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692B1 -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692B1
KR101331692B1 KR1020130088184A KR20130088184A KR101331692B1 KR 101331692 B1 KR101331692 B1 KR 101331692B1 KR 1020130088184 A KR1020130088184 A KR 1020130088184A KR 20130088184 A KR20130088184 A KR 20130088184A KR 101331692 B1 KR101331692 B1 KR 101331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ubber
vacuum
pipe guid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환
서용수
정명훈
강영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시러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시러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시러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088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25J15/0683Details of suction cup structure, e.g. grooves or 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ir blasts producing partial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7Sheet handling, means, e.g. manipulators, devices for turning or tilting sheet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CD나 PDP용 유리패널을 간편하게 흡착탈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는, 상단부에는 마운팅 장치가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고무 재질의 패드가 연결되는, 수직으로 배치된 고무 재질의 관형 본체; 및 상기 관형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무 재질의 파이프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본체의 외주면의 일부는 자바라 형상이며, 상기 파이프 안내부에는 파이프가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는 진공압제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패드가 패널을 흡착하고 진공을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패드가 패널을 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 {VACUUM SUCTION APPARTUS FOR DISPLAY PANEL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CD나 PDP용 유리패널을 간편하게 흡착탈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기술발전으로 인하여 PDP, LCD 또는 LED 등의 평판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패널은 그 크기가 대면적이고, 사용되는 량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패널은 패널 제조업체에서 제작되어 패널을 이용한 완성품 제조업체로 운반되는데, 이러한 완성품을 제조할 때까지 다양한 조립/검사 또는 수송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패널은 가격이 고가이고 두께가 얇아 전술한 과정을 거치기 위하여 운반할 경우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파손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패널을 이송시키기 위해 진공 흡착 장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그 메커니즘은 공기를 빼내 진공을 이루어 패널과 흡착되어 패널을 이송한 후 다시 공기를 주입하여 패널을 탈착시키는 메커니즘이다.
이 경우 진공 흡착 장치는 고무 제품으로 이루어지고 고무 제품에는 이물질이 붙어 있기가 쉬우며 이 경우 패널에는 흡착된 자국이 남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패널의 정전기 현상에 의한 것이다. 패널과 압착되어 진공에 의해 흡착되는 원리상 패널과 접촉이 발생하고 이 과정에서 마찰 전기가 발생하여 고무가 정전기를 띠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정전기 현상을 방지하여 흡착 자국을 남기지 않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10-2004-0101830호 한국특허등록공보 제 10-0694892호 한국특허등록공보 제 10-0583461호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10-2011-0009749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는, 상단부에는 마운팅 장치가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고무 재질의 패드가 연결되는, 수직으로 배치된 고무 재질의 관형 본체; 및 상기 관형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무 재질의 파이프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본체의 외주면의 일부는 자바라 형상이며, 상기 파이프 안내부에는 파이프가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는 진공압제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패드가 패널을 흡착하고 진공을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패드가 패널을 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고무 재질 관형 본체; 패드; 및 파이프 안내부의 내부 및 외부에는 정전기 방지(antistatic) 도료가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정전기 방지 도료는, 폴리에스테르,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n-부틸아세테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무 재질의 파이프 안내부에는 파이프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억지 끼움 방식을 이루기 위해 상기 고무 재질의 파이프 안내부의 내부 원주면에는 환형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 재질의 파이프 안내부는 하나의 고무 재질의 부재가 두루마리 형상으로 말아져 파이프를 형성하여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 경우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고무 재질의 부재의 일끝단에는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끝단에는 이러한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를 상기 홈에 외력에 의해 끼워 넣어 조립이 가능하고, 상기 돌출부를 상기 홈으로부터 외력에 의해 빼냄으로써 해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의 파이프 안내부의 내부 모습이다.
도 4는 파이프 안내부에 파이프가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는 파이프 안내부의 조립 및 분해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6은 파이프 안내부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아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설명을 제공한다. 본 섹션은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모든 엘리먼트들 중 핵심 엘리먼트를 식별하거나, 모든 실시예의 범위를 커버하고자 할 의도도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후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개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100)는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상단부에는 마운팅 장치(200)가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고무 재질의 패드(10)가 연결되는, 수직으로 배치된 고무 재질의 관형 본체(20); 및 파이프 안내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흡착 장치는 PDP, LCD 또는 LED 등의 평판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패널과 접촉하여 진공흡착되거나 탈착되며 패널을 이송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진공흡착기 유닛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관형 본체(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이고 관 형태를 이루어 마운팅 장치(200)로부터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패드(10)는 관형 본체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패널과 직접 맞닿는 부분이다.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어 패널에 흡착되거나 또는 진공이 해제되어 패널로부터 탈착된다.
