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472B1 - 공기압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압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472B1
KR101332472B1 KR1020110019910A KR20110019910A KR101332472B1 KR 101332472 B1 KR101332472 B1 KR 101332472B1 KR 1020110019910 A KR1020110019910 A KR 1020110019910A KR 20110019910 A KR20110019910 A KR 20110019910A KR 101332472 B1 KR101332472 B1 KR 101332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pressed air
pressure
tank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1849A (ko
Inventor
송윤섭
Original Assignee
송윤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윤섭 filed Critical 송윤섭
Priority to KR1020110019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47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1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electrically-controlled means, e.g. solenoids, torque-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0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low control means or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공기압에 의하여 구동하는 다수개의 에어 실린더를 구비한 각종 자동화 공정 기계에 있어서 각 공정구간에 필요한 공기압을 정밀하게 조절하고 분배할 수 있으며, 각 공정 구간을 위하여 설정된 필요 공기압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일정한 공기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배기되는 공기압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발된 공기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함체 형상의 것으로서 일 측에 외부의 공기 압축기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관 연결공(110a)이 형성되고, 배면에 다수개의 저장공기 공급관 연결공(110b)이 형성되는 압축공기 저장탱크(110);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110)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저장공기 공급관(151)에 의하여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110)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에어 레귤레이터(140);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함체 형상의 것으로서 일 면에 한 조를 이루는 제1 및 제2배기관 연결공(120a,120b)이 다수개 형성되고, 타 면에 배출관 연결공(120c)이 다수개 형성되는 소음제거탱크(120); 및 상기 각 에어 레귤레이터(140)에 대응하도록 다수개가 마련되는 것으로서 입구포트(131), 제1 및 제2출구포트(132,133), 제1 및 제2배기포트(134,135)를 가지며, 상기 입구포트(131)는 입력관(153)에 의하여 상기 에어 레귤레이터(14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배기포트(134,135)는 제1 및 제2배기관(154,155)에 의하여 상기 소음제거탱크(120)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출구포트(132,133)는 제1 및 제2출구관(156,157)에 의하여 에어 실린더(160)에 연결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공급장치가 제안된다.

Description

공기압 공급장치{Air pressure supplying device}
본 발명은 공기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공기압에 의하여 구동하는 다수개의 에어 실린더를 구비한 각종 자동화 기계에 있어서 각 공정구간에 필요한 공기압을 정밀하게 조절하고 분배할 수 있으며, 각 공정 구간을 위하여 설정된 필요 공기압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일정한 공기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배기 되는 공기압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발된 공기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산업용 자동화기기에는 공기 압축기(Air compressor)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다수개의 에어 실린더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 실린더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피스톤 로드가 직선운동하도록 한 것으로서 한 개의 자동화 기계에도 여러 개의 에어 실린더가 장착되어 각각 필요한 공정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한 개의 자동화 기계에서도 컨베이어벨트 등을 따라 이송되어 오는 피가공물을 집어들거나 집어든 피가공물에 여러 단계의 연속적인 가공을 하는 경우에 각 공정에서 개별적인 에어 실린더의 구동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화 기계의 경우 종래에는 외부의 공기 압축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하나의 메인 배관으로 공급되고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다수개의 가지로 분기하는 에어 호스가 각 공정별 에어 실린더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압축공기 공급 회로를 구성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압축공기 공급방식의 경우 공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메인 배관의 직경이 일정하여 한 개의 자동화 기계의 여러 공정에서 압축공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공기압이 달려서 각 공정별 에어 실린더가 오작동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압축공기가 한 개의 메인 배관에서 갈라져 다수개의 분지관으로 공급되므로 각 공정의 에어 실린더 간에 공기압의 간섭이 발생하여 장치의 트러블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압축 공기의 간섭으로 인한 장치의 트러블은 에어 실린더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고장의 주요 원인이 되어 왔다.
