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554B1 - 점착제 조성물, 생체 전극, 및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생체 전극, 및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9554B1 KR102019554B1 KR1020170120456A KR20170120456A KR102019554B1 KR 102019554 B1 KR102019554 B1 KR 102019554B1 KR 1020170120456 A KR1020170120456 A KR 1020170120456A KR 20170120456 A KR20170120456 A KR 20170120456A KR 102019554 B1 KR102019554 B1 KR 1020195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adhesive composition
- resin
- sensitive adhesive
- bioelectro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1—Polysiloxa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7—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 A61B5/259—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using conductive adhesive means, e.g. ge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8—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 C08G18/289—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containing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81—Unsaturated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8108—Unsaturated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having only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8116—Unsaturated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having only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esters of acrylic or alkylacrylic acid having only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7/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8—Metal sheet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4—Coupling media or elements to improve sensor contact with skin or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0—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Adhesive Tap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도전성 및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고, 경량이며,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물에 젖어도 건조해도 도전성이 대폭 저하되는 일이 없는 생체 전극용의 생체 접촉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수지 및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도전성 재료가,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탄소수가 5 이상이며 분자 내에 2개의 플루오로술폰산 구조를 갖는 나트륨염, 칼륨염, 및 칼슘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염인 점착제 조성물.
-O3S-Y-La-A-Lb-Y-SO3 - (Mn+)2/n (1)
(식 중, A는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헤테로 원자가 개재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2가 탄화수소기이다. La, Lb는 에테르기, 에스테르기 등의 연결기이다. Y는 1∼6개의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2∼4의 알킬렌기이고, 카르보닐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Mn+는 Na+, K+, Ca2+ 중 어느 하나이다.)
[해결 수단] 수지 및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도전성 재료가,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탄소수가 5 이상이며 분자 내에 2개의 플루오로술폰산 구조를 갖는 나트륨염, 칼륨염, 및 칼슘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염인 점착제 조성물.
-O3S-Y-La-A-Lb-Y-SO3 - (Mn+)2/n (1)
(식 중, A는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헤테로 원자가 개재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2가 탄화수소기이다. La, Lb는 에테르기, 에스테르기 등의 연결기이다. Y는 1∼6개의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2∼4의 알킬렌기이고, 카르보닐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Mn+는 Na+, K+, Ca2+ 중 어느 하나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체의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의해 심박수 등의 몸의 상태를 검지할 수 있는 생체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및 생체 전극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IoT(Internet of Things)의 보급과 함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시계나 안경이 그 대표예이다. 또한, 의료 분야나 스포츠 분야에 있어서도, 몸의 상태를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필요해지고 있으며, 금후의 성장 분야이다.
의료 분야에서는, 예컨대 전기 신호에 의해 심장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심전도 측정과 같이, 미약 전류의 센싱에 의해 몸의 장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검토되고 있다. 심전도의 측정에서는, 도전 페이스트를 칠한 전극을 몸에 장착하여 측정을 행하는데, 이것은 1회만의 단시간의 측정이다. 이에 대해, 상기와 같은 의료용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발이 목표로 하는 것은, 수주간 연속해서 항상 건강 상태를 모니터하는 디바이스의 개발이다. 따라서, 의료용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생체 전극에는, 장시간 사용한 경우에도 도전성의 변화가 없는 것이나 피부 알레르기가 없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이들에 더하여, 경량인 것,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도 요구되고 있다.
의료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는, 몸에 부착하는 타입과, 의복에 편입하는 타입이 있고, 몸에 부착하는 타입으로서는, 상기한 도전 페이스트의 재료인 물과 전해질을 포함하는 수용성 겔을 이용한 생체 전극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수용성 겔은, 물을 유지하기 위한 수용성 폴리머 중에, 전해질로서 나트륨, 칼륨, 칼슘을 포함하고 있고, 피부로부터의 이온 농도의 변화를 전기로 변환한다. 한편, 의복에 편입하는 타입으로서는, PEDOT-PSS(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와 같은 도전성 폴리머나 은 페이스트를 섬유에 편입한 천을 전극에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그러나, 상기한 물과 전해질을 포함하는 수용성 겔을 사용한 경우에는, 건조에 의해 물이 없어지면 도전성이 없어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구리 등의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사용한 경우에는, 사람에 따라서는 피부 알레르기를 일으킬 위험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PEDOT-PSS와 같은 도전성 폴리머를 사용한 경우에도, 도전성 폴리머의 산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 알레르기를 일으킬 위험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우수한 도전성을 갖는 점에서, 금속 나노 와이어, 카본 블랙, 및 카본 나노튜브 등을 전극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특허문헌 3, 4, 5). 금속 나노 와이어는 와이어끼리의 접촉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적은 첨가량으로 통전(通電)할 수 있다. 그러나, 금속 나노 와이어는 선단이 뾰족한 가느다란 재료이기 때문에, 피부 알레르기 발생의 원인이 된다. 또한, 카본 나노튜브도 동일한 이유로 생체에의 자극성이 있다. 카본 블랙은 카본 나노튜브 정도의 독성은 없으나,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약간 있다. 이와 같이, 그것 자체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지 않아도, 재료의 형상이나 자극성에 의해 생체 적합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어, 도전성과 생체 적합성을 양립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입자를 전극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금속 중에서도, 이온화 경향이 가장 낮은 금, 백금, 은 등의 귀금속은 피부 알레르기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들 귀금속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도전성과 생체 적합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들 귀금속 입자를 수지에 혼합하는 경우에는, 절연체의 수지 중에서 입자끼리가 접촉하지 않으면 전기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입자끼리를 접촉시키기 위해서, 체적 비율로 70% 이상의 귀금속 입자를 배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금속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가의 귀금속 입자를 다량으로 배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매우 높아지고, 또한 중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요구되는 경량화를 달성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생체 전극은 피부로부터 떨어지면 몸으로부터의 정보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접촉 면적이 변화한 것만으로도 통전하는 전기량에 변동이 발생하여, 심전도(전기 신호)의 베이스 라인이 변동한다. 따라서, 신체로부터 안정된 전기 신호를 얻기 위해서, 생체 전극에는, 항상 피부에 접촉하고 있으며, 그 접촉 면적도 변화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그를 위해서는, 생체 전극이 점착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의 신축이나 굴곡 변화에 추종할 수 있는 신축성이나 플렉시블성도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도전성 및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고, 경량이며,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물에 젖어도 건조해도 도전성이 대폭 저하되는 일이 없는 생체 전극용의 생체 접촉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 이 점착제 조성물로 생체 접촉층을 형성한 생체 전극,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수지 및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도전성 재료가,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탄소수가 5 이상이며 분자 내에 2개의 플루오로술폰산 구조를 갖는 나트륨염, 칼륨염, 및 칼슘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염인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O3S-Y-La-A-Lb-Y-SO3 - (Mn+)2/n (1)
(식 중, A는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헤테로 원자가 개재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의 2가 탄화수소기이다. La, Lb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테르기, 에스테르기, 아미드기, 술폰산에스테르기, 카보네이트기, 카바메이트기, 및 이미노기 중, 어느 하나의 연결기이다. Y는 1∼6개의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2∼4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렌기이고, 카르보닐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Mn+는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및 칼슘 이온 중 어느 하나이고, n은 Mn+가 나트륨 이온 또는 칼륨 이온인 경우에는 1이며, Mn+가 칼슘 이온인 경우에는 2이다.)
