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857B1 -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및 이에 함유된 유기 용매 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및 이에 함유된 유기 용매 회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857B1
KR102022857B1 KR1020190098560A KR20190098560A KR102022857B1 KR 102022857 B1 KR102022857 B1 KR 102022857B1 KR 1020190098560 A KR1020190098560 A KR 1020190098560A KR 20190098560 A KR20190098560 A KR 20190098560A KR 102022857 B1 KR102022857 B1 KR 102022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organic solvent
styrene
sa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성원
Original Assignee
재원산업 주식회사
(주)이엠테크
에이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원산업 주식회사, (주)이엠테크, 에이씨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재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8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8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11D11/00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32Other features of fractionating columns ; Constructional details of fractionating colum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3/16 - B01D3/3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08Processes of polymerisation cleaning reaction vessels using chem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08F212/10Styrene with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11D3/2058Dihydric alcohols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2Aldehydes-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11D3/2079Mono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93Esters;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C11D2111/20Industrial or commercial equipment, e.g. reactors, tubes or eng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및 이에 함유된 유기 용매 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틸 아세토아세테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벤즈알데히드를 포함하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및 이에 함유된 유기 용매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 및 이에 함유된 유기 용매 회수 방법은 SAN 수지에 대한 우수한 세정력을 제공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며, 사용 후에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에 함유된 유기용매를 회수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경제성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및 이에 함유된 유기 용매 회수 방법{COMPOSITION FOR REMOVING STYRENE-ACRYLONITRILE RESIN AND RECOVERING METHOD OF ORGANIC SOLVENT CONTAINED IN THE SAME}
본 발명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및 이에 함유된 유기 용매 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메틸 설폭사이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벤즈알데히드를 포함하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및 이에 함유된 유기 용매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tyrene-Acrylonitrile Resin, SAN) 수지는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의 두 종류의 모노머를 사용하여 공중합한 고분자 물질로서 다음 화학식 1과 같이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이 반복되는 화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82742951-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m, n은 양의 정수이다.
SAN 수지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과 같이 투명하며 우수한 열안정성을 가지고 있어서 폴리스티렌 대신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100℃ 이상의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를 가지고 있어서 끓는 물에도 안정하여 식품 용기, 물병, 부엌용 기구, 컴퓨터 용품, 포장용품, 전지 용기 및 플라스틱 광섬유 등의 소재로 널리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실생활에 흔히 사용되는 제품의 재질로 사용되는 SAN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을 모노머로써 공중합 반응을 수행할 경우 반응기나 반응기의 부대 설비에 소량씩 고착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반응기 가동을 중단하고 반응기 및 부대 설비를 세정하여 제거하여야 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과거 장기간 동안 세정제로서 다음 화학식 2와 같은 아마이드(Amide)계 유기용매인 DMF(Dimethylformamide)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DMF는 발암성 물질로서 인체에 유해하여 화학물질관리법에서 유독물질 및 취급제한물질로 규제되고 있어서 세정력이 우수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SAN 수지 제거용 세정제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9082742951-pat00002
또한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경제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DMF를 세정제로서 사용 후 SAN 수지를 포함하는 폐DMF 혼합물로부터 DMF를 회수할 경우 아마이드 계열인 DMF의 분해가 심각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SAN 수지 제거용 세정제를 사용한 후 이를 회수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44638 (2018.05.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정력이 우수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 및 이에 함유된 유기 용매 회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양상의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메틸 아세토아세테이트 20 내지 80 중량%,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15 내지 70 중량%, 및 벤즈알데히드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상의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메틸아세토아세테이트 20 내지 80 중량%,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15 내지 70 중량%, 및 벤즈알데히드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를 용해시켜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아민 계열 안정제 1 내지 2 중량%을 투입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아민 계열 안정제의 함량은 아민 계열 안정제가 투입된 이후의 전체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 및 110 내지 125℃의 온도 및 40 내지 80 mmHg의 압력 하의 증류탑을 통과시켜 증류탑 상부로부터 상기 혼합물에 함유된 유기 용매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로부터 유기 용매를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아민 계열 안정제가 TEA(Triethanolamine)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로부터 유기 용매를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상의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 의해 회수된 유기 용매의 혼합물에,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20 중량%를 추가하여 생성되며, 이 때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의 함량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가 투입된 이후의 전체 혼합물의 함량을 기준으로 하는, 재사용용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 및 이에 함유된 유기 용매 회수 방법은 SAN 수지에 대한 우수한 세정력을 제공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며, 사용 후에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에 함유된 유기용매를 회수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경제성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기존에 사용해 왔던 SAN 수지 제거용 세정제의 인체 유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시간 연구를 통하여 인체 유해성이 없으며 친환경적이면서 SAN 수지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한 유기 용제를 개발하였다.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은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은 메틸아세토아세테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벤즈알데히드를 포함할 수 있다.
