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895B1 - 인쇄용 블랭킷의 활성화 장치 및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용 블랭킷의 활성화 장치 및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895B1
KR102023895B1 KR1020177034598A KR20177034598A KR102023895B1 KR 102023895 B1 KR102023895 B1 KR 102023895B1 KR 1020177034598 A KR1020177034598 A KR 1020177034598A KR 20177034598 A KR20177034598 A KR 20177034598A KR 102023895 B1 KR102023895 B1 KR 102023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absorption unit
blanket
ink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973A (ko
Inventor
고우지 무라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슈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슈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슈호
Publication of KR20180065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0/00Devices for attaching coverings or make-ready devices; Guiding devices for coverings
    • B41F30/04Devices for attaching coverings or make-ready devices; Guiding devices for coverings attaching to transfe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01Pad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26Construction of ink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5/00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5/00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5/06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for offset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40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e.g. golf balls, candles, wine c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3/00Preparing for use and conserving printing surfaces
    • B41N3/006Cleaning, washing, rinsing or reclaiming of printing formes other than intaglio for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Abstract

흡수 유닛의 표면이 항상 청정하게 유지되고, 적정하게 인쇄용 블랭킷 표면의 활성화가 가능한 인쇄용 블랭킷의 활성화 장치 및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을 제공한다. 인쇄용 블랭킷의 활성화 장치는, 박스상의 저류조와, 그 저류조에 재치된 흡수 유닛과, 저류조에 저류된 액체를 구비한다. 흡수 유닛은, 흡수재의 층에 의해서 구성되고, 흡수 유닛 하부로부터 액체를 흡수하고, 흡수 유닛의 최상층은, 흡수 유닛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용 블랭킷의 활성화 장치 및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ACTIVATION DEVICE FOR A PRINTING BLANKET AND PRINTING METHOD USING A PRINTING BLANKET}
본 발명은, 인쇄에 사용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활성화 장치 및 활성화 장치를 사용한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은, 인쇄 패턴에 따른 패턴에 잉크가 실린 인쇄 원판 (인쇄판과 동일) 에 블랭킷 (패드와 동일) 을 눌러 대고, 인쇄 패턴상의 잉크를 인쇄용 블랭킷에 전사 (옮긴다) 하고, 계속하여, 인쇄용 패드를 피인쇄면에 눌러 대어, 전사된 잉크를 피인쇄면에 전사 (옮겨 건넨다) 함으로써, 피인쇄면에 인쇄 패턴을 인쇄하는 것이다. 이 때, 인쇄 품위를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서, 인쇄용 블랭킷의 표면에 용제 등을 도포하여 활성화시키고, 잉크가 잘 고화되지 않도록 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00916호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발명은, 인쇄용 블랭킷의 표면에 적량의 용제를 도포하는 공정 (활성화 공정) 을 구비함으로써, 인쇄용 블랭킷의 표면에 전사된 잉크가 잘 고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용제 등을 함유한 흡습재에 인쇄용 블랭킷을 눌러 댐으로써, 인쇄용 블랭킷의 표면에 적량의 용제를 도포하였다. 인쇄용 블랭킷에 의한 인쇄 공정은, 인쇄용 블랭킷을 인쇄 원판에 눌러 대고, 그 후에 피인쇄면에 눌러 대고, 청소하고, 흡습재에 눌러 대고, 다시 인쇄 원판에 눌러 댄다고 하는 공정의 반복이다. 그 때문에, 그 공정들을 여러 번 반복해 가는 중에, 흡습재의 표면에 오염이 부착되고, 또 흡습재 표면이 파손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흡습재 표면에 오염이 부착한 채로 인쇄 공정를 반복하면, 인쇄용 블랭킷의 표면 및 인쇄 원판에도 오염이 부착한 채로 인쇄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인쇄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 흡습재 표면의 오염이나 파손에 의해서 흡습재를 교환하려고 했을 경우, 흡습재의 교환 작업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나아가서는 인쇄에 드는 비용도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인쇄용 블랭킷에 의한 인쇄 공정을 반복해도, 인쇄용 블랭킷 표면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흡습재의 표면을 시간을 들이지 않고 항상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인쇄용 블랭킷의 활성화 장치 및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을 얻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에 관련된 인쇄용 블랭킷의 활성화 장치는, 박스상의 저류조와, 그 저류조의 재치 (載置) 된 흡수 유닛과, 상기 저류조에 저류된 액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 유닛은, 복수의 흡수재의 층에 의해서 구성되고, 흡수 유닛 하부로부터 상기 액체를 흡수하고, 상기 흡수 유닛의 최상층은, 상기 흡수 유닛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 관련된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은, 인쇄 원판에 소정의 인쇄 패턴이 되도록 잉크를 부착시키고, 상기 잉크가 부착되어 있는 인쇄 원판에 인쇄용 블랭킷을 눌러 대어, 그 인쇄용 블랭킷에 상기 잉크를 전사시키고, 상기 잉크가 전사된 상기 인쇄용 블랭킷을 피인쇄면에 눌러 대고, 상기 인쇄용 블랭킷에 전사된 상기 잉크를 상기 피인쇄면에 전사시키고, 상기 피인쇄면에 상기 잉크를 전사한 후의 상기 인쇄용 블랭킷을 클리닝면에 눌러 대고, 상기 인쇄용 블랭킷에 잔존하는 상기 잉크를, 상기 클리닝면에 부착시키는,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에 있어서, 흡수재가 적층되어 구성된 흡수 유닛에 상기 클리닝면에 눌러 댄 후의 상기 인쇄용 블랭킷을 눌러 대고, 그 흡수 유닛에 스며 들어 있는 액체의 일부를, 상기 인쇄용 블랭킷에 부착 또는 스며들게 하는 활성화 공정과, 상기 흡수 유닛의 표면을 제거하여, 신규한 표면으로 갱신하는, 흡수 유닛 갱신 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인쇄용 블랭킷의 활성화 장치 및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에 의하면, 흡습재의 표면이 항상 청정하게 유지되고, 적정하게 인쇄용 블랭킷 표면의 활성화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인쇄용 블랭킷의 표면 및 인쇄 원판이 항상 청정하게 유지되고, 나아가서는 인쇄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하여 인쇄에 드는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방법을 설명하는 작업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작업의 흐름에 대응한 작업의 상황 (제 1 공정) 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작업의 흐름에 대응한 작업의 상황 (제 2 공정) 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작업의 흐름에 대응한 작업의 상황 (제 3 공정) 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작업의 흐름에 대응한 작업의 상황 (제 4 공정) 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작업의 흐름에 대응한 작업의 상황 (제 5 공정) 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에 나타내는 작업의 흐름에 대응한 작업의 상황 (제 6 공정) 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은, 도 1 에 나타내는 작업의 흐름에 대응한 작업의 상황 (제 7 공정) 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활성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활성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변형예로서의 활성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실시형태 1)
도 1 ∼ 도 8 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용 블랭킷 표면의 활성화 장치를 사용한 인쇄 방법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방법 (100) 을 설명하는 작업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2 ∼ 도 8 은 작업의 상황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인쇄용 블랭킷 (20) 을 사용한 인쇄 방법 (100) 은, 개시 공정과 반복 공정을 갖고 있다.