이러한 점착제 조성물이면, 도전성 및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고, 경량이며,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물에 젖어도 건조해도 도전성이 대폭 저하되는 일이 없는 생체 전극용의 생체 접촉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이 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재료가, 하기 일반식 (1-1), (1-2), 또는 (1-3)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중, A, La, 및 Lb는 상기와 동일하다. Rf1∼Rf4는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및 트리플루오로메틸기에서 선택되는 기이고, Rf1∼Rf4 중 하나 이상은 불소 원자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이다. 또한, Rf1, Rf2가 합쳐져 카르보닐기를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는 것이면, 도전성 및 생체 적합성이 더욱 우수한 것이 되고, 물에 젖거나 건조하거나 한 경우의 도전성의 저하가 더욱 억제된 것이 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재료가, 음이온 중에 중합성의 이중 결합 또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는 것이면, 도전성 재료가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시에 수지와 반응하여 결합하기 때문에, 물에 젖거나 건조하거나 한 경우의 도전성의 저하가 더욱 억제된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수지가, 실리콘계, 아크릴계, 및 우레탄계의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면, 특히, 도전성 재료와의 상용성, 도전성 기재(基材)에 대한 접착성, 피부에 대한 점착성, 신축성, 발수성 등이 양호한 생체 접촉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또한 카본 재료를 함유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카본 재료를 함유하는 것이면, 도전성이 더욱 양호한 생체 접촉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카본 재료가, 카본 블랙 및 카본 나노튜브 중 어느 하나 또는 양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이러한 카본 재료를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전성 기재와 이 도전성 기재 상에 형성된 생체 접촉층을 갖는 생체 전극으로서, 상기 생체 접촉층이, 상기한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인 생체 전극을 제공한다.
이러한 생체 전극이면, 도전성 및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고, 경량이며,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물에 젖어도 건조해도 도전성이 대폭 저하되는 일이 없는 생체 접촉층이 형성된 생체 전극이 된다.
또한, 상기 도전성 기재가, 금, 은, 염화은, 백금, 알루미늄, 마그네슘, 주석, 텅스텐, 철, 구리, 니켈, 스테인리스, 크롬, 티탄, 및 탄소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체 전극에서는, 이러한 도전성 기재를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전성 기재와 이 도전성 기재 상에 형성된 생체 접촉층을 갖는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도전성 기재 상에, 상기한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생체 접촉층을 형성하는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조 방법이면, 도전성 및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고, 경량이며, 물에 젖어도 건조해도 도전성이 대폭 저하되는 일이 없는 생체 접촉층이 형성된 생체 전극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기재로서, 금, 은, 염화은, 백금, 알루미늄, 마그네슘, 주석, 텅스텐, 철, 구리, 니켈, 스테인리스, 크롬, 티탄, 및 탄소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에서는, 이러한 도전성 기재를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이면, 피부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효율적으로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고(즉, 도전성이 우수하고), 장기간 피부에 장착해도 알레르기를 일으킬 우려가 없으며(즉,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며), 경량이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물에 젖어도 건조해도 도전성이 대폭 저하되는 일이 없는 생체 전극용의 생체 접촉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이 된다. 또한, 카본 재료를 첨가함으로써 한층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점착성과 신축성을 갖는 수지와 조합함으로써 특히 고점착력이며 신축성이 높은 생체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첨가제 등에 의해 피부에 대한 신축성이나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지의 조성이나 생체 접촉층의 두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신축성이나 점착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생체 접촉층을 형성한 본 발명의 생체 전극이면, 의료용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용되는 생체 전극으로서, 특히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이면, 이러한 생체 전극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체 전극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생체 전극을 생체에 장착한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작한 생체 전극을 (a) 생체 접촉층측에서 본 개략도 및 (b) 도전성 기재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작한 생체 전극을 이용하여, 피부 표면에서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있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생체 전극을 생체에 장착한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작한 생체 전극을 (a) 생체 접촉층측에서 본 개략도 및 (b) 도전성 기재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작한 생체 전극을 이용하여, 피부 표면에서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있는 사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전성 및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고, 경량이며,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물에 젖어도 건조해도 도전성이 대폭 저하되는 일이 없는 생체 전극용의 생체 접촉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 이 점착제 조성물로 생체 접촉층을 형성한 생체 전극, 및 그 제조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생체 전극용의 생체 접촉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에 배합하는 도전성 재료로서,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알칼리토류 금속염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들 염은 수화성(水和性)이 높기 때문에, 이들 염을 첨가한 점착제 조성물로 생체 접촉층을 형성한 생체 전극은, 땀이나 세탁에 의해 염이 추출되어, 도전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대해 예의 검토를 거듭하여, 탄소수가 5 이상이고, 분자 내에 2개의 플루오로술폰산 구조를 가지며, 특정한 부위의 불소가 1∼6개인 플루오로술폰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이면, 물에의 용해성이 매우 낮아, 땀에 의한 추출에 의해 도전성이 저하되는 일이나, 피부 거칠어짐이 발생할 위험이 상당히 저하되는 것, 하나의 분자 내에 2개(2가분)의 이온 결합을 갖고 있기 때문에 높은 이온 도전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들 염을, 예컨대, 실리콘계, 아크릴계, 우레탄계의 점착제(수지)에 혼합한 것을 이용하여 생체 접촉층을 형성함으로써, 도전성 및 생체 적합성을 양립할 수 있고, 물에 젖거나 건조하거나 한 경우에도 도전성이 대폭 저하되지 않을 뿐만이 아니라, 항상 피부에 밀착하여, 장시간 안정적인 전기 신호를 얻을 수 있는 생체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수지 및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도전성 재료가,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탄소수가 5 이상이며 분자 내에 2개의 플루오로술폰산 구조를 갖는 나트륨염, 칼륨염, 및 칼슘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염인 점착제 조성물이다.
-O3S-Y-La-A-Lb-Y-SO3 - (Mn+)2/n (1)
(식 중, A는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헤테로 원자가 개재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의 2가 탄화수소기이다. La, Lb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테르기, 에스테르기, 아미드기, 술폰산에스테르기, 카보네이트기, 카바메이트기, 및 이미노기 중, 어느 하나의 연결기이다. Y는 1∼6개의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2∼4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렌기이고, 카르보닐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Mn+는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및 칼슘 이온 중 어느 하나이고, n은 Mn+가 나트륨 이온 또는 칼륨 이온인 경우에는 1이며, Mn+가 칼슘 이온인 경우에는 2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도전성 재료 및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전성 재료(염)]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도전성 재료로서 배합되는 염은,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탄소수가 5 이상이며 분자 내에 2개의 플루오로술폰산 구조를 갖는 나트륨염, 칼륨염, 및 칼슘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염이다.
-O3S-Y-La-A-Lb-Y-SO3 - (Mn+)2/n (1)
(식 중, A는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헤테로 원자가 개재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의 2가 탄화수소기이다. La, Lb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테르기, 에스테르기, 아미드기, 술폰산에스테르기, 카보네이트기, 카바메이트기, 및 이미노기 중, 어느 하나의 연결기이다. Y는 1∼6개의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2∼4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렌기이고, 카르보닐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Mn+는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및 칼슘 이온 중 어느 하나이고, n은 Mn+가 나트륨 이온 또는 칼륨 이온인 경우에는 1이며, Mn+가 칼슘 이온인 경우에는 2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도전성 재료로서 배합되는 염은, 하기 일반식 (1-1), (1-2), 또는 (1-3)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중, A, La, 및 Lb는 상기와 동일하다. Rf1∼Rf4는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및 트리플루오로메틸기에서 선택되는 기이고, Rf1∼Rf4 중 하나 이상은 불소 원자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이다. 또한, Rf1, Rf2가 합쳐져 카르보닐기를 형성해도 좋다.)
