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689B1 - 배기가스관 제조시 사용되는 밀폐용 지그 - Google Patents

배기가스관 제조시 사용되는 밀폐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689B1
KR102013689B1 KR1020190059718A KR20190059718A KR102013689B1 KR 102013689 B1 KR102013689 B1 KR 102013689B1 KR 1020190059718 A KR1020190059718 A KR 1020190059718A KR 20190059718 A KR20190059718 A KR 20190059718A KR 102013689 B1 KR102013689 B1 KR 102013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jig body
sealing
support ro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규
장정호
최승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19005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05C13/025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relatively small cylindrical objects, e.g. cans, 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가스관 제조시 밀폐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제조설비용 배기가스관을 제조할 때, 배기가스관이 되는 모재 내면과 지그 내면에 라이닝층으로 형성되지만, 특히, 지그 내면에 형성되는 라이닝층의 경우, 배기가스관 제조 완료 뒤에는 스크랩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이러한 제거되는 지그 내면에 형성된 라이닝층을 절감시켜, 원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가스관의 단부를 밀폐시키는 밀폐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기가스관 제조시 사용되는 밀폐용 지그{JIG FOR SEALING A ECTILATE GAS-TUBE}
본 발명은 배기가스관 제조시 밀폐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제조설비용 배기가스관을 제조할 때, 배기가스관이 되는 모재 내면과 지그 내면에 라이닝층으로 형성되지만, 특히, 지그 내면에 형성되는 라이닝층의 경우, 배기가스관 제조 완료 뒤에는 스크랩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이러한 제거되는 지그 내면에 형성된 라이닝층을 절감시켜, 원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가스관의 단부를 밀폐시키는 밀폐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10-1643158호의 반도체제조설비용 배기가스관 제조방법에서, 배기가스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면서, 제조과정 중, 배기가스관의 개방된 영역을 밀폐하기 위한 밀폐용 지그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밀폐용 지그는, 배기가스관의 기본이 되는 모재의 내면에 회전라이닝 공법으로 라이닝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모재 내부에 원료를 투입하고 모재를 밀폐시켜 회전되는 동안의 원심력에 의해 모재 내면에 라이닝층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 과정에서, 원심력에 의해 원료의 이동으로 인해 밀폐용 지그의 내면에도 라이닝층이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밀폐용 지그의 내면에 형성된 라이닝층은 스크랩으로 제거되어 폐기되기 때문에, 사실상 원료의 낭비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회전라이닝 공법으로 모재를 밀폐시키지 않고는 라이닝층을 모재 내면에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밀폐용 용기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밀폐용 용기를 사용하되, 밀폐용 용기 내면에 형성되는 라이닝층의 양을 절감할 수 있도록, 밀폐용 용기의 구조를 개선하는 본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4390호에는 배관 에어 시험용 밀폐 지그가 기재되어 있는데, 상기 기술은, 배관의 에어 시험을 위해 배관의 단부를 밀폐하는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직경의 배관을 시험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이 용이하며 또한 밀폐성이 우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배관의 단부를 밀폐하는 목적이 상이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목적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착안할 수 없다.
다른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4092호에는 노출형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장치가 기재되어 있는데, 상기 기술은, 지하수를 채수하기 위해 굴착한 지하수 심정에 설치되는 노출형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발명과 목적이 전혀 상이하다.
