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530B1 -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530B1
KR102021530B1 KR1020170153009A KR20170153009A KR102021530B1 KR 102021530 B1 KR102021530 B1 KR 102021530B1 KR 1020170153009 A KR1020170153009 A KR 1020170153009A KR 20170153009 A KR20170153009 A KR 20170153009A KR 102021530 B1 KR102021530 B1 KR 102021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uation mushroom
mushroom
extract
situa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025A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한국상황버섯(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한국상황버섯(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한국상황버섯(주)
Priority to KR1020170153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5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42Preservation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46Preservation of non-alcoholic beverages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0Gas
    • A23V2250/11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를 통째로 물에 넣고 강불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약불에서 2 내지 3시간 추가로 가열하여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후 수득된 상황버섯 배양액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상황버섯 식초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콩잎과 발효주정을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콩잎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상황버섯 열수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상황버섯 식초 5 내지 20중량부; 및 상기 콩잎 발효물 3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상황버섯 음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는 베타 글루칸 함량을 최대화하고, 상황버섯 재배 후의 배양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초 성분을 포함시키며, 상황버섯의 자실체와 균사체를 모두 이용하여 건강 기능성과 기호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FUNCTIONAL BEVERAGE COMPRISING Phellinus linteus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타 글루칸 함량을 최대화하고, 상황버섯 배양액을 이용한 식초 성분, 채소 및 과일 성분을 추가하여 항암, 항염, 항균, 항산화, 면역력 강화 등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기호성을 향상시킨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못된 생활습관, 운동부족, 환경오염, 잘못된 식습관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암, 비만, 심장병, 당뇨병 등 질병이 발생될 수 있다. 건강에 해를 주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면역기능은 현저히 저하되고, 인체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으면 각종 질병에 노출되기 쉽고, 삶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성인병의 발병률이 높아지는 한편, 안정적인 경제발전과 가계소득이 증대됨에 따라 건강에 대한 기대욕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일예로 식품과학 (Food Technology)의 발달, 생물소재 규명 등 농생물산업(BT)의 발전에 기인한 건강 기능화 식품개발과 식품시장의 활성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발맞춰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한 건강 보조 식품이 급속히 제안 및 출시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건강 식품은 특정 성인병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형태 별로도 음료, 캡슐, 환 등이 있다.
한편, 상황버섯은 목질진흙버섯이라고 불리우기도 하며 뽕나무에서만 자생하며, 학명은 Phellinus linteus 이다. 상황버섯은 뽕나무의 그루터기에 자생하는 버섯으로 그 모양은 초기에는 노란 진흙 덩이가 뭉친 것 같은 형태를 유지하다가 다 자란 후의 형태는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이라고도 한다. 혓바닥 같은 형태의 윗부분이 상황의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나지만 진흙과 같은 색깔을 나타내기도 하고, 감나무의 표피와 같이 검게 갈라진 모습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상황버섯의 약리작용은 소화기 계통의 암인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 직장암을 비롯한 간암의 절제 수술 후 화학요법을 병행할 때 면역기능을 항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자궁출혈 및 대하, 월경불순, 장출혈, 오장 및 위장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해독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상황버섯을 건강 기능성 음료에 적용시켜 항암, 항염, 항균, 면역력 강화 등의 기능성을 최대화할 뿐 아니라, 기호도를 높여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는 기능성 음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82779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761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베타 글루칸 함량을 최대화하도록 상황버섯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황버섯 배양액을 이용한 식초 성분을 포함하며, 건강 기능성과 기호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콩잎을 비롯한 다양한 채소와 과일을 포함시켜 항암, 항염, 항균, 항산화, 면역력 강화 등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기호성을 향상시켜 음용하기에 적합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를 통째로 물에 넣고 강불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약불에서 2 내지 3시간 추가로 가열하여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후 수득된 상황버섯 배양액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상황버섯 식초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콩잎과 발효주정을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콩잎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상황버섯 열수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상황버섯 식초 5 내지 20중량부; 및 상기 콩잎 발효물 3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상황버섯 음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단계 (a) 이후, (a-1) 단계 (a) 이후 수득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절단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a-2) 상기 절단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강불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약불에서 2 내지 3시간 추가로 가열하여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잔존하는 상황버섯 자실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a-2) 이후, (a-3) 상기 잔존하는 상황버섯 자실체를 추가로 절단한 후, 강불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약불에서 2 내지 3시간 추가로 가열하여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잔존하는 상황버섯 자실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단계 (a-3)을 2회 내지 3회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단계 (a-3) 이후, (a-4) 상기 잔존하는 상황버섯 자실체를 절단하지 않고, 강불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약불에서 2 내지 3시간 추가로 가열하여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잔존하는 상황버섯 자실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단계 (a-4)를 2회 내지 3회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단계 (a)에서 상기 상황버섯 자실체와 물은 1:20 내지 1:100의 중량비로 사용할 수 있다.
