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677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677B1
KR102017677B1 KR1020130039014A KR20130039014A KR102017677B1 KR 102017677 B1 KR102017677 B1 KR 102017677B1 KR 1020130039014 A KR1020130039014 A KR 1020130039014A KR 20130039014 A KR20130039014 A KR 20130039014A KR 102017677 B1 KR102017677 B1 KR 102017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s
grand
sig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1714A (ko
Inventor
타다시 마스부치
타쿠야 히게타
마사요시 네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1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Abstract

본 발명은 용이하게 그랜드 컨택트(16, 20)를 연결, 접속할 수 있으며,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10)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10)는 접촉부(141, 181), 접속부(143, 183,) 및 고정부(142, 182)를 가지는 복수의 신호 컨택트(14, 18) 및 접촉부(161, 201), 접속부(163, 203) 및 고정부(162, 202)를 가지는 복수의 그랜드 컨택트(16, 20)와, 이러한 신호 컨택트(14, 18) 및 그랜드 컨택트(16, 20)가 배열·지지되는 하우징(12)을 구비하며, 그랜드 컨택트(16, 16 및 20, 20) 사이에, 각각 복수의 신호 컨택트(14, 14 및 18, 18)가 배치되고, 적어도 2개의 그랜드 컨택트(16, 16 및 20, 20)의, 접촉부(161, 201)측의 일단(선단부)으로부터 고정부(162, 202) 사이의 어느 것을 일체 또는 별개 부품에 의하여 연결·접속시켜,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나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나 PC 또는 서버 등의 전기기기 또는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랜드 컨택트를 연결·접속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커넥터는, 적어도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기판에 실장되는 접속부를 가진 2종류의 복수의 컨택트인 복수의 신호 컨택트 및 복수의 그랜드 컨택트와, 상기 신호 컨택트 및 상기 그랜드 컨택트를 배열·지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전력 컨택트와 검사용 컨택트를 구비한 경우가 있다. 상기 신호 컨택트는 8개로, 상기 그랜드 컨택트는 6개로, 도합 14개가 사용된다. 배치로서는, 상기 그랜드 컨택트 사이에 2개의 상기 신호 컨택트가 배치되는 구조이다. 14개의 상기 신호 컨택트 및 상기 그랜드 컨택트 중, 7개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대물과 접촉하는 부분이 노출되고, 컨택트의 일부를 상기 하우징으로 지지(밀착 지지)하고 있지 않다. 본 커넥터의 경우에는, 신호의 교환은 1개의 신호 컨택트에서의 상호 방향은 아니며, 2개의 신호 컨택트에서의 상호 방향에서 교환을 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에 본 출원인이 제안해 온 문헌 중에서, 컨택트 텔에 그랜드 단자판을 연결 접속한 특허문헌 1과, 그랜드 바에 의하여 연결된 복수개의 그랜드 단자에 플랫 케이블의 벗겨진 그랜드 선을 직접 접속하는 특허문헌 2를 들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소61-227386호 일본공개실용 실개평04-108867호
최근, 수요자로부터는 고주파에 있어서 전송 특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 구체적으로는 규격치가 4.5Ghz로부터 6Ghz로 변경되면서, 대응하기 위하여 30% 정도 향상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고주파에 있어서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랜드 컨택트끼리 연결·접속할 필요가 있으나, 상기 그랜드 컨택트의 연결 위치에 따라, 전송 특성은 상이하며, 30%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연결하는 위치에 따라서는, 연결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컨택트 각각의 지지구조에 적절한 연결·접속할 수단을 선택할 필요도 있다. 특허문헌 1 기재의 커넥터에서는, 접속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전송 특성은 향상되더라도 30%정도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특허문헌 2 기재의 커넥터는, 접속부에 케이블을 접속시키는 것이며, 30% 정도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용이하게 그랜드 컨택트를 연결·접속할 수 있으며,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을 향상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이하와 같다.
(1)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 기판에 실장되는 접속부, 해당 접속부에 가깝게, 그리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가지는 2 종류의 복수의 컨택트인 복수의 신호 컨택트 및 복수의 그랜드 컨택트와, 상기 신호 컨택트 및 상기 그랜드 컨택트가 배열·지지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그랜드 컨택트 사이에, 복수의 상기 신호 컨택트가 배치되고, 적어도 2개의 상기 그랜드 컨택트의, 상기 접촉부측의 일단(선단부)으로부터 상기 고정부 사이의 일부분을, 일체 또는 별개 부품에 의하여 연결·접속시켜, 고주파에서 전송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적어도 2개의 상기 그랜드 컨택트의 접촉부 부근을 일체 또는 별개 부품에 의하여 연결·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커넥터.
