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722B1 -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 - Google Patents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722B1
KR101234722B1 KR1020120104382A KR20120104382A KR101234722B1 KR 101234722 B1 KR101234722 B1 KR 101234722B1 KR 1020120104382 A KR1020120104382 A KR 1020120104382A KR 20120104382 A KR20120104382 A KR 20120104382A KR 101234722 B1 KR101234722 B1 KR 101234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ing
diagnostic
stick
holder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훈
이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맥
Priority to KR1020120104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65G57/04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 B65B35/38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장치에 의해 다중 절단된 다수의 진단스틱에서 불량품을 취출하고 횡으로 정렬이송한 다음 복수의 흡착패드에 의해 각각 흡착된 진단스틱 정상품을 적재함에 진단스틱 적층높이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진단스틱을 적층하기 위한 적재함 공급 및 반출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수의 진단스틱에서 불량품은 분리 취출하고 정상품은 흡착패드에 흡착,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승강수단이 구비된 픽업장치와, 상기 픽업장치 일측에 접속되어 상하로 슬라이드되어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한 패드작동부재와, 상기 패드작동부재의 하단에 설치되고 진단스틱을 흡착,인출하도록 하는 복수의 흡착패드와, 상기 흡착패드 하부의 적층이송경로에 적재함을 분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함 공급부재와, 상기 적층이송경로 상에서 적재함이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에서 진단스틱 적층부 및 반출부로 순차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적재함 이동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 {Medical examination stick sta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절단장치에 의해 다중 절단된 다수의 진단스틱에서 불량품을 취출하고 횡으로 정렬이송한 다음 복수의 흡착패드에 의해 각각 흡착된 진단스틱 정상품을 적재함에 진단스틱 적층높이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진단스틱을 적층하기 위한 적재함 공급 및 반출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단스틱이라 함은, 혈액이나 소변을 이용하여 혈당, 간염, 임신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것으로, 가늘고 긴 막대 형상의 기판 상면에 혈액 또는 소변이 흡수되는 재질의 진단 시약이 부착된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진단스틱은 판형의 기판 상면에 진단시약을 인쇄한 진단스틱 원단을 절단장치를 통해 일정폭으로 진단스틱을 다중 절단하는 절단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다중 절단된 진단스틱은 횡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배출부로 배출이 되어 배출이동대에 형성된 경사 안착면에 안착이 되면 횡으로 정렬된 진단스틱의 각각의 흡착패드가 하강 및 상승하는 작용으로 흡착한 다음 적재함의 상부에서 하강하여 적재함에 흡착된 진단스틱을 인출하여 다단 적층한 다음 흡착패드는 상승하고 적재함은 이송되는 자동화 공정을 통해 최종단계에서 포장용기에 일정한 수량의 진단스틱이 자동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적재함에 적층하게 되는 진단스틱은 각종 센서 및 영상촬영 등에 의해 불량을 검출하는 불량검출기를 통해 횡으로 정렬된 진단스틱중에서 불량품을 취출하고 정상품만을 흡착패드로 흡착된 것을 적층하고 있으나, 횡으로 정렬된 진단스틱중에서 어느 하나가 불량품이 취출되는 것에 해당되는 흡착패드에는 진단스틱이 흡착되지 않고 나머지 흡착패드에만 진단스틱이 흡착된 다음 각각의 흡착패드가 동시에 하강하여 적층된 진단스틱에 근접하여 적재함에 적재하게 되며, 이때 적재함에 적층되는 정상품의 진단스틱을 감안하여 하강위치가 설정되어 적층하게 되므로 불량품이 취출되어 적층하지 못하는 적재함에는 진단스틱의 적층높이가 낮아지게 되면서 높은 위치에서 진단스틱을 낙하하는 적층되는 과정에서 진단스틱이 이탈되거나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는 적층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흡착패드의 직하방에 진단스틱을 공급하고 적층이 완료된 적재함을 반출부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공급콘베어를 통해 이송되는 적재함을 적층부 전방에 대기하도록 하는 대기수단 및 흡착패드의 직하방에 공급하고 이를 고정시키는 공급 및 고정수단과 진단스틱 적층이 완료된 적재함을 이송하기 위한 반출수단이 각각의 작동부재로 구비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설치비용을 필요로 하였다.
