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708B1 -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708B1
KR102010708B1 KR1020180133340A KR20180133340A KR102010708B1 KR 102010708 B1 KR102010708 B1 KR 102010708B1 KR 1020180133340 A KR1020180133340 A KR 1020180133340A KR 20180133340 A KR20180133340 A KR 20180133340A KR 102010708 B1 KR102010708 B1 KR 102010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billiard
user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업
Original Assignee
김대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업 filed Critical 김대업
Priority to KR1020180133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20Scoring or regis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63F11/0051Indicators of values, e.g. score coun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5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finding other players; for building a team; for providing a buddy l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7Communicating with other players during game play, e.g. by e-mail or cha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81Input via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은 당구장을 이용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게임 정보가 저장되는 서버, 게임의 스코어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서버와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해당 당구대에서 이루어진 게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디지털 점수판, 상기 디지털 점수판과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제공받아 상기 디지털 점수판에서 스코어가 표시되도록 하는 음성인식 기기 및 상기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매칭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푸시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Billiard game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코어 관리를 음성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당구는 수평이 유지되는 사각 당구대 안에 게임의 종류에 맞는 당구공을 놓고, 게임에 참여한 사람의 순서대로 큐를 이용하여 당구공을 타구하여 정해진 스코어에 먼저 도달한 사람이 생기면 게임이 종료되는 스포츠이며, 일반적으로 사구게임, 쓰리쿠션, 포켓게임 등이 가장 많이 수행되고 있는 게임 방식이다.
사구 게임은 4개의 당구공을 당구대 위에 놓고 플레이어들이 번갈아가며 큐를 백구하여 두개의 적구를 맞히면 득점이 되는 방식이며, 쓰리쿠션은 3개의 공을 당구대 위에 놓고 두개의 적구를 맞히면 득점이 되는 방식이다. 다만, 두개의 적구 중 마지막 적구를 타격하기 전에 당구대 측면의 쿠션부분을 3회이상 맞추어야 득점으로 인정이 될 수 있다. 포켓볼은 당구대의 코너에 마련된 포켓에 당구공을 넣어서 득점을 하는 방식으로 사구게임 및 쓰리쿠션과는 사용하는 당구대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당구 게임은 플레이어가 득점에 따라 점수를 계산하게 되는데, 종래의 점수 계산 방식은 당구대 옆에 마련된 점수 표시알을 사용하였다. 점수 표시알은 통상적으로 50개가 수평봉에 매달려 있으며, 플레이어의 득점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현재 스코어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당구 게임은 플레이어들이 일일히 자신이 친 점수를 기억하여 점수 표시알을 옮겨야 하며, 만약 플레이어가 점수 표시알의 순서를 착각하여 실수로 다른 플레이어의 점수 표시알을 옮긴 경우에는 게임에 혼선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또한, 당구 게임은 특성상 실력에 따른 자신의 고유 점수가 존재하고 비슷한 레벨대의 사람들끼리 당구를 즐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기 때문에, 실력이 차이가 나는 사람들은 파트너 매칭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당구장을 혼자 방문하고자 하는 사람도 어떤 사람과 치는 것이 가능한지 알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당구 스코어를 관리해주는 디지털 스코어 보드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 또한 플레이어의 인증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게임시작을 위해 많은 절차를 거쳐야하기 때문에 사용상 어려움과 복잡함으로 현실적으로 이용을 꺼려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당구장에 가입되어 있는 회원의 실력에 기반한 점수와 승패 정보를 기록 및 저장하여, 현재 당구장에 있는 사람들끼리의 파트너 매칭을 쉽게 유도할뿐만 아니라 당구장에 없는 사람에게도 당구 게임을 제안할 수 있는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당구 게임을 진행함에 있어서 플레이어의 순서에 따른 플레이어 간의 스코어를 더욱 용이하게 관리하여 게임을 더욱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은 당구장을 이용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게임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게임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서버; 당구장에 배치된 각각의 당구대 인근에 배치되어 게임의 스코어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서버와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해당 당구대에서 이루어진 게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디지털 점수판; 상기 디지털 점수판과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제공받아 상기 디지털 점수판에서 스코어가 표시되도록 하는 음성인식 기기; 및 상기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매칭을 위한 메시지를 발송하는 푸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가입한 