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465B1 -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465B1
KR102014465B1 KR1020180112001A KR20180112001A KR102014465B1 KR 102014465 B1 KR102014465 B1 KR 102014465B1 KR 1020180112001 A KR1020180112001 A KR 1020180112001A KR 20180112001 A KR20180112001 A KR 20180112001A KR 102014465 B1 KR102014465 B1 KR 102014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transfer
strips
unit
diagnostic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묵
Original Assignee
김진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묵 filed Critical 김진묵
Priority to KR1020180112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B65H5/085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by combinations of endless conveyors an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B65H5/10Reciprocating or oscillating grippers, e.g. suction or gripper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3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급부의 컨베이어 말단에 스트립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를 형성하고, 컨베이어 사이에 스트립이송장치를 형성하며, 공급부 전단에 트랜스퍼 이송부를 설치하고, 트랜스퍼 이송부 전단에 위치조정부를 설치하며, 위치조정부 상부에 흡착이송부를 설치함으로써, 공급부의 스톱퍼에 의해 인접되게 정렬 배치된 복수개의 스트립을 스트립이송장치 및 트랜스퍼 이송부로 동시에 위치조정부로 자동 공급한 후 위치 조정하되, 이 위치조정된 복수개의 스트립을 흡착이송부로 흡착하여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에 자동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부로 공급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스트립이 스톱퍼에 의해 이동 제한되어 컨베이어 상에 일렬로 인접되게 자동 정렬되고, 특히, 공급부, 스트립 이송장치 및 트랜스퍼 이송부 상에서 스트립의 저면을 흡착하거나 혹은 스트립 저면을 떠받쳐 이송함으로써, 스트립의 맴브레인 면에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없고, 위치조정부에서 스트립 위치를 자동 조정한 후 흡착이송부로 복수개의 스트립을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로 공급하여, 스트립의 앞면과 뒷면이 뒤바뀔 우려가 없으며,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생산능률 향상과 동시에 작업인원이 감소되어, 제작 원가 절감 효과 및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Strip supply equipment for in vitro diagnostic kit assembly}
본 발명은 스트립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부에서 인접되게 정렬된 복수개의 스트립을 스트립이송장치 및 트랜스퍼 이송부로 위치조정부에 순차 공급하여 스트립를 정위치 시키되, 흡착이송부로 복수개의 스트립을 흡착하여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에 자동 공급하는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외진단키트는 소변 또는 혈액에 포함된 항체 반응을 확인하여, 체외 상태를 진단하는 도구이다.
즉, 체외진단키트로 소변 또는 혈액을 떨어뜨려, 체외진단키트의 흡습패드를 통해 멤브레인 면으로 소변 또는 혈액이 흘러가도록 하되, 소변 또는 혈액이 묻어진 체외진단키트를 체외진단장치내에 삽입하여, 멤브레인에 묻어진 소변 또는 혈액에 포함된 항체 반응을 체외진단장치로 분석하여, 체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진단 킷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 하부케이스를 구비하고, 이 상, 하부케이스 중 하부케이스에 부착되는 멤브레인과, 상기 멤브레인 일단에 부착되어 검체를 수용하는 검체패드와, 상기 검체패드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검체 내에 분석물질이 존재하는 여부를 검출하는 컨쥬게이트패드로 구성된다.
이때, 검체패드와 컨쥬게이트패드 사이에는 제1반응물질을 포함하여, 이 제1반응물질이 검체에 함유된 분석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선이 형성된다.
또한, 컨쥬게이트패드 후단에는 멤브레인을 따라 검체가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대조선이 형성된다.
