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032B1 - 내긁힘성 향상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긁힘성 향상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032B1
KR102024032B1 KR1020190056829A KR20190056829A KR102024032B1 KR 102024032 B1 KR102024032 B1 KR 102024032B1 KR 1020190056829 A KR1020190056829 A KR 1020190056829A KR 20190056829 A KR20190056829 A KR 20190056829A KR 102024032 B1 KR102024032 B1 KR 102024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cratch resistance
parts
resin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056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15Thre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8Thiocarb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xanthates ; i.e. compounds containing -X-C(=X)- groups, X being oxygen or sulfur, at least one X be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10Esters of organic acids, i.e. acylates
    • C08L1/14Mixed esters, e.g. cellulose acetate-buty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4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긁힘성 향상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내마모성 및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성분, 경도를 향상시키는 성분, 점도를 낮추며 낮은 표면장력을 가지는 성분을 이용하여 입자상의 첨가제를 형성하여 사용상 편리성이 인정되고 향상된 내긁힘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내긁힘성을 가지면서도 향상된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는 내긁힘성 향상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긁힘성 향상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지 조성물{Additives for improving stratchresistance and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긁힘성 향상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내마모성 및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성분, 경도를 향상시키는 성분, 점도를 낮추며 낮은 표면장력을 가지는 성분을 이용하여 입자상의 첨가제를 형성하여 사용상 편리성이 인정되고 향상된 내긁힘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내긁힘성을 가지면서도 향상된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는 내긁힘성 향상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플라스틱 제품은 그 기능 및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품질이 다소 차이가 나며, 이에 플라스틱 제품의 특정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첨가제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제품을 형성하는 수지는 그 자체로 쉽게 긁히는 성질을 가지므로, 내긁힘성을 요하는 플라스틱 제품의 경우 그 제조 시 원료가 되는 수지에 내긁힘성 향상제가 첨가되게 된다. 최근, 차량 경량화를 위해 많은 부품이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는데, 차량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제품에 있어 내긁힘성이 특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 내긁힘성 향상제의 일 예로 하기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콘화합물, 불소 수지 등을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제10-0729014호(2007. 06. 08. 공고) "고내마모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하지만, 종래의 PTFE 등을 이용한 내긁힘성 향상제는 PTFE의 우수한 내마모성과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물성을 이용하나, PTFE만으로 충분한 내긁힘성을 가지도록 할 수 없으며, 수지의 가공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우수한 내마모성 및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성분, 경도를 향상시키는 성분, 점도를 낮추며 낮은 표면장력을 가지는 성분을 이용하여 입자상의 첨가제를 형성하여 사용상 편리성이 인정되고 향상된 내긁힘성을 부여할 수 있는 내긁힘성 향상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지 조성물을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긁힘성을 가지면서도 향상된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는 내긁힘성 향상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지 조성물을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효과적인 열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긁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내긁힘성을 가지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내긁힘성 향상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실라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소디움퍼설페이트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내긁힘성 향상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30 내지 50중량부, 폴리실라잔 10 내지 20중량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10 내지 20중량부, 벤질아크릴레이트 5 내지 20중량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 내지 10중량부,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0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1 내지 10중량부 및 소디움퍼설페이트 0.01 내지 1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내긁힘성 향상제는 입자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내긁힘성을 가지는 수지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와, 내긁힘성 향상제 0.5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긁힘성 향상제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내긁힘성 향상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내긁힘성을 가지는 수지 조성물은 나노 다이아몬드 0.01 내지 1중량부, 폴리아크릴산나트륨 0.1 내지 2중량부, 디스테아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0.1 내지 2중량부, 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0.1 내지 2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내마모성 및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성분, 경도를 향상시키는 성분, 점도를 낮추며 낮은 표면장력을 가지는 성분을 이용하여 입자상의 첨가제를 형성하여 사용상 편리성이 인정되고 향상된 내긁힘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긁힘성을 가지면서도 향상된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효과적인 열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긁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내긁힘성 향상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지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긁힘성 향상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30 내지 50중량부, 폴리실라잔 10 내지 20중량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10 내지 20중량부, 벤질아크릴레이트 5 내지 20중량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 내지 10중량부,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0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1 내지 10중량부 및 소디움퍼설페이트 0.01 내지 1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긁힘성 향상제는 입자 형태를 가지며, 일정 크기를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mm의 평균 입도를 가진다. 상기 내긁힘성 향상제는 수지에 첨가되어 내긁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CAS No.: 9002-84-0)은 우수한 내마모성 및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구성으로, 30 내지 5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자량 1,000,000 내지 10,000,000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5,000,000 내지 10,000,000을 가지며, 분말 또는 분산액 형태(Latex)로 사용될 수 있고, 평균 입도가 50 내지 500nm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nm를 가진다.
