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373B1 - 촬상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373B1
KR102020373B1 KR1020160156149A KR20160156149A KR102020373B1 KR 102020373 B1 KR102020373 B1 KR 102020373B1 KR 1020160156149 A KR1020160156149 A KR 1020160156149A KR 20160156149 A KR20160156149 A KR 20160156149A KR 102020373 B1 KR102020373 B1 KR 102020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isplay
control unit
moving image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368A (ko
Inventor
아키오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3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04N5/23216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2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the phase dif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H04N5/23212
    • H04N5/23293
    • H04N5/23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9/73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촬상 제어장치는, 터치패널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와, 터치 위치 이동 조작에 응답하여, 표시부에 있어서 제1 마크를 상기 이동 조작에 대응한 양만큼 이동한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에,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를 떼어 놓고 있는 터치업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도, 적어도 소정의 시간중에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닌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업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업 조작의 위치에 근거하는 상기 특정한 처리를 상기 소정의 기간내에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촬상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촬상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행하는 위치를 설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저가 파인더내의 표시부를 들여다보면서, 촬상 장치의 배면에 설치된 터치패널을 조작함으로써, 자동합초(AF)위치를 지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2-203143호 공보에는, 파인더내의 표시부를 들여다보면서 터치패널상의 터치 조작을 행하고, AF타겟 프레임의 표시 위치를 더블 탭을 통해 AF위치로서 결정하여서, 상기 AF타겟 프레임을 유저가 이동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AF처리, 자동노출(AE)처리, 화이트 밸런스(WB)처리 등은 정지 화상 촬영과 동화상 촬영 양쪽에서 행해진다. 예를 들면, AF처리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정지 화상의 촬영에 있어서, 유저는, AF위치를 지정한 후에 촬영을 한다. 동화상의 촬영에 있어서, 유저는, 동화상의 기록의 시작전에 AF위치를 지정할 수 있고, 동화상의 기록 도중에 AF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2-20314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을 정지 화상의 촬영에 적용하면, 유저는, AF타겟 프레임을 이동한 후에 더블 탭 조작을 행하여 AF위치를 지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유저는, 촬영기회를 놓쳐버릴 가능성도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유저는 AF타겟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그 프레임의 위치에 AF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 동화상의 기록시에는 원하는 위치가 아닌 위치에서 자동으로 합초된 화상이 기록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동화상의 기록중과 동화상의 기록이외의 타이밍에서 지정 위치에 근거하여 행해진 특정한 처리에 관한 지정 위치를 설정하는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촬상 제어장치를 대상으로 삼는다.
실시예들의 측면들에 의하면, 촬상 제어장치는, 터치패널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 상기 터치 검출부에 의해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표시부에 있어서 제1 마크를 상기 이동 조작에 대응한 양만큼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및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에,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를 떼어 놓고 있는 터치업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도,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닌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업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업 조작이 검출된 위치에 근거하는 상기 특정한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컴퓨터를, 후술하는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촬상 제어장치의 각 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1b는 제1실시예의 구성을 적용가능한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내는 외관도다.
도 2는 제1실시예의 구성을 적용가능한 상기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a, 3b, 3c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합초(AF) 이동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4a, 4b, 4c, 4d는 AF위치를 이동하는 상태들을 나타낸다.
도 5a 및 5b는 제2실시예의 구성을 적용가능한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내는 외관도다.
도 6a 및 6b는 제2실시예에 따른 AF이동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7a 및 7b는 제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의 AF위치 이동 지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8a 및 8b는 제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AF위치 이동 접수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일례일 뿐이고 적절하게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제1실시예를 적용 가능한 촬상 제어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도다. 도 1a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방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b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다. 표시부(28)는 화상과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터치 조작을 접수가능(터치 검출 가능)한 터치패널(70a)이 상기 표시부(28)와 중첩된다. 셔터 버튼(61)은 촬영 지시를 내리기 위한 조작부재다. 모드 선택 스위치(60)는, 각종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가능한) 조작부재다. 단자 커버(40)는 디지털 카메라(100)와 외부기기를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 등의 커넥터들(도시되지 않음)을 보호한다. 메인 전자 다이얼(71)은 조작부(70)에 포함된 회전 조작 부재다. 이 메인 전자 다이얼(71)을 돌리는 것으로, 셔터 속도와 조리개 등의 설정 값들을 변경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72)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의 ON 및 OFF를 바꾸는 조작 부재다. 서브 전자 다이얼(73)은, 조작부(70)에 구비된 회전 조작 부재이며, 선택 프레임의 이동과 화상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십자 키(74)는 조작부(70)에 구비된 4방향 조작 키다. 그 십자 키(74)의 좌, 우, 상 및 하 부분을 가압할 수 있다. 십자 키(74)의 가압된 부분에 대응한 조작들이 가능하다. SET버튼(75)은 조작부(70)에 구비된 푸시버튼이다. SET버튼(75)은 주로 선택 항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라이브 뷰(LV) 버튼(78)은, 조작부(70)에 구비된다. 정지 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는, LV 버튼(78)은, 표시부(28)에 있어서의 라이브 뷰 표시의 ON과 OFF를 바꾼다. 동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는, LV 버튼(78)은, 동화상 촬영(기록)의 시작과 정지의 지시에 사용된다. 재생 버튼(79)은 조작부(70)에 구비된 조작 버튼이다. 재생 버튼(79)은, 촬영 모드와 재생 모드간을 전환한다. 유저가 촬영 모드에서 재생 버튼(79)을 가압할 때, 디지털 카메라(100)는, 재생 모드에 이행하고, 기록 매체(200)에 기록된 화상 중 최신에 촬영된 화상을 표시부(28)에 표시시킨다.
그립부(90)는, 디지털 카메라(100)를 지지하면서 조작하기 위한 지지부(파지부)다. 그립부(90)측에는 조작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유저는, 파인더(16)를 들여다봄으로써, 광학 뷰 파인더(OVF)를 통해 피사체를 관찰(시인)할 수 있다. 접안 센서(77)는, 물체가 1센티미터나 2센티미터 등의 소정거리보다 가까운 거리에 접근하고 있는 것을 검지하기 위한 물체검지 부(접안 검지)다. 예를 들면, 유저가 파인더내 표시부(76)를 관찰하기 위해 파인더(16)에 눈을 가까이 하고(접안부 16a를 들여다보고), 접안 센서(77)가 물체(눈)의 접근을 검지하면, OVF를 통해서 관찰된 피사체에, 파인더내 표시부(76)의 표시가 중첩된다. 또한, 접안 센서(77)는 소정거리만큼 물체(눈)가 벗어난 것을 검지하면, 표시된 아이템들은 파인더내 표시부(76)로부터 비표시로 된다. 유저가 파인더(16)를 들여다보면, 표시부(28)는 비표시가 되지만, AF위치의 설정 등을 위한 터치패널(70a)에의 터치 조작은 접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유저가 손가락을 셔터 버튼(61)을 터치하면서 그립부(90)를 꽉 잡으면서 터치패널(70a)에 터치 조작을 행하면, 유저는, 파인더내 표시부(76)의 표시(와 OVF를 통해 관찰된 피사체)를 보면서, AF위치의 이동 조작과 촬영 지시를 재빠르게 행할 수 있다. 단, 파인더(16)의 표시는, OVF 대신에 전자 뷰 파인더(EVF)이어도 좋다.
렌즈 유닛(150)은, 디지털 카메라(10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를 참조하면, 렌즈 유닛(150)은, 교환 가능한 촬영 렌즈를 구비한다. 렌즈(103)는 복수매의 렌즈로 구성되지만, 간략히 1매의 렌즈만으로 나타내고 있다. 통신 단자(6)는 렌즈 유닛(150)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0)와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통신 단자(10)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해 렌즈 유닛(150)과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AE센서(17)는, 렌즈 유닛(150) 및 퀵 리턴 미러(12)를 통하여, 포커싱 스크린(13) 위에 결상된 피사체(상)의 휘도를 측광한다.
퀵 리턴 미러(12)(이하, 미러12)는, 노광, 라이브 뷰 촬상 및 동화상 촬영시에, 시스템 제어부(50)로부터 지시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업 다운 된다. 미러(12)는, 렌즈(103)로부터 입사한 광속의 주행 방향을 파인더(16)측과 촬상부(22)측간에 전환하는데 사용된다. 미러(12)는 보통, 파인더(16)에 광속을 반사시키도록 배치된다. 촬상 및 라이브 뷰 표시의 경우에는, 미러(12)는, 촬상부(22)에 광속을 이끌도록 위쪽으로 펄럭거려 그 광속으로부터 대피한다(미러 업). 미러(12)는, 부분적으로, 그 중앙부가 광의 일부를 투과시켜 초점검출을 행하기 위한 초점검출부(11)에 입사하는 하프 미러다.
촬영자는, 펜타프리즘(14)과 파인더(16)를 통하여 포커싱 스크린(13) 위에 결상된 상을 관찰하여, 렌즈 유닛(150)을 통해서 얻어진 피사체의 광학상의 초점상태와 구도의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파인더내 표시부(76)는, 렌즈(103)로부터 파인더(16)까지의 광로 위에 배치된 표시부다. 파인더내 표시부(76)는, 시스템 제어부(50)를 통하여, 현재 AF위치를 나타내는 프레임과, 디지털 카메라(100)의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들, 예를 들면, 아이템들, 마크들, 기호들을 표시한다. 포커싱 스크린(13)과 파인더내 표시부(76)는 인접한 위치에 있어서, 각각의 표시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게 중첩되게 배치된다. 초점검출부(11)(AF센서)는, 촬상 화상에 의거하여 시스템 제어부(50)에 디포커스량 정보를 출력하는 위상차 검출 방식을 이용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통신 단자(6, 10)를 거쳐 렌즈 유닛(150)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제어부(50)는 AF구동회로(3)를 거쳐 디포커스량 정보에 근거하여 위상차AF를 행하고, 렌즈(103)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위상차AF를 행한다(AF실행이 가능하다). 상기 AF 방법은, 위상차AF 대신에 콘트라스트AF이어도 된다.
