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409B1 - 프레스 장비 - Google Patents

프레스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409B1
KR102014409B1 KR1020190062305A KR20190062305A KR102014409B1 KR 102014409 B1 KR102014409 B1 KR 102014409B1 KR 1020190062305 A KR1020190062305 A KR 1020190062305A KR 20190062305 A KR20190062305 A KR 20190062305A KR 102014409 B1 KR102014409 B1 KR 102014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roller
frame
guid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진
Original Assignee
백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진 filed Critical 백승진
Priority to KR1020190062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2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1Control or correction devices in association with mov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비는, 성형을 위한 금속재의 피절곡물을 롤러의 구동에 의해 장비의 내부로 이송시키며, 이송시 피절곡물의 유동을 줄이며 롤러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이송부, 및 피절곡물을 성형하는 금형 내의 지그 교체에 따라 이송부로부터 투입되는 피절곡물을 복수의 지정 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프레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스 장비{Press Equipment}
본 발명은 프레스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차량의 공조장치 등에 사용되는 부속품을 생산하는 장비의 사용성이 편리하게 개선된 프레스 장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액추에이터(actuator)란 동력원을 통해 전달부(감속부)를 거쳐 출력부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갖는 구성체를 말한다. 차량 등과 같은 공조장치 내 플랩(Flap)의 각도를 조정하여 차량 내의 온도, 바람의 방향, 실내-외기를 전환하여 주는 제품이다.
이러한 제품의 내부에는 프레스부품, 즉 프레스금형을 통해 제작된 부품들이 사용되며, 통상 프레스부품은 액추에이터 조립 부품 및 온도 컨트롤러에 들어가는 부품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부속품이다. 운전자가 원하는 환경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핵심적인 부품, 냉기, 온기역할, 0 ~ 4단 설정, 믹스(Mix), 플로어(Floor), 바이레벨(Bi Level), 벤트(Vent)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부품들은 프레스라는 공작기계를 사용하여 재료의 소성 및 전연성을 이용한다. 동일 규격의 제품을 다량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금속재료를 주재료로 하여 만든 틀이라 정의할 수 있다. 프레스금형은 자동차, 전자제품, 산업기계, 전기기기, 사무용기기, 완구, 건축재 등 그외 분야에서 제품생산에 널리 사용된다.
프레스 금형은 프레스라는 기계와 금형이라는 특수 공구를 사용해서 재료를 절단 혹은 성형하는 작업이며, 프레스 가공은 제품의 강도가 높고 대량생산을 할 수 있지만, 고가이며 금형 제작 기간이 길다는 것이 단점이다. 프레스 금형은 자동차, 전자제품, 전기전자, 사무기기 등 여러 분야의 제품생산에 사용되고 있다.
프레스 가공은 전단 가공, 굽힘가공, 드로잉 가공, 압축가공으로 크게 분류된다. 전단 가공은 재료를 프레스에 넣고 금형을 사용하여 재료의 파괴강도 이상의 힘을 가해 재료의 일부를 전단하여 필요한 형상을 얻어내는 것이고, 굽힘가공은 프레스 금형을 사용하여 판재, 봉재 등에 필요한 굽힘 변형을 주는 것이다. 드로잉 가공은 펀치로 금형을 사용하여 판재, 봉재 등에 필요한 굽힘 변형을 주는 것이다. 드로잉 가공은 펀치로 재료 또는 반제품을 금형에 넣어 균열이 생기지 않게 만드는 것이며, 압축가공은 금형을 사용하여 재료에 큰 압력을 가해 재료를 변화시켜 필요한 형상은 얻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많은 프레스 기계들은 프레스 부품의 제작시 여전히 작업자의 일손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굽힘가공 등의 경우 판재 등의 피절곡물을 프레스로 안정되게 이송하기 위하여 이송 부분에 신경써야 하는 등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들의 불편함이 있고, 이로 인해 피로도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55027호(2005.06.10)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1607호(2017.11.29)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3649호(2017.10.1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63469호(2018.05.25)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차량의 공조장치 등에 사용되는 부속품을 생산하는 장비의 사용성이 편리하게 개선된 프레스 장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비는, 성형을 위한 금속재의 피절곡물을 롤러의 구동에 의해 장비의 내부로 이송시키며, 상기 이송시 상기 피절곡물의 유동을 줄이며 상기 롤러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이송부, 및 상기 피절곡물을 성형하는 금형 내의 지그(Zig) 교체에 따라 상기 이송부로부터 투입되는 상기 피절곡물을 복수의 지정 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프레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프레임의 양측이 상기 이송부의 하측 본체부에 결합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롤러와 대면하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피절곡물을 가이드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폴리(Poly)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부는, 상기 프레임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지그 교체에 따라 상기 피절곡물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비에 의한 프레스부품의 제조방법은, 이송부 및 프레스부를 포함하는 프레스 장비에 의한 프레스부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이송부를 