상기 폴리실라잔(Polysilazane, CAS No. 90387-00-1)은 경도를 높여 내긁힘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10 내지 2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Celluloseacetatebutylate, CAS No.:9004-36-8)는 점도를 낮추며 낮은 표면장력을 가지는 구성으로, 10 내지 2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벤질아크릴레이트(Benzylacrylate, CAS No.: 2495-35-4)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코팅하여 응집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5 내지 2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Chloropropyltrimethoxysilane, CAS No.: 219-787-9)은 내긁힘성 향상제를 구성하는 구성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구성으로, 1 내지 1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2,2,2-Trifluoroethylacrylate, CAS No.: 4047-6)는 내긁힘성 향상제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10 내지 2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의 가공시 여러 요인에 의해 수지의 팽창이 일어나, 용융 균열, 압출기 출구면에서 압출된 플라스틱이 축적되는 현상이 일어나 가공성이 떨어지게 되는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첨가제를 수지에 첨가하는 경우 더욱 가공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긁힘성 향상제는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여, 내압 감소 효과가 증대되도록 하고 용융 균열과 압출기 출구면에 플라스틱이 축적되는 현상을 억제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lycidylmethacrylate, CAS No.: 106-91-2)는 수지와 혼화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구성으로, 1 내지 1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디움퍼설페이트(Sodiumpersulfate, CAS No.: 7775-27-1)는 중합을 촉진하는 구성으로, 0.01 내지 1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긁힘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 내긁힘성 향상제 0.5 내지 2중량부, 나노 다이아몬드 0.01 내지 1중량부, 폴리아크릴산나트륨 0.1 내지 2중량부, 디스테아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0.1 내지 2중량부, 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플라스틱 제품의 원료로, 예컨대, PVC, PE, PP, PS, PC, ABS, PA, PET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내긁힘성 향상제는 상기 베이스 수지에 첨가되어 내긁힘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서 설명한 내긁힘성 향상제가 사용되게 된다.
상기 나노 다이아몬드는 베이스 수지에 첨가되어 제품의 열전도율을 높여 전체에 걸쳐 균일한 온도를 가지도록 하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여 0.01 내지 1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제품의 일부분에 열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 경우 그 부분에서 쉽게 긁힘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베이스 수지에 나노 다이아몬드를 소량 첨가하는 경우 일부분에 열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제품 전체에 열이 분산되도록 하여 쉽게 긁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노 다이아몬드는 크기가 아주 작은 나노 사이즈이며 소량 첨가되어도 수지의 열전도율을 높이므로 베이스 수지에 나노 다이아몬드가 첨가되어도 수지의 물성을 변화시키지 않게 된다.
상기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polyacrylate, CAS No.: 9003-04-7)는 베이스 수지에 첨가되어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수지에는 나노 다이아몬드가 첨가되므로 상기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사용함으로써 나노 다이아몬드의 분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테아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stearyl 3,3-thiodipropionate, CAS No.: 693-36-7)는 베이스 수지에 첨가되어 산화방지의 기능을 부여하며,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Hydroxyphenylbenzotriazole, CAS No.: 3147-76-0)은 베이스 수지에 첨가되어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긁힘성 향상제의 제조
1. 내긁힘성 향상제 1
(1) 물(Diw) 1000g이 들어 있는 반응기(A)에 지방산 10g과 수산화나트륨 2g을 첨가하고 200rpm으로 교반하고 80℃로 승온하여 지방산염을 형성하고, 상기 반응기(A)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라텍스 형태로 사용) 40중량부를 첨가시킨 후, 소디움퍼설페이트 0.1중량부를 첨가하여 질소 퍼징하였다.
