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081B1 - 외주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외주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081B1
KR102177081B1 KR1020190036658A KR20190036658A KR102177081B1 KR 102177081 B1 KR102177081 B1 KR 102177081B1 KR 1020190036658 A KR1020190036658 A KR 1020190036658A KR 20190036658 A KR20190036658 A KR 20190036658A KR 102177081 B1 KR102177081 B1 KR 102177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sheet
layer
adhesive layer
display devic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613A (ko
Inventor
이은미
박현욱
이한별
박창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to KR1020190036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08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층; 패턴층 및 점착층이 순차 적층되고, 상기 점착층은 중심부의 점착력은 상대적으로 낮고, 외주부의 점착력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구조의 보호시트에 관한 것으로, 표면의 일부가 곡면으로 형상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주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PROTECTING SHEET HAVING EXCELLENT ADHESIVE PROPERTY OF EDGE PORTION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가능한 보호시트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장치의 전면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별도의 보호시트가 적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보호시트는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 전면부에 위치하며, 상기 보호시트는 모바일 장치에 장착된 상태로 출시되거나, 출시후 개별 소비자가 구매하여 장착하게 된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분야의 기술발달에 따라 화면부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의 단면 구조가 곡면으로 형성된 모바일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보호시트는 평면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주부가 곡면인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 전면부를 보호하기에는 부족하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평면형 보호시트를 외주부가 곡면인 모바일 장치에 부착하게 되면, 외주부위에서 보호시트의 들뜸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외주부가 곡면인 모바일 장치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보호시트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7-00648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외주부가 곡면 형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점착성이 우수한 보호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보호필름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된 기재층; 패턴층; 및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층은 기재층과 접하는 면의 반대측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음각 패턴이 형성된 외주부, 및
상기 외주부를 제외한 영역인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패턴층의 외주부 및 중심부에 적층되는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1 점착층에 적층되며, 상기 외주부 및 중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2 점착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보호시트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면의 가장자리 부위가 곡면 형태인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시트는, 외주부에 대한 점착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며, 표면의 일부가 곡면으로 형상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시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기재층; 패턴층; 및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층은 기재층과 접하는 면의 반대측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음각 패턴이 형성된 외주부, 및
상기 외주부를 제외한 영역인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패턴층의 외주부 및 중심부에 적층되는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1 점착층에 적층되며, 상기 외주부 및 중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2 점착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턴층은, 보호시트의 단면구조를 기준으로, 보호시트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을 형성하는 패턴층의 외주부; 및 상기 외주부를 제외한 중심부 영역을 형성하는 패턴층의 중심부를 포함한다. 상기 패턴층의 중심부는, 보호시트의 폭 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60 내지 98%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층의 외주부는, 보호시트의 폭 방향으로 일측 혹은 양측 끝단을 지칭하는 의미이며, 면적 기준으로 2 내지 40%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층의 외주부는 보호시트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패턴층의 외주부는, 사각 형상의 보호시트를 기준으로, 보호시트의 4면 가장자리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층은 외주부에 음각 패턴이 형성된 구조이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패턴층의 외주부는, 기재층과 접하는 면의 반대측 일면에 음각 패턴이 형성되되, 상기 음각 패턴은, 보호시트의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구조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음각 패턴은, 보호시트의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구조이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보호시트는 하기 조건 1을 만족한다.
[조건 1]
1.2 ≤ T[center] / T[edge] ≤ 20
조건 1에서, T[edge]는 패턴층의 외주부 평균 두께를 나타내고, T[center]는 패턴층의 중심부 평균 두께를 나타나며, 두께 단위는 마이크로미터(㎛)이다.
상기 조건 1은, 패턴층의 중심부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고, 패턴층의 외주부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조건 1의 수치는, 1.2 내지 15 범위, 1.2 내지 10 범위, 3 내지 10, 또는 4.5 내지 8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조건 1의 수치를 제어함으로써, 보호시트의 가장자리 부분의 응력을 줄이고, 제1 및 제2 점착층이 순차 적층되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패턴층은 평탄한 영역을 포함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외주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부의 두께는 평균 10 내지 250㎛ 범위, 또는 80 내지 150 ㎛ 범위를 만족하고, 상기 외주부의 두께는 평균 2 내지 50 ㎛ 범위, 또는 10 내지 30 ㎛ 범위를 만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층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광투과율이 평균 80% 이상이며, 쇼어(Shore) 경도 60 이상의 물성을 만족한다. 또한, 상기 패턴부의 외주부는 벤딩 스트레스(Bending Stress) 측정시 500g/120mm2 이하, 구체적으로는 2 내지 500g/120mm2, 2 내지 400g/120mm2, 2 내지 300g/120mm2, 2 내지 200g/120mm2, 2 내지 100g/120mm2, 10 내지 500g/120mm2, 10 내지 400g/120mm2, 10 내지 300g/120mm2, 10 내지 200g/120mm2, 10 내지 100g/120mm2, 50 내지 500g/120mm2, 50 내지 400g/120mm2, 50 내지 300g/120mm2, 50 내지 200g/120mm2 또는 50 내지 100g/120mm2의 수치를 만족한다.
