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105B1 - 철판 포장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철판 포장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105B1
KR102013105B1 KR1020190057397A KR20190057397A KR102013105B1 KR 102013105 B1 KR102013105 B1 KR 102013105B1 KR 1020190057397 A KR1020190057397 A KR 1020190057397A KR 20190057397 A KR20190057397 A KR 20190057397A KR 102013105 B1 KR102013105 B1 KR 102013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late
coils
coil
support piece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익섭
Original Assignee
최익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익섭 filed Critical 최익섭
Priority to KR102019005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6Bundling coils of wire or like annula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는, 일정 폭으로 커팅된 복수의 철판 코일을 기 설정된 개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철판 코일을 포장하기 위한 철판 포장 보조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기립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이 중첩되어 배치되도록 하는 철판배치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채, 상기 철판배치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철판배치부에 안착된 복수의 철판 코일이 권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각각의 철판 코일 끝단을 가압하여, 권출방지 벤딩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는 권출방지부, 상기 벤딩 작업이 완료된 복수의 철판 코일을 지지한 채, 이송하는 이송부 및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이 안착된 채,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이 기 설정된 개수로 분할되도록 하며, 기 설정된 개수로 분할된 철판 코일의 포장 벤딩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으로,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을 이동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판 포장 보조장치{An auxiliary device for packaging coil}
본 발명은 철판 포장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일정 폭으로 커팅된 복수의 철판 코일을 기 설정된 개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철판 코일을 포장하기 위한 철판 포장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분야에서 철강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압연롤을 이용하여 철강제품을 제조하게 되며, 이때 상기 압연롤을 제조 시 가동이 완료된 압연롤을 인출한 후, 상기 압연롤 표면의 피로층을 제거 하기 위하여 연마한 후 방청처리가 이루어진 후 권취된다.
이와 같이 권취된 코일은 수요자의 요구에 맞게 전단기(미도시)에 의해 전단되어 코일이송 수단에 의해 컨베이어로 보내어져 최종적으로 코일 포장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포장라인으로 이송된 코일은 리프터기에 의해 포장 컨베이어의 스키드 상에 안착되어 수요자가 원하는 포장형태로 제품 포장 시 작업자에 의해 내 보호판, 외 보호판, 측면 보호판을 코일에 부착시킨 후 가장자리에 내 주링, 외주링을 결합시켜 스틸밴드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코일을 포장하는 코일 포장장치가 등록특허 제0798069호에 게시되어 있으며, 특허등록 제617600호에는 포장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며, 특허등록 제 757069호에는 금속코일 보호 시트 포장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폭으로 커팅된 복수의 철판 코일을 기 설정된 개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철판 코일을 포장하는 포장 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철판 포장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는, 일정 폭으로 커팅된 복수의 철판 코일을 기 설정된 개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철판 코일을 포장하기 위한 철판 포장 보조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기립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이 중첩되어 배치되도록 하는 철판배치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채, 상기 철판배치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철판배치부에 안착된 복수의 철판 코일이 권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각각의 철판 코일 끝단을 가압하여, 권출방지 벤딩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는 권출방지부, 상기 벤딩 작업이 완료된 복수의 철판 코일을 지지한 채, 이송하는 이송부 및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이 안착된 채,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이 기 설정된 개수로 분할되도록 하며, 기 설정된 개수로 분할된 철판 코일의 포장 벤딩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으로,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을 이동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의 상기 철판배치부는,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중공에 삽입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가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와 상기 원통부를 연결하는 매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매개부는,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원통부는, 외주면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되는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와 연결되며, 평면으로 형성되는 평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중공을 규정하는 복수의 철판 코일의 내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평면부는, 상기 중공을 규정하는 복수의 철판 코일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제1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의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권출방지 벤딩 작업 전,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 끝단을 가압하는 가압띠가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가압띠는, 상기 권출방지부에 의해 각각의 철판 코일 끝단이 가압되면, 상기 제1 공간을 통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의 상기 권출방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회동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철판배치부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외측면과 접촉되거나 접촉 해제되는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철판배치부와 제1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회동부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철판배치부와 상기 제1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2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회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 