즉, 상부케이스의 검체투입구로 검체를 투입하게 되면, 이 검체가 검체패드로 흡수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맴브레인의 면을 따라 이동하여 검사선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검사선의 제1반응물질에 검체에 함유된 분석물질이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검체의 진위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어서, 멤브레인을 따라 이동하던 검체는 컨쥬게이드패드에 도달하게 되고, 이때, 검체 내의 분석 물질 존재여부에 따라 서로 상반되게 반응함으로써, 이 컨쥬게이드패드를 확인하여 체외 진단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컨쥬게이드패드를 지나쳐 멤브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검체는 대조선에 도달하게 됨으로써, 이 대조선을 확인하여 검체의 이동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에 스트립을 반복하여 직접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디바이스에 스트립 결합시 흩어져 있는 스트립의 앞, 뒷면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한 후 디바이스에 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반복적인 결합작업시 작업자의 실수로 스트립의 앞, 뒷면이 뒤바뀌도록 결합되어, 체외진단용 키트의 제품 불량이 발생되고, 특히, 과도한 노동력 필요로 인해 작업 인원수 증가와 동시에 임금비용이 증가되고, 이에따라, 생산능률 저하 및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7-0094616 A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부의 컨베이어로 스트립을 이동시키되, 컨베이어 말단에 스트립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를 형성하고, 컨베이어 사이에 스트립을 흡착하여 벌린 상태로 이동시키는 스트립이송장치를 형성하며, 공급부 후단에 복수개의 스트립을 트랜스퍼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트랜스퍼 이송부를 설치하고, 트랜스퍼 이송부 후단에 스트립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를 설치하며, 위치조정부 상부에 스트립을 흡착하여 이송하는 흡착이송부를 설치함으로써, 공급부의 스톱퍼에 의해 인접되게 정렬 배치된 복수개의 스트립을 스트립이송장치 및 트랜스퍼 이송부로 동시에 위치조정부로 자동 공급한 후 위치 조정하되, 이 위치조정된 복수개의 스트립을 흡착이송부로 흡착하여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에 자동 결합하는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는,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스트립 양단 저면을 떠받쳐 지지하되 순환작동되면서 상기 스트립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를 형성하고, 상기 컨베이어 말단에 상기 스트립의 이동을 제한하여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이 인접되도록 하는 스톱퍼를 형성한 공급부와;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에 의해 인접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 저면을 흡착하며, 상기 스트립 사이가 벌어지도록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상기 스트립을 이송하는 스트립이송장치; 상기 공급부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 양단 저면을 떠받쳐 지지하고, 트랜스퍼 방식으로 작동되어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트랜스퍼 이송부;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복수개의 스트립을 공급받되, 이 스트립을 길이방향 및 폭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 및 상기 위치조정부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부에 안착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 양단 상면을 흡착하여, 상기 스트립을 이송하는 흡착이송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용 스트립 공급장치.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스톱퍼 전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되게 밀착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이 상방으로 들고 일어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가이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용 스트립 공급장치.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차단가이드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가이드 전단으로 노출된 상기 스트립이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감지되면, 상기 컨베이어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용 스트립 공급장치.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이송장치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스트립 저면을 흡착하는 흡착공을 형성하며, 일렬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벌어져 상기 스트립 사이를 이격시키되, 상, 하 및 좌, 우로 이동하여 상기 스트립을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로 공급하는 제1흡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용 스트립 공급장치.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는,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양단 저면을 떠받쳐 지지하는 복수개의 안착홈을 형성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 하 및 전, 후방으로 순환작동되면서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받침홈으로 상기 스트립 양단 저면을 떠받쳐, 상기 스트립을 상기 받침부의 안착홈에 안착시키는 전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용 스트립 공급장치.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 후단에서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고, 상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의 안착을 허용하는 위치조정홈을 형성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홈에 안착된 스트립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스트립을 길이방향으로 밀어내는 제1위치조절기; 및 상기 제1위치조절기와 직교되는 상기 프레임 타 측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홈에 안착된 스트립의 타단을 가압하여, 상기 스트립을 폭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2위치조절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용 스트립 공급장치.