(3) 상기 접촉부의 상대물과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1mm의 범위 내에서, 상기 그랜드 컨택트를 연결·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기재의 커넥터.
(4) 일체의 경우에는 연결부분을 드로잉 가공(しぼり加工) 또는 구부림 가공에 의하여 형성하고, 별개 부품인 경우에는 탄성편에 의한 탄성 접촉 또는 용접·용착에 의하여, 연결·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커넥터.
(5) 상기 신호 컨택트 및 상기 그랜드 컨택트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이 있고, 상기 신호 및 그랜드 컨택트의 일부를 상기 하우징에서 지지(밀착 지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그랜드 컨택트의 연결·접속을 드로잉 가공 또는 구부림 가공으로 일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커넥터.
(6) 상기 그랜드 컨택트의 지지구조에 의하여, 상기 그랜드 컨택트의 연결 구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커넥터.
(7) 3개의 상기 그랜드 컨택트를 연결·접속하고, 상기 그랜드 컨택트 사이에 2개의 상기 신호 컨택트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커넥터.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얻어진다. 용이하게 그랜드 컨택트를 연결·접속할 수 있으며, 종래보다도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을 30% 정도 향상(예를 들면, 종래 4.5Ghz 요구였으나, 6Ghz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할 수 있고, 규격 값도 만족할 수 있다.
(1)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 기판에 실장되는 접속부, 해당 접속부에 가깝게, 그리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가지는 2 종류의 복수의 컨택트인 복수의 신호 컨택트 및 복수의 그랜드 컨택트와, 상기 신호 컨택트 및 상기 그랜드 컨택트가 배열·지지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그랜드 컨택트 사이에, 복수의 상기 신호 컨택트가 배치되고, 적어도 2개의 상기 그랜드 컨택트의, 상기 접촉부측의 일단(선단부)으로부터 상기 고정부 사이의 일부분을, 일체 또는 별개 부품에 의하여 연결·접속시켜, 고주파에서 전송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로 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그랜드 컨택트를 연결·접속할 수 있으며, 종래보다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을 30% 정도 향상할 수 있으며, 규격 값도 만족할 수 있다.
(2) 적어도 2개의 상기 그랜드 컨택트의 접촉부 부근을 일체 또는 별개 부품에 의하여 연결·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그랜드 컨택트를 연결·접속할 수 있으며, 종래보다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을 30% 정도 향상할 수 있으며, 규격 값도 만족할 수 있다.
(3) 상기 접촉부의 상대물과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1mm의 범위 내에서, 상기 그랜드 컨택트를 연결·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그랜드 컨택트를 연결·접속할 수 있으며, 종래보다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을 30% 정도 향상할 수 있으며, 규격 값도 만족할 수 있다.
(4) 일체의 경우에는 연결부분을 드로잉 가공(しぼり加工) 또는 구부림 가공에 의하여 형성하고, 별개 부품인 경우에는 탄성편에 의한 탄성 접촉 또는 용접·용착에 의하여, 커넥터의 구조에 의하여 연결 구조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용이하게 그랜드 컨택트를 연결·접속할 수 있으며, 종래보다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을 30% 정도 향상할 수 있으며, 규격 값도 만족할 수 있다.
(5) 상기 신호 컨택트 및 상기 그랜드 컨택트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이 있고, 상기 신호 및 그랜드 컨택트의 일부를 상기 하우징에서 지지(밀착 지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그랜드 컨택트의 연결·접속을 드로잉 가공 또는 구부림 가공으로 일체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노출되어 있어도 컨택트가 외측 방향으로 밀어 눌려지는 일이 없이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 있고, 용이하게 그랜드 컨택트를 연결·접속할 수 있으며, 종래보다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을 30% 정도 향상할 수 있으며, 규격 값도 만족할 수 있다.
(6) 상기 그랜드 컨택트의 지지구조에 의하여, 상기 그랜드 컨택트의 연결 구조를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노출되어 있어도 컨택트가 외측 방향으로 밀어 눌려지는 일이 없이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 있고, 용이하게 그랜드 컨택트를 연결·접속할 수 있으며, 종래보다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을 30% 정도 향상할 수 있으며, 규격 값도 만족할 수 있다.
