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588B1 -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588B1
KR102021588B1 KR1020180011509A KR20180011509A KR102021588B1 KR 102021588 B1 KR102021588 B1 KR 102021588B1 KR 1020180011509 A KR1020180011509 A KR 1020180011509A KR 20180011509 A KR20180011509 A KR 20180011509A KR 102021588 B1 KR102021588 B1 KR 102021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resin
resin composition
bis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110A (ko
Inventor
이정현
이재영
김병수
권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80011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588B1/ko
Priority to EP18904388.8A priority patent/EP3747949A4/en
Priority to CN201880087802.7A priority patent/CN111655789B/zh
Priority to PCT/KR2018/015959 priority patent/WO2019151641A1/ko
Publication of KR20190092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C08G18/24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organometallic compounds containing tin-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93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806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 C08G18/7818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 C08G18/7831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containing biuret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수지, 점착 수지, 및 제1 가소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POLYURETHAN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접착제로서 사용되는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수지는 분자 중에 우레탄 결합을 갖는 것으로, 내마모성, 내유성, 내용제성 등이 우수하여 접착제, 사출물 성형, 잉크, 도료, 발포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수지가 접착제로 사용되는 경우로는 자동차 차체의 도장면에 유리 등의 기재를 접합시키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폴리우레탄 수지는 자동차 차체의 도장면과의 접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도장면 상에 프라이머를 먼저 도포하고, 그 위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한 후(또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하고 다시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유리 등의 기재를 접착시켜야 했다. 이와 같이 프라이머 도포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종래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할 경우, 자동차 차체의 도장면 상에 유리 등의 기재를 접착시키는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폴리우레탄 수지는 가사시간이 짧아 작업성이 떨어지며, 저온에서의 접착성도 떨어져 폴리우레탄 수지의 사용환경에 제약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19798호
본 발명은 넓은 온도 범위에서 접착성이 우수하며 충분한 가사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우레탄 수지, 아미노알콕시 실란계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가 결합된 뷰렛체를 반응시켜 얻어진 점착 수지, 및 제1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에서 상기 아미노알콕시 실란계 화합물의 사용량이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8 중량부인 것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넓은 온도 범위(예를 들어, 5 내지 35 ℃)에서 접착성이 우수하며, 충분한 가사시간이 확보되어 작업성도 우수하다. 특히,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자동차 차체의 도장면에 유리 등의 기재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실란트)로 사용할 경우, 자동차 차체의 도장면, 및/또는 유리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지 않아도 우수한 접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특정 점착 수지를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접착성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수지, 점착 수지, 및 제1 가소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우레탄 수지는 폴리올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prepolymer)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트리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 내지 10,00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000 내지 5,0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2,4-TDI),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2,6-TDI), 4,4'-디페닐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4,4'-MDI), 2,4'-디페닐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2,4'-MDI),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과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에는 제3 가소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3 가소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우레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점도, 유연성 등을 고려할 때, 2,500 내지 15,000일 수 있다.
또한 우레탄 수지의 함량은 25 내지 7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유연성, 내열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착 수지는 아미노알콕시 실란계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가 결합된 뷰렛체를 반응시켜 얻어진 실란계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알콕시 실란계 화합물은 비스(트리알콕시실릴프로필)아민(Bis(trialkoxysilylpropyl)ami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Phen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페닐-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N-phenyl-gamma-aminopropyltrimethoxysilane), 및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스(트리알콕시실릴프로필)아민(Bis(trialkoxysilylpropyl)amine)은 구체적으로 비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아민, 및 비스(트리프로폭시실릴프로필)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아미노알콕시 실란계 화합물을 상기 뷰렛체와 반응시킴에 있어 그 사용량을 비교적 높게 하여 점착 수지를 제조하고, 제조된 점착 