구성하는 가이드부가 성형을 위한 금속재의 피절곡물을 롤러의 구동에 의해 장비의 내부로 이송시키며, 상기 이송시 상기 피절곡물의 유동을 줄이며 상기 롤러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프레스부가 상기 피절곡물을 성형하는 금형 내의 지그 교체에 따라 상기 이송부로부터 투입되는 상기 피절곡물을 복수의 지정 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부를 상기 이송부의 하측 본체부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롤러와 대면하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안내홈부에 의해 상기 피절곡물을 가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폴리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부는, 상기 프레임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지그 교체에 따라 상기 피절곡물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가공 등의 프레스 공정에서 가급적 작업자의 개입을 줄여 프레스 부품 제작시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개입을 줄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작업시 발생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공정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프레스공정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프레스 장비의 구동 메커니즘을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도 3의 이송부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가이드부의 단면도,
도 6은 지그가 삽입된 도 3의 성형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7은 도 3의 배출부에서 배출된 프레스부품 및 해당 프레스부품이 적용된 제품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8은 지그의 변경에 따라 다변화가 가능한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비에 의한 프레스부품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공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공정 시스템(90)은 피절곡물공급장치(100) 및 프레스 장비(1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나아가서는 제어장치(200), 이송장치(210) 및 촬영장치(미도시)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피절곡공급장치(1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프레스 장비(110)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가령 프레스 장비(110)는 수용부(혹은 수납부)를 형성하고 해당 수용부에 판재 등의 피절곡물을 수용하여 프레스장치(110)로 공급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피절곡물공급장치(100)는 판재(예: 강재) 등의 피절곡물(혹은 피가공재)을 프레스 장비(110)로 제공한다. 피절곡물공급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 또는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와 같이 테이블 내부에서 피절곡물이 서서히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피절곡물공급장치(100)는 가령 도 2의 프레스 장비(110)의 하부에서 공급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의 경우, 도 2에서 볼 때, 이송장치(210)도 피절곡물공급장치(100)와 연계하여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절곡물공급장치(100)는 피절곡물의 공급속도나 공급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200)는 센서 등을 통해 피절곡물의 공급속도가 느리거나 또는 공급량이 적을 때, 이상이 있음을 감지하여 음성이나 경보음의 형태로 작업자에게 통지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센서는 공급 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전류량에 따라 속도를 가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영상촬영을 통해 공급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데, 가령 1초에 60장의 단위프레임 영상이 촬영된다면, 1장의 단위프레임은 1/60초가 되는 것이므로, 롤러에 유입될 때와 롤러에서 벗어나 프레스 장비(110)로 투입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산하여 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물론 정상적인 이동속도와 관련해서는 기준값으로서 실험 등을 통해 기저장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윤활유 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될 때, 이에 대해 작업자가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물론 제어장치(200)는 이상을 통지할 때, 윤활유가 부족함을 알릴 수 있을 것이다.
프레스 장비(110)는 실질적으로 피절곡물의 성형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의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형에는 금형틀이 사용되므로, 이를 포함할 수 있고, 또 금형틀을 동작시키는 실린더와 같은 구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 2의 제어장치(200)나 이송장치(210)의 경우에도 넓게는 프레스 장비(110)의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어장치(200)에서 제어명령을 통해 프레스 장비(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프레스 장비(110)는 다양한 형상의 프레스부품이 제작될 수 있도록 금형틀은 지그(Zig)를 포함할 수 있다. 금형은 금속으로 만든 형틀, 즉 어떤 제품을 정해진 모양으로 만들기 위한 기준 형틀이라면, 지그는 공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그를 금형틀 내의 일부를 나타낼 수도 있다. 지그는 어떤 제품을 대량으로 가공하기 위해서 제품의 위치를 결정하거나 드릴 작업에서 정확한 위치에 반복해서 구동을 뚫거나 어떤 물건을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정해진 방법으로 물건을 고정시키는 등의 동작을 위한 전용 공구인 것이다. 나아가, 어떤 물건을 원하는 각도로 틀어주기 위해 장치들을 만들거나 이런 모든 것이 지그 또는 치구가 되는 것이다.
