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861B1 -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861B1
KR102018861B1 KR1020170108498A KR20170108498A KR102018861B1 KR 102018861 B1 KR102018861 B1 KR 102018861B1 KR 1020170108498 A KR1020170108498 A KR 1020170108498A KR 20170108498 A KR20170108498 A KR 20170108498A KR 102018861 B1 KR102018861 B1 KR 102018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gital output
parts
weight
substrate sui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170A (ko
Inventor
송종율
권동주
김용재
Original Assignee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8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8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specially treated, e.g. surfaced, parchment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로 형성된 코어층; 상기 코어층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점착층; 상기 제1 점착층 상면에 부착되는 제1 필름층; 상기 제2 점착층 하면에 부착되는 제2 필름층 및 상기 제1 필름층 상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코어층의 상면에 제1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점착층 상면에 제1 필름층을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2 점착층 하면에 제2 필름층을 부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필름층 상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의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및 그 제작방법{Material suitable for digital outpu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종이 및 필름으로 복합기재를 사용함으로써, 단면코팅에 의한 휨발생이 저하되고, 생산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카메라, 카메라폰 등 디지털촬영기기, 디지털기기 및 프린터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디지털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지털출력 산업분야가 크게 성장하고 있다.
종래 은염사진기술에서는 촬영된 필름을 현상소에 보내 수동적으로 사진출력을 하는 반면, 디지털출력은 이미지가 저장된 메모리카드에서 원하는 사진만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고, 소형 디지털 포토프린터만 있으면, 공간적 제한없이 어디에서나, 언제나 사진출력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진출력 방식의 전환기를 맞아, POD(Printing on Demand)형태의 디지털사진을 출력하는 포토프린팅기술이 각광 받고 있다. 사진수준의 풀칼라 디지털 프린팅기술로는 잉크젯방식, 전자사진방식, 감열전사법, 레이저열전사법 등이 적용되고 있다. 이중에서 잉크젯방법은 저렴한 프린터 가격과 더불어 초미세 잉크 카트리지 기술 및 포토용지의 잉크수용층 코팅기술 발전으로 거의 사진수준의 해상도를 구현하며 디지털사진출력의 표준으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출력용 기재는 종이, 플라스틱 기판 또는 그에 잉크의 부착력을 올리기 위해 코팅 처리된 종이, 플라스틱기판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일기재층으로 형성된 디지털 출력용 기재는 단면 코팅시 기재의 휨이 발생하여 출력 시 용지걸림 및 고장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인쇄물의 완성도가 저하될 수 있고, 기재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생산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종이 및 필름으로 복합기재를 사용함으로써, 단면코팅에 의한 휨발생이 저하되고, 생산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출력에 적합한 기재는 종이로 형성된 코어층; 상기 코어층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점착층; 상기 제1 점착층 상면에 부착되는 제1 필름층; 상기 제2 점착층 하면에 부착되는 제2 필름층 및 상기 제1 필름층 상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층은 산경화성의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중성 혹은 산경화성의 폴리아미드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아크릴아미드 글리옥살 수지 중 하나로 강화된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층은 폴리올, 무기분말, 금속분말 및 경화제를 혼합한 혼합물로 코팅된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층은180 내지 320㎛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점착층은 실리콘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올레핀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에폭시계 중 하나의 점착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점착층은 접착촉진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촉진제는 말레익 무수수화물 중합 폴리프로필렌, 실란계 수지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점착층은 각각 1 내지 5㎛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필름층은 각각 30 내지 100㎛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은 프라이머에 실란 화합물 및 실리카졸을 포함하는 무기물, 충진제 및 세라믹 파우더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은 0.5 내지 2㎛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최종 표면 거칠기가 1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제1 필름층의 표면 광택도를 형성하고, 최종 표면 광택도는 5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의 제조방법은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코어층의 상면에 제1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점착층 상면에 제1 필름층을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2 점착층 하면에 제2 필름층을 부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필름층 상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의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및 (c)단계는 점착제를 여과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코어층에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여 제1 점착층 또는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및 (c)단계 후에, 상기 제1 점착층 또는 제2 점착층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1 필름층 상면에 프라이머층을 코팅하여 광택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및 그 제작방법은 복합기재를 사용하여 코팅에 의한 휨 발생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지 않아 생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의 구성으로 기재간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분리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는 코어층(100), 제1 점착층(200), 제2 점착층(201), 제1 필름층(300), 제2 필름층(301) 및 프라이머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층(100)은 종이로 형성되어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종이는 셀롤로오스로 형성된 종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이는 산경화성의 요소포름알데히드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중성 및 산경화성 PolyamideEpichlorohydrin Resin, Acrylamide Glyoxal Resin 중 하나인 습윤지력증강제로 강화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습윤지력증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습윤지력증강제로 강화된 종이는 플라스틱 필름과 동일한 질감을 갖도록 하고, 고내습성을 가질 수 있다.