그 외에도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0975호의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과, 등록특허공보 제10-1308392호의 반도체 배관용 앤드캡 등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러한 기술들 모두 본 출원발명의 목적에 따른 밀폐용 지그와 상이하다. 즉, 관련된 기술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등록특허공보 제10-1696037호의 이형관 내부 라이닝 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배관의 라이닝 공정을 위해 배관의 단부를 밀폐시키는 공정은 다수 기재되어 있지만, 밀폐를 위한 지그 등의 구성은 예측 가능하지만, 본 출원발명과 같이 밀폐를 위한 수단의 내면에 형성되는 라이닝층의 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은 검색되지 않았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4390호(2014.07.23.)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4092호(2003.02.14. 공고)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0975호(2015.03.09.) 등록특허공보 제10-1308392호(2013.09.13.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696037호(2017.01.23.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제조설비용 배기가스관을 제조할 때, 배기가스관이 되는 모재 내면과 지그 내면에 라이닝층으로 형성되지만, 특히, 지그 내면에 형성되는 라이닝층의 경우, 배기가스관 제조 완료 뒤에는 스크랩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이러한 제거되는 지그 내면에 형성된 라이닝층을 절감시켜, 원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가스관의 단부를 밀폐시키는 밀폐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관 제조시 밀폐용 지그는, 배기가스관을 제조할 때, 배기가스관의 모재 내면에 라이닝층 형성을 위한 회전라이닝시 사용되는 밀폐용 지그(1)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지그에 형성되는 라이닝층의 형성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측에 단열재를 갖는 단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밀폐용 지그(1)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돌출되게 연장되되 내부가 중공인 상태가 되어, 상면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단열재가 수용되어 단열층이 형성된 제1 지그몸체(20); 및 상기 제1 지그몸체(20)의 상부에서 결합되되, 내부가 중공으로써 하면이 폐쇄되고, 상면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개방된 영역이 상기 모재에 결합되는 제2 지그몸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폐용 지그(1)는,
베이스(10)와 제1 지그몸체(20)만 포함한 종래 밀폐용 지그에 단열재를 충진하는 a단계; 및
상기 a단계 후, 제1 지그몸체(20)의 상부에 제2 지그몸체(30)를 결합하는 b단계;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관 제조시 밀폐용 지그에 의하면,
반도체제조설비용 배기가스관을 제조할 때, 지그 내면에 형성되는 라이닝층의 형성량을 절감할 수 있어서, 스크랩으로 제거하기 위한 번거로움을 감소시키고, 아울러 라이닝층 형성에 사용되는 원료의 양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관 제조시 밀폐용 지그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관 제조시 밀폐용 지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밀폐용 지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배기가스관 제조시 밀폐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제조설비용 배기가스관을 제조할 때, 배기가스관이 되는 모재 내면과 지그 내면에 라이닝층으로 형성되지만, 특히, 지그 내면에 형성되는 라이닝층의 경우, 배기가스관 제조 완료 뒤에는 스크랩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이러한 제거되는 지그 내면에 형성된 라이닝층을 절감시켜, 원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가스관의 단부를 밀폐시키는 밀폐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관 제조시 밀폐용 지그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 지그(1)는, 베이스(10), 제1 지그몸체(20) 및 제2 지그몸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0)는 모재(배기가스관)의 반대측면에 형성되고, 제1 지그몸체(20)는 상기 베이스(10)에 돌출되게 연장되되 내부가 중공인 상태가 되어, 일면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 또는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지그몸체(30)는 상기 제1 지그몸체(20)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가 중공이되 일단은 폐쇄되고 다른 일단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지그몸체(30)는 제1 지그몸체(20) 내부의 단열재가 수용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폐쇄된 일단이 제1 지그몸체(20)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개방된 제2 지그몸체(30)의 단부는 모재에 결합된다. 이때, 제2 지그몸체(30)의 단부가 모재에 결합되는 것은 용접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밀폐용 지그(1)를 부연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관 제조시 밀폐용 지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종래의 밀폐용 지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도 3을 통해 종래 밀폐용 지그를 설명하도록 한다.
기존 밀폐용 지그 사용시, 도 3의 좌측과 같이 가열로(오븐)내에서 열을 전달받아서 도 3의 우측과 같이, 모재 내면에 라이닝 단층을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밀폐영 지그에 형성된 라이닝 단층은 결국 스크랩으로 폐기해야 한다.
이러한 라이닝층 형성은, 가스배관을 제조하는데 적용되는 회전성형에 의한 것이고, 이러한 회전성형 자체가 회전력에 의해 라이닝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원심력에 의해 밀폐용 지그와 같은 구조는 스크랩 단층을 더욱 두껍게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렇다고 하여, 회전라이닝의 경우 모재를 밀폐시키지 않고 라이닝 단층을 구성할 수 없으므로, 제작 구조적으로 발생하는 필연적인 원료 손실이 발생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의 도 2와 같이, 본 출원발명에 따른 밀폐용 지그를 구성함에 따라, 기존의 밀폐용 지그(1)의 제1 지그몸체(20) 안에 단열재를 충진시켜 단열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지그몸체(20)에 제2 지그몸체(30)를 결합시켜 이중 단열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이때, 결합은 용접 등일 수 있다.