촬상부(22)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전하결합소자(CCD) 센서나 상보적 금속산화물 반도체(CMOS)센서 등의 촬상 소자다. 아날로그 대 디지털(A/D) 변환기(23)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A/D변환기(23)는, 촬상부(22)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화상처리부(24)는, A/D변환기(23)로부터의 데이터 또는 메모리 제어부(15)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소보간, 사이즈의 축소 등의 리사이즈 처리, 및 색 변환처리를 행한다. 화상처리부(24)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한다. 얻어진 연산 결과에 근거해서 시스템 제어부(50)가 노광 제어 및 측거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스루 더 렌즈(TTL)방식을 사용한 AF처리, AE처리, 및 전자 플래시 사전발광(EF)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화상처리부(24)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여서 얻어진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TTL방식을 사용한 오토 화이트 밸런스(AWB) 처리를 한층 더 행한다.
표시부(28)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배면 모니터다. 표시부(28)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 디스플레이 등의 다른 디스플레이이어도 좋다.
A/D변환기(23)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는, 화상처리부(24) 및 메모리 제어부(15)를 거쳐, 혹은, 메모리 제어부(15)를 거쳐 직접 메모리(32)에 기록된다. 메모리(32)는, 촬상부(22)에 촬영되고 A/D변환기(23)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표시부(28)에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32)는, 소정매수의 정지 화상과 소정시간의 동화상 및 음성을 기억하기 위한 충분한 기억 용량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32)는 화상표시용 메모리(비디오 메모리)를 겸하고 있다. 디지털 대 아날로그(D/A) 변환기(19)는, 메모리(32)에 기억된 화상표시용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부(28)와 파인더내 표시부(76)에 공급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메모리(32)에 기록된 화상표시용 데이터는, D/A변환기(19)를 거쳐 표시부(28)와 파인더내 표시부(76)에 표시된다. 표시부(28)와 파인더내 표시부(76)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등의 디스플레이 위에, D/A변환기(19)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에 대응한 화상들을 표시한다. A/D변환기(23)에 의해 A/D변환을 통해 생성되고 그 메모리(32)에 기억된 디지털 신호는, D/A변환기(19)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표시부(28)(파인더내 표시부(76)가 EVF일 경우에는 EVF)에 화상들을 연속하여 전송해서 상기 표시부(28)에 표시함으로써, 전자 뷰 파인더로서 기능하여,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56)는, 전기적으로 소거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전용 메모리(EEPROM)등의 전기적으로 소거 기록 가능한 메모리다. 불휘발성 메모리(56)에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정수들 및 프로그램들이 기억된다.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억된 프로그램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후술하는) 각종 흐름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말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디지털 카메라(100) 전체를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부(50)가 전술한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후술하는) 본 실시예의 각 처리를 실현한다. 시스템 메모리(52)에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정수들과 변수들과, 불휘발성 메모리(56)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들이 로딩되어 있다. 시스템 메모리(52)로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가 사용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상기 메모리(32), D/A변환기(19), 표시부(28) 및 파인더내 표시부(76)를 제어함으로써 표시 제어를 행한다.
시스템 타이머(53)는, 각종 제어에 사용된 시간과, 내장된 시계의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 측정부다.
모드 선택 스위치(60), 셔터 버튼(61) 및 조작부(70)는, 시스템 제어부(50)에 각종의 동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다.
모드 선택 스위치(60)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 모드를 촬영 모드와 재생 모드간에 전환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는, 촬영 씬별의 촬영 설정이 되는 각종 씬 모드, 프로그램 AE모드 및 커스텀 모드를 갖는다. 모드 선택 스위치(60)에 의해, 유저는 메뉴 화면에 포함된 이것들의 모드 중 하나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혹은, 메뉴 화면을 한번 선택한 후에, 유저는, 메뉴 화면에 포함된 이것들의 모드 중 하나를, 다른 조작 부재를 사용해서 선택해도 된다.
제1셔터 스위치(62)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설치된 셔터 버튼(61)의 조작 도중(즉, 반가압)에 ON이 되어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을 발생한다(반가압은 촬영 준비 지시를 의미한다).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은, 시스템 제어부(50)에 의해 AF처리, AE처리, AWB처리, 및 EF처리를 포함하는 동작을 시작시킨다.
제2셔터 스위치(64)는, 셔터 버튼(61)의 조작 완료(완전 가압)시에 ON이 되고,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를 발생한다(완전 가압은 촬영 지시를 의미한다).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는, 시스템 제어부(50)에 의해 촬상부(22)로부터의 신호 판독으로부터 기록 매체(200)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때까지의 일련의 촬상 동작을 시작시킨다.
유저가 표시부(28)에 표시된 각종 기능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을 행하는 경우, 조작부(70)의 각 조작 부재는, 장면마다 적절하게 기능을 할당하고, 기능 버튼의 역할을 한다. 조작부(70)는, 적어도 이하의 조작부재: 셔터 버튼(61), 메인 전자 다이얼(71), 전원 스위치(72), 서브 전자 다이얼(73), 십자 키(74), SET버튼(75), LV버튼(78), 및 재생 버튼(79)을 구비한다. 유저는, 표시부(28)에 표시된 메뉴 화면과, 십자 키(74)(4방향 조작 키)와, SET버튼을 사용해서 직관적으로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전원제어부(80)는, 전지검출 회로, 직류 대 직류(DC-DC) 변환기, 통전하는 블록을 선택하는 스위치 회로를 구비하여, 전지의 유무, 전지의 종류, 및 전지잔량을 검출한다. 또한, 전원제어부(80)는, 그 검출 결과 및 시스템 제어부(50)의 지시에 근거해서 DC-DC변환기를 제어하여, 필요한 전압을 필요한 기간에 기록 매체(200)와 그 밖의 구성요소에 공급한다. 전원 스위치(72)는, 전원의 ON/OFF 조작을 접수한다.
전원부(30)는, (알칼리 전지나 리튬 전지 등의) 일차전지, (NiCd전지나 NiMH전지, Li전지 등의) 이차전지, 및 교류(AC)어댑터로 이루어진다. 기록 매체 인터페이스(I/F)(18)는,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200)와의 인터페이스다. 기록 매체(200)는,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이며, 반도체 메모리와 자기 디스크로 구성된다.
통신부(54)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을 확립하여, 영상신호들과 음성신호들의 송수신을 행한다. 통신부(54)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LAN)과 인터넷과도 접속가능하다. 통신부(54)는 촬상부(22)로 촬영한 화상들(라이브 뷰를 포함함)과, 기록 매체(200)에 기록된 화상들을 송신할 수 있고, 외부기기로부터 화상 데이터와 그 밖의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조작부(70)의 하나로서, 디지털 카메라(100)에는, 표시부(28)에 대한 접촉을 검지가능한 터치패널(70a)이 구비되어 있다. 터치패널(70a)과 표시부(28)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패널(70a)은, 광의 투과율이 표시부(28)의 표시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표시부(28)의 표시화면의 상층에 부착된다. 그리고, 터치패널(79a)의 입력 좌표는, 표시부(28) 위의 표시 좌표와 관련된다. 이에 따라, 유저가 표시부(28) 위에 표시된 화면을 직접적으로 조작 가능하게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할 수 있다. 터치 조작이 행해진 위치가 표시부(28)상의 위치와 관련되고 지시가 접수되는 설정을, 절대 좌표 설정이라고 한다.
상기 절대 좌표 설정과는 달리, 설정은, 상대 좌표 설정으로서 표시부(28)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터치 조작의 이동량과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한 결과로서의 위치(이동 조작에 대응한 양만큼 이동한 결과로서의 위치)에의 지시를 말하고, 이 설정은 터치 좌표를 말하지 않는다.
파인더내 표시부(76)를 보면서 조작을 행할 때, 유저가 절대 좌표 설정으로 터치 조작을 행하면, 유저는 터치패널(70a)(표시부28)을 보지 않고 터치할 것이, 유저는 원하는 위치와 다른 위치에 잘못 터치 조작을 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유저가 상대 좌표 설정으로 터치 조작을 행할 때, 유저는 터치 조작의 위치가 아니고 이동량에 근거하여 이동 지시를 내린다. 그러므로, 유저가 파인더내 표시부(76)에 표시된 조작 대상의 위치를 보면서 원하는 위치로 상기 조작 대상을 이동하는 조작을 행할 때, 유저는 원하는 위치에 이동하기 위한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절대 좌표 설정과 상대 좌표 설정은, 메뉴 화면의 터치 패드 설정에 있어서 선택될 수 있다. 유저가 상대 좌표 설정으로 표시부(28)를 보면서 조작을 행할 때, 상기 터치 위치와 지시 위치는 달라져도 되고, 그 조작성이 조작성을 저하시킬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접안 센서(77)가 물체의 접근을 검지했을 때에 상대 좌표 설정으로 터치 패널(70a)이 터치 조작을 접수할 때, 유저가 표시부(28)를 보고 있을 때와 유저가 파인더내 표시부(76)를 보고 있을 때 조작성이 좋다. 표시부(28)에 화상을 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패널(70a)이 터치 조작을 접수하는 기능을, 터치 패드 기능이라고 칭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패널(70a)에의 이하의 조작들과 상태들을 검출할 수 있다.
