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975U -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 - Google Patents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0975U KR20150000975U KR2020130007135U KR20130007135U KR20150000975U KR 20150000975 U KR20150000975 U KR 20150000975U KR 2020130007135 U KR2020130007135 U KR 2020130007135U KR 20130007135 U KR20130007135 U KR 20130007135U KR 20150000975 U KR20150000975 U KR 2015000097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ic body
- cap
- pipe
- sealing cap
- fla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에 관한 것으로, 플랜지형 배관의 개방된 단부에 끼워져 밀봉하는 밀폐캡에 있어서; 상기 밀폐캡은, 내부가 중공된 도우넛 형상의 비자성체; 상기 비자성체와 동일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고, 상호 접합되어 일체를 이룬 자성체; 상기 비자성체와 자성체의 중공된 부분에 구비되는 투명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자성체 부분이 상기 플랜지형 배관의 플랜지부에 먼저 끼워지는 형태로 억지끼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사용하기 쉽고, 무엇보다도 볼팅, 접착제, 씰링테이프와 같은 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깔끔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투명창을 구비하고 있어 시공 전에 미리 내부 오염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사용하기 쉽고, 무엇보다도 볼팅, 접착제, 씰링테이프와 같은 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깔끔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투명창을 구비하고 있어 시공 전에 미리 내부 오염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 기자재 적치, 보관시 단부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고 내부를 확인하기 쉽게 개선된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건조시 내장되는 의장품으로 다수의 배관이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배관은 내장되기 전에 장기간 동안 적치, 보관되게 되는데, 적치, 보관 도중에 이물질이 배관 단부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관 단부를 밀봉하고 있다.
특히, 배관은 주로 금속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필수불가결하게 부식이 발생하게 되는데, 실내 보다 실외에 적치 보관되는 배관 중 단부 부근은 공기중에 그대로 노출되므로 더 쉽게 부식될 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에 따라 오염될 확률이 매우 높다.
때문에, 배관의 단부는 반드시 밀봉해서 보관해야 하며, 오염시에는 이를 세척하는데 비용과 시간이 낭비된다.
종래에는 주로 볼팅, 접착제 또는 씰링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밀봉하였는데, 이 경우에는 배관 내부를 확인할 수 없어 수분, 먼지, 철가루 등의 이물질로 내부가 오염이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어렵고, 그 상태에서 시공된 후 나중에 가서 이물 오염 상태가 확인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 밀봉용 보호캡들은 주로 비닐, 부직포 등과 같이 내구성이 약한 것들이어서 작업은 용이하지만 훼손가능성이 크고 일회성이어서 재활용성이 떨어지며, 접착제 등을 바를 경우에는 나중 시공시 떼어내기 어렵고, 떼어내는 과정에서 접착제에 의한 오염현상이 또 발생되므로 이들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뿐만 아니라, 보호캡을 볼팅하는 방식은 별도의 고정용 부자재를 요구하고, 체결작업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낭비되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관련 선행기술로 등록실용 제0333491호, 공개특허 제2001-0066120호, 공개특허 제2012-0101125호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과의 연관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사용하기 쉽고, 무엇보다도 볼팅, 접착제, 씰링테이프와 같은 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깔끔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밀폐갭을 사용하여 배관 단부를 밀폐하더라도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 전에 미리 오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을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플랜지형 배관의 개방된 단부에 끼워져 밀봉하는 밀폐캡에 있어서; 상기 밀폐캡은, 내부가 중공된 도우넛 형상의 비자성체; 상기 비자성체와 동일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고, 상호 접합되어 일체를 이룬 자성체; 상기 비자성체와 자성체의 중공된 부분에 구비되는 투명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자성체 부분이 상기 플랜지형 배관의 플랜지부에 먼저 끼워지는 형태로 억지끼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캡본체는 고분자 고무 혹은 실리콘 혹은 플라스틱 자석 중 어느 하나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비자성체의 선단 둘레는 플랜지형 배관의 단부로 삽입하기 쉽도록 테이퍼 가공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플랜지형 배관의 개방된 단부에 끼워져 밀봉하는 밀폐캡에 있어서; 상기 밀폐캡은, 내부가 중공된 도우넛 형상의 비자성체; 상기 비자성체와 동일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고, 상호 접합되어 일체를 이룬 자성체; 상기 비자성체와 자성체의 중공된 부분에 구비되는 투명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형 배관에서 플랜지부의 외경보다는 작고 내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상기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의 전면에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사용하기 쉽고, 무엇보다도 볼팅, 접착제, 씰링테이프와 같은 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깔끔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투명창을 구비하고 있어 시공 전에 미리 내부 오염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형 배관(100')의 경우에는 밀폐캡을 삽입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테면, 플랜지형 배관(100')의 플랜지부(110)의 관경에 맞춰 캡본체(200')를 구성하는데, 상기 캡본체(20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도우넛 형상의 비자성체(202)와 동일 형상의 자성체(204)가 접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내부 중공부는 투명창(210)으로 밀폐된다.