수지를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도입함에 따라 접착성(특히, 저온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미노알콕시 실란계 화합물의 사용량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8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뷰렛체에 결합된 이소시아네이트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사이클로펜틸렌-1,3-디이소시아네이트(cyclopentylene-1,3-diisocyanate), 사이클로헥실렌-1,2-디이소시아네이트(cyclohexylene-1,2-diisocyanate), 헥사하이드로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hydroxylylene diisocyanate), 디사이클로헥실-4,4-디이소시아네이트(dicyclohexyl-4,4-diisocyanate), 1-메틸-2,4-디이소시아나토사이클로헥산(1-methyl-2,4-diisocyanatocyclohexane), 1-메틸-2,6-디이소시아나토사이클로헥산(l-methyl-2,6-diisocyanatocyclohexane), 비스(4-이소시아나토사이클로헥실)메탄(bis(4-isocyanatocyclohexyl)methane), 1,4-디이소시아나토사이클로헥산(1,4-diisocyanatocyclohexane), 및 1,3-디이소시아나토사이클로헥산(1,3-diisocyanatocyclohe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뷰렛체는 1,3,5-트리스(6-이소시아나토헥실)뷰렛(1,3,5-Tris(6-isocyanatohexyl)biuret)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미노알콕시 실란계 화합물과 상기 뷰렛체의 반응비율은 점착 수지의 물성을 고려할 때, 1:0.65 내지 1.06의 중량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아미노알콕시 실란계 화합물과 상기 뷰렛체를 반응시켜 점착 수지를 얻는 과정에는 제2 가소제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소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점착 수지의 함량은 9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점착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접착성, 가교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제1 가소제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유연성, 탄성 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및 포스페이트계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Di-2-ethylhexyl phthalate),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yl phthalate),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Di-isodecyl phthalate), 및 부틸벤질 프탈레이트(Butylbenzyl phtha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포스페이트계 가소제는 2-에틸헥실디페닐 포스페이트(2-ethylhexyl diphenyl phosphate),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Tri-cresyl phosphate), 및 크레실디페닐 포스페이트(Cresyldiphenyl 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유연성, 가소성과 더불어 열안정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제1 가소제로는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와 2-에틸헥실디페닐 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소제의 함량은 3 내지 1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제1 가소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유연성, 가소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도막의 물성을 높이기 위해 안료, 촉매, 및 점착 증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더 포함되는 안료는 도막의 강도를 높이고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예로는 카본블랙, 탄산칼슘, 이산화티탄(TiO2), 산화철황(Iron oxide yellow), 산화철적(Iron oxide red)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안료의 함량은 20 내지 3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도막의 강도가 저하되거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점도 제어 및 요구되는 색상을 도막에 부여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더 포함되는 촉매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반응성을 조절한다. 이러한 촉매는 디메틸틴 디올리에이트, 디부틸틴 디말레에이트,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디부틸틴 디아세테이트, 디부틸틴 옥타노에이트, 디부틸틴 메르캅티드, 디옥틸틴 디라우레이트, 디옥틸틴 메르캅티드, 디옥틸틴 디말레에이트, 4,4'-(옥시디-2,1-에탄다일)비스모르폴린, 및 디메틸-4-모르폴린 에탄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경화 반응성을 최적화하여 가사시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촉매로는 디부틸틴 메르캅티드와 4,4'-(옥시디-2,1-에탄다일)비스모르폴린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촉매의 함량은 0.001 내지 0.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촉매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경화 반응성이 저하되거나 가사시간이 짧아져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더 포함되는 점착 증진제는 도막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예로는 1,3,5-트리스(6-이소시아나토헥실)뷰렛(1,3,5-tris(6-isocyanatohexyl)biuret)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접착 증진제의 함량은 0.1 내지 1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접착 증진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도막의 물성이 저하되거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증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아미노알콕시 실란계 화합물의 사용량을 비교적 높게 사용하여 뷰렛체와 반응시켜 얻어진 점착 수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경도, 강도 등과 더불어 접착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접착성이 우수함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자동차 자체의 도장면에 유리 등의 기재를 접착하는 접착제(실란트)로 사용할 경우, 도장면 및/또는 유리면에 프라이머의 도포없이 기재를 직접 접착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1) 우레탄 수지 제조
교반기, 콘덴서, 온도계가 장착되고 진공펌프의 호스가 연결된 유리 플라스크에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폴리프로필렌 트리올(polypropylene triol) 을 투입하고, 140 ℃로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2 시간 동안 진공 감압을 실시하였다. 다음, 60 ℃ 이하로 냉각한 후,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을 투입하여 발열을 확인한 후, 80 내지 90 ℃의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NCO%가 1.70 내지 1.75%가 되도록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40 ℃로 냉각하여 점도가 8,400 cPs이고 NCO%가 1.72%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9,000인 우레탄 수지를 얻었다.