(개시 공정)
개시 공정은, 인쇄용 블랭킷 (20) 을 흡수 유닛 (50) 에 눌러 대고, 흡수 유닛 (50) 에 스며 들어 있는 물 또는 용제의 일부를, 인쇄용 블랭킷 (20) 에 부착 또는 스며 들게 하는 개시 제 1 공정 (SP1) 과, 물 또는 용제의 일부가 부착 또는 스며 들어 있는 인쇄용 블랭킷 (20) 을 에어 블로 수단 (60) 에 의해서 에어 블로하여, 상기 물 또는 용제의 일부를 제거하는 개시 제 2 공정 (SP2) 과, 인쇄용 블랭킷 (20) 을 평탄한 건조면 (70) 에 눌러 대고, 인쇄용 블랭킷 (20) 에 부착 또는 스며 들어 있는 상기 물 또는 용제의 일부를 제거하는 개시 제 3 공정 (SP3) 으로 이루어지는 개시 공정을 갖고 있다.
또한, 인쇄용 블랭킷 (20) 에 적량의 물 또는 용제가 부착 또는 스며 들어 있을 경우에는, 개시 제 2 공정 (SP2) 및 개시 제 3 공정 (SP3) 의 일방 또는 양방의 실시를 생략해도 된다.
(반복 공정)
인쇄용 블랭킷 (20) 의 표면에 물 또는 용제가 부착 또는 스며 들었다고 판단되어, 개시 공정이 완료되면, 반복 공정으로 이행한다. 반복 공정은, 인쇄 원판 (10) 에 소정의 인쇄 패턴 (1) 이 되도록 잉크 (2) 를 부착하는 제 1 공정 (S1) 과, 인쇄 패턴 (1) 상으로 잉크 (2) 가 부착되어 있는 인쇄 원판 (10) 에, 인쇄용 블랭킷 (20) 을 눌러 대어, 인쇄용 블랭킷 (20) 에 잉크 (2) 를 전사시키는 제 2 공정 (S2) 과, 잉크 (2) 가 전사된 인쇄용 블랭킷 (20) 을, 피인쇄면 (30) 에 눌러 대고, 인쇄용 블랭킷 (20) 에 전사된 잉크 (2) 를 피인쇄면 (30) 에 전사시키는 제 3 공정 (S3) 과, 피인쇄면 (30) 에 잉크 (2) 를 전사한 후의 인쇄용 블랭킷 (20) 을, 평탄한 클리닝면 (40) 에 눌러 대고, 인쇄용 블랭킷 (20) 에 잔존하는 잉크 (2) 를, 클리닝면 (40) 에 부착시키는 제 4 공정 (S4) 을 갖고 있다.
또한, 잔존하는 잉크 (2) 를 클리닝면 (40) 에 부착한 후의 인쇄용 블랭킷 (20) 을, 흡수 유닛 (50) 에 눌러 대고, 흡수 유닛 (50) 에 스며 들어 있는 물 또는 용제의 일부를, 인쇄용 블랭킷 (20) 에 부착 또는 스며 들게 하는 제 5 공정 (S5) 과, 상기 물 또는 용제의 일부가 부착 또는 스며 들어 있는 인쇄용 블랭킷 (20) 을 에어 블로 수단 (60) 에 의해서 에어 블로하여, 상기 물 또는 용제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 6 공정 (S6) 과, 또한, 제 5 공정 (S5) 또는 제 6 공정 (S6) 후에, 인쇄용 블랭킷 (20) 을 평탄한 건조면 (70) 에 눌러 대고, 인쇄용 블랭킷 (20) 에 부착 또는 스며 들어 있는 상기 물 또는 용제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 7 공정 (S7) 을 갖고 있다. 또한, 인쇄용 블랭킷 (20) 에 적량의 물 또는 용제가 부착 또는 스며 들어 있는 경우에는, 제 6 공정 (S6) 및 제 7 공정 (S7) 의 일방 또는 양방의 실시를 생략해도 된다.
(제 1 공정)
도 2 를 사용하여, 제 1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공정에 있어서, 인쇄 원판 (10) 에 소정의 인쇄 패턴 (1) 이 되도록 잉크 (2) 를 부착하는 요령은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른바 볼록판 인쇄, 오목판 인쇄, 또는 잉크젯 방식이어도 된다. 도 2 의 (a) 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볼록판 인쇄에 의한, 인쇄 원판 (10) 에 잉크 (2) 를 도포한 상태를 나타낸다. 인쇄 원판 (10) 의 거의 전체 면에 잉크 (2) 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고, 거의 전체 면에 도포된 잉크 (2) 를 부분적으로 철거하여, 남겨진 잉크 (2) 가 인쇄 패턴 (1) 으로 되어 있다. 도 2 에 있어서는, 잉크 (2) 의 막두께를 과장하여, 사선을 그어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인쇄 원판 (10) 에 인쇄 패턴 (1) 에 대응하여 물 등을 스며 들게 하거나, 실리콘층을 형성하거나 하여, 잉크 (2) 를 부분적으로 겉돌게 해도 된다.