즉, 선행기술로서 개시된 특허 제10-0902639호의 진단키트 검사 및 절단 포장장치의 구성에서 진단키트가 적층되는 구성요소를 보면, 다수의 진단키트를 정렬 취합한 후 다수의 진단키트를 촬영하여 촬영 데이터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검사수단과, 상기 촬영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정렬된 각 진단키트들의 불량 유무를 판별 한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정렬 수취된 다수의 진단키트를 모두 흡착하여 불량 진단키트와 정상 진단키트를 선별 배출하는 선별 배출수단을 포함하고; 배출부는,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된 베이스판의 상부에 다수의 시약키트를 정렬한 시약키트 적재함이 구성되어 있으나, 정렬 수취되고 선별된 정상키트를 적재함에 적층하게 될 때에는 적재함에 적층되는 진단키트의 적층 높낮이 편차에 의해 상기 설명한 바와 바와 같은 진단키트의 적층 불안정성이 발생하고, 적재함의 대기시킨 다음 적층부로 공급하여 진단스틱이 적층되게 하고 반출부로 이송하여 반출콘베어로 이송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이동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등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절단장치에 의해 다중 절단된 다수의 진단스틱이 횡으로 정렬이송됨과 아울러 진단스틱 불량품은 분리 취출하고 정렬이송된 진단스틱 정상품을 복수의 흡착패드에 의해 적재함에 각각 적층하되 흡착패드는 적재함의 진단스틱 적층높이에 관계없이 항상 진단스틱 최상단부와 근접된 위치까지 하강하여 안정적으로 진단스틱을 적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진단스틱을 적층하기 위해 이송콘베어를 통해 이송 공급되는 적재함을 흡착패드 하부에 공급 및 반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 진단스틱 적층부, 반출부로 이루어진 적층이송경로에서 적재함을 순차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을 단일의 적재함 이동장치에 의해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진단스틱에서 불량품은 분리 취출하고 정상품은 흡착패드에 흡착,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승강수단이 구비된 픽업장치와, 상기 픽업장치 일측에 접속되어 상하로 슬라이드되어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한 패드작동부재와, 상기 패드작동부재의 하단에 설치되고 진단스틱을 흡착,인출하도록 하는 복수의 흡착패드와, 상기 흡착패드 하부의 적층이송경로에 적재함을 분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함 공급부재와, 상기 적층이송경로 상에서 적재함이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에서 진단스틱 적층부 및 반출부로 순차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적재함 이동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업장치의 일측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수직안내대와, 상기 수직안내대 내에 각각 접속되어 상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완충안내대와, 상기 완충안내대가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흡착패드의 진공흡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패드작동부재와. 상부 패드작동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진단스틱을 흡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홀이 구비된 흡착패드가 설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함 공급부재는 적재함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적재함을 이송하는 이송콘베어 상에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한 왕복이동대와, 상기 왕복이동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송콘베어로 이송되는 적재함을 정지시키는 이송정지판과, 상기 이송정지판에 놓여진 적재함을 방향전환하여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밀대가 설치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층이송경로는 적층이송안내판 상부에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 및 진단스틱 적층부, 반출부가 각각 위치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함 이동장치는 적층이송안내판 저면의 제1고정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진단스틱 적층부에 놓여진 적재함의 전방 하단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제1홀더부재와, 상기 적층이송안내판의 하부 방향에 위치한 이동작동대의 제2고정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 및 진단스틱 적층부에 놓여진 적재함의 후방 하단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제2홀더부재와, 상기 제1홀더부재의 제1접촉로울에 접촉되어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제1회전조절부(661) 및 상기 제2홀더부재(64)에 접촉되어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제2회전조절부(662)가 각각 구비되고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이동작동대(66)와, 상기 적층이송안내판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어 제2홀더부재(64)를 직립시키는 제2접촉로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홀더부재는 "
Figure 112012076224402-pat00001
