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0492A - 자성 클러치구조의 롤러 컨베이어 이송롤러 - Google Patents

자성 클러치구조의 롤러 컨베이어 이송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0492A
KR20080060492A KR1020060134666A KR20060134666A KR20080060492A KR 20080060492 A KR20080060492 A KR 20080060492A KR 1020060134666 A KR1020060134666 A KR 1020060134666A KR 20060134666 A KR20060134666 A KR 20060134666A KR 20080060492 A KR20080060492 A KR 20080060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riven
drive member
driven member
roll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0635B1 (ko
Inventor
김헌섭
Original Assignee
김헌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섭 filed Critical 김헌섭
Priority to KR1020060134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635B1/ko
Publication of KR20080060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1Roller driving means with frictional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61Accumulating articles
    • B65G47/266Accumulating articles by means of a series of pivotable stop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1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 H02K37/12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 컨베이어에 일렬로 배설되어서 물품을 안치한 이송 플레이트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으로, 특히 종래 마찰력에 의해 이루어졌던 구동부재와 종동부재의 제동상태가 자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롤러 컨베이어용 이송롤러에 관한 것이다.
롤러 컨베이어, 자석, 도체, 이송롤러, 구동부재, 종동부재

Description

자성 클러치구조의 롤러 컨베이어 이송롤러{ROLLER FOR ROLLER CONVEYOR}
도 1은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롤러 컨베이어 이송롤러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조립 상태도를 보여주는 것이고, (b)는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롤러 컨베이어 이송롤러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조립 상태도를 보여주는 것이고, (b)는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롤러를 마련한 롤러 컨베이어의 개략 구성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롤러 컨베이용 이송롤러
10. 구동부재 11. 외경
12. 설치홈 13. 회동축
20. 종동부재 21. 내경
22. 설치홈 30. 베어링
50. 도체 M, M'. 자석
100. 롤러 컨베이어 110. 이송 플레이트
C. 체인
본 발명은 자성 클러치구조의 롤러 컨베이어용 이송롤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 컨베이어에 일렬로 배설되어서 물품을 안치한 이송 플레이트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으로, 특히 종래 마찰력에 의해 이루어졌던 구동부재와 종동부재의 제동상태가 자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롤러 컨베이어용 이송롤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나 전자 부품의 조립 및 생산에 따른 일련의 공정들은 통상 롤러 컨베이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롤러 컨베이어는, 일반적으로 프레임에 일렬 배설되어 외부 동력을 인가받아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의 상부에 안치되는 이송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서 이송롤러에 안치된 이송 플레이트는, 작업자의 작업시간의 확보를 위한 일시 정지가 요구되며, 따라서 당분야에서는 이송롤러를 외부 동력을 인가받아 항시 회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와 클러치 구조로 연결되어서, 상기 구동부재와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회전되는 종동부재로 구성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이송 컨베이어용 롤러는, 원통형 구동부재와 원통형 종동부재의 일면을 밀착시키고, 이들간에 트러스트 베어링을 설치하거나 스프링을 마련하여서, 이들간의 마찰력의 생성을 통한 클러치 작용이 도모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의 이송롤러는, 마찰력의 형성을 위해 별도 트러스트 베어링이나 스프링이 요구되므로 장치가 복잡해지고, 또 마찰력을 형성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이나 스프링이 노후화되면, 이송롤러 자체를 해체하여 트러스트 베어링 또는 스프링을 교체하여야 하므로 추후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이송 플레이트에 안치되는 물품의 하중이 비교적 가벼운 경우, 구동부재와 종동부재 사이의 클러치 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상의 제약이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종래 마찰력에 의해 이루어졌던 구동부재와 종동부재의 제동상태가, 자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자성 클러치구조의 롤러 컨베이어용 이송롤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성 클러치구조의 롤러 컨베이어용 이송롤러는,
회전축이 관통된 원통몸체로, 일편에는 외부 작용력을 인가받는 동력 전달부가 마련되어 동력 전달부를 통해 외부 작용력을 인가받아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구 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외경에 동심구조로 설치되는 중공 몸체로, 내경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구동부재와 공회전 상태를 이루는 종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에 의해 공회전 상태를 이룬 구동부재의 외경 또는 종동부재의 내경 중 어느 한편에는 자석이 설치되고, 나머지 한편에는 다른 극성의 자석 또는 도체가 설치되어, 이들간의 자력(인력)에 의해 이들 종동부재가 구동부재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도체'는, 자석 이외에 철재 등 자력에 의해 자석에 달라붙는 물체 또는 물질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재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중공몸체의 외경면에 자석이 매설 내지 부착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종동부재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중공몸체의 내경에 도체가 일체화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성 클러치구조의 롤러 컨베이어용 이송롤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 이송롤러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조립 상태도를 보여주는 것이고, (b)는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 이송롤러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조립 상태도를 보여주는 것이고, (b)는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성 클러치구조의 롤러 컨베이어용 이송롤러(1, 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부재(10)에, 중공 몸체로 이루어진 종동부재(20)가 동심으로 설치된 형태이다.