본 발명은, 패턴층의 외주부와 중심부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층별 굴절률을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패턴층의 굴절률(n1), 제1 점착층의 굴절률(n2) 및 제2 점착층의 굴절률(n3) 간의 차이를 각각 0.08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각 층간의 굴절률 차이를 줄임으로써, 보호시트의 광투과율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중심부와 패턴부 사이의 경계(라인)이 관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시트에서, 점착층은, 패턴층 상에 형성되어 평탄면을 형성하되, 상기 외주부 및 중심부는 제1 점착층에 적층되는 제2 점착층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를 통해, 상기 보호시트의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제1 점착층은 보호시트의 중심부와 외주부의 두께가 일정하고, 제2 점착층은 보호시트의 중심부의 두께가 외주부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점착층은 패턴층의 음각부분을 채워 평탄면을 형성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시트에서, 점착층은, 패턴층 상에 형성되어 평탄면을 형성하되, 패턴층의 전면을 덮는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1 점착층 상에 형성되되, 패턴층의 외주부를 덮는 제2 점착층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호시트의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보호시트의 중심부는 제1 점착층이 노출된 구조이고, 보호시트의 외주부는 제2 점착층이 노출된 구조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층은 하기 조건 2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 2]
Ad [edge] / Ad[center] ≥ 2
조건 2에서, Ad[edge]는 보호시트 엣지부의 평균 점착력을 나타내고, Ad[center]는 보호시트 중심부의 평균 점착력을 나타내고,
상기 점착력은, ISO 8510-2 조건에서 측정하되, 유리기재와 25 ㎜ 폭으로 점착된 상태에서 측정된 점착력을 의미하며, 단위는 gf/25mm 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건 2에 따라 보호시트 엣지부의 평균 점착력은 보호시트 중심부의 평균 점착력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건 2의 수치 범위는 2 내지 1000, 2 내지 800, 2 내지 600, 2 내지 400, 2 내지 200, 2 내지 100, 2 내지 50, 2 내지 10, 2 내지 5, 5 내지 50, 5 내지 20, 100 내지 1000, 100 내지 800, 100 내지 600, 100 내지 400 또는 100 내지 200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2 점착층의 점착력은 제1 점착층의 점착력보다 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점착층의 점착력은 1 내지 1,500 gf/25mm 범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점착층의 점착력은 1 내지 1,300 gf/25mm, 1 내지 1,100 gf/25mm, 1 내지 1,000 gf/25mm, 1 내지 700 gf/25mm, 1 내지 500 gf/25mm, 10 내지 1,500 gf/25m, 10 내지 1,300 gf/25mm, 10 내지 1,100 gf/25mm, 10 내지 1,000 gf/25mm, 10 내지 700 gf/25mm, 10 내지 500 gf/25mm, 10 내지 100 gf/25mm, 50 내지 1,500 gf/25m, 50 내지 1,300 gf/25mm, 50 내지 1,100 gf/25mm, 50 내지 1,000 gf/25mm, 50 내지 700 gf/25mm, 50 내지 500 gf/25mm 또는 50 내지 120 gf/25m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시트에서, 제1 점착층의 점착력은 1 내지 1,500 gf/25mm 범위이며, 상대적으로 약한 점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점착층은 1 내지 400 gf/25mm 범위의 약한 점착력을 갖거나, 혹은 450 내지 1,500 gf/25mm 범위의 점착력을 갖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점착층의 점착력은 100 내지 4,500 gf/25mm 범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점착층의 점착력은 100 내지 4,000 gf/25mm, 100 내지 3,500 gf/25mm, 100 내지 3,000 gf/25mm, 100 내지 2,500 gf/25mm, 100 내지 2,000 gf/25mm, 100 내지 1,800 gf/25m, 