" 형으로 이루어지되 제1걸림턱과 제1호형 안내면이 형성되어 이송안내구멍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 제1홀더부와, 상기 적층이송안내판 저면의 제1고정축부에 축부 설치되는작동간과, 상기 제1홀더부와 작동간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접촉로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홀더부재는 "
Figure 112012076224402-pat00002
" 형으로 이루어져서 제2고정축부에 축부 설치되되 제2걸림턱과 제2호형 안내면이 형성되고 이송안내구멍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 제2홀더부와, 상기 제2홀더부가 자중에 의해 직립되도록 하는 홀더자중부와, 상기 제2홀더부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단부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작동대는 상부 일측에 제1회전조절부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2회전조절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조절부는 제1홀더부재의 제1접촉로울에 접촉이 이루어지되 상면 양측에 상부 슬라이딩면이 형성되고 양측 상부 슬라이딩면 사이에 하부 슬라이딩면이 형성된 구성과, 상기 제2회전조절부는 수직단턱과 경사단턱이 형성되어 제2홀더부재를 직립 및 경사각을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는 다중 절단된 다수의 진단스틱이 횡으로 정렬이송됨과 아울러 진단스틱 불량품은 분리 취출하고 정렬이송된 진단스틱 정상품을 복수의 흡착패드에 의해 적재함에 각각 적층하되 복수의 흡착패드는 적재함의 진단스틱 적층높이에 관계없이 항상 진단스틱 최상단부와 근접된 위치까지 서로 다른 높이로 하강하여 안정적으로 진단스틱을 적층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단스틱을 적층하기 위해 이송콘베어를 통해 이송 공급되는 적재함을 적층이송경로에 공급하여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 진단스틱 적층부, 반출부로 이루어진 적층이송경로에서 적재함 이동장치에 구비된 제1,2홀더부재에 의해 적재함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품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서 복수의 흡착패드가 설치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서 복수의 흡착패드에 의해 적재함에 진단스틱을 적층하는 구성을 나타낸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서 복수의 흡착패드에 의해 적재함에 진단스틱이 서로 다른 적층높이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적층하는 것을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서 픽업장치에 흡착패드가 구비된 패드작동부재가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서 픽업장치에 흡착패드가 구비된 패드작동부재가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것을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서 흡착패드에 의해 적재함이 진단스틱이 적층되는 것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서 적재함의 공급 및 적층이송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서 적층이송경로에 적재함이 공급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서 적재함 이동장치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서 적재함 이동장치에 의해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의 적재함을 이송하기 위해 제2홀더부재가 후진된 준비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서 적재함 이동장치에 의해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의 적재함을 이송하기 위한 제2홀더부재가 전진하기 직전의 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서 적재함 이동장치에 의해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의 적재함을 이송하기 위한 제2홀더부재가 전진하면서 적재함을 이송하는 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서 적재함 이동장치에 의해 진단스틱 적층부의 적재함을 제1,2홀더부재로 클램핑한 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서 적재함 이동장치에 의해 진단스틱 적층부의 적재함을 반출하고 또 다른 적재함을 공급하기 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15는 발명에 의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서 적재함에 적층되는 진단스틱을 예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에서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커터가 배치된 절단장치에 의해 다중 절단된 다수의 진단스틱을 횡으로 정렬이송함과 아울러 감지센서 또는 영상촬영 등에 의해 진단스틱 불량품을 선별하여 분리 취출하고 정렬이송된 진단스틱 정상품은 픽업장치에 설치되는 복수의 흡착패드에 의해 흡착,인출하여 복수의 적재함에 각각 적층하고 진단스틱 적층이 완료된 적재함은 포장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은 주지된 것과 같이 실시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에서 승강수단이 구비된 픽업장치에 설치되는 복수의 흡착패드에 의해 진단스틱 정상품을 흡착,인출하여 적재함에 적층하되 흡착패드는 적재함의 진단스틱 적층높이에 관계없이 항상 적재함에 적층된 진단스틱 최상단부와 근접된 위치까지 하강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한 구성과, 상기 진단스틱을 적층하기 위해 이송콘베어를 통해 이송 공급되는 적재함을 흡착패드 하부에 공급 및 반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 진단스틱 적층부, 반출부로 이루어진 적층이송경로에서 적재함을 