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642B1 -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642B1
KR102013642B1 KR1020170184147A KR20170184147A KR102013642B1 KR 102013642 B1 KR102013642 B1 KR 102013642B1 KR 1020170184147 A KR1020170184147 A KR 1020170184147A KR 20170184147 A KR20170184147 A KR 20170184147A KR 102013642 B1 KR102013642 B1 KR 102013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protective sheet
adhesive lay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537A (ko
Inventor
이은미
박현욱
박경원
이한별
박창구
최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to KR1020170184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642B1/ko
Priority to PCT/KR2018/016079 priority patent/WO2019132370A1/ko
Publication of KR20190081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09J2201/36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보호시트는 엣지부에 대한 점착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며, 표면의 일부가 곡면으로 형상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PROTECTING SHEET HAVING EXCELLENT ADHESIVE PROPERTY OF EDGE PORTION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가능한 보호시트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장치의 전면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별도의 보호시트가 적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보호시트는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 전면부에 위치하며, 상기 보호시트는 모바일 장치에 장착된 상태로 출시되거나, 출시후 개별 소비자가 구매하여 장착하게 된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분야의 기술발달에 따라 화면부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의 단면 구조가 곡면으로 형성된 모바일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보호시트는 평면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엣지부가 곡면인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 전면부를 보호하기에는 부족하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평면형 보호시트를 엣지부가 곡면인 모바일 장치에 부착하게 되면, 엣지부위에서 보호시트의 들뜸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엣지부가 곡면인 모바일 장치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보호시트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7-00648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엣지부가 곡면 형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점착성이 우수한 보호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보호필름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보호시트의 단면구조를 기준으로,
보호시트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을 형성하는 점착층의 엣지부; 및
상기 엣지부를 제외한 중심부 영역을 형성하는 점착층의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의 엣지부와 점착층의 중심부는 하기 조건 1 및 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를 제공한다.
[조건 1]
(D[edge] - D[center])/D[center] ≥ 0.15
조건 1에서, D[edge]는 점착층의 엣지부 평균 두께를 나타내고, D[center]는 점착층의 중심부 평균 두께를 나타내며,
[조건 2]
(Ad [edge] - Ad[center])/ Ad[center] ≥ 0.2
조건 2에서, Ad[edge]는 점착층의 엣지부 평균 점착력을 나타내고, Ad[center]는 점착층의 중심부 평균 점착력을 나타내고,
상기 점착력은, ISO 8510-2 조건에서 측정하되, 유리기재와 25 ㎜ 폭으로 점착된 상태에서 측정된 점착력을 의미한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보호시트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면의 가장자리 부위가 곡면 형태인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시트는, 엣지부에 대한 점착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며, 표면의 일부가 곡면으로 형상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각각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시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층은, 보호시트의 단면구조를 기준으로, 보호시트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을 형성하는 점착층의 엣지부; 및 상기 엣지부를 제외한 중심부 영역을 형성하는 점착층의 중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점착층의 중심부는, 보호시트의 폭 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60 내지 98%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의 엣지부는, 보호시트의 폭 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2 내지 40%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의 엣지부는 보호시트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점착층의 엣지부는, 사각 형상의 보호시트를 기준으로, 보호시트의 4면 가장자리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점착층의 엣지부와 점착층의 중심부는 하기 조건 1 및 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만족한다.
[조건 1]
(D[edge] - D[center])/D[center] ≥ 0.15
조건 1에서, D[edge]는 점착층의 엣지부 평균 두께를 나타내고, D[center]는 점착층의 중심부 평균 두께를 나타낸다.
상기 조건 1은, 점착층의 엣지부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보호시트의 가장자리 부분의 점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조건 1의 수치는, 0.15 이상, 0.2 이상, 혹은 0.15 내지 0.5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조건 1의 수치를 제어함으로써, 보호시트의 가장자리 부분의 점착력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점착층의 단차로 인한 화상의 왜곡을 방지한다.
