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289B1 -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289B1
KR102027289B1 KR1020120157530A KR20120157530A KR102027289B1 KR 102027289 B1 KR102027289 B1 KR 102027289B1 KR 1020120157530 A KR1020120157530 A KR 1020120157530A KR 20120157530 A KR20120157530 A KR 20120157530A KR 102027289 B1 KR102027289 B1 KR 102027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isplay panel
area
display
s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6708A (ko
Inventor
변승현
박병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7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289B1/ko
Publication of KR20140086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액티브 영역에 형성되는 데이터 라인들, 스캔 라인들, 및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 이외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및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스캔 라인들에 스캔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스캔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에는 소정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 Phoretic Display Device)와 같은 여러가지 평판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액정표시장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박형화가 가능하므로, 이들을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로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과 같은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거나, 유리(glass) 대비 유연성이 좋은 기판을 사용하여 표시패널을 제조한다.
한편, 최근에는 표시장치의 외관 및 디자인이 중시되면서 세트 메이커(set maker)가 표시패널 메이커(display panel maker)에게 다양한 형태의 표시패널을 주문하고 있다. 즉, 표시패널은 일반적으로 사각형으로 제조되고 있으나, 사각형이 아닌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표시패널의 모서리가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표시패널의 액티브 영역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장치와 같이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표시패널도 최근 추세에 맞게 외관 및 디자인을 변형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외관 및 디자인을 변형시키기 위해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액티브 영역에 형성되는 데이터 라인들, 스캔 라인들, 및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 이외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및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스캔 라인들에 스캔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스캔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에는 소정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액티브 영역에 형성되는 데이터 라인들, 스캔 라인들, 및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패널에 소정의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액티브 영역에 홀을 형성하나, 홀이 형성된 영역에는 화소를 형성하지 않으며, 홀이 형성된 영역을 우회하여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을 형성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액티브 영역에 홀을 형성하더라도 화소들 각각이 데이터 라인을 통해 데이터 전압을 정상적으로 공급받고, 스캔 라인을 통해 스캔 펄스를 정상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정상적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홀을 이용하여 표시장치의 외관 및 디자인을 변형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홀뿐만 아니라, 표시패널의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외관 및 디자인을 변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본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여러 제품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
도 2는 도 1의 화소의 등가회로도.
도 3은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I-I'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이용하여 제조된 완성 제품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이용하여 제조된 완성 제품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또는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 Phoretic Display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로 구현된 것을 중심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은 제1 기판(10), 제2 기판,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 스캔 구동회로(30), 연성 필름(40) 등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기판을 도시하지 않았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제1 기판(10)은 유연성을 갖는 연성 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판(1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에스테르설폰(PES) 등과 같이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복원력이 높은 플라스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기판(10)상에는 화소들을 포함하는 액티브 영역(active area, AA)가 형성된다. 액티브 영역(AA)에는 도 2와 같이 데이터 라인(DL)들과 스캔 라인(SL)들의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매트릭스 형태로 화소들이 형성된다. 화소(P)들 각각은 스위칭 TFT(thin film transistor)(ST)와 구동 TFT(DT)를 이용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화소(P)들 각각은 도 2와 같이 스위칭 TFT(ST), 구동 TFT(DT),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및 보상회로(PIXC)를 포함한다. 스위치 TFT(ST)는 스캔 라인(SL)의 스캔 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의 데이터 전압을 보상회로(PIXC)에 공급한다. 보상회로(PIXC)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TFT와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동 TFT(DT)의 스캔 전극을 초기화한 후에 구동 TFT(DT)의 문턱 전압을 센싱하고 데이터 전압에 문턱 전압을 가산하여 데이터 전압을 보상할 수 있다. 구동 TFT(DT)는 스캔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한다. 구동 TFT(DT)는 고전위 전압(VDD)이 공급되는 고전위 전압 배선에 접속될 수 있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저전위 전압(VSS)이 공급되는 저전위 전압 배선에 접속될 수 있다. 보상회로(PIXC)는 이미 공지된 어떠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화소 보상회로도 적용 가능하다. 화소(P)들은 배면발광(Bottom emission), 전면발광(Top emission) 등의 형태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패널에는 소정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표시패널의 액티브 영역(AA)에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패널의 정상적인 구동을 위해서는 홀(H)이 형성될 영역과 홀(H) 주변에서의 화소(P)들, 스캔 라인(SL)들, 데이터 라인(DL)들이 변경되어야 한다. 홀(H)이 형성될 영역과 홀(H) 주변에서의 화소(P)들, 스캔 라인(SL)들, 데이터 라인(DL)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결부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 1에서는 표시패널의 액티브 영역(AA)이 홀(H)이 형성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홀(H)은 비표시영역(NAA)에도 형성될 수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는 COG(chip on glass) 공정에 의해 제1 기판(10)의 비표시영역(NDA)에 접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고, 데이터 전압을 액티브 영역(AA)의 데이터 라인(DL)들에 공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는 스캔 구동회로(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캔 구동회로(30)로 출력할 수도 있다.