순차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을 단일의 적재함 이동장치에 의해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횡으로 정렬이송된 다수의 진단스틱(A)에서 불량품은 분리 취출하고 정상품은 흡착패드(30)에 흡착,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승강수단이 구비된 픽업장치(10)와, 상기 픽업장치(10)의 일측에 형성된 수직안내대(12)에 접속되어 수직안내대(12)의 범위내에서 슬라이드되어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한 패드작동부재(20)와, 상기 패드작동부재(20)의 하단에 설치되고 진단스틱을 흡착,인출하도록 하는 복수의 흡착패드(30)와, 상기 흡착패드(30) 하부의 적층이송경로(50)에 적재함(B)을 분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함 공급부재(40)와, 상기 적층이송경로(50) 상에서 적재함(B)이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51)에서 진단스틱 적층부(52) 및 반출부(53)로 순차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적재함 이동장치(60)를 구비하여서 된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업장치(10)는 통상의 구성에서와 같이 왕복 이동 및 실린더에 의한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고, 픽업장치(10)에 복수의 흡착패드(30)가 설치되어 다수의 진단스틱중에서 불량품을 선별하여 별도로 분리 취출하고 진단스틱 정상품은 복수의 흡착패드(30)에 각각 흡착,인출할 수 있도록 하되 픽업장치(10)의 일측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수직안내대(12)와, 상기 수직안내대(12) 내에 각각 접속되어 상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완충안내대(22)와, 상기 완충안내대(22)가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흡착패드(30)의 진공흡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패드작동부재(20)와. 상부 패드작동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진단스틱을 흡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홀(32)이 구비된 흡착패드(30)가 설치된 구성으로 적재함의 진단스틱 적층높이에 관계없이 항상 적재함에 적층된 진단스틱 최상단부와 근접된 위치까지 흡착패드(30)가 하강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픽업장치(10)에 각각 구비된 수직안내대(12)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패드작동부재(20)는 픽업장치(10)에 의해 일시에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되 패드작동부재(20)의하부에 구비된 흡착패드(30)는 진단스틱(A)을 적층하는 적재함(B)의 바닥면까지 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패드작동부재(20)는 자중에 의해 수직안내대(12)의 최하단위치로 하강된 상태에 놓여져 있다가 진단스틱(A)을 적재함(B)에 적층하는 과정에서 진단스틱(A)의 적층높이가 달라지게 되면 패드작동부재(20)는 픽업장치(10)의 수직안내대(12)를 따라 상부로 슬라이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으로 항상 흡착패드(30)가 적층되는 진단스틱(A) 상면과 근접된 위치에서 안정적인 적층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픽업장치(10)의 수직안내대(12)와 패드작동부재(20)의 완충안내대(22) 사이에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하여 패드작동부재(20)의 자중에 의한 슬라이딩 작용뿐만 아니라 스프링에 의한 완충력을 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흡착패드(30)는 절단장치에 의해 다중 절단된 다수의 진단스틱을 각각 적재함(B)에 적층할 수 있는 갯수로 구비되어 패드작동부재(20)에 의해 구비된 진공흡착수단에 진단스틱을 흡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픽업장치(10)는 복수의 흡착패드(30)를 동일한 높이로 승강하는 기능을 하되 흡착패드(30)에 의해 적재함(B)에 진단스틱을 적층하게 될 때 픽업장치(10)는 흡착패드(30)가 적재함(B)의 바닥면과 근접되는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도록 하고, 적재함(B)의 진단스틱 적층높이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픽업장치(10)는 하강위치가 변하지 않으면서 복수의 흡착패드(30)가 설치된 패드작동부재(20)는 수직안내대(12)의 범위내에서 적층높이에 따라 상측으로 각각 슬라이드 되는 완충작용으로 흡착패드(30)의 하강높이를 가변할 수 있게 되므로 항상 복수의 흡착패드(30)가 복수의 적재함에 적층되는 진단스틱 적층높이에 관계없이 항상 근접된 위치에서 안정적인 적층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반하여 종래의 픽업장치(10)는 적재함(B)에 진단스틱(A)이 적층되는 높이를 감안하여 복수의 흡착패드(30)의 하강높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한 구성이므로 불량품에 의해 복수의 흡착패드(30) 중에서 진단스틱을 흡착되지 못한 경우에는 진단스틱 적층높이가 낮아지게 되면서 이에 해당하는 적재함(B)은 진단스틱 정상품이 적층되는 적재함과의 적층높이와 맞출 수 없게 되는 적층높이 편차에 의해 종래의 흡착패드(30)에서는 불량품을 분리 취출한 부분에 해당하는 적재함에서는 멀리 떨어진 높은 곳에서 낙하하는 것과 같이 진단스틱을 적층하게 되어 적층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적재함 공급부재(40)는 적재함공급부(41)에서 공급되는 적재함(B)을 이송하는 이송콘베어(42) 상에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한 왕복이동대(44)와, 상기 왕복이동대(44)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송콘베어(42)로 이송되는 적재함(B)을 정지시키는 이송정지판(46)과, 상기 이송정지판(46)에 놓여진 적재함(B)을 