사용자에 대해 당구 게임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저장부와,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해 적합한 사용자를 검색 및 추천하는 매칭부와, 상기 사용자 정보는 해당 당구장 방문횟수, 상대선수, 상대전적, 당구게임 종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며, 해당 당구장에서 수행된 당구 게임에 대한 사용자 이름과 이에 대한 승패 정보를 상기 디지털 점수판을 통해 취합하여 입력받아 이를 상기 정보저장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입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지털 점수판은, 상기 음성인식 기기로부터 제공받은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음성에 따른 스코어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처리부와, 상기 정보처리부에서 분석된 스코어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되는 값을 디지털 점수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화면처리부와, 당구 게임이 종료된 후에 해당 당구대를 이용한 사용자 이름과 해당 경기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결과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인식 기기는 TCP 기반의 소켓통신이 가능한 통신부와, 디지털 점수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미리 훈련된 복수개의 음성 패턴 샘플들이 기저장된 음성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패턴 샘플은 적어도 스코어, 게임시작, 게임종료, 순서변경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 서버는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게임 정보를 제공받아 현 당구장에 있지 않은 사람에게 게임 제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 회원들의 당구 활동 내역을 저장하고 특정 회원이 로그인을 시도하면 적합한 회원을 추천하여 게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당구 게임이 이루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당구장에 방문이 없는 사람에게도 메시지 전송을 통해 게임 제안을 시도함으로써 당구장의 매출 증대 및 새로운 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와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된 디지털 점수판을 통해 음성으로 당구 게임의 스코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턴에 해당되는 사용자는 게임에 더욱 집중하면서 당구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에서 사용자 추천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에서 디지털 점수판을 통해 수집되어 저장되는 게임 테이블과, 서버에서 관리하는 게임 테이블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의 스코어링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에서 점수 카운트 모드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에서 음성인식 기기가 디지털 점수판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의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은 당구장을 이용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서버(10), 당구장에 배치된 각각의 당구대 인근에 배치되어 게임의 스코어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서버(10)와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해당 당구대에서 이루어진 게임 정보를 상기 서버(10)로 전송하는 디지털 점수판(20) 및 상기 디지털 점수판(20)과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제공받아 상기 디지털 점수판(20)에서 스코어가 표시되도록 하는 음성인식 기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는 전산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통해 데이터와 파일을 공유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버(10)가 복수개의 당구장에 마련되어 서로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1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매칭을 위한 메시지를 발송하는 푸시(push) 서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는 제1 통신부(11), 매칭부(12), 정부저장부(13), 데이터 입출력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11)는 디지털 점수판(20)에 마련된 통신부 및 푸시(push) 서버(40)에 마련된 통신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매칭부(12)는 정보저장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해 적합한 사용자를 검색 및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저장부(1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가입한 사용자에 대해 당구 게임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정보는 해당 당구장 방문횟수, 상대선수, 상대전적, 당구게임 방식, 실력등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14)는 해당 당구장에서 수행된 당구 게임에 대한 사용자 이름과 이에 대한 승패 정보를 디지털 점수판(20)을 통해 취합하여 입력받고, 이를 정보저장부(13)로 출력한다. 상기 정보저장부(13)는 해당 당구장에서 수행되는 모든 당구게임에 대한 게임 정보(사용자 이름, 게임 방식, 승패여부)를 저장하며, 상기 게임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당구장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당구장과 공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동일 서비스를 제공받는 여러 당구장들에 방문하여 게임을 하고 개인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 한하여 게임 정보가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매칭부(12)는 어느 하나의 당구장에 사용자가 방문하여 디지털 점수판(20)을 통해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면, 상기 정보저장부(13)에서 제공받은 사용자의 해당 게임 정보에 기반하여 가장 적합한 플레이어를 선별하여 추천해준다.