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위치조정홈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홈에 안착된 상기 스트립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제2위치조절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센서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용 스트립 공급장치.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이송부는, 상기 위치조정부 상부에 위치되어, 상, 하 및 전, 후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일단에 설치되고, 저면에 상기 스트립의 양단 상면을 흡착하는 흡착구멍을 형성한 제2흡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용 스트립 공급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부로 공급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스트립이 스톱퍼에 의해 이동 제한되어 컨베이어 상에 일렬로 인접되게 자동 정렬되고, 자동 정렬된 복수개의 스트립이 스트립 이송장치 및 트랜스퍼 이송부에 의해 위치조정부로 이동되어 스트립의 정렬 상태가 유지되며, 특히, 공급부, 스트립 이송장치 및 트랜스퍼 이송부 상에서 스트립의 저면을 흡착하거나 혹은 스트립 저면을 떠받쳐 이송함으로써, 스트립의 맴브레인 면에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없고, 위치조정부에서 스트립 위치를 자동 조정한 후 흡착이송부로 복수개의 스트립을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로 공급하여, 스트립의 앞면과 뒷면이 뒤바뀔 우려가 없으며,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생산능률 향상과 동시에 작업인원이 감소되어, 제작 원가 절감 효과 및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의 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의 스트립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의 트랜스퍼 이송부, 위치조정부 및 흡착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의 트랜스퍼 이송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의 위치조정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의 흡착 이송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공급부(100)는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스트립(10) 양단 저면을 떠받쳐 지지하되 순환작동되면서 상기 스트립(10)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101)를 형성하고, 상기 컨베이어(101) 말단에 상기 스트립(10)의 이동을 제한하여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이 인접되도록 하는 스톱퍼(102)를 형성한다.
상기 공급부(100)는 상기 컨베이어(101) 사이로 진입되는 이송부재(미도시)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스트립(10) 또는 서로 인접되어 있는 스트립(10)을 공급받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컨베이어(101)는 상기 스트립(10)의 양단 저면을 떠받쳐, 상기 스트립(10)의 맴브레인 면(11)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공급부(100)의 컨베이어(101)는 상기 스트립(10)을 상기 스톱퍼(102) 방향으로 연속이동시켜, 상기 스톱퍼(10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 상기 스트립(10)에 다른 스트립이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공급부(100)는 상기 스톱퍼(102) 전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되게 밀착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이 상방으로 들고 일어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가이드(103)를 형성한다.
상기 차단가이드(103)는 상기 스톱퍼(102)의 두께에 대응하거나 혹은 상기 스톱퍼(102)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도록 상기 컨베이어(101)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차단가이드(103)는 상기 스트립(10)이 진입되는 저면 일 측에 상기 스트립(10)이 상기 차단가이드(103)와 상기 컨베이어(101) 사이로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경사면(미부호)을 형성한다.
상기 공급부(100)는 상기 차단가이드(103)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가이드(103) 전단으로 노출된 상기 스트립(10)이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감지되면, 상기 컨베이어(101)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컨베이어(101)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센서(10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지센서(104)는 상기 컨베이어(101)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스트립(10)이 상기 차단가이드(103) 전단으로 노출된 상기 스트립(10)에 인접 배치되는 것을 차단한다.
스트립이송장치(200)는 상기 컨베이어(101)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102)에 의해 인접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 저면을 흡착하며, 상기 스트립(10) 사이가 벌어지도록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상기 스트립(10)을 이송한다.
상기 스트립이송장치(200)는 상기 컨베이어(101) 상에서 일렬로 정렬 배치된 상기 스트립(10) 저면에 위치된다.
상기 스트립이송장치(200)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스트립(10) 저면을 흡착하는 흡착공(201a)을 형성하며, 일렬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벌어져 상기 스트립(10) 사이를 이격시키되, 상, 하 및 좌, 우로 이동하여 상기 스트립(10)을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300)로 공급하는 제1흡착부(201)를 형성한다.
상기 제1흡착부(201)는 적어도 4 ~ 8개 이상으로 설치되어, 복수개의 스트립(10)을 동시에 흡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흡착부(201)는 상기 스트립(10)의 저면을 흡착하여, 상기 스트립(10)의 맴브레인 면(11)에 손상이 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흡착부(201)는 상기 스트립(10) 저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흡착공(201a)으로 상기 스트립(10) 저면을 흡착하고,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300)의 받침부(301)에 형성된 안착홈(301a)에 상기 스트립(10) 양단이 안착 되도록 한 후, 상기 흡착공(201a)의 흡착을 해제하여 상기 받침부(301)의 안착홈(301a)에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을 안착시킨다.