스캔 구동회로(30)는 비표시영역(NAA)에 형성되며, 특히 액티브 영역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캔 구동회로(30)는 GIP(Gate In Panel) 공정에 의해 화소들과 동시에 비표시영역(NAA)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스캔 구동회로(30)는 TCP(tape carrier package) 상에 실장될 수 있고,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제1 기판(10)상에 접합될 수도 있다. 또는, 스캔 구동회로(30)는 COG 공정으로 제1 기판(10)상에 접착될 수도 있다. 스캔 구동회로(30)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화소들 각각의 스위칭 TFT(ST)를 제어하기 위한 스캔 펄스를 스캔 라인(SL)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연성 필름(40)은 FOG(film on glass) 공정에 의해 제1 기판(10)의 비표시영역(NAA)에 접착된다. 특히, 연성 필름(40)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보다 외곽에 접착될 수 있다. 연성 필름(40)에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원이 실장될 수 있다.
제2 기판은 제1 기판(10)을 덮는 커버 윈도우(cover window)와 같은 역할을 한다. 제2 기판은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영역에는 홀(H), 제j-3(j는 4 이상의 자연수) 내지 제j+4 데이터 라인들(DLj -3~DLj +4), 및 제k-3(k는 4 이상의 자연수) 내지 제k+4 스캔 라인들(SLk -3~SLk +4)이 나타나 있다. 도 3에서는 홀(H)이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홀(H)은 타원형, 사각형 등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라인들은 수직 방향(y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게이트 라인들은 수평 방향(x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의 교차 구조에 의해 형성된 영역에는 화소(P)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홀(H)이 형성된 영역을 통과하는 데이터 라인(DL)들은 홀(H)이 형성된 영역에서 홀(H)을 우회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홀(H)이 형성된 영역을 통과하는 제j-1, 제j, 제j+1 및 제j+2 데이터 라인들(DLj -1, DLj, DLj +1, DLj +2)은 홀(H)을 우회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j-1, 제j, 제j+1 및 제j+2 데이터 라인들(DLj-1, DLj, DLj +1, DLj +2)은 도 3과 같이 홀(H) 주변에서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홀(H)을 우회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j-1, 제j, 제j+1 및 제j+2 데이터 라인들(DLj -1, DLj, DLj +1, DLj +2)의 우회 패턴은 계단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제j-1, 제j, 제j+1 및 제j+2 데이터 라인들(DLj -1, DLj, DLj +1, DLj +2)은 계단 형태 외에 다른 어떠한 형태로 홀(H)을 우회하도록 구현될 수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홀(H)이 형성된 영역을 통과하는 스캔 라인(SL)들은 홀(H)이 형성된 영역에서 홀(H)을 우회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홀(H)이 형성된 영역을 통과하는 제k-1, 제k, 제k+1 및 제k+2 스캔 라인들(SLk -1, SLk, SLk +1, SLk +2)은 홀(H)을 우회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k-1, 제k, 제k+1 및 제k+2 스캔 라인들(SLk -1, SLk, SLk +1, SLk+2)은 도 3과 같이 홀(H) 주변에서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홀(H)을 우회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k-1, 제k, 제k+1 및 제k+2 스캔 라인들(SLk -1, SLk, SLk+1, SLk +2)의 우회 패턴은 계단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제k-1, 제k, 제k+1 및 제k+2 스캔 라인들(SLk -1, SLk, SLk +1, SLk +2)은 계단 형태 외에 다른 어떠한 형태로 홀(H)을 우회하도록 구현될 수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액티브 영역에 홀을 형성하나, 홀이 형성된 영역에는 화소를 형성되지 않으며, 홀이 형성된 영역을 우회하여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을 형성한다. 따라서, 액티브 영역에 홀을 형성하더라도 화소들 각각이 데이터 라인을 통해 데이터 전압을 정상적으로 공급받고, 스캔 라인을 통해 스캔 펄스를 정상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정상적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기판(10)의 일면에는 액티브 영역(AA)이 형성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이 형성된 제1 기판(10)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는 보강 기판(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고, 보강 기판(미도시)은 유연성을 갖는 연성 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 기판(미도시)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에스테르설폰(PES) 등과 같이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복원력이 높은 플라스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에는 구동 TFT(DT), 캐패시터(CAP),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을 포함하는 화소(P)가 형성된다. 