이때, 상기 비자성체(202)는 고분자 고무 혹은 실리콘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자성체(204)는 플라스틱 자석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호 접합된 상태로 일종의 패킹, 즉 밀폐캡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플랜지형 배관(100')에 삽입될 때에는 비자성체(202) 부분이 먼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배관과 이종금속 성분을 가진 자성체(204)가 배관 내부로 향하지 않도록 하여 혹시 모를 이종금속의 침입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캡은 도 2와 같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캡본체(200')를 잡고 비자성체(202) 부분이 플랜지형 배관(100')의 개방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눌러 끼우게 되면 압입되면서 끼움고정되게 된다.
이 경우, 씰링성 향상을 위해, 상기 캡본체(200')의 반경이 상기 플랜지형 배관(100')의 반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게 하여 일종의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움고정시킴이 바람직하다.
더구나, 상기 캡본체(200')는 상기 플랜지부(110)에만 끼워져야 한다.
덧붙여, 상기 캡본체(200')의 삽입 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비자성체(202)의 선단 둘레가 테이퍼 가공되면 더욱 좋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간편 용이하게 개방된 배관의 단부를 밀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과 같은 아주 간단한 형태의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본체(200')의 직경을 상기 플랜지부(110)의 외경보다는 작고 내경보다는 크게 하여 플랜지부(110)의 전면에 덧대지는 형태로 부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캡본체(200')는 자성체(204)에 의해 자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흡착력이 있고, 또 플랜지형 배관(100')은 철관이기 때문에 당연히 흡착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아울러, 이때에도 투명창(210)을 포함하며, 상술한 실시예의 캡본체(200')를 그대로 사용하되, 다만 직경만 조절하여 끼워지는 타입이 아닌 전면 부착형으로 개량할 수 있다.
그러면, 구조적으로 매우 간단하면서도 설치, 분리 작업도 편리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플랜지형 배관 110: 플랜지부
200': 캡본체 210: 투명창
200': 캡본체 210: 투명창
Claims (4)
- 플랜지형 배관의 개방된 단부에 끼워져 밀봉하는 밀폐캡에 있어서;
상기 밀폐캡은,
내부가 중공된 도우넛 형상의 비자성체;
상기 비자성체와 동일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고, 상호 접합되어 일체를 이룬 자성체;
상기 비자성체와 자성체의 중공된 부분에 구비되는 투명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자성체 부분이 상기 플랜지형 배관의 플랜지부에 먼저 끼워지는 형태로 억지끼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는 고분자 고무 혹은 실리콘 혹은 플라스틱 자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체의 선단 둘레는 플랜지형 배관의 단부로 삽입하기 쉽도록 테이퍼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
- 플랜지형 배관의 개방된 단부에 끼워져 밀봉하는 밀폐캡에 있어서;
상기 밀폐캡은,
내부가 중공된 도우넛 형상의 비자성체;
상기 비자성체와 동일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고, 상호 접합되어 일체를 이룬 자성체;
상기 비자성체와 자성체의 중공된 부분에 구비되는 투명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형 배관에서 플랜지부의 외경보다는 작고 내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상기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의 전면에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135U KR20150000975U (ko) | 2013-08-26 | 2013-08-26 |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135U KR20150000975U (ko) | 2013-08-26 | 2013-08-26 |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0975U true KR20150000975U (ko) | 2015-03-09 |