마운팅 장치(200)는 관형 본체(20)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이러한 마운팅 장치는 로봇 이송 장치의 일부분일 수도 있고, 또는 이러한 로봇 이송 장치에 연결되기 위한 장착부일 수도 있다.
이러한 관형 본체(20)의 외주면의 일부는 자바라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관형 본체(20) 중 일부분(40)은 자바라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자바라 형상에 의해 패널의 흡착 및 탈착시 완충 효과가 발생되고 또한 패널의 이동시에도 완충 효과가 발생될 수 있어 패널에 힘이 가해져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의 하나인 패널의 이송중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파이프 안내부(30)는 관형 본체(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파이프 안내부(30)에는 파이프(50)가 연결된다. 이러한 파이프(50)는 진공압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해 진공 흡착 장치(10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거나 진공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패드(10)가 패널을 흡착 및 탈착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이미 언급한 것처럼, 진공 흡착 장치는 고무 제품으로 이루어지고 고무 제품에는 이물질이 붙어 있기가 쉬우며 이 경우 패널에는 흡착된 자국이 남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패널의 정전기 현상에 의한 것이므로 정전기 현상을 방지하여 흡착 자국을 남기지 않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무 재질의 관형 본체(20); 패드(10); 및 파이프 안내부(30)의 내부 및 외부에 정전기 방지(antistatic) 도료를 도포하였다. 이에 의해 정전기가 방지되고 따라서 이물질이 묻지 않어 이물질 등에 의한 자국이 패널에 남지 아니하게 된다.
정전기 방지 도료는, 폴리에스테르,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n-부틸아세테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한다. 이때 그 구성비 또한 중요한데, 아래와 같은 구성비를 이룰 때 도료의 도포가 고무에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고무의 정전기 방지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구성비는 다음과 같다:
폴레에스테르(polyester): 17 중량%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37 중량%
톨루엔(toluene): 25 중량%
n-부틸아세테이트(n-butylacetate): 11 중량%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8 중량%
벤토나이트(bentonite): 1 중량%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정전기 방지 도료를 고무의 내부 및 외부 모두에 도포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완전히 차단하였다.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고무 재질의 내부 및 하부 모두에 도료를 도포하였다.
한편, 파이프 안내부(30)에 파이프(50)가 끼워지고, 이러한 파이프(50)는 진공압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진공을 만들거나 해제하게 된다. 이때 파이프(50)와 파이프 안내부(30) 간에는 빈틈이 없도록 밀봉식으로 체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파이프(50)가 파이프 안내부(30) 내부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취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의 파이프 안내부의 내부 모습이고, 도 4는 파이프 안내부에 파이프가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파이프 안내부(30)의 내부에는 내부 원주면을 따라 환형 요철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환형 요철부의 재질 역시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환형 요철부(32)에 의해 파이프 안내부(30)에 파이프(50)가 연결될 때 억지 끼움 방식(tight-fitting)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환형 요철부(32)의 내부 지름은 파이프(50)의 외부 지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 경우에 파이프(50)를 외력(힘)으로 요철부(32)를 지나 억지로 밀어 넣어 끼워 맞춤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그 단면도를 살펴볼 때, 파이프(50)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면서 환형 요철부(32)를 힘으로 통과하여 억지 끼움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힘에 의해 환형 요철부(32)는 도 4와 같이 약간 휘어질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파이프와 파이프 안내부는 밀봉식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환형 요철부(32)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밀봉을 이루기 위해서 다수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파이프 안내부의 조립 및 분해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6은 파이프 안내부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파이프 안내부와 파이프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파이프를 빼내야 할 때 이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특히, 진공 흡착 장치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파이프와의 분리가 필수인데 이때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무 재질의 파이프 안내부는 하나의 고무 재질의 부재가 두루마리 형상으로 말아져 파이프를 형성하여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데, 도 5에서와 같이 두루마리 형상으로 말아지고, 두루마리 형상의 말아진 형태가 유지되도록, 즉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고무 재질의 부재의 일끝단에는 돌출부(34)가 형성되어 있고, 타 끝단에는 돌출부(34)를 수용할 수 있는 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34) 및 홈(36)을 이용해 돌출부를 홈에 외력에 의해 끼워 넣어 조립이 가능하고, 돌출부를 홈으로부터 외력에 의해 빼냄으로써 해체가 가능하다. 이러한 돌출부 및 홈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상단부에는 마운팅 장치가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고무 재질의 패드가 연결되는, 수직으로 배치된 고무 재질의 관형 본체; 및
    상기 관형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무 재질의 파이프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본체의 외주면의 일부는 자바라 형상이며,