[조건 2]
(Ad [edge] - Ad[center])/ Ad[center] ≥ 0.2
조건 2에서, Ad[edge]는 점착층의 엣지부 평균 점착력을 나타내고, Ad[center]는 점착층의 중심부 평균 점착력을 나타내고, 상기 점착력은, ISO 8510-2 조건에서 측정하되, 유리기재와 25 ㎜ 폭으로 점착된 상태에서 측정된 점착력을 의미한다.
상기 조건 2는, 점착층의 엣지부와 중심부의 점착력을 서로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점착층의 엣지부는 상대적으로 점착력이 높은 수지를 사용하고, 점착층의 중심부는 상대적으로 점착력이 낮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수지의 종류를 상이하게 하거나, 동종의 수지를 사용하되 점착력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상기 조건 2의 수치는, 0.2 이상, 0.4 이상 혹은 0.2 내지 0.8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조건 1의 수치를 제어함으로써, 보호시트의 가장자리 부분의 점착력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점착층의 단차로 인한 화상의 왜곡을 방지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보호시트는, 기재층; 패턴층; 및 점착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패턴층은, 기재층과 접하는 면의 반대측 일면에 음각 패턴이 형성되되, 상기 음각 패턴은, 보호시트의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점착층은, 패턴층의 상기 음각 패턴을 충진하며, 평탄면을 형성하게 된다. 패턴층에 형성된 음각 패턴은 패턴층의 가장자리 부분, 즉 점착층의 엣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패턴층에 형성된 음각 패턴은,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길이 방향의 직선 형태로 형성되거나, 사선 형태, 혹은 홈 형태가 반복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과 점착층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대전방지층을 형성하여 대전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일예로, 대전방지층은 상기 패턴층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패턴층이 대전방지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호시트의 최외각층에는 표면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코팅층은 특정 기능성이 부여된 경우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지문방지층 또는 하드코팅층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엣지부와 중심부에 형성되는 점착 수지의 종류가 서로 상이하거나, 혹은 동종의 수지가 사용되되 점착력이 서로 상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점착층의 엣지부는, 실리콘, 우레탄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고, 점착층의 중심부는, 실리콘, 우레탄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점착층의 엣지부를 형성하는 수지와 점착층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수지는 서로 이종의 수지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점착층의 중심부는 단층 구조이고, 점착층의 엣지부는 2층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점착층의 중심부는, 실리콘, 우레탄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고, 점착층의 엣지부는, 점착층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수지와 동종의 수지로 형성된 제1층; 및 점착층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수지와 동종 또는 이종의 수지로 형성된 제2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이다. 이 경우, 상기 제2층은, 실리콘, 우레탄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층의 엣지부는, 점착층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수지와 동종의 수지로 형성된 제1층; 및 점착층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수지와 이종의 수지로 형성된 제2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이다.
상기 보호시트는, 필요에 따라서는, 대전방지층 및/또는 표면 코팅층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보호시트는 기재층과 점착층 사이에 게재된 대전방지층; 및 기재층을 기준으로, 점착층이 형성되는 면의 반대측 일면에 형성된 표면 코팅층 중 1 종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다양한 종류의 수지가 적용된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단층 구조일 수 있고, 혹은 2층 내지 5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에테르 설폰(PES, polyether sulfon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트릴아세틸셀룰로오스 (TAC, Tri-Acetyl-cellulose), 및 폴리프로필렌 (PP,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단층 구조이다.