도 2 의 (b) ∼ (d) 는, 일례로서 오목판 인쇄에 의한, 인쇄 원판 (10) 에 잉크 (2) 를 도포하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b) 는, 인쇄 원판 (10) 의 전체 면에 마스킹재 (10a) 가 설치된 상태이다. 도 2 (c) 는, 마스킹재 (10a) 에 인쇄 패턴 (1) 에 대응한 오목부 (10b) 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d) 는, 오목부 (10b) 에 잉크 (2) 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b) ∼ (d) 에 도시되어 있는 마스킹재 (10a) 는, 예를 들어 인쇄 원판 (10) 의 표면의 실리콘층을 인쇄 패턴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한 것이다. 인쇄 패턴 (1) 에 대응하여 실리콘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잉크 (2) 를 부분적으로 겉돌게 해도 된다. 또한, 인쇄 원판 (10) 에 잉크 (2) 를 도포하는 공정은, 상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공정)
도 3 을 사용하여 제 2 공정 (S2)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의 (a) ∼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공정 (S2) 에서는, 인쇄 패턴 (1) 에 따라서 인쇄 원판 (10) 에 부착되어 있는 잉크 (2) 를, 인쇄용 블랭킷 (20) 에 전사시킨다. 인쇄용 블랭킷 (20) 은, 인쇄 원판 (10) 에 눌러 대어지고, 인쇄용 블랭킷 (20) 의 표면에 잉크 (2) 가 전사된다. 인쇄 원판 (10) 에 부착하는 잉크 (2) 는, 상세한 인쇄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점도가 높은 (딱딱한) 것을 사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한편으로, 점도가 높은 잉크 (2) 를 사용한 경우에는, 인쇄용 블랭킷에 전사하기가 어려워진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 인쇄용 블랭킷 (20) 의 표면에는, 물 또는 용제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점도가 높은 잉크 (2) 여도 인쇄용 블랭킷 (20) 의 표면으로 옮아 가기 쉽다. 이로써, 인쇄 화상의 빠짐 없이 품질이 높은 인쇄가 가능해진다. 또, 인쇄 원판 (10) 에 잉크 (2) 가 잔존하기 어렵기 때문에, 잉크 (2) 의 잔존으로 인한 인쇄 원판 (10) 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제 3 공정)
도 4 를 사용하여 제 3 공정 (S3)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의 (a) ∼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공정 (S3) 에서는, 잉크 (2) 가 전사된 인쇄용 블랭킷 (20) 을, 피인쇄면 (30) 에 눌러 대고, 인쇄용 블랭킷 (20) 에 전사된 잉크 (2) 를 피인쇄면 (30) 에 전사시킨다. 또한, 피인쇄면 (30) 으로서 평면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비평면 (곡면) 이어도 된다.
(제 4 공정)
도 5 를 사용하여 제 4 공정 (S4)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에 있어서, 제 4 공정 (S4) 에서는, 피인쇄면 (30) 에 잉크 (2) 를 전사한 후의 인쇄용 블랭킷 (20) 을, 평탄한 클리닝면 (40) 에 눌러 대고, 인쇄용 블랭킷 (20) 에 잔존하는 잉크 (2) 를, 클리닝면 (40) 에 부착시키고 있다. 또한, 클리닝면 (40) 은 종이 내지 점착 테이프이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6 을 사용하여 제 5 공정 (S5)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에 있어서, 제 5 공정 (S5) 에서는, 클리닝 후의 인쇄용 블랭킷 (20) 을, 흡수 유닛 (50) 에 눌러 대고, 흡수 유닛 (50) 에 스며 들어 있는 물 또는 용제의 일부를, 인쇄용 블랭킷 (20) 에 부착 또는 스며 들게 하고 있다. 이 공정을 활성화 공정이라고 부른다. 또한, 흡수 유닛 (50) 은, 예를 들어, 종이를 적층한 것에, 물 또는 용제를 스며 들게 한 것 (함침한 것) 이다. 또, 용제는, 잉크 (2) 와의 성질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되는 것으로서, 딱딱한 잉크 (2) 를 연화시키는 성질을 갖는, 예를 들어, 시너, 자일렌이나 톨루엔 등이지만, 이것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인쇄용 블랭킷 (20) 의 표면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화 장치 (80) 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7 을 사용하여 제 6 공정 (S6)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에 있어서, 제 6 공정 (S6) 에서는, 상기 물 또는 용제의 일부가 부착 또는 스며 들어 있는 인쇄용 블랭킷 (20) 을 에어 블로 수단 (60) 에 의해서 에어 블로하여, 상기 물 또는 용제의 일부를 제거하고 있다. 또한, 에어 블로 수단 (60) 의 형식이나 수량, 혹은 에어 블로의 방향 등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8 을 사용하여 제 7 공정 (S7)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에 있어서, 제 7 공정 (S7) 에서는, 인쇄용 블랭킷 (20) 을 평탄한 건조면 (70) 에 눌러 대고, 인쇄용 블랭킷 (20) 에 부착 또는 스며 들어 있는 상기 물 또는 용제의 일부를 제거하고 있다. 또한, 건조면 (70) 은, 건조시킨 종이를 적층한 것이지만, 흡습성을 구비하는 것이면, 종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복수 장을 적층한 것이 아니고, 1 장 (1 층) 이어도 된다.
또한, 개시 공정에 있어서의, 개시 제 1 공정 (SP1), 개시 제 2 공정 (SP2) 및 개시 제 3 공정 (SP3) 은, 각각 반복 공정에 있어서의, 제 5 공정 (S5), 제 6 공정 (S6) 및 제 7 공정 (S7) 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인쇄용 블랭킷 (20) 의 표면의 활성화 장치 (80) 에 대해서)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활성화 장치 (80) 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활성화 장치 (80) 는, 액체 (82) 를 저류하는 저류조 (81) 를 구비한다. 저류조 (81) 는, 상면측이 개구된 박스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류조 (81) 의 내부에는 흡수 유닛 (50) 이 배치되어 있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는, 흡수 유닛 (50) 은, 복수의 구멍 (87a) 이 개구되고 액체 (82) 가 그 구멍 (87a) 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구멍판 (87) 상에 재치되어 있다. 구멍판 (87) 은, 구멍판 지지 기둥 (88) 에 지지되고 있고, 저류조 (81) 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흡수 유닛 (50) 의 설치는,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저류조 (81) 의 바닥면 상에 재치되어 있기만 해도 되고, 예를 들어, 스프링 등에 의해서 바닥면에 눌러 대어지도록 하여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 흡수 유닛 (50) 은, 구멍판 (87) 에 재치되고, 구멍 (87a) 으로부터 액체 (82) 를 빨아 올리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흡수 유닛 (50) 의 흡수 유닛 하부 (53) 가 과잉되게 액체 (82) 를 흡수하지 않아, 흡수 유닛 하부 (53) 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흡수 유닛 (50) 의 흡수 유닛 하부 (53) 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저류조 (81) 에 저류된 액체 (82) 에 침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9 에 있어서, 흡수 유닛 (50) 은, 얇은 시트상의 흡수재를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다. 적층된 흡수재의 두께는, 강조하여 표시하고 있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는, 흡수재는, 종이 (54)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 종이 (54) 는, 본원 발명의 「흡수재」에 상당하는 것이다. 흡수재는, 종이 (54) 에만 한정되지 않고, 액체 (82) 를 흡수하는 것이면, 다른 재질에 의해서 구성해도 된다.