한편, 한 개의 자동화 기계에도 여러 개의 에어 실린더가 구동하므로 각 에어 실린더에서 배기되는 압축공기로 인하여 소음이 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소음은 생각보다 심각하여 작업자 간의 의사소통에 장애가 되며 한 장소에서 오랜 시간을 근무하는 작업자에게 스트레스를 가중시켜 피로감이 축적되고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도7에 도시한 등록실용신안 제0164532호 "에어 실린더의 소음장치"에서는 이러한 에어 실린더 배기압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음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음기의 경우 그 내부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공기의 입출구가 하나뿐이어서 별도의 배관 구성이 필요하므로 회로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각 공정에 필요한 공기압과 공기량의 정밀한 조절이 가능하고, 공급되는 공기압의 저하를 방지하여 기계의 오작동이나 장치의 트러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소음이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는 공기압 공급장치의 개발이 요청되었다.
등록실용신안 제0164532호 "에어 실린더의 소음장치" 등록실용신안 제0171759호 "멀티형 에어 실린더" 등록특허 제0523508호 "에어부스터와 미세 압력조절용 정압 레귤레이터를 구비한 클램핑 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여러 대의 에어 실린더가 일시에 구동하더라도 공급되는 공기압이 달려 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각 공정의 에어 실린더 장치에 공기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뿐 아니라 각 공정별 공기압을 필요에 따라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어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에어 실린더에서 배기되는 배기압에 의한 소음을 제거함으로써 작업자가 시끄러운 소음공해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으로써 피로도가 증가하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를 밀착배치하고 컴팩트화함으로써 자동화 기계에의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장소에도 구애되지 않는 단순화된 구조의 공기압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함체 형상의 것으로서 일 측에 외부의 공기 압축기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관 연결공(110a)이 형성되고, 배면에 다수개의 저장공기 공급관 연결공(110b)이 형성되는 압축공기 저장탱크(110);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110) 상에 마련되는 다수 개의 에어 레귤레이터(140);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와 상기 다수개의 에어 레귤레이터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 개의 저장공기 공급관(152);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함체 형상의 것으로서 일 면에 한 조를 이루는 제1 및 제2배기관 연결공(120a,120b)이 다수 개 형성되고, 타 면에 배출관 연결공(120c)이 다수 개 형성되는 소음제거탱크(120); 상기 소음제거탱크의 각 배출관 연결공에 일단이 연결되는 다수 개의 배출관(123); 및 상기 각 에어 레귤레이터(140)에 대응하도록 다수개가 마련되는 것으로서 입구포트(131), 제1 및 제2출구포트(132,133), 제1 및 제2배기포트(134,135)를 가지며, 상기 입구포트(131)는 입력관(153)에 의하여 상기 에어 레귤레이터(14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배기포트(134,135)는 제1 및 제2배기관(154,155)에 의하여 상기 소음제거탱크(120)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출구포트(132,133)는 제1 및 제2출구관(156,157)에 의하여 에어 실린더(160)에 연결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공급장치가 제시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 레귤레이터(140)에는 내부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손잡이(142)와 공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14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솔레노이드 밸브(130)는 상기 소음제거탱크(120)에 결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고정 브라켓(122) 상에 나란하게 장착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110)와 상기 소음제거탱크(120)는 베이스 프레임(101)에 볼트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압축기로부터 공기압 호스에 의하여 에어 실린더로 직접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압축공기 저장탱크와 다수개의 에어 레귤레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거쳐서 에어 실린더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압축공기의 공급압이 저하하는 공기압 부족 현상을 방지하고 각 에어 실린더에 필요한 공기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에어 레귤레이터에서 저장공기의 공기압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에어 실린더로 송급하게 되므로 각 장치의 에어 실린더 배관에서 발생하는 공기압 간섭 현상에 의한 장치의 트러블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에어 실린더에서 솔레노이드 밸브를 거쳐 배출되는 배기압을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소음제거탱크가 수용하게 되므로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쾌적한 작업환경을 형성할 수 있으며, 압축공기 배출 소음으로 인한 작업자의 피로도 증가를 방지함으로써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압 공급장치는 다수개의 에어 실린더와 공기 압축기를 연결하는 배관 라인 상에 설치되고, 각 구성요소를 한 곳에 컴팩트화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설치나 유지관리의 면에서 장점이 있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기압 공급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에어 실린더로 구동하는 각 공정 장치의 이상 작동 유무나 고장의 판단이 용이하며, 공급되는 공기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는 장치의 고장이 적고 제품 수명이 길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공기압 공급장치의 기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공기압 공급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공기압 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에어 실린더의 연결 구성도.