간의 이격 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의 상기 이송부는, 상기 철판배치부의 하부측에 배치된 채,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높이방향이동부, 상기 높이방향이동부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폭방향이동부 및 상기 높이방향이동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높이방향이동부에 의해 상승되는 경우, 상기 철판배치부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을 지지하는 지지이송편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이송편은, 상기 철판배치부와 제3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3 위치에서, 상기 높이방향이동부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철판배치부와 상기 제3 이격거리보 작은 제4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외측면과 접촉되고, 상기 매개부는, 상기 지지이송편이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며, 상기 곡면부는, 상기 지지이송편이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측을 향해 대향하여,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평면부는, 상기 지지이송편이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측을 향해 대향하여,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하중이 상기 지지이송편에 인가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이송편은,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코일지지편 및 제2 코일지지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코일지지편은, 상면이 상기 제2 코일지지편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일지지편은, 상면이 상기 제1 코일지지편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의 상기 이송부는, 상기 철판배치부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한 채, 위치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이 기 설정된 개수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폭방향이동부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위치변화부, 상기 위치변화부의 상측에 연결되되, 상기 위치변화부를 기준으로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회동지지편 및 제2 회동지지편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변화부는, 회전되어, 상기 제1 회동지지편 및 상기 제2 회동지지편의 배치 상태를 변화시키며, 상기 제1 회동지지편은, 상기 철판배치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동된 복수의 철판 코일의 중공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중공에 삽입되면, 상기 위치변화부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포장 벤딩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으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2 회동지지편은, 상기 제1 회동지지편이 상기 철판배치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포장 벤딩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동지지편이 상기 포장 벤딩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철판배치부와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의 상기 제1 회동지지편은,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위치변화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안착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1 안착부 및 제1-2 안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1 안착부는, 상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내측면과 면 접촉하며, 상기 제1-2 안착부는, 상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내측면과 면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의 상기 제1 회동지지편은, 상기 제1-1 안착부의 상측면에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1 안착부 상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상기 제1-1 안착부로부터의 이탈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1-1 출몰부 및 상기 제1-2 안착부의 상측면에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2 안착부 상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상기 제1-2 안착부로부터의 이탈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1-2 출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출몰부는, 상기 제1-1 안착부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위치에서, 상기 제1-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상기 제1-1 안착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제1-1 안착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위치에서, 상기 제1-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상기 제1-1 안착부로부터의 이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팅된 복수의 철판 코일이 손상 또는 파손되지 않고, 분할 및 포장될 수 있다.
또한, 권출방지 벤딩 작업 또는 포장 벤딩 작업의 진행을 위한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작업의 용이성을 도모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일정 폭으로 커팅된 복수의 철판 코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의 권출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의 철판배치부 및 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일정 폭으로 커팅된 복수의 철판 코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1)는, 일정 폭으로 커팅된 복수의 철판 코일(C)을 기 설정된 개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철판 코일(C)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철판 포장 보조장치(1)는, 본체부(10, 도 3 참조), 철판배치부(20), 권출방지부(30), 이송부(40) 및 지지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바닥면으로부터 기립된 채, 상기 철판배치부(20) 및 상기 권출방지부(30)를 일정 높이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철판배치부(20)는, 상기 본체부(10)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중공(S1)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이 중첩되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권출방지부(30)는, 상기 본체부(10)에 연결된 채, 상기 철판배치부(20)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철판배치부(20)에 안착된 복수의 철판 코일(C)이 권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각각의 철판 코일(C) 끝단을 가압하여, 권출방지 벤딩 작업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권출방지 벤딩 작업이란, 각각의 철판 코일(C) 외주면을 따라 포장띠를 둘러, 코일 형태로 권취된 철판 끝단이 풀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판 코일(C)의 이동 또는 보관 중에 코일 형태의 철판이 권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이다.
