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051B1 -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051B1
KR102024051B1 KR1020180173718A KR20180173718A KR102024051B1 KR 102024051 B1 KR102024051 B1 KR 102024051B1 KR 1020180173718 A KR1020180173718 A KR 1020180173718A KR 20180173718 A KR20180173718 A KR 20180173718A KR 102024051 B1 KR102024051 B1 KR 102024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vehicle seat
support member
auxiliary support
uppe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173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5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pressure on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는, 차량용 시트의 하부 구조에 구비되는 하부 전도체와, 차량용 시트의 상부 구조에 상기 하부 전도체와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상부 구조에 기준하중 이상의 하중이 인가될 경우 상기 상부 구조와 함께 하향되어 상기 하부 전도체에 접촉되는 상부 전도체를 포함하는 인식모듈 및 상기 상부 전도체와 상기 하부 전도체가 서로 접촉되어 통전될 경우, 탑승자가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Passenger Recognizing Apparatus of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시트의 형상에 적합한 설계가 가능하며, 고신뢰성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고도화로 인해 다양한 차량 관련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차량의 운행에 관련된 부속 장치들 외에도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기술 역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중 안전을 위해 차량에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술은,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이다. 이는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로 차량이 운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것으로, 최근에는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야 하는 필수 기술로 인지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기술은 상기한 용도 외에도, 차량 내 탑승자의 탑승 유무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전개 유무, 에어백 모듈의 크기 제어는 물론, 탑승자의 위치나 온도를 감지하여 위치에 따라 냉난방 시스템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널리 적용되고 있는 탑승자 인식장치는 일반적인 하중 센서를 통해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기 때문에, 탑승자의 자세 또는 기타 물건 등에 의해 오작동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은 보조 인식 수단을 적용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장치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제작 시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탑승자 인식장치는 차량용 시트의 형태에 따라서 적용이 어려운 모델들이 많아 장착 시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차량용 시트의 형상에 적합한 설계가 가능하며, 고신뢰성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는, 차량용 시트의 하부 구조에 구비되는 하부 전도체와, 차량용 시트의 상부 구조에 상기 하부 전도체와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상부 구조에 기준하중 이상의 하중이 인가될 경우 상기 상부 구조와 함께 하향되어 상기 하부 전도체에 접촉되는 상부 전도체를 포함하는 인식모듈 및 상기 상부 전도체와 상기 하부 전도체가 서로 접촉되어 통전될 경우, 탑승자가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에 구비된 시트벨트 체결 판단장치와 연동되어, 시트벨트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전도체 및 하부 전도체가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시트벨트가 착용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차량이 운행될 경우, 경보장치를 제어하여 경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전도체 및 상기 하부 전도체는 전도성 페이스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전도체 하면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상부 전도체보다 강성이 높게 형성되는 제1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전도체 상면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하부 전도체보다 강성이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간단한 구조만으로 탑승자의 착석 유무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고신뢰성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어느 종류의 차량용 시트에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므로 범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인식장치가 차량용 시트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의 인식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의 인식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의 인식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의 인식모듈을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의 인식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인식장치가 차량용 시트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인식장치는 등받이부(10) 및 착석부(20)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1)의 상기 착석부(20) 내측에 구비되는 인식모듈(100)을 포함하며, 상기 인식모듈(10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착석부(20)에 탑승자(P)가 착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300, 도 2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시트(1)의 일측에는 시트벨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시트벨트 버클이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300)는 차량에 구비된 시트벨트 체결 판단장치(200)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트벨트 체결 판단장치(200)의 구조 및 원리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의 제어부(300)는 전술한 인식모듈(100) 및 시트벨트 체결 판단장치(200)는 제어부(300)와 연동된 상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300)는 탑승자가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였는지의 여부와 시트벨트를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탑승자가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고, 시트벨트가 착용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차량이 운행될 경우, 차량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경보장치를 제어하여 경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경보장치는 경고램프(400) 및 경고음 재생모듈(500)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경보장치는 이외의 다양한 경보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식모듈(1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의 인식모듈(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식모듈(100)은 차량용 시트의 착석부(20, 도 1 참조) 하부 구조(24)에 구비되는 하부 전도체(120)와, 착석부(20)의 상부 구조(22)에 구비되는 상부 전도체(1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착석부(20)의 상부 구조(22) 및 하부 구조(24)는 서로 스페이서(26) 등에 의해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2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23) 내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상기 상부 구조(22)에 기준하중 이상의 하중이 인가될 경우, 상기 상부 전도체(110)는 상기 상부 구조(22)와 함께 하향되어 상기 하부 전도체(120)에 접촉되고,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는 서로 통전되어 해당 전기 신호를 상기 제어부(300)에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상부 전도체(110)와 상기 하부 전도체(120)가 서로 접촉되어 통전될 경우, 탑승자(P)가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는 전도성 페이스트가 상기 상부 구조(22) 및 상기 하부 구조(24) 각각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어 경화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다.