종이는 폴리올, 무기분말, 금속분말 및 경화제를 혼합한 혼합물로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이는 유해 전자파 차단 기능이 형성되어, 이에 따라 기재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무기분말은 안티고라이트, 탈크, 세르펜틴, 트리소타일, 앰피볼스, 무기안료, 바라이트, 쵸크, 퍼얼라이트, 마이카 및 카본블랙 중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카본 블랙 및 안티고라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분말은 Supermalloy(80% Ni/Fe/Mo), SuperPerm 80(80% Ni/Fe/Mo), SuperPerm 49(50% Ni/Fe), Square 80(80% Ni/Fe/Mo), Square 50(50% Ni/Fe), Microsil(3% Si/Fe), Supermendur(49% Co/49% Fe/V), Alloy 48(Ni/Fe), Round Permalloy(Ni/Fe), Mumetal(77% Ni/5% Cu/1.5% Cr/Fe), Ni99.6(Ni>99.6%), Duranik.301(96.5% Ni/4.4% Al/0.3% Fe/0.5% Si/0.6% Ti), NiCu30Fe(66.5% Ni/2.5% Fe/Cu), Nicu30Al(66.5% Ni/29.5% Cu/2.7% Al/1.0% Fe/0.6% Ti), Invar Nilo 36(36% Ni/Fe), Ni-span C-902(42% Ni/5.2% Cr/2.5% Ti/0.5% Al/Fe), 50/50 NiFe(50% Ni/50% Fe), NiCr80 20(80% Ni/20% Cr), NiCr20TiAl(76% Ni/19.5% Cr/2.4% Ti/1.4% Al), NiCr20Co18Ti(59% Ni/19.5% Cr/16.5% Co/2.45% Ti/1.45% Al) 및 NiMo30(28% Mo/5% Fe/2.5% Co/1% Cr/ 0.3% V/Ni)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금속분말은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감마 페릭 옥사이드(γ-Fe2O3), 합성 마게마이트(Fe2O3) 및 Ba-페라이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일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계,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및 수소첨가 이소시아네이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지방족 이 소시아네이트계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2-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MPDI) 및 이소포 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등과,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 (HDI trimer), 2-메틸펜탄-1,5-디 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 (MPDI trimer)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 (IPDI trimer) 및 헥사메틸 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 (HDI adduct), 2-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어덕트 (MPDI adduct)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 (IPDI addu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계는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1,3-H6XD I),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1,4-H6XDI), 4,4'-비스(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 (H12 MDI) 등과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트라이머 (1,3-H6XDI trimer),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 메틸)시클로헥산 트라이머 (1,4-H6XDI trimer), 4,4'-비스(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 트라이머 (H12MD I trimer) 및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 (1,3-H6XDI adduct), 1,4-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 (1,4-H6XDI adduct), 4,4'-비스(이소시아네이 토시클로헥실)메탄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 (H12MDI addu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방향족 이소 시아네이트계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TDI),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MDI),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XDI) 등과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 (TDI trimer),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 이트 트라이머 (MDI trimer),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 (XDI trimer) 및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 (TDI adduct),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 (MDI ad duct),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 (XDI addu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수소첨가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수소첨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HMDI) 등과 수소첨가 메틸렌 디페닐 디이 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 (HMDI trimer) 및 수소첨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 트 (HMDI addu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중에서도 무황변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내후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무황변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HDI, MPDI, IPDI, HMDI 같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가 아닌 경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올, 무기분말, 금속분말 및 경화제를 혼합한 혼합물은 폴리올 100중량부에 있어서, 무기분말 5 내지 15 중량부, 금속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및 경화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어층(100)은 180 내지 32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어층(100)의 