저류조 (81) 는, 액체 (82) 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구 (86) 가 접속되어 있다. 액체 공급구 (86) 는, 예를 들어 관 등에 의해서 저류조 (81) 에 접속되어 있다. 액체 공급구 (86) 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저류조 (81) 내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 (82) 의 수면의 높이를 소정의 높이로 조정하여, 흡수 유닛 (50) 이 적정하게 액체 (82) 를 흡수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장치 (80) 는, 액체 공급구 (86) 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액체 (82) 의 수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 그 밖의 수단에 의해서 액체 (82) 를 저류조 (81) 에 공급해도 된다.
(흡수 유닛 (50))
흡수 유닛 (50) 은, 종이 (54) 를 적층시켜 구성된다. 도 9 에 있어서는, 흡수 유닛 (50) 의 흡수 유닛 하부 (53) 는, 비교적 두꺼운 종이를 적층시켜 구성되어 있다. 흡수 유닛 (50) 의 흡수 유닛 상부 (52) 는, 비교적 얇은 종이를 적층시키고 있다. 액체 (82) 를 빨아 올린 흡수 유닛 (50) 의 흡수 유닛 하부 (53) 로부터, 종이의 섬유에 의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액체 (82) 가 흡수 유닛 (50) 전체에 스며든다. 흡수 유닛 (50) 의 흡수 유닛 하부 (53) 는, 예를 들어, 2.5 ㎜ 정도의 두께의 마분지를 2 장 적층시켜 구성되어 있다. 두께가 있는 마분지에 의해서, 저렴하고, 액체 (82) 에 장시간 침지되어 있어도 액체 (82) 에 잘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흡수 유닛 (50) 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흡수 유닛 (50) 의 흡수 유닛 상부 (52) 는, 흡수 유닛 하부 (53) 보다 얇은 종이를 다수 적층시켜 구성되어 있다. 흡수 유닛 상부 (52) 의 가장 위의 층에 위치하는 종이 (54a) 는, 인쇄용 블랭킷 (20) 이 눌러 대어지고, 종이 (54a) 에 스며든 액체 (82) 를 인쇄용 블랭킷 (20) 의 표면에 도포한다. 가장 위의 층에 위치하는 종이 (54a) 는, 인쇄용 블랭킷 (20) 이 몇 회나 눌러 대어지고 있는 가운데, 인쇄용 블랭킷 (20) 의 표면에 잔존한 잉크 (2) 등의 오염이 부착되거나, 종이 (54a) 의 표면이 깎여지거나 하여 찢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가장 위의 층에 위치하는 종이 (54a) 는, 흡수 유닛 (50) 의 가장 위의 층으로부터 박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장 위의 층에 위치하는 종이 (54a) 는, 작업자의 수작업 또는 공구를 사용하여 흡수 유닛 (50) 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된다. 종이 (54a) 가 박리되면, 그 아래에 위치하는 종이 (54b) 가 새롭게 가장 위의 층에 위치하게 된다. 종이 (54b) 는, 표면이 청정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또한 액체 (82) 가 골고루 스며들어 있기 때문에, 인쇄용 블랭킷 (20) 의 표면을 눌러 대면 표면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흡수 유닛 (50) 의 흡수 유닛 상부 (52) 는, 얇은 종이가 예를 들어 10 장 적층되어 있는데 장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종이의 종류, 액체 (82) 가 빨려 올라가기 쉬움, 액체 (82) 의 종류, 가장 위의 층에 위치하는 종이 (54) 를 박리하는 빈도에 따라서 적절히 장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 흡수 유닛 (50) 의 흡수 유닛 하부 (53) 는, 마분지 이외의 재질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스펀지 등의 액체 (82) 가 흡수되어 스며드는 재질의 것이어도 된다. 또, 가장 위의 층에 위치하는 종이 (54) 이외를, 예를 들어 스펀지 등의 액체 (82) 가 흡수되어 스며드는 재질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흡수 유닛 (50) 의 가장 위의 층에 위치하는 종이 (54a) 를 박리하는 공정을 흡수 유닛 갱신 공정이라고 칭한다. 흡수 유닛 갱신 공정은, 도 1 의 공정 S1 ∼ S7 의 반복 중 어느 공정 사이에 실시해도 된다. 또는, 인쇄용 블랭킷 (20) 을 흡수 유닛 (50) 에 눌러 대는 제 5 공정 (S5) 이외의 공정과 병행하여 실시해도 된다. 제 5 공정 (S5) 이외의 공정과 병행하여 흡수 유닛 갱신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흡수 유닛 갱신 공정을 실시하고 있는 중에도 인쇄를 멈출 필요가 없다. 흡수 유닛 갱신 공정에 걸리는 시간이 인쇄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인쇄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에 의한 효과)
(1)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용 블랭킷 (20) 의 활성화 장치 (80) 에 의하면, 박스상의 저류조 (81) 와, 저류조 (81) 에 재치된 흡수 유닛 (50) 과, 저류조 (81) 에 저류된 액체 (82) 를 구비한다. 흡수 유닛 (50) 은, 흡수재의 층에 의해서 구성되고, 흡수 유닛 하부 (53) 로부터 액체 (82) 를 흡수하고, 흡수 유닛 (50) 의 가장 위의 층 (종이 (54a)) 은, 흡수 유닛 (50) 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2)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용 블랭킷 (20) 을 사용한 인쇄 방법에 의하면, 인쇄 원판 (10) 에 소정의 인쇄 패턴 (1) 이 되도록 잉크 (2) 를 부착시키고, 잉크 (2) 가 부착되어 있는 인쇄 원판 (10) 에 인쇄용 블랭킷 (20) 을 눌러 대어, 인쇄용 블랭킷 (20) 에 잉크 (2) 를 전사시키고, 잉크 (2) 가 전사된 인쇄용 블랭킷 (20) 을 피인쇄면 (30) 에 눌러 대고, 인쇄용 블랭킷 (20) 에 전사된 잉크 (2) 를 피인쇄면 (30) 에 전사시키고, 피인쇄면 (30) 에 잉크 (2) 를 전사한 후의 인쇄용 블랭킷 (20) 을 클리닝면 (40) 에 눌러 대고, 인쇄용 블랭킷 (20) 에 잔존하는 잉크 (2) 를, 클리닝면 (40) 에 부착시키는,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에 있어서, 흡수재의 층으로 구성된 흡수 유닛 (50) 에 클리닝면 (40) 에 눌러 댄 후의 인쇄용 블랭킷 (20) 을 눌러 대고, 흡수 유닛 (50) 에 스며 들어 있는 액체 (82) 의 일부를, 인쇄용 블랭킷 (20) 에 부착 또는 스며 들게 하는 활성화 공정과, 흡수 유닛 (50) 의 표면을 제거하고, 신규한 표면으로 갱신하는 흡수 유닛 갱신 공정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인쇄용 블랭킷 (20) 을 사용한 인쇄에 있어서, 흡수 유닛 (50) 의 표면이 항상 청정하게 유지되고, 적정하게 인쇄용 블랭킷 (20) 의 표면의 활성화가 가능해진다. 인쇄용 블랭킷 (20) 의 표면이 활성화됨으로써, 인쇄 원판 (10) 으로부터 인쇄용 블랭킷 (20) 에 대한 잉크 (2) 의 전사성이 향상됨과 함께, 인쇄용 블랭킷 (20) 의 표면 및 인쇄 원판 (10) 이 항상 청정하게 유지된다. 