(2) 반응기(B)에 폴리실라잔 15중량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15중량부, 벤질아크릴레이트 15중량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5중량부,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15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6중량부를 혼합하여 생성한 혼합물을 반응기(A)에 첨가하고 반응시켰다.
(3) 상기 (2) 과정에서 반응이 완료된 반응액에 묽은 황산을 가하여 응집시키고 응집물의 온도를 100℃까지 상승시켜 입자의 강성을 부여한 후, 함수율이 1% 이하가 될 때까지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하고 분쇄하여 입자상의 내긁힘성 향상제 1을 얻었다.
2. 내긁힘성 향상제 2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40중량부, 폴리실라잔 15중량부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15중량부 대신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35중량부, 폴리실라잔 12중량부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18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내긁힘성 향상제 2를 제조하였다.
3. 내긁힘성 향상제 3
폴리실라잔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내긁힘성 향상제 3을 제조하였다.
4. 내긁힘성 향상제 4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내긁힘성 향상제 4를 제조하였다.
5. 내긁힘성 향상제 5
벤질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내긁힘성 향상제 5를 제조하였다.
6. 내긁힘성 향상제 6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내긁힘성 향상제 6을 제조하였다.
7. 내긁힘성 향상제 7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내긁힘성 향상제 7을 제조하였다.
8. 내긁힘성 향상제 8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내긁힘성 향상제 8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긁힘성 평가
1. 복합폴리프로필렌 100중량부, 내긁힘성 향상제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출 성형을 통해 내긁힘성 평가 시료 1 내지 8을 준비하였다. 복합폴리프로필렌은 PP와 EPDM와 탈크를 6:2:1이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내긁힘성 평가 시료 1 내지 8은 각각 내긁힘성 향상제 1 내지 8을 사용하였다.
2. MS 210-05(HYUDAI/KIA), GMW 14688(GENERAL MOTORS) 테스트를 실시하여, 내긁힘성 값을 하기의 표 1에 표기하였다. 현대/기아차, 제너럴모터스에서 규정하여 공개된 상기의 내긁힘성 평가 기준에 맞추어 실험을 하였으며, MS 210-05에서는 값이 클수록 내긁힘성 좋으며, GMW 14688에서는 값이 적을수록 내긁힘성이 좋다.
3. 내긁힘성 평가 시표 1 내지 8에 대하여 ASTM D2240에 따라 듀로미터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하고 경도가 높은 순서대로 하기의 표 1에 표기하였다.
4. 표 1을 보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실라잔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가 모두 사용된 경우 내긁힘성이 가장 좋음을 알 수 있고, 코팅 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수지와의 혼화성이 떨어지는 경우 내긁힘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내긁힘성 평가 시료 1 2 3 4 5 6 7 8