단계 (b)는, (b-1) 소정의 배지에 상황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배양된 상황버섯 배양액을 준비하는 단계; (b-2) 소정의 배지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전배양(pre-cultivation) 함으로써 전배양 초산균을 배양하는 단계; 및 (b-3) 상기 전배양 초산균을 상기 상황버섯 배양액에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상황버섯 식초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b-1) 또는 단계 (b-2)의 상기 배지는 TSA(trypticase soy agar) 배지, TSB(trypticase soy broth) 배지,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 및 YMA (yeast-malt agar) 배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계 (b-1)의 배양은 25 내지 35℃에서 40 내지 8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단계 (b-1)의 상기 상황버섯 배양액은 배양된 상황버섯 균사체를 분리할 수 있다.
단계 (b-1)에서 상기 상황버섯 배양액에 알코올을 첨가하여 알코올 함량이 2 내지 10wt%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b-1) 이후의 분리된 상기 균사체는 열추 추출된 열수추출물을 최종 제조된 음료에 첨가할 수 있다.
단계 (b-2)의 전배양은 25 내지 35℃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단계 (b-3)의 배양은 25 내지 35℃에서 40 내지 8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단계 (c)는, (c-1) 콩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00 내지 300중량부; 및 발효주정을 7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2) 상기 혼합물을 100 내지 120℃에서 살균하여 살균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3) 상기 살균된 혼합물을 2 내지 7℃에서 80 내지 130일 동안 숙성시켜 콩잎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c-3) 이후, (c-4) 상기 콩잎 발효물은 열수 추출하여 콩잎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단계 (c-4) 이후, (c-5) 상기 콩잎 열수 추출물을 농축하여 콩잎 농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단계 (d)에서, 상기 상황버섯 음료는 배, 호박, 오미자, 산수유, 블루베리, 크렌베리, 및 석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즙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계 (d)에서, 상기 상황버섯 열수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배 1 내지 3중량부; 호박 1 내지 5중량부; 오미자 1 내지 3중량부; 산수유 1 내지 3중량부; 블루베리 1 내지 5중량부; 크렌베리 1 내지 5중량부; 및 석류 1 내지 3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계 (d) 이후, 상기 기능성 음료에 탄산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는 베타 글루칸 함량을 최대화하도록 상황버섯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황버섯 재배 후의 배양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초 성분을 포함시키며, 상황버섯의 자실체와 균사체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콩잎을 활용하여 활용도가 낮은 농산물의 활용도를 높이고 이의 발효물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폴리페놀의 함량을 높일 수 있고, 건강 기능성과 기호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채소와 과일을 포함시켜 항암, 항염, 항균, 항산화, 면역력 강화 등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기호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파뿌리 조청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황버섯( Phellinus linteus ) 자실체를 통째로 물에 넣고 강불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약불에서 2 내지 3시간 추가로 가열하여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제조한다(단계 a).