지그는 금형틀에 고정 설치되며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스부품을 형성할 때마다 금형틀을 새로 제작하기보다는 간단히 지그의 교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프레스부품을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그는 구형파나 정현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판재가 프레스를 지날 때, 금형틀의 하측 구조물과 상측 구조물(혹은 상부 금형)이 실린더에 의해 피스톤 왕복 운동을 하며 프레스부품을 찍어낸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측 구조물(혹은 하부 금형)은 프레스 장비(110)의 본체에 고정되어 있고, 피절곡물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이동되며, 또한 금형틀의 상측 구조물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하 운동하면서, 고정되어 있는 하측 구조물과 맞물리면서 피절곡물을 지정 형상을 갖는 프레스부품으로 제작하게 된다. 물론 피절곡물의 이동 거리는 이송 시간에 비례하며, 따라서 이송부의 롤러를 제어함으로써 피절곡물의 이송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물론 프레스 장비(110)로 공급된 판재는 지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출되며, 배출되는 지정 형상의 판재는 일정 간격으로 커팅 즉 절단되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스 장비(110)는 절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절단된 프레스부품은 연마 등의 과정을 더 거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프레스 장비의 구동 메커니즘을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도 3의 이송부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가이드부의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지그가 삽입된 도 3의 성형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비(110')는 이송부(300), 성형부(310), 배출부(320) 및 제어부(3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제어부(3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제어부(340)가 스탠드얼론(stand alone) 형태로 형성되어 이송부(300)나 성형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와 연동하거나, 이송부(30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성형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송부(300)는 성형부(310)에서 성형하기 위한 판재 등의 피절곡물을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송부(300)는 도 4에서와 같이, 본체부(400)에 결합되는 롤러부 또는 복수의 (이송) 롤러(410)와, 롤러(410)의 상측에 구비되어 피절곡물의 유동을 줄이고, 판재를 성형부(310)로 안전하게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420)를 포함한다. 롤러(410)는 피절곡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이송 과정에서 피절곡물의 이송을 보조하는 보조 이송수단이라 볼 수 있다. 물론 가이드부(420)는 피절곡물과 롤러(410)가 서로 접촉하여 롤러(410)의 회전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송부(300)는 모터에 결합되어 단독으로 회전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롤러만 회전시키고, 나머지 롤러들을 피절곡물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330)는 컨베이어벨트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관계하여 가이드부(420)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송부(300)를 구성하는 가이드부(420)의 구조 및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이드부(420)는 판재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고무나 실리콘을 포함하여 폴리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420)는 도 5에서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서 볼 때, 가이드부(420)는 본체부(400)의 하부에 양측을 걸기 위한, 즉 이를 통해 탈착 및 부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부(501)를 가지며, 프레임부(500)의 하측에 형성된 홈 형태의 안내홈부(502)가 형성되어 있다. 홈의 너비는 판재 즉 피절곡물의 너비와 동일한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안내홈부(502)가 슬라이드 형태로 교체가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프레스부품의 형상이 변경될 경우, 지그의 교체와 함께 안내홈부(502)도 교체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해질 수 있다. 가령, 원형의 강재가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이의 경우, 안내홈부(502)의 홈은 반원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프레임부(500)의 전체 폭(W)은 본체부(400)의 너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걸림턱부(501)의 높이 또한 본체부(400)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걸림턱부(501)는 가령 유연하면서 견고하게 본체부(400)에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걸림턱부(501)가 본체부(400)와 결합되는 결합부위의 하부의 수납부도 본체부(400)의 프레임이 수납되도록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걸림턱부(501)의 두께와 하부 수납부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송부(300)의 롤러(410)는 제어부(3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40)는 이송부(300)의 롤러(410)를 회전시켜 피절곡물을 일정한 속도로 성형부(310) 즉 금형틀 내로 투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금형틀 내에서 성형 구간을 A라고 하면, A 구간이 형성된 후 다음의 B 구간이 성형 구간에 포함되도록 피절곡물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A 구간은 금형틀의 성형 구간을 벗어나게 된다. 이를 통해 배출부(320)에서는 프레스부품이 배출될 수 있다.