- 터치패널(70a)에 손가락이나 펜으로 터치하기 시작하는 조작(이하, "터치다운(Touch-Down)"이라고 칭한다)
- 터치패널(70a)과 손가락이나 펜이 접촉하고 상태(이하, "터치 온(Touch-On)"이라고 칭한다)
- 터치패널(70a)과 접촉한 채 손가락이나 펜을 이동하는 조작(이하, "터치 무브(Touch-Move)"라고 칭한다)
- 터치패널(70a)로부터 손가락이나 펜을 떼어 놓는 조작(이하, "터치업(Touch-Up)"이라고 칭한다)
- 터치패널(70a)에 손가락이나 펜이 접촉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하, "터치 오프(Touch-Off)"라고 칭한다)
터치다운이 검출되면, 동시에 터치 온이 검출된다. 터치다운 후에, 터치업이 검출될 때까지, 통상적으로, 터치 온이 계속 검출되고 있다. 또한, 터치 무브는, 터치 온이 검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검출된다. 터치 온이 검출되는 경우도, 터치 위치가 이동하지 않고 있는 경우 터치 무브는 검출되지 않는다. 모든 손가락과 펜에 대해 터치업이 검출된 후에, 터치 오프가 검출된다.
이것들의 조작들과 상태들과 아울러, 터치패널(70a)에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하는 위치의 위치 좌표도, 내부 버스를 통해서 시스템 제어부(50)에 통지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그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터치패널(70a) 위에 어떤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판정한다. 터치 무브에 대해서는, 터치패널(70a)상에서 이동하는 손가락이나 펜의 이동 방향은, 위치 좌표들의 변화에 근거하여 터치패널(70a)상의 수직성분 및 수평성분마다 판정될 수 있다. 터치 온이 검출되고, 터치 무브 없이, 재빠르게 터치업 하는 조작을, 탭이라고 한다. 터치다운, 특정한 양의 터치 무브, 및 터치업을 행할 때, 스트로크가 그려진다. 재빠르게 스트로크를 그리는 조작을 플릭(flick)이라고 부른다. 플릭은, 터치패널(70a)과 손가락을 접촉한 채 소정의 거리이상 유저의 손가락을 재빠르게 이동하고 나서, 손가락을 거기로부터 떼어 놓는 조작이다. 바꿔 말하면, 유저는, 터치패널(70a)의 표면을 손가락으로 재빠르게 튕긴다. 소정거리이상을, 소정속도이상으로 터치 무브를 검출한 후, 그후에 터치업이 검출되면, 플릭이 행하여졌다고 판정할 수 있다. 소정거리이상을, 소정속도미만으로 터치 무브가 검출되면, 드래그가 행하여졌다고 판정할 수 있다. 터치패널(70a)은, 저항막 방식이나 정전용량방식, 표면탄성파 방식, 적외선방식, 전자 유도방식, 화상인식 방식, 광센서 방식으로 이루어진 여러 가지 방식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그 방식에 따라,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패널(70a)과 접촉하게 될 때 또는 그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패널(70a)에 접근하게 될 때, 터치가 검출된다. 양쪽의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
도 3a 내지 3c는, 제1실시예에 따른 AF이동 처리를 나타낸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52)에 로딩하고 나서 시스템 제어부(50)가 실행할 때 실현된다. 이 처리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이 온되고 촬영 모드가 선택될 때, 시작된다.
단계 S30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AF좌표B를 초기화하여 시스템 메모리(52)에 기록한다. 초기화하는 좌표들의 위치는, 도 4a와 같이 검출된 인물의 얼굴의 위치, 혹은 촬상 영역의 중앙 위치로 설정된다. 그렇지만, 파인더내 표시부(76)는, 실제로, AF프레임(401) 또는 변경중 AF프레임(402)을 표시하고, 그 피사체는 OVF를 통해 시인가능하다. OVF가 아니고 EVF에 표시의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상부(22)로 촬영된 촬상 화상에 AF프레임(401)을 중첩한다. 도 4a는 AF좌표B(Xb, Yb)에서 AF프레임(401)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 내지 4c는, AF위치 이동 처리 동안의 파인더내 표시부(76)의 표시의 예들과, 각각의 파인더내 표시부(76)의 표시에 대응한 터치패널(70a)상의 터치 조작을 나타낸다.
단계 S3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센서(77)가 접안(접근 검지)을 검지했는지(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센서(77)가 접안을 검지를 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01에서 YES), 단계 S302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센서(77)가 접안을 검지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01에서 NO)는, 단계 S3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파인더내 표시부(76)의 현재의 AF위치(단계 S300에서 기록된 AF좌표B 또는 (후술하는) 단계 S334 또는 단계 S333에서 설정된 AF좌표B)에 AF프레임(401)을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AF위치 이동 처리에 있어서 이미 AF위치가 설정되고, 단계 S302의 처리로 되돌아갈 때 상기 설정된 위치가 AF좌표B이고 전원을 온으로 한 후 처음으로 촬영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검출된 얼굴위치나 촬상 영역의 중앙위치를, AF좌표B로 설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AF좌표B에서 AF프레임(401)(마크나 지표)을 한층 더 표시한다.
단계 S3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의 AF좌표B의 위치에 AF프레임(401)을 표시한다(도시되지 않음).
단계 S3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AF좌표B의 위치에 AF를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단, 시스템 제어부(50)는, 항상 단계 S304에서 AF처리를 행할 필요는 없고, 유저가 연속 AF를 설정할 때에만 단계 S304에서의 AF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단계 S3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촬영 시작 지시가 내려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또한, 동화상의 촬영 시작 지시는, LV버튼(78)을 가압하여서 행해질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촬영 시작 지시가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단계 S305에서 YES), 단계 S306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촬영 시작 지시가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단계 S305에서 NO), 단계 S308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기록을 시작(기록 시작)하고, 촬상부(22)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기록 매체(200)에 동화상으로서 기록한다. 이 경우에, 유저가 설정한 AF위치에서 AF처리가 행해진 경우에는, 유저가 소망하는 피사체에 합초된 동화상이 기록된다.
단계 S3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패널(70a)에의 터치다운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다운이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07에서 YES)는, 단계 S310의 처리로 진행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다운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07에서 NO)는, 단계 S30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3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 화상 촬영 지시가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정지 화상촬영 지시는, 셔터 버튼(61)을 가압하여서 행해질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 화상 촬영 지시가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08에서 YES)는, 단계 S309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 화상 촬영 지시가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08에서 N0), 단계 S307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상부(22)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기록 매체(200)에 기록한다. 이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50)는, SW1의 가압의 검출에 따라 상기 설정된 AF좌표B에 있어서 AF처리를 행하고, SW2의 가압의 검출에 따라 AF좌표B에서 AF처리된 촬상 화상이 기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제어부(50)는, 유저가 소망하는 피사체에 합된 상기 촬상 화상을 기록한다.
단계 S3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설정된 터치 패드 설정이 상대 좌표 설정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설정된 터치 패드 설정이 상대 좌표 설정이라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10에서 YES)는, 단계 S311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설정된 터치 패드 설정이 상대 좌표 설정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10에서 NO), 단계 S33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센서(77)가 접안검지를 했는지(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센서(77)가 접안검지를 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11에서 YES)는, 단계 S312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센서(77)가 접안검지를 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11에서 NO), 단계 S332의 처리로 진행된다. 상술한 것처럼, 터치 패드 설정이 상대 좌표 설정이며, 접안 센서(77)가 접안검지를 한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312∼단계 S325의 상대 좌표 입력으로 AF위치 이동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터치 패드 설정이 절대 좌표 설정인 경우나, 또는 터치 패드 설정이 상대 좌표 설정이고 접안 센서(77)가 접안검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332 및 S333의 절대 좌표 입력으로 AF위치 이동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스템 타이머(53)를 사용하여서 시간T의 계측을 시작한다. 시간T는, 터치패널(70a)이 검지한 터치 조작이, 터치 시간이 짧은 탭 조작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데 필요한 시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다운이 검출되고 나서 터치 무브하지 않고 터치업이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의 계측을 시작한다.
단계 S3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다운 좌표 O를 취득하여 시스템 메모리(52)에 기록한다. 터치패널(70a)의 좌표계에서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방향에 x축, 종방향에 y축이 있고, 원점은 좌상 코너에 설정되어 있다. 터치다운 좌표 O를 (X0, Y0)로 한다.
단계 S3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가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터치다운이 검출된 점으로부터 소정거리이상, 터치 패널(70a)과 접촉하는 이동 조작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가 행해졌다고 판정한다. 그 소정거리는, 예를 들면 1센티미터나 0.5센티미터다. 터치 조작이 소정거리미만의 거리를 이동하면, 시스템 제어부(50)는, 그 조작을, 터치 무브로서가 아니라, 터치 위치가 본의 아니게 이동되는 탭 조작의 처리로서, 검출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가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14에서 YES)는, 단계 S315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가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14에서 NO), 단계 S328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312에서 계측을 시작한 시간T를 0으로 리셋트한다(T=0). 터치 무브의 검출 직후에 터치업(터치업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도, 시스템 제어부(50)는, 그 조작을 터치 무브의 종료로서 검출한다. 이 때문에, 시스템 제어부(50)는, 탭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하기 위한 시간T의 계측을 리셋트한다.