최후 추출된 열수추출물은 노란색을 띠고, 텁텁한 맛이 나므로 이후, 추출물과 혼합하여 음용에 적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황버섯 자실체와 물은 1:20 내지 1:100의 중량비로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8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7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황버섯 자실체와 물의 비율은 이후 반복 추출시에도 동일한 비율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제조한 이후, 다음의 단계를 수행하여 상황버섯의 성분을 반복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수 추출물을 수득한 후 남은 상황버섯 자실체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절단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준비한다(단계 a-1).
상기 절단은 상황버섯 자실체의 직경이 약 5 내지 7cm가 되도록 깍둑 썰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절단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강불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약불에서 2 내지 3시간 추가로 가열하여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잔존하는 상황버섯 자실체를 분리한다(단계 a-2).
상기 잔존하는 상황버섯 자실체를 추가로 절단한 후, 강불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약불에서 2 내지 3시간 추가로 가열하여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잔존하는 상황버섯 자실체를 분리한다(단계 a-3).
본 단계는 2회 내지 3회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은 뿌연 담황색을 띠고 텁텁한 맛이 거의 없으며 목넘김 후 단맛이 나므로 음용하기에 적합하다.
이후, 상기 잔존하는 상황버섯 자실체를 절단하지 않고, 강불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약불에서 2 내지 3시간 추가로 가열하여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잔존하는 상버섯 자실체를 분리한다(단계 a-4).
본 단계는 2회 내지 3회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은 추출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더 엷은 뿌연 담황색을 띠고, 목넘김은 더 좋아지며 옅은 단맛이 난다.
필요에 따라 최초 추출물과 반복 추출된 추출물을 적당한 비율로 섞어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후 수득된 상황버섯 배양액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상황버섯 식초를 제조한다(단계 b).
본 단계를 구체적으로 아래의 단계에 따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배지에 상황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배양된 상황버섯 배양액을 준비한다(단계 b-1).
본 단계에서의 배양은 25 내지 35℃에서 40 내지 8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황버섯 배양액은 배양된 상황버섯 균사체를 분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분리된 상황버섯 균사체는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기능성 음료에 추출물 형태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상황버섯 배양액에 알코올을 첨가하여 알코올 함량이 2 내지 10wt%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소정의 배지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전배양(pre-cultivation) 함으로써 전배양 초산균을 배양한다(단계 b-2).
상기 전배양은 25 내지 35℃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b-1) 또는 단계 (b-2)의 상기 배지는 TSA(trypticase soy agar) 배지, TSB(trypticase soy broth) 배지,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 YMA (yeast-malt agar) 배지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전배양 초산균을 상기 상황버섯 배양액에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상황버섯 식초를 제조한다(단계 b-3).
본 단계의 배양은 25 내지 35℃에서 40 내지 8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콩잎과 발효주정을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콩잎 발효물을 제조한다(단계 c).
본 단계를 구체적으로 아래의 단계에 따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콩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00 내지 300중량부; 및 발효주정을 7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단계 c-1).
이후, 상기 혼합물을 100 내지 120℃에서 살균하여 살균된 혼합물을 제조한다(단계 c-2).
상기 살균된 혼합물을 2 내지 7℃에서 80 내지 130일 동안 숙성시켜 콩잎 발효물을 제조한다(단계 c-3).
이후, 상기 콩잎 발효물은 열수 추출하여 콩잎 열수 추출물을 수득한다(단계 c-4).
다음으로, 상기 콩잎 열수추출물을 농축하여 콩잎 농축추출물을 제조한다(c-5).
마지막으로, 상기 상황버섯 열수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상황버섯 식초 5 내지 20중량부 ; 및 상기 콩잎 발효물 3 내지 10중량부 ;를 혼합하여 기능성 상황버섯 음료를 제조한다(단계 d).