A는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헤테로 원자가 개재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의 2가 탄화수소기이다. A로서는, 예컨대, 탄소수 1∼30, 바람직하게는 2∼16의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알키닐렌기, 탄소수 4∼16, 바람직하게는 6∼13의 아릴렌기, 복소 방향족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기는, 에테르기, 카르보닐기, 아미노기, 술포닐기 등을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일반식 (1-1), (1-2), 또는 (1-3)으로 나타내어지는 염의 플루오로술폰산 음이온은, 구체적으로는 하기에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중에서도 중합성의 이중 결합 또는 히드록시기를 갖고 있는 것은,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시에 수지(베이스 수지)와 반응하여 결합함으로써, 물에 젖은 경우에도 생체 접촉층 내에 머물러, 생체 접촉층으로부터 추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1-1), (1-2), 또는 (1-3)으로 나타내어지는 염의 합성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유기 용제 중에서, 상기한 플루오로술폰산 음이온과 암모늄 양이온으로 이루어지는 암모늄염을,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혹은 염화칼슘과 혼합함으로써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부생성물로서 발생한 염화암모늄을 수세(水洗)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전성 재료로서 배합되는 염의 배합량은,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0.1∼200 질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00 질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염은, 1종 단독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의 혼합이어도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도전성 재료로서 배합되는 염의 일부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5-20693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공보에 있어서, 염은 화학 증폭형 레지스트 재료에 배합되는 광산 발생제의 재료로서 기재되어 있을 뿐이다.
[수지]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배합되는 수지는, 상기한 도전성 재료(염)의 생체 접촉층으로부터의 용출을 방지하여, 염을 유지하기 위한 성분이다. 한편,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 및 광경화성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양방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는, 실리콘계, 아크릴계, 및 우레탄계의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계의 수지로서는, 부가 반응 경화형 또는 라디칼 가교 반응 경화형의 것을 들 수 있다. 부가 반응 경화형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93803호 공보에 기재된, 알케닐기를 갖는 디오르가노실록산, R20 3SiO0 .5 및 SiO2 단위를 갖는 MQ 레진, SiH기를 복수 갖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백금 촉매, 부가 반응 제어제, 및 유기 용제를 함유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라디칼 가교 반응 경화형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93803호 공보에 기재된, 알케닐기를 갖고 있어도 갖고 있지 않아도 좋은 디오르가노폴리실록산, R20 3SiO0.5 및 SiO2 단위를 갖는 MQ 레진, 유기 과산화물, 및 유기 용제를 함유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R20은 탄소수 1∼10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1가의 탄화수소기이다.
또한, 폴리머 말단이나 측쇄에 실라놀을 갖는 폴리실록산과, MQ 레진을 축합 반응시켜 형성한 폴리실록산·레진 일체형 화합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MQ 레진은 실라놀을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이것을 첨가함으로써 점착력이 향상되지만, 가교성이 없기 때문에 폴리실록산과 분자적으로 결합하고 있지 않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실록산과 레진을 일체형으로 함으로써, 점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리콘계의 수지에는, 아미노기, 옥시란기, 옥세탄기, 폴리에테르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메르캅토기, 메타크릴기, 아크릴기, 페놀기, 실라놀기, 카르복실산 무수물기, 아릴기, 아랄킬기, 아미드기, 에스테르기, 락톤환에서 선택되는 기를 갖는 변성 실록산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변성 실록산을 첨가함으로써, 도전성 재료(염)의 실리콘 수지 중에서의 분산성이 향상된다. 변성 실록산은 실록산의 한쪽 말단, 양 말단, 측쇄 중 어느 하나가 변성된 것이어도 상관없다.
아크릴계의 수지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6-011338호 공보에 기재된, 친수성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장쇄 소수성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반복 단위로서 갖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작용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나 실록산 결합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공중합해도 좋다.
우레탄계의 수지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6-065238호 공보에 기재된, 우레탄 결합과, 폴리에테르나 폴리에스테르 결합, 폴리카보네이트 결합, 실록산 결합을 갖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접촉층으로부터 염이 용출하는 것에 의한 도전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수지는 전술한 염과의 상용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성 기재로부터의 생체 접촉층의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수지는 도전성 기재에 대한 접착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를, 염과의 상용성이나 도전성 기재에 대한 접착성이 높은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극성이 높은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수지로서는, 에테르 결합, 에스테르 결합, 아미드 결합, 이미드 결합, 우레탄 결합, 티오우레탄 결합, 및 티올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갖는 수지, 혹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티오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한편으로, 생체 접촉층은 생체에 접촉하기 때문에, 생체로부터의 땀의 영향을 받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수지는 발수성이 높고, 가수 분해하기 어려운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를, 발수성이 높고, 가수 분해하기 어려운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규소를 함유하는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규소 원자를 함유하는 폴리아크릴 수지로서는, 실리콘을 주쇄에 갖는 폴리머와 규소 원자를 측쇄에 갖는 폴리머가 있는데, 어느 것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리콘을 주쇄에 갖는 폴리머로서는, (메트)아크릴프로필기를 갖는 실록산 혹은 실세스퀴옥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광라디칼 발생제를 첨가함으로써 (메트)아크릴 부분을 중합시켜 경화시킬 수 있다.
규소 원자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79946호 공보, 미국 특허 제5981680호 공보에 기재된 폴리아미드 실리콘 수지 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 실리콘 수지는, 예컨대, 양 말단에 아미노기를 갖는 실리콘 또는 양 말단에 아미노기를 갖는 비실리콘 화합물과, 양 말단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실리콘 또는 양 말단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실리콘을 조합하여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아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환화(環化)되기 전의 폴리아미드산을 이용해도 좋다. 폴리아미드산의 카르복실기의 가교에는, 에폭시계나 옥세탄계의 가교제를 이용해도 좋고, 카르복실기와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 부분의 광라디칼 가교를 행해도 좋다.
규소 원자를 함유하는 폴리이미드 수지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32305호 공보에 기재된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 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 수지는 점성이 매우 높으나,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용제 및 가교제로서 배합함으로써 저점성으로 할 수 있다.
규소 원자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수지로서는, 폴리우레탄 실리콘 수지를 들 수 있고, 이러한 폴리우레탄 실리콘 수지에서는,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과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블렌드하여 가열함으로써 우레탄 결합에 의한 가교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방에 규소 원자(실록산 결합)를 함유할 필요가 있다. 혹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20418호 공보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폴리실록산에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블렌드하여 광가교시킬 수도 있다. 또한, 실록산 결합과 우레탄 결합의 양방을 가지며,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폴리머를 광가교시킬 수도 있다.
규소 원자를 함유하는 폴리티오우레탄 수지는, 티올기를 갖는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가 규소 원자를 함유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고 있으면, 광경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리콘계의 수지에 있어서, 전술한 알케닐기를 갖는 디오르가노실록산, R20 3SiO0.5 및 SiO2 단위를 갖는 MQ 레진, SiH기를 복수 갖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에 더하여, 아미노기, 옥시란기, 옥세탄기, 폴리에테르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메르캅토기, 메타크릴기, 아크릴기, 페놀기, 실라놀기, 카르복실산 무수물기, 아릴기, 아랄킬기, 아미드기, 에스테르기, 락톤환에서 선택되는 기를 갖는 변성 실록산을 첨가함으로써 전술한 염과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생체 접촉층은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이다. 경화시킴으로써, 피부와 도전성 기재의 양방에 대한 생체 접촉층의 접착성이 양호한 것이 된다. 한편, 경화 수단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열 및 광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양방, 혹은 산 또는 염기 촉매에 의한 가교 반응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가교 반응에 대해서는, 예컨대, 가교 반응 핸드북 나카야마 야스하루 마루젠 출판(2013년)에 기재된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행할 수 있다.
알케닐기를 갖는 디오르가노실록산과, SiH기를 복수 갖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은, 백금 촉매에 의한 부가 반응에 의해 가교시킬 수 있다.
백금 촉매로서는, 염화백금산, 염화백금산의 알코올 용액, 염화백금산과 알코올의 반응물, 염화백금산과 올레핀 화합물의 반응물, 염화백금산과 비닐기 함유 실록산의 반응물, 백금-올레핀 착체, 백금-비닐기 함유 실록산 착체 등의 백금계 촉매, 로듐 착체 및 루테늄 착체 등의 백금족 금속계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촉매를 알코올계, 탄화수소계, 실록산계 용제에 용해·분산시킨 것을 이용해도 좋다.