(7) 3개의 상기 그랜드 컨택트를 연결·접속하고, 상기 그랜드 컨택트 사이에 2개의 상기 신호 컨택트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그랜드 컨택트를 연결·접속할 수 있으며, 종래보다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을 30% 정도 향상할 수 있으며, 규격 값도 만족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커넥터(10)를 기판 접속 방향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커넥터(10)를 끼움 결합 방향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의 커넥터(1)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기판 접속 방향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나타난 원으로 둘러싸여진 영역(A 부)에 위치하는, 4개의 제2 신호 컨택트(14) 및 3개의 제2 그랜드 컨택트(16)만을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1(a)에 나타난 원으로 둘러싸여진 영역(B 부)에 위치하는, 4개의 제1 신호 컨택트(18) 및 3개의 제1 그랜드 컨택트(20)만을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나타낸 컨택트 중, 1개의 제2 컨택트(14)만을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 도 3(b)는 도 6에 나타낸 컨택트 중 1개의 제2 그랜드 컨택트(17)만을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 도 3(c)는 도 2(a)에 나타낸 3개의 그랜드 컨택트(16)를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 도 3(d)는 도 2(b)에 나타낸 컨택트 중 1개의 제1 신호 컨택트(18)만을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 그리고 도 3(e)는 도 2(b)에 나타낸 컨택트 중 1개의 제1 그랜드 컨택트(20)만을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a)에 나타낸 커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에 관하여, 기판 접속 방향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하우징을 끼움 결합 방향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4(c)는 제2 그랜드 컨택트(16)가 삽입되는 하우징(12)의 컨택트 삽입홈의 종단면도, 그리고 도 4(d)는 제1 그랜드 컨택트(20)가 삽입되는 하우징(12)의 컨택트 삽입홈의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과는 별개의 커넥터(11)를 기판 접속 방향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5(b)는 도 1과는 별개의 커넥터(11)를 끼움 결합 방향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5(c)는 도 1과는 별개의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기판 접속 방향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a)에 나타낸 원으로 둘러싸인 영역(C 부)에 위치하는, 4개의 제2 신호 컨택트(14) 및 2개의 제2 그랜드 컨택트(17)만을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 도 6(b)는 도 5(b)에 나타낸 원으로 둘러싸인 영역(D 부)에 위치하는, 4개의 제1 신호 컨택트(18) 및 3개의 제1 그랜드 컨택트(20)만을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전력 컨택트의 사시도, 도 7(b)는 검사용 컨택트의 사시도, 그리고 도 7(c)는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 기판에 실장되는 접속부, 및 해당 접속부에 가깝게, 그리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가지는 2 종류의 복수의 컨택트인 복수의 신호 컨택트 및 복수의 그랜드 컨택트와, 상기 신호 컨택트 및 상기 그랜드 컨택트가 배열·지지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그랜드 컨택트 사이에는 복수의 상기 신호 컨택트가 배치된 상태의, 적어도 2 개의 상기 그랜드 컨택트의, 상기 접촉부측의 일단(선단부)으로부터 상기 고정부 사이의 일부분을 일체 또는 별개 부품에 의하여 연결·접속시켜,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이다.
즉, 적어도 2 개의 상기 그랜드 컨택트의, 상기 접촉부측의 일단(선단부)으로부터 상기 고정부 사이의 일부분을 일체 또는 별개 부품에 의하여 연결·접속시켜 고주파에 있어서 전송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10)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커넥터(10)를 기판 접속 방향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커넥터(10)를 끼움 결합 방향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의 커넥터(1)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기판 접속 방향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나타난 원으로 둘러싸여진 영역(A 부)에 위치하는, 4개의 제2 신호 컨택트(14) 및 3개의 제2 그랜드 컨택트(16)만을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1(a)에 나타난 원으로 둘러싸여진 영역(B 부)에 위치하는, 4개의 제1 신호 컨택트(18) 및 3개의 제1 그랜드 컨택트(20)만을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나타낸 컨택트 중, 1개의 제2 컨택트(14)만을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 도 3(b)는 도 6에 나타낸 컨택트 중 1개의 제2 그랜드 컨택트(17)만을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 도 3(c)는 도 2(a)에 나타낸 3개의 그랜드 컨택트(16)를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 도 3(d)는 도 2(b)에 나타낸 컨택트 중 1개의 제1 신호 컨택트(18)만을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 