방향전환하여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51)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이송콘베어(42)와 이송진행방향과 직교로 설치되는 밀대(4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적재함공급부(41)에서 공급되는 다수의 적재함(B)은 스톱퍼(42a)에 의해 이송콘베어(42)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이송콘베어(42)를 따라 적재함(B)이 이송되면 상기 적재함 공급부재(40)의 왕복이동대(44)는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에 의하여 이송콘베어(42) 상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적재함 공급부재(40)의 이송정지판(46)에 의해 적재함(B)을 정지시킨 다음 각각의 적층이송경로(50)에 공급을 하되 각각의 적층이송경로(50)에서 적재함이 없는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51)에 적재함을 분배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적층이송경로(50)는 복수의 흡착패드(30) 하부에 적재함(B)을 공급할 수 있는 위치의 적층이송안내판(61) 상부에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51) 및 진단스틱 적층부(52), 반출부(53)가 각각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적재함(B)에 진단스틱(A)을 공급 및 적층하여 반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적층이송경로(50)는 복수의 흡착패드(30)와 대응하는 갯수로 적층이송안내판(61)에 돌출된 구획벽이 횡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적재함 이동장치(60)는 적층이송안내판(61)에 형성된 이송안내구멍(61a)을 통해 적층이송경로(50)의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51)에서 진단스틱 적층부(52) 및 반출부(53)로 이송 및 정지시키는 기능과, 진단스틱이 적층되는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적재함(B)을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적재함 이동장치(60)는 적층이송안내판(61) 저면의 제1고정축부(6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진단스틱 적층부(52)에 놓여진 적재함(B)의 전방 하단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제1홀더부재(62)와, 상기 적층이송안내판(61)의 하부 방향에 위치한 이동작동대(66)의 제2고정축부(64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51) 및 진단스틱 적층부(52)에 놓여진 적재함(B)의 후방 하단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제2홀더부재(64)와, 상기 제1홀더부재(62)의 제1접촉로울(623)에 접촉되어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제1회전조절부(661) 및 상기 제2홀더부재(64)에 접촉되어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제2회전조절부(662)가 각각 구비되고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이동작동대(66)와, 상기 적층이송안내판(61)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어 제2홀더부재(64)를 직립시키는 제2접촉로울(6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홀더부재(62)는 "
Figure 112012076224402-pat00003
" 형으로 이루어지되 제1걸림턱(621a)과 제1호형 안내면(621b)이 형성되어 이송안내구멍(61a)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 제1홀더부(621)와, 상기 적층이송안내판(61) 저면의 제1고정축부(62a)에 축부 설치되는작동간(622)과, 상기 제1홀더부(621)와작동간(622)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접촉로울(623)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1홀더부재(62)는 제1홀더부(621)가 제1회전조절부(661)에 의해 직립 및 경사지도록 하되 제1홀더부(621)의 제1걸림턱(621a)이 직립되는 경우에는 제1걸림턱(621a)에 의해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51)에서 진단스틱 적층부(52)로 공급되는 적재함(B)이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하는 스톱퍼 기능과, 진단스틱 적층부(52)에 놓여진 적재함(B)에 진단스틱(A)이 적층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타측의 제2홀더부재(64)와 함께 적재함(B)의 양측 하단을 고정하는 클램프 기능을 수행하고, 적재함(B)에 진단스틱이 적층되면 제1홀더부(621)가 제1회전조절부(661)에 의해 회전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제1호형 안내면(621b)에 의해 제1홀더부(621)가 높이가 낮아지면서 반출부(53)로 적재함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홀더부재(64)는 "
Figure 112012076224402-pat00004
" 형으로 이루어져서 제2고정축부(64a)에 축부 설치되되 제2걸림턱(641a)과 제2호형 안내면(641b)이 형성되고 이송안내구멍(61a)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 제2홀더부(641)와, 상기 제2홀더부(641)가 자중에 의해 직립되도록 하는 홀더자중부(642)와, 상기 제2홀더부(641)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단부(643)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자중부(642)는 적층이송안내판(61)에 설치된 제2회전조절부(662)의 수직단턱(662a)에 걸리도록 하고 걸림단부(643)는 제2회전조절부(662)의 경사단턱(662b)에 걸리도록 하되 제2홀더부재(64)의 제2홀더부(641)는 적재함(B)에 접촉되지 않은 경우에는 경사진 상태로 놓여 지게 된다.