상기 기재층의 평균 두께는 16㎛ 내지 120㎛ 범위이며,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95㎛, 50㎛ 내지 80㎛ 또는 65㎛ 내지 85㎛ 범위이다. 기재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적정 수준 이상의 휨응력을 가지면서 보호시트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기재층은,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1 수지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제2 수지층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제1 수지층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에테르 설폰(PES, polyether sulfon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트릴아세틸셀룰로오스 (TAC, Tri-Acetyl-cellulose), 및 폴리프로필렌 (PP,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수지층은,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우레탄 수지(Urethane resin), 폴리에틸렌 수지(Polyethylene resin), 폴리프로필렌 수지(Polypropylene resin), 폴리스티렌 수지(Polystyrene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및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엣지부가 곡면으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보호시트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TV, 모니터, 핸드폰, 네비게이션, 노트북 또는 테블릿 PC 등에 적용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도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시트(100)에 대한 단면 구조도이다. 상기 보호시트(100)는 기재층(120)을 중심으로 위쪽에는 표면 코팅층(130)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 면에는 가장자리 부분에 음각 패턴이 형성된 패턴층(140)이 형성된다. 패턴층(140)의 아래쪽에는 점착층(110)이 형성되되, 상기 점착층(110)은 패턴층(140)의 음각 패턴을 충진하며, 평탄면을 형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시트(200)에 대한 단면 구조도이다. 상기 보호시트(200)는 기재층(220)을 중심으로 위쪽에는 표면 코팅층(230)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 면에는 점착층(211, 212)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점착층은 중심부(211)와 엣지부(212)가 서로 다른 점착 수지로 형성된 구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시트(300)에 대한 단면 구조도이다. 상기 보호시트(300)는 기재층(320)을 중심으로 위쪽에는 표면 코팅층(330)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 면에는 점착층(311, 312)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점착층은 제1 점착층(311)이 전면에 형성되고, 엣지부에 제2 점착층(312)에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제1 점착층(311)과 제2 점착층(312)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점착 수지가 적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 보호시트의 제작
두께 100㎛의 PET 필름의 일면에 두께 30㎛ 중접 점착층(제조사: Dow Corning, Model: Dow Corning®7667 Adhesive)을 형성함으로써, 보호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보호시트의 제작
두께 25㎛ PET 필름(120)의 상측면에 기능성 코팅층 2㎛(제조사: Toyo ink, Model: F series)를 형성하고 일면에 아크릴계 수지 패턴층(140)을 형성하였다. 패턴층(140)은 보호시트(100)의 단면구조를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 10㎜ 구간을 두께 35㎛로 음각패턴 형성하였으며 그 외 중심부는 두께 75㎛로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패턴층(140) 위에 중심부 기준 30㎛의 중접 점착층(110) (제조사: Dow Corning, Model: Dow Corning®7667 Adhesive)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보호시트의 단면 구조는 도 1과 같다.
실시예 2: 보호시트의 제작
두께 100㎛의 PET 필름(320)의 상측면에 기능성 코팅층 2㎛(제조사: Toyo ink, Model: F series)를 형성하고 일면에 두께 30㎛ 중접 점착층(311)(제조사: Dow Corning, Model: Dow Corning®7667 Adhesive)을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점착층(311)의 양측 엣지부에 두께 25㎛의 강접 점착층(312)(제조사: Dow Corning, Model: Dow Corning®7657 Adhesive)을 인쇄 공정을 통하여 형성하였다. 실시예 2에 따른 보호시트의 단면 구조는 도 3과 같다.
실시예 3: 보호시트의 제작
두께 100㎛의 PET 필름 대신 두께 50㎛의 PET 필름 양면에 두께 25㎛의 Shore D 경도 30의 특성을 갖는 아크릴계 수지(Soft type) 필름을 각각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시트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1: 보호시트의 물성 평가
비교예 및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각 보호시트를 대상으로 두께, 접착력 및 벤딩 스트레스를 평가하였다.
n 보호시트의 두께 측정: 제작된 각 보호시트의 평균 두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의 보호시트에 대해서는, 엣지부의 두께를 별도로 평가하였다.
n 점착력 평가: 제조된 보호시트에 대해서 점착력을 평가하였다. 측정된 점착력은 3지점에서 측정된 값을 평균한 수치이다. 실시예 1 내지 3의 보호시트는,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을 별도로 평가하였다.
