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667B1 -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 - Google Patents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667B1
KR102429667B1 KR1020200040443A KR20200040443A KR102429667B1 KR 102429667 B1 KR102429667 B1 KR 102429667B1 KR 1020200040443 A KR1020200040443 A KR 1020200040443A KR 20200040443 A KR20200040443 A KR 20200040443A KR 102429667 B1 KR102429667 B1 KR 102429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hole
main bar
display pane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3115A (ko
Inventor
김훈상
박정욱
이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스텍
Priority to KR1020200040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66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8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12Load carriers, e.g. hooks, slings, harness, gloves, modified for load carr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08Adjustable and/or adaptable to the articl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 및 이송대상이 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맞춰, 흡착장치의 크기를 그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맞춰 그에 맞는 흡착장치를 다수를 구비하지 않고도, 단일의 흡착장치만으로도 다양한 운반작업이 바로 가능토록 하는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Adsorption device for display panel with variable position and size}
본 발명은 운반 및 이송하고자 하는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상관없이, 단일개의 장치가 크기조절되면서 손쉽게 흡착운반이 가능토록 하는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기술발전으로 인하여 PDP, LCD 또는 LED 등의 평판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패널은 그 크기가 대면적이고, 사용되는 량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패널은 패널 제조업체에서 제작되어 패널을 이용한 완성품 제조업체로 운반되는데, 이러한 완성품을 제조할 때까지 다양한 조립/검사 또는 수송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패널은 가격이 고가이고 두께가 얇아 전술한 과정을 거치기 위하여 운반할 경우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파손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패널을 이송시키기 위해 진공 흡착 장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그 메커니즘은 공기를 빼내 진공을 이루어 패널과 흡착되어 패널을 이송한 후 다시 공기를 주입하여 패널을 탈착시키는 메커니즘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진공 흡착 장치의 경우, 이송 및 운반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 또는 면적에 따라, 사용되는 진공 흡착 장치의 크기도 달라져야 했으며, 이는 결국 다양한 사이즈의 진공 흡착 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구매비용 증가 및 작업효율의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기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31692호(2013.11.14.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공흡착하여 이송함에 있어서, 이송대상이 되는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따라, 개별적으로 다수의 진공흡착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단일개의 진공흡착장치의 크기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맞춰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개의 장비만으로도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운반에 사용이 가능토록 한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P)에 압착시 진공흡착되는 다수의 흡착부(10);
상기 흡착부(10)가 저면에서 길이방향을 향해 고정위치가 변경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호간 대향되어 이격배치되는 제 1, 2, 3바(a, b, c)로 이루어지는 메인바(20);
상기 제 1, 2바(a, b)의 상, 하단 사이 및 상기 제 2, 3바(b, c)의 상, 하단 사이를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제 1사각형 틀(A)과 제 2사각형 틀(B)을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서, 이송 및 운반대상이 되는 다양한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P)의 크기에 맞춰, 상기 제 1, 2사각형 틀(A, B)의 가로 및 세로의 크기조절이 가능토록, 상기 메인바(20)에 고정되는 위치가 조절되는 다수의 조절바(30);
삭제
상기 메인바(20)의 일측면에 위치변경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흡착부(10)와 연결설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P)에 흡착된 흡착부(10) 내로 공기를 주입하여, 흡착부(10)와 디스플레이 패널(P) 상호간의 분리가 가능토록 하는 공기배출 제어수단(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반 및 이송대상이 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맞춰, 단일의 흡착장치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흡착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구매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흡착장치로 다양한 크기의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운반이 가능함으로, 작업이 편리하여 작업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및 흡착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 제어수단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에서 전체 크기의 조절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부의 위치조절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실시 사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100)는 흡착부(10), 메인바(20), 조절바(30), 공기배출 제어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흡착부(10)는 디스플레이 패널(P)에 압착시 진공흡착되는 것으로, 고무재질이며, 중앙이 함몰된 고무재질의 패드이다.
이러한 흡착부(10)는 운반 및 이송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P) 일면에 부착시킨 후, 중앙을 눌러 내부의 공기를 빼냄으로써, 고무재질의 흡착부(10) 내부로 공기가 새롭게 유입되지 않아 외부로 압력차가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P)에 밀착되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흡착부(10)는 후술될 바 형상의 메인바(20) 저면 양측에 각각 하나씩, 총 2개가 설치되어, 메인바(20)의 저면에서 위치가 변경되어 고정될 수 있지만, 이러한 흡착부(10)의 개수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부분이다.
