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232B1 -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 - Google Patents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232B1
KR102027232B1 KR1020180070309A KR20180070309A KR102027232B1 KR 102027232 B1 KR102027232 B1 KR 102027232B1 KR 1020180070309 A KR1020180070309 A KR 1020180070309A KR 20180070309 A KR20180070309 A KR 20180070309A KR 102027232 B1 KR102027232 B1 KR 102027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cuum release
adsorption
unit
glass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호
Original Assignee
(주)금성다이아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성다이아몬드 filed Critical (주)금성다이아몬드
Priority to KR1020180070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12Load carriers, e.g. hooks, slings, harness, gloves, modified for load car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Landscapes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흡착부; 및,
연결관을 통해 상기 흡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부와 흡착 대상물 사이의 진공을 해제하는 진공해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진공해제 유닛은, 상기 연결관의 일단에 연결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복원 가능하게 눌려지는 진공해제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해제 버튼에 대한 누름 압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진공해제 버튼이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향해 2단계 복원 가능한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흡착부에 의해 글래스 패널이 운반될 때 진공해제 버튼이 의도치 않게 눌려지는 제1단계의 압력에 의해서는 흡착부의 진공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글래스 패널이 낙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VACUUM SUCTION APPARATUS FOR CARRYING A GLASS PANEL}
본 발명은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글래스 패널의 운반시 진공해제 버튼이 의도치 않게 눌려짐으로써 진공이 해제되고 글래스 패널이 낙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용 글래스 패널의 생산공정에서는 글래스 패널을 운반시키는 공정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장치로서 통상 진공흡착 장치가 채택되고 있다.
특히, 휴대폰이나 태블릿 PC용 소형 글래스 패널을 다른 위치로 운반하고자 할 때, 작업자는 휴대용 진공흡착 장치를 글래스 패널의 표면에 흡착시킨 상태에서 직접 운반하게 된다.
이와 같은 휴대용 진공흡착 장치는 글래스 패널에 접촉하는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판과 글래스 패널 사이의 진공을 해제하기 위한 진공해제 버튼과, 상기 흡착판과 진공해제 버튼 사이에 연결된 호스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진공흡착 장치에 따르면, 상기 흡착판을 글래스 패널을 향해 눌러서 고정시킨 상태에서 글래스 패널을 운반할 때, 상기 호스의 유연성 때문에 진공해제 버튼이 흔들리다가 의도치 않게 주변 구조물이나 신체의 일부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시의 압력에 의해 의도치 않게 진공해제 버튼이 눌려져서 흡착판과 글래스 패널 사이의 진공을 해제되므로 글래스 패널이 낙하하여 손상되는 경우가 많았다.
(선행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77338호(2008.12.2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글래스 패널의 운반시 진공해제 버튼이 의도치 않게 약하게 눌려짐으로써 진공이 해제되는 것과 함께 글라스 패널이 낙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 범위의 압력에 의해서만 진공이 해제되는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는,
흡착부; 및,
연결관을 통해 상기 흡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부와 흡착 대상물 사이의 진공을 해제하는 진공해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진공해제 유닛은,
상기 연결관의 일단에 연결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복원 가능하게 눌려지는 진공해제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해제 버튼에 대한 누름 압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진공해제 버튼이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향해 복원 가능한 2단계 이동을 수행 가능하되, 상기 2단계 이동은 누름 압력에 의해 진공이 해제되지 않는 제1단계 이동과, 제1단계 이동시의 누름 압력보다 큰 누름 압력에 의해 진공이 해제되는 제2단계 이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해제 유닛의 본체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진공해제 버튼의 이동방향인 축방향 일측에는 상기 진공해제 버튼이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연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왕복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이동체;
상기 하우징의 개구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바닥과 상기 이동체의 일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압축 스프링; 및,
상기 이동체의 타측과 상기 진공해제 버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제1 압축 스프링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제2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체를 수용하는 수용통과, 상기 수용통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마감 캡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수용통의 내면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의 일측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의 횡단면 직경보다 작은 횡단면 직경을 가지며 둘레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배출홈이 형성되는 소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경부의 둘레에는 오링이 밀착되게 끼워지고,