나아가서는 인쇄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하여, 인쇄에 드는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3)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용 블랭킷 (20) 의 활성화 장치 (80) 에 의하면, 흡수 유닛 (50) 은, 적어도 흡수 유닛 하부 (53) 가 마분지에 의해서 구성되고, 마분지 상에 상이한 종류의 종이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두께가 있는 마분지에 의해서, 저렴하고, 액체 (82) 에 장시간 침지되어 있어도 액체 (82) 에 잘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흡수 유닛 (50) 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또한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4)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용 블랭킷 (20) 을 사용한 인쇄 방법에 의하면, 흡수 유닛 갱신 공정은, 흡수 유닛 (50) 의 가장 위의 층에 위치하는 종이 (54a) 를 박리하여, 그 종이 아래의 층에 위치하는 종이 (54b) 를 가장 위의 층에 노출시킨다. 또한, 종이 (54a) 는,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흡수재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흡수 유닛 (50) 의 표면을 갱신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흡수 유닛 (50) 의 표면을 갱신하기 위한 시간이 단축된다. 나아가서는, 인쇄에 드는 비용을 저하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인쇄용 블랭킷 (20) 의 표면의 활성화 장치 (280)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활성화 장치 (80) 에 대해서, 자동으로 흡수 유닛 (50)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54a) 를 갱신하는 것이다.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인쇄용 블랭킷 (20) 의 표면의 활성화 장치 (280) 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 에 대한 변경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인쇄용 블랭킷 (20) 의 표면의 활성화 장치 (280) 의 각 부에 대해서는,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실시형태 1 의 설명에서 사용한 도면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활성화 장치 (280) 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인쇄용 블랭킷 (20) 의 표면의 활성화 장치 (280) 는, 흡수 유닛 (250) 의 최상층의 롤지 (254) 가 조출 롤 (84) 로부터 조출되어 가이드 롤러 (83a 및 83b) 에 의해서 가이드되고, 권취 롤 (85) 에 의해서 감기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흡수 유닛 (250) 의 최상층의 롤지 (254) 의 하방에는, 예를 들어 적층된 종이에 의해서 구성된 흡수 유닛 상부 (252) 가 위치하고 있다. 또,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아래에는, 예를 들어 두꺼운 마분지를 적층하여 구성된 흡수 유닛 하부 (253)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수 유닛 (250) 을 구성하는, 흡수 유닛 상부 (252) 및 흡수 유닛 하부 (253) 는, 각각이 복수의 층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지만, 이 형태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흡수 유닛 상부 (252) 및 흡수 유닛 하부 (253) 가 각각 1 층의 흡수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흡수 유닛 상부 (252) 및 흡수 유닛 하부 (253) 를 합해서 1 층의 흡수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가이드 롤러 (83a 및 83b) 는, 흡수 유닛 (250) 을 상측에서 보면, 흡수 유닛 (250) 의 가장 위의 층의 측방에 위치하고, 흡수 유닛 (250)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 (83a 및 83b) 는,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의 상면보다 위에 원통면의 하단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가이드 롤러 (83a 및 83b) 에 가이드되고 있는 롤지 (254) 는, 가이드 롤러 (83a 및 83b) 사이에 장력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와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2 에 있어서는, 롤지 (254) 가 사용되고 있지만, 롤지 (254) 대신에 액체 (82) 를 흡수할 수 있는 다른 재질의 롤상의 흡수재를 사용해도 된다.
조출 롤 (84) 의 조출부 (84a) 는, 가이드 롤러 (83a) 의 원통면의 하단 (83aa) 보다 위에 위치한다. 또, 권취 롤 (85) 의 권취부 (85a) 도, 가이드 롤러 (83b) 의 원통면의 하단 (83ba) 보다 위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조출 롤 (84) 과 권취 롤 (85) 의 양방을 롤지 (254) 를 감는 방향으로 토크를 가하면 (도 10 에 있어서는, 조출 롤 (84) 의 회전 방향을 도시하는 화살표와 역방향으로 한다), 가이드 롤러 (83a 및 83b) 에 가이드되고 있는 롤지 (254) 에 장력을 가할 수 있다.
롤지 (254) 는, 가이드 롤러 (83a 및 83b) 사이에 장력이 가해져 있는 상태에서는,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와 간극을 두어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흡수 유닛 (250) 의 갱신 공정에 있어서는, 롤지 (254) 에 장력을 걸면서 권취 롤 (85) 로 감는다. 이 때, 조출 롤 (84) 에 저항하는 텐션을 가함으로써, 가이드 롤러 (83a 및 83b) 에 가이드되고 있는 롤지 (254) 에 장력을 가하면서, 롤지 (254) 를 감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롤지 (254) 가,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의 상면에 걸리지 않고 순조롭게 권취 롤 (85) 측으로 이송된다. 특히, 롤지 (254) 는, 사용 후에는 액체 (82) 에 의해서 젖은 상태이기 때문에,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와 들러붙어 떨어지지 않아, 도 10 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롤러 (83a 및 83b) 에 가이드되고 있는 롤지 (254) 에 장력을 가함으로써,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의 수직 방향으로 롤지 (254) 를 떼어 놓을 수 있다. 그 후, 롤지 (254) 를 이송함으로써, 흡수 유닛 (250) 의 최상층의 롤지 (254) 는, 수평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와 롤지 (254)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이드 롤러 (83a 및 83b) 가 상하로 움직이는 구조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롤지 (254) 를 이송하기 전에 가이드 롤러 (83a 및 83b) 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롤지 (254) 를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로부터 떼어 놓을 수 있도록 한다.