상기 상황버섯 음료는 배, 호박, 오미자, 산수유, 블루베리, 크렌베리, 및 석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즙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황버섯 열수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배 1 내지 3중량부; 호박 1 내지 5중량부; 오미자 1 내지 3중량부; 산수유 1 내지 3중량부; 블루베리 1 내지 5중량부; 크렌베리 1 내지 5중량부; 및 석류 1 내지 3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채소 또는 과일의 즙을 첨가함으로써 기능성을 향상시키면서 맛과 향을 부가하여 기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상황버섯 음료에 탄산을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탄산은 상기 기능성 상황버섯 음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를 제공한다.
[실시예]
제조예 1-1: 1차 상황버섯 열수추출물 제조
1kg의 상황버섯 자실체를 물 60L에 넣어 2시간 30분 동안 센불로 끓이고, 약한불로 2시간 30분 동안 더 끓여 1차 상황버섯 추출액 40L를 수득하고, 1회 추출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분리하였다.
제조예 1-2: 2차 상황버섯 열수추출물 제조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1차 상황버섯 추출액을 수득한 이후, 1회 추출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직경 약 6cm로 깍둑 썰기하여 1차 추출과 동일한 조건으로 끓여 2차 상황버섯 추출액 40L를 수득하고 2회 추출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분리하였다.
제조예 1-3: 3차 상황버섯 열수추출물 제조
제조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2차 상황버섯 추출액을 수득한 이후, 2차 추출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조각마다 한번 더 절단하여 1차 추출과 동일한 조건으로 끓여 3차 상황버섯 추출액 40L를 수득하고 3회 추출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분리하였다.
제조예 1-4: 4차 상황버섯 열수추출물 제조
제조예 1-3와 동일한 방법으로 3차 상황버섯 추출액을 수득한 이후, 3차 추출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1차 추출과 동일한 조건으로 끓여 4차 상황버섯 추출액 40L를 수득하고 4회 추출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분리하였다.
제조예 1-5: 5차 상황버섯 열수추출물 제조
제조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4차 상황버섯 추출액을 수득한 이후, 4차 추출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1차 추출과 동일한 조건으로 끓여 5차 상황버섯 추출액 40L를 수득하고 6회 추출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분리하였다.
제조예 2: 상황버섯 배양액 식초 제조
PDB(potato dextros broth) 배양액에 전배양한 상황버섯 균사체 1wt%를 접종하여 30℃에서 60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황버섯 배양액을 분리하였다.
한편, 별도의 PDB 배양액에 초산균 1wt%를 접종하여 30℃에서 30시간 동안 전배양하여 전배양 초산균을 준비하였다.
이후, 상기 상황버섯 배양액에 에탄올을 6wt%로 첨가하고, 여기에 전배양 초산균을 1wt%로 접종하여 30℃, 60시간 동안 발효시킴으로써 상황버섯 식초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콩잎 발효물 제조
콩잎, 물, 효모를 발효시켜 제조된 발효주정을 100:200: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콩잎 혼합물을 제조한 후, 고압멸균기에서 30분간 살균처리하였다. 살균처리된 콩잎 혼합물은 4℃ 냉장상태에서 100일간 숙성시켰다. 이후, 콩잎 발효물은 100℃의 물과 1: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콩잎 열수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기능성 음료 제조
제조예 1-1의 1차 상황버섯 열수추출물, 제조예 2의 상황버섯 식초, 제조예 3의 콩잎 발효물을 100:10: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기능성 음료 제조
1차 상황버섯 추출물 대신에 제조예 1-1의 1차 추출물과 제조예 1-2의 2차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기능성 음료 제조
1차 상황버섯 추출물 대신에 제조예 1-1의 1차 추출물, 제조예 1-2의 2차 추출물, 제조예 1-3의 3차 추출물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기능성 음료 제조
1차 상황버섯 추출물 대신에 제조예 1-1의 1차 추출물, 제조예 1-2의 2차 추출물, 제조예 1-3의 3차 추출물, 제조예 1-4의 4차 추출물을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기능성 음료 제조
1차 상황버섯 추출물 대신에 제조예 1-1의 1차 추출물, 제조예 1-2의 2차 추출물, 제조예 1-3의 3차 추출물, 제조예 1-4의 4차 추출물, 제조예 1-5의 5차 추출물을 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기능성 음료 제조
실시예 5의 기능성 음료에 상황버섯 열수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배즙 2중량부, 호박즙 3중량부, 오미자즙 2중량부, 산수유 2중량부, 블루베리즙 3중량부, 크렌베리즙 3중량부, 석류즙 2중량부를 추가로 혼합하여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기능성 음료 제조
실시예 6의 기능성 음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의 탄산을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여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3의 상황버섯 추출물만을 이용하여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황버섯 식초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콩잎 발효물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황버섯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3의 성분을 비교하여 아래의 표 1에 정리하였다.
