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382A - 스포이드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스포이드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382A
KR20220130382A KR1020210035192A KR20210035192A KR20220130382A KR 20220130382 A KR20220130382 A KR 20220130382A KR 1020210035192 A KR1020210035192 A KR 1020210035192A KR 20210035192 A KR20210035192 A KR 20210035192A KR 20220130382 A KR20220130382 A KR 20220130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per
moving
dropping
supply unit
transf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묵
Original Assignee
김진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묵 filed Critical 김진묵
Priority to KR1020210035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0382A/ko
Publication of KR20220130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 B65B35/18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이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대 상면에 복수개의 스포이드를 안착한 공급부를 형성하고, 공급부 하단에 복수개의 검사키트를 안착하여 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레일을 형성하며, 작업대 상면에 스포이드를 동시에 흡착하는 흡착지그와, 흡착지그를 이송레일 상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이동장치부를 형성한 스포이드 이송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흡착지그가 스포이드를 동시에 흡착한 후, 스포이드를 검사키트 행방향 거리에 비례하도록 묶음 단위로 이격시켜, 이송레일 상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스포이드를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검사키트 일측에 연속적으로 낙하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착지그로 스포이드를 검사키트 거리에 비례하도록 행 방향으로 자동 이동시켜, 이송레일 상에 복수개의 스포이드를 동시에 위치시킬 수 있고, 복수개의 스포이드를 이송레일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스포이드를 검사키트 일측에 연속 적으로 낙하 공급하여, 공급부로 부터 이송레일 까지 스포이드를 이송시키는 스포이드 이송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고, 이 스포이드 이송 시간 단축으로 스포이드를 검사키트 일측에 공급하는 공급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공급부에서 이송레일 까지 스포이드를 이송하는 이송장치 작동 횟수 감소로, 반복 작동으로 인한 스포이드 이송장치의 결함 또는 손상이 발생률이 저하된다.

Description

스포이드 공급장치{Spuit supply equipment}
본 발명은 스포이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장치로 공급부에 안착된 복수개의 스포이드를 동시에 흡착하되, 이 스포이드를 이송레일의 이격 거리에 비례하도록 묶음 단위로 이격시켜, 이송레일 상에서 이송되는 검사키트 일측에 스포이드를 연속 낙하 공급하는 스포이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사키트는 혈액, 소변 또는 검체에 포함된 항체 반응을 확인하여, 체외 상태를 진단하는 도구이다.
즉, 검사키트에 포함된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소변, 혈액 또는 검체를 검사키트에 떨어뜨려, 검사키트의 흡습패드를 통해 멤브레인 면으로 소변, 혈액 또는 검체가 흘러가도록 하되, 소변, 혈액 또는 검체가 묻어진 검사키트를 진단장치내에 삽입하여, 멤브레인에 묻어진 소변, 혈액 또는 검체에 포함된 항체 반응을 진단장치로 분석하여, 체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진단키트용 포장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장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그 상면에 안착된 포장지를 이송시키는 포장지이송부재와, 상기 포장지이송부재 일측에 상기 포장지이송부재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된 삽입부와, 삽입부 상단에 설치되고, 진단키트, 제습제 및 스포이드를 흡착 이송시켜 삽입부에 안착시키는 안착부와, 삽입부와 반대되는 방향에 설치되어, 포장지이송부재에 의해 이송되어온 포장지의 입구를 개방하는 포장지개방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포장지이송부재로 포장지를 공급하여, 포장지이송부재에 의해 포장지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안착부의 흡착구를 이동시켜, 이 흡착구에 진단키트, 제습제 및 스포이드가 동시에 흡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진단키트, 제습제 및 스포이드를 흡착한 흡착구를 삽입부 상방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킨 후, 이 흡착구에서 진단키트, 제습제 및 스포이드가 이탈 분리되도록 하면, 진단키트, 제습제 및 스포이드가 삽입부 상에 안착된다.
이후, 포장지이송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지가 포장지 개방부에 도달하면, 포장지개방부가 포장지의 입구를 상, 하로 벌어지도록 개방하고, 그 상태에서 삽입부의 제1작동판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안내판으로 진단키트, 제습제 및 스포이드를 밀어냄과 동시에 삽입판이 전방으로 진입되어 포장지 내로 삽입된다.