단계 S3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AF좌표B에 현재 표시된 AF프레임을, AF위치가 현재 변경중인 것을 나타내는 변경중 AF프레임(402)으로 변경한다. 도 4b는, 터치 무브가 검출된 후의 파인더내 표시부(76)의 표시 예와, 그 표시에 대응한 터치패널(70a)에서의 터치 조작의 예를 나타낸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부(50)는, AF좌표B에 표시되어 있었던 AF프레임(401)을 AF위치가 현재 변경중인 것을 나타내는 변경중 AF프레임(402)으로 변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제어부(50)는, AF좌표B에서 변경중 AF프레임(402)을 표시한다. 이 경우에, AF처리를 행하는 위치는 변경중 AF프레임(402)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인 채로, AF위치는 단계 S302 또는 단계 S303으로부터 변경되지 않고 있다.
단계 S3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의 터치 위치의 좌표(터치 좌표M(Xm, Ym))을 취득한다.
단계 S31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다운 좌표O과 터치 좌표M에 근거하여 상대 좌표C(Xc, Yc)=((Xm-X0), (Ym-Y0))을 산출한다. 도 4b에 도시된 터치다운 위치의 상대 좌표C는 ((X1-X0), (Y1-Y0))이다. 터치다운 좌표O으로부터 터치 좌표M까지의 거리L은, a1이다.
단계 S3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AF좌표B와 단계 S318에서 산출된 상대 좌표C에 근거하여 임시AF좌표P를 산출하고, 그 임시AF좌표P에 임시AF프레임(403)을 표시한다. 그 임시AF좌표P는 AF좌표B와 상대 좌표C를 가산하여 얻어진 좌표, 즉 ((Xb+Xc), (Yb+Yc))이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부(50)는, 산출된 임시AF좌표P의 위치에는 임시AF프레임(403)을 표시한다. 임시AF프레임(403)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는 아직 AF처리가 행해지지 않고 있지만, (후술하는) 터치업 또는 탭의 검출에 따라서 임시AF프레임(403)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AF처리가 행해질 것이다.
단계 S32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패널(70a)로부터의 터치업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업이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20에서 YES)는, 단계 S321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업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20에서 NO)는, 단계 S317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2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이 현재 촬영중(현재 기록중)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이 현재 촬영중(현재 기록 중)이라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21에서 YES)는, 단계 S322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이 현재 촬영중(현재 기록 중)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21에서 NO), 단계 S33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2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스템 타이머(53)를 사용하여서 시간S의 계측을 시작한다. 시간S는, 임시AF위치를 이동하는 터치 무브에 계속되어서 터치업이 행해진 후에, (후술하는) AF위치를 결정하는 조작 없이, 소정시간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데 필요하다.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임시AF프레임(403)이 표시되어 있는 좌표는 리셋트되고, AF위치의 이동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원래의 상태(단계 S301)가 회복된다. 이 경우에, 탭 조작을 행하여서 AF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가이드를 파인더내 표시부(76)에 표시해도 좋다.
단계 S32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상기 경과된 시간S가 소정시간β보다 긴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상기 경과된 시간S가 소정시간β보다 길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23에서 YES)는, 단계 S324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상기 경과된 시간S가 소정시간β보다 길지 않다(와 같거나 짧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23에서 NO), 단계 S326의 처리로 진행된다. 소정시간β는, 10초나 12초라고 한 시간 길이다.
단계 S32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도 4b에 도시된 AF좌표B에 표시되고 있었던 변경중 AF프레임(402)을 AF프레임(401)으로 변경하고,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AF좌표B에 AF프레임(401)을 표시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50)는, 임시AF프레임(403)을 비표시로 한다. 단계 S322로부터 행해진 AF위치를 결정하는 조작없이 소정시간보다 긴 시간이 경과했을 때, 유저는 이동 조작을 행한 임시AF좌표P의 위치에 AF위치를 이동시킬 의사가 없을 가능성이 높거나, 또는 원래의 AF위치가 그대로일 수도 있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임시AF좌표P의 위치에 AF위치를 이동시키지 않고, AF좌표B에서의 AF위치를 그대로 둔다.
단계 S32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시간S를 0으로 리셋트한다(S=0).
단계 S32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패널(70a)에 터치다운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패널(70a)에 터치다운이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26에서 YES)는, 단계 S327의 처리로 진행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패널(70a)에 터치다운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26에서 NO), 단계 S32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32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시간S를 0으로 리셋트한다(S=0).
단계 S32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패널(70a)로부터의 터치업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패널(70a)로부터의 터치업이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28에서 YES)는, 단계 S329의 처리로 진행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패널(70a)로부터의 터치업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28에서 NO), 단계 S31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32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경과된 시간T가 소정시간α보다 긴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경과된 시간T가 소정시간α보다 길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29에서 YES)는, 단계 S331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경과된 시간T가 소정시간α보다 길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즉, 터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단계 S329에서 NO), 단계 S330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 소정시간α는, 1초나 0.5초라고 한 시간 길이다.
단계 S33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시간T를 0으로 리셋트한다(T=0).
단계 S33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도 4b에 도시된 AF좌표B에 표시하고 있었던 변경중 AF프레임(402)을 AF프레임(401)으로 변경 하고,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AF좌표B에 AF프레임(401)을 표시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50)는, 임시AF프레임(403)을 비표시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정시간α미만의 시간에 행해진 탭 조작이 아니고, 소정시간α보다도 긴 시간동안 터치(장시간 가압)의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임시AF좌표P에 AF위치를 이동하지 않고, 터치 조작(터치 위치의 이동이 검출)전의 AF좌표B의 AF위치 그대로 둔다.
단계 S332∼단계 S333의 처리는, 터치 패드 설정이 절대 좌표 설정의 경우, 혹은 터치 패드 설정이 상대 좌표 설정이지만, 접안 센서(77)이 접안을 검지하지 않을 때 절대 좌표 설정으로 터치 조작을 접수하는 경우에 행해진다. 터치 패드 설정이 절대 좌표 설정일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다운이 행해진 위치에서 AF처리를 행한다.
단계 S33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다운 좌표O에 AF프레임(401)을 표시하고, 그 좌표를 AF좌표B(=터치다운 좌표 O)로서 시스템 메모리(52)에 기록한다. 도 4d는, 절대 좌표 설정으로 표시부(28)에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의 AF프레임 이동의 상태를 나타낸다. 접안부(16a)에 접안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유저는, 표시부(28)의 AF처리된 피사체가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터치 조작을 행하여도 좋다.
단계 S33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332에서 시스템 메모리(52)에 기록된 AF좌표B의 위치에서 AF처리를 행한다.
단계 S334∼단계 S336의 처리는, 상대 좌표 설정으로 AF위치 이동 조작을 접수했을 경우의 이동 결과로서 상기 위치에서의 AF처리에 관한 처리를 나타낸다.
단계 S33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임시AF좌표P에 표시되어 있었던 임시AF프레임(403)을 AF프레임(401)으로 변경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AF좌표B로서 시스템 메모리(52)에 기록하는 좌표를 단계 S300 또는 S334에서 기록한 좌표로부터 임시AF프레임 좌표P로 갱신한다.
단계 S33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AF좌표B에 현재 표시중인 변경중 AF프레임(402)을 비표시로 한다. 도 4c는 AF위치가 변경된 후의, 파인더내 표시부(76)와 터치패널(70a)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에 도시된 AF좌표B로부터 AF좌표가 이동하고 있다. 동화상 촬영에 있어서,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유저가 임시AF프레임(403)을 이동하고 나서 탭 조작(AF위치를 결정하는 조작)을 행하면, AF위치가 결정된다. 정지 화상 촬영과 동화상 기록의 대기 중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임시AF프레임(403)의 이동 후에 터치업을 행하면, AF위치가 결정된다.
단계 S33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334에서 시스템 메모리(52)에 기록된 AF좌표B의 위치에 AF처리를 행한다.
단계 S33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 촬영의 종료 지시가 내려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동화상 촬영의 종료 지시는, 동화상의 촬영중에 LV버튼(78)을 가압하여서 내려질 수 있다. 그렇지만,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촬영이외의 타이밍에 단계 S337의 판정은 행하지 않는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종료 지시가 내려졌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37에서 YES)는, 단계 S338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종료 지시가 내려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37에서 NO), 단계 S339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3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종료 처리를 행한다. 동화상의 종료 처리는, 예를 들면, 촬영 동화상 파일의 속성정보, 프레임간 정보, 섬네일의 작성을 행하고 압축 처리를 행해서, 작성한 동화상 파일을 재생 가능한 처리를 말한다. 이것들의 정보는 기록 매체(200)에 동화상 파일과 함께 기억된다.
단계 S33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종료 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종료 조작은, 재생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과, 전원을 끄는 조작을 포함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종료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39에서 YES)는, 시스템 제어부(50)는, AF위치 이동 처리를 종료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종료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39에서 NO), 단계 S30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의하면, 동화상 기록중과 다른 타이밍에서 조작성이 양호하게 AF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터치 조작으로 AF위치를 변경할 때에 동화상이 현재 기록중이면(단계 S321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50)는, 이동 조작을 행한 직후 AF처리를 행하지 않고, 상기 결정 조작에 따라서 AF처리를 행하는 위치를 변경한다. 결과적으로, 이 처리는, 동화상의 기록을 하고 있는 도중에 의도하지 않는 타이밍에서 AF위치가 변경될 가능성과, 이동 조작의 도중에 의도하지 않는 위치에서 AF처리가 행해질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이동 조작 후에 탭 조작을 행하는 것으로, 원하는 타이밍에서 임시AF프레임(403)이 표시되는 위치에 AF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하는 타이밍과 원하는 위치에서 AF위치를 변경한 동화상을 보다 얻기 쉬워진다.