Family
ID=5303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7135U KR20150000975U (ko) | 2013-08-26 | 2013-08-26 |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0975U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8139B1 (ko) * | 2015-04-24 | 2015-07-23 |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 주철관 절단면 녹방지 자석부착 고무링 |
KR101897166B1 (ko) * | 2018-01-09 | 2018-09-12 | 손호균 | 지열배관 파이프 연결용 소켓 및 이를 이용한 지열배관 파이프 시공방법 |
KR102013689B1 (ko) | 2019-05-21 | 2019-11-04 |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 배기가스관 제조시 사용되는 밀폐용 지그 |
CN111043441A (zh) * | 2019-11-08 | 2020-04-21 |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 一种船用管件法兰防护用板材结构再利用方法 |
CN115479170A (zh) * | 2022-09-11 | 2022-12-16 | 江苏大学 | 一种可实现储热材料保温充装的快速接头 |
-
2013
- 2013-08-26 KR KR2020130007135U patent/KR20150000975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8139B1 (ko) * | 2015-04-24 | 2015-07-23 |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 주철관 절단면 녹방지 자석부착 고무링 |
KR101897166B1 (ko) * | 2018-01-09 | 2018-09-12 | 손호균 | 지열배관 파이프 연결용 소켓 및 이를 이용한 지열배관 파이프 시공방법 |
KR102013689B1 (ko) | 2019-05-21 | 2019-11-04 |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 배기가스관 제조시 사용되는 밀폐용 지그 |
CN111043441A (zh) * | 2019-11-08 | 2020-04-21 |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 一种船用管件法兰防护用板材结构再利用方法 |
CN115479170A (zh) * | 2022-09-11 | 2022-12-16 | 江苏大学 | 一种可实现储热材料保温充装的快速接头 |
CN115479170B (zh) * | 2022-09-11 | 2023-11-07 | 江苏大学 | 一种可实现储热材料保温充装的快速接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00975U (ko) |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 | |
US10041562B2 (en) | Sealing structure | |
JP2013530891A5 (ko) | ||
WO2015071672A3 (en) | Door assembly for an mri room | |
MX2013003189A (es) | Aparato de capuchon para proporcionar carga activa a un sello. | |
BR0009931A (pt) | Bolsa de armazenamento flexìvel | |
ES2614712T3 (es) | Aplicador para un medio de aplicación fluido | |
US11408637B2 (en) | Sealing cover for air conditioners | |
CN103761923A (zh) | 一种弹性锁止式计量封印装置 | |
KR20150000583U (ko) |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단부 밀폐캡 | |
CA2651143A1 (en) | Self-centering fastener with mating seal flange | |
US20120111197A1 (en) | Filter rack, filter assembly, and method of filtering air | |
CN205575141U (zh) | 一种双层密封投料袋 | |
CN103307068B (zh) | 用于管材穿插连接的单边孔密封组件 | |
WO2016180253A1 (zh) | 空调风道密封结构和空调装置 | |
CN203362737U (zh) | 用于管材穿插连接的单边孔密封组件 | |
WO2007041496A3 (en) | Housing assembly with bagging ring | |
KR20110125792A (ko) | 파이프 연결용 소켓 | |
KR101915234B1 (ko) | 배관 보호용 커버장치 | |
US8241380B2 (en) | Air filter duct cover | |
JP3197842U (ja) | ドア用シール部材 | |
JP3128295U (ja) | 樹脂密閉マグネット | |
KR200483984Y1 (ko) | 배관의 보호 커버 | |
CN205297243U (zh) | 货柜用软硬共挤密封条 | |
CN204300139U (zh) | 环形密封圈及节气门轴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