이후, 삽입판을 포장지 내에서 이탈시키고, 그 상태에서 지지판을 원상복귀시켜, 포장지 내에 진단키트, 제습제 및 스포이드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어서, 포장지이동부재로 포장지를 이송하면서, 포장지의 입구를 열융착 방식으로 밀봉하여, 포장을 완료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안착부의 단일 작동시 1회 포장용 진단키트, 제습제 및 스포이드 묶음이 삽입부로 이동되어, 안착부를 연속동작시켜 삽입부로 진단키트, 제습제 및 스포이드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 안착부의 반복 작동 시간 증가로 안착부의 결함 및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삽입부와 진단키트, 제습제 및 스포이드를 공급하는 공급부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도록 안착부의 이동거리가 증가되어, 진단키트, 제습제 및 스포이드 공급시간이 지연되고, 이에따라, 포장지에 진단키트, 제습제 및 스포이드를 포장하는 시간이 동시에 지연되어 생산능률이 급격히 저하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782976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대 상면에 복수개의 스포이드를 안착한 공급부를 형성하고, 공급부 하단에 행, 렬 방향으로 복수개의 검사키트를 안착하여 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레일을 형성하며, 작업대 상면에 공급부에 안착된 복수의 스포이드를 동시에 흡착하는 흡착지그와, 이 흡착지그를 이송레일 상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이동장치부를 형성한 스포이드 이송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위치이동장치부에 의해 이송레일 상으로 이동되는 흡착지그가 스포이드를 동시에 흡착한 후, 이 스포이드를 검사키트 행방향 거리에 비례하도록 묶음 단위로 이격시켜, 이송레일 상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흡착되어 있는 스포이드를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검사키트 일측에 연속적으로 낙하 공급하는 스포이드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공급장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 상면에 설치되어, 행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스포이드를 안착한 공급부; 상기 공급부 하단에 설치되고, 상면에 행 및 렬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검사키트를 안착하여, 상기 검사키트를 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레일; 및 상기 공급부와 대향되는 상기 작업대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부에 안착된 스포이드를 상기 이송레일 상방으로 흡착 이송하여, 상기 이송레일에 의해 이송되는 검사키트 일측에 스포이드를 공급하는 스포이드 이송장치;로 구성된 스포이드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 이송장치는, 공급부 또는 상기 이송레일 방향을 향해 전, 후, 좌, 우 및 상, 하로 이동되는 위치이동장치부와; 상기 위치이동장치부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부에 안착된 복수개의 스포이드를 동시에 흡착하되, 상기 스포이드를 상기 이송레일에 안착된 검사키트 행방향 거리에 비례하도록 묶음 단위로 정해진 간격 이격시켜, 상기 위치이동장치부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검사키트 일측에 스포이드를 순차적으로 낙하 공급하는 흡착지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스포이드를 직립상태로 공급받아 흡착하되, 일 방향으로 회전작동되어 상기 스포이드를 수평상태로 안착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장치부는, 상기 검사키트가 상기 흡착지그를 통과하면, 다른 상기 검사키트 일측에 상기 스포이드를 낙하 공급하도록 상기 흡착지그의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미세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장치부는, 상기 작업대 상면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급부 또는 상기 이송레일 방향을 향해 수평 이동되는 제1이동프레임; 상기 제1이동프레임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이동프레임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제2이동프레임; 상기 제2이동프레임 일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하단에 상기 흡착지그를 고정하여, 상, 하로 승강 작동되는 승강이동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지그는, 상기 위치이동장치부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양단이 양측 벽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을 형성한 메인블럭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 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스포이드를 흡착하는 흡착기; 상기 이동블럭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럭 사이를 정해진 거리 이격시키는 링크부재; 상기 메인블럭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럭과 연결되고, 상기 이동블럭을 당겨 복수개의 상기 이동블럭간의 간격을 이격시키거나 혹은 상기 이동블럭을 밀어내어 복수개의 상기 이동블럭을 밀착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기는, 상기 이동블럭 하단에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스포이드를 동시에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착지그로 스포이드를 동시에 흡착하되, 이 스포이드를 검사키트 거리에 비례하도록 행 방향으로 자동 이동시켜, 이송레일 상에 복수개의 스포이드를 동시에 위치시킬 수 있고, 복수개의 스포이드를 이송레일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스포이드를 검사키트 일측에 연속 적으로 낙하 공급하여, 공급부로 부터 이송레일 까지 스포이드를 이송시키는 스포이드 이송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고, 이 스포이드 이송 시간 단축으로 스포이드를 검사키트 일측에 공급하는 공급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공급부에서 이송레일 까지 스포이드를 이송하는 이송장치 작동 횟수 감소로, 반복 작동으로 인한 스포이드 이송장치의 결함 또는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급격히 저하되어, 유지보수의 간편함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공급장치의 흡착지그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공급장치의 공급부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공급장치의 흡착지그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공급장치로 스포이드를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작업대(100)는 지면에서 정해진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작업대(100)는 그 상면에 상기 공급부(200), 이송레일(300) 및 스포이드 이송장치(400)를 떠받쳐 지지한다.