또한, 동화상 기록이외의 타이밍(본 실시예에 의하면 정지 화상의 촬영 전후, 동화상 기록 대기중(단계 S321에서 NO))의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AF위치의 이동 조작 후 터치패널(70a)로부터 터치업에 따라, 상기 변경된 위치에서 AF처리를 행한다(단계 S334∼단계 S336). 보다 구체적으로, 임시AF프레임(403)의 이동하고 나서 터치업을 행한 직후, 임시AF프레임(403)의 위치에 AF처리가 행해짐으로써(임시AF프레임(403)이 AF프레임(401)으로 변경함으로써), 재빠르게 AF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재빠르게 AF위치를 변경하는 능력은, AF위치의 설정중에 촬영기회를 놓쳐버릴 가능성을 감소한다.
이렇게,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이 기록중인가 아닌가에 따라 AF위치를 변경하는 타이밍을 변경하므로, 조작성 좋게 AF위치의 변경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AF프레임(401), 변경중 AF프레임(402), 임시AF프레임(403)과 같이, AF위치에 관한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프레임의 표시 포맷을 변경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실제로 AF처리가 행해지고 있는 위치(AF프레임(401), 변경중 AF프레임(402))와, AF위치로서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위치(임시AF프레임(403))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323에 있어서 소정시간β가 경과할 때 AF위치를 AF좌표B 그대로 두었지만, 캔슬 조작이 접수되어도 좋다. 임시AF프레임이 현재 표시된 위치가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위치일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유저가 재빠르게 임시AF프레임의 위치를 캔슬(캔슬 처리)하고 새로운 AF프레임을 설정 가능하게 하거나, 혹은 이동 조작전의 위치에 되돌아갈 수 있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저가 터치업을 행한 후, 유저는, 소정시간β 대기하지 않고도 롱 터치 (2초나 3초 계속 터치한다)나 멀티 터치(2점이나 3점을 터치한다)등의 소정의 터치 조작을 행함으로써 임시AF프레임을 캔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소정시간β가 경과한 후에도 유저가 캔슬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시스템 제어부(50)는, 유저가, 임시AF프레임이 현재 표시되고 있는 위치를 시인하고, 소정시간β가 경과 후에, AF좌표를 결정(단계 S334이후의 처리)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고 결정해도 좋다.
상술한 단계 S32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임시AF프레임(403)을 비표시로 하였지만, 그 처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상기 프레임의 색이나 크기를 변경해도 좋다. 임시AF프레임(403)의 표시 포맷이 변경되면, 유저는, AF위치가 이동중이 아니게 결정되었거나, 혹은, 이동중인 임시AF 위치가 캔슬되어 임시AF프레임이 원래의 위치에 되돌아간 것을 인식한다. 그렇지만, AF프레임이 표시되는 위치는, 표시 포맷이 변경된 경우에도 그대로 있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파인더내 표시부(76)를 들여다보면서, 디지털 카메라(100)의 표시부(28)(터치패널(70a))에의 터치 조작을 행하여 AF위치의 이동 처리를 행한다. 이하, 제2실시예는, 따로 떨어진 위치에서 리모트 컨트롤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고 그 AF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 초점을 두어 설명한다. 이 경우에, 리모트 컨트롤 조작측에서, 유저는, 따로 떨어진 위치에서 디지털 카메라, 혹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의 표시 패널의 표시부를 보면서 조작을 행할 것이다. 리모트 촬영일 경우와, AF나 노출 등의 복수의 파라미터 설정을 복수의 사람이 병행하여 조작할 경우에는, 리모트 컨트롤러(504)를 사용해서 각 조작을 보다 쉽게 행한다.
도 5a 및 5b는 제2실시예가 적용가능한 촬상 제어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300)를 나타낸다.
도 5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504)와 디지털 카메라(300)가 무선으로 서로 통신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디지털 카메라(30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같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에는, 표시부(28)가 디지털 카메라(100)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300)에는, 표시부(501) 및 터치패널(502a)이 디지털 카메라(30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300)에는 OVF가 아니고 EVF(512)가, 디지털 카메라(300)의 본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에 촬상부(22)에 의해 촬영된 촬상 화상을 EVF(512)에 표시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300)에는, 제1실시예의 조작부 70과 같은 시스템 제어부(50)에 각종의 동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502)가 설치되어 있다. 통신부 506은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부 54와 같은 리모트 컨트롤러(504)와의 무선(또는 유선) 통신을 행한다.
도 5a는 리모트 컨트롤러(504)를 나타낸다. 도 5b는 리모트 컨트롤러(504)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리모트 컨트롤러(504)의 터치패널(508a)은, 터치 조작을 검출 가능하다.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70a)과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504)는, 터치 조작과 터치 위치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부(70)와 같이, 조작부(508)는 시스템 제어부(509)에 각종의 동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504)상에 설치된다. 통신부(503)는 디지털 카메라(3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가능하다. 터치패널(508a)로 검출된 터치 조작과 터치 위치 좌표는, 통신부(503)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300)에 송신(송신 제어)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510)(RAM)에는, 시스템 제어부(509)의 동작용의 정수들 및 변수들과, 불휘발성 메모리(511)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들이 로딩된다. 불휘발성 메모리(511)는, 전기적으로 소거 기록가능한 메모리, 이를테면 EEPROM이다. 불휘발성 메모리(511)에는, 시스템 제어부(509)의 동작용의 정수들과 프로그램들이 기억된다. 터치패널(508a)은, 디지털 카메라(300)의 촬상부(22)에 의해 촬영된 촬상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유저는, 디지털 카메라(300)의 표시부(501)의 영상 데이터를 보면서 리모트 컨트롤러(504)를 조작한다. 리모트 컨트롤러(504)에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디지털 카메라(300)와 리모트 컨트롤러(504)간에 대량의 데이터가 교환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데이터량이 작을수록, 데이터 송수신의 지연이 보다 적게 된다. 리모트 컨트롤러(504)는, 리모트 컨트롤러(504)의 터치패널(508a)에 있어서 검출된 터치 위치의 절대좌표가 아니고, 상대 좌표를 송수신 한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AF위치 이동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이 시스템 메모리(52)에 로딩되고 나서 시스템 제어부(50)에 의해 실행될 때 실현된다. 이 처리는, 디지털 카메라(300)와 리모트 컨트롤러(504)에 전원이 들어가고, 촬영 모드가 선택되고, 리모트 컨트롤러(504)와 디지털 카메라(300)간의 통신이 확립될 때, 시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는, 리모트 컨트롤러(504)의 터치패널(508a)로 터치 조작을 접수 가능하게 되고, 디지털 카메라(300)가 리모트 컨트롤러(504)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여 리모트 컨트롤러(504)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해서 AF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될 때, 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리모트 컨트롤러(504)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해서 AF위치 이동 처리를 행하지만, 시스템 제어부(50)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300)의 표시부(501)(터치패널502a)에서의 지시를 접수해도 좋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 따른 파인더내 표시부(76)와 제2실시예에 따른 EVF(512)를 마찬가지로 취급한다.
단계 S60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도 3a에 도시된 단계 S300과 같이 AF좌표B를 초기화하여 시스템 메모리(52)에 기록한다.
단계 S6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501)와 EVF(512)의 AF좌표B의 위치에 AF프레임(401)을 표시한다.
단계 S6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601에서 기록된 AF좌표B에 자동으로 합초하는 처리를 행한다.
단계 S603∼단계 S604의 처리는, 도 3a의 단계 S305∼단계 S306의 처리와 같다.
단계 S605 및 S606의 처리는, 도 3a의 단계 S308 및 단계 S309의 처리와 같다.
단계 S6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통신부(503)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504)로부터 지시가 접수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리모트 컨트롤러(504)로부터 지시가 접수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607에서 YES)는, 단계 S608의 처리로 진행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리모트 컨트롤러(504)로부터 지시가 접수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607에서 NO), 단계 S60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리모트 컨트롤러(504)는, 유저가 리모트 컨트롤러(504)의 터치패널(508a) 또는 조작부(508)에의 조작을 행할 때, 통신부(503)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300)에 지시를 송신한다.
단계 S6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리모트 컨트롤러(504)로부터 접수한 지시가 AF위치 이동 지시이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AF위치 이동 지시는, 리모트 컨트롤러(504)의 터치패널(508a)에서의 터치 위치의 이동(터치 무브)이 검출될 때, 통신부(503)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300)에 송신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AF위치 이동 지시가 접수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608에서 YES)는, 단계 S609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AF위치 이동 지시가 접수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608에서 NO)는, 단계 S620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6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도 3b에 도시된 단계 S316과 같이, AF좌표B에 현재 표시중인 AF프레임(401)을 AF위치가 현재 변경중인 것을 나타내는 변경중 AF프레임(402)으로 변경한다.
단계 S6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통신부(503)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504)에 있어서의 터치 무브의 좌표이동량C'(이동 거리와 방향)을 취득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의 이동량에 대한 정보를 단계 S607에 있어서 수신해도 좋거나, 리모트 컨트롤러(504)로 터치 무브가 검지될 때마다 터치 무브의 이동량을 수신해도 좋다.
