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402U -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402U
KR19980031402U KR2019960044559U KR19960044559U KR19980031402U KR 19980031402 U KR19980031402 U KR 19980031402U KR 2019960044559 U KR2019960044559 U KR 2019960044559U KR 19960044559 U KR19960044559 U KR 19960044559U KR 19980031402 U KR19980031402 U KR 199800314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seat
seated
vehicl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4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402U/ko
Publication of KR199800314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40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5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pressure on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벨트착용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시트쿠션(1)에 장착되어 착석자의 유무를 확인하는 압력센서(2)와, 이 압력센서(2)의 신호를 받아 연산하는 컨트롤러(3), 이 컨트롤러(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도록 버클(4)에 구비된 접점스위치(5), 및 착석자에게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등(6)으로 구성되어, 시트에 착석자의 유무를 파악한 후 착석자가 있는 상태에서만 안전벨트착용을 경고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안전벨트 착용 경고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감지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벨트의 미착용시에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주의를 환기시켜줄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안전 벨트는 차량 주행중 탑승객의 위치를 가능한 한 시트에 고정하는 것으로, 이것을 장착함므로써 충돌시등의 충격력 때문에 발생하는 2차적인 상해를 줄이는 것이다.
이러한 안전 벨트에는 지지하는 점의 수에 따라 2점식에서 레이스용에 사용되는 6점식까지 있으며, 통상 허리와 어깨를 지지하는 3점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안전벨트는 리트렉터로부터 풀려나오는 웨빙에 텅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있어서, 차량의 탑승자의 몸을 지나 상기 텅플레이트를 시트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버클에 삽입시켜 주게 되면 상기 웨빙이 고정되면서 탑승자의 몸을 안전하게 지지해 주게 되는 것이다.
언급한 바와같이 상기 시트벨트에 의해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해 몸이 앞으로 튕겨져 나가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되게 되는 바, 상기 시트벨트의 착용이야말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차량에 탑승시 상기 안전벨트를 매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착용감의 불편함이나 답답한 느낌 때문에 통상 안전벨트를 매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도 자동차의 차실내부에는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게 되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바, 안전벨트의 텅플레이트와 버클과의 접점을 확인하여 전면 인스트루먼트 판넬에 안전벨트착용 확인용 램프를 통해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안전벨트착용 확인용 램프는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게 되면 On되는 반면에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Off되어, 운전자에게 항상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주의를 환기시켜주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환기구조에서는 차량의 시트에 착석자의 유무를 파악하지 않은 체 상기 텅플레이트가 버클에 삽입되어 있기만하면 회로가 Off되고, 착석자가 없는 상태에서는 항상 램프가 켜져 있으므로 밧데리 방전 등의 단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트에 착석자의 유무를 확인한 후 착석시에만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를 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인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시트쿠션에 장착되어 착석자의 유무를 확인하는 압력센서와, 이 압력센서의 신호를 받아 연산하는 컨트롤러, 이 컨트롤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도록 버클에 구비된 접점스위치, 및 착석자에게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시트에 사람이 앉아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안전벨트 착용을 경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착용 확인램프의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시트쿠션 2 : 압력센서
3 : 컨트롤러 4 : 버클
5 : 접점스위치 6 : 경고등
7 : 텅플레이트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착용 확인램프의 개략적인 구성도인 바, 즉 차량의 시트쿠션(1)에 장착되어 착석자의 유무를 확인하는 압력센서(2)와, 이 압력센서(2)의 신호를 받아 연산하는 컨트롤러(3), 이 컨트롤러(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도록 버클(4)에 구비된 접점스위치(5), 및 착석자에게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등(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트쿠션(1)에 착석하게 되면 상기 시트쿠션(1)에 구비되어 있는 압력센서(2)에 의해 감지가 되고, 이렇게 감지된 신호는 컨트롤러(3)에 인가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3)는 압력센서(2)로부터 인가받은 신호를 연산하여, 예컨데 10㎏이상이면 밧데리 전원을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경고하기 위한 회로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벨트의 텅플레이트(7)가 삽입되는 버클(4)에는 접점스위치(5)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버클(4)에 텅플레이트(7)가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접점스위치(5)는 온된 상태로써, 인스트루먼트패널 등에 부착된 경고등(6)에 상기 밧데리 전원을 인가하여 경고등(6)을 점등시키게 된다.
따라서 착석자는 상기 경고등(6)을 확인하고 안전벨트의 텅플레이트(7)를 버클(4)에 삽입하여 안전벨트를 매게 되는 바, 상기 텅플레이트(7)는 버클(4)에 설치되어 있는 접점스위치(5)를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회로를 차단하여 경고등(6)을 끄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게 되면 상기 경고등이 온되어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주게 되어,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벨트 미착용 운행을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감지장치에 의하면, 시트에 착석자의 유무를 파악한 후 착석자가 있는 상태에서만 안전벨트착용을 경고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안전벨트 착용 경고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시트쿠션(1)에 장착되어 착석자의 유무를 확인하는 압력센서(2)와, 이 압력센서(2)의 신호를 받아 연산하는 컨트롤러(3), 이 컨트롤러(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도록 버클(4)에 구비된 접점스위치(5), 및 착석자에게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등(6)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감지장치.
KR2019960044559U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감지장치 KR199800314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559U KR19980031402U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559U KR19980031402U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402U true KR19980031402U (ko) 1998-08-17

Family

ID=5398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559U KR19980031402U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40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348A1 (ko) * 2012-06-21 2013-12-27 Kim Jeong Ho 엘이디 점등 기능을 갖는 안전벨트 장치
KR102024051B1 (ko) * 2018-12-31 2019-09-2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348A1 (ko) * 2012-06-21 2013-12-27 Kim Jeong Ho 엘이디 점등 기능을 갖는 안전벨트 장치
KR102024051B1 (ko) * 2018-12-31 2019-09-2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인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4026B1 (en) Child restraint system with in-motion belt status monitoring
US6250672B1 (en) Vehicle airbag restraint system with deactivation indicator
US5851025A (en) Air bag deactivation buckle
US5879024A (en) Air bag deployment inhibitor circuit
KR100602555B1 (ko) 유아용 안전벨트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시스템
JPH1059122A (ja) 動力車用安全ベルトシステム
KR19980031402U (ko)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감지장치
KR19980031305U (ko)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경고장치
US20040135354A1 (e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for vehicle
JP3046783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KR0178661B1 (ko) 차량의 시트벨트버클 자동해제장치
CN214565185U (zh) 一种适用于客车座位的安全带监测装置
KR200178870Y1 (ko) 시트 벨트 착용 유도 시스템
KR100190457B1 (ko) 파열 각도에 따른 에어 백 제어 방법
KR20070076801A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착용감지장치
JP3319293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制御装置
KR100190456B1 (ko) 리프팅 시트를 이용한 에어 백 제어 방법
KR0178660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
KR200167142Y1 (ko)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 장치
KR100431981B1 (ko) 자동차의 속도 감지에 의한 뒷좌석 안전벨트 자동잠금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12959U (ko) 자동차의 안전 벨트 인장력 조절 장치
KR100224218B1 (ko) 차량의 시트 벨트 미착용 경보장치
KR100373636B1 (ko) 에어백이구비된차량용안전벨트
KR0121026Y1 (ko) 시트 벨트의 경광 램프
KR100506658B1 (ko) 차량 탑승자용 자세이상 경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