 재단 기준점 마커로서 3x3 조직과 텍스트 엣지(Text Edge)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직 패턴을 적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레이져 재단기를 이용하여 에어백을 재단하였다.
제조된 에어백에 대하여 1:1 검사 도면을 적용해 외관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제조된 에어백 쿠션의 외부 심(seam) 부위에서 재단선까지 최소 3 mm 이상이 되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며 정확하게 재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재단 기준점 마커를 포함한 비팽창부 데드 존에서 Skelton 5.1 조직을 바탕으로 하여 재단 기준점 마커로서 2x2 조직과 3x3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직 패턴을 적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레이져 재단기를 이용하여 에어백 재단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상기 재단 기준점 마커의 제직 패턴과 바탕 조직의 제직 패턴과 음영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자동 모드의 재단시 기준점 마커인 모티브 포인트(motive point)를 인식하지 못하여 에어백 자동 재단 공정을 수행할 수 없었다.
비교예 2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재단 기준점 마커를 포함한 비팽창부 데드 존에서 Skelton 5.1 조직을 바탕으로 하여 재단 기준점 마커로서 2x2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직 패턴을 적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레이져 재단기를 이용하여 에어백 재단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상기 재단 기준점 마커의 제직 패턴과 바탕 조직의 제직 패턴과 음영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자동 모드의 재단시 기준점 마커인 모티브 포인트를 인식하지 못하여 에어백 자동 재단 공정을 수행할 수 없었다.
비교예 3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재단 기준점 마커를 포함한 비팽창부 데드 존에서 Skelton 5.1 조직을 바탕으로 하여 재단 기준점 마커로서 경사 및 위사 방향에서 각각 폭 1.8 mm 및 길이 1.2 cm의 십자가 형태를 갖고, 일정 거리를 경/위사가 교차하지 않는 땀뜸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직 패턴을 적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레이져 재단기를 이용하여 에어백 재단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상기 재단 기준점 마커의 제직 패턴과 바탕 조직의 제직 패턴과 음영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자동 모드의 재단시 기준점 마커인 모티브 포인트를 인식하지 못하여 에어백 자동 재단 공정을 수행할 수 없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일체형 직조 방식(OPW, One Piece Woven)으로 동시에 직조되는 에어백 원단 또는 직물을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자동 재단함에 있어서, 소정의 제직 패턴으로 이루어진 마커를 재단 기준점으로 적용함으로써 별도의 색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부분적으로 다중직인 직물을 재단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6)

  1. 부분적으로 다중직인 직물을 재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직물의 일부분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재단 기준점 마커를 자동 마커 인식장치가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재단 기준점 마커를 기준으로, 재단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에 미리 입력된 소정의 형상에 따라 직물을 재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점 마커는 부분적으로 다중직인 직물의 데드 존(dead zone)에 표시된 것이며, 3X3 조직과 텍스트 엣지(Text edge)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직 패턴이고,
    상기 기준점 마커의 제직 패턴은 경사 및 위사 방향에서 각각 2 mm 내지 5 mm의 폭과 2.5 cm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인, 직물의 재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일체형 직조 방식(OPW, One Piece Woven)으로 제직된 것인 직물의 재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마커의 제직 패턴은 경사 및 위사 방향에서 각각 3 mm 내지 4 mm의 폭을 갖는 것인 직물의 재단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마커의 제직 패턴은 경사 및 위사 방향에서 각각 3 cm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인 직물의 재단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 존에서 기준점 마커를 제외한 부분은 허니콤브(Honeycomb) 조직 또는 그의 혼합 조직으로 이루어진 것인 직물의 재단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마커 인식장치는 CCD 이미지 센서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직물의 재단 방법.
KR1020130168670A 2013-12-31 2013-12-31 직물의 재단 방법 KR102027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670A KR102027424B1 (ko) 2013-12-31 2013-12-31 직물의 재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670A KR102027424B1 (ko) 2013-12-31 2013-12-31 직물의 재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872A KR20150078872A (ko) 2015-07-08
KR102027424B1 true KR102027424B1 (ko) 2019-10-01

Family

ID=5379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670A KR102027424B1 (ko) 2013-12-31 2013-12-31 직물의 재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4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8981B4 (de) * 2016-05-24 2019-04-18 Autoliv Development Ab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assäcken
KR102349085B1 (ko) * 2017-12-28 2022-01-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CN111005116A (zh) * 2019-12-19 2020-04-14 江苏惠太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一次成型安全气囊的方法及其制备的安全气囊
CN111272754B (zh) * 2020-03-04 2023-01-31 华懋(厦门)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生产安全气囊的装置及其检测方法
US11673526B1 (en) * 2022-01-24 2023-06-13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One-piece woven airbag with integrally woven indici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5574A (ja) 2001-09-27 2010-11-25 Global Safety Textiles Gmbh エアバッグ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0339A (ja) * 1998-06-01 1999-12-21 Toray Ind Inc 裁断装置及び裁断方法
EP2155941B1 (en) * 2007-05-24 2012-09-05 Autoliv Development AB Fabric with woven markers
KR101200904B1 (ko) * 2007-12-28 2012-11-1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기체에 의한 부품성 이중직물 및 에어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5574A (ja) 2001-09-27 2010-11-25 Global Safety Textiles Gmbh エアバッグ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872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424B1 (ko) 직물의 재단 방법
US10900167B2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 pattern or image on fabric with linear laser irradiation, fabric made by said method, and products made with said fabric
KR20100023812A (ko) 제직 마커를 구비한 직물
JP3222158B2 (ja) エアーバッグのフィルタ部分用の織布を製造する方法
US7770607B2 (en) Double weft/warp airbag fabric and related airbags and manufacturing methods
HU217863B (hu) Légzsák és eljárás légzsák előállítására
PT1430173E (pt) Processo para produção de sacos de ar
US20060284403A1 (e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construction
JPH06504593A (ja) 多軸織り
KR102011074B1 (ko) 직물의 재단 방법
KR102438240B1 (ko) 재료의 적어도 부분적인 2겹 웨브로부터 대상체를 절단 디바이스로 절단하기 위한 방법
KR101931347B1 (ko) 재귀반사원사 및 그 제조방법
JP2015025933A (ja) 布製ワッペン基材の製造法
JP6362241B2 (ja) 織りネーム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3417345B2 (ja) エアバッグ構成部品用の原反およびエアバッグの縫製準備方法
JP5749759B2 (ja) 織り込みマーカを備えた織物
JP4096299B2 (ja) 袋織エアバッグ基布及びそれを用いた袋織エアバッグ
US8440291B2 (en) Borderless emblem for securing to a first fabric
EP338829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bag provided with a gas guide
GB2187766A (en) Marking woven fabrics
CZ282467B6 (cs) Plynový vak pro bezpečnostní systém ve vozidle
JP2002327351A (ja) 袋織りエアバッグ基布及びエアバッグ
JP2019112024A (ja) エアバッグ
JP2017512703A (ja) エアバッグの改善またはエアバッグに関する改善
KR20200036166A (ko) 사이드 커튼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