단계 S6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AF좌표B와 단계 S610에서 수신한 좌표이동량C'에 근거하여 임시AF좌표P를 산출하고, 임시AF프레임(403)을 표시한다. 임시AF좌표P는, AF좌표B와 좌표이동량C'의 합이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부(50)는, 산출된 임시AF좌표P의 위치에는 임시AF프레임(403)을 표시한다.
단계 S6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AF위치 이동 종료 지시를 접수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AF위치 이동 종료 지시는, 리모트 컨트롤러(504)의 터치패널(508a)로부터의 터치업이다. 이 지시는, 단계 S608에서 수신한 AF위치 이동 지시의 터치 무브를 종료하는 조작을 접수시에 통신부(503)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300)에 송신된다.
단계 S6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이 현재 촬영중(동화상이 현재 기록중)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이 현재 촬영중(동화상이 현재 기록중)이라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613에서 YES)는, 단계 S614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이 현재 촬영중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정지 화상의 촬영전후, 동화상 기록 대기 중)(단계 S613에서 NO)는, 단계 S621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614∼단계 S617의 처리는, 도 3b의 단계 S322∼단계 S325와 같다.
단계 S61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통신부(506)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504)로부터 지시가 수신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리모트 컨트롤러(504)로부터 지시가 수신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618에서 YES)는, 단계 S619의 처리로 진행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리모트 컨트롤러(504)로부터 지시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618에서 NO), 단계 S615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렇게 하여, 시스템 제어부(50)는, AF위치 이동 종료 지시를 수신하고 나서 시간β이 경과할 때까지, 리모트 컨트롤러(504)로부터의 다음 지시를 기다린다.
단계 S6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시간S를 0으로 리셋트한다(S=0).
단계 S62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 S607에 있어서 수신한 리모트 컨트롤러(504)로부터의 지시가 AF위치 결정 지시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AF위치 결정 지시는, 리모트 컨트롤러(504)의 터치패널(508a)에서의 탭 조작의 검출에 응답하여, 통신부(503)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300)에 송신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AF위치 결정 지시가 수신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620에서 YES)는, 단계 S621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AF위치 결정 지시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620에서 NO)는, 단계 S626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621∼단계 S626의 처리는, 도 3c에 도시된 단계 S334∼단계 S339의 처리와 같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동화상 기록중과 그 밖의 타이밍에서 조작성이 좋게 AF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동화상이 현재 기록중이면(단계 S613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50)는, AF위치의 이동 지시의 수신직후 AF처리를 행하지 않고 결정 조작에 응답해서 변경된 위치에서의 AF처리를 행한다. 동화상 기록중이외의 타이밍(정지 화상의 촬영전후, 동화상기록 대기중(단계 S613에서 NO)에, 시스템 제어부(50)는, AF위치의 이동 조작을 행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의 수신시에, 시스템 제어부(50)는, 변경된 위치에서 AF처리를 행한다(단계 S621∼단계 S623).
이 처리는, 리모트 컨트롤러(504)의 표시부(505)에 촬상 화상을 연속적으로 송신하고, 표시된 각 촬상 화상의 피사체에의 터치 조작으로 절대 좌표에 의한 AF위치를 지정하는 처리보다도, 촬상 화상의 송수신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적은 양의 통신 데이터를 처리한다. 따라서, 데이터통신의 지연에 의한 타이밍 지연이 발생하기 어렵다. 리모트 컨트롤러(504)에서의 지시를 접수하는 것에 의해, 유저가, 따로 떨어진 위치의 표시부(501)에 표시된 피사체의 상황을 보면서 적절한 타이밍에서 AF위치의 이동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제2실시예의 변형 예>
제2실시예의 변형 예는, 제2실시예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 조작에 의한 AF처리의 지시를 행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변형 예는, 행해진 터치 조작에 따른 판정을 행하는 조작 개체에 있어서 상기 제2실시예와 다르다. 제2실시예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504)가 접수한 터치 조작에 응답하여, 리모트 컨트롤러(504)는 그 터치 조작에 대응한 처리를 판정하여, 디지털 카메라(300)에 그 처리를 행하는 지시를 송신한다. 제2실시예의 변형 예에서는, 상기 제2실시예와는 달리, 디지털 카메라(300)가 리모트 컨트롤러(504)에 의해 검출된 조작에 관한 커맨드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커맨드에 대응한 처리를 행한다.
도 5a 및 5b는, 제2실시예의 변형 예가 적용 가능한 촬상 제어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300)와 리모트 컨트롤러(504)를 나타낸다. 디지털 카메라(300)와 리모트 컨트롤러(504)의 구성은 상기 제2실시예와 같다.
도 7a, 7b, 8a, 8b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AF위치 이동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a, 7b에 나타낸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511)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510)에 로딩하고 나서 시스템 제어부(509)가 실행할 때 실현된다. 도 7a, 7b는 리모트 컨트롤러(504)의 처리를 나타낸다. 도 8은 디지털 카메라(300)의 처리를 나타낸다.
이하, 도 7a, 7b에 나타낸 리모트 컨트롤러(504)가 행한 AF위치 이동 지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처리는, 디지털 카메라(300)와 리모트 컨트롤러(504)에 전원이 들어가고, 촬영 모드가 선택되고, 리모트 컨트롤러(504)와 디지털 카메라(300)간의 통신이 확립될 때, 시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는, 리모트 컨트롤러(504)의 터치패널(508a)이 터치 조작을 접수 가능하게 되고, 디지털 카메라(300)가 리모트 컨트롤러(504)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여 리모트 컨트롤러(504)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AF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될 때, 시작된다.
단계 S7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9)는, 터치패널(508a)에의 터치다운이 행해졌는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9)는 터치다운이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701에서 YES)는, 단계 S702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는 터치다운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701에서 NO), 단계 S72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702∼단계 S705의 처리는, 도 3b에 나타낸 단계 S312∼단계 S315와 같다.
단계 S7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9)는, AF프레임 변경중 커맨드를, 통신부(503)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300)에 송신한다.
단계 S707 및 단계 S708의 처리는, 도 3b에 나타낸 단계 S317 및 단계 S318의 처리와 같다.
단계 S7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9)는, 단계 S708에서 산출한 상대 좌표C를, 통신부(503)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300)에 송신한다.
단계 S7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9)는, 터치패널(508a)로부터의 터치업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9)는 터치업이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710에서 YES)는, 단계 S711의 처리로 진행된다. 시스템 제어부(509)는 터치업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710에서 NO), 단계 S707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7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9)는, 디지털 카메라(300)의 기록 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기록 상태는, "동화상의 기록중", "동화상 기록 대기중", 및 "정지 화상의 촬영중" 중 어느 하나다.
단계 S7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9)는, 단계 S711에 있어서 취득한 기록 상태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디지털 카메라(300)의 기록 상태가 "동화상의 기록중"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9)는 기록 상태가 "동화상의 기록중"이라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712에서 YES)는, 단계 S713의 처리로 진행된다. 시스템 제어부(509)는 기록 상태가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동화상 기록 대기중" 또는 "정지 화상의 촬영 중")(단계 S712에서 NO)는, 단계 S72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713 및 단계 S714의 처리는, 도 3b에 나타낸 단계 S322 및 단계 S323의 처리와 같다.
단계 S7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9)는, 리셋트 커맨드를, 통신부(503)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300)에 송신한다. 그 리셋트 커맨드는, 단계 S709에서 송신한 상대 좌표C에 관한 조작이 행해지지 않게 하는 커맨드다.
단계 S716∼단계 S718의 처리는, 도 3b에 나타낸 단계 S325∼단계 S327의 처리와 같다.
단계 S719∼단계 S721의 처리는, 도 3c에 나타낸 단계 S328∼단계 S330의 처리와 같다.
단계 S72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9)는, 단계 S715와 같이, 리셋트 커맨드를, 통신부(503)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300)에 송신한다.
단계 S72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9)는, AF좌표B 갱신 커맨드(특정 커맨드)를, 통신부(503)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300)에 송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제어부(509)는, AF좌표B를 단계 S701에 있어서의 좌표로부터, 단계 S709에서 송신한 상대 좌표C에 따라 산출된 좌표로 갱신하도록 지시한다. 바꿔 말하면, 시스템 제어부(509)는, 유저 조작에 의해 내려진 AF좌표를 변경하는 지시를 나타내는 커맨드를 송신한다.
단계 S724에서의 처리는, 도 3c에 나타낸 단계 S339의 처리와 같다.
이하, 도 8a, 8b에 나타낸 디지털 카메라(300)에 의해 처리된 AF위치 이동 지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처리는, 디지털 카메라(300)와 리모트 컨트롤러(504)에 전원이 들어가고, 촬영 모드가 선택되고, 리모트 컨트롤러(504)와 디지털 카메라(300)간의 통신이 확립되면, 시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처리는, 리모트 컨트롤러(504)의 터치패널(508a)이 터치 조작을 접수 가능하게 되고, 디지털 카메라(300)가 리모트 컨트롤러(504)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여 리모트 컨트롤러(504)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AF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될 때, 시작된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52)에 로딩하고 나서 시스템 제어부(50)에 의해 실행될 때, 실현된다.
단계 S801∼단계 S804의 처리는, 도 3a에 나타낸 단계 S300∼단계 S303의 처리와 같다.
단계 S805∼단계 S807의 처리는, 도 3a에 나타낸 단계 S304∼단계 S306의 처리와 같다.
단계 S808 및 단계 S809의 처리는, 도 3a에 나타낸 단계 S308 및 단계 S309의 처리와 같다.