두께가 180㎛ 미만일 경우 제1 및 제2 점착층(200,201) 및 제1 및 제2 필름층(300,301)을 지지하는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코어층(100)의 두께가 320㎛을 초과할 경우 다른 층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기재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서 디지털출력기기의 feeding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중송, 막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점착층(200,201)은 코어층(100)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코어층(100)에 제1 필름층(300) 및 제2 필름층(301)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점착층(200,201)은 실리콘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올레핀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에폭시계 중 하나의 점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실리콘계 수지는 비닐기를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vinyl terminatedpolydimethylsiloxan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하여 얻어진 우레탄 결합을 분자주쇄에 갖고 있으며, 분자말단에는 친수성기를 갖고 물에 잘 분산되는 고분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분자주쇄는 고분자 폴리올로서, 디카르본산으로 방향족의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본산 등이 포함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프로필렌옥사이드에 에틸렌옥사이드의 블록 공중합물이나 알킬렌 옥사이드와 활성 수소 화합물로 중합된 폴리에테르 폴리올, 기타 공지된 폴리올일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는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iso-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iso-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및 제2 점착층(200,201)은 접착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촉진제는 말레익 무수수화물 중합 폴리프로필렌, 실란계 수지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점착층(200,201)에 접착촉진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1 및 제2 점착층(200,201)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코어층(100)과 제1 및 제2 필름층(300,301) 간의 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촉진제는 접착제 100중량부에 있어서, 0.1 내지 1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때, 접착촉진제가 0.1중량부 미만일 경우 제1 및 제2 점착층(200,201)의 접착력 향상 효과가 나타나기 힘들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접착촉진제가 변질되거나 석출되어 이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점착층(200,201)은 각각 1 내지 5㎛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점착층(200) 또는 제2 점착층(201)의 두께가 1㎛ 미만일 경우 코어층(100)과 제1 필름층(300) 또는 제2 필름층 간의 부착력 저하로 기재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5㎛을 초과할 경우 점착제에 포함된 용제 성분으로 인해 장기보관 시 품질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필름층(300,301)은 제1 점착층(200) 및 제2 점착층(201)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필름층(300)은 제1 점착층(200)의 상면에 부착되며, 제2 필름층(301)은 제2 점착층(201)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필름층(300,301)은 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필름층(300,301)은 트라이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터설폰 필름, 폴리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우레탄계수지 필름, 폴리에스터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술폰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에터케톤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다이아세틸렌셀룰로오스 필름, 아세테이트뷰틸레이트셀룰로오스 필름, (메타)아크릴나이트릴 필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및 제2 필름층(300,301)은 발포필름, 합성지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필름층(300,30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100중량부에 대하여 TPAE(Thermoplastic Polyamide Elastomers)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TPAE의 배합량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TPAE의 배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의 성형성에 대한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와 혼용성이 떨어져 제1 및 제2 필름층(300,301)이 가지고 있는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필름층(300,301)은 각각 30 내지 1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필름층(300) 또는 제2 필름층(301)의 두께가 30㎛ 미만일 경우, 기재의 강도가 지나치게 저하되어 출력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필름층(300) 또는 제2 필름층(301)의 두께가 100㎛를 초과할 경우, 기재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서 디지털출력기기의 feeding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중송, 막힘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강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출력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
프라이머층(400)은 제1 필름층(300)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필름층(301) 하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머층(400)은 신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황변성이 우수한 우레탄계 프라이머로 형성될 수 있다.