구분 상황버섯추출물 상황버섯 배양액 식초 콩잎 발효물 과일, 채소 탄산 첨가
실시예 1 1차 × ×
실시예 2 1차+2차 × ×
실시예 3 1차+2차+3차 × ×
실시예 4 1차+2차+3차+4차 × ×
실시예 5 1차+2차+3차+4차+5차 × ×
실시예 6 1차+2차+3차 ×
실시예 7 1차+2차+3차
비교예 1 1차+2차+3차 × × × ×
비교예 2 1차+2차+3차 × × ×
비교예 3 1차+2차+3차 × × ×
비교예 4 × ×
[시험예]
시험예 1: 면역력 활성 시험
흰쥐용 고형사료를 기본식이로 하여 면역력 활성 동물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음료를 매일 1.2㎖씩 경구투여하고, 물 투여군은 양성 대조군으로 하고, 면역주사 처리군은 음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동물시험용 흰쥐는 생후 4주령(평균체중 약 24g)인 마우스(Balb/c) 110수로 하였고, 각 처리군당 10마리씩 배치하여 8주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온도 조건은 18 내지 20℃, 조명주기는 12시간으로 조절하였으며 물과 기본 식이는 자유급이 시켰다. 면역처리는 기능성 음료 투여 2주 후에 SRBC(양적혈구)를 3, 24, 48시간 간격으로 발바닥에 피하 주사하였다.
전반적인 면역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양적혈구 항원에 대한 적혈구응집소가 시험은 총 항체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채혈한 마우스의 혈청을 분리하여 적혈구 응집소가를 측정하였다. 미세적정 트레이의 각혈에 55℃에서 고정시킨 혈청에 같은 양의 0.5% 양적혈구 부유액을 혼합하여 37℃에서 1시간 방치한 후, 용집을 일으킨 혈청의 최고 희석도를 항체가로 판독하여 아래의 표 2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처리군 상황버섯추출물 조성 응집소가 (Log2)
4주 8주
실시예 1 1차 3.1±0.65 4.3±1.23
실시예 2 1차+2차 4.2±0.32 5.5±0.57
실시예 3 1차+2차+3차 4.4±0.55 6.1±0.78
실시예 4 1차+2차+3차+4차 3.4±0.84 5.7±0.45
실시예 5 1차+2차+3차+4차+5차 2.8±0.87 3.2±0.89
비교예 4 - 2.2±0.87 2.7±0.66
양성 대조군 - 1.8±0.45 2.2±1.05
음성 대조군 - 2.4±0.60 3.0±0.83
표 2에 따르면, 면역 기능이 가장 높은 군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1순위: 실시예 3 처리군, 2순위: 실시예 2, 3순위: 실시예 4 처리군, 4순위: 실시예 1 처리군, 5순위: 실시예 5 처리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실시예 1 내지 5는 상황버섯 추출물의 조성 외에 다른 조건은 동일하므로, 상황버섯 추출물의 조성에 따른 면역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1차+2차+3차 추출물의 혼합물이 가장 면역 기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경우 베타클루칸 함량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1차 추출물만을 포함한 경우와 1차 내지 5차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면역기능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비교예 4의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음료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비하여 면역기능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상황버섯 추출물에서 면역기능을 발휘하는 물질 주로 함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항산화 활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음료에 대하여 DPPH를 이용하여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홀전자(odd electron)로 인해 517 nm 부근에서 흡광도가 극대화되며 DPPH 분자 내의 질소가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쉽게 전자를 받아들이는 성질이 있다. 또한, 시스테인, 글루타치온과 같은 함황 아미노산과 토코페롤, 비타민 C, 폴리히드록시 방향족, 방향족 아민류 등의 항산화 물질과 반응하여 전자를 받게 되면 히드라진 형태의 안정한 분자로 환원되며 짙은 자색이 탈색되므로 탈색 정도가 항산화 물질의 전자공여능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시험예에서는 기능성 음료 시료 1㎖와 0.4 mM DPPH 용액 1㎖를 혼합하여 1 시간 동안 반응시켜 517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래의 표 3에 측정된 전자공여능(EDA)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상황버섯추출물 조성 EDA (%)
실시예 1 1차 57.5
실시예 2 1차+2차 61.5
실시예 3 1차+2차+3차 62.2
실시예 4 1차+2차+3차+4차 60.2
실시예 5 1차+2차+3차+4차+5차 57.7
비교예 4 - 46.0
표 3에 따르면,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음료의 항산화 기능은 상술한 면역 기능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나 1차+2차+3차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3의 기능성 음료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4의 기능성 음료의 경우 상대적으로 항산화 기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3: 관능평가