단계 S8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기록 상태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503)를 통하여, 리모트 컨트롤러(504)에 송신한다.
단계 S8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AF프레임 변경중 커맨드가 송신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AF프레임 변경중 커맨드가 송신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811에서 YES)는, 단계 S812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AF프레임 변경중 커맨드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811에서 NO), 단계 S81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8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도 3b에 나타낸 단계 S316과 같이, AF좌표B에 현재 표시된 AF프레임(401)을 AF위치가 현재 변경중인 것을 나타내는 변경중 AF프레임(402)으로 변경한다.
단계 S8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상대 좌표C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상대 좌표C에 관한 정보를 수신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813에서 YES)는, 단계 S814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상대 좌표C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813에서 NO), 단계 S81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8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도 3b에 나타낸 단계 S319과 같이, AF좌표B와 단계 S318에서 산출된 상대 좌표C에 근거하여 임시AF좌표P를 산출하고, 임시AF좌표P에 임시AF프레임(403)을 표시한다. 임시AF좌표P는 AF좌표B와 상대 좌표C를 가산하여서 얻어진 좌표, 즉 ((Xb+Xc), (Yb+Yc))이다.
단계 S8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리셋트 커맨드를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리셋트 커맨드를 수신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815에서 YES)는, 단계 S816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는 리셋트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815에서 NO), 단계 S817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8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도 3b에 나타낸 단계 S324 또는 단계 S331과 같이, 도 4b에 나타낸 AF좌표B에 표시하고 있었던 변경중 AF프레임(402)을 AF프레임(401)으로 변경하고, 도 4a와 같이 AF좌표B에 AF프레임(401)을 표시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50)는, 임시AF프레임(403)을 비표시로 한다.
단계 S8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AF좌표B 갱신 커맨드를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AF좌표B 갱신 커맨드를 수신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817에서 YES)는, 단계 S818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AF좌표B 갱신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817에서 NO), 단계 S821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818∼단계 S820의 처리는, 도 3c에 나타낸 단계 S334∼단계 S336의 처리와 같다.
단계 S821∼단계 S823의 처리는, 도 3c에 나타낸 단계 S337∼단계 S339의 처리와 같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의하면, 동화상 기록중과 그 밖의 타이밍에서 조작성이 좋게 AF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동화상이 현재 기록중이면(단계 S712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50)는, AF위치의 이동 지시 수신직후 AF처리를 행하지 않고 상기 결정 조작에 응답하여 변경된 위치에서의 AF처리를 행한다. 동화상 기록중 이외의 타이밍(정지 화상의 촬영전후, 동화상기록 대기중)(단계 S712에서 NO)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AF위치의 이동 조작을 행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의 수신시(단계 S817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50)는, 변경된 위치에서 AF처리를 행한다(단계 S818∼단계 S820).
이 처리는, 리모트 컨트롤러(504)의 표시부(505)에 촬상 화상을 연속적으로 송신하고, 표시된 각 촬상 화상의 피사체에의 터치 조작으로 절대 좌표에 의한 AF위치를 지정하는 처리보다도, 촬상 화상의 송수신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적은 양의 통신 데이터를 처리한다. 따라서, 데이터통신의 지연에 의한 타이밍 지연이 발생하기 어렵다. 리모트 컨트롤러(504)에서의 지시를 접수하는 것에 의해, 유저가, 따로 떨어진 위치의 표시부(501)에 표시된 피사체의 상황을 보면서 적절한 타이밍에서 AF위치의 이동 지시를 내릴 수 있다.
AF프레임(401), 변경중 AF프레임(402) 및 임시AF프레임(403)의 표시 포맷들은,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것에 한하지 않고, 식별가능하게 표시되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 색이 변경되고, 그 프레임이 점멸하고, 프레임의 선 굵기가 변경되고, 그 프레임은 색으로 충진되고, 위치는 프레임 대신에 점이나 화살표로 나타내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AF위치의 이동 조작을 터치 무브로 행하고, 결정 조작을 탭으로 행하였지만, 이들 조작들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터치 조작이나 조작부(70)에 구비된 버튼에의 조작이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AF위치의 이동 조작은, 십자 키(74)의 가압, 메인 전자 다이얼(71)이나 서브 전자 다이얼(73)의 회전 조작이어도 좋다. 상기 결정 조작은, SET버튼(75)의 가압, 터치패널(70a)에의 더블 탭, 또는 멀티 터치이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AF처리를 행하는 위치를 이동하는 조작에 초점을 두어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예들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처리를 행하는 위치(영역)의 설정(선택)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은, 특정한 인물의 얼굴에 합초하는 얼굴AF프레임의 선택과, 확대 및 축소(즉, 줌인, 줌아웃)가 행해진 위치의 선택에 적용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AE 및 WB라고 한 처리를 행할 때에, 기준으로서 사용되는 피사체, 위치 또는 영역의 선택에도 적용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절대 좌표 설정의 경우에는, 터치다운 좌표O에 AF좌표B를 설정하고 나서, AF처리를 행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그렇지만, 이하의 처리도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제어부(50)는, 절대 좌표 설정으로 동화상 촬영중이외의 타이밍에서 터치다운에 응답하여 터치다운 좌표O에서 AF처리를 행하고, 동화상 촬영중 터치업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업 좌표(터치업 직전의 터치 좌표)에서 AF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유저가 파인더(16)를 들여다보면서 절대 좌표 설정으로 조작을 행할 경우(표시부(28)에 화상을 비표시)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업에 의해 AF좌표B를 설정하여도 된다. 유저가 터치패널(70a)(표시부28)을 보면서 절대 좌표 설정으로 조작을 행할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다운 위치에 AF좌표B를 설정해도 좋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촬영 중에 상술한 표시부(28)에의 표시 상태에 따라서, 터치다운 또는 터치업으로 AF좌표B를 설정할 것인지를 결정하여도 되고, 그 밖의 타이밍에서는, 표시 상태에 상관없이 터치다운으로 AF좌표B를 설정해도 좋다.
시스템 제어부(50, 509)가 실행하는 상술한 각 흐름도는,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제어되어도 좋고, 복수의 하드웨어가 처리를 분담하여 장치전체를 제어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0, 300)와 리모트 컨트롤러(504)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예들은, AF처리, AE처리 및 AWB처리 등의 지정 위치에 근거한 처리를 행하는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촬상 제어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PC), 휴대전화단말, 휴대형의 화상 뷰어, 디지털 포토 프레임,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 북 리더, 타블렛PC, 스마트 폰, 가전장치 등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AF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해서 표시하고, 원격으로 디지털 카메라(네트워크 카메라를 포함한다)를 제어하는 스마트 폰, 타블렛PC, 데스크탑PC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들>
또한, 실시예들은, 이하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도 실현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들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억 매체를 통해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마이크로프로세싱 유닛(MPU)등)가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한다. 이 경우, 그 프로그램, 및 해당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는 상기 실시예들에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에 의하면, 동화상의 기록중과 동화상의 기록중이외의 타이밍에서는, 지정 위치에 근거해서 행해지는 특정한 처리에 관한 지정 위치를 설정하는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이하의 구성이 개시된다.
[실시예 1]
촬상 제어장치는, 터치패널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와, 상기 터치 검출부에 의해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표시부에 있어서 제1 마크를 상기 이동 조작에 대응한 양만큼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에,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를 떼어 놓고 있는 터치업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도,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닌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업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업 조작이 검출된 위치에 근거하는 상기 특정한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실시예 2]
촬상 제어장치는, 터치패널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와, 상기 터치 검출부에 의해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표시부에 있어서 제1 마크를 상기 이동 조작에 대응한 양만큼 이동한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에,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를 떼어 놓고 있는 터치업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도, 적어도 소정기간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닌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업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업 조작이 검출된 위치에 근거하는 상기 특정한 처리를 상기 소정기간내에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실시예 3]
촬상 제어장치는, 터치 조작을 접수 가능한 외부기기가 접수한 터치 조작에 관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조작에 관한 커맨드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표시부에 있어서 제1 마크를 상기 이동 조작에 대응한 양만큼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에, 상기 외부기기로부터의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를 떼어 놓고 있는 터치업 조작에 관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경우도,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닌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터치업 조작에 관한 상기 커맨드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업 조작이 검출된 위치에 근거하는 상기 특정한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실시예 4]
촬상 제어장치는,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와,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실행 가능한 촬상 장치에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터치 검출부가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조작의 이동량에 관한 커맨드를 상기 촬상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를 떼어 놓고 있는 터치업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 중에는,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특정한 커맨드를 송신하지 않고,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닌 소정의 상태에서, 상기 특정한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구비한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실시예들을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30)

  1. 터치패널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
    상기 터치 검출부에 의해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표시부에 있어서 제1 마크를 상기 이동 조작에 대응한 양만큼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및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에,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를 떼어 놓고 있는 터치업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도,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닌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업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업 조작이 검출된 위치에 근거하는 상기 특정한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상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처리는, 오토포커스, 자동노출 설정, 및 오토 화이트 밸런스 중 어느 하나인, 촬상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 중에는, 상기 터치업 조작이 검출된 후, 소정기간내에 특정한 조작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업 조작이 검출된 위치에 근거하는 상기 특정한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조작은 상기 터치패널에의 탭 조작인, 촬상 제어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에,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업 조작을 검출한 후, 상기 이동 조작에 따라 상기 특정한 처리를 행하지 않게 하는 캔슬 처리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마크를 비표시로 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캔슬 처리는,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에,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업 조작을 검출한 후, 상기 특정한 조작의 검출없이 소정기간의 경과에 응답하여 행해지는, 촬상 제어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캔슬 처리는,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에,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업 조작을 검출한 후, 소정기간내에 행해진 상기 특정한 조작과는 다른 제2 조작의 검출에 응답하여 행해지는, 촬상 제어장치.