상기 디지털 점수판(20)은 당구장에 마련된 각각의 당구대에 설치되는 기기일 수 있으며, 당구대에서 잘 보이며 조작이 편리한 위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점수판(20)은 제2 통신부(21), 정보처리부(22), 화면처리부(23), 결과처리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부(21)는 서버에 마련된 제1 통신부(11)와 음성인식 기기(30)에 마련된 통신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부(22)는 음성인식 기기(30)로부터 제공받은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음성에 따른 스코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화면처리부(23)는 상기 정보처리부(22)에서 분석된 스코어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되는 값을 디지털 점수판(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결과처리부(24)는 당구 게임이 종료된 후에 해당 당구대를 이용한 사용자 이름과 해당 경기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2 통신부(21)를 통해 서버(10)에 마련된 제1 통신부(11)로 전송하고 이는 데이터 입출력부(14)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 기기(3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기기로, 해당 당구대에서 게임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당구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 기기(30)는 제3 통신부(31)와 음성인식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통신부(31)는 상기 디지털 점수판(20)에 마련된 제2 통신부(21)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인식부(32)는 자체 음성엔진을 내재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 기반으로 펌웨어 단에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어떤 음성인지에 대한 판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부(32)에는 디지털 점수판(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미리 훈련된 복수개의 음성 패턴 샘플들이 기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음성 패턴 샘플은 스코어, 게임시작, 게임종료, 순서변경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샘플일 수 있다.
상기 푸시 서버(40)는 상기 서버(10)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10)로부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당구 게임 신청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상기 푸시 서버(40)는 제4 통신부(41)와 메시지 전송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통신부(41)는 서버(10)에 포함된 제1 통신부(10)로부터 선택된 사용자에 대한 개인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 전송부(42)는 선택된 사용자에게 게임 제안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에서 사용자 추천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당구장에 방문한 사용자(플레이어)는 디지털 점수판에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로그인을 시도하는 과정(S11)을 수행한다. 인증이 완료되고, 사용자가 로그인되면 서버는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개인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플레이어를 선별하여 추천하는 과정(S12)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가 참조하는 사용자 정보는 당구장에 구비된 각각의 당구대에서 수행된 게임 정보가 디지털 점수판을 통해 수집되고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도 4의 (a)는 디지털 점수판을 통해 수집되어 저장되는 게임 테이블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점수판은 설치된 당구대에서 수행된 게임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게 되는데, 해당되는 정보는 당구장 이름, 사용자 이름, 게임의 종류(예를 들어 3구, 4구), 게임의 승자, 패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점수판은 상기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수행된 게임에 대해서 사용자 정보를 계속적으로 저장 및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에 구비된 서버에서 관리하는 게임 테이블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서버는 사용자별로 리스트를 생성하고, 해당 사용자에 대한 기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록 정보는 사용자의 등급, 당구장 별 방문횟수, 선수별 전적, 전체 승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해당 당구장에 방문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네트워킹을 통해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는 다른 당구장을 방문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당구장에 방문한 사람만 분류하여 기록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3구를 주로 치는 사람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서버는 우선 사용자의 3구에 대한 등급을 고려하여 동일한 등급에 해당되는 사람을 선별하고 해당 사용자와의 전적을 참조하여 승률이 유사한 사람을 추천할 수 있다. 추천된 사람이 현재 당구장에 있는 경우에는 디지털 점수판의 게임 진행 수락탭을 선택하여 게임을 바로 진행할 수 있다.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게임 대진이 이루어진 사용자를 호출하여 게임 진행 동의 여부를 묻고 수락시 바로 게임 진행을 보조할 수 있다.
만약, 추천받은 사람이 당구장에 없는 경우에 사용자는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게임중인 다른 선수를 기다리거나 관전하면서 다른 선수를 기다릴 수 있다.
또한, 서버는 해당 사용자와 적합한 상대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현재 당구장에는 방문이 없는 사람을 추천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동의를 받아 게임 제안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S14)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당구 진행 시스템은 방문한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상대를 매칭함에 있어서, 상대방에게 게임 제안 문자를 보내어 해당 당구장을 방문하게 하여 당구장의 매출을 늘릴 수 있으며, 평소에 알지 못했던 사람과 흥미로운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당구 게임 시스템의 스코어링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당구 게임 시스템은 디지털 점수판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TCP 기반의 소켓모듈을 내장한 음성인식 기기를 통해 스코어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상기 음성인식 기기에는 복수개의 음성 데이터가 훈련되는 과정(S21)이 선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점수 카운트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S22)을 수행하여 어떤 방식으로 카운트를 수행할 것인지에 대해 결정한다.