한편, 백금 촉매의 첨가량은,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5∼2,000 ppm, 특히는 10∼500 pp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가 경화형의 실리콘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부가 반응 제어제를 첨가해도 좋다. 이 부가 반응 제어제는, 용액 중 및 도막(塗膜) 형성 후의 가열 경화 전의 저온 환경하에서, 백금 촉매가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켄처(quencher)로서 첨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3-메틸-1-부틴-3-올, 3-메틸-1-펜틴-3-올, 3,5-디메틸-1-헥신-3-올, 1-에티닐시클로헥산올, 3-메틸-3-트리메틸실록시-1-부틴, 3-메틸-3-트리메틸실록시-1-펜틴, 3,5-디메틸-3-트리메틸실록시-1-헥신, 1-에티닐-1-트리메틸실록시시클로헥산, 비스(2,2-디메틸-3-부티녹시)디메틸실란, 1,3,5,7-테트라메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1,3,3-테트라메틸-1,3-디비닐디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부가 반응 제어제의 첨가량은,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0∼10 질량부, 특히 0.05∼3 질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화를 행하는 방법으로서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말단이나 올레핀 말단을 갖고 있는 수지를 이용하거나, 말단이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레핀이나 티올기로 되어 있는 가교제를 첨가하고, 광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광라디칼 발생제를 첨가하는 방법이나, 옥시란기, 옥세탄기, 비닐에테르기를 갖고 있는 수지나 가교제를 이용하고, 광에 의해 산을 발생시키는 광산 발생제를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광라디칼 발생제로서는, 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벤질, 벤질, 벤조인, 벤조페논, 2-벤조일벤조산,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4-벤조일벤조산,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벤조일벤조산메틸, 2-(1,3-벤조디옥솔-5-일)-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벤질-2-(디메틸아미노)-4'-모르폴리노부티로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4-디에틸티오크산텐-9-온,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1,4-디벤조일벤젠, 2-에틸안트라퀴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2-히드록시-4'-(2-히드록시에톡시)-2-메틸프로피오페논, 2-이소니트로소프로피오페논, 2-페닐-2-(p-톨루엔술포닐옥시)아세토페논(BAPO)을 들 수 있다.
열분해형의 라디칼 발생제를 첨가함으로써 경화시킬 수도 있다. 열라디칼 발생제로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2,2'-아조비스(메틸프로피온아미딘)염산,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염산,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1[(1-시아노-1-메틸에틸)아조]포름아미드, 2,2'-아조비스[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N-(2-프로페닐)-2-메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N-부틸-2-메틸프로피온아미드), 디메틸-2,2'-아조비스(이소부틸레이트), 4,4'-아조비스(4-시아노펜탄산),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벤조일퍼옥사이드, tert-부틸히드로퍼옥사이드, 쿠멘히드로퍼옥사이드, 디-tert-부틸퍼옥사이드, 디-tert-아밀퍼옥사이드, 디-n-부틸퍼옥사이드,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디쿠밀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광산 발생제로서는, 술포늄염, 요오도늄염, 술포닐디아조메탄, N-술포닐옥시이미드, 옥심-O-술포네이트형 산발생제 등을 들 수 있다. 광산 발생제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11103호 공보의 단락 [0122]∼[0142], 일본 특허 공개 제2009-08047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한편, 라디칼 발생제나 광산 발생제의 첨가량은,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0.1∼50 질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부여제]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생체에 대한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점착성 부여제를 첨가해도 좋다. 이러한 점착성 부여제로서는, 예컨대, 실리콘 레진이나 비가교성의 실록산, 비가교성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비가교성의 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용제]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유기 용제를 첨가할 수 있다. 유기 용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톨루엔, 크실렌, 쿠멘, 1,2,3-트리메틸벤젠, 1,2,4-트리메틸벤젠, 1,3,5-트리메틸벤젠,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부틸벤젠, sec-부틸벤젠, 이소부틸벤젠, 시멘, 디에틸벤젠, 2-에틸-p-크실렌, 2-프로필톨루엔, 3-프로필톨루엔, 4-프로필톨루엔, 1,2,3,5-테트라메틸톨루엔, 1,2,4,5-테트라메틸톨루엔,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4-페닐-1-부텐, tert-아밀벤젠, 아밀벤젠, 2-tert-부틸톨루엔, 3-tert-부틸톨루엔, 4-tert-부틸톨루엔, 5-이소프로필-m-크실렌, 3-메틸에틸벤젠, tert-부틸-3-에틸벤젠, 4-tert-부틸-o-크실렌, 5-tert-부틸-m-크실렌, tert-부틸-p-크실렌, 1,2-디이소프로필벤젠, 1,3-디이소프로필벤젠, 1,4-디이소프로필벤젠, 디프로필벤젠, 3,9-도데카디인, 펜타메틸벤젠, 헥사메틸벤젠, 헥실벤젠, 1,3,5-트리에틸벤젠 등의 방향족계 탄화수소계 용제, n-헵탄, 이소헵탄, 3-메틸헥산, 2,3-디메틸펜탄, 3-에틸펜탄, 1,6-헵타디엔, 5-메틸-1-헥신, 노르보르난, 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1-메틸-1,4-시클로헥사디엔, 1-헵틴, 2-헵틴, 시클로헵탄, 시클로헵텐, 1,3-디메틸시클로펜탄, 에틸시클로펜탄, 메틸시클로헥산, 1-메틸-1-시클로헥센, 3-메틸-1-시클로헥센, 메틸렌시클로헥산, 4-메틸-1-시클로헥센, 2-메틸-1-헥센, 2-메틸-2-헥센, 1-헵텐, 2-헵텐, 3-헵텐, n-옥탄, 2,2-디메틸헥산, 2,3-디메틸헥산, 2,4-디메틸헥산, 2,5-디메틸헥산, 3,3-디메틸헥산, 3,4-디메틸헥산, 3-에틸-2-메틸펜탄, 3-에틸-3-메틸펜탄, 2-메틸헵탄, 3-메틸헵탄, 4-메틸헵탄, 2,2,3-트리메틸펜탄, 2,2,4-트리메틸펜탄, 시클로옥탄, 시클로옥텐, 1,2-디메틸시클로헥산, 1,3-디메틸시클로헥산, 1,4-디메틸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비닐시클로헥산, 이소프로필시클로펜탄, 2,2-디메틸-3-헥센, 2,4-디메틸-1-헥센, 2,5-디메틸-1-헥센, 2,5-디메틸-2-헥센, 3,3-디메틸-1-헥센, 3,4-디메틸-1-헥센, 4,4-디메틸-1-헥센, 2-에틸-1-헥센, 2-메틸-1-헵텐, 1-옥텐, 2-옥텐, 3-옥텐, 4-옥텐, 1,7-옥타디엔, 1-옥틴, 2-옥틴, 3-옥틴, 4-옥틴, n-노난, 2,3-디메틸헵탄, 2,4-디메틸헵탄, 2,5-디메틸헵탄, 3,3-디메틸헵탄, 3,4-디메틸헵탄, 3,5-디메틸헵탄, 4-에틸헵탄, 2-메틸옥탄, 3-메틸옥탄, 4-메틸옥탄, 2,2,4,4-테트라메틸펜탄, 2,2,4-트리메틸헥산, 2,2,5-트리메틸헥산, 2,2-디메틸-3-헵텐, 2,3-디메틸-3-헵텐, 2,4-디메틸-1-헵텐, 2,6-디메틸-1-헵텐, 2,6-디메틸-3-헵텐, 3,5-디메틸-3-헵텐, 2,4,4-트리메틸-1-헥센, 3,5,5-트리메틸-1-헥센, 1-에틸-2-메틸시클로헥산, 1-에틸-3-메틸시클로헥산, 1-에틸-4-메틸시클로헥산, 프로필시클로헥산,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 1,1,3-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4-트리메틸시클로헥산, 1,2,3-트리메틸시클로헥산, 1,2,4-트리메틸시클로헥산, 1,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알릴시클로헥산, 히드린단, 1,8-노나디엔, 1-노닌, 2-노닌, 3-노닌, 4-노닌, 1-노넨, 2-노넨, 3-노넨, 4-노넨, n-데칸, 3,3-디메틸옥탄, 3,5-디메틸옥탄, 4,4-디메틸옥탄, 3-에틸-3-메틸헵탄, 2-메틸노난, 3-메틸노난, 4-메틸노난, tert-부틸시클로헥산, 부틸시클로헥산, 