또한, 액티브 영역(AA)에는 스캔 라인(SL)과 데이터 라인(DL)이 형성된다. 스캔 라인(SL)은 게이트 전극(210) 및 캐패시터 하부전극(215)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금속으로 형성되며, 데이터 라인(DL)은 캐패시터 상부전극(216)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TFT(DT)는 반도체층(214), 게이트 전극(210), 드레인 전극(212), 소스 전극(213)을 포함한다. 반도체층(214)과 게이트 전극(210)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211)이 형성되고, 반도체층(214)과 게이트 절연막(211) 상에는 층간 절연막(217)이 형성된다. 소스 전극(213)과 드레인 전극(212)은 게이트 절연막(211)과 층간 절연막(217)을 관통하여 게이트 전극(2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캐패시터(CAP)는 게이트 절연막(211)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캐패시터 하부전극(215)과 캐패시터 상부전극(216)을 포함한다. 오버코트층(218)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213)과 드레인 전극(212)을 덮는다. 오버코트층(218)은 구동 트랜지스터(DT) 및 캐패시터(CAP)를 보호하며 구동 트랜지스터(DT)에 의한 단차를 평탄화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제1 전극(220), 유기발광층(230), 및 제2 전극(240)을 포함한다. 제1 전극(220)은 오버코트층(218)으로부터 노출된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드레인 전극(212)과 접속된다. 제1 전극(220)은 애노드 전극으로,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CO(Indium Cerium Oxide) 또는 ZnO(Zinc Oxide)와 같은 투명금속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20)은 오버코트층(218)을 관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드레인 전극(212)을 노출하는 비어홀을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드레인 전극(2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전극(220) 상에 뱅크층(290)이 형성된다. 뱅크층(290)은 제1 전극(220)의 일부를 노출하여 화소 영역을 구획한다. 제1 전극(220) 상에 유기발광층(230)이 형성된다. 유기발광층(230)은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빛을 발광하는 층으로, 유기발광층(230)과 제1 전극(220) 사이에 정공주입층 또는 정공수송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기발광층(230)과 제2 전극(240) 사이에 전자수송층 또는 전자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층(230) 상에는 제2 전극(240)이 형성된다. 제2 전극(240)은 캐소드 전극으로 마그네슘(Mg), 칼슘(Ca), 알루미늄(Al), 은(Ag)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240)은 제1 기판(10)의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유기발광층(230)으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제1 기판(10) 방향으로 방출되는 배면발광형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기발광층(230)으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보호필름(60) 방향으로 방출되는 전면발광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극(220)은 하부에 알루미늄(Al), 은(Ag) 또는 니켈(Ni)과 같은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전극(240)은 빛이 투과될 수 있을 정도로 얇은 두께, 예를 들어 1 내지 50Å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240) 상에는 제2 전극(240)의 상부 형태를 따라 덮는 제1 보호막(2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240)의 상부 형태를 따라 덮는다는 것은 제2 전극(240)의 스텝 커버리지(step coverage)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보호막(250) 상에는 고분자화합물(polymer)로 구현된 유기막(260)이 형성된다. 제1 보호막(250)과 유기막(260) 상에는 제2 보호막(270)이 형성된다. 제1 보호막(250)과 제2 보호막(270)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등의 무기층의 단층 또는 이들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보호막(250), 유기막(260), 및 제2 보호막(270)은 유기발광층(230)에 산소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화소(P)들을 보호하기 위해 화소(P)들을 덮는 보호필름(60)이 액티브 영역(AA)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호필름(60)을 접착하기 위해 제2 보호막(270)과 보호필름(60) 사이에는 접착층(280)이 형성된다. 보호필름(60)은 유무기 복합층을 포함하는 투명한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영역(AA)에서 외부광 반사에 의한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해 편광필름(미도시)이 보호필름(6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나아가, 편광필름(미도시) 상에는 투명접착필름(미도시)을 이용하여 제2 기판(미도시)이 접착될 수 있다. 제2 기판(미도시)은 제1 기판(10)을 덮는 커버 윈도우(cover window)와 같은 역할을 한다.