공급부(200)는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 설치되어, 행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스포이드(11)를 안착한다.
상기 공급부(200)는 복수개의 상기 스포이드(11)를 행 방향으로 정렬시켜, 상기 스포이드 이송장치(11)가 복수개의 상기 스포이드(11)를 동시에 흡착 이송하도록 한다.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스포이드(11)를 직립상태로 공급받아 흡착하되, 일 방향으로 회전작동되어 상기 스포이드(11)를 수평상태로 안착 유지한다.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스포이드(11)가 직립상태로 공급되면, 90도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스포이드 이송장치(400)가 상기 스포이드(11)를 흡착하도록 한다.
이송레일(300)은 상기 공급부(200) 하단에 설치되고, 상면에 행 및 렬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검사키트(10)를 안착하여, 상기 검사키트(10)를 렬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송레일(300)은 행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레일(301)을 형성하고, 이 각각의 레일(301)에 렬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상기 검사키트(10)가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검사키트(1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송레일(300)은 상기 검사키트(10)를 렬 방향을 향해 정해진 속도로 이동시켜, 상기 검사키트(10)가 상기 스포이드 이송장치(400)를 통과하도록 한다.
스포이드 이송장치(400)는 상기 공급부(200)와 대향되는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부(200)에 안착된 스포이드(11)를 상기 이송레일(300) 상방으로 흡착 이송하여, 상기 이송레일(300)에 의해 이송되는 검사키트(10) 일측에 스포이드(11)를 공급한다.
상기 스포이드 이송장치(400)는 상기 공급부(200) 상에서 행 방향으로 정렬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스포이드(11)를 동시에 흡착한다.
상기 스포이드 이송장치(400)는 상기 스포이드(11)를 흡착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레일(300) 상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송레일(300)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스포이드 이송장치(400)는 공급부(200) 또는 상기 이송레일(300) 방향을 향해 전, 후, 좌, 우 및 상, 하로 이동되는 위치이동장치부(410)와, 상기 위치이동장치부(410)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부(200)에 안착된 복수개의 스포이드(11)를 동시에 흡착하되, 상기 스포이드(11)를 상기 이송레일(300)에 안착된 검사키트(10) 행방향 거리에 비례하도록 묶음 단위로 정해진 간격 이격시켜, 상기 위치이동장치부(410)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검사키트(10) 일측에 스포이드(11)를 순차적으로 낙하 공급하는 흡착지그(420)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이동장치부(410)는 상기 흡착지그(420)를 상기 공급부(200)로 이동시켜, 상기 흡착지그(420)가 상기 스포이드(11)를 흡착 하도록 하거나 혹은 상기 흡착지그(420)를 상기 이송레일(300)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흡착지그(300)가 상기 스포이드(11)를 상기 이송레일(300) 상으로 낙하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위치이동장치부(410)는 상기 검사키트(10)가 상기 흡착지그(420)를 통과하면, 다른 상기 검사키트(10) 일측에 상기 스포이드(11)를 낙하 공급하도록 상기 흡착지그(420)의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미세 이동시킨다.
상기 위치이동장치부(410)는 상기 흡착지그(420)가 상기 검사키트(10) 일측의 이송레일(300) 상에 스포이드(11)를 낙하시키도록, 상기 흡착지그(420)의 이동 거리를 조정한다.
상기 위치이동장치부(410)는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프레임(411)과, 상기 가이드프레임(411)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급부(200) 또는 상기 이송레일(300) 방향을 향해 수평 이동되는 제1이동프레임(412), 상기 제1이동프레임(412)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이동프레임(412)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제2이동프레임(413), 상기 제2이동프레임(413) 일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하단에 상기 흡착지그(420)를 고정하여, 상, 하로 승강 작동되는 승강이동프레임(414)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411)은 상기 제1이동프레임(412)이 상기 공급부(200) 또는 상기 이송레일(300) 방향을 향해 전, 후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상기 제1이동프레임(412)은 상기 가이드프레임(411)을 따라 전, 후로 이동되어, 상기 흡착지그(420)를 상기 공급부(200) 또는 상기 이송레일(300) 상부에 위치시킨다.