프라이머는 우레탄계, 아크릴계 및 폴리에스테르계(CoPET) 공중합체 수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프라이머층(400)은 프라이머에 실란 화합물 및 실리카졸을 포함하는 무기물, 충진제 및 세라믹 파우더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무기물은 실란화합물 55 내지 65 중량부 및 실리카졸 35 내지 4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란화합물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노르말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노르말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또는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트리메톡시실란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실리카졸은 SiO2 30wt% 내지 35wt% 를 포함하고, pH 10 이상 pH 11 이하의 물성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기물은 프라이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60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충진제는 티탄산칼륨, 알루미나, 탈크, 수산화알루미늄, 석영-몬조나이트, 편마암류, 유문암, 응회암, 해조탄, 비장탄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충진제가 포함되어 기재의 내구성, 내마모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충진제는 프라이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세라믹 파우더는 프라이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세라믹 파우더가 포함되어 프라이머층(400)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프라이머와 실란 화합물 및 실리카졸을 포함하는 무기물, 충진제의 구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세라믹 파우더가 5중량부 미만일 경우 프라이머층(400)의 강도향샹 효과가 미미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프라이머층(400)의 부서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머층(400)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첨가제는 대전방지제, 습식제, pH조절제, 염료 또는 안료일 수 있으며, 첨가제는 접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머층(400)은 0.5 내지 2㎛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프라이머층(400)의 두께가 0.5㎛ 미만일 경우 제1 필름층(300) 또는 제2 필름층(301)에 형성되기 어렵고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2㎛를 초과할 경우 기재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서 디지털출력기기의 feeding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중송, 막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된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의 최종 표면 거칠기는 1 내지 1.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표면 거칠기는 제1 필름층(300) 또는 제2 필름층(301)의 표면상태와 프라이머층(400)의 프라이머의 입자 형태 및 함량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최종 표면 거칠기가 1 내지 1.5㎛를 벗어나게 되면, 표면의 질감이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여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최종 표면 광택도는 5 내지 1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 광택도는 제1 필름층(300) 또는 제2 필름층(301)에 프라이머층(400)을 형성하여 형성할 수 있고, 프라이머층(400)의 프라이머의 입자 형태 및 함량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최종 표면 광택도가 5 내지 10%를 벗어나게 되면, 표면의 광택이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여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지 못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의 제조방법은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코어층의 상면에 제1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100), 제1 점착층 상면에 제1 필름층을 부착하는 단계(S200), 코어층의 하면에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300), 제2 점착층 하면에 제2 필름층을 부착하는 단계(S400) 및 제1 필름층 상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코어층의 상면에 제1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100)는 코어층(100) 상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제1 점착층(20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코어층(100) 상면에 점착제를 도포하기 전에, 점착제를 여과장치에 통과시켜 점착제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점착제의 이물질로 인하여 제1 점착층(200)가 코어층(100) 또는 제1 필름층(300)과 분리되는 형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물질이 제거되지 못한 경우, 이물질이 위치한 제1 점착층(200) 부분의 박리 발생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의 제조방법은 코어층의 상면에 제1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100) 전에 코어층의 상하면에 폴리올, 무기분말, 금속분말 및 경화제를 혼합한 혼합물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종이인 코어층(100)의 상하면에 폴리올, 무기분말, 금속분말 및 경화제를 혼합한 혼합물로 코팅하여 기재가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코어층의 상면에 제1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100) 후에, 제1 점착층을 건조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S100 단계에서 제1 점착층(200)을 형성한 후, 열풍식 또는 IR식을 이용하여 제1 점착층(200)을 건조할 수 있다.
제1 점착층을 건조하는 단계(S110)는 80 내지 120℃에서 30초 내지 3분 동안 건조될 수 있다.
이때, 건조시간이 30초 미만일 경우 제1 점착층(200)의 용제가 완전히 휘발되지 않아 장기 보관시 코어층(100)과 제1 점착층(200)의 분리가 일어날 수 있고, 3분을 초과할 경우 제1 점착층(200)의 부착력 저하로 제1 필름층(300)의 부착이 저하될 수 있다.
제1 점착층 상면에 제1 필름층을 부착하는 단계(S200)는 제1 점착층(200) 상면에 제1 필름층(300)을 부착할 수 있다.
코어층의 하면에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300)는 코어층(100) 하면에 제2 점착층(201)을 형성할 수 있다. S300 단계는 S100 단계와 코어층(100)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위치만 다를 뿐 동일하다.
또한, 코어층의 하면에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300) 후에, 제2 점착층을 건조하는 단계(S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S110 단계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점착층 하면에 제2 필름층을 부착하는 단계(S400)는 제2 점착층(201) 하면에 제2 필름층(301)을 부착할 수 있다.