이소부틸시클로헥산, 4-이소프로필-1-메틸시클로헥산, 펜틸시클로펜탄, 1,1,3,5-테트라메틸시클로헥산, 시클로도데칸, 1-데센, 2-데센, 3-데센, 4-데센, 5-데센, 1,9-데카디엔, 데카히드로나프탈렌, 1-데신, 2-데신, 3-데신, 4-데신, 5-데신, 1,5,9-데카트리엔, 2,6-디메틸-2,4,6-옥타트리엔, 리모넨, 미르센, 1,2,3,4,5-펜타메틸시클로펜타디엔, α-펠란드렌, 피넨, 테르피넨, 테트라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 5,6-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1,4-데카디인, 1,5-데카디인, 1,9-데카디인, 2,8-데카디인, 4,6-데카디인, n-운데칸, 아밀시클로헥산, 1-운데센, 1,10-운데카디엔, 1-운데신, 3-운데신, 5-운데신, 트리시클로[6.2.1.02,7]운데카-4-엔, n-도데칸, 2-메틸운데칸, 3-메틸운데칸, 4-메틸운데칸, 5-메틸운데칸, 2,2,4,6,6-펜타메틸헵탄, 1,3-디메틸아다만탄, 1-에틸아다만탄, 1,5,9-시클로도데카트리엔, 1,2,4-트리비닐시클로헥산, 이소파라핀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2-옥타논, 2-노나논, 2-헵타논, 3-헵타논, 4-헵타논, 2-헥사논, 3-헥사논, 디이소부틸케톤, 메틸시클로헥사논, 메틸 n-펜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3-메톡시부탄올, 3-메틸-3-메톡시부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1-에톡시-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이소부틸에테르, 디이소펜틸에테르, 디-n-펜틸에테르, 메틸시클로펜틸에테르, 메틸시클로헥실에테르, 디-n-부틸에테르, 디-sec 부틸에테르, 디이소펜틸에테르, 디-sec-펜틸에테르, 디-tert-아밀에테르, 디-n-헥실에테르, 아니솔 등의 에테르계 용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젖산에틸, 피루브산에틸, 아세트산부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아세트산 tert-부틸, 프로피온산 tert-부틸, 프로필렌글리콜모노 tert-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γ-부티로락톤 등의 락톤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유기 용제의 첨가량은,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10∼50,000 질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 재료]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도전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도전성 향상제로서, 카본 재료를 첨가할 수 있다. 카본 재료로서는, 카본 블랙, 카본 나노튜브 등을 들 수 있다. 카본 나노튜브는 단층, 다층의 어느 것이어도 좋고, 표면이 유기기로 수식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카본 재료의 첨가량은,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1∼50 질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 재료 이외의 도전성 향상제]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카본 재료 이외의 도전성 향상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를 금, 은, 백금 등의 귀금속으로 코트한 입자나 금, 은, 백금 등의 나노 입자, 인듐주석의 산화물(ITO), 인듐아연 산화물(IZO), 주석 산화물, 아연 산화물 등의 금속 산화물의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이면, 피부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효율적으로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고(즉, 도전성이 우수하고), 장기간 피부에 장착해도 알레르기를 일으킬 우려가 없으며(즉,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며), 경량이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물에 젖어도 건조해도 도전성이 대폭 저하되는 일이 없는 생체 전극용의 생체 접촉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이 된다. 또한, 카본 재료를 첨가함으로써 한층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점착성과 신축성을 갖는 수지와 조합함으로써 특히 고점착력이며 신축성이 높은 생체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첨가제 등에 의해 피부에 대한 신축성이나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지의 조성이나 생체 접촉층의 두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신축성이나 점착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생체 전극>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전성 기재와 이 도전성 기재 상에 형성된 생체 접촉층을 갖는 생체 전극으로서, 상기 생체 접촉층이, 전술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인 생체 전극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생체 전극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체 전극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의 생체 전극(1)은, 도전성 기재(2)와 이 도전성 기재(2) 상에 형성된 생체 접촉층(3)을 갖는 것이다. 생체 접촉층(3)은, 도전성 재료(염)(4)와 카본 재료(5)가 수지(6) 중에 분산된 층이다.
이러한 도 1의 생체 전극(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 접촉층(3)(즉, 염(4)과 카본 재료(5)가 수지(6) 중에 분산된 층)을 생체(7)와 접촉시키고, 염(4)과 카본 재료(5)에 의해 생체(7)로부터 전기 신호를 취출하며, 이것을 도전성 기재(2)를 통해, 센서 디바이스 등(도시하지 않음)까지 전도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생체 전극이면, 전술한 염에 의해 도전성 및 생체 적합성을 양립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카본 재료 등의 도전성 향상제를 첨가함으로써 도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점착성도 갖고 있기 때문에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일정하고, 피부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고감도로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생체 전극의 각 구성 재료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전성 기재]
본 발명의 생체 전극은, 도전성 기재를 갖는 것이다. 이 도전성 기재는, 통상, 센서 디바이스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생체로부터 생체 접촉층을 통해 취출한 전기 신호를 센서 디바이스 등까지 전도시킨다.
도전성 기재로서는, 도전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금, 은, 염화은, 백금, 알루미늄, 마그네슘, 주석, 텅스텐, 철, 구리, 니켈, 스테인리스, 크롬, 티탄, 및 탄소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성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경질의 도전성 기판 등이어도 좋고, 플렉시블성을 갖는 도전성 필름이나 도전성 페이스트를 표면에 코팅한 천이나 도전성 폴리머를 이겨 넣은 천이어도 좋다. 도전성 기재는 평탄해도 요철이 있어도 금속선을 짠 메시 형상이어도 좋고, 생체 전극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생체 접촉층]
본 발명의 생체 전극은, 도전성 기재 상에 형성된 생체 접촉층을 갖는 것이다. 이 생체 접촉층은, 생체 전극을 사용할 때에, 실제로 생체와 접촉하는 부분이고,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다. 생체 접촉층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이고, 즉, 전술한 수지 및 도전성 재료(염), 나아가서는 필요에 따라 카본 재료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점착성의 수지층이다.
한편, 생체 접촉층의 점착력으로서는, 0.5 N/25 ㎜ 이상 20 N/25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점착력의 측정 방법은, JIS Z 0237에 나타낸 방법이 일반적이고, 기재로서는 SUS(스테인리스강)와 같은 금속 기판이나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판을 이용할 수 있으나, 사람의 피부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사람의 피부의 표면 에너지는, 금속이나 각종 플라스틱보다 낮으며, 테플론(등록 상표)에 가까운 저에너지이고, 점착하기 어려운 성질이다.