도 2의 좌측과 같이 가열로 내 열전도를 이중단열을 갖는 밀폐용 지그(1)의 구조로 최대한 지연시켜 도 2의 우측과 같이 밀폐용 지그(1)에 형성되는 라이닝 단층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실제 본 출원인이 종래의 밀폐용 지그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 지그(1)를 사용하여 스크랩량을 측정하여 보니, 약 80% 이상의 양이 무게비 기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원료는 30% 가량 절감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하의 [표 1]은, 기존 밀폐용 지그 및 본 출원발명에 따른 밀폐용 지그의 사진과 기존 밀폐용 지그 사용시 발생된 스크랩과 본 출원발명에 따른 밀폐용 지그를 사용하여 발생된 스크랩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9052208719-pat00001
Figure 112019052208719-pat00002
기존 밀폐용 지그 본 출원발명에 따른 밀폐용 지그
Figure 112019052208719-pat00003
기존 밀폐용 지그(우) 본 출원발명에 따른 밀폐용 지그(좌)
Figure 112019052208719-pat00004
Figure 112019052208719-pat00005
기존 밀폐용 지그 본 출원발명에 따른 밀폐용 지그
이러한 밀폐용 지그(1)는, 종래 밀폐용 지그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하는 a단계; 및 상기 a단계 후, 제1 지그몸체(20)의 개방된 일면에 제2 지그몸체(30)를 결합하는 b단계;를 포함하여 제작된다.
한편, 상술된 밀폐용 지그(1)는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9052208719-pat00006
Figure 112019052208719-pat00007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지그몸체(20) 내면에 설치되는 'ㄴ'자 형태로 절곡된 브라켓(a)을 2개 이상 더 포함하도록 한다.
즉, 제1 지그몸체(20)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하기 전에 상기 브라켓을 용접 등으로 제1 지그몸체(20) 내면에 고정하여 설치하되, 브라켓과 제1 지그몸체(20) 사이의 빈 공간이 상방으로 개방된 형태를 갖도록 브라켓을 설치 먼저한 뒤,
단열재를 제1 지그몸체(20) 내부로 충진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브라켓과 제1 지그몸체(20) 사이의 빈 공간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지그몸체(30)는 폐쇄된 단부의 외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b)가 2개 이상 구성되도 하는데, 이러한 돌기는 상기 브라켓의 개수와 동일하다. 그리고 후술되는 구성들 역시 돌기에 형성되는 구성들로서, 돌기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갖도록 한다.
[표 1] 및 [표 2]을 참조하면,
돌기(b)에는 1회 절곡되되 경사진 형태를 갖음에 따라 'v' 형태를 갖는 지지봉(c)이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봉은 일단부가 돌기(b)에 연결되고, 다른단부에는 부착부재(예를 들면, 에어캡(창문 부착에 사용되는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그몸체(30)의 하면 외측면에서부터 상기 지지봉(c)까지 연결된 실린더(d)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실린더(d)는 제2 지그몸체(30)의 하면 외측면에 고정 연결된 커버와, 상기 커버에 일부가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노출되되, 커버에 삽입된 일부의 단부는 스프링에 의해 커버 내측과 연결되어 밀어내는 탄성을 갖는 밀음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밀음봉이 지지봉(c)의 일측에 고정 연결되도록 한다. 다만, 다른 일예로써, 상기 실린더(d)는 스프링 사용 이유에 따른 내열 문제로 구성 포함에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른, 돌기(b), 지지봉(c) 및 실린더(d)는 모두, 내열성 재질(고무 등)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지그몸체(20)와 제2 지그몸체(30)가 결합 시, 브라켓(a)과 제1 지그몸체(20)의 내면 사이의 빈 공간 위치되는데,
이때, 지지봉(c)의 부착부재가 제1 지그몸체(20)의 내면에 부착된 상태로 실린더(d)의 밀음 작용에 의해, 절곡된 형태를 갖는 지지봉(c)이 부착부재를 밀어주면서 제1 지그몸체(20)와 제2 지그몸체(30)의 결합이 견고해지도록 한다.