도6은 도5의 구동 회로도.
도7은 종래의 에어 실린더의 소음기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원리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공기압 공급장치의 기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공기압 공급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공기압 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압 공급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01), 압축공기 저장탱크(110), 소음제거탱크(120), 솔레노이드 밸브(130) 및 에어 레귤레이터(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은 공기압 공급장치(100)를 자동화 기계의 내부 또는 측부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볼트 체결공(101a,101b)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의 형상은 부착되는 자동화 기계의 위치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110)는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중공 원기둥 또는 중공 각기둥 형상의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110)의 일 측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 압축기(미도시)에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관(151)의 일단이 결합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관 연결공(110a)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후술할 저장공기 공급관(152)의 일 단과 결합하기 위한 저장공기 공급관 연결공(110b)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110)의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에 체결볼트(111a)에 의하여 결합하기 위한 저장탱크 체결 브라켓(111)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110)의 배면측 상단에는 레귤레이터 고정 브라켓(112)이 결합하는데 상기 레귤레이터 브라켓(112)의 판면에는 후술할 에에 레귤레이터(140)와 압축공기 저장탱크(110) 간을 연결하는 저장공기 공급관(152)이 결합할 수 있도록 저장공기 공급관 통과공(112a)이 다수개 관통 형성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12b는 각 에어 레귤레이터(140)를 레귤레이터 고정 브라켓(112)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체결공을 나타낸다.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110)의 전방측에는 소음제거탱크(120)가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에 체결볼트(121a)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소음제거탱크(120)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중공의 원기둥 또는 각기둥의 입체 형상으로 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소음제거탱크(120)의 상면에는 후술할 솔레노이드 밸브(130)의 제1배기포트(134)와 제2배기포트(135)에 각각 연결되는 제1배기관(154)과 제2배기관(155)의 일 단이 각각 결합하기 위한 제1 및 제2배기관 연결공(120a,120b)이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소음제거탱크(120)의 하면에는 별도의 배출관(123)의 일단을 연결하기 위한 배출관 연결공(120c)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소음제거탱크(120)의 양 측단에는 소음제거탱크 체결 브라켓(121)이 형성되어 체결볼트(121a)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에 고정된다.
상기 소음제거탱크(120)의 배면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고정 브라켓(122)이 결합하는데, 그 판면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30)의 제1 및 제2출구포트(132,133)에 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출구관(156,157)을 위한 제1 및 제2출구관 통과공(122a,122b)이 관통 형성되고, 솔레노이드 밸브(130)를 나사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22c)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110)의 압축공기 공급관 연결공(110a)에는 외부의 공기 압축기(air compressor, 미도시)에 연결되는 압축공기의 메인 배관인 압축공기 공급관(151)의 일단이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압축공기는 일단 압축공기 저장탱크(11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다.
상기 레귤레이터 고정 브라켓(112)에는 다수개의 에어 레귤레이터(140)가 횡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데, 각 에어 레귤레이터(140)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유체 포트(미도시)에는 압축공기 저장탱크(110) 배면의 저장공기 공급관 연결공(110b)에 일 단이 연결되는 저장공기 공급관(152)의 타 단이 연결된다.
상기 에어 레귤레이터(140)로 공급된 저장공기는 에어 레귤레이터(140)와 이에 대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30)의 입구포트(131)를 연결하는 입력관(153)에 의하여 이송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 레귤레이터(140)의 전방측에는 내부의 유체 유로에 연통하는 T자형 연결관(143)이 결합하고 상기 연결관(143)의 상부에는 압력계(141)가 연결되고, 하부에는 입력관(153)이 연결된다.
