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073B1 -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073B1
KR102015073B1 KR1020190091750A KR20190091750A KR102015073B1 KR 102015073 B1 KR102015073 B1 KR 102015073B1 KR 1020190091750 A KR1020190091750 A KR 1020190091750A KR 20190091750 A KR20190091750 A KR 20190091750A KR 102015073 B1 KR102015073 B1 KR 102015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riction
sprocket
disk
conveyo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김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스팩
Priority to KR1020190091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롤러 스프라켓과 상기 롤러 스프라켓 내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구동 롤러 베어링과 상기 롤러 스프라켓 타측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틱 디스크와 상기 마그네틱 디스크의 내측에 형성되는 마찰 디스크를 포함하는 구동 롤러와 상기 구동 롤러가 삽입되는 결합홈과 내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동 롤러 베어링과 상기 마그네틱 디스크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금속 디스크와 상기 마찰 디스크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마찰 시트를 포함하는 종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Non-Contact Type Conveyor Roller Device}
본 발명은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장치는 이송물을 연속적으로 자동 운반하는 기계장치로서, 효율적인 공간 활용도와 제조 공정의 자동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조립라인 및 물류센터 등을 포함하는 산업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376884호에 개시되어 있는 자석 및 금속을 이용한 컨베이어장치가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컨베이어장치는 구동부(20)에 구비되는 자석(24)과 종동부(30)에 구비되는 금속재플레이트(34)가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종동부(30)가 강제로 운전이 정지되는 경우 모터의 부하를 원활하게 바이패스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컨베이어장치는 이송물이 비교적 무거운 경우 종동부(30)는 정지하고 구동부(20)는 계속 회전하면서 자석(24)과 금속재플레이트(34)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마찰이송페이퍼(24a, 34a)의 마찰로 인한 분진 및 마모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컨베이어장치는 마찰이송페이퍼(24a, 34a)의 두께로 인하여 구동부(20)와 종동부(30)의 간극 조절이 어려우며 이에 따라 미세한 토크 조절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컨베이어장치는 자석(24)에 금속플레이트(34)가 직접 충격을 인가하여 장시간 운전 시 자석(24)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376884호(공고일자 2005.03.0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동부가 정지하고 구동부가 회전 중인 경우 분진 및 마모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크 조절이 용이하고 장시간 운전 시 자석 등의 부품 파손을 최소화하는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는 롤러 스프라켓과 상기 롤러 스프라켓 내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구동 롤러 베어링과 상기 롤러 스프라켓 타측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틱 디스크와 상기 마그네틱 디스크의 내측에 형성되는 마찰 디스크를 포함하는 구동 롤러와 상기 구동 롤러가 삽입되는 결합홈과 내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동 롤러 베어링과 상기 마그네틱 디스크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금속 디스크와 상기 마찰 디스크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마찰 시트를 포함하는 종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는 상기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관통하여 결합된 고정축이 일정 간격 이격 되어 복수 개가 설치되는 롤러 프레임이 양측에 대칭되어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 스프라켓과 일측이 상기 구동 스프라켓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롤러 스프라켓에 체결되는 체인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디스크와 금속 디스크의 이격 거리는 0.8~1.2mm이다.
한, 상기 금속 디스크의 재질은 한국 산업규격 SS400이다.
또한, 상기 마찰 디스크의 재질은 SUS304이다.
또한, 상기 마찰 시트의 재질은 불소수지이다.
상기 마그네틱 디스크는 복수 개의 네오디뮴(Nd) 자석이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마찰 시트의 신장률은 200~400%이다.
또한, 상기 마찰 디스크의 내주 면에는 상기 마찰 시트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분진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진홈에는 양면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는 종동부와 구동부 간의 마찰로 인한 분진 및 마모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는 토크조절이 용이하며, 장시간 운전 시에 자석 등의 부품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컨베이어용 롤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의 a, b, c, 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의 마그네틱 디스크, 금속 디스크, 마찰 디스크, 마찰 시트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의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의 a, b, c, 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의 마그네틱 디스크, 금속 디스크, 마찰 디스크, 마찰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2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는 구동 롤러(100)와 종동 롤러(200) 및 고정축(30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롤러(100)는 롤러 스프라켓(110)과 상기 롤러 스프라켓(110) 내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구동 롤러 베어링(120)과 상기 롤러 스프라켓(110) 타측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틱 디스크(130)와 상기 마그네틱 디스크(130)의 내측에 형성되는 마찰 디스크(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디스크(130)는 환형의 디스크로서 복수 개의 자석(131)이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때, 자석(131)은 영구자석 및 전자석을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네오디뮴(Nd) 자석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찰 디스크(140)는 환형의 디스크로서 재질은 SUS304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찰 디스크(140)는 표면이 폴리싱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동 롤러(200)는 상기 구동 롤러(100)가 삽입되는 결합홈(210)와 내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동 롤러 베어링(220)과 상기 마그네틱 디스크(130)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금속 디스크(230)와 상기 마찰 디스크(140)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마찰 시트(240)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 디스크(230)는 환형으로 상기 자석(131)과 붙는 재질로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 디스크(230)의 재질은 한국 산업규격의 SS400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금속 디스크(230)와 마그네틱 디스크(130)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0.8~1.2mm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찰 시트(240)는 환형의 형상이며, 불소수지의 재질로 형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신장률이 200~400%이다.