아울러, [표 2]에 기반하면, 돌기(b)의 내측면(제1 지그몸체의 외면/내면 기준)에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홈의 일측으로는 더 오목하게 형성되어 가이드 역할을 하는 제2 홈이 형성된다.
이때, 지지봉(c)의 돌기(b)에 결합되는 단부는, 제2 홈에 삽입되되, 지지봉(c)의 단부에 지지봉(c) 보다 크게가 더 큰 날개영역을 구성하여, 해당 날개영역이 제2 홈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지지봉(c)이 제2 홈을 따라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돌기(d)의 제1 홈의 하부방향 단부에 형성된 상승작용 스프링이 지지봉(c)의 일측을 밀어 올려주도록 구성됨으로써, 지지봉(c)은 항상 상승되는 힘을 받도록 하여, 부착부재에 의해 부착된 제1 지그몸체(20)가 제2 지그몸체(30)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결합의 견고함을 더욱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일예에 따라서, 상시기 상승작용 스프링은, 제1 홈 내부영역 중, 지지봉(c)과 제1 지그몸체(20)의 하면 외측면 사이에 구성되되, 고무재질의 판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봉(c)을 상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기능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 밀폐용 지그
10 : 베이스
20 : 제1 지그몸체
30 : 제2 지그몸체

Claims (3)

  1. 배기가스관을 제조할 때, 배기가스관의 모재 내면에 라이닝층 형성을 위한 회전라이닝시 사용되는 밀폐용 지그(1)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지그에 형성되는 라이닝층의 형성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측에 단열재를 갖는 단열층을 포함하되,
    상기 밀폐용 지그(1)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돌출되게 연장되되 내부가 중공인 상태가 되어, 상면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단열재가 수용되어 단열층이 형성된 제1 지그몸체(20); 및
    상기 제1 지그몸체(20)의 상부에서 결합되되, 내부가 중공으로써 하면이 폐쇄되고, 상면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개방된 영역이 상기 모재에 결합되는 제2 지그몸체(30);를 포함하여,
    베이스(10)와 제1 지그몸체(20)만 포함한 종래 밀폐용 지그에 단열재를 충진하는 a단계; 및
    상기 a단계 후, 제1 지그몸체(20)의 상부에 제2 지그몸체(30)를 결합하는 b단계;를 포함하여 제작되되,
    상기 제1 지그몸체(20) 내면에 설치되는 'ㄴ'자 형태로 절곡된 브라켓(a)을 2개 이상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그몸체(20)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하기 전에 상기 브라켓을 제1 지그몸체(20) 내면에 고정하여 설치하되, 브라켓과 제1 지그몸체(20) 사이의 빈 공간이 상방으로 개방된 형태를 갖도록 브라켓을 설치 먼저한 뒤, 단열재를 제1 지그몸체(20) 내부로 충진하며, 브라켓과 제1 지그몸체(20) 사이의 빈 공간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2 지그몸체(30)는 폐쇄된 단부의 외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b)가 구성되고, 상기 돌기(b)에는 1회 절곡되되 경사진 형태를 갖음에 따라 'v' 형태를 갖는 지지봉(c)이 구성되며, 상기 지지봉은 일단부가 돌기(b)에 연결되고, 다른단부에는 부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지그몸체(30)의 하면 외측면에서부터 상기 지지봉(c)까지 실린더(d)로 연결하고,
    상기 돌기(b)의 내측면에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홈의 일측으로는 더 오목하게 형성되어 가이드 역할을 하는 제2 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c)의 돌기(b)에 결합되는 단부는, 제2 홈에 삽입되되, 지지봉(c)의 단부에 지지봉(c) 보다 크기가 더 큰 날개를 구성하여, 해당 날개가 제2 홈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지지봉(c)이 제2 홈을 따라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돌기(b)의 제1 홈의 하부방향 단부에 형성된 상승작용 스프링이 지지봉(c)의 일측을 밀어 올려주도록 구성됨으로써, 지지봉(c)은 항상 상승되는 힘을 받도록 하여, 부착부재에 의해 부착된 제1 지그몸체(20)가 제2 지그몸체(30)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 지그.