상기 스트립이송장치(200)의 제1흡착부(201)는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300)의 받침부(301)에 형성된 안착홈(301a) 사이의 폭에 대응하도록 상기 스트립(10)을 벌려 이격시킨다.
트랜스퍼 이송부(300)는 상기 공급부(100)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10) 양단 저면을 떠받쳐 지지하고, 트랜스퍼 방식으로 작동되어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을 동시에 이동시킨다.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300)는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10) 양단 저면을 떠받쳐 지지하는 복수개의 안착홈(301a)을 형성한 받침부(301)와, 상기 받침부(301) 사이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 하 및 전, 후방으로 순환작동되면서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받침홈(302a)으로 상기 스트립(10) 양단 저면을 떠받쳐, 상기 스트립(10)을 상기 받침부(302a)의 안착홈(301a)에 안착시키는 전달부재(302)로 구성된다.
상기 전달부재(302)는 상기 받침홈(302a)에 상기 스트립(10)이 떠받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위치조정부(400) 방향을 향해 상방, 후방, 하방 및 전방으로 순차 회전되면서, 상기 스트립(10)을 상기 안착홈(301a)에 안착시킨다.
상기 전달부재(302)는 복수개의 스트립 중 최 선단의 스트립(10)을 최 후단의 스트립(10)이 안착된 안착홈(301a)과 이웃하는 상기 안착홈(301)에 위치시키도록 회전작동된다.
상기 전달부재(302)는 상기 받침부(301)의 안착홈(301a)에 안착된 적어도 4개 이상의 스트립(10)을 동시에 떠받쳐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달부재(302)는 받침홈(302a)에 안착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을 상기 위치조정부(400)의 위치조정홈(401a)으로 전달한다.
위치조정부(400)는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300)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복수개의 스트립(10)을 공급받되, 이 스트립(10)을 길이방향 및 폭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10)의 위치를 조정한다.
상기 위치조정부(400)는 상기 흡착이송부(500)에 흡착되는 상기 스트립(10)의 위치를 조정한다.
상기 위치조정부(400)는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300) 후단에서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고, 상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10)의 안착을 허용하는 위치조정홈(401a)을 형성한 프레임(401)과, 상기 프레임(401)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홈(401a)에 안착된 스트립(10)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스트립(10)을 길이방향으로 밀어내는 제1위치조절기(402), 상기 제1위치조절기(402)와 직교되는 상기 프레임(401) 타 측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홈(401a)에 안착된 스트립(10)의 타단을 가압하여, 상기 스트립(10)을 폭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2위치조절기(403)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조정홈(401a)은 상기 스트립(10)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10)이 일 측으로 밀착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제1위치조절기(402)는 상기 스트립(10)의 일단을 가압하여, 이 가압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이 상기 프레임(401)의 위치조정홈(401a) 벽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제2위치조절기(403)는 상기 스트립(10)의 타단을 가압하여, 이 가압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이 상기 프레임(401)의 위치조정홈(401a) 벽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위치조정부(400)는 상기 위치조정홈(401a)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홈(401a)에 안착된 상기 스트립(10)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제2위치조절기(402, 403)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센서(404)를 더 형성한다.
상기 작동센서(404)는 상기 위치조정홈(401a) 내에 위치된 상기 스트립(10)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제2위치조절기(402, 403)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킨다.
흡착이송부(500)는 상기 위치조정부(400)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부(400)에 안착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 양단 상면을 흡착하여, 상기 스트립(10)을 이송한다.