그리고 도 3(e)는 도 2(b)에 나타낸 컨택트 중 1개의 제1 그랜드 컨택트(20)만을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a)에 나타낸 커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에 관하여, 기판 접속 방향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하우징을 끼움 결합 방향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4(c)는 제2 그랜드 컨택트(16)가 삽입되는 하우징(12)의 컨택트 삽입홈의 종단면도, 그리고 도 4(d)는 제1 그랜드 컨택트(20)가 삽입되는 하우징(12)의 컨택트 삽입홈의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과는 별개의 커넥터(11)를 기판 접속 방향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5(b)는 도 1과는 별개의 커넥터(11)를 끼움 결합 방향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5(c)는 도 1과는 별개의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기판 접속 방향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a)에 나타낸 원으로 둘러싸인 영역(C 부)에 위치하는, 4개의 제2 신호 컨택트(14) 및 2개의 제2 그랜드 컨택트(17)만을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 도 6(b)는 도 5(b)에 나타낸 원으로 둘러싸인 영역(D 부)에 위치하는, 4개의 제1 신호 컨택트(18) 및 3개의 제1 그랜드 컨택트(20)만을 뽑아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전력 컨택트의 사시도, 도 7(b)는 검사용 컨택트의 사시도, 그리고 도 7(c)는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10)는, 도 1(a) 내지 (c)와 같이, 적어도 하우징(12)과, 신호 컨택트(14, 18) 및 그랜드 컨택트(16, 20)를 구비한다. 필요에 따라 전력용 컨택트(26)와 검사용 컨택트(28)와 고정구(30)를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력용 컨택트(26)와 상기 검사용 컨택트(28)와 상기 고정구(30)를 구비한 것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10)의 구성 부품을 설명하기 전에 본 실시예에 사용할 기판(8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판(80)에는 주로 각각의 컨택트(14, 16, 18, 20, 26, 28)의 접속부(143, 163, 183, 203, 263, 283) 및 상기 고정구(30)의 접속부(303)가 접속할 랜드와 해당 랜드로부터 회로로 연결되는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구(30)는 커넥터(10)의 실장 강도를 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판(80)에는 위치 결정을 위한 보스가 들어가는 홀이나 홈이 더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10)의 구성 부품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각각의 상기 컨택트(14, 16, 18, 20, 26, 28)는 금속제이며, 공지기술의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제작된다. 각각의 상기 컨택트(14, 16, 18, 20, 26, 28)의 재질로는 용수철성이나 도전성이나 길이 안정성 등이 요구되므로, 황동이나 베릴륨 동 또는 인청동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상기 컨택트(14, 16, 18, 20, 26, 28)가 상기 하우징(12)에 눌려 넣어짐으로써 고정된다.
상기 신호 컨택트(14, 18)에 관하여 설명한다. 신호 컨택트는 SAS용의 제2 신호 컨택트(14)와 SATA용의 제1 신호 컨택트(18)로 나뉜다. 상기 제2 신호 컨택트(14)는 2차 신호 세그먼트(Secondary Signal Segment)이며, 상기 제1 신호 컨택트(18)는 1차 신호 세그먼트(Primary Signal Segment)이다. 상기 제2 신호 컨택트(14) 및 상기 제1 신호 컨택트(18)는 상대물에 접촉하는 접촉부(141, 181)와, 상기 하우징(12)에 고정되는 고정부(142, 182)와, 상기 기판(80)에 실장되는 접속부(143, 183)를 가진다.
접촉부(141, 181)는 상대물과 접촉하기 용이하도록 상대물의 형상을 따르도록 적절히 설계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판형상 조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143, 183)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1(c)와 같이 표면 실장형(SMT)으로 되어 있으나, DIP 형이라도 좋다. 상기 접속부(143, 183)의 근방에 상기 하우징(12)에 대한 고정부(142, 1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42, 182)가 상기 하우징(12)으로 눌려 넣어짐으로써 지지된다.
다음으로, 그랜드 컨택트(16, 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그랜드 컨택트는 SAS용의 제2 그랜드 컨택트(16)와 SATA용의 제1 그랜드 컨택트(20)로 나뉜다. 상기 제2 그랜드 컨택트(16)는 2차 신호 세그먼트(Secondary Signal Segment)이며, 상기 제1 그랜드 컨택트(20)는 1차 신호 세그먼트(Primary Signal Segment)이다. 상기 제2 그랜드 컨택트(16) 및 상기 제1 그랜드 컨택트(20)는 상대물에 접촉하는 접촉부(161, 201)와, 상기 하우징(12)에 고정되는 고정부(162, 202)와, 상기 기판(80)에 실장되는 접속부(163, 203)를 가진다.
접촉부(161, 201)는 상대물과 접촉하기 용이하도록 상대물의 형상을 따르도록 적절히 설계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판형상 조각으로 되어 있다. 접속부(163, 203)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1(c)와 같이 표면 실장형(SMT)으로 되어 있으나, DIP 형이라도 좋다. 상기 접속부(163, 203)의 근방에 상기 하우징(12)에 대한 고정부(162, 202)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162, 202)가 상기 하우징(12)으로 눌려 넣어짐으로써 지지된다.