홀(H)은 표시패널의 보강 기판(50), 제1 기판(10), 게이트 절연막(211), 층간 절연막(217), 오버코트층(218), 제2 전극(240), 제1 보호막(250), 제2 보호막(270), 접착층(280), 보호필름(60), 편광필름(미도시), 투명접착필름(미도시), 제2 기판(미도시)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표시패널의 비정상적인 구동을 방지하기 위해, 홀(H)이 형성된 영역에는 화소(P)가 형성되지 않으며, 스캔 라인(SL)과 데이터 라인(DL)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첫 번째로, 도 1과 같이 제1 기판(10), 제2 기판,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 스캔 구동회로(30), 연성 필름(40) 등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형성한다. 특히, 표시패널에 스캔 라인(SL)들, 데이터 라인(DL)들, 및 화소(P)들을 포함하는 액티브 영역(AA)을 형성할 때, 도 3과 같이 홀(H)이 형성될 영역을 우회하여 스캔 라인(SL)과 데이터 라인(DL)을 형성하고, 도 4와 같이 홀(H)이 형성될 영역에는 화소(P)를 형성하지 않도록 설계한다. (S101)
두 번째로, 표시패널을 펀칭하여 커팅할 수 있는 커터를 포함하는 커팅 장치를 이용하여 홀(H)을 형성할 수 있다. 커팅 장치는 국내출원번호 제10-2012-0155163호의 커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에 홀을 형성하기 위해서, 표시패널을 커팅 장치의 스테이지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나서, 홀(H)이 형성될 영역에 커팅 장치의 커터를 정렬한다. 그 다음, 표시패널의 홀(H)이 형성될 영역에 커팅 장치의 커터를 수직으로 하강하여 펀칭함으로써, 홀(H)을 형성할 수 있다. 커터는 홀(H)의 형태에 따라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S102)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이용하여 제조된 완성 제품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패널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고, 표시패널을 관통한 홀을 통해 아날로그 시계 바늘을 조립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이용하여 백그라운드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시계를 제조할 수 있다.
또는, 표시패널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고, 표시패널을 관통한 홀을 통해 자동차용 계기판의 바늘을 조립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이용하여 백그라운드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계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제품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적용함으로써, 이러한 제품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홀을 이용하여 표시장치의 외관 및 디자인을 변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본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제품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은 제1 기판(10), 제2 기판,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 스캔 구동회로(30), 연성 필름(40) 등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기판을 도시하지 않았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제1 기판(10)은 도 7과 같이 액티브 영역(AA)에 홀(H)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사각형의 형태가 아닌 타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타원형의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원형 또는 기타 다른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제1 기판(10)의 형태에 따라 액티브 영역(AA)과 비표시영역(NAA)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10)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액티브 영역(AA)의 양 측면에 위치한 비표시영역(NAA) 역시 곡선 형태를 가지며, 비표시영역(NAA)의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스캔 구동회로(30)가 GIP 공정으로 형성되는 경우, 스캔 구동회로(30)는 비표시영역(NAA)에서 곡선 형태를 갖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의 형태는 제1 기판(10)의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의 홀(H)과 표시패널의 형태 형성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을 결부하여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은 제1 기판(10)과 제2 기판의 형태를 제외하고는 도 1을 결부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홀뿐만 아니라, 표시패널의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외관 및 디자인을 변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본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여러 제품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도 7 및 도 8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첫 번째로, 도 1과 같이 제1 기판(10), 제2 기판,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 스캔 구동회로(30), 연성 필름(40) 등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형성한다. 특히, 표시패널에 스캔 라인(SL)들, 데이터 라인(DL)들, 및 화소(P)들을 포함하는 액티브 영역(AA)을 형성할 때, 홀(H)이 형성될 영역에는 도 3과 같이 스캔 라인(SL)과 데이터 라인(DL)을 우회시키고, 도 4와 같이 화소(P)를 형성하지 않도록 설계한다. 또한, 표시패널의 형태에 따라 액티브 영역(AA)과 비표시영역(NAA)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액티브 영역(AA)의 양 측면에 위치한 비표시영역(NAA)의 형태를 고려하여 스캔 구동회로(30)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표시패널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액티브 영역(AA)의 양 측면에 위치한 비표시영역(NAA)은 곡선 형태를 가지므로, 스캔 구동회로(30)는 비표시영역(NAA)에서 곡선 형태를 갖는 영역에 GIP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S201)
두 번째로, 표시패널을 펀칭하여 커팅할 수 있는 커터를 포함하는 커팅 장치를 이용하여 홀(H)을 형성할 수 있다. 커팅 장치는 국내출원번호 제10-2012-0155163호의 커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에 홀을 형성하기 위해서, 표시패널을 커팅 장치의 스테이지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나서, 홀(H)이 형성될 영역에 커팅 장치의 커터를 정렬한다. 그 다음, 표시패널의 홀(H)이 형성될 영역에 커팅 장치의 커터를 수직으로 하강하여 펀칭함으로써, 홀(H)을 형성할 수 있다. 커터는 홀(H)의 형태에 따라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S202)