생체 전극의 생체 접촉층의 두께는, 1 ㎛ 이상 5 ㎜ 이하가 바람직하고, 2 ㎛ 이상 3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생체 접촉층이 얇아질수록 점착력은 저하되지만, 플렉시블성은 향상되고, 가벼워져 피부에의 친숙성이 좋아진다. 점착성이나 피부에의 감촉과의 균형으로 생체 접촉층의 두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전극에서는, 종래의 생체 전극(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4-033468호 공보에 기재된 생체 전극)과 마찬가지로, 사용 시에 생체로부터 생체 전극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생체 접촉층 상에 별도로 점착막을 형성해도 좋다. 별도로 점착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아크릴형, 우레탄형, 실리콘형 등의 점착막 재료를 이용하여 점착막을 형성하면 되고, 특히 실리콘형은 산소 투과성이 높기 때문에 이것을 부착한 채로의 피부 호흡이 가능하며, 발수성도 높기 때문에 땀에 의한 점착성의 저하가 적고, 또한, 피부에의 자극성이 낮기 때문에 적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생체 전극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제 조성물에 점착성 부여제를 첨가하거나, 생체에의 점착성이 양호한 수지를 이용하거나 함으로써, 생체로부터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별도로 형성하는 점착막은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생체 전극을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사용할 때의, 생체 전극과 센서 디바이스의 배선이나, 그 외의 부재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4-033468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생체 전극이면, 전술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로 생체 접촉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피부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효율적으로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고(즉, 도전성이 우수하고), 장기간 피부에 장착해도 알레르기를 일으킬 우려가 없으며(즉,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며), 경량이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물에 젖어도 건조해도 도전성이 대폭 저하되는 일이 없는 생체 전극이 된다. 또한, 카본 재료를 첨가함으로써 한층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점착성과 신축성을 갖는 수지와 조합함으로써 특히 고점착력이며 신축성이 높은 생체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첨가제 등에 의해 피부에 대한 신축성이나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지의 조성이나 생체 접촉층의 두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신축성이나 점착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생체 전극이면, 의료용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용되는 생체 전극으로서, 특히 적합하다.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전성 기재와 이 도전성 기재 상에 형성된 생체 접촉층을 갖는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도전성 기재 상에, 전술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생체 접촉층을 형성하는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도전성 기재, 점착제 조성물 등은, 전술한 것과 동일해도 좋다.
도전성 기재 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딥 코트, 스프레이 코트, 스핀 코트, 롤 코트, 플로우 코트, 닥터 코트, 스크린 인쇄, 플렉소 인쇄, 그라비아 인쇄, 잉크젯 인쇄 등의 방법이 적합하다.
수지의 경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되지만, 예컨대, 열 및 광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양방으로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점착제 조성물에 산이나 염기를 발생시키는 촉매를 첨가해 두고, 이것에 의해 가교 반응을 발생시켜, 경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가열하는 경우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되지만, 예컨대 50∼250℃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과 광 조사를 조합하는 경우에는, 가열과 광 조사를 동시에 행해도 좋고, 광 조사 후에 가열을 행해도 좋으며, 가열 후에 광 조사를 행해도 좋다. 또한, 도막 후의 가열 전에 용제를 증발시킬 목적으로 풍건(風乾)을 행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이면, 도전성 및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고, 경량이며, 물에 젖어도 건조해도 도전성이 대폭 저하되는 일이 없는 본 발명의 생체 전극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Me」는 메틸기, 「Vi」는 비닐기를 나타낸다.
점착제 조성물 용액에 도전성 재료로서 배합한 염 1∼8, 비교염 1∼3을 이하에 나타낸다.
점착제 조성물 용액에 실리콘계의 수지로서 배합한 실록산 화합물 1∼3을 이하에 나타낸다.
(실록산 화합물 1)
30% 톨루엔 용액에서의 점도가 27,000 mPa·s이고, 알케닐기 함유량이 0.007 몰/100 g이며, 분자쇄 말단이 SiMe2Vi기로 봉쇄된 비닐기 함유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실록산 화합물 1로 하였다.
(실록산 화합물 2)
Me3SiO0 . 5 단위 및 SiO2 단위로 이루어지는 MQ 레진의 폴리실록산(Me3SiO0 . 5 단위/SiO2 단위=0.8)의 60% 톨루엔 용액을 실록산 화합물 2로 하였다.
(실록산 화합물 3)
30% 톨루엔 용액에서의 점도가 42,000 mPa·s이고, 알케닐기 함유량이 0.007 몰/100 g이며, 분자쇄 말단이 OH로 봉쇄된 비닐기 함유 폴리디메틸실록산 40 질량부, Me3SiO0 . 5 단위 및 SiO2 단위로 이루어지는 MQ 레진의 폴리실록산(Me3SiO0 . 5 단위/SiO2 단위=0.8)의 60% 톨루엔 용액 100 질량부, 및 톨루엔 26.7 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용액을 건류시키면서 4시간 가열 후, 냉각하고, MQ 레진에 폴리디메틸실록산을 결합시킨 것을 실록산 화합물 3으로 하였다.
또한, 실리콘계의 수지로서, 폴리에테르형 실리콘 오일인 측쇄 폴리에테르 변성의 신에츠 가가쿠 고교 제조 KF-353을 이용하였다.
점착제 조성물 용액에 아크릴계의 수지로서 배합한 아크릴 폴리머 1을 이하에 나타낸다.
(식 중의 반복수는 평균값을 나타낸다.)
아크릴 폴리머 1:
분자량(Mw)=103,000, 분산도(Mw/Mn)=2.10
점착제 조성물 용액에 실리콘계, 아크릴계, 혹은 우레탄계의 수지로서 배합한 실리콘우레탄아크릴레이트 1, 2, 실리콘아크릴레이트 1∼3을 이하에 나타낸다.
(식 중의 반복수는 평균값을 나타낸다.)
점착제 조성물 용액에 배합한 유기 용제를 이하에 나타낸다.
PGME: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
점착제 조성물 용액에 첨가제로서 배합한 백금 촉매, 라디칼 발생제, 도전성 향상제(카본 블랙, 카본 나노튜브, 금 코트 입자, 은 코트 입자, ITO 입자)를 이하에 나타낸다.
백금 촉매: 신에츠 가가쿠 고교 제조 CAT-PL-50T
라디칼 발생제: 와코 쥰야쿠 고교사 제조 V-601
카본 블랙: 덴카사 제조 덴카 블랙 HS-100
카본 나노튜브: Sigma-Aldrich사 제조 직경 0.7∼1.1 ㎚, 길이 300∼2,300 ㎚의 것
금 코트 입자: 세키스이 가가쿠사 제조 마이크로펄(Micropearl) AU(직경 3 ㎛)
은 코트 입자: 미츠비시 머티리얼사 제조 은 코트 분말(직경 30 ㎛)
ITO 입자: 미츠비시 머티리얼사 제조 ITO 분말(직경 0.03 ㎛)
[실시예 1∼12, 비교예 1∼4]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도전성 재료(염), 수지, 유기 용제, 및 첨가제(백금 촉매, 라디칼 발생제, 도전성 향상제)를 블렌드하여, 점착제 조성물 용액(점착제 조성물 용액 1∼12, 비교 점착제 조성물 용액 1∼4)을 조제하였다.
(도전성 평가)
직경 3 ㎝, 두께 0.2 ㎜의 알루미늄제의 원판 위에 애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점착제 조성물 용액을 도포하고, 실온에서 6시간 풍건한 후, 오븐을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하 100℃에서 30분간 베이크하여 경화시켜, 하나의 점착제 조성물 용액에 대해 생체 전극을 4장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생체 전극은, 도 3(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면에는 생체 접촉층(3)을 갖고, 다른쪽 면에는 도전성 기재로서 알루미늄제의 원판(8)을 갖는 것이었다.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 접촉층으로 덮여져 있지 않은 측의 알루미늄제의 원판(8)의 표면에 구리 배선(9)을 점착 테이프로 부착하여 인출 전극으로 하고, 이것을 임피던스 측정 장치에 접속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팔의 피부와 생체 접촉층측이 접촉하도록 생체 전극(1')을 2장 부착하고, 그 간격을 15 ㎝로 하였다. 솔라트론사 제조의 교류 임피던스 측정 장치 SI1260을 이용하여,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초기 임피던스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나머지 2장의 생체 전극을 순수(純水) 중에 1시간 침지하고, 물을 건조시킨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상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였다. 주파수 1,000 ㎐에 있어서의 임피던스를 표 2에 나타낸다.