2) 점착 수지 제조
교반기, 콘덴서, 온도계가 장착되고 진공펌프의 호스가 연결된 유리 플라스크에 1,3,5-트리스(6-이소시아나토헥실)뷰렛(1,3,5-tris(6-isocyanatohexyl)biuret)과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을 투입한 후 10 분 동안 교반시켰다. 다음, 비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Bis(trimethoxysilylpropyl)amine)을 균일하게 60 분 동안 적하하였다. 이후 50 ℃가 넘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매시간 마다 NCO%를 측정하여 측정된 NCO%가 3.0 내지 3.5% 만족 시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종료 후 40 ℃로 냉각하여 점도가 4,000 cPs이고, NCO%가 3.1%인 점착 수지를 얻었다.
3)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제조
SUS 재질의 진공펌프가 연결되어 있고, HEATING 가능한 자켓을 가지며, 고점도 회전 교반 및 기벽 Scrubbing이 가능한 Mixer 장치에 상기에서 제조된 우레탄 수지와 가소제로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를 투입하고 60 ℃로 승온시키면서 교반을 실시하였다. 다음, 안료로 카본블랙을 투입하고 20 분 동안 교반시킨 후, 20 Torr 미만의 진공으로 10 분 동안 감압을 실시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 촉매로 4,4'-(옥시디-2,1-에탄다일)비스모르폴린(4,4'-(oxiydi-2,1-ethanediyl)bismorpholin)과 디부틸틴 메르캅티드(dibutyl tin mercaptide),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 수지, 점착 증진제로 1,3,5-트리스(6-이소시아나토헥실)뷰렛(1,3,5-tris(6-isocyanatohexyl)biuret), 가소제로 2-에틸헥실 디페닐 포스페이트(2-ethylhexyl diphenyl phosphate)를 각각 투입하고 30 분 동안 교반하여 점도가 16,600 cPs이고, NCO%가 1.37%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이때, 각 성분의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 실시예 2 내지 5]
하기 표 1의 조성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내지 5]
하기 표 2의 조성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우레탄 수지 PolyPropylene Glycol
(점도: 150-175 cPs, Mw: 2,000)
114 114 114 114 114
Diiso nonyl phthalate
(비중: 0.971-0.981, 산가: Max.: 0.1%)
122 122 122 122 122
PolyPropylene Triol
(점도: 850 cPs, Mw: 4,800, 비중: 1.02)
221 221 221 221 221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w: 250, NCO%: 33.6%, 비중: 1.23)
50 50 50 50 50
제1 가소제 Diiso nonyl phthalate
(비중: 0.971-0.981, 산가: Max.: 0.1%)
54 93 73 73 73
2-ethylhexyl diphenyl phosphate
(Mw: 362, 비중: 1.09)
5.6 5.6 5.6 5.6 5.6
안료 카본블랙
(흡유량: 77-95%, 착색력: 97-110)
309 270 290 290 290
촉매 4,4'-(oxiydi-2,1-ethanediyl)bismorpholine)
(아민당량: 8.1-8.5, 비중: 1.06)
1.3 1.3 1.3 1.3 1.3
Dibutyl tin mercaptide
(Mw: 635)
0.1 0.1 0.1 0.1 0.1
점착 수지 1,3,5-Tris(6-isocyanatohexyl)biuret
(NCO%: 23.5%, 점도: 2,000 cPs, Mw: 478)
45 45 45 45 -
Aliphatic polyisocyanate(HDI trimer, Bayer N3300)
(NCO%: 21.8%, 점도: 3,000 mPa.s, Mw: 579)
- - - - 45
Bis(trimethoxysilylpropyl)amine
(외관: Clear liquid, 비점: 152 ℃, 비중: 1.04)