상기 에어 레귤레이터(140)의 상단에는 내부의 유체 유로와 연통하도록 조절 손잡이(142)가 형성되는데, 압력계(141)의 수치를 보면서 상기 조절 손잡이(142)를 좌우로 돌리면서 적정한 압력으로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에어 레귤레이터(140)의 압력 조절 기구와 압력계에 관한 사항은 이미 널리 공지된 사항이며 본 발명의 요지에서 벗어나는 것이므로 이에 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30)의 일측에는 중앙의 입구포트(131)와 상기 입구포트(131) 양측의 제1 및 제2배기포트(134,135)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 및 제2출구포트(132,133)가 형성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도인데,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밸브(130) 그 자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가 아니며 널리 공지된 여러 종류의 것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솔레노이드 밸브(130)는 5개의 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선택하며, 바디(130a)의 내부에는 스풀(130b), 스프링(130c), 가동철심(130d) 및 코일(130e)이 구비되고, 상기 코일(130e)에 연결되는 전선(130f)이 바디(130a)의 외부까지 연장된다. 도면의 (a)는 비통전시의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b)는 통전시의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가 흐르지 않는 비통전시에는 입구포트(131)로 입력되는 압축공기가 제2출구포트(133)으로 나가고, 제2배기포트(135)를 통하여 배기되며, 통전시에는 입력되는 압축공기가 제1출구포트(132)로 나가고 제1배기포트(134)를 통하여 배기된다.
그러나, 이러한 작동 방식은 하나의 예에 지나지 않으며 통전시와 비통전시의 유체의 흐름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30)의 입구포트(13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 레귤레이터(140)와 연결되는 입력관(153)이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배기포트(134,135)에는 각각 제1 및 제2배기관(154,155)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배기관(154,155)의 타단은 상기 소음제거탱크(130)의 제1 및 제2배기관 연결공(120a,120b)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30)의 제1 및 제2출구포트(132,133)에는 자동화 기계의 각 공정에 마련되는 에어 실린더(160)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출구관(156,157)이 각각 연결되어 에어 실린더(160)에 필요한 압축공기를 송급한다.
상기 소음제거탱크(120)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배출관 연결공(120c)에는 각각 배출관(123)의 상단이 결합하고 상기 배출관(123)의 하단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배출관(123)은 유연한 재질의 호스와 같은 관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하 길이방향으로 늘어뜨려 소음제거탱크(120) 내부의 잔류 공기가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는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에어 실린더의 연결 구성도이고, 도6은 도5의 구동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압 공급장치(100)의 각 솔레노이드 밸브(1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공정의 가공장치들에 배치된 에어 실린더(1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되어 에어 실린더(160)를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즉, 제1 및 제2출구관(156,157)은 각각 에어 실린더(160)의 후방포트(161b)와 전방포트(161a)에 연결되어 에어 실린더(160)의 피스톤 로드(162)를 전후로 진퇴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161은 에어 실린더 하우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압 공급장치(10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각종 제품의 제조라인에 배치되는 생산 자동화 기계에는 많은 수의 에어 실린더(160)가 공정별로 여러 개씩 장착되어 있으며, 각각이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자동화 기계에 장착되는 여러 개의 에어 실린더가 한 개의 메인 배관에 의하여 공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라서 사용 중 공기압이 떨어져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한꺼번에 많은 수의 에어 실린더가 구동하는 경우 공기압이 달려서 작동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한, 각 에어 실린더들이 한 개의 메인 배관에서 분기하여 형성되는 에어 호스에 의하여 압축공기를 공급받게 되므로 각 에어 실린더에 연결되는 공기 배관들 사이에서 압축공기의 간섭 현상이 발생하여 장치가 오작동하는 트러블 현상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 에어 실린더에 연결되는 배관 상에 공기압 조절기를 개별적으로 장착하기도 하였으나, 각 배관라인으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압이 서로 달라서 장치의 트러블 현상이 없이 공기압을 정밀하게 제어하기가 난해하였다.