상기 메인바(20)는 바 형상을 가지는 사각형 단면의 봉으로써, 상기 흡착부(10)가 저면에서 길이방향을 향해 고정위치가 변경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개가 상호간 대향되어 이격배치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 자 형태의 세로방향으로 다수개가 상호간 사전설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지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제 1, 2, 3바(a, b, c)로 이루어지는 3개의 메인바(20)가 사용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메인바(20)에는 전술된 흡착부(10)와 더불어, 후술될 공기배출 제어수단(40)과 조절바(30)가 위치조절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라인 및 구성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제 1라인(21), 제 2라인(22), 제 3라인(23), 다수의 브라켓(24)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 제 1라인(21)은 메인바(20)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되는 'I'자 단면형태의 홈으로써, 상기 흡착부(10)의 상단이 메인바(20) 길이방향의 사전설정위치에 끼움결합되어 설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이다.
상기 제 2라인(22)은 메인바(20)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I'자 단면형태의 홈으로써, 후술될 공기배출 제어수단(40)의 일측면이 메인바(20) 길이방향의 사전설정위치에 설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이다.
상기 제 3라인(23)은 제 1, 2라인(21, 22)과 마찬가지로, 메인바(2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I'자 단면형태의 홈으로써, 하기의 브라켓(24)이 사전설정위치에 설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이다.
상기 다수의 브라켓(24)은 전술된 제 3라인(23)을 따라 이동되면서 사전설정위치에 하단부가 끼움결합되어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에는 상기 조절바(30)가 대응되며 끼워지는 끼움홀(25)이 형성되어, 고정수단(B)에 의해 끼움홀(25)이 조여지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끼움홀(25)은 상단이 절개되어, 원형 단면의 조절바(30)가 끼워짐이 용이토록 하면서, 고정수단(B)에 의해 끼움홀(25)의 절개부분이 밀착되며 조여져 조절바(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 1, 2, 3라인(21, 22, 23)은 각각 메인바(20)에 볼팅결합을 사용하는 고정수단(B)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며, 위치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볼팅을 풀어 위치를 변경한 후 다시 조여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물론, 이를 위해, 상기 제 1, 2, 3라인(21, 22, 23)에 결합되는 흡착부(10)의 상단, 공기배출 제어수단(40)의 일측, 브라켓(24) 하단의 체결부분 또한, 각각 제 1, 2, 3라인(21, 22, 23)에 대응되며 끼움결합이 가능한 단면으로 형성되어, 제 1, 2, 3라인(21, 22, 23) 각각의 길이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되며 위치이동이 가능하고, 끼움체결이 가능하도록 해야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조절바(30)는 복수개의 메인바(20) 사이마다, 메인바(20)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도록 '─'자 형태로 설치되어 사각형 틀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원형단면의 봉으로써, 이송 및 운반대상이 되는 다양한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P)의 크기에 맞춰, 상기 사각형 틀의 가로 및 세로의 크기조절이 가능토록, 상기 메인바(20)에 고정되는 위치가 조절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조절바(30)는 2개의 메인바(20)가 상호간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각 메인바(20)의 상, 하단에 브라켓(24)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단일의 조절바(30) 양단은 2개의 메인바(20) 각 상단의 브라켓(24) 끼움홀(25)에 끼워져 고정되어지고, 또다른 조절바(30) 양단도 2개의 메인바(20) 각 하단의 브라켓(24) 끼움홀(25)에 끼워짐으로써, 2개의 메인바(20)와 2개의 조절바(30)로 사각형 형태의 틀이 완성이 되도록 한 것이다.(상기 조절바(30)는 제 1, 2바(a, b)의 상, 하단 사이 및 상기 제 2, 3바(b, c)의 상, 하단 사이를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제 1사각형 틀(A)과 제 2사각형 틀(B)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메인바(20)에 고정되는 브라켓(24)의 위치에 따라, 복수개의 조절바(30) 상호간의 세로방향 이격거리가 조절가능하고, 상기 브라켓(24)에 고정되는 조절바(30)의 위치에 따라, 조절바(30)의 가로방향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기에, 이송 및 운반하고자 하는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P)의 크기에 맞춰 이러한 사각형 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고, 이때, 이러한 조절바(30)의 위치뿐만 아니라, 각 메인바(20)의 상, 하단에 결합된 흡착부(10)의 위치 또한 변경하면서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상기 공기배출 제어수단(40)은 메인바(20)의 일측면에 위치변경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흡착부(10)와 연결설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P)에 흡착된 흡착부(10) 내로 공기를 주입하여, 흡착부(10)와 디스플레이 패널(P) 상호간의 분리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공기배출 제어수단(40)은 흡착부(10)가 디스플레이 패널(P)에 흡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P)의 운반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패널(P)에 흡착되어 있던 흡착부(1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분리될 수 있도록 공기를 주입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한 공기배출 제어수단(40)은 설치판(41), 하우징(43), 누름부(46), 제 1홀(44), 제 2홀(47), 제 3홀(48), 연결호스(49), 개폐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판(41)은 전술된 제 2라인(22)에 공기배출 제어수단(40)을 고정하기 위한 판재로써,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판(42a) 부분이 제 2라인(22)에 볼팅으로 조여져 체결고정되고, 상기 공기배출 제어수단(40)이 수평판(42b) 부분에 수직으로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43)는 공기배출 제어수단(40)의 몸체로써,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45)가 수직으로 삽입된 제 1홀(44)을 내부에 천공형성하고 있는 부분이다.