    상기 파이프 안내부에는 파이프가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는 진공압제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패드가 패널을 흡착하고 진공을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패드가 패널을 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재질 관형 본체; 패드; 및 파이프 안내부의 내부 및 외부에는 정전기 방지(antistatic) 도료가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정전기 방지 도료는, 폴리에스테르,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n-부틸아세테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재질의 파이프 안내부에는 파이프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억지 끼움 방식을 이루기 위해 상기 고무 재질의 파이프 안내부의 내부 원주면에는 환형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재질의 파이프 안내부는 하나의 고무 재질의 부재가 두루마리 형상으로 말아져 파이프를 형성하여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 경우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고무 재질의 부재의 일끝단에는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끝단에는 이러한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를 상기 홈에 외력에 의해 끼워 넣어 조립이 가능하고, 상기 돌출부를 상기 홈으로부터 외력에 의해 빼냄으로써 해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
KR1020130088184A 2013-07-25 2013-07-25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 KR101331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184A KR101331692B1 (ko) 2013-07-25 2013-07-25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184A KR101331692B1 (ko) 2013-07-25 2013-07-25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692B1 true KR101331692B1 (ko) 2013-11-20

Family

ID=4985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184A KR101331692B1 (ko) 2013-07-25 2013-07-25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6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808B1 (ko) 2017-06-08 2018-01-05 허웅 진공 컵
CN107879111A (zh) * 2017-09-16 2018-04-06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基板吸附装置的吸盘组件
KR102093224B1 (ko) 2018-09-17 2020-03-25 한국에스엠씨 주식회사 진공 공압 모듈
KR102203536B1 (ko) 2019-07-18 2021-01-15 (주)제이스텍 압흔검사용 균일 접촉면적 스테이지 장치
KR20210121596A (ko)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세한텍 유리 패널용 진공 흡착구 및 이를 적용하는 흡착 장치
KR20210123115A (ko)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제이스텍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3146A (ja) * 1994-11-25 1996-06-04 Asahi Glass Co Ltd 板硝子の吸着装置
JPH09314489A (ja) * 1996-05-28 1997-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ラス吸着搬送装置
WO2011027968A2 (ko) 2009-09-01 2011-03-10 한국뉴매틱 주식회사 진공컵 어셈블리
KR20120042135A (ko) * 2010-10-22 2012-05-03 이우승 진공 흡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3146A (ja) * 1994-11-25 1996-06-04 Asahi Glass Co Ltd 板硝子の吸着装置
JPH09314489A (ja) * 1996-05-28 1997-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ラス吸着搬送装置
WO2011027968A2 (ko) 2009-09-01 2011-03-10 한국뉴매틱 주식회사 진공컵 어셈블리
KR20120042135A (ko) * 2010-10-22 2012-05-03 이우승 진공 흡착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808B1 (ko) 2017-06-08 2018-01-05 허웅 진공 컵
CN107879111A (zh) * 2017-09-16 2018-04-06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基板吸附装置的吸盘组件
KR102093224B1 (ko) 2018-09-17 2020-03-25 한국에스엠씨 주식회사 진공 공압 모듈
KR102203536B1 (ko) 2019-07-18 2021-01-15 (주)제이스텍 압흔검사용 균일 접촉면적 스테이지 장치
KR20210121596A (ko)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세한텍 유리 패널용 진공 흡착구 및 이를 적용하는 흡착 장치
KR20210123115A (ko)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제이스텍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692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
KR101192131B1 (ko) 진공 흡착장치
CN101096746A (zh) 荫罩和具有该荫罩的淀积装置
JP2014534612A5 (ko)
CN105084000A (zh) 一种玻璃放置和取出方法
CN105000384A (zh) 保持装置和真空处理装置
WO2013078705A1 (zh) Uvm制程中取放片方法及用于实施该方法的取片组合装置
CN214523871U (zh) 一种展示设备转运装置
CN210016836U (zh) 一种夹持取放吸嘴结构
CN103771087A (zh) 夹具及输送系统
CN204925931U (zh) 一种防尘计算机外壳
KR20110091081A (ko) 진공 흡착패드를 이용한 픽업장치
CN203618026U (zh) 一种易拆卸触摸屏的智能终端
CN204235417U (zh) 网板吸附平台
CN105584828A (zh) 吸附机构及采用该吸附机构的吸附装置
KR100794930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용 글라스의 롤러샤프트 처짐 방지 장치
CN208409837U (zh) 一种新型螺栓螺母承托装置
CN108848328B (zh) 一种具有防尘效果的壁挂式液晶电视
TWI601677B (zh) Device capable of adsorbing curved objects and a fitting device using the device
GB201112685D0 (en) Vacuum cleaner
CN107346796B (zh) 一种便于工控机操作面板安装的固定支架
CN201800269U (zh) 一种负压定型机构
CN104816282B (zh) 客车气囊安装设备
CN205053930U (zh) 一种置物架用吸附式固定结构
CN204674690U (zh) 一种采用负压发生装置的爬墙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