제1 필름층 상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500)는 제1 필름층(300)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40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필름층(300) 상면에 프라이머층(400)을 형성하는 것으로 최종 표면 거칠기 및 최종 표면 광택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최종 표면 거칠기는 1 내지 1.5㎛로, 최종 표면 광택도는 5 내지 10%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필름층 상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500)는 제2 필름층(301) 하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름층(301) 하면에도 프라이머층(400)을 형성하여, 제2 필름층(301)의 표면을 보호하고, 제2 필름층(301)의 하면도 최종 표면 거칠기 1 내지 1.5㎛, 최종 표면 광택도 5 내지 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200㎛ 두께의 Acrylamide Glyoxal Resin로 강화된 종이(코어층)의 상면에 여과한 점착제를 도포하여 3㎛ 두께의 제1 점착층을 형성하고, 건조 후 제1 점착층 상면에 50㎛ 두께의 제1 필름층(폴리염화비닐 필름)을 부착하고, 코어층의 하면에 여과한 점착제를 도포하여 3㎛ 두께의 제2 점착층을 형성하고, 건조 후 제2 점착층 하면에 50㎛ 두께의 제2 필름층(폴리염화비닐 필름)을 부착하고, 제1 필름층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1㎛ 두께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여 기재를 제작하였다.
상기의 점착제는 실리콘계 수지이고, 제1 점착층 및 제2 점착층은 실시콘계 수지 100중량부, 말레익 무수수화물 중합 폴리프로필렌 5중량부로 형성되었다.
[ 비교예 ]
350㎛ 두께의 제1 필름층(폴리염화비닐 필름)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1㎛ 두께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여 기재를 제작하였다.
[ 실험예 ]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된 기재의 휨정도, 휨방향 및 질감을 측정하였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구조 프라이머층
제1 필름층
제1 점착층
코어층
제2 점착층
제2 필름층
프라이머층
제1 필름층
비중 1 g/cm3 0.9 g/cm3
휨정도 5mm 이내(모서리부휨) 10mm이상(모서리부휨)
휨방향 한쪽으로 일정 일정하지 않음
질감 종이의 느낌과 플라스틱 기재의 복합작용으로 고급스러운 느낌 플라스틱 기재만의 뻣뻣한 느낌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비교예보다 실시예의 흼정도가 낮으며, 휨방향 또한 비교예는 일정하지 않으나 실시예는 한쪽으로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는 단일 기재로 플라스틱 필름인 제1 필름층만을 구성하여 플라스틱 기재만의 뻣뻣한 느낌이었으나, 실시예는 종이와 플라스틱 기재를 복합 구성함으로써, 고급스러운 느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는 코팅에 의한 휨 발생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지 않아 생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의 구성으로 기재간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분리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코어층
200: 제1 점착층
201: 제2 점착층
300: 제1 필름층
301: 제2 필름층
400: 프라이머층

Claims (16)

  1. 종이로 형성된 코어층;
    상기 코어층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점착층;
    상기 제1 점착층 상면에 부착되는 제1 필름층;
    상기 제2 점착층 하면에 부착되는 제2 필름층 및
    상기 제1 필름층 상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은,
    상기 종이가 폴리올, 무기분말, 금속분말 및 경화제를 혼합한 혼합물로 코팅되고,
    상기 혼합물은 폴리올 100중량부에 있어서, 무기분말 5 내지 15 중량부, 금속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및 경화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분말은 카본블랙 및 안티고라이트이며,
    상기 금속분말은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감마 페릭 옥사이드(γ-Fe2O3), 합성 마게마이트(Fe2O3) 및 Ba-페라이트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제1 및 제2 필름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100중량부에 대하여 TPAE(Thermoplastic Polyamide Elastomers)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은,
    프라이머에 실란 화합물 및 실리카졸을 포함하는 무기물, 충진제 및 세라믹 파우더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세라믹 파우더는 프라이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는,
    산경화성의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중성 혹은 산경화성의 폴리아미드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아크릴아미드 글리옥살 수지 중 하나로 강화된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180 내지 320㎛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력에 적합한 기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점착층은,
    실리콘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올레핀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중 하나의 점착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점착층은,
    접착촉진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촉진제는,
    말레익 무수수화물 중합 폴리프로필렌, 실란계 수지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점착층은,
    각각 1 내지 5㎛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필름층은,
    각각 30 내지 100㎛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력에 적합한 기재.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0.5 내지 2㎛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력에 적합한 기재.