한편, 종래의 자동화 기계의 경우 많은 수의 에어 실린더를 장착하는 관계상 에어 실린더의 압축공기 배기압으로 인한 소음이 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의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공기압 공급장치(100)를 개시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 외부의 공기 압축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저장탱크(110)에 1차 수용한다.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110)는 그 내부에 다량의 압축공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압축공기를 에어 레귤레이터(140)를 거쳐서 솔레노이드 밸브(130) 측으로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압축공기 저장탱크(110) 내부의 저장공기는 저장공기 공급관(152)에 의하여 에어 레귤레이터(140)로 공급된다. 상기 에어 레귤레이터(140)는 각 공정 장치의 에어실린더(160)의 개수만큼 다수 개가 마련되며, 한 개의 에어 레귤레이터(140)는 한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130)에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에어 레귤레이터(140)는 압축공기 저장탱크(110)에서 솔레노이드 밸브(130)의 입구포트(131)로 공급되는 공기압의 정밀한 조절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110)는 다수의 에어 실린더(160)가 동시 또는 이시에 구동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공기압을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각 솔레노이드 밸브(130)는 각 공정의 에어 실린더(160)들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마련되는데, 제1 및 제2배기포트(134,135)에서 배기되는 공기압은 제1 및 제2배기관(154,155)에 의하여 별도의 소음제거탱크(120)에 연결된다.
상기 소음제거탱크(120)는 내부가 빈 중공 함체로서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130)를 거쳐 배기되는 압축공기의 소음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음제거탱크(120)가 원활하게 소음 제거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소음제거탱크(120)의 하방에는 다수개의 배출관(123)이 연결된다.
상기 배출관(123)은 소음제거탱크(120)의 내부로 배기된 공기압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아울러 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각종 자동화 공정에 사용되는 자동화 기계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에어 실린더에 공기압을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압축공기 공급방식과 비교하여 공기압의 급격한 저하나 에어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공기압을 공급할 수 있으며, 배기되는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한 소음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공기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압 공급장치는 그 부피가 작고 구조가 심플하게 컴팩트화되어 있으므로 공기압을 사용하는 각종의 자동화 기계에 적용하는 경우 생산성이 매우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100: 공기압 공급장치 101: 베이스 프레임
101a,101b: 체결공 110: 압축공기 저장탱크
110a: 압축공기 공급관 연결공 110b: 저장공기 공급관 연결공
111: 저장탱크 체결 브라켓 111a: 체결볼트
112: 레귤레이터 고정 브라켓 112a: 저장공기 공급관 통과공
112b: 체결공 120: 소음제거탱크
120a,120b: 제1 및 제2배기관 연결공 120c: 배출관 연결공
121: 소음제거탱크 체결 브라켓 121a: 체결볼트
122: 솔레노이드밸브 고정 브라켓 122a,122b: 제1 및 제2출구관 통과공
122c: 체결공 123: 배출관
130: 솔레노이드 밸브 131: 입구포트
132: 제1출구포트 133: 제2출구포트
134: 제1배기포트 135: 제2배기포트
140: 에어 레귤레이터 141: 압력계
142: 조절 손잡이 143: 연결관
151: 압축공기 공급관 152: 저장공기 공급관
153: 입력관 154: 제1배기관
155: 제2배기관 156: 제1출구관
157: 제2출구관 160: 에어 실린더
161: 에어 실린더 하우징 161a: 전방포트
161b: 후방포트 162: 피스톤 로드

Claims (5)

  1.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함체 형상의 것으로서 일 측에 외부의 공기 압축기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관 연결공(110a)이 형성되고, 배면에 다수개의 저장공기 공급관 연결공(110b)이 형성되는 압축공기 저장탱크(110);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110) 상에 마련되는 다수 개의 에어 레귤레이터(140);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와 상기 다수개의 에어 레귤레이터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 개의 저장공기 공급관(152);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함체 형상의 것으로서 일 면에 한 조를 이루는 제1 및 제2배기관 연결공(120a,120b)이 다수 개 형성되고, 타 면에 배출관 연결공(120c)이 다수 개 형성되는 소음제거탱크(120);
    상기 소음제거탱크의 각 배출관 연결공에 일단이 연결되는 다수 개의 배출관(123); 및
    상기 각 에어 레귤레이터(140)에 대응하도록 다수개가 마련되는 것으로서 입구포트(131), 제1 및 제2출구포트(132,133), 제1 및 제2배기포트(134,135)를 가지며, 상기 입구포트(131)는 입력관(153)에 의하여 상기 에어 레귤레이터(14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배기포트(134,135)는 제1 및 제2배기관(154,155)에 의하여 상기 소음제거탱크(120)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출구포트(132,133)는 제1 및 제2출구관(156,157)에 의하여 에어 실린더(160)에 연결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레귤레이터(140)에는 내부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손잡이(142)와 공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1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공급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솔레노이드 밸브(130)는 상기 소음제거탱크(120)에 결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고정 브라켓(122) 상에 나란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110)와 상기 소음제거탱크(120)는 베이스 프레임(101)에 볼트 체결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공급장치.

