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617B1 -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617B1
KR102008617B1 KR1020180054593A KR20180054593A KR102008617B1 KR 102008617 B1 KR102008617 B1 KR 102008617B1 KR 1020180054593 A KR1020180054593 A KR 1020180054593A KR 20180054593 A KR20180054593 A KR 20180054593A KR 102008617 B1 KR102008617 B1 KR 102008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blocking
doors
primary
box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환
Original Assignee
(주)티케이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케이이앤씨 filed Critical (주)티케이이앤씨
Priority to KR1020180054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03F7/04Valves for preventing return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관로의 끝단부에 개구된 하수토출구의 외주연에 박스형상으로 안착된 박스프레임을 설치하여 악취를 차단하고, 다수개의 차단문을 안전하게 안착시켜 평상시 하수관로 말단부 하수토출구를 차단문이 폐쇄시켜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우천시 다량의 우수가 하수관로에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차단문이 개방되면서 우수를 방류하천으로 방류 할 수 있고, 다수개의 차단문을 용이하게 탈부착시켜 무동력으로 다량의 우수를 배출시킬수 있으며, 차단문에 점검구가 구비되어 수시로 간편하게 하수관로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고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A ill-smelling prevention equipment for a drain pipe}
본 발명은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로의 끝단부에 개구된 하수토출구의 외주연에 박스형상으로 안착된 박스프레임을 설치하여 악취를 차단하고, 다수개의 차단문을 안전하게 안착시킬 수 있으며, 평상시 하수관로 말단부 하수토출구를 차단문이 폐쇄시켜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우천시 다량의 우수가 하수관로에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차단문이 개방되면서 우수를 방류하천으로 방류 할 수 있고, 상기 악취차단장치에 다수개의 차단문을 용이하게 탈부착시켜 하수관로 내부의 스크린에 걸려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문에 점검구가 구비되어 수시로 간편하게 하수관로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는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류식 하수관거는 평상시에는 하수를 하수관로 말단부에 구비된 우수토실로 안내 하수차집관거를 경유하여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시키는 역활을 하게되고 강우시에는 합류식 하수관로에 유입되는 대량의 우수를 하천으로 방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평상시에 하수관로 말단부가 개방되어 있게 되면 하수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밖으로 유출되어 불쾌감을 유발하게된다.
현재 대다수 하수토출구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취방지 커텐을 설치하여 일부 악취차단을 하고 있지만 밀실하게 하수토출구를 차단하지 못하여 악취가 밖으로 유출되고 있어 주위 대기환경에 불쾌감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이 특허공보 제10-1769896호에 공개되었으며, 특허 제10-1769896호 무동력 하수구 개폐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로(10)를 따라 유동하는 하수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하도록 평상시에는 상기 하수로(10)의 후단이 폐쇄되도록 하고 우천시에 하수의 양이 증가하면 상기 하수로(10)의 후단이 개방되도록 하여 하수가 하수처리장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하수로(10)의 후단에 설치되며 하부 영역(110)이 상부 영역(1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우천시 하수의 양이 증가하면 수압에 의하여 상기 하부 영역(110)이 회전하여 상기 하수로(10)의 후단이 개방되도록 하는 개폐부재(100)를; 포함하고, 상기 하수로(10) 후단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개폐부재(100)의 둘레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중앙 영역에 상기 하수가 유동하는 통로가 되는 개폐구(210)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수로(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 폭을 갖도록 구비되는 내측틀(200)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무동력 하수구 개폐장치는 하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수시로 하수관로의 내부를 점검하고, 우수토실 상부에 설치된 스크린상부에 걸려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나 진출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관로의 끝단부에 개구된 하수토출구의 외주연에 박스형상으로 안착된 박스프레임을 설치하여 악취를 차단하고, 토출구의 크기에따라 다수개의 차단문을 안전하게 안착시킬 수 있으며, 평상시 하수토출구를 패쇄시켜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우천시 다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차단문이 개방되면서 하수를 방류하천으로 안내하고, 하수관로 내부의 스크린에 걸려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문의 외측에는 점검구가 구비되어 간편하게 하수관로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는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는 하수관로의 말단부에서 평상시에는 하수토출구를 패쇄하여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우천시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면서 하천으로 안내하는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수토실의 상부에서 하수관로의 말단 토출구에 설치되며, 개구된 하수토출구의 외주연에 