(점착성 평가)
점착제 조성물 용액을, 애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두께 100 ㎛의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기판 상에 도포하고, 실온에서 6시간 풍건 후, 오븐을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하 100℃에서 30분간 베이크하여 경화시켜, 점착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점착 필름으로부터 25 ㎜ 폭의 테이프를 잘라내고, 이것을 스테인리스판(SUS304)에 압착시키고, 실온에서 20시간 방치한 후,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각도 180도, 300 ㎜/분의 속도로 점착제가 붙은 테이프를 스테인리스판으로부터 떼어내는 데 필요한 힘(N/25 ㎜)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생체 접촉층의 두께 측정)
상기한 도전성 평가 시험에서 제작한 생체 전극에 있어서, 생체 접촉층의 두께를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특정한 구조를 갖는 염을 배합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생체 접촉층을 형성한 실시예 1∼12에서는, 초기 임피던스가 낮고, 물에 침지하여 건조시킨 후에도, 자릿수가 변할 정도의 대폭적인 임피던스의 증가는 발생하지 않았다. 즉, 실시예 1∼12에서는, 초기의 도전성이 높고, 물에 젖거나 건조한 경우에도 도전성의 대폭적인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생체 전극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 1∼12의 생체 전극은, 종래의 염을 배합한 비교예 1∼3의 생체 전극과 동일한 정도의 양호한 점착력을 갖고, 경량이며,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고,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하였다.
한편, 종래의 염을 배합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생체 접촉층을 형성한 비교예 1∼3에서는, 초기 임피던스는 낮으나, 물에 침지하여 건조시킨 후에는, 자릿수가 변할 정도의 대폭적인 임피던스의 증가가 발생하고 있었다. 즉, 비교예 1∼3에서는, 초기의 도전성은 높으나, 물에 젖거나 건조한 경우에는 도전성이 대폭 저하되어 버리는 생체 전극밖에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염을 배합하지 않은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생체 접촉층을 형성한 비교예 4에서는, 염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물에 침지하여 건조시킨 후에도, 자릿수가 변할 정도의 대폭적인 임피던스의 증가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초기 임피던스가 높았다. 즉, 비교예 4에서는, 초기의 도전성이 낮은 생체 전극밖에 얻어지지 않았다.
이상의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생체 접촉층을 형성한 생체 전극이면, 도전성, 생체 적합성, 도전성 기재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고, 도전성 재료의 유지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물에 젖어도 건조해도 도전성이 대폭 저하되는 일이 없고, 경량이며,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어떠한 것이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1': 생체 전극 2: 도전성 기재
3: 생체 접촉층 4: 도전성 재료(염)
5: 카본 재료 6: 수지
7: 생체 8: 알루미늄제의 원판
9: 구리 배선
3: 생체 접촉층 4: 도전성 재료(염)
5: 카본 재료 6: 수지
7: 생체 8: 알루미늄제의 원판
9: 구리 배선
Claims (14)
- 수지 및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도전성 재료가,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탄소수가 5 이상이며 분자 내에 2개의 플루오로술폰산 구조를 갖는 나트륨염, 칼륨염, 및 칼슘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O3S-Y-La-A-Lb-Y-SO3 - (Mn+)2/n (1)
(식 중, A는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헤테로 원자가 개재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의 2가 탄화수소기이다. La, Lb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테르기, 에스테르기, 아미드기, 술폰산에스테르기, 카보네이트기, 카바메이트기, 및 이미노기 중, 어느 하나의 연결기이다. Y는 1∼6개의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2∼4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렌기이고, 카르보닐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Mn+는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및 칼슘 이온 중 어느 하나이고, n은 Mn+가 나트륨 이온 또는 칼륨 이온인 경우에는 1이며, Mn+가 칼슘 이온인 경우에는 2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재료가, 음이온 중에 중합성의 이중 결합 또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재료가, 음이온 중에 중합성의 이중 결합 또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실리콘계, 아크릴계, 및 우레탄계의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실리콘계, 아크릴계, 및 우레탄계의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카본 재료를 더 함유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카본 재료를 더 함유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재료가, 카본 블랙 및 카본 나노튜브 중 어느 하나 또는 양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재료가, 카본 블랙 및 카본 나노튜브 중 어느 하나 또는 양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 도전성 기재(基材)와 이 도전성 기재 상에 형성된 생체 접촉층을 갖는 생체 전극으로서,
상기 생체 접촉층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전극.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기재가, 금, 은, 염화은, 백금, 알루미늄, 마그네슘, 주석, 텅스텐, 철, 구리, 니켈, 스테인리스, 크롬, 티탄, 및 탄소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전극.
- 도전성 기재와 이 도전성 기재 상에 형성된 생체 접촉층을 갖는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도전성 기재 상에,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생체 접촉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기재로서, 금, 은, 염화은, 백금, 알루미늄, 마그네슘, 주석, 텅스텐, 철, 구리, 니켈, 스테인리스, 크롬, 티탄, 및 탄소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190763 | 2016-09-29 | ||
JPJP-P-2016-190763 | 2016-09-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5675A KR20180035675A (ko) | 2018-04-06 |
KR102019554B1 true KR102019554B1 (ko) | 2019-09-06 |
Family
ID=6168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0456A KR102019554B1 (ko) | 2016-09-29 | 2017-09-19 | 점착제 조성물, 생체 전극, 및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610116B2 (ko) |
JP (1) | JP6761384B2 (ko) |
KR (1) | KR102019554B1 (ko) |
TW (1) | TWI64940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74981B2 (ja) * | 2016-09-06 | 2021-12-01 | 住友化学株式会社 | 塩、レジスト組成物及びレジストパターンの製造方法 |
EP3741296A4 (en) * | 2018-01-15 | 2021-09-15 | NOK Corporation | BIOELECTRODE |
JP7021263B2 (ja) * | 2018-01-15 | 2022-02-16 | Nok株式会社 | 生体電極 |
JP6839125B2 (ja) * | 2018-04-02 | 2021-03-03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の製造方法 |
JP7298881B2 (ja) * | 2018-06-06 | 2023-06-27 | 国立大学法人電気通信大学 | 筋電センサ及び電極部材 |
JP7158335B2 (ja) * | 2018-06-25 | 2022-10-21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の製造方法 |
JP7111653B2 (ja) * | 2018-06-25 | 2022-08-02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の製造方法 |
JP6993994B2 (ja) * | 2018-07-05 | 2022-01-14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の製造方法 |
JP6966389B2 (ja) * | 2018-07-12 | 2021-11-17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の製造方法 |
EP3705035A1 (en) * | 2019-03-07 | 2020-09-09 |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 Manufacturing of skin-compatible electrodes |
JP2020156692A (ja) * | 2019-03-26 | 2020-10-01 | 日東電工株式会社 | 電極接合構造及び生体センサ |
JP7411537B2 (ja) | 2020-01-22 | 2024-01-11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の製造方法 |
JP7410065B2 (ja) | 2020-03-19 | 2024-01-09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生体電極、生体電極の製造方法及び生体信号の測定方法 |
JP7406516B2 (ja) | 2020-04-01 | 2023-12-27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の製造方法 |
JP7524148B2 (ja) * | 2020-10-13 | 2024-07-29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生体電極の製造方法、高分子化合物及び複合体 |
JP7569298B2 (ja) | 2020-11-05 | 2024-10-17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生体電極の製造方法及び反応複合体 |
JP7507136B2 (ja) | 2020-11-05 | 2024-06-27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の製造方法 |
JP7507737B2 (ja) | 2020-11-26 | 2024-06-28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生体電極の製造方法、及び反応複合体 |
JP2022106281A (ja) | 2021-01-06 | 2022-07-19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の製造方法 |
KR20230069223A (ko) | 2021-03-12 | 2023-05-18 |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생체 전극,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생체 신호의 측정 방법 |