메틸아세토아세테이트(Methyl Acetoacetate)는 아래 화학식 3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비점은 172℃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19082742951-pat00003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는 아래 화학식 4로 표현될 수 있으며, 비점은 242℃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19082742951-pat00004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는 아래 화학식 5로 표현될 수 있으며, 비점은 178℃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19082742951-pat00005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은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메틸아세토아세테이트 20~80 중량%,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15~70 중량%, 벤즈알데히드 5~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의 SAN 수지에 대한 용해 성능 실험은 주로 100℃에서 실시하였다.
상기 메틸아세토아세테이트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20~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20, 30, 40, 50, 60, 70, 75, 또는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5~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5, 20, 30, 40, 65, 또는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벤즈알데히드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5~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5, 10, 또는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은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에 함유된 유기 용매의 회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에 함유된 유기 용매의 회수 방법은 SAN 수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르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과 이에 용해된 SAN 수지가 혼합된 혼합물에 아민 계열 안정제 1~2 중량%을 투입하고, 이후 증류탑을 사용하여 110~125℃의 온도에서 40~80 mmHg의 압력 하에서 증류 방법에 의하여 증류탑 상부로부터 상기 사용 후의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에 함유된 유기 용매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에 함유된 유기 용매의 회수 방법은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메틸아세토아세테이트 20~80 중량%,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15~70 중량%, 벤즈알데히드 5~30 중량%를 포함하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SAN 수지를 용해시킨 후, 사용된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과 이에 용해된 SAN 수지의 혼합물에, 예컨대 TEA(Triethanolamine, 비점 325℃)와 같은 고비점 아민(Amine) 계열 안정제 1~2 중량%를 투입 사용하여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아민(Amine) 계열 안정제의 함량은 아민(Amine) 계열 안정제가 투입된 이후의 전체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이후, 아민 계열 안정제가 투입된 상기 혼합물을 110~125℃의 온도 및 40~80 mmHg의 압력 하의 증류탑을 통과시켜 증류탑 상부로부터 상기 혼합물에 함유된 유기 용매를 회수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SAN 수지에 대한 용해 성능 평가
[ 실시예 1] 내지 [ 실시예 8]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의 SAN 수지에 대한 용해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래 표 1에 따르는 조성을 갖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먼저, 밀폐 가능한 100 mL 용기에 교반기를 이용하여 100~150 rpm의 교반 속도로 교반하며 MAA(메틸아세토아세테이트)를 상기 용기에 투입한 후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벤즈알데히드의 순서로 투입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약 30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 40 g을 취하여 밀폐 가능한 100 mL 용기에 투입한 후 SAN 수지 펠렛(Pellet) 시료 1.0 g을 투입하였다.
이후, 용기를 밀폐한 후 오븐(Oven)에 넣고 오븐 내부 온도를 100℃로 유지하면서 10분 간격으로 시료가 용해되는 정도를 관찰하면서 완전 용해되는 시간을 특정하였다.