도 6은 점수 카운트 모드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용자가 점수를 한점을 낼 때마다 음성인식 기기로 스코어를 입력하는 방식이며, (b)는 사용자의 점수를 토탈하여 음성인식 기기로 스코어를 입력하는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a)의 스코어링 방식은, 초구를 사용하는 A 선수가 '시작'이라는 음성을 입력하여 디지털 점수판이 스코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하며, A 선수가 한점을 득점할 때마다 B 선수는 '일점'을 음성으로 입력하고, A 선수가 미스하여 패널티를 받은 경우 '미스'로 음성을 입력하며, A 선수의 득점이 끝나면 '턴'을 음성으로 입력하고, 디지털 점수판은 '턴'이라는 음성입력에 대해서 사용자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게임의 종료시에는 '종료'라는 음성을 입력하며, 게임이 종료되면 디지털 점수판은 게임 결과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a)의 스코어링 방식은 '시작', '종료', '일점', '미스', '턴'의 음성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음성인식 기기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훈련될 수 있다.
(b)의 스코어링 방식은, 초구를 시작하는 A 선수가 '시작'이라는 음성을 입력하여 디지털 점수판이 스코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한다. A 선수가 연속으로 세개를 친 경우에 B 선수는 '삼점'을 음성으로 입력하면, A 선수에 대한 스코어가 디지털 점수판에 디스플레이되고 순서가 B 선수로 변경된다. (b)의 방식에서는 하나의 음성이 입력되면 순서가 자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게임의 종료시에는 '종료'라는 음성을 입력하며, 게임이 종료되면 디지털 점수판은 게임 결과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b)의 스코어링 방식은 사용자가 몇 개를 칠지 알 수 없으므로 '일점'부터 기설정된 범위의 개수까지 가능한 점수에 대한 여러 경우의 수의 데이터를 미리 음성인식 기기에 훈련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점수 카운트 모드에 따라서, 게임 진행시 음성인식 기기를 사용하여 스코어를 발성하는 과정(S23)을 수행하면, 음성인식 기기는 사전정의된 프로토콜을 통해 인식된 언어의 값을 데이터 패킷에 실어 디지털 점수판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음성인식 기기가 디지털 점수판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음성인식 기기는 입력된 음성을 분석하여 어떤 음성인지를 추출한 후에, 인식된 언어의 값을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 공간에 실어서 음성인식 기기에 포함된 통신부 모듈을 통해 디지털 점수판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CMD는 음성인식 전달용 커맨드이며, Data는 해당 점수와 턴 변경, 게임 시작, 게임 종료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킹이 가능한 서버에 당구장을 방문하는 사용자의 게임 정보를 디지털 점수판을 통해 지속적으로 저장한다. 서버는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는 당구장끼리 공유될 수 있으며 네트워킹을 통해서 사용자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축척된 사용자의 게임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서버는 방문한 사용자에게 최적의 플레이어를 추천하며, 이 때 당구장에 없거나 현 당구장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에게 게임 제안 메시지를 송신하여 추후 당구장 방문을 통한 추가적인 매출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점수판으로 스코어링을 실시할 시,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음성인식 기기를 통해 디지털 점수판에서 현재 점수가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사용자는 음성인식 기기를 통해서 스코어링 방식을 선택한 후 게임을 진행하게 되는데, 턴이 아닌 사용자가 음성으로 스코어링을 실시하는 방식을 채택하면 사용자는 게임에 더욱 집중하면서 스코어링에 혼선이 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은 당구장에서 자주 보는 특정 사람뿐만 아니라, 실력이 비슷한 새로운 사람과의 대전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색다른 체험을 할 수 있으며, 디지털 점수판을 활용함에 있어서 음성을 사용하여 스코어링을 수행하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더욱 용이하게 상대방과의 게임 상황을 공유할 수 있고, 새롭게 생성되는 게임 정보는 다시 서버에 갱신되어 새로운 플레이어를 추천받을 수 있도록 하는 순환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서버
11: 제1 통신부
12: 매칭부
13: 정보저장부
14: 데이터 입출력부
20: 디지털 점수판
21: 제2 통신부
22: 정보처리부
23: 화면처리부
24: 결과처리부
30: 음성인식 기기
31: 제3 통신부
32: 음성인식부
40: 푸시 서버
41: 제4 통신부
42: 메시지전송부

Claims (5)

  1. 당구장을 이용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게임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게임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서버;
    당구장에 배치된 각각의 당구대 인근에 배치되어 게임의 스코어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서버와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해당 당구대에서 이루어진 게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디지털 점수판;
    상기 디지털 점수판과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제공받아 상기 디지털 점수판에서 스코어가 표시되도록 하는 음성인식 기기; 및
    상기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매칭을 위한 메시지를 발송하는 푸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가입한 사용자에 대해 당구 게임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저장부와,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해 적합한 사용자를 검색 및 추천하는 매칭부와,