58 58 58 - 58
N-2-(Aminoethyl)-3-aminopropylmethoxysilane
(외관: Clear liquid, 비점: 152 ℃, 비중: 1.03)
- - - 58 -
Diiso nonyl phthalate)
(비중: 0.971-0.981, 산가: Max.: 0.1%)
15 15 15 15 15
점착 증진제 1,3,5-Tris(6-isocyanatohexyl)biuret
(NCO%: 23.5%, 점도: 2,000 cPs, Mw: 478)
5 5 5 5 5
Total(단위: g) 1,000 1,000 1,000 1,000 1,000
성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 5
우레탄 수지 PolyPropylene Glycol
(점도: 150-175 cPs, Mw: 2,000)
132 127 123 118 113
Diiso nonyl phthalate
(비중: 0.971-0.981, 산가: Max.: 0.1%)
141 136 131 126 120
PolyPropylene Triol
(점도: 850 cPs, Mw: 4,800, 비중: 1.02)
255 246 238 229 219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w: 250, NCO%: 33.6%, 비중: 1.23)
58 56 54 52 50
제1 가소제 Diiso nonyl phthalate
(비중: 0.971-0.981, 산가: Max.: 0.1%)
54 54 54 54 54
2-ethylhexyl diphenyl phosphate
(Mw: 362, 비중: 1.09)
5.6 5.6 5.6 5.6 5.6
안료 카본블랙
(흡유량: 77-95%, 착색력: 97-110)
309 309 309 309 309
촉매 4,4'-(oxiydi-2,1-ethanediyl)bismorpholine)
(아민당량: 8.1-8.5, 비중: 1.06)
1.3 1.3 1.3 1.3 1.3
Dibutyl tin mercaptide
(Mw: 635)
0.1 0.1 0.1 0.1 0.1
점착 수지 1,3,5-Tris(6-isocyanatohexyl)biuret
(NCO%: 23.5%, 점도: 2,000 cPs, Mw: 478)
15 23 30 38 30
Bis(trimethoxysilylpropyl)amine
(외관: Clear liquid, 비점: 152 ℃, 비중: 1.04)
19 29 39 49 85
Diiso nonyl phthalate)
(비중: 0.971-0.981, 산가: Max.: 0.1%)
5 8 10 13 8
점착 증진제 1,3,5-Tris(6-isocyanatohexyl)biuret
(NCO%: 23.5%, 점도: 2,000 cPs, Mw: 478)
5 5 5 5 5
Total(단위: g) 1,000 1,000 1,000 1,000 1,000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대한 물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각각 나타내었다.
1. 점도: 60 ℃에서 Brookfield viscometer(모델명: DV2T, 고점도 측정용)로 측정하였다.
2. 비중: 100 cc 비중컵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고형분: 직경이 5 ㎝인 알루미늄캔에 1g의 조성물을 고루 펴서 무게를 측정하고, Fan oven에서 150 ℃ × 15 분의 조건으로 baking한 뒤, baking 전과 baking 후의 무게 차이를 비율로 기록하였다.
4. 경도: 조성물을 5 mm 두께로 1주일 동안 경화시킨 후, Shore A 경도계로 측정하였다.
5. TFT: 조성물을 20 ℃ × 65 % 상대습도의 조건에서 도장면에 도포한 뒤, 비점착 테이프로 묻어나지 않는 시간을 분 단위로 측정하였다.
6. 저온접착성: 조성물을 5 mm 두께의 경화된 시편으로 만들고 5 ℃ × 50 % 상대습도의 조건에서 14일 동안 양생한 후칼로 잘라내면서 도장면과의 접착성을 확인하여 도장면에 붙어있는 도막의 면?을 %로 표시하였다.
7. Knirf Cut: 조성물을 도장면에 도포하고 20 ℃ × 65 % 상대습도의 조건에서 7일 동안 양생한 후 칼로 잘라내면서 도장면과의 접착성 확인하여 도장면에 붙어있는 도막의 면적을 %로 표시하였다.
8. 전단강도: 조성물을 5 mm 두께의 도그본 모양의 경화된 시편을 만들어 UTM(Universial Testing Machine)으로 측정하였다.
9. 가사시간: 35 ℃ × 90 % 상대습도의 조건에서 4분, 5분, 6분 간격으로 조성물을 방치한 후 시편을 제작하여 피착면과 계면박리가 일어나지 않는 최단 및 최장시간을 측정하고, 최장시간일 때 피착면에 붙어있는 도막의 면적을 %로 표시하였다.