[ 비교예 1]
본 발명의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 대신 기존 세정세로 사용 중인 DMF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비교예 1, 실시예 1 내지 8에 의해 SAN 수지에 대한 용해 성능을 평가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성분명, 중량% 용해 시간 결과
DMF 메틸 아세토아세테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벤즈알데히드
비교예 1 100 0 0 0 150분 기존 사용 성분
완전 용해됨
실시예 1 0 50 40 10 150분 완전 용해됨
실시예 2 0 60 30 10 150분 완전 용해됨
실시예 3 0 70 20 10 140분 완전 용해됨
실시예 4 0 75 20 5 150분 완전 용해됨
실시예 5 0 80 15 5 150분 완전 용해됨
실시예 6 0 30 65 5 150분 완전 용해됨
실시예 7 0 20 70 5 150분 완전 용해됨
실시예 8 0 40 30 30 150분 완전 용해됨
상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 ~ 실시예 8에 따르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의 SAN 수지에 대한 용해 성능은 기존 세정세로 사용 중인 DMF의 SAN 수지에 대한 용해 성능과 동일하거나 용해 시간이 더 단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온도에 따른 용해 성능 평가
[ 실시예 9] 내지 [ 실시예 11]
본 발명에 따른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의 SAN 수지에 대한 온도별 용해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SAN 수지 시료 10 g과,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메틸아세토아세테이트 75 중량%,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20 중량%, 및 벤즈알데히드 5 중량%를 포함하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 90 g을 250 mL 크기의 용기에 투입한 후 각각 100℃, 120℃ 및 140℃의 온도를 유지하며 교반기를 이용하여 100~15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0분 간격으로 용해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실시예 용해
온도
용해시간
10분 후
용해 정도
용해시간
20분 후
용해 정도
용해시간
30분 후
용해 정도
용해시간
40분 후
용해 정도
용해시간
60분 후
용해 정도
실시예 9 100℃ 20 중량%
용해
50 중량%
용해
70 중량%
용해
80 중량%
용해
100 중량%
용해
실시예 10 120℃ 30 중량%
용해
60 중량%
용해
80 중량%
용해
100 중량%
용해
-
실시예 11 140℃ 40 중량%
용해
80 중량%
용해
100 중량%
용해
- -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동일한 시간 동안에는 용해 온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양이 용해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40분 후, 120℃에서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이 모두 용해되고, 60분 후 100℃에서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이 모두 용해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정 용해시간까지는 온도가 상승할수록 용해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3. 유기용매 성분 회수율 평가
[ 실시예 12] 및 [ 실시예 13]
SAN 수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을 사용한 후의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로부터 이에 포함된 유기 용매 성분들을 회수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예 12 및 실시예 13에서 수행하였다.
먼저, 메틸아세토아세테이트 75 중량%,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20 중량%, 및 벤즈알데히드 5 중량%를 포함하는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과 SAN 수지의 혼합물 300 g을 준비하였다. 이때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과 SAN 수지 각각의 조성은 이들 혼합물을 100 중량%로 하여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 98 중량%, 그리고 SAN 수지 2 중량%이었다.
다음으로, 하기 표 3과 같이, 상기 혼합물과 TEA 1 중량%(실시예 12) 또는 2 중량%(실시예 13)를 500 mL 둥근 바닥 플라에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균일한 혼합물을 얻었다.
이후, 30cm 길이의 증류 칼럼 4개를 직렬로 연결한 증류탑을 사용하여 40~60mmHg의 압력하에서 증류하여 증류탑 상부로 배출되는 기체를 응축기(Condenser)를 통과시켜 응축하여 유기용매 혼합물을 얻었다. 이때 TEA의 함량은 TEA가 투입된 이후의 전체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 비교예 2] 내지 [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실시하되 TEA를 투입하지 않았으며, 압력 및 온도는 하기 표 3과 같이 설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2, 실시예 13,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4에 따라 얻은 유기용매 성분의 회수율, 증류탑 하부 혼합물의 점도 및 상태는 하기 표 3과 같다. 이때, 증류탑 상부로부터 얻는 유기 용매 혼합물 각각에 대하여 증류탑 하부에 남는 혼합물의 점도, 상태 등을 관찰하여 적정 회수율을 평가하였다.