상기 마감 캡에는 상기 소경부의 둘레를 감싸되 상기 제1 압축 스프링에 의해 상기 오링이 누름 접촉하는 선단부를 가지는 가이드 통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해제 버튼의 둘레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배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 캡에 형성된 가이드 통의 외주면에는 상기 수용통의 내면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링과 대향하는 선단부에는 축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부, 연결관 및 진공해제 유닛이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장착 프레임의 하부에는 흡착부가 배치되고, 상부에는 진공해제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장착 프레임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기 진공해제 유닛과 흡착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장착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흡착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가이드 홀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을 중심으로 양측,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 로드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장착 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가이드 로드의 둘레에는 상기 장착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 사이에 제3 압축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장착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흡착부에 의해 글래스 패널이 운반될 때 진공해제 버튼이 의도치 않게 눌려지는 제1단계의 압력에 의해서는 흡착부의 진공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의도치 않게 글래스 패널이 낙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의 진공해제 유닛의 제1 작용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의 진공해제 유닛의 제2 작용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의 진공해제 유닛의 제3 작용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1000)는, 흡착부(S) 및, 연결관(C)을 통해 상기 흡착부(S)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부(S)와 흡착 대상물 사이의 진공을 해제하는 진공해제 유닛(R)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진공해제 유닛(R)은, 상기 연결관(C)의 일단에 연결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에 대하여 복원 가능하게 눌려지는 진공해제 버튼(200)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해제 버튼(200)에 대한 누름 압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진공해제 버튼(200)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를 향해 복원 가능한 2단계 이동을 수행 가능하되, 상기 2단계 이동은 누름 압력에 의해 진공이 해제되지 않는 제1단계와, 제1단계의 누름 압력보다 큰 누름 압력에 의해 진공이 해제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흡착부(S)에 의해 글래스 패널의 운반시 진공해제 버튼(200)이 의도치 않게 약한 압력으로 눌려지는 제1단계의 압력에 의해서는 진공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고, 제1단계의 압력보다 큰 제2단계의 압력에 의해서만 진공이 해제될 수 있어 글래스 패널이 낙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해제 유닛(R)의 본체부(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형성되되 상기 진공해제 버튼(200)의 이동방향인 축방향 일측에 상기 진공해제 버튼(200)이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개구(112)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연결관(C)과 연결되는 연통공(113)이 형성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에 왕복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이동체(120),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112)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바닥과 상기 이동체(120)의 일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압축 스프링(130) 및, 상기 이동체(120)의 타측과 상기 진공해제 버튼(20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제1 압축 스프링(130)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제2 압축 스프링(140)을 포함한다.
다수 회의 실험을 통해, 상기 제1 압축 스프링(130)의 탄성계수와 제2 압축 스프링(140)의 탄성계수의 각각의 크기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축 스프링(130)의 탄성계수가 제2 압축 스프링(140)의 탄성계수보다 크게 설정되므로 비교적 작은 압력이 상기 진공해제 버튼(200)에 작용하면 상기 제2 압축 스프링(140)만 압축 변위될 뿐, 상기 제1 압축 스프링(130)에 유의미한 변위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체(120)는 유의미한 거리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흡착부(S)의 진공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진공해제 유닛(R)의 본체부(100) 구성을 한층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이동체(120)를 수용하는 수용통(110a)과, 상기 수용통(110a)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개구(112)가 형성되는 마감 캡(110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체(120)는 상기 수용통(110a)의 내면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대경부(121)와, 상기 대경부(121)의 일측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대경부(121)의 횡단면 직경보다 작은 횡단면 직경을 가지며 둘레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배출홈(122a)이 형성되는 소경부(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경부(122)의 둘레에는 오링(123)이 밀착되게 끼워져서 상기 제1 압축 스프링(130)에 의해 상기 마감 캡(110b)과 소경부(122) 사이에 틈이 폐쇄되어 상기 흡착부(S)의 진공이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감 캡(110b)에는 상기 소경부(122)의 둘레를 감싸되 상기 제1 압축 스프링(130)에 의해 상기 오링(123)이 누름 접촉하는 선단부를 가지는 가이드 통(115)이 형성된다.