1,000 내지 4,500 gf/25mm, 1,000 내지 4,000 gf/25mm, 1,000 내지 3,500 gf/25mm, 1,000 내지 3,000 gf/25mm, 1,000 내지 2,500 gf/25mm, 1,000 내지 2,000 gf/25mm, 1,000 내지 1,800 gf/25m, 2,000 내지 4,500 gf/25mm, 2,000 내지 4,000 gf/25mm, 2,000 내지 3,500 gf/25mm, 2,000 내지 3,000 gf/25mm, 2,000 내지 2,500 gf/25mm 또는 1,500 내지 2,200 gf/25mm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점착층의 점착력은 1,000 gf/25mm 이상이며, 제1 점착층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점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점착층의 점착력은, ISO 8510-2 조건에서 측정하되, 유리기재와 25 ㎜ 폭으로 점착된 상태에서 측정된 점착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시트는, 중심부에 노출되는 제1 점착층의 점착력은 약하게 형성하고, 외주부에 노출되는 제2 점착층의 점착력은 강하게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점착층의 점착력은 제1 점착층의 점착력보다 강할 수 있다. 제1 점착층의 점착력을 약하게 형성함으로써, 보호시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시 젖음성(wettabilitty)을 높이고 기포 빠짐을 용이하게 한다. 제2 점착층의 점착력을 강하게 형성함으로써, 보호시트가 양 측면에 곡면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엣지 타입 휴대폰)에 효과적으로 점착되도록 하며, 보호시트의 외주부가 들뜨는 현상을 방지한다.
제1 및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 수지의 종류가 서로 상이하거나, 혹은 동종의 수지가 사용되되 점착력이 서로 상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점착층은 각각 아크릴 중합체, 실리콘 중합체 및 우레탄 중합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 및 제2 점착층은 열경화형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와 가교제가 혼합된 점/접착제 또는 그들의 혼합물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가 사용 가능하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1 점착층은 평균 5 내지 50 ㎛, 5 내지 40 ㎛, 5 내지 30 ㎛, 10 내지 50 ㎛, 10 내지 40 ㎛ 또는 10 내지 30 ㎛ 두께로 형성되고, 제2 점착층은 평균 10 내지 150 ㎛, 10 내지 130 ㎛, 10 내지 120 ㎛, 40 내지 150 ㎛, 40 내지 130 ㎛, 40 내지 120 ㎛, 60 내지 150 ㎛, 60 내지 130 ㎛, 60 내지 120 ㎛ 또는 80 내지 120 ㎛두께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점착층은 제1 점착층 상에 일부분 또는 전체에 형성된 것 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점착층은 음각이 형성된 외주부에 형성되거나, 제1 잠착층 상의 외주부 및 중심부 전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점착층이 외주부 및 중심부 전체에 형성된 경우, 제2 점착층의 중심부의 두께는 5 내지 50 ㎛, 5 내지 40 ㎛, 5 내지 30 ㎛, 10 내지 50 ㎛, 10 내지 40 ㎛ 또는 10 내지 30 ㎛일 수 있다. 또한, 제2 점착층의 외주부의 두께는 10 내지 150 ㎛, 10 내지 130 ㎛, 10 내지 120 ㎛, 40 내지 150 ㎛, 40 내지 130 ㎛, 40 내지 120 ㎛, 60 내지 150 ㎛, 60 내지 130 ㎛, 60 내지 120 ㎛ 또는 80 내지 120 ㎛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보호시트는, 기재층을 기준으로, 점착층이 형성되는 면의 반대측 일면에 형성된 표면 코팅층; 및 기재층과 패턴층 사이에 형성된 하부코팅층 중 1 종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시트는 표면 코팅층을 더 포함하거나, 혹은 표면 코팅층과 하부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표면 코팅층은 특정 기능성이 부여된 경우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내지문성, 내방오성, 표면 슬립성 및 레인보우 방지 특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성을 갖는 층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면 코팅층은 지문방지층 또는 하드코팅층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 코팅층은 수접촉각 측정시 80도 이상을 만족한다.