성형부(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틀이 고정되는 금형틀부(600)와 금형틀의 상부 구조물(603)을 피스톤 왕복 운동시키는 실린더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실린더의 제어는 제어부(340)에서 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부(300)로부터 성형부(310)에 투입된 피절곡물은 금형틀을 구성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형파 형태를 갖는 하부 구조물(601)상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제어부(340)는 실린더를 제어하여 금형틀의 상부 구조물(603)과 하부 구조물(601)이 서로 맞물리도록 한다. 다시 말해, 하부 구조물(601)은 양각 형태를 갖고, 상부 구조물(603)은 음각 형태를 가지므로 그 사이에 놓인 피절곡물은 금형틀에 의해 지정 형태, 가령 구형파 형태로 형성된다. 이후, 금형틀에 의해 지정 형상을 갖게 되는 피절곡물은 성형 구간을 벗어나게 된다. 물론 성형부(310) 내에 절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절단부는 배출부(3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만약, 절단부가 성형부(310)에 포함되는 경우, 절단부는 커터 즉 칼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커터의 경우에도 다른 실린더(혹은 제2 실린더)에 의해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간격으로 동작하여 지정 길이마다 피절곡물을 절단하여 배출부(320)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성형부(310)의 제1 실린더가 4 ~ 5회 동작할 때, 절단부의 제2 실린더는 1회 동작할 수도 있다. 이는 형성하고자 하는 피절곡물의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이 될 수 있는 것이므로,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배출부(320)는 지정 형상으로 형성된 피절곡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롤러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320)를 통해서는 절곡 형태가 다변화된 피절곡물이 배출될 수 있다. 물론 다변화된 피절곡물은 금형틀 내의 지그 등의 교체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배출부(320)는 단순히 피절곡물을 배출한다고 볼 수 있다.
제어부(340)는 도 3의 프레스 장비(110')를 구성하는 이송부(300) 및 성형부(31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제어 동작은 작업 초기에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방식대로 자동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40)는 작업자 명령이 수신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령 터치스크린의 경우 화면에 표시된 버튼을 포함하며, 이는 프레스부품의 종류에 따라 설정된 방식대로 동작하도록 세팅된 버튼일 수 있다. 즉, 해당 버튼에는 프레스부품의 종류가 표시됨으로써 작업자는 가령 원하는 프레스부품의 버튼을 터치하면 된다. 또한, 제어부(340)는 이송부(300)의 롤러(4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성형부(310)를 구성하는 금형틀에서 상부 구조물(603)에 결합된 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지정 형태를 갖는 피절곡물의 절단 간격을 결정하여 절단부를 구성하는 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340)는 이송부(300) 등에 구비되는 센서를 통해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감지하여 피절곡물의 이동 속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동 속도에 이상이 발생되면 경보음이나 음성을 발생시키거나 그 원인도 함께 음성 등의 형태로 음향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장 내부에는 카메라 등의 촬영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의 경우 제어부(340)는 촬영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프레스 장비(110')를 감지하고 이상 징후가 발견될 때, 이상 정보를 외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피로한 모습을 보이거나, 이로 인해 버튼 조작에 오류가 예측될 때, 제어부(340)는 버튼을 일시적으로 잠금한 후 작업자에게 경고를 알림 후에 다시 잠금을 해제하여 제어 명령이 입력되도록 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배출부에서 배출된 프레스부품 및 해당 프레스부품이 적용된 제품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지그의 변경에 따라 프레스부품의 다변화가 가능한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7 및 도 8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도 2의 프레스장치(110')는 도 7의 (a) 및 (b)에서와 같이, 구형파 형태의 프레스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프레스부품은 도 8의 (b)에서와 같은 구형파 이외에도 삼각파((a) 참조)나 정현파((c) 참조)와 같은 형태로도 얼마든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금형틀 내의 지그만을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금형틀의 상하 구조물(601, 603)에서 지그부만을 가령 슬라이드 형태의 탈부착을 통해 교체함으로써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의 (c)는 도 7의 (a) 및 (b)에서와 같은 프레스부품이 적용된 차량용 공조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그 결과, 프레스부품마다 금형틀을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또 금형틀 제작에 따른 재료비용 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비에 의한 프레스부품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9를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비(110')는 이송부에 포함되는 가이드부가 성형을 위한 금속재의 피절곡물을 롤러의 구동에 의해 장비의 내부로 이송시키며, 이송시 피절곡물의 유동을 줄이며 롤러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이동시킨다(S900).