안착되는 박스프레임과; 상기 박스프레임의 상단에 상단힌지로 연결되어 평상시 하수토출구를 패쇄시켜 악취를 차단하는 1차 차단문과; 상기 1차 차단문과 연결되어 하수토출구를 패쇄시켜 악취를 차단하는 2차 차단문과; 상기 2차 차단문의 상측에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켜 우천시 대량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수위 및 수압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차단문을 수위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개폐시키는 힌지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스프레임은 토출구의 크게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1차, 2차 차단문이 안착되도록 다단의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박스프레임의 다단단턱 에는 차단문이 박스프레임에 밀실하게 안착되도록 자성이 형성된 안착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박스프레임의 전면 외주연에는 1차, 2차 차단문과 밀폐되도록 고무씰이 구비되고, 상기 1차,2차 차단문의 후면 테두리부에도 고무씰과 대향되어 고무씰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 차단문의 외측에는 하수관로의 내부를 간편하게 점검하도록 개폐되는 점검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연결부는 각각 차단문의 하단에 요입된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의 하측에 수평으로 연결된 봉형상의 회전축과, 상기 2차 차단문의 상단에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회전되도록 내측이 요입되어 돌출된 회전돌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연결부는 2차 차단문이 연결되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요입부의 상측에 삽입되는 이탈방지핀과, 상기 이탈방지핀에 구속되어 이탈이 방지되면서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돌출부의 상측에 곡면형상의 돌출된 걸림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수관로의 끝단부에 개구된 하수배출구의 외주연에 박스형상으로 안착된 박스프레임을 설치하여 악취를 차단하고, 그 내측이 다단의 단턱으로 형성되고 박스프레임 외주연의 내외측에 고무씰이 구비되고 자성이 형성된 안착자석을 다수개 구비하여 1차, 2차 차단문을 밀실하게 안착시켜 악취를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으며,
둘째, 상기 박스프레임의 외측에 분리가 용이한 다수개의 1차, 2차 차단문을 안착시킴으로써 평상시 하수관로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차단되고,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차단문이 단계적으로 개방되면서 우수가 내포된 하수를 방류하천으로 안내할 수 있고,
셋째, 상기 박스프레임의 외측에 토출구의 크기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1차, 2차 차단문이 설치되어 토출구가 차단됨으로써 하수관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차단되어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넷째, 상기 다수개의 2차 차단문의 상측에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연결부가 구비됨으로써 하수관로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진출입시 상기 다수개의 2차 차단문을 간편하게 분리시켜 유지보수 작업과 이물질 제거작업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다섯째, 상기, 2차 차단문의 외측에는 개폐되는 점검구가 구비됨으로써 2차 차단문의 분리 없이도 수시로 하수관로의 내부를 편리하게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하수관로와 우수토실을 나타낸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차단장치을 나타낸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차단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차단장치의 차단문 분리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차단장치의 일부개방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차단장치의 부분개방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악취차단장치의 점검구를 나타낸 개요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차단장치의 프레임을 나타낸 개요도.
도 11은 종래의 하수토출구 악취방지커텐 실사진.
도 12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개요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로(1)의 말단부에서 평상시에는 하수토출구(2)를 패쇄하여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우천시 우수의 대량 유입시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면서 하천으로 안내하는 하수배출구 악취차단장치로서, 개구된 하수토출구(2)의 외주연에 안착되는 박스프레임(10)과, 악취를 차단하는 1차 차단문(20)과, 상기 1차 차단문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2차 차단문(30)과, 다수개의 2차 차단문(30)을 개폐시키는 힌지연결부(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박스프레임(10)은 우수토실(3)의 상부에서 하수관로(1)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개구된 하수토출구(2)의 외주연에 박스형상으로 안착된다.
도 10에서, 상기 박스프레임(10)은 다수개의 1차, 2차 차단문(20,30)이 안착되도록 다단단턱(12)이 형성되며, 상기 박스프레임(10)의 다단단턱(12) 상부에는 상기 1차, 2차회전문(20,30) 이 박스프레임(10)에 밀실하게 안착되도록 자성이 형성된 안착자석(1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박스프레임(10)의 전면 외주연에는 1차, 2차 차단문(20,30)과 밀폐되도록 고무씰(14)이 구비되고, 상기 1차,2차 차단문(20,30)의 후면 테두리부에도 고무씰(14)과 대향되어 고무씰이 구비된다.
도 5 내지 도 8에서, 상기 1차 차단문(20)은 박스프레임(10)의 상단에 안착된 상부힌지(11)에 연결되어 평상시 하수관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2차 차단문(30)은 1차 차단문(20)의 하측에 연결되어 평상시 악취를 차단하고, 우천시 다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면서 우수와 합류된 하수를 방류하천으로 안내하도록 다수개 형성된다.