롤지 (254) 가 감기고, 흡수 유닛 (250) 의 최상층의 롤지 (254) 의 면이 새로워졌을 때에는, 아직 롤지 (254) 에 액체 (82) 는 골고루 스며들어 있지 않다. 그러나, 롤지 (254) 와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와의 간극은 작기 때문에, 한번에 인쇄용 블랭킷 (20) 을 눌러 대면, 종이 (252a) 로부터 롤지 (254) 에 스며든다. 롤지 (254) 에 액체 (82) 를 골고루 스며들게 하려면, 인쇄용 블랭킷 (20) 을 눌러 댐으로써 롤지 (254) 를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에 대한 압박을 행해도 된다. 이 공정을 압박 공정이라고 칭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변형예로서의 활성화 장치 (280a) 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활성화 장치 (280a) 는, 가이드 롤러 (283a, 283b) 의 원통면의 상단 (283aa, 283ba) 이,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롤지 (254) 는, 가이드 롤러 (283a, 283b) 의 상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조출 롤 (84) 의 조출부 (84a) 는, 가이드 롤러 (283a) 의 원통면의 상단 (283aa) 보다 아래에 배치되고, 권취 롤 (85) 의 권취부 (85a) 도, 가이드 롤러 (283b) 의 원통면의 상단 (283ba) 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활성화 장치 (280a) 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활성화 장치 (280) 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롤러 (283a) 와 가이드 롤러 (283b) 사이에 걸쳐 있는 롤지 (254) 에 장력을 가하거나 느슨하게 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활성화 장치 (280a) 와 같이, 가이드 롤러 (283a, 283b) 의 상측에 롤지 (254) 를 배치하는 구성의 경우, 조출 롤 (84) 및 권취 롤 (85) 에 설치되어 있는 롤상의 종이를 교환할 때, 도 10 의 가이드 롤러 (83a, 83b) 와 도 10 의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사이에 롤지 (254) 를 통과시키는 작업이 없기 때문에, 용이하게 롤상의 종이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2 에 있어서, 흡수 유닛 상부 (252) 및 흡수 유닛 하부 (253) 는, 적층된 종이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펀지 등의 액체 (82) 가 흡수되어 스며드는 재질의 것이어도 된다. 또, 도 11 에 있어서는, 액체 공급구 (86) 가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도 9 또는 도 10 과 마찬가지로 저류조 (81) 에 액체 공급구 (86) 를 접속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실시형태 2 의 효과)
(5)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인쇄용 블랭킷 (20) 의 활성화 장치 (280, 280a) 에 의하면, 흡수 유닛 (250) 의 최상층은, 조출 롤 (84) 로부터 계속 조출되고, 권취 롤 (85) 에 의해서 감기는 롤지 (254)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인쇄용 블랭킷 (20) 을 사용한 인쇄에 있어서,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흡수 유닛 (250) 의 최상층에 위치하는 롤지 (254) 를 자동으로 갱신할 수 있다. 또, 인쇄와 병행하여 흡수 유닛 (250) 의 갱신 공정을 실행할 수 있다.
(6)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인쇄용 블랭킷 (20) 의 활성화 장치 (280) 에 의하면,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면의 단부 (端部) 의 측방에 가이드 롤러 (83a, 83b) 를 추가로 구비한다. 가이드 롤러 (83a, 83b) 는, 가장 위의 면을 측방으로 연장한 가상 평면보다 상방에 롤지 (254) 를 가이드하는 원통면의 하단 (83aa, 83ba) 이 위치한다. 조출 롤 (84) 의 롤지 (254) 의 조출부 (84a) 및 권취 롤 (85) 의 롤지 (254) 의 권취부 (85a) 는, 원통면의 하단 (83aa, 83ba) 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또한,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롤지 (254) 는, 본원 발명의 흡수재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롤지 (254) 가,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의 표면에 걸리지 않고 순조롭게 권취 롤 (85) 측으로 이송된다. 특히 롤지 (254) 는, 사용 후에는 액체 (82) 에 의해서 젖은 상태이기 때문에,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와 들러붙어 떨어지지 않아, 도 10 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롤러 (83a 및 83b) 에 가이드되고 있는 롤지 (254) 에 장력을 가하는 것, 또는 가이드 롤러 (83a, 83b) 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의 수직 방향으로 롤지 (254) 를 떼어 놓을 수 있다. 그 후, 롤지 (254) 를 이송함으로써,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의 바로 위에 있는 롤지 (254) 는, 수평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7)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인쇄용 블랭킷 (20) 의 활성화 장치 (280a) 에 의하면,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면의 단부의 측방에 가이드 롤러 (283a, 283b) 를 추가로 구비한다. 가이드 롤러 (283a, 283b) 는, 가장 위의 면을 측방으로 연장한 가상 평면보다 상방에 롤지 (254) 를 가이드하는 원통면의 상단 (283aa, 283ba) 이 위치한다. 조출 롤 (84) 의 롤지 (254) 의 조출부 (84a) 및 권취 롤 (85) 의 롤지 (254) 의 권취부 (85a) 는, 원통면의 상단 (283aa, 283ba) 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또한,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롤지 (254) 는, 본원 발명의 흡수재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활성화 장치 (280a) 는, 상기 (6) 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조출 롤 (84) 및 권취 롤 (85) 에 설치되어 있는 롤상의 종이를 교환할 때, 가이드 롤러 (83a, 83b) 와 도 10 의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사이에 롤지 (254) 를 통과시키는 작업이 없기 때문에, 용이하게 롤상의 종이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8)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인쇄용 블랭킷 (20) 을 사용한 인쇄 방법에 의하면, 흡수 유닛 갱신 공정은, 흡수 유닛 (250) 의 최상층에 위치하는 조출 롤 (84) 로부터 조출되어 권취 롤 (85) 에 의해서 감기는 롤지 (254) 가, 권취 롤 (85) 에 의해서 감김과 함께, 조출 롤 (84) 로부터 조출된 롤지 (254) 가 흡수 유닛 (250) 의 최상층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인쇄 방법에 있어서 인쇄용 블랭킷 (20) 의 활성화 장치 (280, 280a) 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6) 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9)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인쇄용 블랭킷 (20) 을 사용한 인쇄 방법에 의하면, 조출 롤 (84) 로부터 조출된 롤지 (254) 가, 상방으로부터 흡수 유닛 (250) 의 가장 위의 층에 위치하는 종이 (252a) 에 눌러 대어지는 압박 공정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흡수 유닛 (250) 의 가장 위의 층의 종이 (252a) 의 상방에 위치하는 롤지 (254) 를 자동으로 갱신하면서, 갱신 후의 롤지 (254) 에 신속하게 액체 (82) 를 스며들게 할 수 있다. 또, 롤지 (254) 에 액체 (82) 를 스며들게 하는 공정도 자동화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에 있어서 딱딱한 잉크를 사용하여 반복해서 인쇄를 실시해도, 전사성과 인쇄 원판의 청정성의 양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형상이나 각종 크기의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으로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1 : 인쇄 패턴,