n 벤딩 스트레스 측정: 제조된 보호시트에 대해서 벤딩시 가해지는 응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가로 및 세로 각각 40mm X 10mm 인 시료를 시료대 상에 위치하되, 40mm부의 Line이 3mm 돌출되도록 위치시켰다. 시료가 돌출된 부위에 로드셀을 시료대로부터 1.5mm 이격된 거리까지 이동시키고, 시료에 가해지는 응력을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No. 두께 (㎛) 점착력 (gf/25㎜) 엣지부
벤딩 스트레스
(g/120㎟)
전체 점착제
비교예 130 30 600 90
실시예 1 130 중심부: 30
엣지부: 70
중심부: 600
엣지부: 1,000
20
실시예 2 중심부:130
엣지부:155
중심부: 30
엣지부: 55
중심부: 600
엣지부: 1,000
90
실시예 3 중심부:130
엣지부:155
중심부: 30
엣지부: 55
중심부: 600
엣지부: 1,000
13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보호시트는 평균 접착력이 600gf/25mm 수준이며, 벤딩 스트레스 평가 결과는 90g/120mm2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1 내지 3의 보호시트는, 중심부의 접착력은 비교예와 동등수준이나, 엣지부의 접착력은 1.66배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보호시트의 엣지부 들뜸 여부에 대한 육안 평가
비교예 및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각 보호시트를 엣지부가 곡면인 핸드폰(삼성전자사, 갤럭시7 엣지 모델)의 표면에 부착하였다. 상온에서 2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엣지부에 들뜸현상이 발생하는지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관찰결과, 비교예에 따른 보호시트는 엣지부의 전면에 들뜸현상이 관측되었으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보호시트는 들뜸현상이 관측되지 않았다.
특히, 실시예 1 및 3의 경우에는 엣지부의 접착력이 실시예 1과 동일하지만 보호시트의 벤딩 스트레스 값이 실시예 1보다 현저하게 낮으므로, 휨응력 차이에 의해 실시예 2 보다 곡면부에서 더욱 확고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엣지부가 곡면인 핸드폰의 표면에 보호시트를 부착 시 곡률에 따라 보호시트의 벤딩 스트레스 값을 단계적으로 낮춰 더욱 확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100, 200, 300: 보호시트
110, 211, 212, 311, 312: 점착층
120, 220, 320: 기재층
130, 230, 330: 표면 코팅층
140: 패턴층

Claims (13)

  1. 기재층, 패턴층, 및 점착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보호시트의 단면구조를 기준으로,
    보호시트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을 형성하는 엣지부, 및
    상기 엣지부를 제외한 영역인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층은 기재층과 접하는 면의 반대측 일면에 음각 패턴이 형성되되, 상기 음각 패턴은 보호시트의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점착층은 상기 음각 패턴에 공간없이 점착되어 평탄면을 형성하는 구조이고,
    상기 점착층의 엣지부와 점착층의 중심부는 하기 조건 1 및 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조건 1]
    (D[edge] - D[center])/D[center] ≥ 0.15
    조건 1에서, D[edge]는 점착층의 엣지부 평균 두께를 나타내고, D[center]는 점착층의 중심부 평균 두께를 나타내며,
    [조건 2]
    (Ad [edge] - Ad[center])/ Ad[center] ≥ 0.2
    조건 2에서, Ad[edge]는 점착층의 엣지부 평균 점착력을 나타내고, Ad[center]는 점착층의 중심부 평균 점착력을 나타내고,
    상기 점착력은, ISO 8510-2 조건에서 측정하되, 유리기재와 25 ㎜ 폭으로 점착된 상태에서 측정된 점착력을 의미한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층의 엣지부는, 실리콘, 우레탄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고,
    점착층의 중심부는, 실리콘, 우레탄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점착층의 엣지부를 형성하는 수지와 점착층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수지는 서로 이종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층의 중심부는 단층 구조이고, 점착층의 엣지부는 2층 구조이며,
    점착층의 중심부는, 실리콘, 우레탄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고,
    점착층의 엣지부는,
    점착층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수지와 동종의 수지로 형성된 제1층; 및
    점착층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수지와 동종 또는 이종의 수지로 형성된 제2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이고,
    상기 제2층은, 실리콘, 우레탄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점착층의 엣지부는,
    점착층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수지와 동종의 수지로 형성된 제1층; 및
    점착층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수지와 이종의 수지로 형성된 제2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트는,
    기재층과 점착층 사이에 게재된 대전방지층; 및
    기재층을 기준으로, 점착층이 형성되는 면의 반대측 일면에 형성된 표면 코팅층