이러한 제2홀더부재(64)는 제2홀더부(641)에 의해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51)에 놓여진 적재함(B)을 진단스틱 적층부(52)로 이동시키는 기능과, 상기 진단스틱 적층부(52)에 놓여진 적재함(B)을 제1홀더부재(62)와 함께 고정상태로 유지시키는 클램프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적재함(B)을 진단스틱 적층부(52)로 이동시키게 되면 진단스틱 적층부(52)에 놓여진 적재함(B)은 진입되는 적재함에 의해 자연적으로 밀어내는 작용으로 반출부(53)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이동작동대(66)는 상부 일측에 제1회전조절부(661)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2회전조절부(662)가 구비되어 실린더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회전조절부(661)는 제1홀더부재(62)의 제1접촉로울(623)에 접촉이 이루어지되 상면 양측에 상부 슬라이딩면(661a)이 형성되고 양측 상부 슬라이딩면(661a) 사이에 하부 슬라이딩면(661b)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홀더부재(62)의 제1접촉로울(623)은 상부 슬라이딩면(661a)과 접촉되는 경우에는 제1홀더부(621)가 직립상태가 되고 하부 슬라이딩면(661b)과 접촉되면 제1홀더부(621)가 경사지도록 하여 적재함(B)이 제1홀더부(621)의 제1호형 안내면(621b)을 따라 반출부(53)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작동대(66)의 제2회전조절부(662)는 제2홀더부재(64)를 직립 및 경사가 유지되도록 수직단턱(662a)과 경사단턱(662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접촉로울(68)는 제2홀더부(641)의 측부가 접촉되는 경우에 제2홀더부(641)가 직립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여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51)에 놓여진 적재함(B)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이송단계에서와 같이 적재함 공급부재(40)를 통해 적층이송경로(50)에 위치한 적층이송경로(50)의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51)에 적재함(B)이 공급되어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51)에 놓여진 적재함(B)과 진단스틱 적층부(52) 및 반출부(53)의 순서로 나란히 놓여진 상태에서 이동작동대(66)에 의해 직립상태로 된 제2홀더부(641)를 전진 이동시키면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51)에 놓여진 적재함(B)을 이송진행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됨과 아울러 진단스틱 적층부(52)에 놓여진 적재함(B)은 자연적으로 반출부(53)로 이동이 된다.
이때 제1홀더부(621)는 경사진 상태로 눕혀져서 적재함(B)이 반출부(53)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제1회전조절부(661)에 의해 제1홀더부(621)는 클램핑할 수 있는 직립상태가 되어 제2홀더부(641)에 의해 이동되는 적재함(B)이 진단스틱 적층부(52)에 놓여지면 제1,2홀더부(621)(641)에 의해 적재함(B)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진단스틱을 적층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진단스틱 적층부(52)에서 적재함(B)에 진단스틱 적층이 완료되면 이동작동대(66)를 후진이동시키면 제1홀더부(621)는 경사진 상태로 눕혀져서 반출부(53)로 적재함(B)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2홀더부(641)는 적재함(B)의 후단에 제2호형 안내면(641b)이 접촉되면서 경사진 상태로 눕혀져서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51) 방향으로 이동된 다음 제2접촉로울(68)에 의해 제2홀더부(641)가 직립되어 적재함(B)을 전진 이동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순차적인 작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반출부(53)로 이송된 적재함(B)은 반출콘베어(72)의 상부에 구비되고 승강 및 이동되게 한 적재함 반출부재(70)에 의해 반출부(53)에 놓여진 적재함(B)을 반출콘베어(72)로 이송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의 반출부(53)에 놓여지는 적재함(B)은 진단스틱 적층이 완료된 것만 해당되는 것이므로 복수의 적층이송경로(50) 상에 각각 위치하는 반출부(53)에 적재함(B)이 놓여져 있거나 놓여지지 않은 것도 있으므로 반출부(53)에 놓여져 있는 적재함만이 반출이 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진단스틱 B: 적재함
10 : 픽업장치 12 : 수직안내대
20 : 패드작동부재 22 : 완충안내대
30 : 흡착패드 32 : 진공홀
40 : 적재함 공급부재 41 : 적재함공급부
42 : 이송콘베어 42a : 스톱퍼
44 : 왕복이동대 46 : 이송정지판
48 : 밀대 50 : 적층이송경로
51 : 대기부 52 : 적층부
53 : 반출부 60 : 적재함 이동장치
61 : 적층이송안내판 61a : 이송안내구멍
62 : 제1홀더부재 62a : 제1고정축부
621 : 제1홀더부 621a : 제1걸림턱
621b : 제1호형 안내면 622 :작동간