상기 이송부(40)는, 상기 권출방지 벤딩 작업이 완료된 복수의 철판 코일(C)을 지지한 채,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이송부(40)에 의해 이동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이 안착된 채, 상기 이송부(40)에 의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이 기 설정된 개수로 분할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50)는, 기 설정된 개수로 분할된 철판 코일(C)의 포장 벤딩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으로,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장 벤딩 작업이란, 기 설정된 개수로 분할된 철판 코일(C)이 상호 이격되지 않도록 묶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하, 코일 형태로 권취된 코일 형태의 철판이 포장되는 순서를 시계열적으로 나열하되, 이 때 각각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의 권출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1)의 권출방지부(30)는, 회동부(31) 및 가압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31)는, 상기 본체부(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3)는, 상기 회동부(31)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회동부(31)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철판배치부(20)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외측면과 접촉되거나 접촉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33)는, 상기 철판배치부(20)와 제1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회동부(31)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철판배치부(20)와 상기 제1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2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33)는, 접촉부(331) 및 삽입부(3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331)는, 상기 회동부(31)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33)는, 상기 접촉부(3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 간의 이격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부(333)는, 상기 접촉부(33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의 철판배치부 및 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1)의 철판배치부(20)는, 원통부(21) 및 매개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통부(21)는,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중공(S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23)는, 상기 원통부(21)가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원통부(2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23)는, 상기 본체부(1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21)는, 외주면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되는 곡면부(211) 및 상기 곡면부(211)와 연결되며, 평면으로 형성되는 평면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211)는, 상기 중공(S1)을 규정하는 복수의 철판 코일(C)의 내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213)는, 상기 중공(S1)을 규정하는 복수의 철판 코일(C)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제1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권출방지 벤딩 작업 전,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 끝단을 가압하는 가압띠(P, 도 2 참조)가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띠(P)는, 상기 권출방지부(30)에 의해 각각의 철판 코일(C) 끝단이 가압되면, 상기 제1 공간을 통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띠(P)는,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중첩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을 하나로 묶되,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 각각의 권출 끝단을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철판이 한 쌍으로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띠(P)는, 상기 권출방지 벤딩 작업이 완료된 후, 제거되어야 기 설정된 개수로 분할 포장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은, 권출방지 벤딩 작업 전의 각각의 철판 코일(C)의 권출을 방지하는 가압띠(P)가 위치하고, 또한 권출방지 벤딩 작업 후의 불필요한 가압띠(P)가 제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40)는, 높이방향이동부(41), 폭방향이동부(43) 및 지지이송편(4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높이방향이동부(41)는, 상기 철판배치부(20)의 하부측에 배치된 채, 높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폭방향이동부(43)는, 상기 높이방향이동부(41)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이송편(45)은, 상기 높이방향이동부(41)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높이방향이동부(41)에 의해 상승되는 경우, 상기 철판배치부(20)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이송편(45)은, 상기 철판배치부(20)와 제3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3 위치에서, 상기 높이방향이동부(41)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철판배치부(20)와 상기 제3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4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개부(23)는, 상기 지지이송편(45)이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본체부(10)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211)는, 상기 지지이송편(45)이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측을 향해 대향하여,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부(211)는, 상기 원통부(21)가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중공(S1)에 삽입된 경우,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중공(S1)을 규정하는 내측면과 접촉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하중은 접촉된 상기 곡면부(211)에 집중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213)는, 상기 지지이송편(45)이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측을 향해 대향하여,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하중이 상기 지지이송편(45)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면부(213)는, 상기 원통부(21)가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중공(S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중공(S1)을 규정하는 내측면(곡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하중이 집중되는 내측면의 상부측과 대향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하중은 하부측에 배치된 지지이송편(45)에 집중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원통부(21)가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중공(S1)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철판 코일(C)과의 마찰면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곡면부(211)가 상측으로 배치된 채, 상기 원통부(21)가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중공(S1)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곡면부(211)에 집중된 철판 코일(C)의 하중에 의해 코일의 내측면과의 마찰력이 클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내측면은 손상될 수 밖에 없으나,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평면부(213)가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 내측면의 상부측과 대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이송편(45)은,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코일지지편(451) 및 제2 코일지지편(45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지지편(451)은, 상면이 상기 제2 코일지지편(452)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코일지지편(452)은, 상면이 상기 제1 