여기서, 롤러와 피절곡물이 서로 접촉하므로, 다시 말해 가이드부가 상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므로 피절곡물은 롤러와 안정적으로 접속하게 되며, 따라서 롤러를 제어하게 되면 일정한 속도로 피절곡물이 프레스 장비(11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프레스 장비(110')는 프레스부가 피절곡물을 성형하는 금형 내의 지그 교체에 따라 이송부로부터 투입되는 피절곡물을 복수의 지정 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선택적으로 형성한다(S910).
예를 들어, 금형틀은 장비에 고정된 채 그대로 두고 단순히 지그를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피절곡물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2의 프레스 장비(110')는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므로, 자세한 내용은 앞서의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정은 단순히 원재료를 프레스 장비(110')로 입고하여 프레스부품을 형성하는 과정에 해당된다.
다만, 가령 도 7의 (c)에서와 같은 제품을 위해서는, 사출물 즉 프레스부품을 조립하고, 검사하며 검사를 통해 정상으로 판단되는 제품에 대하여 포장 및 제품 출하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의 이송장치(2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의 이송 전 또는 이송 과정에서 판재의 위치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의 조절할 수 있는 판재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판재 가이드부(1000)를 포함하며, 구동유닛(9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판재 가이드부(1000)는, 이송부에 설치되며, 가공되는 판재 너비에 대응하여 가공되는 판재의 이송을 가이드한다.
판재 가이드부(1000)는, 가이드 바(1010), 제1 교차 프레임(1020), 제2 교차 프레임(1030) 및 프레임 구동부(10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바(1010)는, 이송부에 배치되어 판재가 반듯하게 이송되도록 하여 판재의 이송을 가이드하며,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 제1 교차 프레임(1020) 또는 제2 교차 프레임(1030)의 구동에 따라 도 3의 성형부(310)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후퇴된다.
제1 교차 프레임(1020)은, 후단이 가이드 바(10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이 프레임 구동부(1040)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프레임 구동부(1040)에 의하여 구동된다.
제2 교차 프레임(1030)은, 후단이 가이드 바(1010)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1 교차 프레임(1020)과 "X" 형태로 교차 연결된다.
프레임 구동부(1040)는, 가이드 바(1010)의 전단에 이격 설치되고, 후단 일측과 다른 일측에 제1 교차 프레임(1020) 또는 제2 교차 프레임(1030)의 전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이 프레임 구동부(104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프레임 구동부(1040)에 의하여 구동됨에 따라 제1 교차 프레임(1020)과 제2 교차 프레임(1030)의 전단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의 구성 결과, 판재 가이드부(1000)는, 이송 전 또는 이송 과정에서 판재의 위치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하게 원하는 위치에 홈을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판재 가이드부(1000)는, 프레임 구동부(1040)의 양측 후단에 설치되어 가이드 바(1010)와 프레임 구동부(1040)가 충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피절곡물공급장치 110, 110': 프레스 장비
200: 제어장치 210: 이송장치
400: 본체부 410: 롤러부
420: 가이드부 500: 프레임부
501: 걸림턱부 502: 안내홈부
600: 금형틀(부) 601: 하부 구조물
603: 상부 구조물 610: 실린더(부)

Claims (2)

  1. 성형을 위한 금속재의 피절곡물을 롤러의 구동에 의해 장비의 내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이송시 상기 피절곡물의 유동을 줄이며 상기 롤러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이송부;
    금형틀의 일부를 구성하여 상기 피절곡물을 성형하는 지그(Zig)를 포함하며, 지그 교체에 따라 상기 이송부로부터 투입되는 상기 피절곡물을 복수의 지정 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프레스부;
    상기 피절곡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피절곡물의 공급을 감지하는 센서 또는 촬영장치; 및
    상기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거나 이상을 작업자에게 통지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프레임의 양측이 상기 이송부의 하측 본체부에 결합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롤러와 대면하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피절곡물을 가이드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피절곡물의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Poly)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부는, 상기 프레임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지그 교체에 따라 상기 피절곡물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교체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피절곡물의 공급 속도가 느리거나 공급량이 적을 때, 이상이 있음을 감지하여 음성이나 경보음의 형태로 상기 작업자에게 통지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공급 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전류를 측정하여 전류량에 따라 속도를 가늠하는 프레스 장비.