SAS용의 상기 제2 신호 컨택트(14)와 상기 제2 그랜드 컨택트(16)의 배치로서는, 제2 그랜드 컨택트(16, 16) 사이에 2개인 상기 제2 신호 컨택트(14, 14)가 배치되며, 제2 신호 컨택트(14)가 4개, 제2 그랜드 컨택트(16)가 3개로 총 7개 배치된다. SATA용도 마찬가지로 제1 신호 컨택트(18)와 상기 제1 그랜드 컨택트(20)의 배치로서는, 제1 그랜드 컨택트(20, 20) 사이에 2개의 제1 신호 컨택트(18)가 배치되며, 제1 신호 컨택트(18)가 4개, 제1 그랜드 컨택트(20)가 3개로 총 7개 배치된다. SAS용 컨택트(14, 16)와 SATA용 컨택트(18, 20)의 차이는, SAS용 컨택트(14, 16)의 접촉부(141, 161)와 SATA용 컨택트(18, 20)의 접촉부(181, 201)과의 노출되는 측이 서로 상하 반대로 되어 있다.
제2 그랜드 컨택트(16) 및 상기 제1 그랜드 컨택트(20) 중 적어도 2개는 일체 또는 별개 부품에 의하여 연결·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 전부 연결·접속된다. 상기 커넥터(10)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랜드 컨택트(16)는 도 2(a) 및 도 3(c)와 같이 일체에 의하여 연결·접속되며, 상기 제1 그랜드 컨택트(20)는 도 2(b)와 같이 별개 부품에 의하여 연결·접속된다. 연결·접속의 수단으로서는, 상기 하우징(12)의 구조나 접속 안정성이나 가공성이나 길이 안정성 또는 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하고, 적절히 선택한다. 도 4(c)는 제2 그랜드 컨택트(16)가 삽입되는 하우징(12)의 컨택트 삽입홈의 종단면도이며, 또한 도 4(d)는 제1 그랜드 컨택트(20)가 삽입되는 하우징(12)의 컨택트 삽입홈의 종단면도이지만, 하우징(12)의 구조가 도 4(d)와 같이 상하로 컨택트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경우에는 용수철편에서의 연결·접속으로도 좋으나, 도 4(c)와 같이 절연체가 일측에만 있는 경우에는 용수철편의 연결·접속이 아니라, 일체 또는 별개 부품을 용접 등으로 연결·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그랜드 컨택트(16)의 연결·접속 위치로서는, 접촉부(161)측의 일단(선단부)으로부터 고정부(162) 사이의 일부분을 연결·접속시킨다.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의 향상율을 고려하면, 접촉부(161) 부근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부(161) 부근을 일체로 연결·접속하고, 드로잉 가공(しぼり加工) 또는 구부림 가공으로 연결부(164)에 의하여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로잉 가공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164)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164)는 2개의 상기 제2 신호 컨택트(14)가 빠지도록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164)로 연결되는 부위로서는,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을 고려하면, 상기 접촉부(161)의 상대물과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1mm 범위 내에서 연결·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그랜드 컨택트(20)와 같이 별개 부품으로 연결·접속하는 경우, 판 형상 부분에 만곡된 탄성편(221)을 가진 연결부재(22)에 의하여, 상기 접촉부(201) 부근을 연결한다. 상기 탄성편(221)의 위치는 상기 제1 그랜드 컨택트(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그 형상·크기는 접속 안정성이나 길이 안정성이나 가공성 또는 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상기 탄성편(221)으로 연결하는 위치로서는,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을 고려하면, 상기 접촉부(201)의 상대물과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1mm 범위 내에서 연결·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별개인 커넥터(11)의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서로 다른 점에 관하여만 설명하면, 서로 다른 점은 상기 제2 그랜드 컨택트(17)의 연결·접속 수단이다. 이러한 연결·접속 수단으로서는 도 6(a)와 같이 별개 부품에 의하여 연결된다. 별개 부품으로서, 판 형상 부분에 대략 L 자 형상인 연결편(241)을 가진 연결구(24)에 의하여, 접촉부(171) 부근에 연결편(241)을 용접함으로써 연결시킨다. 연결편(241)과 제2 그랜드 컨택트(17)의 연결 수단으로서는, 안정된 접속이나 접합 강도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접으로 되어 있으나, 용착이나 코킹이나 도전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을 하여도 좋다. 연결구(24)의 연결편(241)으로 연결하는 위치로서는,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을 고려하면, 접촉부(171)의 상대물과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1mm 범위 내에서 연결·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용 컨택트(26)에는, 도 7(a)와 같이, 적어도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261)와, 상기 하우징(12)에 고정하는 고정부(262)와, 상기 기판(80)에 실장되는 접속부(263)를 가진다. 상기 전력용 컨택트(26)는 1.5A의 전력 공급을 하기 위한 것으로, 형상은 대략 크랭크 형상을 하고 있다.
접촉부(261)는 상대물과 접촉하기 용이하도록 상대물의 형상을 따르도록 적절히 설계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판형상 조각을 하고 있다. 상기 접속부(263)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1(c)과 같이 표면 실장형(SMT)로 하고 있으나, DIP 형이라도 좋다. 접속부(263) 근방에 상기 하우징(12)에 대한 고정부(262)가 형성된다. 고정부(262)는 상기 하우징(12)에 눌려 넣어짐으로써 지지된다.