세 번째로, 커팅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패널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표시패널의 형태를 변경하기 위해서, 표시패널을 커팅 장치의 스테이지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나서, 표시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에 커팅 장치의 커터를 정렬한다. 그 다음, 커팅 장치의 커터를 수직으로 하강하여 펀칭함으로써, 표시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사각형 형태의 표시패널의 모서리 영역들 각각을 커팅 장치의 커터로 펀칭함으로써, 사각형 형태의 표시패널을 타원 형태의 표시패널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사각형 형태의 표시패널에서 점선 부분이 커팅 장치에 의해 커팅되어 절단될 수 있다. (S203)
한편, S202 단계와 S203 단계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이용하여 제조된 완성 제품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패널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고, 표시패널을 관통한 홀을 통해 아날로그 시계 바늘을 조립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이용하여 백그라운드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시계를 제조할 수 있다.
또는, 표시패널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고, 표시패널을 관통한 홀을 통해 자동차용 계기판의 바늘을 조립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이용하여 백그라운드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계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제품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적용함으로써, 이러한 제품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홀을 이용하여 표시장치의 외관 및 디자인을 변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본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제품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제1 기판 20: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30: 스캔 구동회로 40: 연성 필름
50: 보강 기판 60: 보호필름

Claims (22)

  1. 액티브 영역에 형성되는 데이터 라인들, 스캔 라인들, 및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 이외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스캔 라인들에 스캔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스캔 구동회로; 및
    상기 표시패널에 형성된 소정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들은,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된 유기발광층을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덮으며,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보호막, 유기막, 제2 보호막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막은,
    상기 홀과 인접한 영역 및 이웃하는 상기 화소들 사이에서 각각 제거되며,
    상기 제1 보호막과 상기 제2 보호막은,
    상기 유기막이 제거된 영역에서 서로 맞닿으며,
    상기 홀을 우회하는 상기 데이터 라인은, 상기 홀과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유기막이 제거된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표시패널의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이 형성된 영역을 통과하는 스캔 라인들은 상기 홀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홀을 우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이 형성된 영역을 통과하는 스캔 라인들은 상기 홀 주변에서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홀을 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이 형성된 영역을 통과하는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홀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홀을 우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이 형성된 영역을 통과하는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홀 주변에서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홀을 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표시패널의 적어도 2 개의 기판, 적어도 2 개의 절연막 또는 보호막, 및 적어도 1 개의 필름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타원형 또는 원형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액티브 영역에 형성되는 데이터 라인들, 스캔 라인들,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제1 전극, 유기발광층, 제2 전극을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들, 및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들을 덮도록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보호막, 유기막, 제2 보호막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패널에 소정의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막은,
    상기 홀과 인접한 영역 및 이웃하는 상기 화소들 사이에서 각각 제거되며,
    상기 제1 보호막과 상기 제2 보호막은,
    상기 유기막이 제거된 영역에서 서로 맞닿으며,
    상기 홀을 우회하는 상기 데이터 라인은, 상기 홀과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유기막이 제거된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에 소정의 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패널의 액티브 영역에 상기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홀이 형성된 영역을 통과하는 스캔 라인들을 상기 홀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홀을 우회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홀이 형성된 영역을 통과하는 스캔 라인들을 상기 홀 주변에서 계단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홀이 형성된 영역을 통과하는 데이터 라인들을 상기 홀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홀을 우회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홀이 형성된 영역을 통과하는 데이터 라인들을 상기 홀 주변에서 계단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에 소정의 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패널의 적어도 2 개의 기판, 적어도 2 개의 절연막 또는 보호막, 및 적어도 1 개의 필름을 관통하여 상기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패널 상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 이외의 비표시영역에 상기 표시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패널의 스캔 라인들에 스캔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스캔 구동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에 커터를 수직으로 하강하여 펀칭함으로써,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의 형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들을 덮는 보호 필름; 및