상기 누름부(46)는 전술된 제 1홀(44)의 상부에서 탄성부재(45)를 누를수 있도록 설치되어, 누를시 탄성부재(45)가 제 1홀(44) 내부로 압축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제 1홀(44)은 탄성부재(45)를 누른 후 탄성부재(45)의 원상복귀력에 의해 밀려도 제 1홀(44) 외부로 탈거되지 않도록 제 1홀(44)에 체결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제 2홀(47)은 하우징(43)의 외주연에서 제 1홀(44)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홀이다.
상기 제 3홀(48)은 하우징(43)의 외주연 하단에서, 메인바(20)의 양측을 향해 연통설치되는 홀이며, 이러한 제 3홀(48)은 흡착부(10)와 연결호스(49)로 연통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부(50)는 전술된 탄성부재(45)의 중단에 설치되어, 누름부(46) 작동전에는 제 1홀(44) 내에서 제 3홀(48)을 막게되는 위치에 대응되어 있되, 누름부(46)를 작동시에는 탄성부재(45)의 눌림으로 제 1홀(44) 내부 바닥으로 밀려나면서, 막고있던 제 3홀(48)을 개방시켜, 제 2홀(47)과 연통되면서 연결호스(49)로 흡착부(10)에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P)에 부착되어 있던 흡착부(10)의 흡착이 풀리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단일의 메인바(20)에는 단일의 공기배출 제어수단(40)이 형성되고, 단일의 공기배출 제어수단(40)은 메인바(20) 양단의 흡착부(10)와 연결호스(49)로 연결되어, 공기배출 제어수단(40)을 누를시 공기배출 제어수단(40)이 설치된 메인바(20)의 2개 흡착부(10)에만 흡착이 풀리도록 하였지만,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보조호스(51)를 통해 각 메인바(20)의 연결호스(49) 상호간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단 한곳의 공기배출 제어수단(40)의 작동으로, 흡착이 동시에 풀릴수 있도록 하는 흡착부(10)의 개수가 증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흡착부 20: 메인바
21: 제 1라인 22: 제 2라인
23: 제 3라인 24: 브라켓
25: 끼움홀 30: 조절바
40: 공기배출 제어수단 41: 설치판
42a: 수직판 42b: 수평판
44: 제 1홀 45: 탄성부재
46: 누름부 47: 제 2홀
48: 제 3홀 49: 연결호스
50: 개폐부 51: 보조호스
B: 고정수단

Claims (5)

  1. 디스플레이 패널(P)에 압착시 진공흡착되는 다수의 흡착부(10);
    상기 흡착부(10)가 저면에서 길이방향을 향해 고정위치가 변경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호간 대향되어 이격배치되는 제 1, 2, 3바(a, b, c)로 이루어지는 메인바(20);
    상기 제 1, 2바(a, b)의 상, 하단 사이 및 상기 제 2, 3바(b, c)의 상, 하단 사이를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제 1사각형 틀(A)과 제 2사각형 틀(B)을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서, 이송 및 운반대상이 되는 다양한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P)의 크기에 맞춰, 상기 제 1, 2사각형 틀(A, B)의 가로 및 세로의 크기조절이 가능토록, 상기 메인바(20)에 고정되는 위치가 조절되는 다수의 조절바(30);
    상기 메인바(20)의 일측면에 위치변경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흡착부(10)와 연결설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P)에 흡착된 흡착부(10)에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흡착부(10)와 디스플레이 패널(P) 상호간의 분리가 가능토록 하는 공기배출 제어수단(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바(20)는
    상기 메인바(20)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착부(10)의 상단이 메인바(20) 길이방향의 사전설정위치에 끼움결합되어 설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라인(21);
    상기 메인바(20)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배출 제어수단(40)이 일측면이 메인바(20) 길이방향의 사전설정위치에 설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라인(22);
    상기 메인바(2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라인(23);
    상기 제 3라인(23)을 따라 이동되면서 사전설정위치에 하단부가 끼움결합되어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에는 상기 조절바(30)가 대응되며 끼워지는 끼움홀(25)이 형성되어, 고정수단(B)에 의해 끼움홀(25)이 조여지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브라켓(2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바(20)에 고정되는 브라켓(24)의 위치에 따라, 복수개의 조절바(30) 상호간의 세로방향 이격거리가 조절가능하고, 상기 브라켓(24)에 고정되는 조절바(30)의 위치에 따라, 조절바(30)의 가로방향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공기배출 제어수단(40)은
    상기 제 2라인(22)에 고정되되, 상기 공기배출 제어수단(40)이 수직으로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설치판(41);