    상기 사용자 정보는 해당 당구장 방문횟수, 상대선수, 상대전적, 당구게임 종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며, 해당 당구장에서 수행된 당구 게임에 대한 사용자 이름과 이에 대한 승패 정보를 상기 디지털 점수판을 통해 취합하여 입력받아 이를 상기 정보저장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점수판은,
    상기 음성인식 기기로부터 제공받은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음성에 따른 스코어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처리부와, 상기 정보처리부에서 분석된 스코어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되는 값을 디지털 점수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화면처리부와, 당구 게임이 종료된 후에 해당 당구대를 이용한 사용자 이름과 해당 경기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결과처리부를 포함하는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 기기는 TCP 기반의 소켓통신이 가능한 통신부와, 디지털 점수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미리 훈련된 복수개의 음성 패턴 샘플들이 기저장된 음성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패턴 샘플은 적어도 스코어, 게임시작, 게임종료, 순서변경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서버는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게임 정보를 제공받아 현 당구장에 있지 않은 사람에게 게임 제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
KR1020180133340A 2018-11-02 2018-11-02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 KR102010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340A KR102010708B1 (ko) 2018-11-02 2018-11-02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340A KR102010708B1 (ko) 2018-11-02 2018-11-02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708B1 true KR102010708B1 (ko) 2019-08-13

Family

ID=67624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340A KR102010708B1 (ko) 2018-11-02 2018-11-02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7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8341A (ko) * 2006-08-01 2006-09-18 임상엽 오프라인 대전 상대 연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전 상대연결 방법
KR101506266B1 (ko) * 2014-02-13 2015-03-26 주식회사 하이로시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8341A (ko) * 2006-08-01 2006-09-18 임상엽 오프라인 대전 상대 연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전 상대연결 방법
KR101506266B1 (ko) * 2014-02-13 2015-03-26 주식회사 하이로시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613B1 (ko) 플레이 스타일 정보를 사용하는 온라인 게임 매치메이킹 방법
US8142270B2 (en) Game system and game control method
JP4648874B2 (ja) 遠隔通信ダーツゲームシステム、ダーツゲーム機
CN107530585B (zh) 用于确定在飞镖游戏中的作弊的方法、设备及服务器
EA007878B1 (ru) Игровая система и игровой сервер
JP2004261202A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サーバ
KR20070036167A (ko) 게임 장치,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
KR20080012128A (ko) 오프라인 대전 상대 연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전 상대연결 방법
KR20050067164A (ko) 게임 시스템, 게임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정보기억매체
KR101264624B1 (ko) 실시간 게임 순위를 이용하여 대전 상대를 매칭하는 서버 및 그 방법
JP2010104695A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の制御方法
TW202222394A (zh) 匹配系統、程式、資訊通訊終端、及伺服器
JP3417936B2 (ja) ネットゲーム用サーバ装置、ネットゲーム管理方法及びネットゲーム管理プログラム
JP3860822B2 (ja) ゲームシステム
JP5546572B2 (ja)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JP5365946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制御方法
KR102010708B1 (ko)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
JP5704266B1 (ja) ゲームサーバ装置およびゲームサーバプログラム
KR102288745B1 (ko) 당구게임 랭킹결정 시스템 및 그 랭킹 결정방법
JP2020171595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ゲームサーバ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JP2016215077A (ja) ビデオゲーム処理システム、およ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KR20180070100A (ko) 복수 정답 퀴즈 기반의 온라인 스피드 퀴즈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101242071B1 (ko) 당구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기록매체
KR20180000845A (ko) 라이벌 시스템을 제공하는 다트 게임 장치
KR20100094231A (ko) 인터넷을 이용한 당구 경기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