2 : 잉크,
10 : 인쇄 원판,
10a : 마스킹재,
10b : 오목부,
20 : 인쇄용 블랭킷,
30 : 피인쇄면,
40 : 클리닝면,
50 : 흡수 유닛,
52 : 흡수 유닛 상부,
53 : 흡수 유닛 하부,
54 : 종이,
55 : 종이,
60 : 에어 블로 수단,
70 : 건조면,
80 : 활성화 장치,
81 : 저류조,
82 : 액체,
83a : 가이드 롤러,
83aa : 하단,
83ab : 상단,
83b : 가이드 롤러,
83ba : 하단,
83bb : 상단,
84 : 조출 롤,
84a : 조출부,
85 : 권취 롤,
85a : 권취부,
86 : 액체 공급구,
87 : 구멍판,
87a : 구멍,
88 : 구멍판 지지 기둥,
100 : 인쇄 방법,
250 : 흡수 유닛,
252 : 흡수 유닛 상부,
(흡수 유닛 상부 (252) 의 가장 위의 층의) 252a : 종이,
253 : 흡수 유닛 하부,
254 : 롤지,
280 : 활성화 장치,
280a : 활성화 장치,
283a : 가이드 롤러,
283aa : 상단,
283b : 가이드 롤러,
283ba : 상단.

Claims (10)

  1. 박스상의 저류조와,
    그 저류조에 재치된 흡수 유닛과,
    상기 저류조에 저류된 액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 유닛은,
    흡수재의 층에 의해서 구성되고,
    흡수 유닛 하부로부터 상기 액체를 흡수하고,
    상기 흡수 유닛의 최상층은,
    상기 흡수 유닛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고, 조출 롤로부터 조출되고, 권취 롤에 의해서 감기는 상기 흡수재인, 인쇄용 블랭킷의 활성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유닛은,
    상기 최상층의 바로 아래에 흡수 유닛 상부가 위치하고,
    상기 흡수 유닛 상부의 가장 위의 면의 측방에 가이드 롤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흡수 유닛 상부의 가장 위의 면을 측방으로 연장한 가상 평면보다 상방에 상기 흡수재를 가이드하는 원통면의 하단이 위치하고,
    상기 조출 롤의 상기 흡수재의 조출부 및 상기 권취 롤의 상기 흡수재의 권취부는,
    상기 원통면의 상기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활성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유닛은,
    상기 최상층의 바로 아래에 흡수 유닛 상부가 위치하고,
    상기 흡수 유닛 상부의 가장 위의 면의 측방에 가이드 롤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가장 위의 면을 측방으로 연장한 가상 평면보다 상방에 상기 흡수재를 가이드하는 원통면의 상단이 위치하고,
    상기 조출 롤의 상기 흡수재의 조출부 및 상기 권취 롤의 상기 흡수재의 권취부는,
    상기 원통면의 상기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활성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종이인, 인쇄용 블랭킷의 활성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유닛은,
    적어도 상기 흡수 유닛 하부가 마분지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마분지 상에 상이한 종류의 상기 종이가 적층되어 있는, 인쇄용 블랭킷의 활성화 장치.
  6. 인쇄 원판에 소정의 인쇄 패턴이 되도록 잉크를 부착시키고,
    상기 잉크가 부착되어 있는 인쇄 원판에 인쇄용 블랭킷을 눌러 대어, 그 인쇄용 블랭킷에 상기 잉크를 전사시키고,
    상기 잉크가 전사된 상기 인쇄용 블랭킷을 피인쇄면에 눌러 대고, 상기 인쇄용 블랭킷에 전사된 상기 잉크를 상기 피인쇄면에 전사시키고,
    상기 피인쇄면에 상기 잉크를 전사한 후의 상기 인쇄용 블랭킷을 클리닝면에 눌러 대고, 상기 인쇄용 블랭킷에 잔존하는 상기 잉크를, 상기 클리닝면에 부착시키는,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에 있어서,
    흡수재의 층에 의해서 구성된 흡수 유닛에 상기 클리닝면에 눌러 댄 후의 상기 인쇄용 블랭킷을 눌러 대고, 그 흡수 유닛에 스며 들어 있는 액체의 일부를, 상기 인쇄용 블랭킷에 부착 또는 스며 들게 하는 활성화 공정과,
    상기 흡수 유닛의 표면을 제거하여, 신규한 표면으로 갱신하는, 흡수 유닛 갱신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흡수 유닛 갱신 공정은,
    상기 흡수 유닛의 최상층이 권취 롤에 의해서 감김과 함께,
    조출 롤로부터 조출된 상기 흡수재가 상기 흡수 유닛의 최상층에 공급되는,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유닛 갱신 공정은,
    상기 조출 롤로부터 조출된 상기 흡수재가, 상방으로부터 상기 최상층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흡수 유닛 상부의 상기 흡수재에 눌러 대어지는 압박 공정을 구비하는,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7034598A 2016-10-24 2016-10-24 인쇄용 블랭킷의 활성화 장치 및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 KR102023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1451 WO2018078694A1 (ja) 2016-10-24 2016-10-24 印刷用ブランケットの活性化装置及び印刷用ブランケットを使用した印刷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973A KR20180065973A (ko) 2018-06-18
KR102023895B1 true KR102023895B1 (ko) 2019-09-23

Family

ID=6202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598A KR102023895B1 (ko) 2016-10-24 2016-10-24 인쇄용 블랭킷의 활성화 장치 및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99123B2 (ko)
EP (1) EP3530475B1 (ko)
JP (1) JP6727288B2 (ko)
KR (1) KR102023895B1 (ko)
CN (1) CN108290430B (ko)
WO (1) WO20180786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5599B2 (ja) 2020-02-19 2023-08-14 株式会社秀峰 印刷装置、及び印刷物の製造方法
WO2021166114A1 (ja) * 2020-02-19 2021-08-26 株式会社秀峰 印刷装置、及び印刷物の製造方法
CN113022183A (zh) * 2021-03-23 2021-06-25 天津科技大学 一种立体产品表面全彩凸版移印着色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4302A (ja) * 2001-03-07 2002-09-18 Ono Sokki Co Ltd クリーニングシート、スクリーン印刷版クリーニング装置とその使用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版クリーニング方法