검사용 컨택트(28)에는 도 7(b)와 같이, 적어도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281)와, 하우징(12)에 고정되는 고정부(282)와, 상기 기판(80)에 실장되는 접속부(283)를 가진다. 상기 검사용 컨택트(28)는 HDD 등의 검사를 하기 위한 것으로, 형상은 대략 크랭크 형상을 하고 있다.
접촉부(281)는 상대물과 접촉하기 용이하도록 상대물의 형상을 따르도록 적절히 설계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봉 형상을 하고 있다. 접속부(283)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1(c)과 같이 표면 실장형(SMT)로 하고 있으나, DIP 형이라도 좋다. 상기 접속부(283) 근방에 상기 하우징(12)에 대한 고정부(28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82)는 상기 하우징(12)에 눌려 넣어짐으로써 지지된다.
다음으로, 하우징(12)에 관하여 설명한다. 하우징(12)은 전기 절연성의 플라스틱이며, 공지기술의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작되고, 이러한 재질로는 길이 안정성이나 가공성이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나 폴리아미드(66PA, 46PA)나 액정 폴리머(LCP)나 폴리카보네이트(PC)나 이들의 합성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에는 상대물이 들어가는 끼움 결합홀(122)과 상기 상대물에 들어가는 끼움 결합부(121)가 형성된다(도 4(a), 도 4(b) 참조). 끼움 결합홀(122)은 상대물이 들어가면 좋고, 상대물의 형상을 따르도록 적절히 설계된다. 끼움 결합부(121)는 상대물에 들어가면 좋고, 상대물의 형상을 따르도록 적절히 설계된다. 끼움 결합부(121) 안에는 제2 신호 컨택트(14)와 제2 그랜드 컨택트(16 또는 17)와 제1 신호 컨택트(18)와 제1 그랜드 컨택트(20)와 상기 전력용 컨택트(26)가 지지·배열된다.
하우징(12)에는 제2 신호 컨택트(14) 및 제1 신호 컨택트(18)가 삽입되는 삽입공(123)과, 제2 그랜드 컨택트(16) 및 제1 그랜드 컨택트(20)가 삽입되는 삽입홈(124)과, 전력용 컨택트(26)가 삽입되는 삽입홀(125)과, 검사용 컨택트(28)가 삽입되는 지지홀(126)과, 고정구(30)가 지지되는 장착공(127)이 형성되어 있으며, 눌러 넣음 또는 걸기(랜스)나 용착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컨택트는 눌러 넣음에 의하여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에는 기판(80)의 실장면측에, 위치 결정을 위한 보스가 2개 형성된다. 보스의 위치는 기판에 대한 위치 결정이 가능하면 좋고, 강도나 커넥터의 소형화·공간이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다음으로, 고정구(30)에 관하여 설명한다. 고정구(30)는 금속제이며, 공지기술인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제작된다. 상기 고정구(30)의 재질로는 용수철성이나 도전성 등이 요구되므로, 황동이나 베릴륨 동이나 인청동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구(30)는 상기 하우징(12)의 장착공(127)에 눌러 넣음으로써 고정된다.
고정구(30)는 커넥터의 실장 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며, 크기나 형상은 실장 강도나 길이 안정성이나 가공성이나 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본 발명의 활용예로서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나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DD)나 PC나 서버 등의 전기기기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활용되며, 특히 고주파에서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랜드 컨택트를 연결·접속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10, 11...커넥터
12...하우징
121...끼움 결합부
122...끼움 결합홀
123...삽입공
124...삽입홈
125...삽입홀
126...지지홀
127...장착공
14...제2 신호 컨택트
141...접촉부
142...고정부
143...접속부
16, 17...제2 그랜드 컨택트
161, 171...접촉부
162, 172...고정부
163, 173...접속부
164...연결부
18...제1 신호 컨택트
181...접촉부
182...고정부
183...접속부
20...제1 그랜드 컨택트
201...접촉부
202...고정부
203...접속부
22...연결부재
221...탄성편
24...연결구
241...연결편
26...전력용 컨택트
261...접촉부
262...고정부
263...접속부
28...검사용 컨택트
281...접촉부
282...고정부
283...접속부
30...고정구
302...고정부
303...접속부
80...기판

Claims (7)

  1.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 기판에 실장되는 접속부, 및 해당 접속부에 가깝게, 그리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하우징에 고정되는고정부를 가지는 2 종류의 복수의 컨택트인 복수의 신호 컨택트 및 복수의 그랜드 컨택트와, 상기 신호 컨택트 및 상기 그랜드 컨택트가 배열·지지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그랜드 컨택트 사이에, 복수의 상기 신호 컨택트가 배치되며,
    상기 신호 컨택트 및 상기 그랜드 컨택트의 접촉부는, 상대물과 접촉하는 표면과 뒷면이 모두 평탄한 면을 가지는 판형상 조각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2개의 상기 그랜드 컨택트 사이에 배치하여, 한 쪽의 그랜드 컨택트의 접촉부의 측단으로부터 연장 설치하고, 다른 쪽의 그랜드 컨택트의 접촉부의 측단에 상기 그랜드 컨택트의 접촉부의 면의 방향을 유지한 상태로 연결·접속하는 연결부분을 갖는, 고주파에서 전송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상대물과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1mm의 범위 내에, 상기 연결부분의 연장 설치 위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3 개의 상기 그랜드 컨택트를 상기 연결부분에 의해 연결·접속하고, 상기 그랜드 컨택트 사이에 2개의 상기 신호 컨택트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신호 컨택트 및 상기 그랜드 컨택트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노출부분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분은 상기 그랜드 컨택트의 상기 노출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039014A 2012-04-27 2013-04-10 커넥터 KR102017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2684 2012-04-27
JPJP-P-2012-102684 2012-04-27
JP2013079574A JP6007146B2 (ja) 2012-04-27 2013-04-05 コネクタ
JPJP-P-2013-079574 2013-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714A KR20130121714A (ko) 2013-11-06