상기 오링(123)이 축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소경부(122)의 둘레에는 상기 오링(123)이 결합되는 설치홈(122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공해제 버튼(200)의 둘레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배출홈(210)이 형성되어 있어 진공이 해제될 때 외부 공기와의 원활한 연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감 캡(110b)에 형성된 가이드 통(115)의 외주면에는 상기 수용통(110a)의 내면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결합부(115a)가 형성되고, 상기 오링(123)과 대향하는 선단부에는 축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접촉면(115b)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면(115b)은 경사가 형성되어 있어 부분 원뿔형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접촉면(115b)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오링(123)이 한층 긴밀하게 접촉면(115b)에 밀착되어 흡착부(S)와 외부 공기와의 소통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수용통(110a)의 바닥과 상기 이동체(120)의 축방향 일단에는 상기 제1 압축 스프링(130)의 양단이 삽입되는 제1 스프링 시트홈(SP1, SP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120)의 축방향 타단과 진공해제 버튼(200)의 일단에는 상기 제2 압축 스프링(140)의 양단이 삽입되는 제2 스프링 시트홈(SP3, SP4)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130, 140)의 측방향 이탈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1000)는, 상기 흡착부(S), 연결관(C) 및 진공해제 유닛(R)이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300)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프레임(300)은 흡착부(S), 연결관(C) 및 진공해제 유닛(R)을 고정하는 역할 뿐 아니라 흡착부(S)를 글래스 패널에 흡착할 때 손잡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패널 흡착 등의 사용이 한결 편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 프레임(300)의 하부에는 흡착부(S)가 배치되고, 상부에는 진공해제 유닛(S)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C)은 상기 장착 프레임(300)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기 진공해제 유닛(R)과 흡착부(S)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프레임(300)의 4개 모서리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지지 로드(310)는 글래스 패널을 균일하게 지지하여 흡착부(S)가 글래스 패널을 확실히 진공 흡착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하단에는 고무 받침(311)이 설치되어 글래스 패널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장착 프레임(300)의 하부에 상기 장착 프레임(30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400)은 상기 장착 프레임(300)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바닥에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편(470)을 바닥이나 별도의 지지대(미도시)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장착 프레임(300)을 상기 지지 프레임(400)에 대하여 눌러서 상기 장착 프레임(300)이 안정적으로 하강 이동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흡착부(S)가 흡착 대상물을 확실하게 흡착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400)에는 상기 흡착부(S)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가이드 홀(410)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410)을 중심으로 양측, 상기 지지 프레임(400)의 상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 로드(420)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장착 프레임(30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가이드 로드(420)의 둘레에는 제3 압축 스프링(430)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400)에 대하여 장착 프레임(300)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장착 프레임(300)을 위쪽으로 관통한 상기 가이드 로드(420)의 상단에는 스토퍼(440)가 설치되어 상기 장착 프레임(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10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글래스 패널을 바닥(또는, 바닥에 형성된 지지대)에 올려놓고, 상기 글래스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바닥에 지지 프레임(400)을 올려 놓는다.
이어서, 상기 장착 프레임(300)을 눌러서 상기 지지 프레임(400)에 대하여 흡착부(S)를 하강시킨다.
상기 흡착부(S)가 하강하여 글래스 패널을 누르면 순간적으로 상기 흡착부(S)와 글래스 패널 사이에 진공이 형성되어 글래스 패널이 흡착부(S)에 흡착되며, 상기 장착 프레임(300)을 손으로 파지하여 글래스 패널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 상태는 진공해제 버튼(200)에 어떠한 압력도 작용하지 않은 상태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압축 스프링(130)이 수용통(110a)의 바닥에 대하여 상기 이동체(120)의 일측을 누르는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압축 스프링(140)이 이동체(120)에 대하여 진공해제 버튼(200)을 누르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압축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오링(123)이 상기 마감 캡(110b)의 가이드 통(115)과 소경부(120) 사이의 틈을 폐쇄하여 흡착부(S)와 외부 공기와의 소통이 완전히 차단되며, 결국 상기 흡착부(S)의 진공이 유지된다.
한편, 글래스 패널의 운반시 무심코 진공해제 버튼(200)이 눌려지는 경우 비교적 작은 압력이 진공해제 버튼(200)에 작용한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압축 스프링(130)의 탄성계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탄성계수를 가지는 제2 압축 스프링(140)이 이동체(120)에 대하여 압축 변위하게 되는 반면 제1 압축 스프링(130)은 유의미한 크기로 변위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 압축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오링(123)이 상기 마감 캡(110b)의 가이드 통(115)과 소경부(120) 사이의 틈이 여전히 폐쇄되어 상기 흡착부(S)의 진공이 유지된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로 진공을 해제하기 위해 진공해제 버튼(200)을 강하게 누르는 경우 진공해제 버튼(200)이 제2 압축 스프링(140)의 저항력을 이기고 이동체(140)까지 이동하게 되며, 진공해제 버튼(200)이 연속적으로 이동체(140)를 눌러서 이동체(140)가 제1 압축 스프링(130)의 저항력을 이기고 이동한다.