또한, 상기 하부 코팅층은 상기 기재층과 패턴층 사이에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대전방지층으로 형성하여 대전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예로, 대전방지층은 상기 패턴층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패턴층이나 점착층이 대전방지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재층은, 다양한 종류의 수지가 적용된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단층 구조일 수 있고, 혹은 2층 내지 5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에테르 설폰(PES, polyether sulfon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트릴아세틸셀룰로오스 (TAC, Tri-Acetyl-cellulose), 및 폴리프로필렌 (PP,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단층 구조이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평균 15㎛ 내지 200㎛ 범위이며,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150㎛, 50㎛ 내지 80㎛ 또는 65㎛ 내지 85㎛ 범위이다. 기재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적정 수준 이상의 휨응력을 가지면서 보호시트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은 가시광선 영역(파장범위 390 내지 700 nm)에서 광투과율이 평균 80% 이상, 또는 80 내지 98% 범위이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기재층은,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1 수지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제2 수지층을 포함하는 2층 또는 3층 구조이다.
상기 제1 수지층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에테르 설폰(PES, polyether sulfon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트릴아세틸셀룰로오스 (TAC, Tri-Acetyl-cellulose), 및 폴리프로필렌 (PP,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수지층은,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우레탄 수지(Urethane resin), 폴리에틸렌 수지(Polyethylene resin), 폴리프로필렌 수지(Polypropylene resin), 폴리스티렌 수지(Polystyrene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및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시트의 평균 두께는 70㎛ 내지 250㎛ 범위로 형성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시트의 두께는 평균 70㎛ 내지 250㎛, 70㎛ 내지 220㎛, 70㎛ 내지 200㎛, 70㎛ 내지 150㎛, 70㎛ 내지 100㎛, 100㎛ 내지 250㎛, 100㎛ 내지 220㎛, 100㎛ 내지 200㎛, 100㎛ 내지 150㎛, 150㎛ 내지 250㎛, 150㎛ 내지 220㎛, 150㎛ 내지 200㎛, 150㎛ 내지 220㎛, 180㎛ 내지 250㎛, 180㎛ 내지 220㎛, 180㎛ 내지 200㎛ 또는 200 ㎛ 내지 250㎛ 범위이다. 상기 보호시트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광투과율의 저해 없이 디스플레이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시트는, 점착층의 전면을 덮는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가공 혹은 유통과정에서 보호시트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형 필름은 점착층의 전면을 덮는 구조이고, 상기 점착층을 기준으로 패턴층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보호시트는 기재층, 패턴층, 점착층 및 이형 필름이 순차 적층된 구조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기재층 상에 별도의 이형 필름이 형성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표면 중 일부 영역이 곡선 구조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의 양측부의 외주부가 곡면으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보호시트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TV, 모니터, 핸드폰, 네비게이션, 노트북 또는 테블릿 PC 등에 적용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보호시트의 제작
아래의 과정을 거쳐 보호시트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보호시트의 단면 구조는 도 1에 도시하였다.
기재층(110)으로 두께 50 ㎛인 PET 필름을 사용하였고, 상기 기재층(110)의 상부면에 두께 5㎛인 표면 코팅층(150)(제조사: Toyo ink, Model: F series)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층(110)의 하부면에 아크릴 수지로 제조한 패턴층(120)을 형성하였다. 패턴층(120)은 보호시트(100)의 단면구조를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 10 mm 구간을 두께 20 ㎛로 음각패턴 형성하였으며 그 외 중심부는 두께 120㎛로 형성하였다. 상기 패턴층(120)의 전면에 제1 점착층(130)을 20 ㎛ 두께로 도포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패턴층(120)의 음각 패턴이 형성된 외주부에 제2 점착층(140)을 100㎛ 두께로 도포하여 평탄면을 형성하였다. 상기 패턴층(120)의 굴절률은 1.48, 제1 점착층(130)의 굴절률은 1.44, 그리고 제2 점착층(140)의 굴절률은 1.46이다. 제조된 보호시트(100)의 전체 두께는 195㎛이다.
또한, 제1 및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원료 성분들을 혼합한 1차 중합 및 추가 성분을 배합하는 2차 배합 과정을 통해 제조하였다. 각 공정별 성분과 배합량은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에서 수치는 각 성분들의 중량비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제1 점착층 제2 점착층
1차 중합 2-EHA 70 70
IBA 20 20
AA 2 2
MMA 2 2
THFA 3 3
DOA 3 3
PI 0.1 0.1
2차 배합 TMPTA 0.5 0.1
PI 0.1 0.1
위 표 1에서, 제1 및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점착제이며, 2차 배합 과정에서 TMPTA의 함량을 제어함으로써, 점착력을 상이하게 구현하였다.