  2. 삭제
  3. 삭제
KR1020190059718A 2019-05-21 2019-05-21 배기가스관 제조시 사용되는 밀폐용 지그 KR102013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718A KR102013689B1 (ko) 2019-05-21 2019-05-21 배기가스관 제조시 사용되는 밀폐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718A KR102013689B1 (ko) 2019-05-21 2019-05-21 배기가스관 제조시 사용되는 밀폐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689B1 true KR102013689B1 (ko) 2019-11-04

Family

ID=6857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718A KR102013689B1 (ko) 2019-05-21 2019-05-21 배기가스관 제조시 사용되는 밀폐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68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7383A (ja) * 1981-10-20 1983-04-21 Benkan Plant Kk 分岐管継手の内面ライニング法
JPH0542684U (ja) * 1991-11-06 1993-06-11 松下冷機株式会社 密閉型電動圧縮機接続管のシール構造
KR200304092Y1 (ko) 2002-10-28 2003-02-14 조희남 노출형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장치
KR101308392B1 (ko) 2012-07-03 2013-09-13 유상곤 반도체 배관용 앤드캡
KR20140004390U (ko) 2013-01-14 2014-07-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에어 시험용 밀폐 지그
KR20150000975U (ko) 2013-08-26 2015-03-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
KR101643158B1 (ko) * 2016-04-01 2016-07-27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반도체제조설비용 배기가스관 제조방법
KR101696037B1 (ko) 2014-11-17 2017-01-23 주식회사 명진티에스알 이형관 내부 라이닝 방법
KR101927668B1 (ko) * 2018-08-01 2018-12-10 김봉관 라이닝용 파이프 커버 및 그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7383A (ja) * 1981-10-20 1983-04-21 Benkan Plant Kk 分岐管継手の内面ライニング法
JPH0542684U (ja) * 1991-11-06 1993-06-11 松下冷機株式会社 密閉型電動圧縮機接続管のシール構造
KR200304092Y1 (ko) 2002-10-28 2003-02-14 조희남 노출형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장치
KR101308392B1 (ko) 2012-07-03 2013-09-13 유상곤 반도체 배관용 앤드캡
KR20140004390U (ko) 2013-01-14 2014-07-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에어 시험용 밀폐 지그
KR20150000975U (ko) 2013-08-26 2015-03-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
KR101696037B1 (ko) 2014-11-17 2017-01-23 주식회사 명진티에스알 이형관 내부 라이닝 방법
KR101643158B1 (ko) * 2016-04-01 2016-07-27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반도체제조설비용 배기가스관 제조방법
KR101927668B1 (ko) * 2018-08-01 2018-12-10 김봉관 라이닝용 파이프 커버 및 그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689B1 (ko) 배기가스관 제조시 사용되는 밀폐용 지그
JP2009081126A (ja) フリットシール熱制御部を備えたhidランプ
CN218378289U (zh) 一种耐高温的波纹膨胀节
CN104005729A (zh) 一种金属膨胀式尾管顶部封隔器
CN203603240U (zh) 一种马桶密封圈
CN103206187B (zh) 防砂用堵塞器
ATE287858T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lements mit einem hermetisch abgeschlossenen luftleeren raum
RU2007125986A (ru) Способ адаптации трубчатого звена в оседающей скважине
CN210773446U (zh) 一种石英炉管
CN203892796U (zh) 一种检查井内衬修复用支撑装置
CN2608805Y (zh) 直埋式真空保温蒸汽管道补偿节
CN205156638U (zh) 一种水泥窑用陶瓷内筒
US6491066B1 (en) Resilient bevel for profile wall pipe
CN206898375U (zh) 一种一体式坩埚包
CN207514232U (zh) 一种高温炉的动轴密封结构
CN104191507A (zh) 一种使用自加压膨胀式模具在建筑构件上造孔及脱模方法
CN214053292U (zh) 一种水胀模的密封结构
CN103742110B (zh) 一种刮油器
CN210510264U (zh) 一种隔热型密封件
CN101614279B (zh) 滑块式密封结构
CN213572059U (zh) 限位井圈及自调式防沉降过滤井盖结构
CN105822843A (zh) 一种ptfe管材与金属花板的密封结构及其密封方法
CN103711453B (zh) 一种分级注水泥器
CN210344676U (zh) 一种改进型煤仓底部伸缩节
CN219796433U (zh) 一种石油焦回转窑新型风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