KR102017677B1 true KR102017677B1 (ko) 2019-09-03

Family

ID=4946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014A KR102017677B1 (ko) 2012-04-27 2013-04-10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276342B2 (ko)
JP (1) JP6007146B2 (ko)
KR (1) KR102017677B1 (ko)
CN (2) CN1033784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0438A2 (en) 2010-05-07 2011-11-10 Ampheno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cable connector
US9831588B2 (en) 2012-08-22 2017-11-28 Amphenol Corporation High-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CN104425995B (zh) * 2013-09-06 2017-01-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US9905975B2 (en) 2014-01-22 2018-02-27 Amphenol Corporation Very high speed, high density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with edge to broadside transition
CN104882691B (zh) * 2014-02-27 2017-10-31 美国莫列斯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US9331432B1 (en) * 2014-10-21 2016-05-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bussed ground contacts
US9692183B2 (en) * 2015-01-20 2017-06-2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Receptacle connector with ground bus
JP1536296S (ko) * 2015-02-23 2015-10-26
JP1535183S (ko) * 2015-02-23 2015-10-19
JP1537722S (ko) * 2015-02-23 2015-11-16
CN108701922B (zh) 2015-07-07 2020-02-14 Afci亚洲私人有限公司 电连接器
US9640915B2 (en) * 2015-07-13 2017-05-02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programmable ground tie bar
US9407022B1 (en) * 2015-08-14 2016-08-02 Amphenol East Asia Electronic Technology (Shen Zhen) Co., Ltd. Unitary interface used for PCI-E SAS
TWM521820U (zh) * 2015-08-17 2016-05-11 宣德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連接器結構
CN106469863B (zh) * 2015-08-20 2018-10-09 莫列斯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装置
USD767502S1 (en) * 2015-10-13 2016-09-2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contact
USD767503S1 (en) * 2015-10-13 2016-09-2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contact
USD767501S1 (en) * 2015-10-13 2016-09-2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contact
TWI790798B (zh) 2016-08-23 2023-01-21 美商安芬諾股份有限公司 可配置為高性能的連接器
US9881650B1 (en) * 2016-12-26 2018-01-3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Connector mitigating crosstalk for high speed communication
CN109390802B (zh) * 2017-08-10 2021-08-20 富顶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19079641A (ja) * 2017-10-23 2019-05-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電気接続構造
TWM562506U (zh) * 2017-11-15 2018-06-21 宣德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CN208045846U (zh) * 2018-01-03 2018-11-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CN208862209U (zh) 2018-09-26 2019-05-14 安费诺东亚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连接器及其应用的pcb板
DE102018126389B3 (de) * 2018-10-23 2020-03-19 Schölly Fiberoptic GmbH Elektrische Durchführung und medizinisches Gerät
CN113557459B (zh) 2019-01-25 2023-10-20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被配置用于线缆连接到中板的i/o连接器
CN113474706B (zh) 2019-01-25 2023-08-29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被配置用于线缆连接至中间板的i/o连接器
CN210111092U (zh) * 2019-03-22 2020-02-21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9860271U (zh) * 2019-03-22 2019-12-2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9994852A (zh) * 2019-03-26 2019-07-0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111490380B (zh) * 2019-03-30 2021-10-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20187844A (ja) * 2019-05-10 2020-11-19 山一電機株式会社 ホスト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備えるリセプタクルアセンブリー
CN113036538B (zh) * 2019-06-17 2022-10-25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TWI722581B (zh) * 2019-09-24 2021-03-21 美商莫仕有限公司 連接器
EP4035231A4 (en) * 2019-09-27 2023-11-01 Fci Usa Llc HIGH PERFORMANCE STACKED CONNECTOR
US11051436B2 (en) * 2019-12-27 2021-06-29 Intel Corporation Modular printed circuit board separation tool
CN115516717A (zh) 2020-01-27 2022-12-23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高速、高密度直配式正交连接器
WO2021154702A1 (en) 2020-01-27 2021-08-05 Fci Usa Llc High speed connector
CN113258325A (zh) 2020-01-28 2021-08-13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高频中板连接器