상기 흡착이송부(500)는 상기 스트립(10)의 양단에 형성된 흡습패드(12) 상면을 흡착하여, 상기 스트립(10)의 맴브레인 면(11)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흡착이송부(500)는 상기 위치조정부(400) 상부에 위치되어, 상, 하 및 전, 후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재(501)와, 상기 이동부재(501) 일단에 설치되고, 저면에 상기 스트립(10)의 양단 상면을 흡착하는 흡착구멍(502a)을 형성한 제2흡착부(502)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재(501)는 상, 하 및 전, 후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2흡착부(502)에 흡착된 스트립(10)이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미도시)에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2흡착부(502)는 상기 흡착구멍(502a)에 흡입압을 형성하여 상기 스트립(10)을 흡착하고, 상기 이동부재(501)에 의해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미도시)에 위치된 상태로 흡입압을 해제하여,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미도시)에 스트립(10)이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이송부재(미도시)를 공급부(100)의 컨베이어(101) 사이로 진입시키되, 그 상태에서 이송부재(미도시)에 의해 이송된 복수개의 스트립(10)을 상기 컨베이어(101) 상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101) 상에 안착되는 스트립(10)은 서로 인접되도록 배치되어 있거나 혹은 서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101) 상에 안착된다.
그러면, 상기 컨베이어(101)에 상기 스트립(10)의 양단 저면이 떠받쳐지고, 그 상태에서 순환작동되는 상기 컨베이어(101)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차단가이드(103)를 통과하여 상기 스톱퍼(102)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톱퍼(102)에 밀착된 상기 스트립(10)은 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어서, 상기 컨베이어(101)에 의해 연속하여 이동되는 상기 스트립(10)이 그 선단에 위치한 스트립(10)에 인접되면서 복수개의 스트립(10)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정렬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101)에 의해 이동되는 스트립(10)이 그 선단에 위치한 스트립(10)에 인접하면서 밀착력이 발생되고, 이 밀착력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상기 스트립(10)은 상기 차단가이드(103)에 의해 차단되어,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이 상기 컨베이어(101)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101) 상에 정해진 량 이상의 스트립(10)이 정렬 배치되어 상기 차단가이드(103) 후단으로 상기 스트립(10)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104)가 상기 스트립(10)을 감지하여 상기 컨베이어(101)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감지센서(104)에 상기 스트립(10)이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감지되면, 상기 컨베이어(101)의 순환 작동을 정지하여, 상기 컨베이어(101)에 의해 상기 스트립(10)이 상기 스톱퍼(10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만약, 상기 감지센서(104)에 상기 스트립(10)이 정해진 시간 내로 감지되면, 상기 컨베이어(101)를 연속 순환 작동시켜 상기 스트립(10)을 연속 공급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스톱퍼(102)에 이동이 제한되어 일렬로 정렬 배치된 복수개의 스트립(10) 하부에 위치한 상기 스트립이송장치(20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트립(10) 저면에 위치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제1흡착부(201)의 흡착공(201a)에 흡입압을 형성하여, 상기 제1흡착부(201)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 저면을 흡착한다.
이때, 상기 제1흡착부(201)는 일렬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 사이를 벌리되, 그 상태에서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3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300)의 받침부(301) 상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흡착부(201)에 의해 정해진 간격으로 벌어진 상기 스트립(10) 간의 간격은 상기 받침부(301)의 안착홈(301a)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고, 이에따라, 상기 제1흡착부(201)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부(301)의 안착홈(301a)에 상기 스트립(10) 양단이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흡착공(201a)의 흡입압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받침부(301)의 안착홈(301a) 각각에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이 안착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300)의 전달부재(302)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홈(302a)에 상기 스트립(10) 양단 저면이 떠받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부(301)의 다른 안착홈(301a) 상부에 상기 스트립(10)이 위치되도록 하고, 이어서, 상기 전달부재(302)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홈(302a)에 떠받쳐져 있는 상기 스트립(10)을 상기 안착홈(301a)에 안착시킨 후 전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달부재(302)는 최 선단의 스트립(10)을 최 후단의 스트립(10)이 안착된 안착홈(301a)과 이웃하는 상기 안착홈(301a)에 위치시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전달부재(302)로 4개의 스트립(10)을 동시에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받침부(301)의 1번째 안착홈(301a)에 안착된 스트립(10)을 5번째 안착홈(301a)에 안착시키고, 2번째 안착홈(301a)에 안착된 스트립(10)을 6번째 안착홈(301a)에 안착시키며, 3번째 안착홈(301a)에 안착된 스트립(10)을 7번째 안착홈(301a)에 안착시키고, 4번째 안착홈(301a)에 안착된 스트립(10)을 8번째 안착홈(301a)에 안착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달부재(302)에 의해 이동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은 다시 상기 전달부재(302)에 의해 상기 위치조정부(400)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위치조정부(400)로 공급된다.