코일지지편(451)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코일지지편(451) 및 상기 제2 코일지지편(452) 사이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은 상기 제1 코일지지편(451) 및 상기 제2 코일지지편(452)의 상면으로부터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은 자중에 의해 상기 제1 코일지지편(451)과 상기 제2 코일지지편(452)의 경계 측으로 이동되려고 하므로, 상기 지지이송편(45)에 안착된 경우, 상기 지지이송편(45)으로부터 이탈되는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40)는, 상기 철판배치부(20)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한 채, 위치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이 기 설정된 개수로 이격되어 분할이격거리(Q, 도 9 참조)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이 상기 이송부(40)에 의해 상기 지지부(50)에 안착되면, 상기 이송부(40)는,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 중, 상기 철판배치부(20)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복수의 철판 코일(C) 순으로 기 설정된 개수만큼 들어올려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철판 코일(C)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분할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송부(40)에 의한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이송은, 상기 높이방향이동부(41) 및 상기 폭방향이동부(4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1)의 지지부(50)는, 위치변화부(51), 제1 회동지지편(53) 및 제2 회동지지편(5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변화부(51)는, 상기 폭방향이동부(43)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지지편(53) 및 상기 제2 회동지지편(55)은, 상기 위치변화부(51)의 상측에 연결되되, 상기 위치변화부(51)를 기준으로 거울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변화부(51)는, 회전되어, 상기 제1 회동지지편(53) 및 상기 제2 회동지지편(55)의 배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지지편(53)은, 상기 철판배치부(20)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이송부(40)에 의해 이동된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중공(S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동지지편(53)은,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중공(S1)에 삽입되면, 상기 위치변화부(51)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포장 벤딩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동지지편(55)은, 상기 제1 회동지지편(53)이 상기 철판배치부(20)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포장 벤딩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회동지지편(55)이 삽입된 복수의 철판 코일(C)은 포장 벤딩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동지지편(55)은, 상기 제1 회동지지편(53)이 상기 포장 벤딩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철판배치부(20)와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회동지지편(55)은, 상기 이송부(40)에 의해 이동된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중공(S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회동지지편(53)과 상기 제2 회동지지편(55)을 이용하여, 복수의 철판 코일(C)의 분할 및 권출방지 벤딩 작업이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지지편(53)은,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1 안착부(531) 및 상기 제1 안착부(531)와 상기 위치변화부(51)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531)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1 안착부(531a) 및 제1-2 안착부(53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 안착부(531a)는, 상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내측면과 면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2 안착부(531b)는, 상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내측면과 면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동지지편(55)은,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2 안착부(551) 및 상기 제2 안착부(551)와 상기 위치변화부(51)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안착부(551)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1 안착부 및 제2-2 안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 안착부는, 상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내측면과 면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2 안착부는, 상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내측면과 면 접촉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포장 보조장치(1)의 제1 회동지지편(53)은, 제1-1 출몰부(532a) 및 제1-2 출몰부(53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출몰부(532a)는, 상기 제1-1 안착부(531a)의 상측면에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1 안착부(531a) 상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상기 제1-1 안착부(531a)로부터의 이탈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1 출몰부(532a)는, 상기 제1-1 안착부(531a)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위치에서, 상기 제1-1 안착부(531a)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상기 제1-1 안착부(531a)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출몰부(532a)는, 상기 제1-1 안착부(531a)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위치에서, 상기 제1-1 안착부(531a)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상기 제1-1 안착부(531a)로부터의 이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1 안착부(531a)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이, 상기 제1-1 안착부(531a)의 상기 위치변화부(51)에 의한 회동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1-1 안착부(531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1 출몰부(532a)는, 상기 제1-1 안착부(531a)가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중공(S1)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1 안착부(531a)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1 안착부(531a)가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중공(S1)에 삽입 완료되면, 상기 제1-1 안착부(531a)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출몰부(532b)는, 상기 제1-2 안착부(531b)의 상측면에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2 안착부(531b) 상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상기 제1-2 안착부(531b)로부터의 이탈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2 출몰부(532b)는, 상기 제1-2 안착부(531b)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위치에서, 상기 제1-2 안착부(531b)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상기 제1-2 안착부(531b)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출몰부(532b)는, 상기 제1-2 안착부(531b)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위치에서, 상기 제1-2 안착부(531b)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의 상기 제1-2 안착부(531b)로부터의 이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1 출몰부(532a)와 상기 제1-2 출몰부(532b)는, 동시에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안착부(531)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C)이 회동중에 상기 제1 안착부(5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2 회동지지편(55)은, 상기 제1 회동지지편(53)과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제2 회동지지편(55)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 회동지지편(53)으로 갈음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철판 포장 보조장치