실시예 2: 보호시트의 제작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시트를 아래의 과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기재층과 패턴층 사이에 평균 두께 5 ㎛인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코팅층을 형성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보호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보호시트의 전체 두께는 200㎛이다.
실시예 3: 보호시트의 제작
제 2 점착층을 중심부 및 외주부 전체에 코팅되도록 제작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보호시트를 제조하였고 제 2 점착층의 외주부 두께는 130㎛, 중심부 두께는 30㎛, 전체 두께는 225㎛로 형성하였다.
비교예 : 보호시트의 제작
두께 185㎛의 PET 필름의 일면에 두께 30㎛ 점착층(제조사: Dow Corning, Model: Dow Corning®7667 Adhesive)을 형성함으로써, 보호시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보호시트의 물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각 보호시트를 대상으로 두께, 점착력 및 벤딩 스트레스를 평가하였다.
보호시트의 두께 측정: 제작된 각 보호시트의 평균 두께를 측정하였다.
점착력 평가: 제조된 보호시트에 대해서 점착력을 평가하였다. 측정된 점착력은 3지점에서 측정된 값을 평균한 수치이다. 실시예 1 내지 3의 보호시트는, 외주부에 대한 점착력을 별도로 평가하였다.
벤딩 스트레스 측정: 제조된 보호시트에 대해서 벤딩시 가해지는 응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가로 및 세로 각각 40mm x 10mm 인 시료를 시료대 상에 위치하되, 40mm부의 Line이 3mm 돌출되도록 위치시켰다. 시료가 돌출된 부위에 로드셀을 시료대로부터 1.5mm 이격된 거리까지 이동시키고, 시료에 가해지는 응력을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구분 두께(㎛) 제1 점착층(중심부)
점착력 (gf/25㎜)
제2 점착층(외주부)
점착력 (gf/25㎜)
벤딩 스트레스
(g/120㎟)
실시예 1 195 200 1,500 80
실시예 2 200 200 1,500 85
실시예 3 225 600 1,700 85
비교예 185 1,500 550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에 따른 보호시트의 중심부 점착력이 약 200 gf/25mm 수준이고, 외주부 점착력은 약 1,500 gf/25mm 수준인 것으로 측정되었고, 실시예 3에 따른 보호시트는 중심부 점착력이 600 gf/25mm이고, 외주부 점착력은 1,700 gf/25mm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의 보호시트의 외주부의 벤딩 스트레스는 80 내지 85g/120㎟ 수준으로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비교예에 따른 보호시트는 외주부와 중심부의 점착력이 동일하고, 외주부의 벤딩 스트레스도 550 g/120㎟ 으로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따른 보호시트는 곡률에 따라 보호시트의 벤딩 스트레스 값을 낮춤으로써, 외주부가 곡면인 핸드폰의 표면에 효과적으로 부착 가능하다.
실시예 4~6: 보호시트의 제작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시트를 아래의 과정으로 제조하였다.
제1 및 제2 점착층의 점착력을 다음 표 3과 같이 제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보호시트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점착제이며, 2차 배합 과정에서 TMPTA의 함량을 제어함으로써, 점착력을 상이하게 구현하였다.
구분 제1 점착층(중심부) 점착력(gf/25㎜) 제2 점착층(외주부) 점착력(gf/25㎜)
실시예 4 350 2,000
실시예 5 500 3,000
실시예 6 1,000 2,500
실험예 2: 보호시트의 외주부 들뜸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각 보호시트를 외주부가 곡면인 핸드폰(삼성전자사, 갤럭시7 엣지 모델)의 표면에 부착하였다. 보호시트가 부착된 각 시료에 대해서, 상온에서 3일, 고온고습(50℃, 95%) 조건에서 3일, 그리고 열충격 조건에서(-40℃, 30분 조건과 85℃, 30분 조건을 반복) 3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외주부에 들뜸현상이 발생하는지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관찰결과, 실시예 1 내지 6에 따른 보호시트는 들뜸 현상이 관측되지 않았다.