도 4에서, 상기 힌지연결부(40)는 2차 차단문(30)의 상측에 상호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 우천시 유입된 우수와 합류된 하수의 수압에 따라 상기 2차 차단문(30)을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 힌지연결부(40)는 2차 차단문(30)의 하단에 요입된 요입부(41)와, 상기 요입부(41)의 하측에 수평으로 연결된 봉형상의 회전축(42)과, 상기 2차 차단문(30)의 상단에 상기 회전축(42)에 체결되어 회전되도록 내측이 요입되어 돌출된 힌회전돌출부(4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연결부(40)는 2차 차단문(30)이 연결되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요입부(41)의 상측에 삽입되는 이탈방지핀(45)과, 상기 이탈방지핀(45)에 구속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돌출부(43)의 상측에 곡면형상의 돌출된 걸림돌기(46)가 구비된다.
도 9에서, 상기 1차, 2차 차단문(30)은 외측에 파손시 교환이 가능한 마감판재(21,31)가 안착되고, 상기 2차 차단문(30)의 외측에는 하수관로(1)의 내부를 점검하도록 개폐되는 점검구(5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토출 악취차단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된 하수토출구(2)의 외주연에 안착되고, 상기 박스프레임(10)의 외측에 1차 차단문(20)과 다수개의 2차 차단문(30)이 연결되어 악취를 차단하고, 상기 다수개의 2차 차단문(30)을 개폐시키는 힌지연결부(40)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우천시 대량 유입되는 우수가 내포된 하수에 의하여 수압이 증가하게되면 개방되면서 하천으로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박스프레임(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토실(3)의 상부에서 하수관로(1)의 끝단부에 개구된 하수토출구(2)의 외주연에 박스형상으로 안착되고, 그 외주연의 내외측에 고무씰(14)이 안착되고 외측에 다단의 다단단턱(12)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1차, 2차 차단문(20,30)이 안전하게 안착되며, 상기 박스프레임(10)의 다단단턱(12) 상측에는 자성이 형성된 안착자석(13)이 다수개 구비되고, 또한, 상기 박스프레임(10)의 전면 외주연에는 1차, 2차 차단문(20,30)과 밀폐되도록 고무씰(14)이 부착되며, 상기 1차,2차 차단문(20,30)의 후면 테두리부에도 고무씰(14)과 대향되어 고무씰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1차, 2차 차단문(20,30)이 박스프레임(10)에 밀실하게 밀착되어 악취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 차단문(20)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프레임(10)의 상단에 안착된 상단힌지(11)에 연결되어 상기 하수토출구(2)를 폐쇄시켜 악취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2차 차단문(30)은 1차 차단문(20)의 하측에 하구관로의 크기에 알맞게 다수개 연결되어 악취를 차단하고, 우천시 다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면서 하수를 방류하천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연결부(40)는 도 4에서, 다수개의 2차 차단문(30)의 상측에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우천시 유입되는 다량의 우수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압에 의하여 상기 다수개의 2차 차단문(30)이 개방되어 무동력으로 편리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1차, 2차 차단문(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교환 가능한 마감판재(21,31)가 구비되어 파손시 부분적인 보수가 가능하고, 상기 2차 차단문의 외측에는 개폐되는 점검구(50)가 구비됨으로써 수시로 간편하게 하수관로(1)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는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 : 하수관로 2 : 하수토출구
3 : 우수토실
10 : 박스프레임 11 : 상부힌지
12 : 안착자석 13 : 다단단턱
14 : 고무씰
20 : 1차 차단문 21 : 마감판재
30 : 2차 차단문 31 : 마감판재
40 : 힌지연결부 41 : 요입부
42 : 회전축 43 : 회전돌출부
45 : 이탈방지핀 46 : 걸림돌기
50 : 점검구

Claims (6)

  1. 하수관로(1)의 말단부에서 평상시에는 하수토출구(2)를 패쇄하여 하수를 우수토실(3)을 통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안내하면서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우천시 유입되는 우수로 하수량이 증가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면서 하천으로 안내하는 하수배출구 악취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수토실(3)의 상부에서 하수관로(1)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개구된 하수토출구(2)의 외주연에 안착되는 박스프레임(10)과;
    상기 박스프레임(10)의 상단에 상단힌지부(11)로 연결되어 하수토출구(2)를패쇄시켜 악취를 차단하는 1차 차단문(20)과;
    상기 1차 차단문(20)과 연결되어 우천시 유입되는 다량의 우수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압에 따라 개폐되면서 악취를 차단하는 다수개의 2차 차단문(30)과;
    상기 다수개의 2차 차단문(30)의 상측에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결시켜 우천시 유입되는 다량의 우수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압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2차 차단문(30)을 개폐시키는 힌지연결부(40);로 구성되며,