  11. 제1항에 있어서,
    최종 표면 거칠기가 1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제1 필름층의 표면 광택도를 형성하고, 최종 표면 광택도는 5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13.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코어층의 상면에 제1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점착층 상면에 제1 필름층을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2 점착층 하면에 제2 필름층을 부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필름층 상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은,
    폴리올, 무기분말, 금속분말 및 경화제를 혼합한 혼합물로 코팅된 종이이고,
    상기 혼합물은 폴리올 100중량부에 있어서, 무기분말 5 내지 15 중량부, 금속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및 경화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분말은 카본블랙 및 안티고라이트이며,
    상기 금속분말은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감마 페릭 옥사이드(γ-Fe2O3), 합성 마게마이트(Fe2O3) 및 Ba-페라이트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제1 및 제2 필름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100중량부에 대하여 TPAE(Thermoplastic Polyamide Elastomers)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프라이머층은,
    프라이머에 실란 화합물 및 실리카졸을 포함하는 무기물, 충진제 및 세라믹 파우더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세라믹 파우더는 프라이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의 제작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c)단계는,
    점착제를 여과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코어층에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여 제1 점착층 또는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의 제작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c)단계 후에,
    상기 제1 점착층 또는 제2 점착층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의 제작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1 필름층 상면에 프라이머층을 코팅하여 광택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의 제작방법.
KR1020170108498A 2017-08-28 2017-08-28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및 그 제작방법 KR102018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498A KR102018861B1 (ko) 2017-08-28 2017-08-28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498A KR102018861B1 (ko) 2017-08-28 2017-08-28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170A KR20190023170A (ko) 2019-03-08
KR102018861B1 true KR102018861B1 (ko) 2019-09-05

Family

ID=6580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498A KR102018861B1 (ko) 2017-08-28 2017-08-28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8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7439A (ja) * 2009-03-31 2010-10-21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電子写真記録用積層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046B1 (ko) * 2004-02-25 2006-07-04 주식회사 진광화학 디지털 프린팅용 실사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DE112005003537T5 (de) * 2004-09-30 2009-06-18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Laminierter Bog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7439A (ja) * 2009-03-31 2010-10-21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電子写真記録用積層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170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127B1 (ko) 경화성 도전성 접착제 조성물, 전자파 쉴드필름, 도전성 접착필름, 접착방법 및 회로기판
CA1218004A (en) Flexible transparent sheet made of synthetic material
KR20240049789A (ko)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 케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
KR101904558B1 (ko) 적층 필름
JP2009091522A (ja) 粘着剤組成物及び該粘着剤組成物を使用してなる積層体
EP3105047B1 (en) Flexible microsphere articles having high temperature stability
KR20110060890A (ko) 프라이머 및 상기 프라이머로 이루어지는 수지 도막을 가지는 적층체
EP3770228A1 (en) Adhesive, laminated film, and production method for laminated film
WO2007027710B1 (en) Thermal transfer image receiving sheet and method
JP2006346885A (ja) 弾性基材用マーキングフィルム
JP4611683B2 (ja) 塗工液および保護層を有する蒸着フィルム
KR102018861B1 (ko) 디지털출력에 적합한 기재 및 그 제작방법
JP2021098546A (ja) 包装材、及びリサイクル基材製造方法
TW201919904A (zh) 聚酯-異氰酸酯塗層和包含其的標籤
KR100511575B1 (ko) 임시 표시층을 가진 인쇄용 적층체 및 이것을 이용한 인쇄 방법
KR101821773B1 (ko) 글리스비드를 겸비하는 잉크젯 출력용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재귀반사 잉크젯 출력소재
WO2020071134A1 (ja) 接着剤、積層体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TW201936383A (zh) 軟包裝用薄膜之製造方法
KR101364237B1 (ko) 장식 필름
JP2004351656A (ja) 溶融熱転写画像記録用の中間転写シート
JP200316618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品とその製造方法
JP6751628B2 (ja) ラベリング材用のポリウレタン樹脂皮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42501A (ko) 전사 필름, 필름 코팅 물품 제조 방법 및 필름 코팅 물품
JP2007307831A (ja) 加飾シートおよび加飾シートと一体化した成形品
JPH06179283A (ja) 転写層の膜切れ性を改良した転写フイ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