    상기 제2 보호막과 상기 보호 필름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20. 삭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TFT와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TFT와 커패시터는,
    상기 유기막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표시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제1 기판; 및
    상기 홀과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게이트 절연막, 상기 데이터 라인, 층간 절연막, 오버 코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은, 상기 홀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홀을 우회하는, 표시장치.
KR1020120157530A 2012-12-28 2012-12-28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2027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530A KR102027289B1 (ko) 2012-12-28 2012-12-28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530A KR102027289B1 (ko) 2012-12-28 2012-12-28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708A KR20140086708A (ko) 2014-07-08
KR102027289B1 true KR102027289B1 (ko) 2019-10-01

Family

ID=5173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530A KR102027289B1 (ko) 2012-12-28 2012-12-28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2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1401B2 (en) 2016-02-16 2022-02-1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706B1 (ko) 2015-06-11 2022-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시계
KR102430429B1 (ko) 2015-09-09 2022-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46425B1 (ko) * 2015-11-17 2022-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465377B1 (ko) 2016-02-12 2022-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21577B1 (ko) 2016-04-05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6900B1 (ko) * 2016-06-02 2022-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관통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63418A (ko) 2016-12-01 2018-06-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107870492B (zh) * 2017-10-31 2020-06-0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其显示装置
KR102549692B1 (ko) * 2018-05-25 2023-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표시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공백 영역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주사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1689B1 (ko) 2018-10-12 2023-1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00051108A (ko) 2018-11-02 2020-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20200066471A (ko) 2018-11-30 2020-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517734B1 (ko) * 2018-12-17 2023-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패키지 모듈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EP4141948A4 (en) * 2021-02-19 2023-10-04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6941345A (zh) * 2022-01-30 2023-10-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9243A (ja) * 2006-11-20 2008-06-05 Seiko Epson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回路基板及び表示装置
JP2010197740A (ja) 2009-02-25 2010-09-09 Kyocera Corp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429A (ko) * 2008-12-16 2010-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746677B1 (ko) * 2010-11-02 2017-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9243A (ja) * 2006-11-20 2008-06-05 Seiko Epson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回路基板及び表示装置
JP2010197740A (ja) 2009-02-25 2010-09-09 Kyocera Corp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1401B2 (en) 2016-02-16 2022-02-1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1737311B2 (en) 2016-02-16 2023-08-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708A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289B1 (ko)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US10998391B2 (en) Display apparatus with a crack detection line
CN106898612B (zh) 显示装置
JP6785627B2 (ja) 表示装置
KR20180036882A (ko) 표시모듈
US11093065B2 (en) Display device
US10276812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950676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90070503A (ko) 표시장치
WO2019187159A1 (ja) 表示デバイス
KR20190070424A (ko)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2315889B1 (ko) 표시 패널
CN111937058A (zh) 显示设备
JP2018105977A (ja) 表示装置
KR20180002274A (ko) 투명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20160046979A (ko) 표시장치
US20210027718A1 (en) Display device
CN113066821A (zh) 具有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
KR20190068915A (ko) 투명 표시 장치
US10845907B2 (en) Display panel
CN112425264B (zh) 显示装置
US20200287169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20199935A1 (en) Display Panel
KR20170071974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20200176518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block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