C: 철판 코일
S1: 중공
P: 가압띠
10: 본체부
20: 철판배치부
30: 권출방지부
40: 이송부
50: 지지부

Claims (10)

  1. 일정 폭으로 커팅된 복수의 철판 코일을 기 설정된 개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철판 코일을 포장하기 위한 철판 포장 보조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기립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이 중첩되어 배치되도록 하는 철판배치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채, 상기 철판배치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철판배치부에 안착된 복수의 철판 코일이 권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각각의 철판 코일 끝단을 가압하여, 권출방지 벤딩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는 권출방지부;
    상기 권출방지 벤딩 작업이 완료된 복수의 철판 코일을 지지한 채,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이 안착된 채,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이 기 설정된 개수로 분할되도록 하며, 기 설정된 개수로 분할된 철판 코일의 포장 벤딩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으로,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을 이동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철판배치부는,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중공에 삽입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가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와 상기 원통부를 연결하는 매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매개부는,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원통부는,
    외주면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되는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와 연결되며, 평면으로 형성되는 평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중공을 규정하는 복수의 철판 코일의 내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평면부는,
    상기 중공을 규정하는 복수의 철판 코일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제1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포장 보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권출방지 벤딩 작업 전,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 끝단을 가압하는 가압띠가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가압띠는,
    상기 권출방지부에 의해 각각의 철판 코일 끝단이 가압되면, 상기 제1 공간을 통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포장 보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철판배치부의 하부측에 배치된 채,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높이방향이동부, 상기 높이방향이동부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폭방향이동부 및 상기 높이방향이동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높이방향이동부에 의해 상승되는 경우, 상기 철판배치부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을 지지하는 지지이송편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이송편은,
    상기 철판배치부와 제3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3 위치에서, 상기 높이방향이동부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철판배치부와 상기 제3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4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외측면과 접촉되고,
    상기 매개부는,
    상기 지지이송편이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며,
    상기 곡면부는,
    상기 지지이송편이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측을 향해 대향하여,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평면부는,
    상기 지지이송편이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측을 향해 대향하여,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하중이 상기 지지이송편에 인가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이송편은,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코일지지편 및 제2 코일지지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코일지지편은,
    상면이 상기 제2 코일지지편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일지지편은,
    상면이 상기 제1 코일지지편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포장 보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철판배치부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한 채, 위치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이 기 설정된 개수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포장 보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폭방향이동부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위치변화부, 상기 위치변화부의 상측에 연결되되, 상기 위치변화부를 기준으로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회동지지편 및 제2 회동지지편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변화부는,
    회전되어, 상기 제1 회동지지편 및 상기 제2 회동지지편의 배치 상태를 변화시키며,
    상기 제1 회동지지편은,
    상기 철판배치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동된 복수의 철판 코일의 중공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중공에 삽입되면, 상기 위치변화부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포장 벤딩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으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2 회동지지편은,
    상기 제1 회동지지편이 상기 철판배치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포장 벤딩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동지지편이 상기 포장 벤딩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철판배치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포장 보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지지편은,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위치변화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안착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1 안착부 및 제1-2 안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1 안착부는,
    상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내측면과 면 접촉하며,
    상기 제1-2 안착부는,
    상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내측면과 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포장 보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지지편은,
    상기 제1-1 안착부의 상측면에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1 안착부 상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상기 제1-1 안착부로부터의 이탈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1-1 출몰부 및
    상기 제1-2 안착부의 상측면에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2 안착부 상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상기 제1-2 안착부로부터의 이탈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1-2 출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출몰부는, 상기 제1-1 안착부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위치에서, 상기 제1-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상기 제1-1 안착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제1-1 안착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위치에서, 상기 제1-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철판 코일의 상기 제1-1 안착부로부터의 이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포장 보조장치.