JP2022164579A (ja) | 2021-04-16 | 2022-10-27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の製造方法 |
CN113698330B (zh) * | 2021-08-25 | 2023-07-04 | 上海芯刻微材料技术有限责任公司 | 一种193nm浸没式光刻用光产酸剂的制备方法 |
CN113698329B (zh) * | 2021-08-25 | 2023-07-04 | 上海芯刻微材料技术有限责任公司 | 一种193nm浸没式光刻用光产酸剂及其中间体 |
CN113703285B (zh) * | 2021-08-25 | 2023-07-04 | 上海芯刻微材料技术有限责任公司 | 一种193nm浸没式光刻用光产酸剂及光刻胶组合物 |
JP2024014732A (ja) | 2022-07-21 | 2024-02-01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
EP4372765A1 (en) | 2022-11-17 | 2024-05-22 | Shin-Etsu Chemical Co., Ltd. | Bio-electrode, bio-electrode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io-electrode |
EP4383279A1 (en) | 2022-12-05 | 2024-06-12 | Shin-Etsu Chemical Co., Ltd. | Bio-electrode composition, bio-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io-electrode |
CN116421191B (zh) * | 2023-03-08 | 2024-08-06 | 宁波康麦隆医疗器械有限公司 | 柔性一体化生物电信号传感器、检测方法及装置 |
JP2024137755A (ja) | 2023-03-23 | 2024-10-07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の製造方法 |
EP4454559A1 (en) | 2023-04-26 | 2024-10-30 | Shin-Etsu Chemical Co., Ltd. | Bio-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io-electrod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2695A (ja) * | 2002-03-15 | 2003-09-26 | Toyobo Co Ltd | アルコキシスルホン酸基含有ポリアリーレンエーテル、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それらを用いたことを特徴とするイオン伝導膜、接着剤、複合体、燃料電池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42768A (en) * | 1985-01-16 | 1989-06-27 | Kyowa Gas Chemical Industry Co., Ltd. |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
JPS6286076A (ja) * | 1985-10-11 | 1987-04-20 | Takiron Co Ltd | イオン導電性高分子粘着剤 |
JPH07106197B2 (ja) | 1991-10-09 | 1995-11-15 |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 導電性ミラブルウレタンゴム電極 |
JPH08155040A (ja) * | 1994-12-08 | 1996-06-18 | Nitto Denko Corp | 導電性粘着剤およびこれを用いてなる電極パッド |
JP4823401B2 (ja) * | 1996-12-30 | 2011-11-24 | イドロ―ケベック | 過フッ化アミド塩及びイオン伝導物質としてのその使用方法 |
US5981680A (en) | 1998-07-13 | 1999-11-09 | Dow Corning Corporation | Method of making siloxane-based polyamides |
JP3865046B2 (ja) | 2001-05-08 | 2007-01-10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無溶剤型ポリイミドシリコーン系樹脂組成物 |
JP2003225217A (ja) | 2002-02-01 | 2003-08-12 | Shin Etsu Chem Co Ltd | 生体電極用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及び生体用電極 |
JP3923861B2 (ja) | 2002-07-03 | 2007-06-06 | フクダ電子株式会社 | 生体電極 |
JP2005320418A (ja) | 2004-05-07 | 2005-11-17 | Shin Etsu Chem Co Ltd | 紫外線硬化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
JP5374836B2 (ja) * | 2006-06-09 | 2013-12-25 | 住友化学株式会社 | 化学増幅型レジスト組成物の酸発生剤用の塩 |
JP4858714B2 (ja) | 2006-10-04 | 2012-01-18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高分子化合物、レジスト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
KR101116963B1 (ko) | 2006-10-04 | 2012-03-14 |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고분자 화합물, 레지스트 재료, 및 패턴 형성 방법 |
JP2008308421A (ja) * | 2007-06-13 | 2008-12-25 | Sony Corp | イオン性化合物、負極、電解液、電気化学デバイスおよび電池 |
JP5019071B2 (ja) | 2007-09-05 | 2012-09-05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新規光酸発生剤並びにこれを用いたレジスト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
JP5646153B2 (ja) | 2009-10-06 | 2014-12-24 |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 ポリアミドシリコーンコポリマーの製造方法 |
JP5685269B2 (ja) * | 2011-01-06 | 2015-03-18 |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 粘着性ハイドロゲル用組成物とその用途 |
WO2013039151A1 (ja) | 2011-09-15 | 2013-03-21 |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 生体用電極被覆パッド |
JP2014151015A (ja) * | 2013-02-08 | 2014-08-25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体表面設置型電極、生体信号の測定方法、及び生体信号測定装置 |
JP6296530B2 (ja) | 2013-07-18 | 2018-03-20 | 国立研究開発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 生体適合性電極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
JP6073776B2 (ja) | 2013-11-28 | 2017-02-01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生体電気信号モニタ用衣類 |
JP6348434B2 (ja) | 2014-03-28 | 2018-06-27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シリコーン粘着剤組成物、その製造法及び粘着フィルム |
JP6206311B2 (ja) * | 2014-04-22 | 2017-10-04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光酸発生剤、化学増幅型レジスト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
JP6358874B2 (ja) | 2014-06-27 | 2018-07-18 | ニチバン株式会社 |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またはシート |
ES2818096T3 (es) | 2014-09-19 | 2021-04-09 | Cosmed Pharmaceutical Co Ltd | Adhesivo sensible a la presión a base de uretano |
KR102026509B1 (ko) * | 2016-03-31 | 2019-09-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화합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전해질막 |
-
2017
- 2017-08-10 JP JP2017155703A patent/JP6761384B2/ja active Active
- 2017-08-29 US US15/689,024 patent/US10610116B2/en active Active
- 2017-09-19 KR KR1020170120456A patent/KR10201955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9-26 TW TW106132869A patent/TWI649400B/zh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2695A (ja) * | 2002-03-15 | 2003-09-26 | Toyobo Co Ltd | アルコキシスルホン酸基含有ポリアリーレンエーテル、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それらを用いたことを特徴とするイオン伝導膜、接着剤、複合体、燃料電池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761384B2 (ja) | 2020-09-23 |
TW201816037A (zh) | 2018-05-01 |
TWI649400B (zh) | 2019-02-01 |
US20180085019A1 (en) | 2018-03-29 |
JP2018059050A (ja) | 2018-04-12 |
US10610116B2 (en) | 2020-04-07 |
KR20180035675A (ko) | 2018-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9554B1 (ko) | 점착제 조성물, 생체 전극, 및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 |
KR102016213B1 (ko) | 점착제 조성물, 생체 전극, 및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 |
KR102019555B1 (ko) | 점착제 조성물, 생체 전극,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염 | |
KR102036982B1 (ko) | 생체 전극 조성물, 생체 전극, 및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 |
KR102062973B1 (ko) | 생체 전극 조성물, 생체 전극,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고분자 화합물 | |
KR102283997B1 (ko) | 생체 전극 조성물, 생체 전극, 및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 |
KR102104168B1 (ko) | 생체 전극 조성물, 생체 전극,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고분자 화합물 | |
KR102137339B1 (ko) | 생체 전극 조성물, 생체 전극, 및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 |
KR102208936B1 (ko) | 생체 전극 조성물, 생체 전극, 및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 |
KR102268504B1 (ko) | 생체 전극 조성물, 생체 전극, 및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 |
KR102208934B1 (ko) | 생체 전극 조성물, 생체 전극, 및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 |
JP7111653B2 (ja)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の製造方法 | |
KR20210095044A (ko) | 생체 전극 조성물, 생체 전극 및 생체 전극의 제조 방법 | |
JP2020028515A (ja)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の製造方法 | |
JP2020031722A (ja)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の製造方法 | |
JP2020011039A (ja) |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