20명의 평가 요원을 선정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음료에 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 평가는 맛, 향, 목넘김, 청량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 다섯 항목으로 실시하였으며, 15인 이상이 양호한 것으로 판정시는 ◎, 10인 이상이 양호한 것으로 판정시에는 ○, 7인 이상이 양호한 것으로 판정시에는 △로, 그 밖에는 ×로 표시하였다. 하기 표 4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목넘김 청량감 전체적 기호도
실시예 1 × × × ×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 × × × ×
비교예 2
비교예 3 ×
비교예 4
표 4에 따르면, 실시예 6, 7 및 비교예 4의 기능성 음료가 기호도면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얻었으며, 이는 다양한 채소, 과일과 탄산으로 인하여 맛, 향 및 목넘김이 좋아지거나 청량감이 향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1차 또는 2차의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과 2의 기능성 음료의 경우에는 텁텁한 맛과 목넘김 때문에 대체로 낮은 평가를 얻었다. 종합해 볼 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면역기능, 항산화 기능을 향상시켰을 뿐 아니라, 콩잎 발효물, 상황버섯 배양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식초와 다양한 과일과 채소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성을 구현하고, 기호성 또한 증가된 음료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a)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를 통째로 물에 넣고 강불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약불에서 2 내지 3시간 추가로 가열하여 1차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a-1) 단계 (a) 이후 수득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절단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준비하는 단계;
    (a-2) 상기 절단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강불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약불에서 2 내지 3시간 추가로 가열하여 2차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잔존하는 상황버섯 자실체를 분리하는 단계;
    (a-3) 단계 (a-2) 이후 수득된 상황버섯 자실체를 추가로 절단한 후, 강불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약불에서 2 내지 3시간 추가로 가열하여 3차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잔존하는 상황버섯 자실체를 분리하는 단계;
    (a-4) 상기 1차 상황버섯 열수추출물:2차 상황버섯 열수추출물:3차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후 수득된 상황버섯 배양액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상황버섯 식초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콩잎과 발효주정을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숙성된 콩잎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혼합 상황버섯 열수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상황버섯 식초 5 내지 20중량부; 및 상기 숙성된 콩잎 3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상황버섯 음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b)는,
    (b-1) 소정의 배지에 상황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배양된 상황버섯 배양액을 준비하는 단계;
    (b-2) 소정의 배지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전배양(pre-cultivation) 함으로써 전배양 초산균을 배양하는 단계; 및
    (b-3) 상기 전배양 초산균을 상기 상황버섯 배양액에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상황버섯 식초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단계 (c)는,
    (c-1) 콩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00 내지 300중량부; 및 발효주정을 7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2) 상기 혼합물을 100 내지 120℃에서 살균하여 살균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3) 상기 살균된 혼합물을 2 내지 7℃에서 80 내지 130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된 콩잎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단계 (d)에서, 상기 상황버섯 음료는 배, 호박, 오미자, 산수유, 블루베리, 크렌베리, 및 석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즙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단계 (d) 이후, 상기 기능성 음료에 탄산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KR1020170153009A 2017-11-16 2017-11-16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1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009A KR102021530B1 (ko) 2017-11-16 2017-11-16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009A KR102021530B1 (ko) 2017-11-16 2017-11-16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25A KR20190056025A (ko) 2019-05-24
