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589U - 롤러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589U
KR19980032589U KR2019960045466U KR19960045466U KR19980032589U KR 19980032589 U KR19980032589 U KR 19980032589U KR 2019960045466 U KR2019960045466 U KR 2019960045466U KR 19960045466 U KR19960045466 U KR 19960045466U KR 19980032589 U KR19980032589 U KR 199800325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esin
roller conveyor
convey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5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태현
Original Assignee
최병숙
주식회사 현대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숙, 주식회사 현대산업기계 filed Critical 최병숙
Priority to KR2019960045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2589U/ko
Publication of KR199800325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58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송물이 적재되어 이송되는 롤러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송물의 크기, 중량에 구애받지 않고 소음의 극소화 및 수명의 연장과 장기간 사용에 따른 롤러의 교체시에 부분품의 교체로서 교체작업성의 극대화와 자재절감에 의한 경제성이 뛰어난 롤러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축과 이축에 회동가능케 롤러가 양측에 하우징과 체인기어로 결합되고 이 롤러의 외주연에는 일정크기로 분할된 불소수지 또는 경질고무와 같은 내마모성이 강한 수지부싱이 상기 체인기어와 하우징에 고정되는 칼라사이에 지지위치 되도록 구성하여서 해당공정의 작업에 따른 이송물의 정지시에 상기 이송물이 위치하는 곳의 수지부싱만이 정지에 의한 마찰저항을 받도록 되어서 기존의 롤러구조에서 양단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마찰저항의 극소화와 이에 따른 소음의 극소화 및 장치수명의 연장을 극대화를 제공하고, 상기 수지부싱이 수지제로 되는 관계로 기존의 스틸제롤러의 단점인 녹발생 및 흠집에 의한 이송물에 직접적인 영향이 배제되며, 또한 장기간사용에 따른 수지부싱의 손상이 올 경우 상기 칼라를 해체시킨 후 손상된 것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교체작업성 및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롤러컨베이어 장치
본 고안은 롤러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송물이 적재되어 이송되는 롤러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송물의 크기, 중량에 구애받지 않고 소음의 극소화 및 수명의 연장과 장기간 사용에 따른 롤러의 교체시에 부분품의 교체로서 교체작업성의 극대화와 자재절감에 의한 경제성이 뛰어난 롤러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컨베이어 장치의 기본목적은 완제품을 이송시키거나 가공제품을 해당공정에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데 사용되는 바, 이러한 롤러컨베이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대(1)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롤러(2)가 각각의 축(3)에 의해 회전가능케 일정간격으로 축설구성되어지되, 일측에서 동력원인 구동모터(4)로 부터 안내체인기어(5)를 경유하여 무한궤도상으로 운동하는 체인(6)에 상기 각 롤러(2)가 축(3) 일단에 결합고정된 각각의 체인기어(7)로 치합에 의한 일방향의 이송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각각의 롤러(2) 상부에 적재된 이송물(P)을 이송시키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롤러컨베이어 장치는 롤러(2)의 상부에 적재된 이송물(P)을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이송시킬 때에는 장치사용에 큰 문제점이 없으나, 각 공정별 작업에 따른 이송물은 장치의 하단에 구성된 스토퍼와 같은 정지수단(10)에 의해 임시 정지시켜 가공작업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이송물의 저면과 회전하는 롤러(2)의 표면에 마찰력이 발생되게 되고 이로 인해 롤러(2)와 이송물(P)이 마모되어 롤러(2)의 수명과 이송물(P) 표면에 손상을 입히게 된다.