다만,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는 본 실시예 외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는 전도성 금속 플레이트 형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의 인식모듈(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인식모듈(100)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차량용 시트의 착석부(20, 도 1 참조) 하부 구조(24)에 구비되는 하부 전도체(120)와, 착석부(20)의 상부 구조(22)에 구비되는 상부 전도체(11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상부 전도체(110) 하면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상부 전도체(110)보다 강성이 높게 형성되는 제1지지부재(130)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부 전도체(120) 상면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하부 전도체(120)보다 강성이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지지부재(140)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재(130) 및 상기 제2지지부재(140)가 구비되는 이유는,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의 접촉면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는 전도성 페이스트가 도포되어 경화된 형태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 사이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가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지지부재(130)를 상기 상부 전도체(110)의 둘레부에, 또한 상기 제2지지부재(140)를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의 둘레부에 구비하여,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보다 우선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130) 및 상기 제2지지부재(140)가 먼저 접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재(130) 및 상기 제2지지부재(140)가 먼저 접촉된 이후에는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의 형태가 변형되며 중심 영역이 서로 접하게 되고, 통전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의 인식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인식모듈(100)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차량용 시트의 착석부(20, 도 1 참조) 하부 구조(24)에 구비되는 하부 전도체(120)와, 착석부(20)의 상부 구조(22)에 구비되는 상부 전도체(11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상부 전도체(110) 하단부에 복수 개의 제1보조지지부재(114)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전도체(120) 상단부에 복수 개의 제2보조지지부재(124)가 구비된다는 점이 다르다.
상기 제1보조지지부재(114) 및 상기 제2보조지지부재(124)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제1지지부재(130) 및 상기 제2지지부재(140)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보다 강성이 높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제1보조지지부재(114) 사이에는 상기 상부 전도체(110)의 제1통전부(112)가 위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보조지지부재(124)는 사이에는 상기 하부 전도체(120)의 제2통전부(122)가 위치되어, 이들은 서로 평탄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탑승자가 착석할 경우 상기 제1통전부(112) 및 상기 제2통전부(122)가 서로 접촉되어 통전 신호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부재(130) 및 상기 제2지지부재(140)는 서로 간에 지지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통전부(112) 및 상기 제2통전부(122)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의 인식모듈(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인식모듈(100)은 전술한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차량용 시트의 착석부(20, 도 1 참조) 하부 구조(24)에 구비되는 하부 전도체(120)와, 착석부(20)의 상부 구조(22)에 구비되는 상부 전도체(110)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상부 전도체(110) 하단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보조지지부재(114)와 상기 하부 전도체(120) 상단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2보조지지부재(124)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통전부(112) 및 상기 제2통전부(122)의 두께(d1)가 상기 제1지지부재(130) 및 상기 제2지지부재(140)의 두께(d2)보다 두껍게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통전부(112) 및 상기 제2통전부(122)는 상기 제1지지부재(130) 및 상기 제2지지부재(140)보다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상기 제1통전부(112) 및 상기 제2통전부(122)가 상부의 하중에 의해 서로 접촉될 경우 충분한 압력이 걸리도록 하여 통전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는 전도성 페이스트가 도포되어 경화된 형태이므로,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는 적절한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제1통전부(112) 및 상기 제2통전부(122)는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다소 압축되며, 이후 상기 제1보조지지부재(114) 및 상기 제2보조지지부재(124)가 서로 접촉되어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의 인식모듈(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경우,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가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의 둘레 외측에 구비되는 제1외곽지지부재(150) 및 제2외곽지지부재(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외곽지지부재(150) 및 상기 제2외곽지지부재(160) 역시 전술한 제2실시예의 제1지지부재(130) 및 상기 제2지지부재(140)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보다 강성이 높게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1외곽지지부재(150) 및 상기 제2외곽지지부재(160)는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의 둘레 외측에 구비되므로, 탑승자의 하중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전도체(110) 및 상기 하부 전도체(120)에 압력이 적절한 수준으로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차량용 시트
10: 등받이부
20: 착석부
22: 상부 구조
24: 하부 구조
100: 인식모듈
110: 상부 전도체