100: 보호시트
110: 기재층
120: 패턴층
130: 제1 점착층
140: 제2 점착층
150: 표면 코팅층

Claims (13)

  1. 순차적으로 적층된 기재층; 패턴층; 및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층은 기재층과 접하는 면의 반대측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음각 패턴이 형성된 외주부, 및
    상기 외주부를 제외한 영역인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패턴층의 외주부 및 중심부에 적층되는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1 점착층에 적층되며, 상기 외주부 및 중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2 점착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패턴층 상에 형성되어 평탄면을 형성하되,
    상기 외주부 및 중심부는 제1 점착층에 적층되는 제2 점착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패턴층 상에 형성되어 평탄면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점착층 상에 형성되되, 패턴층의 외주부를 덮는 제2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시트의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보호시트의 중심부는 제1 점착층이 노출된 구조이고,
    보호시트의 외주부는 제2 점착층이 노출된 구조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점착층의 점착력은 1 내지 1,500 gf/25mm 범위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점착층의 점착력은 100 내지 4,500 gf/25mm 범위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점착층의 점착력은 제1 점착층의 점착력보다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트는 하기 조건 1을 만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조건 1]
    1.2 ≤ T[center] / T[edge] ≤ 20
    조건 1에서, T[edge]는 패턴층의 외주부 평균 두께를 나타내고, T[center]는 패턴층의 중심부 평균 두께를 나타낸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트는,
    기재층을 기준으로, 점착층이 형성되는 면의 반대측 일면에 형성된 표면 코팅층; 및
    기재층과 패턴층 사이에 형성된 하부코팅층
    중 1 종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에테르 설폰(PES, polyether sulfon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트릴아세틸셀룰로오스 (TAC, Tri-Acetyl-cellulose), 및 폴리프로필렌 (PP,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단층 구조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트는, 상기 점착층의 전면을 덮는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시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표면 중 일부 영역이 곡선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036658A 2019-03-29 2019-03-29 외주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7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658A KR102177081B1 (ko) 2019-03-29 2019-03-29 외주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658A KR102177081B1 (ko) 2019-03-29 2019-03-29 외주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613A KR20200114613A (ko) 2020-10-07
KR102177081B1 true KR102177081B1 (ko) 2020-11-10

Family

ID=7288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658A KR102177081B1 (ko) 2019-03-29 2019-03-29 외주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0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8353A (ja) 2011-04-12 2012-11-12 Dainippon Printing Co Ltd パターン構造層付き長尺体およびパターン構造層の貼り合せ方法
JP2020104471A (ja) 2018-12-28 2020-07-09 宗彦 杉本 保護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765B1 (ko) * 2012-01-10 2013-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Dof가 적용된 터치윈도우 및 보호필름
KR101760701B1 (ko) 2015-12-02 2017-07-24 (주)타라테크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3420A (ko) * 2016-12-22 2018-07-02 김영수 보호시트를 부착하기 위한 곡면 휴대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8353A (ja) 2011-04-12 2012-11-12 Dainippon Printing Co Ltd パターン構造層付き長尺体およびパターン構造層の貼り合せ方法
JP2020104471A (ja) 2018-12-28 2020-07-09 宗彦 杉本 保護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613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3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풀-커버 보호 필름
JP5412321B2 (ja) 透明性に優れた離型フィルム
WO2017018135A1 (ja) 剥離フィルムおよび粘着剤積層体
US20150070599A1 (en) Substrate Sheet and Touch Panel
KR20220140648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
KR20180113892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102383869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101847980B1 (ko) 비산 방지 효과가 강화된 전사 인쇄를 위한 무 기재 점착 테이프
TWI748682B (zh) 撓性影像顯示裝置及用於其之光學積層體
KR102177081B1 (ko) 외주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I772916B (zh) 撓性影像顯示裝置及用於其之光學積層體
JP2015025064A (ja) プラスチック基材貼合用の粘着剤、粘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1585512B1 (ko) 전도성층을 포함하는 무 기재 타입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24027A (ko) 보호필름
KR10186985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다층 필름
KR102096501B1 (ko)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181181A1 (ja) 透明導電性ガスバリア積層体及びこれを備えたデバイス
KR20190002266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102013642B1 (ko)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211170553U (zh) 一种可绕式oled用阻隔保护膜
KR20220134852A (ko) 3d 윈도우 글라스용 보호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광경화성 점착 조성물
KR20110007325A (ko) 기재필름과의 접착력이 향상된 프라이머층을 구비한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기재
JP647644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被着体密着フィルムが貼着された工業製品
JP6130476B2 (ja) 被着体密着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着された光学部品、工業製品
CN220352028U (zh) 一种3d盖板玻璃保护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