KR1020190057397A 2019-05-16 2019-05-16 철판 포장 보조장치 KR102013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397A KR102013105B1 (ko) 2019-05-16 2019-05-16 철판 포장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397A KR102013105B1 (ko) 2019-05-16 2019-05-16 철판 포장 보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562A Division KR102013111B1 (ko) 2019-07-19 2019-07-19 철판 포장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105B1 true KR102013105B1 (ko) 2019-08-21

Family

ID=6780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397A KR102013105B1 (ko) 2019-05-16 2019-05-16 철판 포장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10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399U (ko) * 1995-10-14 1997-05-23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냉연코일을 밴딩하기 위한 밴드 안내장치
KR200168855Y1 (ko) * 1999-08-10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코일 끝단의 위치조정장치
KR20020050379A (ko) * 2000-12-21 2002-06-27 이구택 코일 권취장치
JP2007106433A (ja) * 2005-10-12 2007-04-26 Jfe Steel Kk スリットコイルの結束方法
KR20120078090A (ko) * 2010-12-31 2012-07-10 다인시스템주식회사 코일포장장치용 어펜더
KR20170140619A (ko) * 2016-06-13 2017-12-21 (주)포스코엠텍 코일 포장용 내주보호판 공급장치
KR101917433B1 (ko) * 2016-12-02 2018-11-1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지지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밴딩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399U (ko) * 1995-10-14 1997-05-23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냉연코일을 밴딩하기 위한 밴드 안내장치
KR200168855Y1 (ko) * 1999-08-10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코일 끝단의 위치조정장치
KR20020050379A (ko) * 2000-12-21 2002-06-27 이구택 코일 권취장치
JP2007106433A (ja) * 2005-10-12 2007-04-26 Jfe Steel Kk スリットコイルの結束方法
KR20120078090A (ko) * 2010-12-31 2012-07-10 다인시스템주식회사 코일포장장치용 어펜더
KR20170140619A (ko) * 2016-06-13 2017-12-21 (주)포스코엠텍 코일 포장용 내주보호판 공급장치
KR101917433B1 (ko) * 2016-12-02 2018-11-1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지지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밴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88606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aging coiled materials
US20150197369A1 (en) Holding Tool for Conveyer Belt Conveyance
KR102013105B1 (ko) 철판 포장 보조장치
KR102013111B1 (ko) 철판 포장 보조장치
ITBO20000653A1 (it) Metodo per l'inserimento di un foglio di copertina tra una pellicola trsparente e un contenitore con apertura a libro e dispositivo che attu
CA2894440C (en) A transport unit and a method for lifting such a transport unit
KR20120003718U (ko) 파이프 이송용 클램프
JP4690035B2 (ja) 載荷ユニットを作製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210045076A (ko) 인서트 랩핑 장치
RU2687110C1 (ru) Система, сред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рулона и способ выгрузки рулона, намотанного на намоточной установке
CN105936400A (zh) 一种抱箍式滑托运输装置的使用方法
US20040149611A1 (en) Yarn pack
JP5942398B2 (ja) 金属帯コイル載置用スキッドおよびそのスキッドを備えた搬送台車
CN105189317B (zh) 非对称的卷圈存放部
JP3130745U (ja) コイル架台
JP6195397B1 (ja) 結束バンド処理装置および結束バンド切断処理システム並びに結束バンド切断処理方法
CN104354899A (zh) 一种纸币处理设备
CN207259066U (zh) 一种切纸机用自动升降装置
CN208468344U (zh) 一种板料收放台
KR100854371B1 (ko) 압연롤 포장지 포장안내장치
CN204264495U (zh) 一种纸币处理设备
US3494279A (en) Support for use in strapping loads of multiple parts
KR100806700B1 (ko) 강판 포장용 받침대
KR101583757B1 (ko) 드럼통용 보호링 및 이를 포함하는 드럼통
KR20000010619U (ko) 코일소재 안착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