KR1020110019910A 2011-03-07 2011-03-07 공기압 공급장치 KR101332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910A KR101332472B1 (ko) 2011-03-07 2011-03-07 공기압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910A KR101332472B1 (ko) 2011-03-07 2011-03-07 공기압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849A KR20120101849A (ko) 2012-09-17
KR101332472B1 true KR101332472B1 (ko) 2013-11-25

Family

ID=4711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910A KR101332472B1 (ko) 2011-03-07 2011-03-07 공기압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4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3851A (ko) *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상헌 압축공기 자동분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702B1 (ko) * 2019-10-17 2019-12-02 이진화 에어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3647A (en) 1990-12-29 1994-08-02 Smc Corporation Manifold valve
KR200164532Y1 (ko) 1995-06-19 2000-01-15 이구택 에어실린더의 소음장치
JP2005522652A (ja) * 2002-04-12 2005-07-28 ミード フルーイド ダイナミクス インク 空気圧弁及びマニホールド取り付けシステム
KR100523508B1 (ko) * 2004-01-09 2005-10-24 (주)하이드로 메틱스 에어부스터와 미세 압력 조절용 정압 레귤레이터를 구비한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3647A (en) 1990-12-29 1994-08-02 Smc Corporation Manifold valve
KR200164532Y1 (ko) 1995-06-19 2000-01-15 이구택 에어실린더의 소음장치
JP2005522652A (ja) * 2002-04-12 2005-07-28 ミード フルーイド ダイナミクス インク 空気圧弁及びマニホールド取り付けシステム
KR100523508B1 (ko) * 2004-01-09 2005-10-24 (주)하이드로 메틱스 에어부스터와 미세 압력 조절용 정압 레귤레이터를 구비한 클램핑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3851A (ko) *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상헌 압축공기 자동분배 장치
KR102603999B1 (ko) * 2021-11-19 2023-11-20 최성열 압축공기 자동분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849A (ko) 2012-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4001A (en) Modular oxygen generator
US8999045B2 (en) Regenerative air dryer
KR101332472B1 (ko) 공기압 공급장치
US8851113B2 (en) Shared gas panels in plasma processing systems
US8651140B2 (en) Valve arrangement for different flow rate categories
KR20090111835A (ko) 고온 용융 접착제 또는 다른 열가소성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모듈 방식의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압력 제어 시스템
RU2520188C2 (ru) Компоновка клапанов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тормозными, а также дополнительны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тормозной систем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337086B1 (ko) 유체 제어기
CN105466796B (zh) 一种自动喷枪测试机
DE102006025085A1 (de) Kompressorvorrichtung
KR20170118888A (ko) 가스 공급 장치
US10982697B2 (en) Hydraulic drive unit
KR20130076987A (ko) 산소발생장치
JP2006234110A (ja) ガス供給ユニット及びガス供給システム
US20140190346A1 (en) Economizer Device For Linear Pneumatic Actuator
KR102429667B1 (ko)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
US6539972B1 (en) System of supply, discharge and distribution lines for notably liquid operating media in rolling stands
CN210649405U (zh) 一种自动锁螺丝机
CN1415863A (zh) 真空发生装置
WO2007010605A1 (ja) 潤滑油供給装置
NZ629960A (en) Factory compressed air supplies
KR101873287B1 (ko) 액츄에이터용 가스 공급 장치
AU2014304881B2 (en) Positive displacement pump
JP4551213B2 (ja) 射出成形機
CN210599622U (zh) 液压张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