구분 TEA 투입량, 중량% 증류탑 압력,
mmHg
증류탑 상부 온도, ℃ 회수율 증류탑 하부 혼합물의 점도, cps 증류탑 하부 혼합물의 상태
비교예 2 0 80 125 75 중량% 70 실온에서 묽은 점성액
비교예 3 0 60 120 80 중량% 150 실온에서 점성액, 악취 있음
비교예 4 0 40 115 85 중량% 400 실온에서 고점성액으로 유동성 거의 없음, 악취 있음
실시예 12 1 60 120 80 중량% 150 실온에서 점성액, 악취 없음
실시예 13 2 60 120 80 중량% 150 실온에서 점성액, 악취 없음
증류탑 하부로부터 얻어지는 혼합물은 SAN 수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점도가 높으며 비점이 상대적으로 높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비점 242℃)를 주로 포함하고 있다. 증류탑을 이용하여 유기용매를 연속식으로 회수하는 공정에서 증류탑 하부로 얻어지는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점도가 너무 높아서 유동성이 낮으면 배출에 문제가 있다.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비교예 2는 회수율이 75 중량%로 상당히 낮았으며, 비교예 3의 경우 증류탑 하부 혼합물의 악취 발생 문제가 지속되었으며, 비교예 4에서는 증류탑 하부 혼합물이 실온에서 고점성액으로 유동성이 거의 없어 플라스크 기벽에 고분자 물질이 고착되는 문제가 있고 악취 발생 문제가 지속되었다.
반면, 실시예 12 및 13에서는 실온에서 점성액이나 회수 작업이 가능한 수준이었으며 악취 발생 문제가 해소되었다.
4. 재사용 가능성 평가
[ 실시예 14] 내지 [ 실시예 16]
SAN 수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된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로부터 이에 함유된 유기 용매를 회수하여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로 재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4 ~ 16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2 및/또는 실시예 13에서, 사용 후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로부터 회수된 유기 용매 혼합물은 주로 상대적으로 비점이 낮은 메틸 아세토아세테이트(비점 172℃)와 벤즈알데히드(비점 178℃)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회수된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에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20 중량%를 추가하여 SAN 수지에 대한 용해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평가는 상기 표 2의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 비교예 5]
실시예 9~11에서 사용된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SAN 수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하기 이전의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 신품 세정제)을 사용한 SAN 수지에 대한 용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4~16, 비교예 5에 따른 SAN 수지에 대한 용해 성능 평가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실시예 시료 용해 온도 용해 시간 10분 후
용해 정도
용해 시간 20분 후
용해 정도
용해 시간 30분 후
용해 정도
용해 시간 40분 후
용해 정도
용해 시간 60분 후
용해 정도
비교예 5 신품 세정제 100℃ 20 중량% 용해 50 중량% 용해 70 중량% 용해 80 중량% 용해 100 중량% 용해
실시예 14 회수용매 사용 세정제 100℃ 20 중량% 용해 50 중량% 용해 70 중량% 용해 80 중량% 용해 100 중량% 용해
실시예 15 회수용매 사용 세정제 120℃ 30 중량% 용해 60 중량% 용해 80 중량% 용해 100 중량% 용해 -
실시예 16 회수용매 사용 세정제 140℃ 40 중량% 용해 80 중량% 용해 100 중량% 용해 - -
상기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2 및/또는 실시예 13에서 사용 후의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로부터 회수한 유기 용매 혼합물에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20 중량%를 추가하여 제조한 이른바 재사용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회수용매 사용 세정제)과, 메틸 아세토아세테이트 75 중량%,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20 중량%, 벤즈알데히드 5 중량%를 포함하는 신품의 SAN 수지 제거용 조성물(신품 세정제) 각각에, SAN 수지 2 중량%를 각각 온도별로 용해력을 평가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신품 세정제를 사용한 경우(비교예 5) 대비 동일 온도에서는 동일한 용해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온도를 높일수록 용해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의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메틸아세토아세테이트 20 내지 80 중량%,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15 내지 70 중량%, 및 벤즈알데히드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2.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메틸 아세토아세테이트 20 내지 80 중량%,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15 내지 70 중량%, 및 벤즈알데히드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를 용해시켜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아민 계열 안정제 1 내지 2 중량%을 투입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아민 계열 안정제의 함량은 아민 계열 안정제가 투입된 이후의 전체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 및