즉, 상기 전달부재(302)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이 상기 위치조정부(400)로 공급됨과 동시에 다른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이 상기 받침부(301)의 안착홈(301a)에 안착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전달부재(302)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위치조정부(400)의 위치조정홈(401a) 각각에 상기 스트립(10)을 안착시키고, 이때, 상기 작동센서(404)가 상기 스트립(10)을 감지하여, 상기 위치조정홈(401a) 각각에 상기 스트립(10)이 안착된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작동센서(404) 신호가 상기 제1위치조절기(402)로 전달되고, 이때, 상기 제1위치조절기(402)가 상기 스트립(10)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스트립(10)을 길이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1위치조절기(402)에 가압되는 면과 반대되는 상기 스트립(10)의 반대면이 상기 위치조정홈(401a) 벽면에 밀착되어 위치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작동센서(404) 신호가 상기 제2위치조절기(403)로 전달되고, 이때, 상기 제2위치조절기(403)가 상기 스트립(10)의 타단을 가압하여, 상기 스트립(10)을 폭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2위치조절기(403)에 가압되는 면과 반대되는 상기 스트립(10)의 반대면이 상기 위치조정홈(401a) 벽면에 밀착되어 위치가 조절된다.
만약, 상기 위치조정홈(401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위치조정홈(401a)에 상기 스트립(10)이 미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작동센서(404)에 스트립이 감지되지 못하고, 이때, 상기 작동센서(404)가 외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미도시)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스트립(100) 미삽입 여부를 알려주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비어있는 상기 위치조정홈(401a)에 상기 스트립(10)을 삽입하여, 상기와 동일한 과정으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위치조정부(400)에서 상기 스트립(10)의 위치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흡착이송부(500)의 이동부재(501)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흡착부(502)를 상기 스트립(10) 상면에 위치시키고, 이때, 상기 제2흡착부(502)의 흡착구멍(502a)을 통해 흡입압을 형성하여 상기 제2흡착부(502)에 상기 스트립(100) 상면이 흡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흡착부(502)의 흡착구멍(502a)은 양단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이에따라, 상기 제2흡착부(502)로 상기 스트립(10)의 양단 상면에 형성된 흡습패드(12)를 흡착함으로써, 상기 스트립(10)의 맴브레인 면(101)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상기 이동부재(501)가 상, 하 및 전, 후로 이동하여 상기 제2흡착부(502)에 흡착된 상기 스트립(10)을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미도시) 상부에 위치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제2흡착부(502)의 흡입압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제2흡착부(502)에 흡착되어 있던 상기 스트립(10)이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미도시)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흡착부(502)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상기 스트립(10)을 흡착하여 복수개의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미도시)에 상기 스트립(10)을 동시에 삽입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공급부(100)에 의해 일렬로 정렬 배치된 스트립(10)을 스트립이송장치(200) 및 트랜스퍼 이송부(300)를 통해 위치조정부(400)로 순차 공급하여 정위치 시키고, 흡착이송부(500)로 정위치 된 복수개의 스트립(10)을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미도시)에 자동 공급하여, 스트립(10)을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미도시)에 자동으로 삽입 결합하는 구조는, 공급부(100)로 공급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스트립(10)이 스톱퍼(102)에 의해 이동 제한되어 컨베이어(101) 상에 일렬로 인접되게 자동 정렬되고, 자동 정렬된 복수개의 스트립(10)이 스트립 이송장치(200) 및 트랜스퍼 이송부(300)에 의해 위치조정부(400)로 이동되어 스트립(10)의 정렬 상태가 유지되며, 특히, 공급부(100), 스트립 이송장치(200) 및 트랜스퍼 이송부(300) 상에서 스트립(10)의 저면을 흡착하거나 혹은 스트립(10) 저면을 떠받쳐 이송함으로써, 스트립(10)의 맴브레인 면(11)에 손상이 방지되고, 위치조정부(400)에서 스트립(10) 위치를 자동 조정한 후 흡착이송부(500)로 복수개의 스트립(10)을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미도시)로 공급하여, 스트립(10)의 앞면과 뒷면이 뒤바뀔 우려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 스트립 11 : 맴브레인 면
12 : 흡습패드 100 : 공급부
101 : 컨베이어 102 : 스톱퍼
103 : 차단가이드 104 : 감지센서
200 : 스트립이송장치 201 : 제1흡착부