623 : 제1접촉로울 64 : 제2홀더부재
64a : 제2고정축부 641 : 제2홀더부
641a ; 제2걸림턱 641b: 제2호형 안내면
642 : 홀더자중부 643 : 걸림단부
66 : 이동작동대 661 : 제1회전조절부
661a : 상부 슬라이딩면 661b : 하부 슬라이딩면
662 : 제2회전조절부 662a : 수직단턱
662b : 경사단턱 68 : 제2접촉로울
70 : 적재함 반출부재 72 : 반출콘베어

Claims (8)

  1. 다수의 진단스틱(A)에서 불량품은 분리 취출하고 정상품은 흡착패드(30)에 흡착,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승강수단이 구비된 픽업장치(10)와, 상기 픽업장치(10) 일측에 접속되어 상하로 슬라이드되어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한 패드작동부재(20)와, 상기 패드작동부재(20)의 하단에 설치되고 진단스틱을 흡착,인출하도록 하는 복수의 흡착패드(30)와, 상기 흡착패드(30) 하부의 적층이송경로(50)에 적재함(B)을 분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함 공급부재(40)와, 상기 적층이송경로(50)는 적층이송안내판(61) 상부에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51) 및 진단스틱 적층부(52), 반출부(53)가 각각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적층이송경로(50)에 놓여진 적재함(B)이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51)에서 진단스틱 적층부(52) 및 반출부(53)로 순차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적재함 이동장치(6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장치(10)의 일측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수직안내대(12)와, 상기 수직안내대(12) 내에 각각 접속되어 상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완충안내대(22)와, 상기 완충안내대(22)가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흡착패드(30)의 진공흡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패드작동부재(20)와. 상부 패드작동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진단스틱을 흡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홀이 구비된 흡착패드(30)가 설치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공급부재(40)는 적재함공급부(41)에서 공급되는 적재함(B)을 이송하는 이송콘베어(42) 상에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한 왕복이동대(44)와, 상기 왕복이동대(44)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송콘베어(42)로 이송되는 적재함(B)을 정지시키는 이송정지판(46)과, 상기 이송정지판(46)에 놓여진 적재함(B)을 방향전환하여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51)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밀대(48)가 설치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이동장치(60)는 적층이송안내판(61) 저면의 제1고정축부(6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진단스틱 적층부(52)에 놓여진 적재함(B)의 전방 하단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제1홀더부재(62)와, 상기 적층이송안내판(61)의 하부 방향에 위치한 이동작동대(66)의 제2고정축부(64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진단스틱 적층 대기부(51) 및 진단스틱 적층부(52)에 놓여진 적재함(B)의 후방 하단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제2홀더부재(64)와, 상기 제1홀더부재(62)의 제1접촉로울(623)에 접촉되어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제1회전조절부(661) 및 상기 제2홀더부재(64)에 접촉되어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제2회전조절부(662)가 각각 구비되고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이동작동대(66)와, 상기 적층이송안내판(61)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어 제2홀더부재(64)를 직립시키는 제2접촉로울(6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부재(62)는 "
    Figure 112012076224402-pat00005
    " 형으로 이루어지되 제1걸림턱(621a)과 제1호형 안내면(621b)이 형성되어 이송안내구멍(61a)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 제1홀더부(621)와, 상기 적층이송안내판(61) 저면의 제1고정축부(62a)에 축부 설치되는작동간(622)과, 상기 제1홀더부(621)와 작동간(622)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접촉로울(6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부재(64)는 "
    Figure 112012076224402-pat00006