    110 내지 125℃의 온도 및 40 내지 80 mmHg의 압력 하의 증류탑을 통과시켜 증류탑 상부로부터 상기 혼합물에 함유된 유기 용매를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로부터 유기 용매를 회수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계열 안정제는 TEA(Triethanolamine)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로부터 유기 용매를 회수하는 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의 방법에 의해 회수된 유기 용매의 혼합물에,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20 중량%를 추가하여 생성되며, 이때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의 함량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가 투입된 이후의 전체 혼합물의 함량을 기준으로 하는, 재사용용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KR1020190098560A 2019-08-13 2019-08-13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및 이에 함유된 유기 용매 회수 방법 KR102022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60A KR102022857B1 (ko) 2019-08-13 2019-08-13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및 이에 함유된 유기 용매 회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60A KR102022857B1 (ko) 2019-08-13 2019-08-13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및 이에 함유된 유기 용매 회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857B1 true KR102022857B1 (ko) 2019-09-19

Family

ID=6806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560A KR102022857B1 (ko) 2019-08-13 2019-08-13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및 이에 함유된 유기 용매 회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8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3492A (ja) * 1993-10-07 1995-07-11 Kentosu:Kk 有機系付着物の除去性能を有する組成物
JPH09194888A (ja) * 1995-11-14 1997-07-29 Nitto Chem Ind Co Ltd インキおよびペースト用洗浄剤
JP3352681B2 (ja) * 1989-11-06 2002-12-03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ブロー成形法及び組成物
KR20030044517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덕성 감광성수지 세정용 시너
KR20120004481A (ko) * 2009-03-26 2012-01-12 버블스 앤 비욘드 게엠베하 물품의 세정방법 및 조성물
KR20180044638A (ko) 2016-10-24 2018-05-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아크릴계 수지 제거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2681B2 (ja) * 1989-11-06 2002-12-03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ブロー成形法及び組成物
JPH07173492A (ja) * 1993-10-07 1995-07-11 Kentosu:Kk 有機系付着物の除去性能を有する組成物
JPH09194888A (ja) * 1995-11-14 1997-07-29 Nitto Chem Ind Co Ltd インキおよびペースト用洗浄剤
KR20030044517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덕성 감광성수지 세정용 시너
KR20120004481A (ko) * 2009-03-26 2012-01-12 버블스 앤 비욘드 게엠베하 물품의 세정방법 및 조성물
KR20180044638A (ko) 2016-10-24 2018-05-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아크릴계 수지 제거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7862A (en) Clea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leaning resin and polymeric materials used in manufacture
US5883177A (en) Amorphous perfluoropolymers
CN101479233B (zh) 可辐射固化的氨基(甲基)丙烯酸酯
EP0739930B1 (en) Solvent for reducing volume and for recycling of polystyrene foam
EP2697353B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multi-purpose refluxing cleaner
CN105899547A (zh) 包含聚(3,4-亚乙基二氧噻吩)和具有有限酸性的阴离子稳定剂的稳定成分
KR102022857B1 (ko)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및 이에 함유된 유기 용매 회수 방법
CN105482100B (zh) 一种耐光耐热聚酰胺及其制备方法
JP5161466B2 (ja) ポリ乳酸からラクチドを製造する方法
US5782989A (en) Solvent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polymer scale from vinyl polymer polymerization reactors
KR102033359B1 (ko)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제거용 조성물 및 이에 함유된 유기 용매 회수 방법
CN107973885B (zh) 韧性阻燃剂及其制备方法
CN103709286A (zh) 一种采用无毒引发剂制备聚氯乙烯糊树脂的方法
CN1152084C (zh) 含有阻燃剂的热塑性树脂组合物的处理方法
JP2009029757A (ja) ポリ乳酸の解重合方法
CA2596012A1 (en) Antifoulant dispers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CN109504560A (zh) 一种安全高效除蜡碳氢清洗剂及其制备方法
Kang et al. Solution behavior of two novel anionic polyacrylamide copolymers hydrophobically modified with n‐benzyl‐n‐octylacrylamide
CN107653088A (zh) 一种高效环保安全多功能粘泥剥离剂的制备方法
CN106583410A (zh) 一种水帘台里废油漆渣回收再生的制备方法
JP2007521345A (ja) 固体廃棄物のポリスチレン梱包材をリサイクルする方法
EP0949293A2 (en) A method for processing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flame retardants
JPS6153398A (ja) アクリロニトリル重合物スケ−ルの洗浄剤
CN108220989A (zh) 一种金属脱脂剂的制备方法
US20030104960A1 (en) Liquid cleaning composition for polymer reactor sca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