물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점도(cPs) 60℃ 16,600 13,500 14,800 14,200 14,500
비중 20℃ 1.21 1.21 1.22 1.21 1.22
고형분(%) 150℃ * 15분 99% 99% 99% 99% 99%
경도(Hs) Shore A 50 49 48 49 52
TFT(분) 20℃ * 65%, 3hr 40 40 43 45 45
저온접착성 5℃ * 50%, 14일 100% 90% 95% 95% 95%
Knirf Cut 20℃ 100% 95% 95% 95% 95%
전단강도(MPa) 20℃ * 65%, 168hr 4.0 3.8 3.8 3.7 3.5
5분 가사시간 20℃ * 65% 100% 80% 85% 85% 85%
35℃ * 90% 100% 90% 90% 85% 85%
물성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점도(cPs) 60℃ 17,200 16,100 17,200 17,800 16,800
비중 20℃ 1.21 1.21 1.23 1.21 1.21
고형분(%) 150℃ * 15분 99% 99% 99% 99% 99%
경도(Hs) Shore A 58 55 52 49 46
TFT(분) 20℃ * 65%, 3hr 48 43 41 38 52
저온접착성 5℃ * 50%, 14일 30% 40% 65% 50% 20%
Knirf Cut 20℃ 40% 40% 55% 77% 30%
전단강도(MPa) 20℃ * 65%, 168hr 4.3 3.9 4.0 3.8 2.8
5분 가사시간 20℃ * 65% 50% 55% 70% 70% 40%
35℃ * 90% 30% 5% 60% 70% 30%
상기 표 3 및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저온접착성이 우수하며 가사시간이 충분히 확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우레탄 수지,
    아미노알콕시 실란계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가 결합된 뷰렛체를 반응시켜 얻어진 점착 수지, 및
    제1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에서 상기 아미노알콕시 실란계 화합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8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알콕시 실란계 화합물이 비스(트리알콕시실릴프로필)아민(Bis(trialkoxysilylpropyl)ami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Phen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페닐-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N-phenyl-gamma-aminopropyltrimethoxysilane), 및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스(트리알콕시실릴프로필)아민은 비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아민, 및 비스(트리프로폭시실릴프로필)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뷰렛체에 결합된 이소시아네이트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사이클로펜틸렌-1,3-디이소시아네이트(cyclopentylene-1,3-diisocyanate), 사이클로헥실렌-1,2-디이소시아네이트(cyclohexylene-1,2-diisocyanate), 헥사하이드로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hydroxylylene diisocyanate), 디사이클로헥실-4,4-디이소시아네이트(dicyclohexyl-4,4-diisocyanate), 1-메틸-2,4-디이소시아나토사이클로헥산(1-methyl-2,4-diisocyanatocyclohexane), 1-메틸-2,6-디이소시아나토사이클로헥산(l-methyl-2,6-diisocyanatocyclohexane), 비스(4-이소시아나토사이클로헥실)메탄(bis(4-isocyanatocyclohexyl)methane), 1,4-디이소시아나토사이클로헥산(1,4-diisocyanatocyclohexane), 및 1,3-디이소시아나토사이클로헥산(1,3-diisocyanatocyclohe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뷰렛체가 1,3,5-트리스(6-이소시아나토헥실)뷰렛(1,3,5-Tris(6-isocyanatohexyl)biuret)인 것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에 제2 가소제가 첨가되어 상기 점착 수지가 얻어지는 것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안료, 촉매, 및 점착 증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촉매가 디메틸틴 디올리에이트, 디부틸틴 디말레에이트,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디부틸틴 디아세테이트, 디부틸틴 옥타노에이트, 디부틸틴 메르캅티드, 디옥틸틴 디라우레이트, 디옥틸틴 메르캅티드, 디옥틸틴 디말레에이트, 4,4'-(옥시디-2,1-에탄다일)비스모르폴린, 및 디메틸-4-모르폴린 에탄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 25 내지 70 중량부,
    상기 점착 수지 9 내지 20 중량부,
    상기 제1 가소제 3 내지 15 중량부,
    상기 안료 20 내지 35 중량부,
    상기 촉매 0.001 내지 0.5 중량부, 및
    상기 점착 증진제 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KR1020180011509A 2018-01-30 2018-01-30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KR102021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509A KR102021588B1 (ko) 2018-01-30 2018-01-30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EP18904388.8A EP3747949A4 (en) 2018-01-30 2018-12-14 COMPOSITION OF POLYURETHANE RESIN
CN201880087802.7A CN111655789B (zh) 2018-01-30 2018-12-14 聚氨基甲酸酯树脂组合物
PCT/KR2018/015959 WO2019151641A1 (ko) 2018-01-30 2018-12-14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509A KR102021588B1 (ko) 2018-01-30 2018-01-30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110A KR20190092110A (ko) 2019-08-07