상기 이동체(140)의 이동에 따라 오링(123)이 상기 가이드 통(150)으로부터 분리되고 소경부(122)와 가이드 통(150) 사이에 틈(g)이 형성되면 수용통(110a)에 형성된 연통공(113)이 이동체(120)의 소경부(122)에 형성된 제1 배출홈(122a)과 진공해제 버튼(200)에 형성된 제2 배출홈(210)을 통해 외부의 공기와 연통되어 흡착부(S)의 진공이 해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본체부
110... 하우징
120... 이동체
130... 제1 압축 스프링
140... 제2 압축 스프링
150... 가이드 통
200... 진공해제 버튼
300... 장착 프레임
400... 지지 프레임
1000...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
S... 흡착부
C... 연결관
R... 진공해제 유닛

Claims (6)

  1. 흡착부; 및,
    연결관을 통해 상기 흡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부와 흡착 대상물 사이의 진공을 해제하는 진공해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진공해제 유닛은,
    상기 연결관의 일단에 연결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복원 가능하게 눌려지는 진공해제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해제 버튼에 대한 누름 압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진공해제 버튼이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향해 복원 가능한 2단계 이동을 수행 가능하되, 상기 2단계 이동은 누름 압력에 의해 진공이 해제되지 않는 제1단계와, 제1단계의 누름 압력보다 큰 누름 압력에 의해 진공이 해제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해제 유닛의 본체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진공해제 버튼의 이동방향인 축방향 일측에는 상기 진공해제 버튼이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연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왕복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이동체;
    상기 하우징의 개구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바닥과 상기 이동체의 일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압축 스프링; 및,
    상기 이동체의 타측과 상기 진공해제 버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제1 압축 스프링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제2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체를 수용하는 수용통과, 상기 수용통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마감 캡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수용통의 내면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의 일측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의 횡단면 직경보다 작은 횡단면 직경을 가지며 둘레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배출홈이 형성되는 소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경부의 둘레에는 오링이 밀착되게 끼워지고,
    상기 마감 캡에는 상기 소경부의 둘레를 감싸되 상기 제1 압축 스프링에 의해 상기 오링이 누름 접촉하는 선단부를 가지는 가이드 통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해제 버튼의 둘레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배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캡에 형성된 가이드 통의 외주면에는 상기 수용통의 내면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링과 대향하는 선단부에는 축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 연결관 및 진공해제 유닛이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장착 프레임의 하부에는 흡착부가 배치되고, 상부에는 진공해제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장착 프레임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기 진공해제 유닛과 흡착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장착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흡착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가이드 홀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을 중심으로 양측,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 로드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장착 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가이드 로드의 둘레에는 상기 장착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 사이에 제3 압축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장착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
KR1020180070309A 2018-06-19 2018-06-19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 KR102027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309A KR102027232B1 (ko) 2018-06-19 2018-06-19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309A KR102027232B1 (ko) 2018-06-19 2018-06-19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232B1 true KR102027232B1 (ko) 2019-10-01

Family

ID=6820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309A KR102027232B1 (ko) 2018-06-19 2018-06-19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115A (ko) *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제이스텍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1667A (ko) * 2007-06-19 2008-12-24 한진복 진공 흡착구
KR100877338B1 (ko) 2005-11-16 2009-01-13 (주)금성다이아몬드 유리패널용 진공흡착기
KR20110070055A (ko) * 2009-12-18 2011-06-24 세크론 주식회사 다이 흡착 유닛 및 다이 흡착 유닛을 포함하는 다이 본딩 헤드
KR20160110244A (ko) * 2015-03-11 2016-09-21 (주)제이티 픽커
KR20180009186A (ko) * 2016-07-18 2018-01-26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흡착 엔드 이펙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338B1 (ko) 2005-11-16 2009-01-13 (주)금성다이아몬드 유리패널용 진공흡착기
KR20080111667A (ko) * 2007-06-19 2008-12-24 한진복 진공 흡착구
KR20110070055A (ko) * 2009-12-18 2011-06-24 세크론 주식회사 다이 흡착 유닛 및 다이 흡착 유닛을 포함하는 다이 본딩 헤드
KR20160110244A (ko) * 2015-03-11 2016-09-21 (주)제이티 픽커
KR20180009186A (ko) * 2016-07-18 2018-01-26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흡착 엔드 이펙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115A (ko) *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제이스텍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
KR102429667B1 (ko) * 2020-04-02 2022-08-05 주식회사 제이스텍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1492B2 (en) Fixing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3457099B (zh) 芯片卡固持结构
US20050218278A1 (en) End securing device for telescopic tube
KR102027232B1 (ko)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
US8567739B2 (en) Support apparatus for supporting device
US20080283741A1 (en) Sample introduction device for mass spectroscope
US10253889B2 (en) Gate valve
KR20190142820A (ko) 터치펜 거치대
US20110008663A1 (en) Fix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0981804B1 (ko) Foup오프너의 foup도어 위치결정장치
US9404579B2 (en) Sealing device and method
US20140165792A1 (en) Auxiliary device for maintaining a screw upright
CN108891742A (zh) 一种用于收纳图纸的图纸筒
US8453884B2 (en) Diaphragm pump actuated liquid dispensing apparatus having dome shaped deformable membrane
US9341202B2 (en) Support device
JP2019108948A (ja) ピンチバルブ及びチューブホルダ
TW201918148A (zh) 固定治具
CN110131576A (zh) 一种气体采样罐阀门固定装置
KR101575799B1 (ko) 차량용 거치대
KR100630381B1 (ko) 가공물 고정장치
JP3211688U (ja) 吸着装置
US10724822B1 (en) Toy gun capable of quickly piercing air bottle
JP2015502240A (ja) シリンジレスフィルター器具圧縮器
KR930004576Y1 (ko) 공기의 유입조절 콕
KR101693298B1 (ko) 휴대기기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