상기 제1이동프레임(412)은 상기 흡착지그(420)에 흡착되어 있는 상기 스포이드(11)가 소진되면, 상기 흡착지그(420)를 상기 공급부(200) 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흡착지그(420)가 상기 공급부(200)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스포이드(11)를 흡착하면, 상기 흡착지그(420)를 상기 이송레일(300) 상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2이동프레임(413)은 상기 흡착지그(420)를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흡착지그(420)의 흡착기(423)가 상기 공급부(200)에 정렬된 복수개의 상기 스포이드(11)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혹은 상기 이송레일(300)의 복수의 레일(301)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이동프레임(414)은 상기 흡착지그(420)를 상, 하로 승강 이동시켜, 상기 흡착지그(420)가 상기 공급부(200)에 안착된 흡착지그(420)를 흡착하도록, 상기 흡착기(423)를 상기 스포이드(11)에 밀착시키거나 혹은 상기 이송레일(300) 상방에서 하방으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이송레일(300) 상부에 상기 흡착기(423)가 근접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흡착지그(420)는 묶음 단위로 이격된 상기 스포이드(11)를 상기 이송레일(300)의 레일(301) 각각으로 낙하 공급하여, 상기 검사키트(10) 일측에 상기 스포이드(11)가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흡착지그(420)는 묶음 단위로 구획된 상기 스포이드(11)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이송레일(300)의 레일(301) 상으로 낙하시키되, 다른 상기 스포이드(11)를 흡착한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흡착지그(420)는 상기 위치이동장치부(410)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양단이 양측 벽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421a)을 형성한 메인블럭(421)과, 상기 가이드레일(42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21a)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422), 상기 이동블럭(422) 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스포이드(11)를 흡착하는 흡착기(423), 상기 이동블럭(422)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럭(422) 사이를 정해진 거리 이격시키는 링크부재(424), 상기 메인블럭(421)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럭(422)과 연결되고, 상기 이동블럭(422)을 당겨 복수개의 상기 이동블럭(422)간의 간격을 이격시키거나 혹은 상기 이동블럭(422)을 밀어내어 복수개의 상기 이동블럭(422)을 밀착시키는 실린더(425)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블럭(421)은 상기 위치이동장치부(410)에 의해 전, 후, 좌, 우 및 상, 하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공급부(200) 상부 또는 상기 이송레일(300)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메인블럭(421)의 가이드레일(421a)은 상기 이동블럭(422)이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벌어지거나 혹은 상기 메인블럭(421)의 일측에서 밀착 집결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메인블럭(421)은 그 내측에서 상기 이동블럭(422)이 이격되거나 혹은 밀착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이등블럭(422)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이동블럭(422)은 외부로부터 흡입압력을 공급받아 상기 흡착기(423)에 흡입압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블럭(422)은 상기 가이드레일(421a)을 따라 수평 이동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벌어지거나 혹은 서로 밀착되도록 집결된다.
상기 이동블럭(422)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이송레일(300)의 레일(301)간의 간격에 비례하도록 벌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기(423)는 상기 이동블럭(422) 저면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포이드(11)를 흡착하거나 혹은 스포이드(11)의 흡착을 해제한다.
상기 흡착기(423)는 상기 이동블럭(422) 저면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스포이드(11)를 흡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부재(424)는 상기 이동블럭(42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이드레일(421a)을 따라 이동하면, 다른 상기 이동블럭(422)이 당겨지도록 하여 복수개의 상기 이동블럭(422)이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링크부재(424)는 서로 밀착 집결되는 상기 이동블럭(422)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럭(422)간의 밀착 집결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실린더(425)는 복수개의 상기 이동블럭(42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블럭(422) 간의 간격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블럭(422)을 당기거나 혹은 상기 이동블럭(422)이 상기 메인블럭(421) 내에서 일측에 밀착 집결되도록 상기 이동블럭(422)을 밀어낸다.
상기 실린더(425)는 복수개의 상기 이동블럭(422) 중 상기 실린더(425)에 근접된 상기 이동블럭(422)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기(423)는 상기 이동블럭(422) 하단에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스포이드(11)를 동시에 흡착한다.