상기 구동부재(10)는 회전축(13)이 관통된 원통몸체로 이루어지며, 일편에는 외부 작용력을 인가받는 스프라켓(14)이 일체화되게 마련되어, 별도 제작된 스프라켓과의 결합 없이도 안정되게 체인을 통해 외부 동력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원통몸체의 일편에 스프라켓이 아닌 풀리, 기어 등 다양한 동력 전달부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 상기한 동력 전달부와 원통몸체를 각각 제작 및 결합시켜 구동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롤러(1, 1')를 구성하는 구동부재(10)와 종동부재(20)는 금속재, 합성수지재, 우레탄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재(10)와 종동부재(20)를 사출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와 우레탄으로 각각 제작하여, 제품의 경량화 및 저렴화를 꾀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재(10)의 외경(11)과 종동부재(20)의 내경(21) 사이에는 베어링(30)이 배설되며, 본 실시예에는 상호 대향하는 구동부재(10)와 종동부재(20)의 양편에 설치홈(12, 22)을 대향되게 형성하고, 이 설치홈(12, 22)에 베어링(30)을 삽입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동부재(10)와 종동부재(20) 사이에 베어링(30)이 설치되면, 구동부재(10)의 외경(11)과 종동부재(20)의 내경(21)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또 베어링(30)에 의해 구동부재(10)와 종동부재(20)는 공회전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종래 제동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구동부재와 종동부재 사이에서 발생되는 물리적인 마찰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롤러(1, 1')에서는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구동부재(10)와 종동부재(20) 간의 마모현상이 억제 또는 예방되어서 내구성이 향상되고, 또 구동과정에서 발생하는 발열 및 소음이 억제 또는 예방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롤러(1, 1')의 구동부재(10)와 종동부재(20) 사이에는 제동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마찰력이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이송롤러(1, 1')를 롤러 컨베이어(100)에 배설한 다음, 체인(C)을 통해 각 이송롤러(1, 1')의 스프라켓(14)에 동력을 제공하더라도 구동부재(10)만이 회전될 뿐, 종동부재(20)는 회전하지 아니하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종동부재(20)에 안치되어 종동부재(20)의 회전을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 플레이트(110)의 이송작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롤러(1, 1')의 구동부재(10)와 종동부재(20) 사이에도 종래와 같이 제동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클러치 구조가 요구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마찰력이 아닌 자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10)와 종동부재(20)의 제동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어링(30)에 의해 공회전 상태를 이룬 구동부재(10)의 외경(11)과 종동부재(20)의 내경(21) 사이에 자석(M)과 이 자석과 극이 다른 자석(M') 또는 도체(50)를 각각 배설하여, 이들 대향하는 구동부재(10)와 종동부재(20) 사이에 자력(인력)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동부 재(20)가 인력에 의해 구동부재(10)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1에서는 상기 구동부재(10)의 외경(11)과 종동부재(20)의 내경(21)에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M, M')들을 대향되게 배설하여, 이들 간에 인력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2에서는 상호 대향하는 구동부재(10)의 외경(11)에 자석(M)을 배설하고, 종동부재(20)의 내경(21)면 전체를 도체(50)로 구성하여, 이들 구동부재(10)와 종동부재(20) 사이에 자력(인력)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구동부재(10)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중공몸체의 외경면에 자석(M)이 매설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종동부재(20)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중공몸체의 내경면에 도체(50)가 일체화된 형태로 배설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용 이송롤러(1, 1')는, 베어링(30)에 의해 원활한 구동부재(10)와 종동부재(20)의 공회전 상태가 유지되면서도, 자력(인력)에 의한 제동상태(클러치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이송롤러를 마련한 롤러 컨베이어의 개략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용 이송롤러(1, 1')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롤러 컨베이어(100)에 일렬 배설되며, 이렇게 배설된 이 송롤러(1, 1')의 상부에는 물품이 안치된 이송 플레이트(110)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 컨베이어(100)에 일렬 배설된 이송롤러(1, 1')들은 각각 구동부재(10)의 일편에 마련된 스프라켓(14)을 통해 체인(C)으로부터 외부 작용력을 인가받아서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외부 작용력을 인가받아서 구동부재(1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와 자력(인력)에 의해 제동상태가 형성된 종동부재(20)도 일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되어서, 종동부재(20)의 상부에 안치된 이송 플레이트(110)의 일방향 이송이 구현된다.
그러나, 이송 컨베이어(100)에 설치된 스토퍼(120)가 이송 플레이트(110) 또는 물품(111)을 물리적으로 정지시키게 되면, 종동부재(20)는 정지하고 구동부재(10)만이 공회전하게 되어서, 종동부재(20)의 상부에 안치된 이송 플레이트(110)는 일시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롤러(1, 1')는, 종래의 이송롤러와 같이 이송 플레이트를 택일적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구동부재(10)와 종동부재(20)가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된 내구성과 작동성을 겸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 마찰력에 의해 이루어졌던 구동부재와 종동부재의 제동상태가 자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롤러 컨베이어용 이송롤러를 제안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송롤러는, 베어링에 의해 구동부재와 종동부재의 외 경면과 대경면이 상호 비접촉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롤러는, 종래 마찰 클러치 구조가 적용된 이송롤러에서 발생하였던 물리적인 마찰에 의한 마멸이나, 소음, 및 발열이 예방 또는 감소되므로, 안정된 내구성과 작동성을 겸비할 수 있다.