MS210-05 3.5 3.5 1 1 2.0 2.5 3 2.5
GWM14688(△L) 0.35 0.46 6.31 5.92 4.90 3.4 2.3 3.1
경도 순위 1 2 7 8 6 4 3 5
<실시예 3> 분산도 및 가공성 평가
1. LLDPE 95중량부 및 내긁힘성 향상제 5중량부를 혼합하여 마스터배치 시료 1 내지 8을 준비하였다. 마스터배치 시료 1 내지 8은 각각 내긁힘성 향상제 1 내지 8을 사용하였다.
2. 분산성 평가
(1) 마스터배치 시료 1 및 5 내지 8에 대하여 SEM으로 분산 형태와 분산 입자 크기를 확인하여, 분산성을 평가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분산성은 SEM 이미지를 확인하여 입자가 응집되어 100um 이상의 입자가 대략 20% 이상 있는 경우 분산성이 나쁘다고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2) 표 2를 보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코팅하기 위한 벤질아크릴레이트 및 수지와의 혼화성을 향상시키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되지 않은 경우 분산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마스터배치 시료 1 5 6 7 8
분산성 좋음 나쁨 좋음 좋음 나쁨
3. 가공성 평가
(1) 마스터배치 시료 1 및 5 내지 8에 대하여 Thermofisher사의 rheodrove7 단일 스크류(다이 직경은 1.5mm로, L=20d임)를 이용하여 시편을 일정 전단속도(~400s-1)로 압출하여 시험하였다. 시험평가 항목으로 압출 시작으로부터 90분이 지난 후 압력을 측정하고(압출기의 압력계 이용 측정), 용융균열 제거 시간(압출 초기에 배출되는 Strand의 상태에서 용융 균열 현상이 육안 감지 가능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현상이 제거됨)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다이 출구면에서 압출된 플라스틱이 축적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시간을 확인하여 마스터배치 1 및 5 내지 8에 대하여 빌드업이 먼저 발생하는 순서를 확인하였다.
(2) 표 3을 보면, 마스터배치 시료 1은 내압감소와 용융 균열 제거 시간이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내압감소와 용융 균열 제거 시간이 가장 떨어짐을 알 수 있어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가 가공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구성임을 알 수 있고, 벤질아크릴레이트,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 내압감소와 용융 균열 제거 시간이 상대적으로 떨어짐을 알 수 있어, 입자의 코팅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구성 간의 결합력이 떨어지거나 수지와의 혼화성이 떨어지는 경우 가공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마스터배치 1 및 5 내지 8에 대하여 빌드업이 먼저 발생한 순서대로 나타내면, 마스터배치 7, 마스터배치 5, 마스터배치 8, 마스터배치 6, 마스터배치 1의 순서대로 빌드업이 나타나, 내압감소와 용융 균열 제거 시간에 대한 평가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마스터배치 시료 start(bar) 90분(bar) 용융균열 제거시간(분)
1 293 242 19
5 293 259 34
6 293 254 31
7 293 267 38
8 293 251 30
<실시예 4> 내긁힘성 향상을 위한 열전도율 평가
(1) 폴리프로필렌 100중량부, 내긁힘성 향상제 1중량부, 나노 다이아몬드(PL-Nanoopure-G01 사용) 0.08중량부, 폴리아크릴산나트륨 0.5중량부, 디스테아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0.5중량부, 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0.5중량부를 혼합하여 가로 및 세로가 1m이며 두께가 1mm인 패널 시료 1을 제조하였다.
(2) 나노 다이아몬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4의 (1)과 동일하게 하여 패널 시료를 2를 제조하였다.
(3) 패널 시료 1 및 2에 대하여 4개의 모서리 하측 및 중앙 하측에 엘이디를 위치시킨 후 적외선을 조사시키고, 패널 시료 1 및 2의 상측에 설치된 온도센서에서 출력되는 온도를 확인하여 가장 높은 온도와 가장 낮은 온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온도센서는 패널 시료 1 및 2의 상면에 설치되며, 모서리 중앙, 모서리와 중앙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4) 패널 시료 1 및 2의 온도 차이 확인 결과, 패널 시료 2가 패널 시료 1에 비하여 월등히 큰 온도 차이를 가짐을 알 수 있어, 나노 다이아몬드를 사용하는 경우 열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자동차 내부 부품의 커버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제품 등은 열이 플라스틱 제품의 일부분에 가해져 그 부분에서 쉽게 긁힘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수지에 나노 다이아몬드를 소량 첨가하는 경우 일부분에 열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제품 전체에 열이 분산되도록 하여 쉽게 긁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실라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소디움퍼설페이트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긁힘성 향상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긁힘성 향상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30 내지 50중량부, 폴리실라잔 10 내지 20중량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10 내지 20중량부, 벤질아크릴레이트 5 내지 20중량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 내지 10중량부,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0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1 내지 10중량부 및 소디움퍼설페이트 0.01 내지 1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긁힘성 향상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긁힘성 향상제는
    입자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긁힘성 향상제.