상기 흡착기(423)는 스포이드(11)를 흡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메인블럭(421)에 의해 상기 레일(301)에 안착된 상기 검사키트(10) 일측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그 위치가 조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공급부(200)를 90도 각도로 회전시켜, 직립한 상태로 위치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공급부(200)로 행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상기 스포이드(11)를 동시에 공급하여, 상기 스포이드(11)가 상기 공급부(200)에 직립한 상태로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200)를 상기와 반대되는 90도 각도로 회전시켜, 직립되어 있던 상기 스포이드(11)가 수평상태로 안착되게 한다.
이어서, 상기 스포이드 이송장치(400)의 위치이동장치부(410)로 상기 흡착지그(420)를 상기 공급부(200) 상부로 이동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흡착지그(420)의 흡착기(423)로 복수개의 상기 스포이드(11)를 동시에 흡착한다.
이때, 상기 위치이동장치부(410)의 가이드프레임(411)을 따라 상기 제1이동프레임(412)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승강이동프레임(414) 하단에 고정 설치된 상기 흡착지그(420)가 상기 공급부(200)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제2이동프레임(413)으로 상기 승강이동프레임(414)을 좌, 우로 이동시켜 상기 흡착지그(420)의 흡착기(423)와 상기 공급부(200) 상에 안착된 스포이드(11)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이동프레임(414)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흡착지그(420)의 흡착기(423)가 상기 공급부(200) 상에 안착된 스포이드(11) 외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흡착지그(420)의 이동블럭(422)을 통해 흡입압력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흡착기(423)에 흡입압이 형성되면서 상기 공급부(200)에 안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상기 스포이드(11)를 동시에 흡착한다.
이어서, 상기 승강이동프레임(414)을 상방으로 승강 이동시켜, 상기 스포이드(11)가 상기 흡착기(423)에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2이동프레임(413)으로 상기 흡착지그(42)를 좌,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흡착지그(420)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때, 상기 제2이동프레임(413)은 상기 흡착지그(420)의 이동블럭(42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송레일(300)의 레일(301)과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흡착지그(420)의 이동블럭(422) 중 상기 실린더(425) 반대측에 위치된 상기 이동블럭(422)이 상기 이송레일(300)의 레일(301) 중 상기 실린더(425)와 반대되는 측에 위치된 상기 레일(301)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제1이동프레임(412)으로 상기 승강이동프레임(414)을 후퇴 이동시켜, 상기 흡착지그(420)가 상기 이송레일(300)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흡착지그(420)의 실린더(425)로 상기 실린더(425에 근접된 상기 이동블럭(422)을 당겨 상기 이동블럭(422) 간의 간격을 이격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블럭(422) 사이에는 링크부재(424)가 연결되어 있고, 이 링크부재(424)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이동블럭(422)이 서로 당겨지면서 상기 이동블럭(422)이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이동블럭(422)은 상기 메인블럭(421)의 가이드레일(421a)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메인블럭(421) 내에서 수평 상태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이동블럭(422) 하단에는 복수개의 흡착기(423)가 형성되어 있어, 이 흡착기(423)에 의해 상기 스포이드(11)가 상기 이동블럭(422) 하단에 복수개로 흡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어서, 상기 승강이동프레임(414)이 하방으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흡착지그(420)의 메인블럭(421)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흡착지그(420)의 흡착기(423)에 흡착되어 있는 상기 스포이드(11)가 상기 이송레일(300)의 레일(301) 각각의 상부에 근접 위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흡착기(423)에 흡착되어 있는 상기 스포이드(11)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레일(301)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검사키트(10) 일측과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301)을 따라 검사키트(10)가 렬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흡착지그(420) 하단에 상기 검사키트(10)가 위치되면, 상기 흡착기(423) 중 상기 검사키트(10) 일측과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된 상기 흡착기(423)의 흡착이 해제되면서, 상기 스포이드(11)를 상기 검사키트(10) 일측의 레일(301) 상면에 낙하 공급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이동블럭(422)은 상기 흡착기(423)를 통해 스포이드(11)를 흡착하고 있다가, 상기 검사키트(10)가 상기 흡착지그(420) 하단에 위치되는 순간 각각의 레일(301) 상으로 스포이드(11)를 낙하시켜, 