상기 고정축(300)은 상기 구동 롤러(100)와 종동 롤러(20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는 종동부와 구동부 간의 마찰로 인한 분진 및 마모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의 상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는 지지 프레임(400)과 구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400)은 상기 구동 롤러(100)와 종동 롤러(200)가 결합된 고정축(300)이 일정 간격 이격 되어 복수 개가 설치되는 롤러 프레임(410)이 양측에 대칭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롤러 프레임(410)은 상기 구동 롤러(100)가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종동 롤러(200)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러 프레임(410)은 외측 상단에 완충 부재(4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 부재(411)는 종동 롤러(20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종동 롤러(200) 상측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대상물이 좌우 유동으로 인하여 상기 롤러 프레임(410)과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이송 대상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지지 프레임(400)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모터(510)와 상기 구동모터(510)의 회전축(511)에 결합되는 구동 스프라켓(512)과 일측이 상기 구동 스프라켓(512)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롤러 스프라켓(110)에 체결되는 체인(513)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50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의 회전축(511)에 결합되는 제 1구동 스프라켓(512a)과 상기 제 1구동 스프라켓(512a) 양측에 설치되는 제 2구동 스프라켓(512b)과 제 3구동 스프라켓(512c)을 포함한다.
또한, 도 6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제 1구동 스프라켓(512a)과 상기 제 2구동 스프라켓(512b) 및 제 3구동 스프라켓(512c)은 상기 지지 프레임(400) 타단에 대칭되어 형성되어 체인(513)이 연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인(513)의 외측이 상기 롤러 스프라켓(110)에 결합되어 구동 롤러(100)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체인(513)은 상기 롤러 스프라켓(110)의 하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종동 롤러(200) 상측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대상물이 좌우로 유동하면서 체인(513)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롤러(100)는 상기 마그네틱 디스크(130)와 금속 디스크(230) 간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종동 롤러(200)와 함께 회전한다.
이때, 상기 종동 롤러(200)에 상기 마그네틱 디스크(130)와 금속 디스크(230) 간의 인력보다 큰 힘이 가해지면 상기 구동 롤러(100)는 계속 회전하고, 상기 종동 롤러(200)는 회전이 중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는 상기 마찰 디스크(140) 또는 마찰 시트(240)의 두께를 조정하여 토크 조절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는 상기 마찰 디스크(140)와 마찰 시트(240)의 두께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틱 디스크(130)와 금속 디스크(230) 간에 작용하는 인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구동 롤러(100)와 종동 롤러(200) 간의 토크 조절이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롤러(100)와 종동 롤러(200) 간의 토크는 0.8~1.2kgf·cm로 설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는 토크조절이 용이하며, 장시간 운전 시에 자석 등의 부품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구동 롤러(100)와 종동 롤러(200) 간의 토크 변화 폭이 0~0.08kgf·cm로 나타났으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컨베이어장치와 비교하여 분진 및 소음 발생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는 장시간 운전 시에도 자석(131)의 파손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마찰 디스크(140)의 내주 면에는 상기 마찰 시트(24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분진홈(14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진홈(141)에는 양면 테이프(142)가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찰 디스크(140)와 마찰 시트(240) 간에 발생하는 분진은 상기 분진홈(141)에 낙하되고 상기 양면 테이프(142)에 부착되어 상기 구동 롤러 베어링(120) 또는 종동 롤러 베어링(220)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외주면은 상기 마찰 디스크(140)와 상기 마찰 시트(240)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내주면은 상기 마찰 디스크(140)보다 상기 마찰 시트(240)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마찰 디스크(140)와 상기 마찰 시트(240)가 접촉되는 면은 상기 분진홈(141)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구동 롤러
110. 롤러 스프라켓
120. 구동 롤러 베어링
130. 마그네틱 디스크
131. 자석
140. 마찰 디스크
141. 분진홈
142. 양면 테이프
200. 종동 롤러
210. 결합홈
220. 종동 롤러 베어링
230. 금속 디스크
240. 마찰 시트
300. 고정축
400. 지지 프레임
410. 롤러 프레임
411. 완충 부재
500. 구동부
510. 구동모터
511. 회전축
512. 구동 스프라켓
512a. 제 1구동 스프라켓
512b. 제 2구동 스프라켓