  4.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와, 내긁힘성 향상제 0.5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긁힘성 향상제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내긁힘성 향상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긁힘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
  5. 삭제
KR1020190056829A 2019-05-15 2019-05-15 내긁힘성 향상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지 조성물 KR102024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829A KR102024032B1 (ko) 2019-05-15 2019-05-15 내긁힘성 향상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829A KR102024032B1 (ko) 2019-05-15 2019-05-15 내긁힘성 향상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032B1 true KR102024032B1 (ko) 2019-09-24

Family

ID=6806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829A KR102024032B1 (ko) 2019-05-15 2019-05-15 내긁힘성 향상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0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3792A (zh) * 2021-12-30 2022-03-22 会通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耐刮擦性pmma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665699B1 (ko) * 2023-12-21 2024-05-20 주식회사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첨가제 조성물
KR102691283B1 (ko) * 2024-04-12 2024-08-05 주식회사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복합기능을 가지는 수지 첨가제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429A (ko) * 2002-06-17 2004-01-07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기록체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체
JP2015054461A (ja) * 2013-09-12 2015-03-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7203096A (ja) * 2016-05-11 2017-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組成物、照明装置、コーティング膜の敷設方法、および、照明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429A (ko) * 2002-06-17 2004-01-07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기록체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체
JP2015054461A (ja) * 2013-09-12 2015-03-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7203096A (ja) * 2016-05-11 2017-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組成物、照明装置、コーティング膜の敷設方法、および、照明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3792A (zh) * 2021-12-30 2022-03-22 会通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耐刮擦性pmma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213792B (zh) * 2021-12-30 2023-11-07 会通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耐刮擦性pmma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665699B1 (ko) * 2023-12-21 2024-05-20 주식회사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첨가제 조성물
KR102691283B1 (ko) * 2024-04-12 2024-08-05 주식회사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복합기능을 가지는 수지 첨가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032B1 (ko) 내긁힘성 향상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지 조성물
EP1942131B1 (en) Antiblocking agent using crosslinkable silicon-containing polyolefin
KR101175308B1 (ko) 목재-플라스틱 복합재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TW201546109A (zh) 近紅外光屏蔽膜及近紅外光屏蔽膜之製造方法
EP3202847A1 (en)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and sliding member
KR100932173B1 (ko) 목재-플라스틱 복합재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US6017991A (en) Polyolefin film composition and resins useable therefore and related making method
CN112029296B (zh) 一种无有机载体聚硅氧烷颗粒及其制备方法
CN107226953B (zh) 一种耐刮擦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802457B1 (ko) 열가소성 중합체용 가공 첨가제
JP4092960B2 (ja) 二酸化チタン含有マスターバッチの製造方法、二酸化チタン含有マスターバッチ及び成形品
JP4845174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樹脂成形品
TW200628550A (en) Polyamide resin molding material fo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14316472A (zh) 高耐磨pvc粒料
JP2006131891A (ja) フィルム用ポリアミド樹脂成形材料
CN112608588A (zh) 仿陶瓷超高耐磨聚碳酸酯树脂及其制备方法
JP2010275356A (ja) 押出成形時のメヤニ発生を抑制するポリマー微粒子、これを用いたアンチブロッキング剤マスターバッチ並びにそれを用いて成形した樹脂フィルム
JP2009097175A (ja) 雨樋
CN115651351B (zh) 一种用于3d打印吉他的ab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257397B1 (ko) 인계 난연보조제
CN112480634B (zh) 一种表面硬度可调控聚碳酸酯合金复合材料和其制备方法
KR102520762B1 (ko) 유기가교입자 및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pmma 광확산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724577B (zh) 一种耐划伤的acs/pbat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4495C (zh) 阻燃树脂组合物及其成型制品
CN108912526B (zh) As磨砂树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