    탄성부재(45)가 수직으로 삽입된 제 1홀(44)을 내부에 천공형성하고 있는 하우징(43);
    상기 제 1홀(44)의 상부에 설치되어, 탄성부재(45)를 내부로 압축시킬 수 있는 누름부(46);
    상기 하우징(43)의 외주연에서 제 1홀(44)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제 2홀(47);
    상기 하우징(43)의 외주연 하단에서, 메인바(20)의 양측을 향해 연통설치되는 제 3홀(48);
    상기 제 3홀(48)과 흡착부(10)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결호스(49);
    상기 탄성부재(45)가 중단에 설치되어, 누름부(46) 작동전에는 제 3홀(48)을 밀폐하고 있되, 누름부(46)를 작동시에는 제 3홀(48)을 개방하면서 연결호스(49)로 흡착부(1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흡착이 풀리도록 하는 개폐부(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흡착부(10)와 연결되는 연결호스(49)는, 상호간 보조호스(51)를 통해 각 메인바(20)의 연결호스(49) 상호간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연통되는 다수 흡착부(10)의 흡착이 동시에 풀릴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40443A 2020-04-02 2020-04-02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 KR102429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43A KR102429667B1 (ko) 2020-04-02 2020-04-02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43A KR102429667B1 (ko) 2020-04-02 2020-04-02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115A KR20210123115A (ko) 2021-10-13
KR102429667B1 true KR102429667B1 (ko) 2022-08-05

Family

ID=78115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443A KR102429667B1 (ko) 2020-04-02 2020-04-02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99096B (zh) * 2022-09-09 2023-06-20 河北圣昊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Bar条承载台及具有其的芯片测试机
CN117913018B (zh) * 2024-03-15 2024-05-28 常熟市兆恒众力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半导体晶圆转移的高强固定吸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232B1 (ko) * 2018-06-19 2019-10-01 (주)금성다이아몬드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692B1 (ko) 2013-07-25 2013-11-20 주식회사 에이디시러스코리아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
KR101774828B1 (ko) * 2015-09-16 2017-09-05 주식회사 로보테크 판상물용 이송로봇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232B1 (ko) * 2018-06-19 2019-10-01 (주)금성다이아몬드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115A (ko)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667B1 (ko)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
US8919269B1 (en) Sewing machine feed mechanism
KR200414953Y1 (ko) 호스슈팅방식을 이용한 인서트 너트 정렬 공급장치
TW200731391A (en) Vacuum chamber and vacuum processing apparatus
SG1252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modular component in a chassis
EP2489790A2 (en) Water pump equipment
CN105526235A (zh) 吸盘机构及具有该吸盘机构的取放装置
GB2472719A (en) Pneumatic dispenser
KR101285979B1 (ko) 패널 이송용 진공흡착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진공흡착기
WO2020224674A3 (zh) 一种空气除尘设备
KR101524061B1 (ko) 도어 조립장치
EP2011751A3 (de) Vibrationslinearförderer
PL1713048T3 (pl) Uchwyt do zawieszania materiałów
MX2022003263A (es) Dispositivo y metodo para mover un modulo de edificio a lo largo del suelo.
CN107756012A (zh) 一种自动安装拆卸式五金圆形块安装机构
WO2009034265A3 (fr) Montant modulaire pour porte de manutention a rideau souple
CN110037388A (zh) 一种鞋底定位装置
CN103448044B (zh) 组合式吸附加工平台
KR100710844B1 (ko) 판유리 이송장치
KR101332472B1 (ko) 공기압 공급장치
KR100607447B1 (ko) 푸시형 아일렛공급기를 갖는 아일렛 결합장치
CN107407428B (zh) 真空阀
CN214837635U (zh) 手动保压装置
CN106019653B (zh) 假压头组件
CN207415307U (zh) 一种背光吸附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