512c. 제 3구동 스프라켓
513. 체인

Claims (10)

  1. 롤러 스프라켓과 상기 롤러 스프라켓 내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구동 롤러 베어링과 상기 롤러 스프라켓 타측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틱 디스크와 상기 마그네틱 디스크의 내측에 형성되는 마찰 디스크를 포함하는 구동 롤러;
    상기 구동 롤러가 삽입되는 결합홈과 내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동 롤러 베어링과 상기 마그네틱 디스크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금속 디스크와 상기 마찰 디스크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마찰 시트를 포함하는 종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축;을 포함하는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관통하여 결합된 고정축이 일정 간격 이격 되어 복수 개가 설치되는 롤러 프레임이 양측에 대칭되어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 스프라켓과 일측이 상기 구동 스프라켓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롤러 스프라켓에 체결되는 체인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디스크와 금속 디스크의 이격 거리는 0.8~1.2mm 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디스크의 재질은 한국 산업규격 SS400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디스크의 재질은 한국 산업규격 SUS304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시트의 재질은 불소수지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디스크는 복수 개의 네오디뮴(Nd) 자석이 이격되어 설치되는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시트의 신장률은 200~400%인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디스크의 내주 면에는 상기 마찰 시트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분진홈이 형성되는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홈에는 양면 테이프가 부착되는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
KR1020190091750A 2019-07-29 2019-07-29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 KR102015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750A KR102015073B1 (ko) 2019-07-29 2019-07-29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750A KR102015073B1 (ko) 2019-07-29 2019-07-29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073B1 true KR102015073B1 (ko) 2019-08-27

Family

ID=6780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750A KR102015073B1 (ko) 2019-07-29 2019-07-29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0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189Y1 (ko) * 2004-07-09 2004-10-19 주식회사 유니빅 자석을 이용한 어큐브레이션 컨베이어장치
KR200376884Y1 (ko) 2004-11-23 2005-03-08 주식회사 유니빅 자석 및 금속을 이용한 컨베이어장치
KR20060011776A (ko) * 2004-07-30 2006-02-03 김한동 롤러컨베이어의 롤러구동장치
JP2012148849A (ja) * 2011-01-18 2012-08-09 Asahi Kinzoku Seisakusho:Kk コンベア用ブレーキロー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189Y1 (ko) * 2004-07-09 2004-10-19 주식회사 유니빅 자석을 이용한 어큐브레이션 컨베이어장치
KR20060011776A (ko) * 2004-07-30 2006-02-03 김한동 롤러컨베이어의 롤러구동장치
KR200376884Y1 (ko) 2004-11-23 2005-03-08 주식회사 유니빅 자석 및 금속을 이용한 컨베이어장치
JP2012148849A (ja) * 2011-01-18 2012-08-09 Asahi Kinzoku Seisakusho:Kk コンベア用ブレーキロー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073B1 (ko) 비접촉식 컨베이어 롤러장치
US7007795B2 (en) Transport device with contact-free transmission coupling
US4193493A (en) Roller conveyor
JP2013155813A (ja) 搬送装置
US4557490A (en) Magnetic seal system for belt conveyor rollers
KR101770037B1 (ko)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KR100990096B1 (ko) 마그네트모듈이 적용된 물품 이송시스템
US7622839B2 (en) Magnetic belt and roller system
KR200376884Y1 (ko) 자석 및 금속을 이용한 컨베이어장치
KR101956477B1 (ko)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CN209080769U (zh) 斜口皮带传输机
KR20030038242A (ko) 영구자석 기어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KR200392547Y1 (ko) 어큐물레이션 콘베이어
JP3702665B2 (ja) 搬送装置
CN206243970U (zh) 磁性积放辊筒
CN220744250U (zh) 基于多楔带传动的传送辊装置
JP2006290624A (ja) ベルトコンベヤによって被印刷体枚葉紙を搬送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適したベルトコンベヤ
KR100533543B1 (ko) 무진 컨베이어
KR101933172B1 (ko) 회전식 조형구조물의 구동모터의 역방향 부하전달 방지장치
WO2024058222A1 (ja) 搬送ローラ
KR19980032589U (ko) 롤러컨베이어 장치
KR20080060492A (ko) 자성 클러치구조의 롤러 컨베이어 이송롤러
JP2005350171A (ja) ローラコンベヤ
JP2006298651A (ja) 紙葉搬送路
JP6577219B2 (ja) 仕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