KR102021530B1 true KR102021530B1 (ko) 2019-09-16

Family

ID=6668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009A KR102021530B1 (ko) 2017-11-16 2017-11-16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002B1 (ko) 2021-07-08 2022-05-09 김수현 마늘발효액 및 산뽕상황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975B1 (ko) * 2020-07-28 2023-12-06 농업회사법인 한국상황버섯(주) 항산화능이 향상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어린이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161B1 (ko) * 2004-12-22 2005-07-11 충청북도 상황버섯 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100783258B1 (ko) * 2007-05-28 2007-12-06 강용수 버섯식초를 이용한 시럽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101716297B1 (ko) * 2016-11-04 2017-03-14 금호제약 (주) 생약성분이 함유된 노루궁뎅이버섯 추출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779B1 (ko) 2003-06-11 2005-04-14 오윤정 상황버섯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및 상황버섯 음료 제품
KR20050022062A (ko) * 2003-08-26 2005-03-07 주식회사 이노바이오텍 상황버섯 추출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457615B1 (ko) 2013-01-12 2014-11-07 박창하 상황버섯으로 발효한 커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161B1 (ko) * 2004-12-22 2005-07-11 충청북도 상황버섯 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100783258B1 (ko) * 2007-05-28 2007-12-06 강용수 버섯식초를 이용한 시럽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101716297B1 (ko) * 2016-11-04 2017-03-14 금호제약 (주) 생약성분이 함유된 노루궁뎅이버섯 추출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002B1 (ko) 2021-07-08 2022-05-09 김수현 마늘발효액 및 산뽕상황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25A (ko) 201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188B1 (ko) 딸기주의 제조 방법
CN103205356B (zh) 一种紫云英醋
CN103431484A (zh) 芦笋发酵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214532B1 (ko) 석류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N104336719A (zh) 一种枸杞红茶菌饮料
KR101908392B1 (ko) 버섯주의 제조 방법
KR102021530B1 (ko)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50554A (ko) 가바 함유 오미자 발효액 제조
KR20200084212A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978336B1 (ko) 아로니아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865623B1 (ko) 영여자를 포함하는 알코올 발효 촉진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영여자 발효주
CN102726665A (zh) 一种食用菌固态发酵玉米渣制作玉米粉的方法
KR101676435B1 (ko) 기능성 장류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보관안정성이 확보된 장류
KR20180098888A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KR101329412B1 (ko) 버섯을 이용한 김치속 양념 조미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김치속 양념 조미액
JP3618653B2 (ja) 血圧降下作用を有する薬理用組成物
KR20160103358A (ko) 와송 당류 추출액을 발효하여 제조한 와송 와인 또는 식초
KR100854694B1 (ko) 홍 고추를 이용한 고추식초 제조방법
KR102135801B1 (ko) 항산화능이 향상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29074B1 (ko) 젖산 발효 울금이 함유된 단호박 분말을 이용한 젖산 발효 푸딩 제조방법
KR102597975B1 (ko) 항산화능이 향상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어린이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04478A (ko) 흑돼지감자 흑돼지감자엑기스 흑돼지감자젤리 흑돼지감자효모젤리 제조방법
KR20170014238A (ko) 발효 숙성시킨 흑마늘이 포함된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69530A (ko) 헛개식초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식초분말
CN104862183A (zh) 一种红曲黄米米酒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