    " 형으로 이루어져서 제2고정축부(64a)에 축부 설치되되 제2걸림턱(641a)과 제2호형 안내면(641b)이 형성되고 이송안내구멍(61a)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 제2홀더부(641)와, 상기 제2홀더부(641)가 자중에 의해 직립되도록 하는 홀더자중부(642)와, 상기 제2홀더부(641)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단부(643)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작동대(66)는 상부 일측에 제1회전조절부(661)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2회전조절부(662)가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조절부(661)는 제1홀더부재(62)의 제1접촉로울(623)에 접촉이 이루어지되 상면 양측에 상부 슬라이딩면(661a)이 형성되고 양측 상부 슬라이딩면(661a) 사이에 하부 슬라이딩면(661b)이 형성된 구성과, 상기 제2회전조절부(662)는 수직단턱(662a)과 경사단턱(662b)이 형성되어 제2홀더부재(64)를 직립 및 경사각을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
KR1020120104382A 2012-09-20 2012-09-20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 KR101234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382A KR101234722B1 (ko) 2012-09-20 2012-09-20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382A KR101234722B1 (ko) 2012-09-20 2012-09-20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722B1 true KR101234722B1 (ko) 2013-02-19

Family

ID=4789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382A KR101234722B1 (ko) 2012-09-20 2012-09-20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7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4869A (zh) * 2021-10-15 2021-12-28 安徽耐科装备科技股份有限公司 叠料检测分离机构
KR102475787B1 (ko) 2022-04-15 2022-12-08 주식회사 피디에이치 혈당측정 및 진단키트용 시트의 슬리팅 및 보틀링 장치
KR102512948B1 (ko) * 2022-11-16 2023-03-23 정재윤 구강용해용 포장제품 적층이송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39B1 (ko) * 2007-10-05 2009-06-15 (주)서우케이엔제이 진단키트 검사 및 절단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39B1 (ko) * 2007-10-05 2009-06-15 (주)서우케이엔제이 진단키트 검사 및 절단 포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4869A (zh) * 2021-10-15 2021-12-28 安徽耐科装备科技股份有限公司 叠料检测分离机构
KR102475787B1 (ko) 2022-04-15 2022-12-08 주식회사 피디에이치 혈당측정 및 진단키트용 시트의 슬리팅 및 보틀링 장치
KR102512948B1 (ko) * 2022-11-16 2023-03-23 정재윤 구강용해용 포장제품 적층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23502A1 (en)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a solid state disk test system
CN110508500A (zh) 多工位芯片测试分选机
JP2017095282A (ja) 物品移載装置
CN213137000U (zh) 一种全自动pcb分板机
KR101180357B1 (ko) 진단스틱 정렬 이송장치
KR101234722B1 (ko) 불량선별기용 진단스틱 적층장치
TWI310580B (en) Ic pick-and-place apparatus
CN112246663A (zh) 产品点数装置及芯片测试设备
TWI480938B (zh) A method and a device for cutting a substrate
JP3196501U (ja) 自動積み込み/積み降ろし装置、及び仕分け機械
CN117228097A (zh) 自动化检测下料装置
CN110395439B (zh) 一种用于5g车联网终端的sim卡托的包装自动机
KR20100115677A (ko) 대형필름 검사 및 적재장치
CN218370397U (zh) 上下料机构及外观检测装置
CN116871182A (zh) 一种屏幕自动检测设备
JP4155455B2 (ja) 物品の移載装置
CN115508361A (zh) 外观检测装置
CN104627702A (zh) 纸张类投入装置、纸张类处理装置以及纸张类处理方法
KR101102940B1 (ko) 분별 수취가 가능한 전기검사기용 반도체 인쇄회로기판 투입수취기
CN210788216U (zh) 多工位芯片测试分选机
TWI485409B (zh) 物品檢測方法及實現該方法的物品檢測設備
KR100319015B1 (ko) 번인 테스터용 소팅 핸들러의 빈 트레이 적재스택커
TW550216B (en) Method of transporting components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components
CN217146520U (zh) 一种吸塑自动检测分合盘包装设备
JP5412961B2 (ja) 紙葉類の載置装置、紙葉類の載置方法及び紙葉類区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