상기 검사키트(10) 일측에 스포이드(11)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검사키트(10)가 상기 흡착지그(420)를 통과하게 되면, 다른 상기 검사키트(10)가 상기 레일(301)을 따라 상기 흡착지그(420)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흡착지그(420)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착지그(420)의 메인블럭(421)은 상기 검사키트(10)가 상기 흡착지그(420) 하단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위치이동장치부(410)의 제2이동프레임(413)에 의해 좌, 우 방향으로 미세 이동되고, 이에따라, 상기 스포이드(11)를 흡착하고 있는 상기 흡착기(423)가 상기 검사키트(10) 일측과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위치 조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흡착기(423)의 흡착을 해제하여, 상기 검사키트(10) 일측의 레일(301) 상면에 스포이드(11)를 낙하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흡착기(423)에 흡착되어 있는 상기 스포이드(11)를 상기 레일(301) 상면에 낙하 공급하여, 상기 흡착지그(420)에 흡착되어 있던 상기 스포이드(11)가 소진되면, 상기 위치이동장치부(410)가 상기 흡착지그(420)를 상, 하, 좌, 우 및 전, 후로 이동시키되, 이때, 상기 흡착지그(420)가 상기 공급부(200) 상에 위치되기 이전에 상기 흡착지그(420)의 실린더(425)로 상기 이동블럭(422)을 밀어내어 상기 이동블럭(422)이 상기 메인블럭(421) 일측으로 밀착 집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흡착지그(420)가 상기 위치이동장치부(410)에 의해 상기 공급부(200) 상에 위치되어,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스포이드(11)를 동시에 흡착한 후, 상기 이송레일(300) 상으로 이동되어, 동일한 낙하 공급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흡착지그(420)가 상기 이송레일(300) 상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송레일(300)의 레일(301) 상으로 상기 스포이드(11)를 낙하 공급하는 동안, 90도 각도로 회전되어 직립상태로 상기 스포이드(11)를 공급받고, 상기와 반대되는 90도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스포이드(11)를 수평 상태로 안착하여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흡착지그(420)로 복수개의 스포이드(11)를 동시에 흡착하여 이 스포이드(11)를 묶음 단위로 이격시키되, 묶음 단위로 이격된 스포이드(11)를 위치이동장치부(410)를 통해 좌, 우로 미세 이동시키면서, 이송레일(300) 상부에서 검사키트(10) 일측에 연속하여 스포이드(11)를 공급하는 구조는, 흡착지그(420)로 스포이드(11)를 동시에 흡착하되, 이 스포이드(11)를 검사키트(10) 거리에 비례하도록 행 방향으로 자동 이동시켜, 이송레일(300) 상에 복수개의 스포이드(11)를 동시에 위치시킬 수 있고, 복수개의 스포이드(11)를 이송레일(300)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스포이드(11)를 검사키트(10) 일측에 연속 적으로 낙하 공급하여, 공급부(200)로 부터 이송레일(300)까지 스포이드(11)를 이송시키는 스포이드(11) 이송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고, 이 스포이드(11) 이송 시간 단축으로 스포이드(11)를 검사키트(10) 일측에 공급하는 공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공급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 검사키트 11 : 스포이드
100 : 작업대 200 : 공급부
300 : 이송레일 301 : 레일
400 : 스포이드 이송장치 410 : 위치이동장치부
411 : 가이드프레임 412 : 제1이동프레임
413 : 제2이동프레임 414 : 승강이동프레임
420 : 흡착지그 421 : 메인블럭
421a : 가이드레일 422 : 이동블럭
423 : 흡착기 424 : 링크부재
425 : 실린더

Claims (6)

  1. 작업대(100)와;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 설치되어, 행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스포이드(11)를 안착한 공급부(200);
    상기 공급부(200) 하단에 설치되고, 상면에 행 및 렬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검사키트(10)를 안착하여, 상기 검사키트(10)를 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레일(300); 및
    상기 공급부(200)와 대향되는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부(200)에 안착된 스포이드(11)를 상기 이송레일(300) 상방으로 흡착 이송하여, 상기 이송레일(300)에 의해 이송되는 검사키트(10) 일측에 스포이드(11)를 공급하는 스포이드 이송장치(400);
    로 구성된 스포이드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 이송장치(400)는,
    공급부(200) 또는 상기 이송레일(300) 방향을 향해 전, 후, 좌, 우 및 상, 하로 이동되는 위치이동장치부(410)와;
    상기 위치이동장치부(410)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부(200)에 안착된 복수개의 스포이드(11)를 동시에 흡착하되, 상기 스포이드(11)를 상기 이송레일(300)에 안착된 검사키트(10) 행방향 거리에 비례하도록 묶음 단위로 정해진 간격 이격시켜, 상기 위치이동장치부(410)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검사키트(10) 일측에 스포이드(11)를 순차적으로 낙하 공급하는 흡착지그(42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스포이드(11)를 직립상태로 공급받아 흡착하되, 일 방향으로 회전작동되어 상기 스포이드(11)를 수평상태로 안착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장치부(410)는,