KR102021588B1 true KR102021588B1 (ko) 2019-09-16

Family

ID=67479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509A KR102021588B1 (ko) 2018-01-30 2018-01-30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747949A4 (ko)
KR (1) KR102021588B1 (ko)
CN (1) CN111655789B (ko)
WO (1) WO2019151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937B1 (ko) * 2020-10-12 2022-09-20 주식회사 케이씨씨 폴리우레탄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097B1 (ko) * 1992-10-13 2001-03-15 스티븐 에스. 그레이스 폴리우레탄 밀봉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3423A1 (fr) * 2000-01-19 2001-07-26 Sunstar Giken Kabushiki Kaisha Preparation adhesive a l'urethane, sechant a l'humidite et en un seul emballage
KR20030057384A (ko) * 2001-12-27 2003-07-04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우레탄 조성물
US7718730B2 (en) * 2003-12-19 2010-05-18 Bayer Materialscience Llc Two-component silylated polyurethane adhesive, sealant, and coating compositions
US20070276114A1 (en) * 2006-05-23 2007-11-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urethane based resin composition
DE102007058483A1 (de) * 2007-12-04 2009-06-10 Henkel Ag & Co. Kgaa Härtbar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silylierte Polyurethane
CN103261254B (zh) * 2010-12-20 2015-02-11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在固化状态下具有改进的耐久性的含异氰酸酯官能组分的可固化组合物
JP2013095759A (ja) * 2011-10-27 2013-05-20 Yokohama Rubber Co Ltd:The 樹脂ガラス用ポリウレタン接着剤組成物
CN104650793B (zh) * 2015-03-10 2017-04-12 上海蒂姆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热性单组份湿固化聚氨酯密封胶及其制备方法
CA2992696A1 (en) * 2015-07-17 2017-01-26 The Yokohama Rubber Co., Ltd. Adhesive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CN106854450A (zh) * 2016-12-31 2017-06-16 山东诺威聚氨酯股份有限公司 碎石透水路面用无溶剂单组分聚氨酯粘合剂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097B1 (ko) * 1992-10-13 2001-03-15 스티븐 에스. 그레이스 폴리우레탄 밀봉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110A (ko) 2019-08-07
WO2019151641A1 (ko) 2019-08-08
EP3747949A1 (en) 2020-12-09
EP3747949A4 (en) 2021-03-31
CN111655789B (zh) 2022-03-08
CN111655789A (zh) 2020-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8878A (en) Synthetic resin compositions shelf-stable under exclusion of moisture
US10400144B2 (en) Latent two-part polyurethane adhesives
US20070055038A1 (en) Adducts containing isocyanate groups and composition adhering effectively to painted substrates
US6133395A (en) Polyurethane compositions
JP6874372B2 (ja) 1液湿気硬化型ウレタ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3747948B1 (en) Polyurethane resin composition
JP7333314B2 (ja) シラン化アクリルポリオールに基づくコーティングにプライマーレスで結合するイソシアネート官能性接着剤
JP4475090B2 (ja) 2液硬化型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US6756465B1 (en) Moisture curable compounds and compositions
US20030144412A1 (en) Polyurethane compositions
JP4053415B2 (ja) ポリウレタン組成物
MXPA04012584A (es) Adhesivo en solucion acuosa (water-borne) de dos componentes.
KR102021588B1 (ko)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EP2016109B1 (de) Feuchtigkeitshärtende kleb- und dichtstoffe
KR102051296B1 (ko)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KR102051295B1 (ko)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EP3892683A1 (en) Polyurethane resin composition
US20040143055A1 (en) Moisture-curing one-pack urethane adhesive compositions
KR102444937B1 (ko) 폴리우레탄 조성물
JP2021507043A (ja) 湿気硬化型組成物
KR20220029114A (ko) 폴리우레탄 조성물
EP4253498A1 (en) Urethane-based adhesive composition
CN116323741A (zh) 单组分聚氨酯粘合剂
JPH10204402A (ja) 建材用一液湿気硬化型接着剤、及び該接着剤を用いた建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