  2. 삭제
KR1020190062305A 2019-05-28 2019-05-28 프레스 장비 KR102014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305A KR102014409B1 (ko) 2019-05-28 2019-05-28 프레스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305A KR102014409B1 (ko) 2019-05-28 2019-05-28 프레스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409B1 true KR102014409B1 (ko) 2019-08-26

Family

ID=6780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305A KR102014409B1 (ko) 2019-05-28 2019-05-28 프레스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4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027A (ko) 2005-04-20 2005-06-10 가부시끼가이샤가네미쯔 프레스기계
KR20110130662A (ko) * 2010-05-28 2011-12-06 현대제철 주식회사 금형 고정용 쐐기 해체 방법 및 장치
KR20170113649A (ko) 2015-03-03 2017-10-12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프레스 성형 방법 및 프레스 성형 장치
KR20170131607A (ko) 2015-04-28 2017-11-29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프레스 가공 장치, 프레스 가공 방법 및 프레스 성형품
KR101818938B1 (ko) * 2017-11-02 2018-01-17 박문석 스트럽 정속 공급과 평탄도 확보수단 및 윤활유 균등 분사 구조를 갖는 산업용 프레스
KR101863469B1 (ko) 2013-11-28 2018-05-31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강판 소재,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및 그 강판 소재를 이용한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027A (ko) 2005-04-20 2005-06-10 가부시끼가이샤가네미쯔 프레스기계
KR20110130662A (ko) * 2010-05-28 2011-12-06 현대제철 주식회사 금형 고정용 쐐기 해체 방법 및 장치
KR101863469B1 (ko) 2013-11-28 2018-05-31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강판 소재,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및 그 강판 소재를 이용한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20170113649A (ko) 2015-03-03 2017-10-12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프레스 성형 방법 및 프레스 성형 장치
KR20170131607A (ko) 2015-04-28 2017-11-29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프레스 가공 장치, 프레스 가공 방법 및 프레스 성형품
KR101818938B1 (ko) * 2017-11-02 2018-01-17 박문석 스트럽 정속 공급과 평탄도 확보수단 및 윤활유 균등 분사 구조를 갖는 산업용 프레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5374A1 (en) Bending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die, method for arranging die and method for selecting die stocker
US20090024246A1 (en) Bending Apparatus
JP2005329467A (ja) パンチプレスシステム
KR102014409B1 (ko) 프레스 장비
CN111512252A (zh) 用于加工工件的方法以及加工系统
JP6328957B2 (ja) プレス機器の金型管理方法及び金型管理装置
JP2015174098A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設備
US20220044051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forming metal strips into dies
JPH0236337B2 (ko)
JP2006346706A (ja) 曲げ加工装置及び金型管理方法
US543852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compensating the length of a punch tool
JP5679571B2 (ja) ワイヤソーの加工条件設定方法
JP6846270B2 (ja) 加工システム及び加工方法
JP2005211928A (ja) プレスシステム
EP1230996A2 (en) Cold bending machine, operating by controlled drawing of elongated profiles
KR101539558B1 (ko) 탭 가공장치를 갖춘 멀티 포밍기
JP5920776B2 (ja) 横型多段式熱間フォーマー。
JP6894951B2 (ja) 曲げ加工方法及び曲げ加工システム
JP3018390U (ja) 圧造成形機のクイル装置
KR100544382B1 (ko) 관재(管材) 성형방법 및 그 장치
JP4454127B2 (ja) 曲げ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353526A (ja) 曲げ加工装置における自動金型選択装置
EP1679182A2 (en) Device for control and correction of the force delivered by a press for working laminar materials
JP2001301012A (ja) 樹脂シート製造方法及び装置
KR20180119210A (ko) 금형용 위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