201a : 흡착공 300 : 트랜스퍼 이송부
301 : 받침부 301a : 안착홈
302 : 전달부재 302a : 받침홈
400 : 위치조정부 401 : 프레임
401a : 위치조정홈 402 : 제1위치조절기
403 : 제2위치조절기 404 : 작동센서
500 : 흡착이송부 501 : 이동부재
502 : 제2흡착부 502a : 흡착구멍

Claims (8)

  1.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스트립(10) 양단 저면을 떠받쳐 지지하되 순환작동되면서 상기 스트립(10)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101)를 형성하고, 상기 컨베이어(101) 말단에 상기 스트립(10)의 이동을 제한하여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이 인접되도록 하는 스톱퍼(102)를 형성한 공급부(100)와;
    상기 컨베이어(101)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102)에 의해 인접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 저면을 흡착하며, 상기 스트립(10) 사이가 벌어지도록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상기 스트립(10)을 이송하는 스트립이송장치(200);
    상기 공급부(100)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10) 양단 저면을 떠받쳐 지지하고, 트랜스퍼 방식으로 작동되어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트랜스퍼 이송부(300);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300)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복수개의 스트립(10)을 공급받되, 이 스트립(10)을 길이방향 및 폭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10)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400); 및
    상기 위치조정부(400)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부(400)에 안착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 양단 상면을 흡착하여, 상기 스트립(10)을 이송하는 흡착이송부(500);
    로 구성되고,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300)는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10) 양단 저면을 떠받쳐 지지하는 복수개의 안착홈(301a)을 형성한 받침부(301)와, 상기 받침부(301) 사이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 하 및 전, 후방으로 순환작동되면서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받침홈(302a)으로 상기 스트립(10) 양단 저면을 떠받쳐, 상기 스트립(10)을 상기 받침부(301)의 안착홈(301a)에 안착시키는 전달부재(302)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정부(400)는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300) 후단에서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고, 상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10)의 안착을 허용하는 위치조정홈(401a)을 형성한 프레임(401)과, 상기 프레임(401)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홈(401a)에 안착된 스트립(10)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스트립(10)을 길이방향으로 밀어내는 제1위치조절기(402) 및 상기 제1위치조절기(402)와 직교되는 상기 프레임(401) 타 측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홈(401a)에 안착된 스트립(10)의 타단을 가압하여, 상기 스트립(10)을 폭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2위치조절기(40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0)는,
    상기 스톱퍼(102) 전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되게 밀착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10)이 상방으로 들고 일어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가이드(10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0)는,
    상기 차단가이드(103)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가이드(103) 전단으로 노출된 상기 스트립(10)이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감지되면, 상기 컨베이어(101)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컨베이어(101)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센서(10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이송장치(200)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스트립(10) 저면을 흡착하는 흡착공(201a)을 형성하며, 일렬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벌어져 상기 스트립(10) 사이를 이격시키되, 상, 하 및 좌, 우로 이동하여 상기 스트립(10)을 상기 트랜스퍼 이송부(300)로 공급하는 제1흡착부(20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401)은,
    상기 위치조정홈(401a)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홈(401a)에 안착된 상기 스트립(10)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제2위치조절기(402, 403)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센서(404)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이송부(500)는,