Claims (2)

  1. 회전축이 관통된 원통몸체로, 일편에는 외부 작용력을 인가받는 동력 전달부가 마련되어 동력 전달부를 통해 외부 작용력을 인가받아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외경에 동심구조로 설치되는 중공 몸체로, 내경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구동부재와 공회전 상태를 이루는 종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에 의해 공회전 상태를 이룬 구동부재의 외경 또는 종동부재의 내경 중 어느 한편에는 자석이 설치되고, 나머지 한편에는 다른 극성의 자석 또는 도체가 설치되어, 이들간의 자력(인력)에 의해 이들 종동부재가 구동부재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클러치형 롤러 컨베이어용 이송롤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중공몸체의 외경면에 자석이 매설 내지 부착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종동부재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중공몸체의 내경에 도체가 일체화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클러치구조의 롤러 컨베이어용 이송롤러.
KR1020060134666A 2006-12-27 2006-12-27 자성 클러치구조의 롤러 컨베이어 이송롤러 KR100870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666A KR100870635B1 (ko) 2006-12-27 2006-12-27 자성 클러치구조의 롤러 컨베이어 이송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666A KR100870635B1 (ko) 2006-12-27 2006-12-27 자성 클러치구조의 롤러 컨베이어 이송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492A true KR20080060492A (ko) 2008-07-02
KR100870635B1 KR100870635B1 (ko) 2008-11-26

Family

ID=3981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666A KR100870635B1 (ko) 2006-12-27 2006-12-27 자성 클러치구조의 롤러 컨베이어 이송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6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8065A (zh) * 2020-09-09 2020-11-10 刘雪娥 一种静音皮带流水线
WO2024058222A1 (ja) * 2022-09-16 2024-03-21 ヤマウチ株式会社 搬送ロー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224B1 (ko) * 2000-07-26 2005-04-13 주식회사 포스코 수지코터용 자기롤
KR200373707Y1 (ko) 2004-08-30 2005-01-21 (주)아진 컨베이어기구의 과부하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8065A (zh) * 2020-09-09 2020-11-10 刘雪娥 一种静音皮带流水线
WO2024058222A1 (ja) * 2022-09-16 2024-03-21 ヤマウチ株式会社 搬送ロ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635B1 (ko)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937576T3 (pl) Systemy i sposoby tworzenia ulepszonego przenośnika rytmizującego
CA2568985A1 (en) Driven roller element
US20080236998A1 (en) Conveyor with accumulating slip rolls
KR101241077B1 (ko) 프릭션 롤러가 설치된 컨베이어
KR100870635B1 (ko) 자성 클러치구조의 롤러 컨베이어 이송롤러
US3567010A (en) Driven roller for roller conveyors
US20140305773A1 (en) Slip clutch and roller conveyor incorporating same
CN107399560B (zh) 一种内置安装的传送带驱动设备
US20030234161A1 (en) Transport device with contact-free transmission coupling
KR101366789B1 (ko) 터닝 체인 컨베이어
KR101507295B1 (ko)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KR200463677Y1 (ko) 컨베이어 롤러
GB2214577A (en) Sprocket clutch
CN204078732U (zh) 一种组合式辊道输送设备
JP2007084246A (ja) ローラコンベヤ
KR200376884Y1 (ko) 자석 및 금속을 이용한 컨베이어장치
KR20090003905U (ko) 자성 클러치형 이송롤러
KR20150085317A (ko) 만곡형 컨베이어
KR200359779Y1 (ko) 자석을 이용한 어큐브레이션 컨베이어장치
KR101849006B1 (ko)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CN101254855A (zh) 滚轮输送机构
JP3045022U (ja) ローラコンベヤの軌道輸送装置
WO2023008725A1 (ko)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KR200267713Y1 (ko) 롤러컨베이어의궤도수송장치
KR20090006367U (ko) 롤러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