    중 1 종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에테르 설폰(PES, polyether sulfon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트릴아세틸셀룰로오스 (TAC, Tri-Acetyl-cellulose), 및 폴리프로필렌 (PP,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단층 구조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평균 두께는 16㎛ 내지 120㎛ 범위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1 수지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제2 수지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에테르 설폰(PES, polyether sulfon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트릴아세틸셀룰로오스 (TAC, Tri-Acetyl-cellulose), 및 폴리프로필렌 (PP,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지층은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우레탄 수지(Urethane resin), 폴리에틸렌 수지(Polyethylene resin), 폴리프로필렌 수지(Polypropylene resin), 폴리스티렌 수지(Polystyrene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및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12.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84147A 2017-12-29 2017-12-29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147A KR102013642B1 (ko) 2017-12-29 2017-12-29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8/016079 WO2019132370A1 (ko) 2017-12-29 2018-12-18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147A KR102013642B1 (ko) 2017-12-29 2017-12-29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201A Division KR102096501B1 (ko) 2019-05-17 2019-05-17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537A KR20190081537A (ko) 2019-07-09
KR102013642B1 true KR102013642B1 (ko) 2019-10-21

Family

ID=6706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147A KR102013642B1 (ko) 2017-12-29 2017-12-29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3642B1 (ko)
WO (1) WO201913237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5237A (ja) * 2015-07-24 2017-02-02 旭硝子株式会社 粘着層付き透明曲面材、表示装置、粘着層付き透明曲面材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049B1 (ko) * 2013-01-09 2013-11-13 장경순 곡면처리된 액정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02103B1 (ko) * 2015-05-07 2016-03-21 김영수 곡면 형상을 가진 터치스크린 패널의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760701B1 (ko) 2015-12-02 2017-07-24 (주)타라테크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717507B1 (ko) * 2016-03-02 2017-03-17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곡면부를 가진 휴대기기에 부착되는 복합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674467B1 (ko) * 2016-03-16 2016-11-09 주식회사 씨엠 보호 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5237A (ja) * 2015-07-24 2017-02-02 旭硝子株式会社 粘着層付き透明曲面材、表示装置、粘着層付き透明曲面材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537A (ko) 2019-07-09
WO2019132370A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3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풀-커버 보호 필름
CN110021236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9346251B2 (en) Protective adhesive film product
KR102610854B1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484452B1 (ko) 터치스크린 보호용 강화유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34056A (ko) 표시 장치용 윈도우 및 표시 장치
CN109212632B (zh) 保护膜、包括该保护膜的窗和制造显示装置的方法
KR20150144913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WO2008069128A1 (ja) 剥離ライナー及び感圧性接着シート
KR20140013785A (ko)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윈도우 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윈도우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JP5530743B2 (ja) 凹凸追従性積層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102013642B1 (ko)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00822A (ko) 곡면부를 가진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되는 보호시트
KR101993273B1 (ko)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점착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96501B1 (ko)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80823B1 (ko) 점착 테이프
KR101460242B1 (ko) 내충격성과 방수 기능을 포함한 모바일 기기 모듈 고정용 점착 필름
US2012014015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ultilayer polarization plate
KR101491080B1 (ko)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보호용 프로텍터 및 그 제조방법
CN216647726U (zh) 柔性盖板及显示模组
KR102177081B1 (ko) 외주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53975B1 (ko) 터치 스크린 본딩 부재 및 그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표시패널 제조방법
CN112406233A (zh) 保护膜、柔性显示模组及柔性终端
KR20210075252A (ko) 이차 점착층에 미세 엠보를 포함하는 방수 특성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105244A (ko) 보호대를 갖는 터치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