    상기 위치조정부(400) 상부에 위치되어, 상, 하 및 전, 후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재(501)와;
    상기 이동부재(501) 일단에 설치되고, 저면에 상기 스트립(10)의 양단 상면을 흡착하는 흡착구멍(502a)을 형성한 제2흡착부(50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
KR1020180112001A 2018-09-19 2018-09-19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 KR102014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001A KR102014465B1 (ko) 2018-09-19 2018-09-19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001A KR102014465B1 (ko) 2018-09-19 2018-09-19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465B1 true KR102014465B1 (ko) 2019-11-04

Family

ID=68578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001A KR102014465B1 (ko) 2018-09-19 2018-09-19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4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097A (ko) * 2020-03-11 2021-09-27 주식회사 피디에이치 의료용 진단키트 자동화 조립장치
KR20220029964A (ko) * 2020-09-02 2022-03-10 김진묵 스트립 정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797U (ja) * 1991-10-18 1993-05-21 株式会社アマダ 板材集積装置
KR100583864B1 (ko) * 1997-11-11 2006-11-30 카와사끼 스틸 코오포레이션 열간압연재의권취설비및권취방법
KR101101199B1 (ko) * 2011-07-14 2012-01-04 영동제약 주식회사 스트립 공급장치
KR101321508B1 (ko) * 2013-08-22 2013-10-23 주식회사 제타 진단스트립 포장장치
KR101505447B1 (ko) * 2014-08-14 2015-03-26 (주)비에프케이 연속작업이 가능한 급지기
KR20170094616A (ko) 2016-02-11 2017-08-2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단키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797U (ja) * 1991-10-18 1993-05-21 株式会社アマダ 板材集積装置
KR100583864B1 (ko) * 1997-11-11 2006-11-30 카와사끼 스틸 코오포레이션 열간압연재의권취설비및권취방법
KR101101199B1 (ko) * 2011-07-14 2012-01-04 영동제약 주식회사 스트립 공급장치
KR101321508B1 (ko) * 2013-08-22 2013-10-23 주식회사 제타 진단스트립 포장장치
KR101505447B1 (ko) * 2014-08-14 2015-03-26 (주)비에프케이 연속작업이 가능한 급지기
KR20170094616A (ko) 2016-02-11 2017-08-2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단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097A (ko) * 2020-03-11 2021-09-27 주식회사 피디에이치 의료용 진단키트 자동화 조립장치
KR102329257B1 (ko) * 2020-03-11 2021-11-22 주식회사 피디에이치 의료용 진단키트 자동화 조립장치
KR20220029964A (ko) * 2020-09-02 2022-03-10 김진묵 스트립 정렬장치
KR102451505B1 (ko) 2020-09-02 2022-10-06 김진묵 스트립 정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465B1 (ko)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
KR102031214B1 (ko) 체외진단키트제조용 테스트스트립 커팅 및 검사장치
US20060216198A1 (en) Transporting apparatus
JP2016527089A (ja) 試験管グリッパー、試験管ラベリング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試験管準備装置
JP2011017692A (ja) 基板収納容器、及びこれを具備した基板検査装置
JP2001349897A5 (ko)
KR101679029B1 (ko) 진단 키트 조립시스템 및 방법
US10099866B2 (en) Transport apparatus and transport method
WO2018233153A1 (zh) 一种样本输送装置
TW200946431A (en) Substrate transportation device and substrate transportation method
CN111060382B (zh) 样本篮传送系统及方法
US5915568A (en) Multiple station CD-ROM testing system
CN107826633B (zh) 一种用于气密性检测设备的抽拉机构
EP3370066A1 (en) Horizontal-flow-typ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porting reagent cartridges
JP5046590B2 (ja) 箱詰め方法
KR101870243B1 (ko) 스트립 공급장치
KR102451505B1 (ko) 스트립 정렬장치
CN107098127A (zh) 输送装置
CN114733868B (zh) 偏光片清洗装置
CN214185993U (zh) 一种输氧管接头安装机构
CN114043208A (zh) 一种传感器组装机构和组装设备
KR20220130382A (ko) 스포이드 공급장치
KR102420372B1 (ko) 스트립 불량선별장치
KR102666610B1 (ko) 카메라모듈용 능동정렬장치 및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CN110340627B (zh) 组装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