TWM604499U (zh) * 2020-07-31 2020-11-21 宏致電子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CN215816516U (zh) * 2020-09-22 2022-02-11 安费诺商用电子产品(成都)有限公司 电连接器
CN213636403U (zh) 2020-09-25 2021-07-06 安费诺商用电子产品(成都)有限公司 电连接器
CN113422232B (zh) * 2021-06-25 2022-04-01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端子安装结构、线缆连接器及连接器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1165A1 (en) * 2008-02-29 2009-09-03 Buck Jonathan E Cross talk reduction for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s
US20110269346A1 (en) 2008-11-14 2011-11-03 Molex Incorporated Resonance modifying connector
US20120108109A1 (en) 2010-11-03 2012-05-0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bars therein to reduce cross talking
JP2013004517A (ja) 2011-06-16 2013-01-07 Samsung Display Co Ltd 有機発光構造物、有機発光構造物の製造方法、有機発光表示装置、及び有機発光表示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7386A (ja) 1985-04-01 1986-10-09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グランド端子板を有する多極コネクタおよびその作成方法
JPH04108867A (ja) 1990-08-29 1992-04-09 Sumitomo Chem Co Ltd 反応染料含有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染色または捺染方法
JPH06208858A (ja) * 1991-09-06 1994-07-26 Amp Japan Ltd 同軸ケーブル接続装置
JP3495007B2 (ja) * 2001-03-14 2004-02-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高速伝送用コネクタ
JP4234714B2 (ja) * 2005-11-16 2009-03-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201425978Y (zh) * 2009-06-18 2010-03-17 王嘉鑫 电连接器插座及其端子结构
FR2966975B1 (fr) * 2010-10-27 2013-04-1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fabrication d'un substrat muni de deux zones actives avec des materiaux semi-conducteurs differents.
CN202076606U (zh) * 2011-05-03 2011-12-1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EP2541696A1 (en) * 2011-06-29 2013-01-02 Tyco Electronics Belgium EC BVBA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1165A1 (en) * 2008-02-29 2009-09-03 Buck Jonathan E Cross talk reduction for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s
US20110269346A1 (en) 2008-11-14 2011-11-03 Molex Incorporated Resonance modifying connector
US20120108109A1 (en) 2010-11-03 2012-05-0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bars therein to reduce cross talking
JP2013004517A (ja) 2011-06-16 2013-01-07 Samsung Display Co Ltd 有機発光構造物、有機発光構造物の製造方法、有機発光表示装置、及び有機発光表示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53848B2 (en) 2017-05-16
JP6007146B2 (ja) 2016-10-12
CN107425366B (zh) 2019-11-26
JP2013243122A (ja) 2013-12-05
US20130288513A1 (en) 2013-10-31
US9276342B2 (en) 2016-03-01
CN107425366A (zh) 2017-12-01
CN103378497A (zh) 2013-10-30
KR20130121714A (ko) 2013-11-06
US20160156133A1 (en)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677B1 (ko) 커넥터
JP6591616B2 (ja) コネクタ
TWI442650B (zh) Electrical connector
US7722365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901218B2 (en) Receptacle and a plug with fixtures to attach to substrates and engaging each other to form a power supply contact
TWI388098B (zh) 電連接器組件
US8277253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ircuit board assembly
JP2014165084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20080160839A1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with terminals in columns
JP2011146210A (ja) 電気コネクタ
US20150017836A1 (en) Active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20100304582A1 (en) Inverse coplanar electrical connector
US7758355B2 (en) Connector
KR101089789B1 (ko) 커넥터
KR101859028B1 (ko)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 및 이 연결 구조에 의해 형성된 쉘, 이 쉘을 구비하는 커넥터
US9431736B2 (en) Card edge connector and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US20160226165A1 (en) Power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6481729B2 (ja) 電気コネクタ
JP5473638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2114044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JP2021026980A (ja) 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るソケット
JP7266513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CN112470555B (zh) 电子控制装置
US20090111333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mputer peripheral device
JP2015005433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