따라서 근래에 와서는 상기와 같은 롤러컨베이어 장치, 다시 말해서 이송물(P)의 각 공정별 작업에 따른 정지수단(10)에 의해 임시정지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롤러(2)의 표면과 이송물(P)의 표면에 마찰력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롤러(2)의 회전은 멈추더라도 장치전체의 연속동작을 위해 롤러(2)를 제외한 내부구성만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롤러컨베이어 장치가 여러가지 기술로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이 적용된 롤러구조의 일례를 도 2에 의거 살펴보면 이는 상기와 같은 롤러컨베이어 장치의 구동수단(4)에 의해 회전되도록 축(3)과 이축의 양방에 결합되는 하우징(11) 및 체인기어(7)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물(P)을 지지하는 양측의 부싱(12)과 이 부싱에 결합고정되는 롤러(2)로 구성되되, 상기 양측의 부싱(12)은 상기 하우징(11) 및 체인기어(7)에서 회전가능케 유설되어져서 상기 이송물(P)이 이송될 때에는 상기 롤러(2) 및 양측부싱(12)과 체인기어(7) 및 하우징(11)이 축(3)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이송물(P)이 스토퍼와 같은 정지수단(10)에 의해 정지될 때에는 상기 체인기어(7) 및 하우징(11)만 회전하고 상기 로울(2) 및 양측의 부싱(12)은 정지되도록 된 기술구성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롤러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롤러(2) 및 부싱(12)의 정지시에 그 정지에 따른 직접적인 마찰력이 발생되는 마찰부분이 상기 부싱(12)의 내부면과 상기 스프로켓(7) 및 하우징(11)의 외주면의 결합부분(A,B)에 있는 관계로 이송물(P)이 상기 결합부분(A 또는 B)에 치우칠 경우에는 상기 이송물(P)의 하중이 상기 결합부분(A 또는 B)에 편중되어 이 부분에 많은 하중이 결려 심한 소음과 마모가 심하여 빠른 손상을 초래했고, 또한 롤러(2) 및 양측의 부싱(12) 전체가 정지하는 관계로 양쪽의 결합부분(A,B)이 동시에 많은 저항을 받아 기계적 무리가 가중되어 장치수명의 단축이 있었으며, 특히, 각 롤러(2)의 고장시에는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작업성의 극감과 로울의 전체교체에 따른 자재낭비에 의한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축과 이축에 회동가능케 롤러가 양측에 하우징과 체인기어로 결합되고 이 롤러의 외주연에는 일정크기로 분할된 불소수지 또는 경질고무와 같은 내마모성이 강한 수지부싱이 상기 체인기어와 하우징에 고정되는 칼라사이에 지지위치 되도록 구성하여서 해당공정의 작업에 따른 이송물의 정지시에, 상기 이송물이 위치하는 곳의 수지부싱만이 정지에 의한 마찰저항을 받도록 되어서 기존의 롤러구조에서 양단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마찰저항의 극소화와 이에 따른 소음의 극소화 및 장치수명의 연장을 극대화를 제공하고, 상기 수지부싱이 수지제로 되는 관계로 기존의 스틸제롤러의 단점인 녹발생 및 흠집에 의한 이송물에 직접적인 영향이 배제되며, 또한 장기간사용에 따른 수지부싱의 손상이 올 경우 상기 칼라를 해체시킨 후 손상된 것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교체작업성 및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롤러컨베이어 장치의 정면구성도,
도 2는 도 1과 같은 롤러컨베이어 장치에 적용되는 종래의 롤러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롤러컨베이어 장치의 측단면구성도,
도 4는 도 3의 F부 발췌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기대30:축
40:롤러50:하우징
60:체인기어70:수지부싱
80:칼라P:이송물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대(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축착되는 축(30)과 이축에 롤러(40)의 양측이 하우징(50) 및 체인기어(60) 사이에 고정되어 회동가능케 구성되어서 일측의 구동수단으로 부터 체인에 의해 상기 체인기어(60)가 연동되어 상기 롤러(40) 상의 이송물(P) 이송시키도록 된 롤러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40)는 상기 하우징(50) 및 체인기어(60)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고 그 외주면에는 불소수지 또는 경질고무와 같은 내마모성이 강한 수지부싱(70)이 일정크기로 분할되고 끼워져서, 상기 체인기어(60)의 돌출단차면(61)과 상기 하우징(50)에 고정되는 칼라(80) 사이에 지지위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지부싱(70)간의 분할부분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수직단부면(72)으로 맞이음결합되었으나 도 5에서와 같이 돌출면과 이 돌출면이 결합되는 대응결합단부면(73,73)으로 맞이음결합될 수도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대응의 경사단부면(74,74)으로 맞이음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3에서와 같이 이송물(P)이 일측부분에 편중된 상태로 이송되면서 스토퍼와 같은 정지수단(4)에 의해 정지작동이 될 경우, 상기 이송물(P)에 의해 직접적 하중을 받는 부분의 수지부싱(70)만이 정지하고 나머지 수지부싱(70)은 롤러(40)의 외주면을 계속 회전하게 되어 기존의 전체적인 정지에 따른 기계적인 무리한 부하를 극소화할 수 있고 또한 종래의 롤러구조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축(30) 양단의 결합부분에 집중적으로 작용되는 마찰저항 및 하중이 본 고안에서는 상기 수지부싱(70)의 내면에서 회동하는 롤러(40)에 의해 전체적 마찰저항 및 하중이 분산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기계적 무리가 적제되고 따라서 소음의 극소화 및 수명연장이 확보된다.