    상기 검사키트(10)가 상기 흡착지그(420)를 통과하면, 다른 상기 검사키트(10) 일측에 상기 스포이드(11)를 낙하 공급하도록 상기 흡착지그(420)의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미세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장치부(410)는,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프레임(411)과;
    상기 가이드프레임(411)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급부(200) 또는 상기 이송레일(300) 방향을 향해 수평 이동되는 제1이동프레임(412);
    상기 제1이동프레임(412)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이동프레임(412)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제2이동프레임(413);
    상기 제2이동프레임(413) 일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하단에 상기 흡착지그(420)를 고정하여, 상, 하로 승강 작동되는 승강이동프레임(414);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지그(420)는,
    상기 위치이동장치부(410)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양단이 양측 벽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421a)을 형성한 메인블럭(421)과;
    상기 가이드레일(42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21a)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422);
    상기 이동블럭(422) 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스포이드(11)를 흡착하는 흡착기(423);
    상기 이동블럭(422)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럭(422) 사이를 정해진 거리 이격시키는 링크부재(424);
    상기 메인블럭(421)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럭(422)과 연결되고, 상기 이동블럭(422)을 당겨 복수개의 상기 이동블럭(422)간의 간격을 이격시키거나 혹은 상기 이동블럭(422)을 밀어내어 복수개의 상기 이동블럭(422)을 밀착시키는 실린더(42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기(423)는,
    상기 이동블럭(422) 하단에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스포이드(11)를 동시에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공급장치.
KR1020210035192A 2021-03-18 2021-03-18 스포이드 공급장치 KR20220130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192A KR20220130382A (ko) 2021-03-18 2021-03-18 스포이드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192A KR20220130382A (ko) 2021-03-18 2021-03-18 스포이드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382A true KR20220130382A (ko) 2022-09-27

Family

ID=8345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192A KR20220130382A (ko) 2021-03-18 2021-03-18 스포이드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03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724B1 (ko) * 2023-04-12 2023-07-06 조민호 코니컬 튜브 포장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976B1 (ko) 2015-08-24 2017-09-28 김성철 진단키트용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976B1 (ko) 2015-08-24 2017-09-28 김성철 진단키트용 포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724B1 (ko) * 2023-04-12 2023-07-06 조민호 코니컬 튜브 포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26745B (zh) 一种面板检测装置
KR102031214B1 (ko) 체외진단키트제조용 테스트스트립 커팅 및 검사장치
JP3016982B2 (ja) 自動テスト用ハンドラーのトレイを取り扱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30012438A (ko) 테스트 핸들러의 반도체 디바이스 로딩장치
KR20220130382A (ko) 스포이드 공급장치
KR101277870B1 (ko) 분리배출이 가능한 진단스틱 절단장치
CN113714798B (zh) 一种电子产品螺丝装配自动生产线
KR20170023647A (ko)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KR100915444B1 (ko) 반도체 패키지 고정 어셈블리
WO2001073458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nd sorting semiconductor devices received in trays
DK3112859T3 (en) Sample holder in an elementary analysis analyzer and elemental analysis analyzer
CN113998457B (zh) 多芯片检测系统
CN110626798A (zh) 一种模组转盘设备
CN103909412B (zh) 一种电表壳自动装按钮机
KR101216359B1 (ko) 소자검사장치
CN109502319A (zh) 供收料方法及设备
KR102014465B1 (ko) 체외진단키트 조립용 스트립 공급장치
KR101291583B1 (ko) 소자검사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소자가압장치
KR102451505B1 (ko) 스트립 정렬장치
TW201002591A (en) Segregating apparatus
KR101234722B1 (ko)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
KR102420372B1 (ko) 스트립 불량선별장치
CN108389935B (zh) 一种单晶制绒整线插分双片自动化上下料机
CN217625774U (zh) 进料装置及物料检测系统
KR101210960B1 (ko) 엘이디 칩의 이송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