  8. 터치패널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
    상기 터치 검출부에 의해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표시부에 있어서 제1 마크를 상기 이동 조작에 대응한 양만큼 이동한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및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에,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를 떼어 놓고 있는 터치업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도, 적어도 소정기간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닌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업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업 조작이 검출된 위치에 근거하는 상기 특정한 처리를 상기 소정기간내에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상 제어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닌 상기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업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마크의 표시 포맷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닌 상기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업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마크를 비표시로 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터치 검출부가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조작을 검출하기 전에, 상기 특정한 처리를 위한 기준으로서 상기 표시부의 위치에 제2 마크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터치 검출부가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한 처리를 위한 기준으로서 상기 표시부의 위치에 상기 제2 마크와는 다른 표시 포맷인 제3 마크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에,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상기 터치업 조작을 검출한 후에, 상기 제1 마크를 비표시로 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 조작 전에 설정된 상기 특정한 처리를 위한 기준으로서 상기 표시부의 위치에 제2 마크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닌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업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업 조작이 검출된 위치에 근거하는 상기 표시부의 위치에 제2 마크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에, 상기 터치업 조작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업 조작에 따라 상기 특정한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안부를 통해서 시인 가능한 파인더에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는 접근 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파인더 안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접근 검지부가 물체의 접근을 검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한층 더 상기 터치패널에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접근 검지부가 물체의 접근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상기 터치 검출부에 의해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표시부에 있어서 제1 마크를 상기 이동 조작에 대응한 양만큼 이동한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물체가 상기 파인더에 접근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 검출부에 의해 터치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 위치에 마크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 중에는, 상기 터치업 조작이 검출되고 나서 소정기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업 조작이 검출된 위치에 근거하는 상기 특정한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장치.
  18. 터치 조작을 접수 가능한 외부기기가 접수한 터치 조작에 관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조작에 관한 커맨드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표시부에 있어서 제1 마크를 상기 이동 조작에 대응한 양만큼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및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에, 상기 외부기기로부터의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를 떼어 놓고 있는 터치업 조작에 관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경우도,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닌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터치업 조작에 관한 상기 커맨드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업 조작이 검출된 위치에 근거하는 상기 특정한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상 제어장치.
  19.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실행 가능한 촬상 장치에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터치 검출부가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조작의 이동량에 관한 커맨드를 상기 촬상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터치 검출부가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를 떼어 놓고 있는 터치업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 중에는,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특정한 커맨드를 송신하지 않고,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닌 소정의 상태에서, 상기 특정한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상 제어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 중에는, 상기 터치 검출부가 탭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한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촬상 제어장치.
  21. 청구항 19 또는 20에 따른 촬상 제어장치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가 상기 이동 조작의 이동량에 관한 커맨드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표시되도록 제1 마크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가 특정한 커맨드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마크가 직전까지 표시되어 있었던 위치에 근거하는 상기 특정한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촬상 제어장치.
  22.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제 7항, 제 8항 또는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한 처리를 행한 후에, 촬상된 동화상을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장치.
  23.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제 7항, 제 8항, 제 18항 또는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 시작을 지시하는 지시부를 더 구비하는, 촬상 제어장치.
  24.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제 7항 또는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에의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표시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마크를 상기 이동 조작에 대응한 양만큼 이동한 위치에 표시하는 상대 좌표 설정과, 상기 터치패널에의 터치 위치에 상기 제1 마크를 표시하는 절대 좌표 설정간에, 전환하는 전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절대 좌표 설정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를 떼어 놓고 있는 터치업 조작이 검출된 위치에 근거하는 상기 특정한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장치.
  25.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제 7항, 제 8항, 제 18항 또는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상태는, 정지 화상 촬영 모드가 설정된 상태, 동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 동화상이 기록되지 않고 있는 상태, 및 라이브 뷰를 표시하지만 동화상이 기록되지 않고 있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포함하는, 촬상 제어장치.
  26. 터치패널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표시부에 있어서 제1 마크를 상기 이동 조작에 대응한 양만큼 이동한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에,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를 떼어 놓고 있는 터치업 조작을 검출하는 경우도,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닌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업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업 조작이 검출된 위치에 근거하는 상기 특정한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27. 터치패널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표시부에 있어서 제1 마크를 상기 이동 조작에 대응한 양만큼 이동한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에,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를 떼어 놓고 있는 터치업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도,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닌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업 조작이 검출될 때, 상기 터치업 조작이 검출된 위치에 근거하는 상기 특정한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28. 터치 조작을 접수 가능한 외부기기가 접수한 터치 조작에 관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조작에 관한 커맨드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표시부에 있어서 제1 마크를 상기 이동 조작에 대응한 양만큼 이동한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에, 상기 외부기기로부터의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를 떼어 놓고 있는 터치업 조작에 관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경우도,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닌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터치업 조작에 관한 커맨드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업 조작이 검출된 위치에 근거하는 상기 특정한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29.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실행 가능한 촬상 장치에 커맨드를 송신하는 단계; 및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조작의 이동량에 관한 커맨드를 상기 촬상 장치에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 조작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터치를 떼어 놓고 있는 터치업 조작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 중에는, 촬상에 관한 특정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특정한 커맨드를 송신하지 않고,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상된 동화상의 기록중이 아닌 소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30. 컴퓨터를, 청구항 1, 2, 3, 4, 5, 6, 7, 8, 18 또는 1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촬상 제어장치의 각 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60156149A 2015-11-30 2016-11-23 촬상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0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34301 2015-11-30
JP2015234301A JP6614943B2 (ja) 2015-11-30 2015-11-30 撮像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368A KR20170063368A (ko) 2017-06-08
KR102020373B1 true KR102020373B1 (ko) 2019-09-10

Family

ID=5877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149A KR102020373B1 (ko) 2015-11-30 2016-11-23 촬상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79881B2 (ko)
JP (1) JP6614943B2 (ko)
KR (1) KR102020373B1 (ko)
CN (1) CN1068175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0545B2 (ja) * 2014-12-24 2016-11-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装置、撮影条件設定方法及び撮影条件設定プログラム
JP6799475B2 (ja) * 2017-02-10 2020-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8928334B (zh) 2017-05-23 2021-03-19 株式会社万都 电子制动系统
JP7009096B2 (ja) * 2017-07-06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143098B2 (ja) * 2018-03-23 2022-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CN113261302B (zh) * 2018-12-25 2023-08-01 佳能株式会社 电子装置
JP7321786B2 (ja) * 2019-06-17 2023-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353811B2 (ja) 2019-06-17 202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4902104A (zh) * 2019-12-27 2022-08-12 佳能株式会社 电子设备、电子设备控制方法、程序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3143A (ja) 2011-03-24 2012-10-22 Olympus Imaging Corp 表示装置
JP2013115553A (ja) 2011-11-28 2013-06-10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9630B2 (ja) * 2005-07-06 2012-05-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73033A (ja) * 2008-05-09 2009-11-19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システム及びコントローラの制御方法,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ム
KR101505681B1 (ko) * 2008-09-05 201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방법
JP5127792B2 (ja) * 2009-08-18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957981B2 (en) * 2010-03-03 2015-02-17 Intellectual Ventures Fund 83 Llc Imaging device for capturing self-portrait images
JP5613005B2 (ja) * 2010-10-18 2014-10-22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
JP2012147100A (ja) * 2011-01-07 2012-08-02 Nikon Corp 撮像装置
JP5921121B2 (ja) * 2011-09-09 2016-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5532033B2 (ja) * 2011-09-16 2014-06-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52408B2 (ja) * 2012-01-16 2015-01-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40394B2 (ja) * 2012-07-02 2016-06-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US20140320698A1 (en) * 2013-04-29 2014-10-3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photo sequences with a camera
JP6231869B2 (ja) * 2013-12-12 2017-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通信機器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4580907B (zh) * 2014-12-31 2018-11-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防抖的拍照方法及装置
JP6415344B2 (ja) * 2015-02-04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590666B2 (ja) * 2015-11-30 2019-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742730B2 (ja) * 2016-01-05 2020-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6667294B2 (ja) * 2016-01-05 2020-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3143A (ja) 2011-03-24 2012-10-22 Olympus Imaging Corp 表示装置
JP2013115553A (ja) 2011-11-28 2013-06-10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03566A (ja) 2017-06-08
US9979881B2 (en) 2018-05-22
JP6614943B2 (ja) 2019-12-04
CN106817536B (zh) 2019-07-26
US20170155825A1 (en) 2017-06-01
KR20170063368A (ko) 2017-06-08
CN106817536A (zh)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373B1 (ko) 촬상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30626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103907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75379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7797714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2018129765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2015266A (zh) 电子设备、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419678B2 (en) Imag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9429012B (zh) 摄像控制设备、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557529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0661966B (zh) 电子设备、电子设备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JP6708516B2 (ja) 電子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097356A (ja) 撮像制御装置
US11418715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40129622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309466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171252B2 (ja) 撮像制御装置、及び、撮像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7254454B2 (ja) 撮像制御装置、及び、撮像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7210158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23048009A (ja) 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064713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2183847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21012238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21150784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9047379A (ja) 電子装置、撮像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