112: 제1보조지지부재
114: 제1통전부
120: 하부 전도체
122: 제2보조지지부재
124: 제2통전부
130: 제1지지부재
140: 제2지지부재
150: 제1외곽지지부재
160: 제2외곽지지부재
200: 시트벨트 체결 판단장치
300: 제어부

Claims (5)

  1. 차량용 시트의 하부 구조에 구비되는 하부 전도체와, 차량용 시트의 상부 구조에 상기 하부 전도체와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상부 구조에 기준하중 이상의 하중이 인가될 경우 상기 상부 구조와 함께 하향되어 상기 하부 전도체에 접촉되는 상부 전도체를 포함하는 인식모듈;
    상기 상부 전도체와 상기 하부 전도체가 서로 접촉되어 통전될 경우, 탑승자가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상부 전도체 하단부에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 전도체보다 강성이 높게 형성되는 제1보조지지부재;
    상기 하부 전도체 상단부 중 상기 제1보조지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전도체보다 강성이 높게 형성되는 제2보조지지부재;
    상기 복수 개의 제1보조지지부재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보조지지부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제1보조지지부재 보다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통전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보조지지부재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보조지지부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제2보조지지부재 보다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통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전도체 및 상기 하부 전도체는 전도성 페이스트로 형성되고 상기 제1통전부 및 상기 제2통전부는 서로 평탄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차량용 시트에 탑승자가 착석할 경우 상기 제1통전부 및 상기 제2통전부가 우선적으로 서로 접촉하여 통전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통전부 및 상기 제2통전부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압축되면 상기 제1보조지지부재 및 상기 제2보조지지부재가 서로 접촉하여 지지력을 제공하는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에 구비된 시트벨트 체결 판단장치와 연동되어, 시트벨트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형성된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전도체 및 하부 전도체가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시트벨트가 착용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차량이 운행될 경우, 경보장치를 제어하여 경보를 수행하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80173718A 2018-12-31 2018-12-31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 KR102024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18A KR102024051B1 (ko) 2018-12-31 2018-12-31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18A KR102024051B1 (ko) 2018-12-31 2018-12-31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051B1 true KR102024051B1 (ko) 2019-09-24

Family

ID=6806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718A KR102024051B1 (ko) 2018-12-31 2018-12-31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0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4127A (ko) 2021-06-30 2023-01-0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차량의 탑승자 식별시스템 및 식별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402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감지장치
KR20110106706A (ko) * 2010-03-23 2011-09-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동차의 승객감지장치
JP2012188044A (ja) * 2011-03-11 2012-10-04 Fujikura Ltd 乗員検知装置
KR20140012848A (ko) * 2012-07-23 2014-02-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402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감지장치
KR20110106706A (ko) * 2010-03-23 2011-09-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동차의 승객감지장치
JP2012188044A (ja) * 2011-03-11 2012-10-04 Fujikura Ltd 乗員検知装置
KR20140012848A (ko) * 2012-07-23 2014-02-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4127A (ko) 2021-06-30 2023-01-0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차량의 탑승자 식별시스템 및 식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3244B2 (ja) 高電圧電源回路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該制御装置を備える車両
US93338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eat movement
JP2007500650A (ja) 車両のための乗員保護システム及び車両のための乗員保護システムを作動するための方法
JP6148092B2 (ja) メンブレンスイッチ、センサユニット及びシート装置
KR102024051B1 (ko)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
US11731533B2 (en) Seat occupancy sensor
JP6520450B2 (ja) 着座状態検知装置
JP4578262B2 (ja) 頭部検知機能付きヘッドレスト及びヘッドレスト制御システム
JP2003072441A (ja) 座席の占有状態を検出する装置
US20180162308A1 (en) Capacitive detection device and system for use in vehicle interior
KR101697919B1 (ko) 자동차의 승객식별장치
JP2017144783A (ja) 乗員検知方法及び乗員検知装置
JP6536206B2 (ja) 着座状態検知装置
US20190299924A1 (en) Occupancy Sensing for a Child Transportation System
JP2019182161A (ja) 車両用検出器及び車両用検出システム
EP38351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of battery of seat
CN104709228A (zh) 一种弹性垫式安全带提醒装置
US11673487B2 (en) Passenger identification apparatus for vehicles
US20080068149A1 (en) Modular seatbelt minder
JPH11310072A (ja) 車輌の乗員検出装置
JP2000065658A (ja) 着座センサー
WO2022002058A1 (zh) 车身外壳和具有该车身外壳的车辆
US11396248B2 (en) Anchor attachment detection sensors
JP2001187541A (ja) チャイルドシート検知装置およびチャイルドシート検知方法
KR20140062802A (ko) 승객감지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