JP2006264893A (ja) * 2005-03-24 2006-10-05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4200916A (ja) * 2013-04-01 2014-10-27 株式会社秀峰 版印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79669A (en) * 1943-11-05 1946-08-12 Stanley Charles Bat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cellulose
JPS6416657A (en) * 1987-07-10 1989-01-20 Baldwin Nippon Kk Pressure pad in cylinder cleaner for press
JPH0617658U (ja) * 1992-08-10 1994-03-08 紀代子 栗原 清掃用使い捨てスポンジ
DE4312420C2 (de) * 1993-04-16 2001-04-19 Heidelberger Druckmasch Ag Waschvorrichtung für Zylinder einer Druckmaschine
JP2872559B2 (ja) * 1993-08-04 1999-03-17 ニッカ株式会社 印刷機シリンダ等洗浄用の圧着パッドおよびその製造 方法
JPH08156388A (ja) * 1994-12-09 1996-06-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印刷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印刷装置
DE19515721C2 (de) * 1995-05-03 2000-02-03 Heidelberger Druckmasch Ag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Zylinderoberflächen in Rotationsdruckmaschinen
DE19619143B4 (de) * 1996-05-11 2005-03-17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Zylindermantelflächen in Rotationsdruckmaschinen
US6823789B2 (en) * 1997-03-07 2004-11-30 Baldwin-Japan Ltd. Cylinder cleaning device and cylinder cleaning fabric used therefor
IT1306450B1 (it) * 1998-11-03 2001-06-11 Tgc Srl Dispositivo per la pulizia della superficie esterna di cilindrirotanti e simili
JP2000158633A (ja) * 1998-11-25 2000-06-13 Canon Inc 溶媒吸収機構ならびにオフセット印刷装置および方法
JP2000326481A (ja) * 1999-05-25 2000-11-28 Komori Corp 凹版印刷機のワイピング装置
US6835184B1 (en) * 1999-09-24 2004-12-2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abrading skin
US6679601B1 (en) * 2000-05-30 2004-01-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ual-web transport bel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2001235A (ja) * 2000-06-22 2002-01-08 Komori Corp 洗浄装置および洗浄装置における洗浄体巻込判断方法
US6626106B2 (en) * 2001-04-17 2003-09-30 Speedline Technologies, Inc. Cleaning apparatus in a stencil printer
JP4993658B2 (ja) * 2005-12-13 2012-08-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印刷方法
US7677653B2 (en) * 2008-01-30 2010-03-16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Headliner retainer clip
JP2009189418A (ja) * 2008-02-12 2009-08-27 Tomoegawa Paper Co Ltd 積層衛生マット
JP5454898B2 (ja) * 2010-01-20 2014-03-2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パッド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パッド印刷装置
EP2511096B1 (de) * 2011-04-14 2014-01-01 Nordenia Hungary Kft. Verfahren zum Einrichten einer Druckanlage zum Bedrucken von Folien und Reinigungs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5890644B2 (ja) 2011-09-30 2016-03-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用収容袋、清掃体パッケージ
JP2014004308A (ja) 2012-06-25 2014-01-16 Pd System:Kk 履物底裏面の洗浄マット
JP2014226859A (ja) * 2013-05-23 2014-12-08 株式会社秀峰 印刷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4302A (ja) * 2001-03-07 2002-09-18 Ono Sokki Co Ltd クリーニングシート、スクリーン印刷版クリーニング装置とその使用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版クリーニング方法
JP2006264893A (ja) * 2005-03-24 2006-10-05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4200916A (ja) * 2013-04-01 2014-10-27 株式会社秀峰 版印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27288B2 (ja) 2020-07-22
CN108290430B (zh) 2020-03-20
EP3530475B1 (en) 2021-08-25
EP3530475A1 (en) 2019-08-28
US10899123B2 (en) 2021-01-26
WO2018078694A1 (ja) 2018-05-03
EP3530475A4 (en) 2020-05-27
US20200039207A1 (en) 2020-02-06
KR20180065973A (ko) 2018-06-18
JPWO2018078694A1 (ja) 2019-09-05
CN108290430A (zh)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895B1 (ko) 인쇄용 블랭킷의 활성화 장치 및 인쇄용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 방법
CN106946453B (zh) 玻璃夹纸、玻璃板层叠体及玻璃板包装体
JP2012171185A (ja) マット剤付与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4123386A (ja) 布地印刷システムおよび布地印刷方法
KR101900621B1 (ko) 평면형 기재를 인쇄하기 위한 기계에서 표면 도포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표면 도포 유닛
JP2002219849A (ja) 孔版印刷装置
JP6117595B2 (ja) 版印刷方法
JP2021523043A (ja) 段ボールプラント
JP4915976B1 (ja) 洗浄布ロール
JP2002036501A (ja) 孔版印刷装置
JP2007237449A (ja) 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印刷方法
JP2007196562A (ja) メタルマスクの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クリームはんだ印刷機
KR102228643B1 (ko) 페이퍼 패드 제작장치와 이를 이용한 페이퍼 패드 제작방법
JPH0999549A (ja) 印刷機の元ローラ洗浄装置
JP4983048B2 (ja) 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印刷方法
JP2007326058A (ja) 塗工装置
JP2619748B2 (ja) 段ボール用フレキソ印刷機
JPH02204076A (ja) 感熱孔版印刷用製版機の清掃方法
JP5757141B2 (ja) 記録装置
JP2018103570A (ja) 製版ユニット
JP2005186595A (ja) 印刷機の印刷胴の表面処理装置及び表面処理方法
JPH0719758Y2 (ja) 型抜き加工用粘着シートへの水分付与装置
JP2010069704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洗浄方法
JPH01110990A (ja) 製版方法
JP2007237447A (ja) 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印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