    상기 박스프레임(10)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1차, 2차 차단문(20,30)이 안착되도록 다단의 다단단턱(1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부(40)는 2차 차단문(30)의 하단에 요입된 요입부(41)와, 상기 요입부(41)의 하측에 수평으로 연결된 봉형상의 회전축(42)과, 상기 2차 차단문(30)의 상단에 상기 회전축(42)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내측이 요입되어 돌출된 회전돌출부(43)와, 상기 2차 차단문(30)이 착탈되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요입부(41)의 상측에 삽입되는 이탈방지핀(45)과, 상기 이탈방지핀(45)에 구속되면서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돌출부(43)의 상측에 곡면형상의 돌출된 걸림돌기(4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프레임(10)의 다단단턱(12) 상부에는 상기 1차, 2차차단문(20,30) 이 박스프레임(10)에 밀실하게 안착되도록 자성이 형성된 안착자석(13)이 구비되며, 상기 박스프레임(10)의 전면 외주연에는 1차, 2차 차단문(20,30)과 밀폐되도록 고무씰(14)이 부착되고. 상기 1차,2차 차단문(20,30)의 후면 테두리부에도 고무씰(14)과 대향되어 고무씰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2차 차단문(30)의 외측에는 파손시 교환이 가능한 마감판재(21,31)가 구비되고, 상기 2차 차단문(30)의 내측에는 하수관로(1)의 내부를 점검하도록 개폐되는 점검구(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80054593A 2018-05-12 2018-05-12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 KR102008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593A KR102008617B1 (ko) 2018-05-12 2018-05-12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593A KR102008617B1 (ko) 2018-05-12 2018-05-12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617B1 true KR102008617B1 (ko) 2019-08-07

Family

ID=6762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593A KR102008617B1 (ko) 2018-05-12 2018-05-12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801A (ko) * 2020-12-23 2022-06-30 류동환 하천 주변 악취 차단 가림 구조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193Y1 (ko) * 2005-06-23 2005-09-20 주식회사 프라코이엔지 덮개형 하수역류방지구
KR101374446B1 (ko) * 2012-08-17 2014-03-17 진두남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
KR101659242B1 (ko) * 2015-11-26 2016-09-22 전상훈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JP2016204952A (ja) * 2015-04-21 2016-12-08 アロン化成株式会社 収容ボックス
KR20160146606A (ko) * 2016-12-02 2016-12-21 전상훈 스플릿형 가림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193Y1 (ko) * 2005-06-23 2005-09-20 주식회사 프라코이엔지 덮개형 하수역류방지구
KR101374446B1 (ko) * 2012-08-17 2014-03-17 진두남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
JP2016204952A (ja) * 2015-04-21 2016-12-08 アロン化成株式会社 収容ボックス
KR101659242B1 (ko) * 2015-11-26 2016-09-22 전상훈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KR20160146606A (ko) * 2016-12-02 2016-12-21 전상훈 스플릿형 가림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801A (ko) * 2020-12-23 2022-06-30 류동환 하천 주변 악취 차단 가림 구조체
KR102418387B1 (ko) * 2020-12-23 2022-07-06 류동환 하천 주변 악취 차단 가림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87875B (zh) 带锁定装置的检测孔
KR101921821B1 (ko) 악취방지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KR101051388B1 (ko) 맨홀 커버 조립체
US20120279586A1 (en) Unpowered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KR102008617B1 (ko)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
KR101369130B1 (ko) 일체형 점검구을 갖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20170140833A (ko) 도로 배수구용 빗물 처리장치
US11753811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ffensive odors for drain port
CA2450304C (en) Check valve floor drain
JP3456834B2 (ja) 排水管路における空気抜き装置
KR20010086955A (ko)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20170082238A (ko) 도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1283922B1 (ko) 악취 차단부가 구비된 빗물받이
JP3667968B2 (ja) 排水管路における掃除口の蓋
KR101020719B1 (ko)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0384362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0726030B1 (ko) 악취역류방지용 맨홀
KR101978861B1 (ko) 암거 토구용 기류차단장치
KR101618517B1 (ko) 슬라이딩 결합구조를 갖는 유량조절장치
JP4759169B2 (ja) 人孔蓋受枠、マンホールの人孔蓋飛散防止構造
KR200328176Y1 (ko) 하수역류방지밸브
KR102110072B1 (ko)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0640143B1 (ko) 관정 시설물 보호장치
KR200416048Y1 (ko) 자동개폐수단을 갖는 맨홀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