특히,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싱(70)은 일정크기로 분할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에 따른 손상시에는, 상기 하우징(50)에 고정된 칼라(80)를 풀어 교체할 수지부싱(70)을 빼어내고 새로운 수지부싱(70)으로 교환한 다음 칼라(80)를 재고정하는 단순작업에 의한 교체작업이 제공되고, 동시에 교체부분의 수지부싱(70)의 교환으로 장치전체를 재사용할 수 있는 자재절감의 경제성이 확보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송물에 의해 직접적으로 마찰 및 하중을 받는 부분의 롤러의 외주면에 내마모성이 강한 불소수지 또는 경질고무와 같은 수지부싱을 일정크기로 분할하여 결합시킴으로서, 종래와 같이 각 공정작업에 따른 이송물의 정지시에 이송물의 편하중에 따른 마찰저항이 일부분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단점을 배제하여 기계적 무리의 극소화에 의한 수명연장과, 수지제 특성에 의해 정지시에도 마찰음의 극소화가 확보되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롤러의 수리작업이 상기 수지부싱의 교체작업에 의해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재절감의 경제성이 확보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기대(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축착되는 축(30)과 이축에 롤러(40)의 양측이 하우징(50) 및 체인기어(60) 사이에 고정되어 회동가능케 구성되어서 일측의 구동수단으로 부터 체인에 의해 상기 체인기어(60)가 연동되어 상기 롤러(40)상의 이송물(P)을 이송시키도록 된 롤러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상리 롤러(40)는 상기 하우징(50) 및 체인기어(60)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고 그 외주면에는 불소수지 또는 경질고무와 같은 내마모성이 강한 수지부싱(70)이 일정크기로 분할되고 끼워져서, 상기 체인기어(60)의 돌출단차면(61)과 상기 하우징(50)에 고정되는 칼라(80) 사이에 지지위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싱(70)간의 분할부분이 수직단부면(72,72)으로 맞이음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컨베이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싱(70)간의 분할부분이 돌출면과 이 돌출면이 결합되는 대응결합단부면(73,73)으로 맞이음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컨베이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싱(70)간의 분할부분이 대응의 경사단부면(74,74)으로 맞이음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컨베이어 장치.
KR2019960045466U 1996-12-04 1996-12-04 롤러컨베이어 장치 KR199800325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466U KR19980032589U (ko) 1996-12-04 1996-12-04 롤러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466U KR19980032589U (ko) 1996-12-04 1996-12-04 롤러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589U true KR19980032589U (ko) 1998-09-05

Family

ID=53987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5466U KR19980032589U (ko) 1996-12-04 1996-12-04 롤러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258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600B1 (ko) * 2008-01-02 2008-06-16 임채권 소음방지 기능을 갖는 이송롤
US9304392B2 (en) 2003-05-23 2016-04-05 Nikon Corporation Exposur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device
US9488920B2 (en) 2003-05-28 2016-11-08 Nikon Corporation Exposure method, exposur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device
US10025194B2 (en) 2003-09-29 2018-07-17 Nikon Corporation Exposure apparatus, exposure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4392B2 (en) 2003-05-23 2016-04-05 Nikon Corporation Exposur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device
US9939739B2 (en) 2003-05-23 2018-04-10 Nikon Corporation Exposur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device
US9488920B2 (en) 2003-05-28 2016-11-08 Nikon Corporation Exposure method, exposur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device
US10082739B2 (en) 2003-05-28 2018-09-25 Nikon Corporation Exposure method, exposur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device
US10025194B2 (en) 2003-09-29 2018-07-17 Nikon Corporation Exposure apparatus, exposure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device
KR100838600B1 (ko) * 2008-01-02 2008-06-16 임채권 소음방지 기능을 갖는 이송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8674B1 (en) Set of modular elements for the construction of a driving pulley for a belt conveyor
KR19980032589U (ko) 롤러컨베이어 장치
KR102436075B1 (ko) 소재이송을 위한 블랭킹 라인용 컨베이어장치
KR200419872Y1 (ko) 수평이송형 팔레트용 컨베이어
KR20070096597A (ko) 수평이송형 팔레트용 컨베이어
US3708844A (en) Replaceable roll assembly
KR101383769B1 (ko) 체인 컨베이어
CN217024289U (zh) 一种转角传送装置
KR10207630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클리너
KR101370077B1 (ko) 직각 방향 배출 체인 컨베이어
CN210175916U (zh) 分级同步驱动变向输送机
CN209080769U (zh) 斜口皮带传输机
US4844241A (en) Conveyor stub idler roll apparatus
KR200281021Y1 (ko) 롤러각도조절이 가능한 롤러스탠드
CN111559619B (zh) 一种具有主动缓冲装置的刮板输送机链轮组件
CN215478304U (zh) 传送装置
KR200368337Y1 (ko) 트롤리 컨베이어 롤러
CN212711140U (zh) 一种防跑偏组合式输送带
CN215206803U (zh) 用于皮带输送机的自调节居中辊筒
CN219566561U (zh) 一种矿山皮带输送机摩擦托辊
CN213201104U (zh) 一种输送带
CN220844105U (zh) 一种链条结构以及板式输送链条
CN220519226U (zh) 一种长距离输送机
CN210709180U (zh) 一种链板式爬坡输送线
KR0123563Y1 (ko) 공작물이송용 롤러 컨베이어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